KR20010060205A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205A
KR20010060205A KR1020000062760A KR20000062760A KR20010060205A KR 20010060205 A KR20010060205 A KR 20010060205A KR 1020000062760 A KR1020000062760 A KR 1020000062760A KR 20000062760 A KR20000062760 A KR 20000062760A KR 20010060205 A KR20010060205 A KR 2001006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developing roller
process cartridge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모또히데끼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1006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는, (a)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b) 현상제가 그 주연 표면에 반송되게 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기에 효과적인 자속 발생 장치를 그 내부에 보유하고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써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와, (c)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와, (d) 현상 롤러와 대향하는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으로 현상제가 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또는 LED 프린터), 팩스기,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단위체 또는 카트리지 형태를 취하고 있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카트리지를 일체식으로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를 취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전자사진 감광 드럼 및 현상 수단을 포함한다.
현상 장치는 현상 수단 및 현상제 수용부를 포함하며, 현상제를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잔상을 현상 수단에 의해 가시화된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특히, 공지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형성되며, 현상제 수용부 및 현상 수단을 갖는 현상 장치가 제공되며, 정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제(토너)를 갖춘 현상 장치의 현상 수단에 의해 가시화된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는비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소모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현상제 조절 부재(현상 블레이드)의 배면에 잔류하는 현상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현상 장치, 현상 장치를 이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는 현상 장치를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는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제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제 조절 부재가 현상 롤러에 마주하는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영역에 현상제가 도입됨을 방지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및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후속하는 양호한 실시예를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면도.
도2는 현상 장치 내의 현상 롤러의 현상 영역에 인접한 현상제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3은 현상 장치용 바이어스 이송 전압원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5는 자속 발생 장치의 자력선 및 현상 롤러 내의 현상제의 정열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6은 현상 롤러의 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 및 현상 롤러의 배면에 위치된 차단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차단 부재의 위치 및 그 두께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10은 판형 차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단 부재
102 : 노출 장치
103 : 대전 장치(롤러)
104a : 현상제 수용부
105 : 현상 수단
105a : 자속 발생 장치
105b : 현상 롤러
107 : 현상제 조절 부재
107a : 현상 블레이드
107b : 판
109 : 현상제
101 : 주 조립체
111 : 전자사진 감광 부재
112 : 세척 부재
119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0 : 프로세스 카트리지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1)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실시예가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현상 장치 내의 현상 롤러의 현상 영역에 인접한 현상제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현상 장치용 바이어스 이송 전압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5는 자속 발생 부재와 현상 롤러 내의 현상제의 정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은 현상 롤러의 배면에 위치된 차단 부재의 위치 및 현상 롤러의 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은 차단 부재의 위치 및 그 두께를 도시하고 있다(현상 장치의 구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106)는 현상제 용기(104)인 현상 장치 프레임, 현상제 수용부(104a) 및 현상제 용기에 제공되는 현상 수단(105)을 포함한다.
현상 수단(105)은 고정되어 있으며 현상 롤러(105b) 내에 위치된 자속 발생 장치(자석 롤러:105a) 및 현상 롤러(105b)의 형태를 취한 현상제 이송 부재를 포함한다. 현상제(토너:109)는 현상제 수용부(104a) 내에 수용된다.
현상 장치(106)는 현상제(109)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잔상을 가시화된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해 작동한다(도4 참조). 현상 장치(106)에서, 현상제 수용부(104a) 내의 회전성 현상제 이송 수단(1)은 현상제(109)를 현상 롤러(105b)에 공급하며, 자속 발생 장치(105a)를 포함한 현상 롤러(105b)는 현상 롤러(105b)의 표면 상에서 현상제 조절 부재(107)에 의해 마찰전기 전하를 띤 현상제 입자를 포함하는 현상제 층을 형성하도록 회전된다. 현상제는 정전 잠상에 따라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전사된다. 이에 의해, 현상된 화상, 즉, 가시화된 화상이 형성된다.
현상 롤러(105b)는 16 mm의 직경을 갖는 비자성 알루미늄 슬리브로 제조된다. 그 표면은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한 수지 재료층으로 코팅된다. 현상 롤러(105b)에 제공된 자속 발생 부재(105a)는 4개의 자극(S1 극, S2 극, N1 극 및 N2 극)을 갖는다. 자속 발생 부재(105a)의 자극의 자력은 현상 롤러(105b)의 표면에 현상제(109)를 이송하는데 효과적이다.
현상제 조절 부재(107)는 현상 블레이드(107a)와 그 현상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금속판(107b)의 형태인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금속판(107b)은 현상제 용기(104)에 장착되고 현상 용기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블레이드(107a)는 현상 롤러(105a)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N으로 지시된 것은 현상 블레이드(107a) 및 화상 롤러(105a) 사이에 형성된 접촉부(닙)이다.
이 실시예에서, 현상 블레이드(107a)는 대략 JIS 경도 40°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다. 접촉부(N)에서 현상 롤러(105b)에 대한 접촉력은 현상 롤러(105b)의 종방향(축방향)으로 1 cm 당 접촉 하중으로서 0.294 내지 0.392 N/cm(30 내지 40gf/cm)로 조정된다. 그 접촉력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107a)는 현상 층 두께를 현상 롤러(105b) 상에서 일정하게 조절한다.
이 실시예에서 현상제(109)는 음 대전 가능한 1성분 현상제이다. 현상제는 접착제 수지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재료의 중량에서 100 부분, 자기 입자의 중량에서 80 부분, 모노아조 Fe 복합물의 음 대전 조절 재료의 2 부분 및저 분자 중량 폴리프로필렌의 3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은 140℃에서 양축 방향 압출기에 의해 용융 및 혼합된다. 혼합된 재료는 해머 밀을 사용하여 거친 분쇄가 실시된다. 거친 분쇄된 재료는 제트 밀에 의해 미세 입자로 분쇄된다. 미세 입자들은 5.0 미크론의 중량 평균 직경을 갖는 분류 분말을 제공하도록 블로우 분류를 이용하여 분류된다. 분류된 재료에서, 소수성 실리카 미세 입자의 중량에서 1.0 부분은 헨셀 혼합기(Henschel mixer)를 사용하여 혼합되어 현상제 입자들을 제공한다. 3.5 내지 7.0 미크론(특히, 약 6 미크론)의 중량 평균 입자를 갖는 현상제 입자들이 주로 사용된다.
현상 롤러(105b)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제공된다. 현상 롤러(105b)에 가해진 현상 바이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와 현상 롤러(105b) 사이의 갭이 대략 300 미크론인 경우에 -500V의 DC 전압과, 1600V의 Vpp를 갖는 직사각형 파형의 AC 전압과, 2200Hz의 주파수를 포함한다. 감광 부재의 대전된 전위 Vd는 -600V이고 레이저 빔에 노출된 부분의 전위 V1은 -150V이다. 역 현상이 실시, 즉 V1부분이 토너를 수용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도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따른 현상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4에서, 참조 부호 119는 대체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는 참조 부호 101로 표시된다. 드럼 샤프트(도시안됨) 둘레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감광 드럼) 형태의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참조 부호 111로 표시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의 표면은 대전 장치(대전 롤러)(10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되도록 노출 장치(102)에 의해 레이저 빔에 노출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106)에 의해 현상제(109)로 가시화된다. 도3에 도시된 현상 수단(105)의 현상 롤러(105b)는 DC 전원(119)과 AC 전원(118)을 가압하는 바이어스 공급 전원에 연결된다. 바이어스 공급 전원에 의해, 현상 롤러(105b)에는 적절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된다.
현상제(109)에 의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가시화된 현상 화상은 전사 장치(110)에 의해 전사 재료(114)(기록 용지, OHP 시트, 직물 등)에 전사된다.
전사 재료(114)는 이송 롤러(116)에 의해 카세트(117)로부터 이송되고, 정합 롤러(도시안됨)에 의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현상 화상과 동조하여 전사 장치(110)에 이송된다.
전사된 토너 화상을 갖는 전사 재료(114)는 토너 화상이 열 및 압력에 의해 영구 화상으로 고정되는 고정 장치(115)로 이송된다.
한편, 전사 없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에 잔류한 현상제(109)는 세척 블레이드(113)를 갖는 세척 장치(112)에 의해 제거된다.
그 후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의 표면은 대전 장치(103)에 의해 또 다시 전기 대전되고 전술한 조작이 반복된다.
이송 롤러(116) 및 정합 롤러(도시안됨)는 전사 재료(11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108)을 구성한다.
(자속 발생 부재에 의해 제공된 자력선 및 현상제 정렬 사이의 관계)
도5를 참조하여, 현상 롤러(105b)에 배치된 자속 발생 부재(105a)에 대해 설명된다.
먼저, 자속 발생 부재(105a)에 의해 제공된 자력선 및 현상제(109)의 정렬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설명된다.
현상제(109)가 자성이므로, 현상제 입자들은 자속 발생 부재(105a)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들을 따라 정렬된다. 특히,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들은 자극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정렬되고(현상제 입자들의 사슬들이 직립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으로부터 수평으로 배치된다(사슬들이 눕는다).
이 실시예에 사용된 자속 발생 부재(105a)는 전술된 바와 같이 S1 극, S2 극, N1 극 및 N2 극(4 극)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자극에 대해 설명된다.
S1 극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에 대향된 현상 극이고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기능한다. 현상제의 직립 사슬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고품질 화상이 제공된다.
N1 극은 현상제(109)가 현상 용기(104)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기 밀봉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는 차폐 극이다.
S2 극은 현상 롤러(105b)의 표면에 현상제 용기(104) 내의 현상제(109)를 끌어 당기는 기능을 하는 인수 극이다.
N2 극은 현상제(109)를 현상 구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현상 블레이드(107a)와 현상제(109)의 사슬과 수평 상태인 현상 롤러(105b)의 사이에서 접촉부(N)를 통과한 현상제(109)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이송 극이다.
(현상 롤러에 인접한 현상제의 거동)
이하에서는 도2에 도시된 현상 장치의 일반 구조를 참조한 현상 장치에 인접한 현상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대응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인용부호가 매겨져 있다.
1 : 현상제 용기(104)의 (도시되지 않은) 현상제가 현상 롤러(105b)에 배치된 자속 발생 부재(105a)의 S2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105b)의 표면 상으로 당겨진다.
2 : 현상 롤러(105b)의 표면으로 당겨진 현상제는 현상 롤러(105b)의 회전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D)로 표시된 방향으로)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현상 블레이드(107a)와 현상 롤러(105b) 사이에 형성된 접촉 위치(N)로 반송된다.
3 : 접촉부(N)에 도달한 현상제는 현상 블레이드(107a)에 의해 현상제 층 두께로 조절되어서, 현상제는 (도시 안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쪽의 현상 영역으로 이송되는 부분(A)과 현상 용기(104)로 복귀되는 부분(B)으로 분리된다.
4(A) : 현상 영역으로 이송되는 현상제는 (도시 안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의 현상에 용이하게 사용되거나 현상 용기(104)로 단순 복귀한다.
4(B) : 내부로 복귀된 현상제는 화살표(C)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며, 다시 자속 발생 부재(105a)의 자극(S2)에 의해 현상 롤러(105b) 상으로 당겨진다.
5 : 작업 1 내지 4를 반복하면, 현상제 용기(104) 내의 현상제의 양은 감소하고, 현상제가 현상 블레이드(107a)와 현상 롤러(105b) 사이의 접촉부에 인접해서 존재하지 않을 때, 문제는 현상이 불가능하게 되어 소위 화이트 보이드(white void)를 초래한다.
도2에 도시된 현상 장치의 구조에서, 현상 작업은 화이트 보이드가 처음으로 발생할 때까지 실질적으로 수행되었고, 잔여 현상제가 점검되었다. 도6의 (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109)는 지체되어서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 즉 현상 롤러(105)에 대향하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측면에 잔류한다. 현상제의 양은 4% 인쇄비에서 300 시트 내지 400 시트에 대응한다.
현상제(109)는 자속 발생 부재(105a)의 자극(N2)에 의해 강하게 당겨지기 때문에 현상제(109)는 그곳에 지체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현상제의 잔류량은 위치에서의 자력의 증가하면 증가한다.
상술한 자극(N2)의 기능의 관점에서, 자극(N2)은 양호하게는 현상 롤러(105)의 회전 방향(D)으로 접촉부(N)와 인접해서 현상 블레이드(107a)와 현상 롤러(105b) 사이의 접촉부(N)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 상에서의 현상제의 지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자극(N2)의 위치를 많이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현상 블레이드의 배면 상의 현상제 잔류량 감소 측정)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 상의 지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라, 현상제(109)가 자속 발생 부재(105a)에 의해 마련된 자력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 강한 위치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 또는 방지하기 위한 차단 부재(방지 부재, 대전 부재 또는 진입 억제 부재)가 있다.
차단 부재(100)는 현상 롤러(105b)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현상 블레이드(107a)의 사실상 전부를 덮는다. 차단 부재(100)는 이중 코팅 테이프, 접착 재료, 나사 등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04a)의 내측 벽에 장착된다. 이는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판(107b)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차단 부재(100)는 실험의 용이성을 위해 도포된다. 자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면 재료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양호하게는 비용의 관점에서 용기와 일체 성형된다.
차단 부재(100)의 형상은 현상 롤러(105b)의 자력 발생 부재(105a)에 의해 제공된 자력과 자극에 의존하며, 따라서 형상은 명확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정량적으로는, 현상제가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인 공간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를 갖지 않는 현상 장치와,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 상에서 도7의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부재(100)를 갖는 현상 장치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 실험에서, 화이트 보이드가 처음 나타날 때의 현상제 잔류량과 화상이 점검되었다.
여기에서, 도7의 (1) 내지 (3)는 차단 부재(100)의 위치가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에 대해 변경될 예를 도시한다. (1)은 차단 부재(100)가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 위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다. (2)는 차단 부재(100)가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다. (3)은 차단 부재(100)가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 아래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다.
도7에서, (4) 내지 (6)은 (현상 블레이드(107a)측에 대향하는) 현상제가 존재하는 측면에서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 상의 최대 자속 밀도를 변경시키도록 차단 부재(100)의 두께가 조정된다. (4)는 현상제 접촉측에서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 상의 자속 밀도가 30 mT가 되도록 차단 부재(100)의 두께가 조절된 주 조립체를 도시한다. (5)는 현상제 접촉측에서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 상의 자속 밀도가 20 mT가 되도록 차단 부재(100)의 두께가 조절된 주 조립체를 도시한다. (6)은 현상제 접촉측에서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 상의 자속 밀도가 15 mT가 되도록 차단 부재(100)의 두께가 조절된 주 조립체를 도시한다.
(실험 방법)
인쇄비 4%를 갖는 패턴이 연속으로 인쇄되었으며, 인쇄된 화상 상의 결점은 주기적으로 점검된다. 화이트 보이드가 발생할 때, 현상 블레이드의 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1>에 도시된다.
<표1>
자속 토너 잔류 밀도 화상 흠결(g)
도7, (0) 차단 부재없음 20 없음
도7, (1) 차단 부재: 상부 1 없음
도7, (2) 차단 부재: 중간 1 없음
도7, (3) 차단 부재: 하부 0 저밀도
도7, (4) 자력: 강 30mT 8 없음
도7, (5) 자력: 중간 20mT 1 없음
도7, (6) 자력: 약 15mT 1 없음
(0), (1), (2) 및 (3) 사이를 비교해 볼 때, 현상제 잔류량은 어떠한 차단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크게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 부재(100)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 아래에 있을 때, 현상제의 선회는 크게 방해되며, 따라서 최종 화상은 흠결을 포함한다. 이것은 현상제가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단부(107a1)로부터 떨어진 직후 현상제가 차단 부재(100)에 접촉하고, 따라서 도2의 (C)에서 도시된 현상제의 선회가 아주 작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현상제에 인가된 로드는 증가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차단 부재(100)는 바람직하게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 단부(107a1)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된다.
현상제 접촉측에서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상의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일 때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의 현상제 잔류량이 도7에서 (4), (5) 및 (6)의 사이에서 비교할 때 이해될 수 있다. 현상제 접촉 측에서의 차단 부재(100)가 표면(100a)상의 자속 밀도가 20 mT 이하일 때,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의 현상제 잔류량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현상제 접촉 측에서의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상의 자속 밀도가 20 mT 이하일 때 현상제가 분명히 낙하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더욱이, 차단 부재(100)의 각도가 수평에 가깝고,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의 저항이 작을 때 화이트 보이드의 최초 발생에서의 현상제 잔류량은 더욱 많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100)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의 자기력이 강해지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공되어, 현상제의 최소 잔류량을 갖는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 부재(100)는 자속 밀도가 현상제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 30 mT 보다 작지 않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지하도록 제공된다.
더욱이, 화이트 보이드가 최초 발생 시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은 현상제 접촉측에서의 차단 부재(100)의 표면(100a)상의 자속 밀도가 20 mT보다 많지 않게 하고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 단부(107a1)를 넘어 차단 부재(100)를 연장하지 않음으로써 화상에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고서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블레이드(107a)의 수단의 자유 단부(107a1) 넘어 차단 부재(100)를 연장하지 않으면, 현상 블레이드(107a)의 자유 단부(107a1)를 통해 통과하고 현상 롤러(105b)와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현상 블레이드(107a)의 사이의 연결부(N)와 현상 롤러(105b)의 회전 중심(O)을 연결하는 선 L1과 평행한 선 L2의 현상 롤러(105b)의 회전 운동 방향 (D)에 대해 영역 S1의 하류측에서 차단 부재(100)는 존재하지 않는다.
도7의 (1)에서, 차단 부재(100)는 현상 블레이드(107a)가 존재하는 영역 S1에 배치된다.
도7의 (3)에서, 차단 부재(100)는 현상 블레이드(107)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S1 및 S2의 사이에서 연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100)는 자속 발생 부재(105a)의 자극에 의해 제공되는 강한 자력을 갖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의 공간의 일부분으로 현상제(109)가 도입되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단 부재(100)는 차단 블레이드(107a)의 배면 부분에 현상제(109)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현상제(109)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 정체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현상제(109)는 효율적으로 소모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도2에 도시된 구조(제1 실시예)를 갖는 현상 장치를 포함한다. 소위 화이트 보이드가 현상 블레이드(107a)와 현상 롤러(105b)의 사이의 접촉부에 인접한 현상제의 부족에 기인하여 발생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제를 모두 소모하도록 요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요동함으로써, 현상제 용기의 내측 구석 부분에서 잔류하는 현상제는 접촉부로 이동될 수 있다. 화이트 보이드가 요동 직후에 계속 발생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이 종료된 것으로 여겨지고,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교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현상제는 현상 블레이드의 배면(현상 롤러로부터 대향하는 측면)에 잔류한다. 현상 블레이드의 배면에 있는 현상제는 자속 발생 부재에 의해 제공된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의 표면상에 흡인되고, 이러한 현상제는 대부분의 경우 화이트 보이드의 최초 발생 시에 잔류한다. 현상제 잔류량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강하게 요동시킴으로써 감소된다.
따라서, 사용 가능 현상제는 화이트 보이드가 처음에 발생될 때에도 현상제 용기 내에 잔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현상제가 접촉부에 이송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요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내재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세척 장치 및 대전 장치를 포함한다.
도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도9는 본 실시에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된 때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대응 기능을 하는 요소에 부여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제1 실시예의 현상 장치(106)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와, 세척 장치(112)(세척 수단)와, 대전 장치(103)(대전 수단)를 포함하고, 이들은 카트리지 프레임 및 외측 케이싱 부재(6)를 포함하는 케이싱 내에 포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커버 부재가 개방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회전될 때, 카트리지 장착부를 위한 공간이 노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도시되지 않은) 안내 부재가 그 좌우측에서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20)의 외측 케이싱 부재(6)의 좌우측의 각각에 제공된 보스(boss)와 리브(rib)를 포함하는 (도시되지 않은) 안내부는 주 조립체의 장착 안내 부재와 결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101)의 소정 위치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는 차단 부재(100)가 제공되어 현상제(109)가 현상 장치(106) 내의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 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현상제(109)는 현상 블레이드(107a)의 배면에서 정체되지 않고, 그 결과, 현상제(109)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상 장치(106)의 현상 용기(104)에 있는 현상제(109)가 모두 소모될 때, 다른 장치(대전 장치(103))의 수명은 사실상 동시에 종료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현상제(109)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내에 잔류하는 한 안정된 화상 형성이 보장된다. 현상 장치(106),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세척 장치(112) 및 대전 장치(103)는 유닛으로서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고, 이들은 어려움이 없이 교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점(안정된 화상 형성 및 용이한 관리) 이외에, 현상제(109)는 어려움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현상제 조절 부재(107)가 현상 롤러(105b)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대향하는 영역으로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만 차단 부재(100)가 제공된다. 그러나, 현상제 잔류량 감지 수단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차단 부재(100)는 현상 롤러(105b)를 갖는 커패시터를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부재나, 상기 중앙부가 감지되는 공간 내에 현상제의 양과 변화하는 정전 용량을 갖는 다른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차단 부재(100)는 도10a에 도시된, 자력이 강한 부분의 전체를 반드시 차단할 필요는 없다.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가 판과 현상제 조절 부재(107) 사이에 도입되지 않는다면 차단 부재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부재(100)는 판(107b)의 상부면(107b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판(107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부분(100b)과, 판(107b)의 짧은 측면을 따라 제1 부분(100b)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탄성 부재(107a)의 배면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10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100a) 및 제2 부분(100b)의 외부면(100a)들은 자속 발생 부재(105a)의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속 밀도가 20mT 이하인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부분(100b) 및 제2 부분(100c)은 서로 일체로 되어 현상제 수용부(104a)의 내부벽에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현상제 수용부는 현상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현상 작동이 수행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현상 장치 및/또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해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 및/또는 전기 에너지 공급부는 복수개의 현상 수단이 제공된 다색 화상(2색 화상, 3색 화상, 전색 화상 등)을 형성하는 카트리지에 사용된다.
상기 설명에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감광 드럼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이러한 감광 드럼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감광 부재는 비결정질 실리콘, 비결정질 셀레늄,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유기 광전도체 (OPC) 등의 광전도체일 수 있다. 감광 부재는 드럼, 벨트 또는 다른 회전 가능 부재, 또는 박판 등의 형태의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드럼 또는 벨트가 사용되고, 드럼형 감광 부재의 경우에 알루미늄 합금 등의 실린더가 증착 또는 도포 등에 의해 광전도체로 코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호하게는 2성분 토너를 사용하는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 캐스케이드 현상 방법, 터치-다운 현상 방법, 클라우드(cloud) 현상 방법 등의 여러 공지의 현상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대전 수단의 구조는 소위 접촉식 대전 방법의 것이지만, 텅스텐 와이어에 고전압을 안가함으로써 발생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 향하여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도록 3개의 측면에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차폐부로 둘러싸인 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지의 대전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대전 수단은 전술된 롤러 형태, 블레이드 형태(대전 블레이드), 패드 형태, 블록 형태, 로드(rod)형태, 와이어 형태 등일 수 있다.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방법에 대하여, 블레이드, 털(fur) 브러시, 자기 브러시 등이 사용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예컨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형태에 대하여, 전술된 것 외에도, 예컨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현상 수단 및 대전 수단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로 통합된 형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현상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로 통합된 형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세척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로 통합된 형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2 이상의 프로세스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내로 일체로 통합된 형태 등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유닛으로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사용자에의해 착탈될 수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 보수가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수행됨을 의미한다.
전술한 환경에서, 레이저 빔 프린터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앞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형식의 팩시밀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현상 장치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 롤러로부터 먼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서 정체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곳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어서 현상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제 롤러로부터 먼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서 정체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곳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어서 현상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현상제가 현상 롤러로부터 먼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서 정체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곳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어서 현상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 수단 내의 현상제가 현상 롤러로부터 먼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서 정체하는 것이 방지되어, 그 곳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어서 현상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 따른 현상 장치(106)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106)는, (a)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104a)와, (b) 상기 현상 롤러(105b)의 주연면 상에 현상제가 반송되게 하는 자력을 발생시키기에 효과적인 자속 발생 부재(105a)를 내부에 내장하고 있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 롤러(105b)와, (c) 상기 현상 롤러(105b)의 주연면 상에 반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는 현상제 조절 부재(107)와, (d) 상기 현상 롤러(105b)로부터 대향한 상기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측면으로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119)의 주 조립체(101)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a)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와, (b)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104a)와, (c)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써 현상하고, 자속 발생 장치(105a)를 내부에 보유하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그 주연부 표면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105b)와, (d) 현상 롤러(105b)의 주연 표면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107)와, (e) 현상 롤러(105b)로부터 반대 방향인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일 측면으로 현상제가 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100)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19)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기록 재료(114)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119)는 (a)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와, (b)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104a)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106)와, 현상 롤러(105b)의 주연 표면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107)와, 현상 롤러(105b)로부터 반대 방향인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일 측면으로 현상제가 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100)와, (c) 기록 재료(11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 장치(106)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써 현상하고, 자속 발생 장치(105a)를 내부에 보유하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그 주연부 표면에 현상제를 반송한다.
화상 형성 장치(119)의 주 조립체(101)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20)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기록 재료(114)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119)의 주 조립체(101)는, (a)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와,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104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b) 기록 재료(114)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108)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20)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11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써 현상하고 자속 발생 장치(105a)를 그 내부에 보유하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그 주연부 표면 상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105b), 현상 롤러(105b)의 주연 표면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107), 및 현상롤러(105b)로부터 반대 방향인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일 측면으로 현상제가 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부재(100)를 구비한다.
변형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자유 단부(107a1)를 통과하고 현상 롤러(105b) 및 현상제 조절 부재(107) 사이의 접촉부(N)와 현상 롤러(105b)의 회전 중심(O)을 연결하는 직선(L1)과 평행한 직선(L2)의 현상제 관련 부재 측에 차단 부재(100)가 배치된다. 차단 부재(100)는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자유 단부(107a1)를 통과하고 현상 롤러(105b) 및 현상제 조절 부재(107) 사이의 접촉부(N)와 현상 롤러(105b)의 회전 중심(O)을 연결하는 직선(L1)과 평행한 직선(L2)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차단 부재(100)는 현상제 조절 부재(107)의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현상제 조절 부재(107)는 현상 롤러(105b)의 주연 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금속판을 구비하고, 차단 부재(100)는 현상제 수용부(104a)의 내벽에 장착된다.
차단 부재(100)는 이중 코팅 테이프, 접착 재료 및 나사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04a)의 내벽에 장착된다.
차단 부재(100)는 자속 발생 장치(105a)의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인 영역(S1)으로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 부재(100)의 외부 표면은 자속 발생 장치(105a)의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인 영역(S1) 내에 배치된다.
자속 발생 장치(105a)의 자극 중의 하나는 현상 롤러(105b)의 회전 이동 방향으로 현상 롤러(105b) 및 현상제 관련 부재와 만나는 접촉부(N)의 하류에 배치된다.
차단 부재(100)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현상제의 잔류량은 전압이 현상 롤러(105b)에 가해질 때 현상 롤러(105b)와 차단 부재(100)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주 조립체(101)에 송신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19)의 주 조립체(10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는 현상 롤러로부터 멀리 위치한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으로 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현상제는 효율적으로 소비된다.
비록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상세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량의 목적 또는 후 속의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현상 장치, 현상 장치를 이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는 현상 장치를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감소되는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제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제 조절 부재가 현상 롤러에 마주하는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영역에 현상제가 도입됨이 방지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2)

  1.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에 있어서,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제가 현상제 롤러의 주연 표면 상에 반송되게 해주는 자력을 발생하도록 작용하는 자속 발생 부재를 내장하고 있는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 상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와,
    현상 롤러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절 부재의 자유단을 통과하고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과 현상 롤러와 현상제 조절 부재 사이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선에 평행한 선의 현상제 관련 부재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절 부재의 자유단을 통과하고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과 현상제 롤러와 현상제 조절 부재 사이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선에 평행한 선을 교차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절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현상제 조절 부재가,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 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이중 코팅 테이프, 접착 재료 및 나사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 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인 구역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의 외측 표면은,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에 의해 자속 밀도가 제공되는 구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 중 하나는 현상 롤러와 이 현상 롤러의 회전 이동 방향에서 현상제 관련 부재가 만나는 접촉부의 하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고, 현상제의 잔류량은 전압이 현상 롤러에 인가되었을 때 차단 부재와 현상 롤러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주 조립체에 송신함으로써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하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자속 발생 부재를 내장하고 있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그 주연 표면 상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 상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와,
    현상 롤러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절 부재의 자유단을 통과하고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과 현상 롤러와 현상제 조절 부재 사이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선에 평행한 선의 현상제 관련 부재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정 부재의 자유단을 통과하고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과 현상 롤러와 현상제 조절 부재 사이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선에 평행한 선을 교차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현상제 조절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1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현상제 조절 부재가,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금속판을 포함하고, 현상제 수용부의 내측 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이중 코팅 테이프, 접착 재료 및 나사에 의해현상제 수용부의 내측 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는,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에 의해 제공된 자속 밀도가 30 mT 이상인 구역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의 외측 표면은,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에 의해 자속 밀도가 제공되는 구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자속 발생 부재의 자극 중 하나는 현상 롤러와 이 현상 롤러의 회전 이동 방향에서 현상제 관련 부재가 만나는 접촉부의 하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1항, 제13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차단 부재가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고, 현상제의 잔류량은 전압이 현상 롤러에 인가되었을 때 차단 부재와 현상 롤러 사이에 제공된 정전 용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주 조립체에 송신함으로써 장치의 주 조립체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기능을 하고 자속 발생 부재를 내장하고 있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그 주연 표면 상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 상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와, 현상 롤러의 반대쪽에 있는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 부재를 구비한, 현상 장치와,
    기록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2.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자기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자속 발생 부재를 내장하고 있고 자속 텐더 레이팅 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그 주연 표면 상에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주연 표면 상에 반송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 조절 부재와, 현상 롤러의 반대쪽에 있는 현상제 조절 부재의 측면에 현상제가 도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 부재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기록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KR1020000062760A 1999-10-26 2000-10-25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100602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03860 1999-10-26
JP30386099 1999-10-26
JP2000-294834 2000-09-27
JP2000294834A JP3697150B2 (ja) 1999-10-26 2000-09-27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205A true KR20010060205A (ko) 2001-07-06

Family

ID=2656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760A KR20010060205A (ko) 1999-10-26 2000-10-25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6759B1 (ko)
EP (1) EP1096331B1 (ko)
JP (1) JP3697150B2 (ko)
KR (1) KR20010060205A (ko)
CN (1) CN1188753C (ko)
DE (1) DE6003556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2722A (ja) 2000-06-06 2002-02-28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50032246A1 (en) * 2002-11-14 2005-02-10 Mcmaster University Method of immobilizing membrane-associated molecules
JP4510493B2 (ja) * 2004-03-29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078071B2 (en) 2006-02-03 2011-1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8440A (en) 1977-03-04 1978-09-21 Ricoh Co Ltd Toner remainder detector
JPS5737380A (en) 1980-08-19 1982-03-01 Canon Inc Developing device
JPS59231563A (ja) 1983-06-14 1984-12-26 Canon Inc 現像剤薄層形成装置
JPS6095571A (ja) 1983-10-31 1985-05-28 Canon Inc 現像装置
US4780741A (en) * 1985-02-19 1988-10-25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oner layer
JP3869877B2 (ja) 1996-01-09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H10228168A (ja) 1997-02-17 1998-08-25 Canon Inc 現像装置
JPH11161010A (ja) 1997-12-01 1999-06-18 Canon Inc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563D1 (de) 2007-08-30
CN1188753C (zh) 2005-02-09
CN3308257A (ko)
JP2001194898A (ja) 2001-07-19
EP1096331A3 (en) 2002-06-05
EP1096331A2 (en) 2001-05-02
DE60035563T2 (de) 2008-04-17
EP1096331B1 (en) 2007-07-18
US6466759B1 (en) 2002-10-15
JP3697150B2 (ja)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472A (en) Developing apparatus using elastic blade
US9329523B2 (en) Developing apparatus
US4873551A (en) Developing apparatus using magnetic carrier under AC field
US6813462B2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unit
US617314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supplies image bearing member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s during development
US6038418A (en) Charging method and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member to be charged by a flexible charging member
US7945190B2 (en) Cleanerless image forming apparatus
US6038420A (en) Charging device, charg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33987A (ja) 画像形成装置
US6668147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process unit
EP0987603A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0060205A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6233419B1 (en) 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984333B1 (en)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n image bearing member
EP0984332B1 (en) Charging apparatus which stores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s in granule form
JP2006126878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5140373A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apparatus with bristle height adjusting member
JP3524398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3292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4895105A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pressure regulating member
JP20101284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14870A (ja) 画像形成装置
JP3193228B2 (ja) 粒子帯電法に用いる接触帯電用粒子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05107897A (ja) 現像装置
JP2005257815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30

Effective date: 200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