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1109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1109A
KR20010051109A KR1020000061370A KR20000061370A KR20010051109A KR 20010051109 A KR20010051109 A KR 20010051109A KR 1020000061370 A KR1020000061370 A KR 1020000061370A KR 20000061370 A KR20000061370 A KR 20000061370A KR 20010051109 A KR20010051109 A KR 2001005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ase
rocking member
operated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031B1 (ko
Inventor
하시모토히사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5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욱 콤팩트하게 하여 다기능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와, 스위치를 포함하는 소요의 전기부품이 설치된 회로기판(2)과, 이 회로기판(2)상에 배치되는 러버 콘택트(3)와, 이 러버 콘택트(3)상에 배치되는 캠부재(4)와, 상기 회로기판(2)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슬라이더(5)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노브(6)와, 이 제 1 노브(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 2 노브(7)와, 이 제 2 노브(7)에 고정되는 제 1 요동부재(8)와, 이 제 1 요동부재(8)가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요동부재(9)와, 상기 제 1노브(6)를 상기 케이스(1)에 부착하는 커버(10)로 스위치장치를 구성한다. 제 1 노브를 4방향으로 전환가능하게 구성함과 더불어, 제 2 노브를 3방향으로 전환가능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동심형상으로 배치된 2개의 노브에 의해 각각 복수개씩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쪽에 배치된 노브에 의해 조작되는스위치수의 증가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8-21287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체에 구비된 좌우의 전동리모트콘트롤 미러(이른바 펜더미러 또는 도어 미러)의 미러면을 상하좌우방향으로 경동시키는 스위치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공지예에 기재된 스위치장치는 안쪽에 배치된 노브를 중립위치로부터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차체의 왼쪽 및 오른쪽에 설치된 미러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바깥쪽에 배치된 노브를 중립위치로부터 상향, 하향, 우향 또는 좌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왼쪽 미러의 미러면을 상하방향으로 경동시키기 위한 모터, 왼쪽 미러의 미러면을 좌우방향으로 경동시키기 위한 모터, 오른쪽 미러의 미러면을 상하방향으로 경동시키기 위한 모터 또는 왼쪽의 미러면을 좌우방향으로 경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선택적으로 정전 또는 역전시켜 소망하는 미러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예의 스위치장치는 2개의 노브가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의 집약도가 높고, 콤팩트하게 하여 다기능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각 노브의 조작방향과 이에 의하여 조작되는 미러의 동작이 감각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이 양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차량에 탑재된 각종 장치의 더 한층의 자동화·전동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차량 탑재용의 스위치장치에는 더 한층의 콤팩트화와 다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지예에 관한 스위치장치는 안쪽에 배치된 노브에 의해 조작되는 2방향 스위치와, 바깥쪽에 배치된 노브에 의해 조작되는 4방향의 푸시조작형스위치장치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전동리모트 컨트롤 미러의 미러면 조정용 스위치장치로서 이용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의 펜더미러 또는 도어 미러의 미러면 조정밖에 행하게 할 수 없고, 더 한층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현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점은 더욱 콤팩트하게 되면서도 다기능인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 1 및 제 2의 요동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의 평면도,
도 3은 제 1 및 제 2 요동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의 저면도,
도 4는 제 1 노브의 저면도,
도 5는 제 1 노브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케이스를 절단하여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비조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C-C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케이스를 절단하여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비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2의 D-D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케이스를 절단하여 제 2 노브를 제 2 방향의 한쪽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D-D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케이스를 절단하여 제 2 노브를 제 2 방향의 다른쪽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제 2 노브를 제 1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 1 및 제 2 노브를 모두 제 2 방향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제 2 노브를 제 1 방향의 한쪽으로 조작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스토퍼의 기능을 나타내는 케이스의 저면도,
도 14는 제 2 노브를 제 1 방향의 다른쪽으로 조작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스토퍼의 기능을 나타내는 케이스의 저면도,
도 15는 제 2 노브를 제 2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스토퍼의 기능을 나타내는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회로기판
3 : 러버 콘택트 4 : 캠부재
5 : 슬라이더 6 : 제 1 노브
7 : 제 2 노브 8 : 제 1 요동부재
9 : 제 2 요동부재 10 : 커버
28 : 제 2 브리지부 29, 30 : 스토퍼
32a, 32b, 32c : 스위치 54 : 제 1 요동부재 부착부
64 : 제 1 구형체 지지부 68 : 스프링
69 : 구형체 71 : 제 1 구형체 지지부
72 : 제 2 구형체 지지부 74 : 제 1 브리지부
78 : 스프링 79 : 구형체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치장치를, 복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군과, 다른 복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군과,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군이 설치된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제 1 노브와, 이 제 1 노브의 중앙부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중 어느 하느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제 2 노브로 구성하고, 이 제 2 노브가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다방향으로 요동가능하며, 이 제 2 노브의 요동방향으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 공지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깥쪽에 배치된 제 1 노브에 의해 4개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확립되어 있다. 따라서 안쪽에 배치된 제 2 노브를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다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제 2 노브의 요동방향으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면, 1개의 스위치장치로 조작가능한 대상의 수량을 종래의 2개로부터 3개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장치의 콤팩트성을 유지하면서 더 한층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스위치장치를 차량 탑재 스위치로서 적용한 경우, 상기 공지예에 관한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차체의 좌우에 구비된 펜더미러 또는 도어 미러의 미러면 조정을 행하게 할 수 있는 외에, 후부 미러(자동차 뒤쪽의 사각부분을 보기 위한 미러)의 미러면 조정 또는 가도식(可倒式) 미러의 자세제어 등을 아울러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노브는 이 제 2 노브를 제 1 요동부재 및 제 2 요동부재를 개재하여 케이스에 요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제 1 요동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3 방향 이상의 다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노브를 직교하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데 필요한 부재, 즉 제 1 요동부재 및 제 2 요동부재를 한 개소에 집약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의 콤팩트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2 노브에 제 1 요동부재와 제 2 요동부재를 일체로 조립한 후에 상기 조립체의 케이스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스위치장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의 양호한 조립성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 1 노브의 중앙부에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과 걸어맞춤 가능한 원형의 통과구멍을 뚫어설치하고, 상기 제 1 노브가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으로 안내되어 다방향으로 요동한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노브의 안내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위치장치의 콤팩트화를 저해하는 일 없이 스위치장치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노브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이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 1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고, 상기 제 2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 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회로기판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위치중 1개만을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스위치가 조작되어 원하지 않는 전동장치가 오조작된다는 단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예의 스위치장치는 주로 이하에 나타내는 각 부재를 수납 또는 부착하는 케이스(1)와, 적어도 스위치를 포함하는 소요의 전기부품이 설치된 회로기판(2)과, 이 회로기판(2)상에 배치되는 러버 콘택트(3)와, 이 러버 콘택트(3)상에 배치되는 캠부재(4)와, 상기 회로기판(2)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는 3개의 슬라이더(5a, 5b, 5c)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노브(6)와, 이 제 1 노브(6)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 2 노브(7)와, 이 제 2 노브(7)에 고정되는 제 1 요동부재(8)와, 이 제 1 요동부재(8)가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2 요동부재(9)와, 상기 제 1 노브(6)를 상기 케이스(1)에 부착하는 커버(1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는 도 1,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11)를 개재하여 그 위쪽에 제 1 및 제 2 노브(6, 7)를 수납하기 위한 노브수납부 (1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를 개재하여 그 아래쪽에 회로기판(2) 및 러버 콘택트(3)를 수납하기 위한 기판수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수납부(12)는 상기 베이스(11)와 이 베이스(11)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평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의 프레임체(14)를 가지고 구성되고, 기판수납부(13)는 상기 베이스(11)와 이 베이스(1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드리워진 평면형상이 대략 사각형인 프레임체(15)를 가지고 구성된다. 노브수납부(12)를 구성하는 프레임체(14)의 외면에는 커버(10)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2개를 한 쌍으로 하는 돌출조(17)와, 커버(10)를 스냅결합하기 위한 걸어멈춤포올(18)이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케이스(1)의 하면에는 회로기판(2)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돌기(19)와, 회로기판(2)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부착 보스(2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11)의 중앙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요동부재(8, 9)를 관통·유지하기 위한 각진 형의 요동부재 관통구멍(21)이 뚫어설치되고, 이 요동부재 관통구멍(21)의 각 변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4개의 광투과구멍 (22a, 22b, 22c, 22d)의 각각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4개의 광투과구멍 (22a 내지 22c)중, 3개의 관투과구멍(22a, 22b, 22c)의 근방에는 슬라이더(5a, 5b, 5c)의 각각을 관통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관통구멍(23a, 23b, 23c)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4 구석에는 캠부재(4)에 구비된 각 캠을 관통시키기 위한 4개의 캠 관통구멍(24a, 24b, 24c, 24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부재 관통구멍(21)이 서로 대향하는 2 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25)이 서로 대향하여 기립되고, 상기 설편(25)의 내면에는 제 2 요동부재(9)를 요동자유롭게 축지지하기 위한 핀(2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부재 관통구멍(21)의 상기 베이스(11)보다도 아래쪽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요동부재(9)에 조작시의 클릭감을 부여하기 위한 단 돌출홈(27)을 가지는 제 2 브리지부(28)와, 제 1 요동부재(8) 및 제 2 요동부재의 부정한 요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29, 30)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9, 30)는 각각 인접하는 스토퍼면(29a, 29b 및 30a, 30b)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기판(2)에는 도시 생략한 소요의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캠 관통구멍(24a, 24b, 24c, 21d)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1 노브(6)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 1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4개의 고정접점(31a, 31b, 31c, 31d)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슬라이더 관통구멍(23a, 23b, 23c)과 대응한는 위치에는 제 2 노브 (7)에 의해 조작되는 제 2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3개의 스위치(32a, 32b, 32c)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각 광투과구멍(22a 내지 22d)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4개의 발광다이오드(33a, 33b, 33c, 33d)가 배치된다.
러버 콘택트(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무형상 탄성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2)에 형성된 각 고정접점 (31a 내지 31d)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4개의 원추형 볼록부(34a, 34b, 34c, 34d)가 형성되고, 이들 각 볼록부(34a 내지 34d)의 내면 정점부에는 상기 고정접점(31a 내지 31d)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가동접점(35a, 35b, 35c, 35d)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러버 콘택트(3)의 상기 회로기판(2)에 설치된 스위치(32a, 32b, 32c) 및 발광다이오드(33a, 33b, 33c, 33d)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들 전기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각진 형의 4개의 오목부(36a, 36b, 36c, 36d)가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剛性)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4개의 캠(41a, 41b, 41c, 41d)의 하단부를 유연성의 연결부재(42)로 연결한 것으로 각 캠(41a 내지 41d)은 상기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캠 관통구멍(24a 내지 24d)에 삽입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각 캠 관통구멍(24a 내지 24d)과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4개의 캠(41a 내지 41d)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2)는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5a, 5b, 5c)는 강성의 수지재료나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슬라이더 관통구멍(23a, 23b, 23c)에 삽입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노브(6)는 주변부에 플랜지부(43)를 가지는 얕은 접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43)로부터 얕은 접시형상으로 만곡형성된 돌출부(44)의 중앙부에는 제 2 노브(7)를 외부를 면하게 하기 위한 원형의 통과구멍(45)이 뚫어설치되어 있고, 이 통과구멍(45)의 주위에는 상기 제 1 노브(6)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광투과성 마크(46a, 46b, 46c, 46d)가 90도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1 노브(6)의 이면측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4)의 4 구석부에 캠(41a 내지 41d)을 가압하기 위한 돌기(47a, 47b, 47c, 47d)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노브(7)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면부(51)와 이 구면부(51)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된 손잡이부(52)와, 상기 구면부 (5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형상으로 내밀은 플랜지부(53)와, 상기 구면부(51)의 내면 중앙부에 형성된 제 1 요동부재(8)를 고착하기 위한 제 1 요동부재 부착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요동부재 부착부(54)는 각진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 중앙부에 제 1 요동부재(8)의 한쪽 끝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요동부재 부착구멍(55)이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측면부에는 제 1 요동부재(8)에 설치된 스냅결합용 걸어멈춤포올을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멈춤구멍 (56)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다른쪽의 측면부에는 제 1 요동부재(8)에 설치된 리브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57)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요동부재(8)는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측면부에 걸어멈춤포올(61)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다른쪽의 측면부에 리브(62)가 형성된 각진 기둥형상의 노브부착부(63)와, 이것보다도 폭이 큰 각진 기둥형상의 제 1 구형체지지부(64)와, 이들 노브부착부(63) 및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사이에 설치된 플랜지부(65)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상단부에는 제 1 요동부재(8)를 제 2 요동부재 (9)에 요동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핀(66)이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하단부에는 슬릿(67)이 형성되고, 이 슬릿(67)내에는 스프링(68)과 이 스프링(68)에 의해 항상 바깥쪽으로 가세되는 구형체(69)가 구비되어 있다.
제 2 요동부재(9)는 상기 케이스(1)에 뚫어설치된 요동부재 관통구멍(21)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프레임형을 가지는 제 1 구형체지지부(71)와, 제 2 구형체지지부(72)와, 상기 제 1 요동부재(8)에 조작시의 클릭감을 부여하기 위한 오목홈(73)을 가지는 제 1 브리지부(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구형체지지부(71)가 서로 대향하는 2 변, 즉 제 2 요동부재(9)를 상기 제 1 구형체지지부(71)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구형체지지부(72) 및 제 1 브리지부(74)를 개재하여 그 양측에 배치되는 2 변에는 상기 제 1 요동부재(8)에 형성된 핀(66)을 삽입하기 위한 축 구멍(75)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구형체지지부(71)가 서로 대향하는 다른 2 변에는 상기 케이스(1)의 설편(25)에 돌출 설치된 핀(26)을 삽입하기 위한 축 구멍(76)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형체지지부(72)의 하단부에 형성된 슬릿(77)내에는 스프링(78)과 이 스프링(78)에 의해 항상 바깥쪽으로 가세되는 구형체(79)가 수납되어 있다.
커버(10)는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된 프레임체(14)상에 얹어놓기 가능한 외형크기를 가지고, 또한 중앙부에 상기 제 1 노브(8)에 형성된 돌출부(44)를 삽입가능한 통과구멍이 뚫어설치된 프레임부(81)와, 이 프레임부(81)의 주변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4개의 설편(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편(82)에는 상기 커버(1)의 프레임체(14)에 형성된 걸어멈춤포올(18)을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84)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를 상하역전하여 기판수납부(13)측으로부터 케이스(1)의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슬라이더 관통구멍(23a, 23b, 23c)에 슬라이더(5a, 5b, 5c)를 개별로 삽입함과 더불어, 동일하게 케이스(1)의 베이스(11)에 뚫어설치된 캠 관통구멍(24a, 24b, 24c, 24d)에 캠 부재(4)에 구비된 4개의 캠(41a, 41b, 41c, 41d)을 개별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회로기판(2)의 스위치 설정면에 러버 콘택트(3)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러버 콘택트(3)가 고정된 회로기판(2)을 케이스(1)의 기판수납부(13)내에 수납하여 케이스(1)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19)를 러버 콘택트(3)에 뚫어설치된 돌기삽입구멍(3a)을 통하여 회로기판(2)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2a)에 걸어맞춤과 더불어, 케이스(1)에 형성된 나사구멍부착 보스(20)를 러버 콘택트(3)에 뚫어설치된 보스삽입구멍(3b)을 통하여 회로기판(2)의 표면에 맞닿게 하고, 그후에 회로기판(2)에 뚫어설치된 나사 삽입구멍(2b)으로부터 삽입된 나사를 보스 (20)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케이스(1)에 회로기판(2)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 2 노브(7)에 형성된 요동부재 부착구멍(55)에 제 1 요동부재(8)의 노브부착부(63)를 끼워넣고, 제 2 노브(7)에 형성된 걸어멈춤구멍(56)에 제 1 요동부재(8)의 노브부착부(63)에 형성된 걸어멈춤포올(61)을 걸어맞추어 이들 제 2 노브(7)와 제 1 요동부재(8)를 일체화한다. 이어서 제 2 노브(7)가 부착된 제 1 요동부재(8)를 제 2 요동부재(9)의 제 1 구형체지지부(71)에 삽입하고, 이 제 1 구형체지지부(71)에 형성된 축구멍(75)에 제 1 요동부재(8)에 형성된 핀(66)을 걸어맞추어 이들 제 2 노브(7)와 제 1 요동부재(8)와 제 2 요동부재(9)를 일체화한다. 이 때 제 1 요동부재(8)의 선단부에 설정된 구형체(69)가 제 2 요동부재(9)에 형성된 제 1 브리지부(74)의 오목홈(73)에 탄성접촉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제 1 절도기구가 구성되고, 제 2 노브(7)를 핀(66)을 중심으로하여 조작하고, 제 2 요동부재 (9)에 대하여 제 1 요동부재(8)를 요동시켰을 때 구형체(69)가 오목홈(73)을 타고 넘음으로써 제 2 노브(7)의 조작력에 변동이 생기고, 이 조작력의 변동을 유저에게 클릭감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노브(7) 및 제 1 요동부재(8)가 일체화된 제 2 요동부재(9)를 케이스(1)에 형성된 요동부재 관통구멍(21)에 삽입하고, 상기 제 2 요동부재(9)의 제 1 구형체지지부(71)에 설치된 축구멍(76)에 케이스(1)의 설편(25)에 돌출 설치된 핀(26)을 걸어맞추어 이들 케이스(1)와 제 2 노브(7)와 제 1 요동부재(8)와 제 2 요동부재(9)를 일체화한다. 이 때 제 2 요동부재(9)의 선단부에 설정된 구형체 (79)가 케이스(1)에 형성된 제 2 브리지부(28)의 오목홈(27)에 탄성접촉하기때문에 이에 의하여 제 2 절도기구가 구성되고, 제 2 노브(7)를 핀(26)을 중심으로하여 조작하고, 케이스(1)에 대하여 제 2 요동부재(9)를 요동시켰을 때, 구형체(79)가 오목홈(27)을 타고 넘음으로써 제 2 노브(7)의 조작력에 변동이 생기고, 이 조작력의 변동을 유저에게 클릭감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또 제 2 요동부재(9)에 설치된 축구멍(76)에 케이스(1)에 돌출 설치된 핀(26)을 걸어맞추었을 때, 제 2 요동부재(9)에 제 1 요동부재(8)를 거쳐 일체로 설치된 제 2 노브(7)의 하면이 케이스(1)의 슬라이더 관통구멍(23a, 23b, 23c)에 삽입된 슬라이더(5a, 5b, 5c)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접근하고, 제 2 노브(7)에 의한 스위치(32a, 32b, 32c)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케이스(1)의 노브수납부(12)에 제 1 노브(6)를 삽입하고, 이 제 1 노브(6)의 중심부에 뚫어설치된 통과구멍(45)으로부터 제 2 노브(7)의 구면부 (51)를 외부에 면하게 한 후, 케이스(1)에 형성된 프레임체(14)의 위쪽으로부터 커버(10)를 고정하고, 프레임체(14)의 외면에 형성된 걸어멈춤포올(18)을 커버(10)의 설편(82)에 뚫어설치된 걸어맞춤구멍(84)에 걸어맞추고, 이들 케이스(1)와 제 1 노브(6)와 커버(10)를 일체화한다. 이에 의해 제 1 노브(6)의 탈락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노브(6)의 하면이 케이스(1)의 캠 관통구멍(24a, 24b, 24c, 24d)에삽입된 캠(41a, 41b, 41c, 41d)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접근하고, 제 1 노브(6)의 조작에 의한 고정접점(31a, 31b, 31c, 31d)과 가동접점(35a, 35b, 35c, 35d)의 도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노브(6, 7)가 조작되기 이전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요동부재(8)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형체(69)가 제 2 요동부재 (9)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홈(73)의 한쪽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요동부재(9)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형체(79)가 케이스(1)의 제 2 브리지부(28)에 형성된 3개의 오목홈(27)의 중앙의 오목홈에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요동부재(8, 9)가 케이스(1)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제 2 노브(7)의 플랜지부(53) 및 제 1 노브(6)가 케이스(1)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3개의 스위치(32a, 32b, 32c)는 모두 오프상태에 있고, 4쌍의 접점(31a와 35a, 31b와 35b, 31c와 35c, 31d와 35d)도 비도통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으로 조작하면 제 2 요동부재(9)가 케이스(1)에 대하여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으로 경동하고, 제 2 요동부재(9)의 선단부에 설정된 구형체(79)가 제 2 케이스(1)에 형성된 오목홈(27)의 오른쪽으로 빠져 이 상태로 유지된다. 구형체(79)가 오목홈(27)의 중심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빠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노브(7)의 조작력에 변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유저는 이 조작력의 변동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어 제 2 노브(7)를 소정의 변환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요동부재(8)가 케이스(1)에 대하여 왼쪽으로 경동하면 제 2 노브(7)에 설치된 플랜지부(53)의 왼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하여 슬라이더(5a)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32a)가 온상태로 전환되고, 예를 들어 자동차 차체의 왼쪽에 설치된 펜더미러 또는 도어미러의 미러면이 조정가능하게 된다.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왼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왼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a, 41b)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오목부(34a, 34b)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오목부(34a, 34b)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a)과 가동접점(35a) 및 고정접점(31b)과 가동접점(35b)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왼쪽의 펜더미러 또는 도어미러의 미러면이 왼쪽으로 경동된다. 또한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케이스(1)에 설치된 스토퍼(30)의 스토퍼면(39a)에 접근하기때문에 이 상태로부터 제 2 노브(7)를 앞쪽으로 조작하여도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스토퍼면(30a)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요동부재(8)가 요동하지 않고, 스위치(32c)의 온조작이 저지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미러를 오조작한다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오른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오른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c,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왼쪽 미러의 미러면이 오른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또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상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상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a, 41c)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a)과 가동 접점(35a) 및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왼쪽 미러의 미러면이 위쪽으로 경동된다 (도시 생략).
또한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하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하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b,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b)과 가동접점(35b)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왼쪽 미러의 미러면이 아래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하면 제 2 요동부재(9)가 케이스(1)에 대하여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방향으로 경동하고, 제 2 요동부재(9)의 선단부에 설정된 구형체(79)가 케이스 (1)에 형성된 오목홈(27)의 왼쪽으로 빠져 이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에도 유저는 구형체(79)가 오목홈(27)의 중심위치로부터 왼쪽으로 빠지는 과정에서 생기는 조작력의 변동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어 제 2 노브(7)를 소정의 변환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케이스(1)에 설치된 스토퍼(29)의 스토퍼면(29a)과 접근하기 때문에 이 상태로부터 제 2 노브(7)를 앞쪽으로 조작하여도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스토퍼(29)의 스토퍼면 (29a)에 접촉하여 제 1 요동부재(8)가 요동하지 않고, 스위치(32c)의 온조작이 저지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미러를 오조작한다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요동부재(9)가 케이스(1)에 대하여 오른쪽방향으로 경동하면 제 2 노브 (7)에 설치된 플랜지부(53)의 오른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디고 슬라이더 (5b)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32b)가 온상태로 전환되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의 오른쪽에 설치된 펜더미러 또는 도어미러의 미러면이 조정가능하게 된다.
제 2 노브(7)를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왼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왼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하여 캠(41a, 41b)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b)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서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b)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 (31a)과 가동접점(35a) 및 고정접점(31b)과 가동접점(35b)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오른쪽 미러의 미러면이 왼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마찬가지로 제 2 노브(7)를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오른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고,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오른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c,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오른쪽 미러의 미러면이 오른쪽방향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또 제 2 노브(7)를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상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상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a, 41c)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a)과 가동접점(35a) 및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오른쪽 미러의 미러면이 위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또한 제 2 노브(7)를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하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하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b,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 (31b)과 가동접점(35b)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오른쪽 미러의 미러면이 아래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제 2의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조작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요동부재(8)가 제 2 요동부재(9)에 대하여 핀(66)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경동하여 제 1 요동부재(8)의 선단부에 설정된 구형체(69)가 제 2 요동부재 (9)의 제 1 브리지부(74)에 형성된 단 돌출홈(73)의 뒤쪽으로 빠져 이 상태로 유지된다. 구형체(69)가 단 돌출홈(73)의 중심위치로부터 뒤쪽으로 빠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노브(7)의 조작력에 변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유저는 이 조작력의 변동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어 제 2 노브(7)를 소정의 변환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조작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요동부재(8)의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케이스(1)에 설치된 한 쌍의 스토퍼(29, 30)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 상태로부터 제 2 노브(7)를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으로 조작하여도 제 1 요동부재(8)의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선단이 스토퍼(29)의 스토퍼면(29b) 또는 스토퍼(30)의 스토퍼면(30b)에 접촉하여 제 2 요동부재(9)가 요동하지 않아 스위치 (32b, 32c)의 온조작이 저지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미러를 오조작한다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요동부재(8)가 제 2 요동부재(9)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동하면 제 2 노브(7)에 설치된 플랜지부(53)의 앞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슬라이더 (5c)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32c)가 온상태로 전환되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후부에 설치된 후부미러의 미러면이 조정가능하게 된다.
제 2 노브(7)를 앞쪽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왼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상기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왼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a, 41b)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b)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b)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a)과 가동접점(35a) 및 고정접점(31b)과 가동접점(35b)이 선택적으로 도통형상으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후부미러의 미러면이 왼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마찬가지로, 제 2 노브(9)를 앞쪽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오른쪽 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고, 이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오른쪽 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c,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c,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후부미러의 미러면이 오른쪽방향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또 제 2 노브(7)를 앞쪽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상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고, 이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상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a, 41c)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a, 34c)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a)과 가동접점 (35a) 및 고정접점(31c)과 가동접점(35c)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정전되어, 룸미러의 미러면이 위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또한 제 2 노브(7)를 앞쪽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 1 노브(6)의 하변부를 가압하면 제 1 노브(6)가 제 2 노브(7)의 구면부(51)로 안내되어 경동하여 이 제 1 노브(6)의 플랜지부(43)의 하변부가 수평위치보다도 하강되고 캠(41b, 41d)을 거쳐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하여 러버 콘택트(3)의 볼록부(34b, 34d)가 국부적으로 탄성변형하여 고정접점(31b)과 가동접점 (35b) 및 고정접점(31d)과 가동접점(35d)이 선택적으로 도통상태로 전환되고, 도시 생략한 모터가 예를 들어 역전되어 룸미러의 미러면이 아래쪽으로 경동된다(도시 생략).
제 2 노브(7)는 공보에 조작하고자 하여도 제 1 요동부재(8)의 제 1 구형체지지부(64)의 측면이 제 2 요동부재(9)의 제 1 구형체지지부(71)의 내벽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뒤쪽으로는 조작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왼쪽방향, 오른쪽방향 및 앞쪽방향의 3방향으로만 조작할 수 있게 하였으나, 제 2 요동부재(9)에 형성되는 제 1 브리지부(74)를 더욱 폭이 넓게 형성함으로써, 제 2 노브(7)를 중립위치로부터 왼쪽방향, 오른쪽방향, 앞쪽방향 및 뒤쪽방향의 4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제 1 노브(6)를 중립위치로부터 왼쪽방향, 오른쪽방향, 앞쪽방향 및 뒤쪽방향의 4방향으로 조작가능하게 하였으나, 어느것인가 2방향 또는 3방향으로만 조작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를 펜더미러 또는 도어미러 및 룸미러의 조정용 스위치로서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적용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임의의 대상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스위치장치에 제 1 스위치군을 조작하는 제 1 노브와 제 2 스위치군을 조작하는 제 2 노브를 구비하고, 제 2 노브에 의해 3개이상의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1개의 스위치장치로 조작가능한 대상의 수량을 종래의 2개로부터 3개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콤팩트성을 유지하면서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장치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노브의 상면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 1 노브의 중앙부에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과 걸어맞춤 가능한 원형의 통과구멍을 뚫어설치하고, 상기 제 1 노브가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으로 안내되어 다방향으로 요동한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 1 노브의 안내부재를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스위치장치의 콤팩트화 및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노브를 제 1 요동부재 및 제 2 요동부재를 거쳐 상기 케이스에 요동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상기 제 1 요동부재를 상기 제 2 요동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 1 절도기구를 거쳐 제 1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 2 절도기구를 거쳐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제 2 노브를 직교하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데 필요한 부재, 즉 제 1 요동부재, 제 2 요동부재, 제 1 절도기구 및 제 2 절도기구를 1곳에 집약하여 배치할 수 있어 스위치장치의 구성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제 2 노브에 이들 부재를 일체로 조립한 후에 이 조립체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스위치장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장치의 양호한 조립성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케이스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제 1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여 상기 제 2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스위치의 오조작이 방지되어 스위치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Claims (4)

  1. 복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군과,
    다른 복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군과,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군이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제 1 노브와,
    상기 제 1 노브의 중앙부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2 스위치군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제 2 노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노브가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다방향으로 요동가능하고, 이 제 2 노브의 요동방향으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을 구면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 1 노브의 중앙부에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과 걸어맞춤 가능한 원형의 통과구멍을 뚫어설치하고, 상기 제 1 노브가 상기 제 2 노브의 상면으로 안내되어 다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브는 제 1 요동부재에 고정되고, 이 제 1 요동부재는 제 2 요동부재에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제 2 요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1 요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제 1 방향으로 요동하고, 상기 제 2 요동부재는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이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 1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고, 상기 제 2 요동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요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0-0061370A 1999-10-19 2000-10-18 스위치장치 KR100382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07399A JP3880756B2 (ja) 1999-10-19 1999-10-19 スイッチ装置
JP11-297073 1999-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109A true KR20010051109A (ko) 2001-06-25
KR100382031B1 KR100382031B1 (ko) 2003-04-26

Family

ID=1784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370A KR100382031B1 (ko) 1999-10-19 2000-10-18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80756B2 (ko)
KR (1) KR1003820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65B1 (ko) * 2010-12-28 2012-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200465490Y1 (ko) * 2011-11-24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588770B1 (ko) * 2014-10-17 2016-01-2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리모콘 스위치
KR20180001705U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7741B2 (ja) 2003-12-24 2009-08-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4方向スイッチ装置
JP2007173098A (ja) 2005-12-22 2007-07-05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イッチ装置
WO2019160513A2 (en) * 2018-02-15 2019-08-22 Makersan Makina Otomotiv Sanayi Ticaret Anonim Sirketi A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826A (ja) * 1988-10-13 1990-04-16 Nissan Motor Co Ltd 2重スイッチノブ構造
JPH05205578A (ja) * 1992-01-29 1993-08-13 Sony Corp 遠隔操作装置
JP2942098B2 (ja) * 1993-06-23 1999-08-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H08287778A (ja) * 1995-04-11 1996-11-01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ノブスイッチ
JPH1196853A (ja) * 1997-09-24 1999-04-09 Harness Syst Tech Res Ltd 多機能制御パネル及び制御装置
KR19990028012U (ko) * 1997-12-24 1999-07-15 김영환 셀렉트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65B1 (ko) * 2010-12-28 2012-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200465490Y1 (ko) * 2011-11-24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588770B1 (ko) * 2014-10-17 2016-01-2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리모콘 스위치
KR20180001705U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2031B1 (ko) 2003-04-26
JP3880756B2 (ja) 2007-02-14
JP2001118468A (ja) 200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1719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US6884948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7214894B1 (en) Switching apparatus
JP48828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20070062788A1 (en) Switching apparatus
KR100382031B1 (ko) 스위치장치
JP2004171851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0305420B1 (ko) 다방향제어기및이에사용되는다방향제어장치
JP201716830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6286331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628633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6286328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6012695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405539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WO2019187343A1 (ja) スイッチ装置
JP2000228133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3445730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931532B2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67390B2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819677B2 (ja) 入力装置
JP4013442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2002170462A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H0747774Y2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