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142A -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 - Google Patents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142A
KR20010042142A KR1020007010547A KR20007010547A KR20010042142A KR 20010042142 A KR20010042142 A KR 20010042142A KR 1020007010547 A KR1020007010547 A KR 1020007010547A KR 20007010547 A KR20007010547 A KR 20007010547A KR 20010042142 A KR20010042142 A KR 2001004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door
latch
rotatab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오트르 차블레브스키
Original Assignee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페슐레거
Publication of KR2001004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3Vehicle door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캐치(11)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가 닫혀 있을 때 고정형 잠금 부재(10)는 상기 회전형 캐치(11) 안으로 이동하고 이 때 상기 회전형 캐치(11)를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또는 주 잠금 위치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래치에 의해 고정된다. 이용의 편리성을 높이고 자리를 적게 차지하는 도어록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같은 구동 전동기가 잠금 보조 장치 및 개방 보조 장치로서 이용된다. 2개의 다른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전달 요소(35)가 기어 어셈블리(31, 37)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전동기(30)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 에너지는 상기 회전형 캐치에 전달되고 다른 위치에서 상기 로킹 래치(20)로 이어지는 제 2 의 출력 경로에 전달된다.

Description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DOOR LOCK WITH ROLLER CATCH,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상기 회전형 캐치는 예비 잠금부 외에 래치가 걸리는 주 잠금부를 갖고 있다. 개방된 도어를 닫을 때 종종 갭이 개방된 상태로 남는데, 왜냐하면 상기 래치가 상기 회전형 캐치의 예비 잠금부 안에만 도달하기 때문이다. 그런 경우, 상기 회전형 캐치는 이의 예비 잠금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된다. 상기 갭을 닫기 위해, 상기 회전형 캐치에 결합되는 전동식 잠금 보조 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잠금 보조 장치는 상기 래치가 상기 주 잠금부 안에 걸리는 최종 위치로 상기 회전형 캐치를 이동시키는 과제를 갖는다. 상기 최종 위치는 하기에서는 "주 잠금 위치"라 한다. 그 때 상기 도어갭이 닫힌다.
종래의 도어록(DE 195 33 196 A1)의 경우에 2개의 기어에 의해 2개의 구동 전동기가 회전가능한, 상기 래치가 위치하는 카루셀(carrousel)형 지지부와 함께 동작한다. 그 하나의 전동기는 잠금 보조 장치로서 이용되고 그 다른 전동기는 개방 보조 장치로서 이용된다. 닫을 때 상기 래치는, 잠금 부재의 진입을 통해 상기 회전형 캐치가 상기 래치와 관련하여 최종적인 주 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예비 잠금-중단 레버에 의해 프레스되고 그 결과 상기 래치는 상기 회전형 캐치의 주 잠금부 안에 걸리게 된다. 그 후에 비로소 상기 구동 전동기는 동작하게 되고 상기 래치가 있는 카루셀형 지지부를 회전시키므로, 상기 래치는 상기 회전형 캐치를 상기 주 잠금 위치를 지나 회전 종료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기어에 의해 함께 움직이는 래치가 제공되고, 상기 회전형 캐치는 상기 래치가 걸린 후에 상기 주 잠금부로 계속 움직인다. 상기 구동 전동기는 아직 스위칭 오프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전동기와 상기 회전형 캐치 사이의 기어 체인의 풀림에 작용하지도 않는다.
상기 종래의 도어록은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 앞서 언급한 도어갭을 닫을 때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갭 안으로 들어가는 장애물로 인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상기 회전형 캐치의 계속적인 운동을 즉시 중단시키고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기어 압력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상기 회전형 캐치가 그의 개방 위치에 있지만 상기 도어가 상기 경로 위에서 닫히면, 도 1c의 절단선 Ia - Ia의 방향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록(lock)의 하측 부재의 평면도,
도 1b 는 도 1c의 화살표 Ib의 방향으로 볼 때 록의 평면도,
도 1c 는 상기 록의 측면도,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함께 도시되지 않았으며,
도 1d 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록의 중요 부품의 사시도,
도 2a-2c 는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회전형 캐치를 동반 이동시키며 그것을 그의 예비 잠금 위치로 움직이게 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 운동의 그 다음 단계에 있는 도 1a 내지 도 1c에 유사한, 상기 록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a-3c 는 상기 회전형 캐치가 전동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보조 방치에 의해 즉시 주 잠금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잠금 보조 장치가 여전히 스위치 온되어 있는 상기 도어의 운동 단계에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4c 는 상기 회전형 캐치가 도 3a 내지 도 3c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주 잠금 위치에 있지만, 상기 잠금 보조 장치가 스위칭 오프되어 있는 상기 록의 동일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a-5c 는 개방 보조 장치가 동작하였고 상기 회전형 캐치가 다시 도 1a 내지 도 1c로부터 파악되는 개방 위치로 역운동한 후의 본 발명에 따른 록의 상기 도면,
도 6a-6c 는 상기 도어의 각각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게 하는 2개의 제어 수단과 함께, 여기서는 도어록의 변형예의 단지 3개의 중요 부재들,
도 7a-7c 는 도 6a 내지 도 6c에 상응한 상기 제어 수단의 변형예,
도 8a-8c 는 각각의 도어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도 6a 내지 도 6c 또는 도 7a 내지 도 7c의 제어 수단에 속하는 제어 로직의 동작에 대한 4개의 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의 편리성을 개선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은 소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 1 항의 전제부에 언급한 종류의 신뢰성있는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 1 항의 특징부에서 언급되는 조치를 통해 달성되며, 이는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동일한 구동 전동기가 상기 잠금 보조 장치에도 그리고 상기 개방 보조 장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전환 조정될 수 있는 상기 기어 안에 전달 부재를 배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구동 전동기로부터 나오는 구동 에너지는 공동의 경로에서 상기 전달 부재에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상기 전달 부재 뒤에서는 상기 구동 에너지는 분리된 2개의 출력 경로 중 어느 하나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된다. 그 하나의 출력 경로는 폐쇄 보조 장치에 속하며 그 다른 출력 경로는 개방 보조 장치에 속하게 된다. 상기 양 출력 경로 중 어느 것에 상기 구동 에너지가 도달하는지는 상기 전달 부재의 스위칭 위치에만 의존적이다. 그런 점에서 상기 구성 비용은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 전달 부재의 전환 조정을 위해 제 2 항에 언급한 조치를 이용할 것을 추천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달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 전동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에너지가 상기 회전형 캐치에 도달하지 않는 스위칭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일반적인 경우는 상기 회전형 캐치의 일정한 한계각 위치까지는 상기 회전형 캐치의 개방 위치에 있거나 최종적인 주 잠금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한계각 위치는 예를 들어 상기 회전형 캐치의 예비 잠금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상기 회전형 캐치의 한계각 위치에 도달하면 비로소, 상기 전달 부재를 전환 조정하는 스위칭 장치가 작동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전달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구동 전동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에너지가 상기 회전형 캐치에 작용하여 그것을 당기는 다른 위치로 상기 전달 부재를 가져간다.
장애 발생 시에는, 상기 스위칭 장치에 작용하는 제어 펄스만이 스위칭 오프될 필요가 있다. 그런 경우, 상기 당김 단계를 간단하게 중단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전달 부재를 릴리즈시키며 그의 탄성력 때문에 다시 다른 스위칭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회전형 캐치와 연결된 채로 있는 나머지 기어는 자유롭기 때문에, 상기 회전형 캐치는 더 이상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이 이완된다. 심지어는 탄성의 도어 패킹의 작용을 통해 상기 도어록이 역운동을 한다. 상기 당김 단계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전환 조정한 후에, 사실 운동하는 구동 전동기와 상기 전달 부재 앞에 위치하여 함께 운동하는 구동 부재가 상기 관성력 원리에 따라 동작할 수 이지만, 상기 부재들(masses)의 운동 에너지는 상기 회전형 캐치에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형 캐치는 즉시 서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역회전된다.
제 15 항 및 그를 인용하는 종속항인 제 16 항 내지 제 19 항은 본 발명에서 독립적으로 중요성을 가지며, 이것은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도어록은 당김 보조 장치 및/또는 개방 보조 장치에 독립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물론 개별적인 경우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도어록에 적용도 가능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5 항에 따른 도어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내부 조명처럼, 자동차에서 또 다른 기능을 릴리즈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각각의 위치를 분명하게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도어의 정확한 위치 검출을 위해 지금까지는 매우 작은 허용오차 내에 있는 센서를 배치하여야 했다. 그 외에도 정확하게 작용하는 센서에 맞는 이용이 중요하다. 결국에, 상기 센서의 높은 감도가 그 내구 연한 동안 변해서는 않된다. 이와 같은 높은 조건을 가지는 센서의 제조는 어려우면서도 비싸다. 그 외에도 상기 종래의 센서는 정확하게 장착되어야 했으며, 이는 원가가 비싸다. 본 발명은 제 15 항 내지 제 19 항에 제공된 특별한 제어 수단을 통해 상기 단점을 회피하게 된다. 이 때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양 센서로부터 오는 개별 신호를 공동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먼저 상기 회전형 캐치와 관련하여 또는 상기 래치와 관련하여 상기 센서의 정확한 배치가 중요하지는 않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의 장착은 더 용이하며, 더 빠르며 더 저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부정확하게 작용하는 센서의 이용도 가능한데, 왜냐하면 상기 신호의 합산적 평가 때문에도 각각의 도어 위치가 매우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 상기 양 센서의 감도가 시간의 경과로 악화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이 경우에도 합산적으로 작용하는 제어 로직을 통해 상기 시점이 매우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 및 장점은 상기 청구항,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도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의 구성은 도 1a 내지 도 1d를 이용해 상술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상기 힘 화살표(12)로 표시되는 복원력을 받는 회전형 캐치(11)는 상기 도어록에 속한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여기에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에 있는 베어링 핀(15)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여기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도어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어 대신에 플랩, 예를 들어 리어 플랩(rear flap)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여기에서 활 형상 잠금 부재(10)를 위한 슬롯 형상 리셉터클(14)을 갖는다. 도 1a의 10'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회전형 캐치(11)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상기 회전형 캐치는 이의 스프링 하중(12)에 의해 도 1a에서 파악될 수 있는 개방 위치에 있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회전 정지부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리셉터클(14)에 외부로부터 접근이 가능하다. 상기 잠금 부재(10)는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의 포스트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잠금 부재(10)는 상기 도어에도 배열될 수 있고, 그와 같은 경우에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하우징은 상기 포스트에 고정 배치된다.
도 1a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릴리즈 위치(10')로부터 시작하여, 도어를 닫을 때에 상기 잠금 부재(10)는 상기 리셉터클(14) 안으로 들어가고 그 결과 상기 회전형 캐치(11)를, 그의 복원력(12)에 반하여, 회전 화살표(15)의 방향으로 도 1a에 위치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2a에서 파악되는 예비 잠금 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2개 이상의 잠금부(16, 17), 즉 예비 잠금부(16)와 주 잠금부(17)를 갖는다.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도 2a의 이미 언급한 예비 잠금 위치에 또는 도 3a에서 파악되는 최종적인 주 잠금 위치에 위치하면, 래치(20)의 차단 아암(21)은 상기 잠금부(16, 17)와 맞물린다.
도 2a의 상기 예비 잠금 위치에 도달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포스트 사이에 갭이 생긴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는 전동식 잠금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 보조 장치는 특별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캐치에 맞물린다. 도 2a의 예비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10)는 상기 회전형 캐치와 결합되어 있다; 이미 10과 11 사이에 형상 결합식 연결이 존재하게 된다.
도 2a에서 화살표 51, 52로 표시된 것처럼, 2개 이상의 센서(51, 52)가 제공되고, 이들 중 그 하나(51)는,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도 2로부터 파악되는 예비 잠금 위치에 있게 되면, 반응한다. 그 다른 센서(52)는, 상기 차단 아암(21)이 상기 예비 잠금부(16)와 또는 상기 주 잠금부(17)와 결합하는 도 2a 또는 도 3a에서 파악되는 회전 위치에 상기 래치(20)가 도달하면, 반응한다. 상기 센서(51, 52)는 반응 시에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어 로직(50)에 전송한다. 상기 신호는 거기에서 평가되고 모든 경우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훨씬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상기 록의 작동이 릴리즈된다. 이는 도 8a의 표를 이용해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제어 로직(50)은, 도 8a의 표의 제 1 라인에 따라서 2개의 센서(51, 52)가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면, 도 1a의 회전형 캐치(11)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이는 도 2a에 도시된 위치까지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초기 회전 경로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도 2a의 예비 잠금 위치에 도달하면, 도 8a의 표의 제 2 의 라인에서와 같이 양 센서(51, 52)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와 같이 하여, 상기 제어 로직(50)을 통해, 도 2a의 상기 예비 잠금 위치에 도달하였음이 분명하게 검출된다. 도 3a의 최종적인 주 잠금 위치에서 단지 제 2 의 센서(52)만이 신호를 전송하고, 제 1 의 센서(51)는 전송하지 않으며, 이는 도 8a의 표의 마지막 라인에서 파악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상기 제어 로직(50)에 의해 분명하게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로직(50) 및 상기 센서(51, 52)의 동작 방식이 가지는 장점은 상기 센서(51, 52)의 수고스런 조정이 상기 양 스캔 지점과 관련하여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또는 상기 래치(20)에서 무용하다는 것이다. 센서로서, 함께 움직이는 영구 자석에서 11 또는 20에 반응하는 예를 들어 홀 센서와 같은 부재가 적합하다.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도 2a로부터 파악되는 예비 잠금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 로직(50)은, 도 3a의 주 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잠금 보조 장치"를 작동시킨다. 그 후에는, 상기 잠금 보조 장치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파악할 수 있는 바처럼 상기 부재를 위치시킨다. 상기 잠금 보조 장치의 스위치 온 및 오프는 하기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특수하게 형성되는 부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1d와 도 1b, 도 1c로부터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바처럼, 상기 잠금 보조 장치는 이 경우 전기 구동식 구동 전동기(3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구동 전동기 뒤에 많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어가 배열된다. 이것에 귀속하는,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웜(31)은 웜휠(32)과 맞물린다. 상기 웜휠(32)은 스퍼 기어(33)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퍼 기어(33) 다음에 특수한 전달 부재(35)가 오고,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예에서 텀블러 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 부재(35)는 2개의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전환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위치들 중 그 하나는 도 1c에 그리고 그 다른 것은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파악할 수 있는 바처럼, 상기 텀블러 기어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축(40)은 서로 다른 2개의 각위치를 받아들인다. 도 1c에서 도면 부호 41인 축 하단부는 여기에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록 하우징 안에 규정된 지점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지지되는 반면, 맞은 편의 다른 축단부(42)는 틸팅 운동하게 되며 이 때 스위칭 장치(60)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먼저 하우징 안에 62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커(61)를 포함하며, 상기 로커는 로커 가이드(63)에 의해 세그먼트 톱이(6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그먼트 톱이(64)는 상기 전동기(65)의 피니언(66)과 맞물리며, 이것은 나중에 파악되는 이유 때문에 "클러치 전동기"라고도 한다.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틸팅 운동가능한 축단부(42)는 이 경우 화살표(44)를 통해 표시된 탄성력을 받으며, 이것은 도 1c에서 파악되는 회전 운동되는 위치에 다음의 스퍼 기어(37)에 대해 상기 축(40)을 고정하려고 한다. 이 때, 상기 텀블러 기어의 상측 톱이(36)는 상기 스퍼 기어(37)에 대해 분리 위치에 있게 된다. 그에 반해 텀블러 기어(35)의 하측 톱이(34)는 이 경우에도 상기 기어의 이미 언급한 앞쪽 스퍼 기어(33)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도 1c에서 상기 스위칭 오프 위치는 전달 요소(35)에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힘(44)은 구체적으로 도 1b와 도 1d에서 파악되는 세그먼트 톱이의 핀(43)에 전달된다. 상기 세그먼트 톱이(64)는 하우징 안에 도면 부호 67에 지지된다. 상기 로커(61)에 제공되는 가이드 핀(68)은 이 때 상기 로커 가이드(63)의 한 단부와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스위칭 오프 위치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의, 위에서 언급한 그 다음의 스퍼 기어(37)에 대해 정해진다. 도 1a 내지 도 1d에는 상기 구동 전동기(30)뿐만 아니라 클러치 전동기(65) 역시 정지해 있다.
그 외에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상기 잠금 부재(10)는 회전형 캐치(11)를 이동시키며 이것을 도 2a 내지 도 2c에서 파악할 수 있는 예비 잠금 위치로 가져가며, 이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상기 래치(20)가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 장치(16)에 로킹된다. 상기 상황은, 역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상기 센서들(51, 52)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제어 로직(50)에 의해 파악되고, 이것은 이미 언급한, 텀블러 기어로서 형성된 전달 부재(35)를 도 2c로부터 파악되는 다른 위치로 가져간다. 그런 경우,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상측 톱이(36)는 이미 언급한 스퍼 기어(37)와 맞물린다. 그런 경우, 상기 전달 부재(35)의 "스위치 온 위치"가 제공된다. 이제 상기 구동 전동기(30)에 전기가 공급된다.
상기 기어 부재(31, 32, 33)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35)로까지 가는, 상기 전동기(30)의 구동 에너지는 상기 전달 부재(35) 뒤에 연결되는, 당김 보조 장치의 출력 보조 장치에 의해 전달된다. 이런 출력 경로에 속하는 이미 언급한 스퍼 기어(37)는 피니언(38)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피니언(38)과 맞물리는 세그먼트 톱이(39)는 샤프트(53)와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레버로 이루어지는 출력 경로의 출력 부재(54)는 상기 샤프트(53)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버(54)는 그의 자유단을 이용해 도 2a에서 파악될 수 있는 숄더(5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동기(30)로부터 오는 구동 에너지는 상기 기어 체인(31 내지 39 및 53, 54)에 의해 화살표(F1)로 표시된 구동력을 야기한다. 이는,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함께 이동되고 도 2b의 회전 화살표(15)의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만든다. 그 때문에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맞물리는 잠금 부재(10)는, 도 3a로부터 파악되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된다. 상기 잠금 부재(10)에 의해 상기 도어는 도 3a에서 파악되는 당김 화살표(18)를 따라서 전동식으로 닫힌다. 그 때까지 있던 도어갭이 닫힌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스위칭 온된 전달 부재(35)에 의해 상기 전동기(30)와 기어의 출력 부재(54) 사이에 구동 결합이 이루어지는 최종 단계에서의 당김 운동(18)이 도시되어 있다. 이 마지막 단계에서 상기 레버(54)에 의해 구동력(F2)이 발생되고, 상기 구동력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도 2a에 도시된 예비 잠금 위치의 경우에서보다 더 큰 회전 모멘트를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발생시킨다.
도 2a의 힘(F1)의 흡수에 이용되는 숄더(55)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디스크면에 위치하는 원호 형상 립(56)의 프로필 가공된 단부이다. 상기 접촉 지점은 도 2a에서 57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립(56)의 제어 단부(55)에서 상기 구동 작용하는 레버(54)와 상기 접촉 지점(57) 사이의 아암 길이는 비교적 작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모멘트는 적(product)으로서 r1과 F1으로부터 얻어진다. 해당하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피동 모멘트는 사실 도 2a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r1에 비해 더 긴 회전 모멘트 아암(r)을 통해 정해지지만 그러나 F1에 비해 더 작은 힘 성분(F1')을 통해서도 정해진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도 3a의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를 위한 경로에서 변하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레버(54)와 상기 숄더(55 내지 57') 사이의 접촉 지점이 이동되므로, 5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모멘트의 해당 아암 길이(r2)는 작아진다. 상기 접촉 지점(57')과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축(13) 사이의 거리는 도 2a의 바로 그것에 거의 같다. 그러나 F2의 힘 방향 역시 변하게 된다. 상기 레버(5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F2)은 완전하지만, 적어도 도 2a에서보다 훨씬 더 큰 힘 성분으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한다. 발생되는 힘(F2)의 효율은 F1과 F1'에 비해 더 커진다.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회전 모멘트는 도 2a에 비해 도 3a에서 더 커진다. 상기 구동 전동기(20)와 캐치 롤러(11) 사이의 기어의 전달비는 도 2a로부터 도 3a로 넘어갈 때 커진다. 화살표(18)의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당기기 위해 상기 잠금 부재(10)에 제공되는 당김힘은 더 커진다.
상기 당김힘의 증가는 매우 희망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사이에 일반적으로 탄성 패킹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패킹은 상기 도어-잠금 운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압축되어 그 결과 상기 당김힘에 저항한다. 그로부터 발생되는 저항력은 그러므로 상기 도어의 잠금 운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커진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복원력(12) 역시 마지막 운동 단계에서 커진다. 상기 도어의 당김 시에 발생하는, 상기 당김 보조 장치에 의해 극복되어야 하는 합산 저항력은 상승한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당김력이 커지지 않으면, 저항력이 커지기 때문에 직류 전동기로서 형성된 구동 전동기(30)의 작용점이 이동될지도 모른다. 상기 전동기(30)의 동작 특성 곡선에 상응하게 전동기 로드가 높기 때문에 속도가 작아진다. 그러나 상기 속도는 전동기 소음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속도의 변경은 더 낮은 주파수로 전동기 소음을 변화시키고, 이는 불편한 것으로 느껴진다.
본 발명에서 앞서 언급한 수단을 이용해 상기 저항력의 향상을 용이하게 보상하므로, 상기 구동 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속도는 전체 당김 단계 동안 일정하다. 이는 상기 도어의 당김 시에 매우 편안한, 변함없는 전동기 소음에서 작용한다. 본 발명을 통해 전체 당김 운동 동안 상기 구동 전동기(30)를 특성 곡선의 동일한 동작점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상기 센서(51, 52)가 도 3a의 주 잠금 위치를 확인하면, 상기 제어 로직에 의해 전술한 전달 부재(35)가 다시 스위칭 오프 지점으로 이동되며, 이는 도 4a 내지 도 4c로부터 파악된다. 상기 텀블러 기어(35)는 도 4c에서 다시 축(40)과 함께 경사진 각위치를 형성한다. 이는 상기 스위칭 장치(60)가 작동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클러치 전동기(65)만이 스위칭 오프되기만 하면 된다. 그런 경우 상기 전달 부재(35)에 작용하는 탄성력(44)이 작용하고, 그 힘에 반해 상기 클러치 전동기(65)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장치(60)가 상기 힘에 반해서 반작용한다. 거기에 있는 치차 세그먼트(64)의 핀(43)에 상기 탄성력(44)을 전술한 것처럼 제공하여 상기 세그먼트 톱이(64)는 도 3b의 위치로부터 도 4b의 위치로 역회전된다. 그 때문에 상기 로커(61)의 가이드핀(68)은 상기 치차 세그먼트(64)의 로커 가이드(63)의 다른 단부로 움직인다.
이미 언급한 다른 출력 경로(37 내지 39 및 53, 54)의 전달 부재(35)의 상기 스위칭 오프 위치는, 도 2a와 도 3a 사이에 상기 도어의 잠금을 즉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긴급 상황이 이미 설명한 당김 단계 동안 발생하면, 특히 큰 의미를 갖는다. 그러한 긴급 상황은, 상기 당김 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초과하거나, 상기 구동 전동기(30)의 구동을 위한 전류가 불허용치 위로 상승하거나, 파워 손실이 발생할 때 전기 제어 로직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도 3a의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를 위한 경로에서 상기 클러치 전동기(65)의 전류 공급이 스위칭 오프된다. 도 3a에 도달하기 전에 경로에서 상기 전달 부재(35)가 그 뒤에 배열된 당김 보조 장치의 출력 경로(37 내지 39 및 53, 54)으로부터 분리된다. 관성 원리에 따라서, 운동하는 상기 구동 전동기(30) 및 상기 전달 부재(35) 앞에 위치하여 운동하는 구동 부재(31 내지 33)가 회전하게 될지라도, 상기 부재(mass)의 운동 에너지는 더 이상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더 이상 운동하지 않으며, 이것은 심지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역회전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도어 패킹의 탄성 작용 하에서 저항력이 발생한다. 모든 경우에서 상기 저항력은, 비상 시에 상기 회전형 캐치(11)를 다시 도 2a의 예비 잠금 위치로 복귀시키기에 충분하다. 상기 전달 부재(35)의 그러한 스위칭 오프 위치는 물론 상기 도어록에 속하는 내부 손잡이, 외부 손잡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수동식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도 4a 내지 도 4c의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에서 상기 구동 전동기(30) 역시 상기 제어 로직을 통해 자동적으로 스위칭 오프된다.
본 발명에는 개방 보조 장치도 제공되며, 상기 개방 보조 장치는 상기 도어의 내부 손잡이 또는 외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조작을 통해 동작하게된다. 상기 도어를 당길 때에도 상기 개방 보조 장치는 자동차 운전자에 의해 릴리즈된다. 원한다면, 상기 개방 보조 장치는, 이미 언급한 긴급 상황이 상기 도어를 당길 때 이미 존재하면, 상기 제어 로직(50)에 의해 자동적으로도 릴리즈된다.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당김 보조 장치에 속하는 스퍼 기어(37)에 대해 도 4c의 스위칭 오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35)가 개방 보조 장치로서 이용되는 제 2 의 출력 경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도 4c에 따라서,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하부 톱이(34)는 선행하는 스퍼 기어(33)와 언제나 물려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전동기(30)의 회전은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상측 톱이(36)에 의해 샤프트(46)에 고정되어 있는 다른 스퍼 기어(45)에 전달된다.
상기 구동 전동기(30)는 도 2a 내지 도 3c에 따른 앞서 설명한 당김 보조 장치에서처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샤프트(46)의 상단부(67)는 상기 스위칭 장치(60)에 속하는 세그먼트 톱이(64)를 위한 이미 위에서 언급한 베어링으로서도 이용된다. 도 4a에서 파악할 수 있는 제어 캠(47)이 상기 샤프트(46)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 캠은 개방 보조 장치에 속하는 출력 경로(45, 47)의 출력을 형성한다. 도 4a에 상기 제어 캠(47)의 출력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캠(47)은 도 4a에서 파악할 수 있는 또 다른 레버(22)의 제어면(23)에 지지되고, 2-레그 스프링(24, 24')의 상기 힘(25)이 상기 레버에 작용한다. 그 하나의 스프링 레그(24')는 하우징 안에 고정된 지지 위치(26)에 지지되는 반면, 상기 다른 레그(24)는 도 4a에서 화살표(25)로 표시된 이미 언급한 탄성력(25)을 상기 레버(22)에 발생시킨다. 상기 스프링(24, 24')은 상기 레버에 대해 힘 저장기를 나타내므로, 상기 레버(22)는 하기에서 "저장 레버"라고도 한다.
도 4a의 출력 위치에서 상기 저장 레버(22)의 탄성력(25)은 상기 래치(20)에 아직 작용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미 언급된 바처럼 상기 제어 캠(47)은 상기 저장 레버(22)를 그의 제어면(23)에 지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 개방 보조 장치의 동작을 위해 구동 전동기(30)에 전기가 공급되면, 변하게 된다. 그런 경우, 이미 언급한 제 2 의 출력 경로(45 내지 47)에 의해 도 4a에 따른 제어 캠(47)이 회전 경로(27)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점증적으로 상기 저장 레버(22)를 릴리즈시킨다. 사실 상기 래치(20) 역시 화살표(28)로 표시된 반대 방향의 스프링 하중(28)을 받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저장 레버(22)에 의해 발생하는 더 큰 탄성력(25)이 충분하여, 상기 래치(20)의 차단 아암(21)을 도 4a의 상기 주 잠금부(17)로부터 또는 도 2a의 예비 잠금부(16)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저장 레버(22)와 상기 래치(20) 사이의 힘 전달은 도 4a에 따른 충격면 및 역충격면(49, 49)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경우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자유롭게 되고 그것에 작용하는 복원력(12) 하에서 도 1a의 개방 위치에까지 복귀 회전된다. 그런 경우 다시 상기 잠금 부재(10)는 자유롭게 되고 상기 도어는 개방되게 된다.
상기 개방 운동의 끝 단계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파악된다. 상기 잠금 부재(10)는 거기에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 4a의 상황과 비교하여, 도 5a의 개방 화살표(19)의 방향으로 운동하였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복원력(12) 때문에 개방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 잠금 부재(10)는 상기 리셉터클(14)에 의해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있는 상기 리셉터클(14)에 의해 릴리즈된다. 도 4a에서 설명한 상기 제어 캠(47)의 회전(27)은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 캠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20)의 연장 아암에 위치하는 반대 제어면(29)에 도달하기 전에,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충돌의 경우에 또는 다른 장애 상황에서, 상기 래치-차단 아암(21)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부(17) 안에 고정 위치하며, 상기 저장 레버(22)의 상기 탄성력(25)은 상기 래치(20)를 풀기에 충분하지 않게 된다. 이는 센서, 예를 들어 전술한 래치 센서(52)에 의해 확인된다. 그런 경우, 상기 구동 전동기(30)는 도 5a에 도시된 캠(47)의 회전 위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는 도 5a에서 일점쇄선-화살표(27')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캠(47)은 - 17에서 도 4a에 도시된 래치 결합의 경우에 17에서 또는 16에서도 - 이미 언급한 반대 제어면(29)에 부딪치고, 상기 저장-탄성력(25)의 지원하에서, 상기 주 또는 예비 잠금부(17, 16)로부터 상기 래치 차단 아암(21)에 압력을 가한다.
앞서 설명한 장애 상황의 경우에 또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 긴급 상황의 경우에 상기 래치(20)를 들은 후에, 상기 제어캠(47)은 다시 전동식으로 복귀 회전되고 더 정확하게 말해서 도 5a에서 파악할 수 있는 역회전 화살표(48)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다시 상기 구동 전동기(30)에 의해 가능해지는데, 왜냐하면 여전히 상기 개방 보조 장치의 출력 경로(45 내지 47)에 속하는 기어와 함께 구동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동기(30)에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만 하면 된다. 그런 경우, 상기 제어 캠(47)은 상기 저장 레버(22)의 제어면(23)에 다시 부딪치고 가동형 스프링 레그(24)의 응력하에서 다시 도 1a의 출력 위치로 움직인다. 이는 다시 센서를 통해 모니터된다. 상기 저장 레버(22)가 다시 도 1a의 출력 위치에 있으면, 상기 구동 전동기(30)의 역전류 공급이 상기 역회전(48)을 위해 정지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도 1a 내지 도 1d에 따른 회전형 캐치(11)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35) 뒤에 위치하는, 당김 보조 장치에 속하는 제 1 의 출력 경로(37 내지 39 및 53, 54)가 스위칭 오프된다. 그 나머지 기어는 자유롭다. 이는 상기 전달 부재(35)의 스위칭 오프 후에 도 4a 내지 도 4c의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경우에, 구동 전동기(30)로부터 나오는 피동력이 상기 레버(54)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레버는 도 1a 또는 도 5a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립(56)의 활 형상 내면(58)에 접하게 된다. 상기 레버(54)에 작용하는 약간의 스프링 응력이 상기 활 형상 내면에서 상기 레버(54)의 규정 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약간의 스프링 응력은 도 2a 내지 도 2c에 따라 이미 상기 당김 시작 전에 상기 레버(54)가 도 2a에 따른 상기 숄더(55)의 전술한 접촉 지점(57)에 위치하게 한다.
외부 손잡이 및/또는 내부 손잡이 또는 리모트 콘트롤에 의한 상기 래치(20)를 릴리즈하기 위해, 상기 힘 제공 지점이, 예를 들어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릴리즈 핀(59)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이미 언급한 반대 제어면(29)이 상기 래치(20)에 위치하는 대신에 상기 차단 레버(22)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저장 레버(22)의 일부재의 고정형 요소가 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도 1a 내지 도 5a에 도시된 길이에 비해 상기 래치(20)는 단축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도 4a에서 파악할 수 있는 충돌면(49)이 상기 저장 레버(22)에서 얻어지고 해당 반대 충돌면(69)은 상기 래치(20)에서 얻어져서, 상기 저장 레버(22)의 탄성력(25)을 개방 보조 장치를 목적으로 상기 래치(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저장 레버(22)에서 제어 및 반대 제어면(23, 29)의 일부재 결합이 상기 저장 레버(22)의 레버 단부 영역에 제공되는 구멍을 통해 이루어져, 그 구멍의 개구와 상기 제어캠(47)이 결합한다. 상기 구멍은 윤곽 처리된 에지를 가지는 종방향 타원 형상을 갖는다. 그런 경우, 상기 제어 캠(47) 역시 윤곽 처리된 테두리를 갖는다. 그런 경우에 상기 제어 및 반대 제어면(23, 29)이 상기 구멍의 서로 마주하는 에지에 배치된다. 이런 형성은 특별한 장점을 가져오며 이미 언급한 도면의 대상에 본 발명의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도 1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하고 도 8a에 따른 표를 이용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각각의 위치의 검출을 위한 제어 수단이 본 발명에서 독립적 의미를 갖는다. 상기 수단들은 당김 보조 장치도 개방 보조 장치도 갖지 않거나 또는 개방 보조 장치만으로 동작하는 도어록의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로부터 도출되는 장점은 이미 명세서 도입부에서 상세하게 논하였다. 한 편으로 도 6a 내지 도 6c 및 다른 한 편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는, 그런 종류의 도어록에 대한 가장 중요한 부재를 이용하는, 상기 제어 수단의 구성을 위한 2가지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도어록(70)중에서 회전형 캐치(11)만이, 마지막으로 언급한 방식으로 변형된 래치(20) 및 이미 설명한 양 센서(51, 5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센서(51, 52)는 공지된 임의의 요소이다. 상기 센서는 기계적인 또는 광학적인 스위치, 리드 접점, 홀센서 또는 소위 센서 와이어 엘리먼트로 이루어진다. 도 6a에 도시된 위치는, 도 1a의 그것에 일치하며, 이것은 도 8a의 라인 1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런 경우에 양 센서(51, 52)는 해당 제어 로직(50)에 신호를 전송하지 않으며, 상기 센서는 사실 도 1a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들 중 도 6a에는 상기 센서에 대한 단지 전기 단자선(71, 72)만이 파악된다. 이제 분명하게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상기 도어록(70)의 상황은 도 2a와의 관계에서 이미 설명한 도어 위치에 일치한다. 상기 잠금 부재(10)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의해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래치(20)의 차단 지점(21)이 상기 예비 잠금부에 걸린다. 상기 회전형 캐치(11)뿐만 아니라 래치(20) 역시 상기 도어 위치에서 상기 센서(51, 52)의 영역으로 오는 랩(73 또는 74)을 갖는다. 그와 같이 하여, 이미 도 8a를 이용해 설명한 바처럼, 상기 도어의 예비 잠금 위치가 검출되는데, 왜냐하면 양 센서(51, 52)가 도 6b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제어 로직(50)에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도 6c에는, 도 4a와의 관계에서 이미 설명한 상기 도어의 주 잠금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래치(20)의 차단 지점(21)은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이미 언급한 주 잠금부(17)에 걸리게 된다.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당겨져 있다. 이는 양 센서(51, 52)를 이용해 다시 상기 제어 로직(50)에 전송되 신호를 이용해 검출되며, 이는 도 8a의 마지막 라인을 이용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는 구체적으로 이미 언급한 랩(74)은 상기 래치(20)에서 상기 신호 "1"를 전송함으로써, 도 6c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반해 회전형 캐치 센서(51)의 경우에 해당 랩(73)이 제거되고 그 대신에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영역(75)이 상기 센서(51)와 정렬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51)는 반응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 로직(50)은 이 경우에 센서(51)로부터 신호 "0"을 수신하며, 이는 도 8a의 표에서 파악되는 바와 같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도어록(70')의 대체적 형성이 도시되어 있고, 더 정확하게는 이미 앞서에서, 상기 도어록(70)에서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바처럼, 동일한 3개의 위치에 있는 형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설명이 충분하다. 차이점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7a 내지 도 7c의 도어록(70')에서 상기 잠금 부재(10) 중 단지 핀(76)만이 도시되고, 상기 핀은 도 7a에서 파악될 수 있는 개방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리셉터클(14)에 의해 아직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핀(76)은 도 1d에서 사시도로 도시된 것처럼 활 형상 잠금 부재(10)의 어느 한 레그에 의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도어록(70)의 변형예에서, 상기 센서(51)는 도 7a 내지 도 7c의 도어록(70')의 경우에 상기 회전형 캐치(11)와 함께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잠금 핀(76)과 함께 동작한다. 그러므로 도 6a 내지 도 6c의 이미 설명한 랩(73)이 도어록(70')에서는 빠져 있다. 도 6a와 유사하게, 상기 센서(51)는 도어록(70')에서 도 7a에서 파악되는 위치에서 상기 신호 "0"를 상기 제어 로직(50)에 전송한다.
상기 도어가 도 7b에 따른 예비 잠금-위치에 있으면, 상기 잠금 핀(76)은 해당 센서(51)의 영역에 도달하게 되어 해당 제어 로직(50)에 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한 정의 신호는 록(70')에도 이미 제공된 래치-랩(74)의 이미 설명한 위치 때문에 상기 래치 센서(52)에 제공되며, 이는 이미 도6b에서 설명되었다.
도 7c에서 다시 상기 도어의 주 잠금 위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 핀(76)은 다시 상기 센서(51)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거기에서 다시 상기 신호 "0"가 제공된다. 도 6c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래치 센서(52)는 이 경우에 정의 신호를 전송한다.
도 8b 내지 도 8d에서 상기 제어 로직(50)에 대한 3개의 다른 표가 설명되며, 상기 표는 상기 도어록(70 또는 70')의 변형예에서 도출된다.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바처럼, 여러 위치에 있는 상기 신호가 사실 도 8a와 다른 방식으로 할당되지만, 상기 제어 로직에 대해서는 항상 분명하다. 그러므로 이것은 도 6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도어의 3개 위치 각각이 상기 신호를 이용해 분명하게 검출된다. 3개의 다른 도어 위치에 있는 변형된 신호를 얻기위해, 상기 회전형 캐치(11)와 상기 래치(20)의 이미 설명한 제어지점(73, 74, 75)과 관련하여 또는 상기 제어 핀(76)과 관련하여 상기 양 센서(51과 52)만을 다르게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방법은 물론 상기 양 센서(51, 52)에 대해 도 6a 내지 도 7c에 따른 위치를 취할 때 상기 제어 지점(73 내지 76)의 위치를 다르게 배치시키는 것이다.

Claims (19)

  1.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잠금 부재(10)가 회전형 캐치(11) 안으로 진입하며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잠금 위치를 지나서 주 잠금 위치로 선회하는 회전형 캐치(11)를 가지며,
    상기 예비 잠금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부(16)에 걸리고 상기 주 잠금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위치하는 주 잠금부(17)에 걸리는 래치(20)를 가지며,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기어(31 내지 39; 53, 54)와 구동 전동기(30)로 이루어지는 상기 도어를 위한 전동식 당김 보조 장치를 가지며,
    역시 구동 전동기(30)와 차단 래치(20)에 작용하는 기어(31 내지 33; 45 내지 47; 22)를 가지는 록을 위한 전동식 개방 보조 장치를 가지며,
    상기 잠금 보조 장치와 상기 개방 보조 장치의 작동 및 부작동을 위한 제어 수단(50 내지 52)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록에 있어서,
    동일한 구동 전동기(30)가 상기 잠금 보조 장치에도 상기 개방 보조 장치에도 이용되며,
    2개의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전환 조정되는 전달 부재(35)가 상기 기어 안에 배열되고,
    상기 구동 전동기(30)로부터 발생하는 구동 에너지가 사실 상기 전달 부재(35)에 도달하지만, - 상기 전달 부재(35)의 스위칭 위치에 따라서 - 상기 전달 부재(35) 뒤에서는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형 캐치(11)를 위한 또는 상기 차단 래치(20)를 위한 서로 분리된 2개의 출력 경로(37 내지 39; 53, 54 또는 45 내지 47; 22)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며,
    상기 출력 경로 중 그 어느 하나의 출력 경로(37 내지 39; 53, 54)가 상기 잠금 보조 장치에 속하고 그 다른 것(45 내지 47)은 개방 보조 장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35)는 탄성력(44)에 의해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 전동기(3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에너지가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전달되지 않는 바로 그 스위칭 위치에 있게 되고,
    상기 전달 부재(35)는 스위칭 장치(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회전형 캐치 및/또는 래치의 규정된 한계각에서 동작하며 상기 구동 전동기(3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에너지가 당김 작용으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다른 스위칭 위치로 상기 전달 부재(35)를 이동시키며,
    상기 스위칭 장치(60)는 상기 당김 단계 동안 장애 발생 시에도 상기 주 잠금 위치(11)에서도 동작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전달 부재(35)는 상기 탄성력(44)에 의해 자동적으로 다시 그의 스위칭 오프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6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51, 52)를 통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 위치가 검출되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당김 운동(18)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실 당김 보조 장치에 속하는 출력 경로(37 내지 39; 53, 54)의 출력 부재(54)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커지지만 상기 전달비 및/또는 효율 역시 상기 출력 부재(54)와 상기 회전형 캐치(11) 사이에 상기 단계 동안 성장하며 상기 도어를 닫을 때 이용되는 당김력(F1', F2)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당김 운동(18)에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당김력(F1', F2)이 변하게되므로,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보상되고 상기 구동 전동기(30)가 사실상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보조 장치에 이용되는 출력 경로(37)의 출력 부재(54)는 레버(54)이고, 상기 레버는 상기 한계각 위치로부터 구동력을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있는 숄더(55)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작용하는 복원력(440에 반하여 및/또는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저항에 반하여 상기 회전형 캐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보조 장치에 속하는 출력 경로의 출력에 회전 구동되는 제어 캠(47)이 위치하며, 상기 제어 캠(47)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탄성력(25)을 통해 움직이는 저장기 레버(22)에 의해 상기 래치(20)를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부(16) 또는 주 잠금부(17)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8.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래치(20)를 들은 후 - 상기 회전형 캐치(11)는 상기 회전형 캐치에 작용하는 복원력(12)을 통해 상기 회전형 캐치의 예비 잠금 위치로부터 또는 주 잠금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보조 장치 및/또는 상기 개방 보조 장치의 기어가 톱이형 기어이며, 상기 구동 전동기(30)가 상기 도어의 당김(18) 시에도 개방 시에도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35)는 텀블러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 장치(60)는 그의 양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때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축(40)을 2개의 각위치 사이에서 기울어지게 하거나 축에 평행하게 회전하게 하거나 축에 평행하게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그 어느 하나의 축 단부(41)가 사실 고정되어 있지만 록 하우징 안에서는 볼 조인트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60)는 회전 구동되는 클러치 전동기(65)에 의해 양 스위칭 위치 쪽으로 제어되며, 상기 클러치 전동기(65)가 가이드(69)에 의해, 상기 텀블러 기어(35)의 틸팅 운동가능한 축단부(42)를 지지하는 로커(61)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19) 위해 상기 구동 전동기(30)가 내부 손잡이, 외부 손잡이 또는 리모트 콘트롤 수단의 조작을 통해 스위치 온되고,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규정된 한계각에 도달하였거나 규정된 전동기 러닝 타임을 초과하면,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 상기 전달 부재(35)에 작용하는 탄성력(44) 대신에 또는 그것을 보충하여 - 상기 전달 부재(35)는 상기 당김 보조 장치에 속하는 출력 경로(37 내지 39; 53, 54)와 관련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60)에 의해 스위칭 오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5.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항에 따라서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잠금 부재(10)가 회전형 캐치(11) 안으로 진입하며 상기 회전형 캐치(11)가 개방 위치로부터 예비 잠금 위치를 지나서 주 잠금 위치로 선회하는 회전형 캐치(11)를 가지며,
    상기 예비 잠금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부(16)에 걸리고 상기 주 잠금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형 캐치(11)에 위치하는 주 잠금부(17)에 걸리는 래치(20)를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수단은 2개의 센서(51, 52)와 상기 센서(51, 52)에 연결된 제어 로직(50)을 포함하며,
    그 하나의 센서(51)는 도어쪽 록과 관련하여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일정한 각위치에 또는 상기 잠금 부재(10)의 또는 상기 잠금 부재를 지지하는 대의 일정한 위치에 반응하고 하기에서는 회전형 캐치 센서라 하고
    그 하나의 센서(52)는 상기 래치(20)의 걸림 시에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예비 잠금부(16)에도 그리고 주 잠금부(17)에도 반응하고 그런 이유로 래치 센서(52)라 하고,
    상기 제어 로직(50)은 양 센서(51, 52)로부터 오는 개별 신호를 공동으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6. 제 15 항에 있어서, 양 센서(51, 52)가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로직(50)이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때,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도 그리고 래치 센서(52)도 반응하면 상기 예비 잠금 위치(16)가 검출될 때, 사실 상기 래치 센서(52)가 반응하지만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는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가 검출될 때, 상기 평가가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7. 제 15 항에 있어서, 사실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가 반응하지 않지만 상기 래치 센서(52)는 반응하면 상기 제어 로직(50)이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때, 사실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가 반응하지 않지만 래치 센서(52)가 반응하면 상기 예비 잠금 위치(16)가 검출될 때, 양 센서(51, 52)가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가 검출될 때, 상기 평가가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8. 제 15 항에 있어서, 양 센서(51, 52)가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로직(50)이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때, 사실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가 반응하지만 상기 래치 센서(52)는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예비 잠금 위치(16)가 검출될 때, 양 센서(51, 52)가 반응하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가 검출될 때, 상기 평가가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19. 제 15 항에 있어서, 사실 상기 래치 센서(52)가 반응하지만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2)는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로직(50)이 상기 도어의 개방 위치를 검출할 때, 양 센서(51, 52)가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예비 잠금 위치(16)가 검출될 때, 사실 상기 회전형 캐치 센서(51)가 반응하지만 상기 래치 센서(52)는 반응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형 캐치(11)의 주 잠금 위치가 검출될 때, 상기 평가가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KR1020007010547A 1998-03-23 1999-03-15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 KR20010042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8112606 DE19812606A1 (de) 1998-03-23 1998-03-23 Türschloß mit einer Drehfall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9812606.9 1998-03-23
PCT/EP1999/001686 WO1999049159A1 (de) 1998-03-23 1999-03-15 Türschloss mit einer drehfall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142A true KR20010042142A (ko) 2001-05-25

Family

ID=78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547A KR20010042142A (ko) 1998-03-23 1999-03-15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68720B1 (ko)
EP (1) EP1066438B1 (ko)
JP (1) JP2002507681A (ko)
KR (1) KR20010042142A (ko)
CN (1) CN1294651A (ko)
AU (1) AU740850B2 (ko)
BR (1) BR9909020A (ko)
DE (2) DE19812606A1 (ko)
ES (1) ES2165732T3 (ko)
PT (1) PT1066438E (ko)
WO (1) WO19990491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149A (ko) * 2018-10-11 2020-04-2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KR20220025822A (ko) * 2019-09-11 2022-03-03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레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3366A1 (de) * 2001-09-04 2003-03-2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20050044908A1 (en) * 2001-11-15 2005-03-03 Min Byong Do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detecting its operation states
DE10220786B3 (de) * 2002-05-10 2004-03-11 Daimlerchrysler Ag Türschloss eines Kraftfahrzeuges
DE10239734A1 (de) * 2002-08-26 2004-03-1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Klappenschluß o. dgl.
JP3550141B2 (ja) * 2002-09-13 2004-08-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ドアクローザ
DE10344244B4 (de) * 2002-09-28 2008-04-24 Witte-Velbert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ss
GB0306671D0 (en) 2003-03-22 2003-04-30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Latch
US7261334B2 (en) * 2003-06-24 2007-08-28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Power release actuator
DE10330194A1 (de) * 2003-07-03 2005-01-2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CA2439780C (en) * 2003-09-08 2011-09-20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Power actuator for automotive closure latch
US20070126244A1 (en) * 2003-09-09 2007-06-07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Power Actuator for Automotive Closure Latch
US20050127685A1 (en) * 2003-12-03 2005-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atch control by gear position sensing
US20050206172A1 (en) * 2004-03-22 2005-09-22 Bacon Bruce C Rotary la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633639B1 (ko) * 2004-06-22 200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레버 작동구조
DE102004040157B3 (de) * 2004-08-19 2006-07-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oss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DE202004014568U1 (de) * 2004-09-17 2006-02-02 Gebr. Bode Gmbh & Co. Kg Drehfallen-Verriegelung für Türen von Fahrzeugen des öffentlichen Personenverkehrs, insbesondere von Schienenfahrzeugen
JP4426417B2 (ja) * 2004-10-08 2010-03-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ラッチ装置
DE102006024203B4 (de) * 2005-05-24 2013-08-29 Mitsui Kinzoku Act Corp. Sperreneinrichtung und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Öffnens/Schließens einer Tür
US20080012354A1 (en) * 2006-05-26 2008-01-17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control by gear position sensing
DE102007003948A1 (de) * 2006-11-22 2008-05-29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ATE521773T1 (de) * 2007-05-30 2011-09-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ss für fahrzeuge
FR2920805B1 (fr) * 2007-09-11 2009-11-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assistance a l'ouverture d'une serrure.
DE202009016636U1 (de) 2009-12-09 2011-04-2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CN101899934A (zh) * 2010-04-23 2010-12-01 李仕清 一种正反向旋转定位装置
DE102010046735A1 (de) * 2010-09-28 2012-03-29 Liebherr-Aerospace Lindenberg Gmbh Verriegelungssystem sowie Schaltungsvorrichtung für ein Verriegelungssystem
US8640513B2 (en) 2011-06-22 2014-02-04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Electronic and manual lock assembly
US8640514B2 (en) * 2011-06-22 2014-02-04 The Stanley Works Israel Ltd. Electronic and manual lock assembly
DE102012102724A1 (de) * 2012-03-29 2013-10-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9267317B2 (en) 2012-03-30 2016-02-23 Dac V. Vu Door stop assembly
DE102012015725A1 (de) * 2012-08-08 2014-02-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DE102013111894A1 (de) * 2013-10-29 2015-04-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tellantrieb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Stellantriebsanordnung
DE102014006239A1 (de) * 2014-04-30 2015-11-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und Verfahren
CN107208434B (zh) * 2014-10-08 2020-03-10 糖果屋研发有限公司 齿轮总成及包括该齿轮总成的门装机构
CN107178262B (zh) 2016-03-11 2021-07-30 开开特股份公司 闩锁单元
US10683683B2 (en) 2017-04-25 2020-06-16 Kiekert Ag Latch with closure device for a motor vehicle
DE102017108752A1 (de) 2017-04-25 2018-10-25 Kiekert Ag Schloss mit Zuzie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08754A1 (de) 2017-04-25 2018-10-25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CN108824966B (zh) * 2018-06-04 2020-11-10 东莞安联电器元件有限公司 门锁、锁盖结构及锁止机构
DE102018113960A1 (de) 2018-06-12 2019-12-12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202019105516U1 (de) 2019-10-07 2021-01-20 Gebr. Bode Gmbh & Co. Kg Drehfallen-Verriegelung für ein Türsystem
DE102020104297A1 (de) 2020-02-19 2021-08-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KR20220008509A (ko) * 2020-07-14 2022-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2527C3 (de) * 1982-11-18 1995-09-07 Neiman Sa Schloß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3328667A1 (de) * 1983-08-09 1985-02-21 Bomoro Bocklenberg & Motte Gmbh & Co Kg, 5600 Wuppertal Kraftfahrzeug-tuerschloss, -haubenschloss od. dgl. mit motorischer schliesshilfe
JPS62101782A (ja) * 1985-10-30 1987-05-12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制御装置
US5639130A (en) * 1995-05-31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door cinching mechanism with manual override
JP3121744B2 (ja) * 1995-06-01 2001-01-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フルラッチ検出スイッチ
DE19533196A1 (de) 1995-09-08 1997-03-1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Schließ- und Öffnungshilfe
DE19619849C2 (de) * 1995-12-20 2001-03-15 Mannesmann Vdo Ag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US6279361B1 (en) * 1995-12-20 2001-08-28 Vdo Adolf Schindling Ag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DE19736445B4 (de) * 1996-08-22 2006-06-08 Asmo Co., Ltd., Kosai-shi Türgliedverriegelungs-/entriegelungsvorrichtung
DE19635414C2 (de) * 1996-08-31 2001-07-12 Mannesmann Vdo Ag Schloß, insbesondere für Fahrzeugtüren oder dergleichen
DE19841309C2 (de) * 1998-09-10 2001-10-18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ß für Klappen, Türen oder dgl. von Fahrzeugen, insbesondere Handschuhfach-Schlo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149A (ko) * 2018-10-11 2020-04-21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래치장치
KR20220025822A (ko) * 2019-09-11 2022-03-03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레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066438E (pt) 2002-06-28
BR9909020A (pt) 2000-12-05
US6568720B1 (en) 2003-05-27
JP2002507681A (ja) 2002-03-12
CN1294651A (zh) 2001-05-09
EP1066438A1 (de) 2001-01-10
AU740850B2 (en) 2001-11-15
AU3412699A (en) 1999-10-18
WO1999049159A1 (de) 1999-09-30
DE59900596D1 (de) 2002-01-31
ES2165732T3 (es) 2002-03-16
EP1066438B1 (de) 2001-12-19
DE19812606A1 (de) 199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142A (ko) 회전형 캐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록
US6685239B2 (en) Vehicle door opening closing device
EP1076141B1 (en) Door lock device for motor vehicles
US5938252A (en) Door member locking/unlocking apparatus
KR100887472B1 (ko) 자동차의 도어들 또는 플랩들을 위한 로크
US6499776B2 (en) Automotive loc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6062613A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US5934717A (en) Motor Vehicle lid or door lock
EP1790803B1 (en) Door closing device
US11441340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EP0897443B1 (en) Power striker with over-ride capabilities
CN114016826A (zh) 智能闩锁
US20020063430A1 (en) Door lock drive unit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GB2330620A (en) Electric drive device
KR20070046910A (ko) 차량의 도어 또는 리드용 로크
US653681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controlled actuating element
KR20040103937A (ko)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GB2421979A (en) One-motion vehicle door opening mechanism with speed-dependent handle clutch
KR20070027463A (ko) 차량의 본체 요소를 작동하는 작동장치 및 작동방법
US20040201226A1 (en) Power operable latch that relatches in the event of motor failure
EP3285273B1 (en) Dual stroke mechanically latched mechanism
US6497162B2 (en) Power actuator arrangement
JP2002129812A (ja) 車両用ドア装置
EP0393595B1 (en) Electrically operated lock, particularly for the hood or tailgate of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