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736A -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736A
KR20010022736A KR1020007001333A KR20007001333A KR20010022736A KR 20010022736 A KR20010022736 A KR 20010022736A KR 1020007001333 A KR1020007001333 A KR 1020007001333A KR 20007001333 A KR20007001333 A KR 20007001333A KR 20010022736 A KR20010022736 A KR 2001002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opposing surfaces
glass panel
contac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리구치나오토
아사노오사무
오카지마게이이치로
미우라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158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493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21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547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2213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54746A/ja
Application filed by 이즈하라 요우조우, 닛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즈하라 요우조우
Publication of KR2001002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는,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P)에 있어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대향면(2A, 2B)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로서, 2개 이상의 곡면(6)으로 형성되며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 상태에서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SPACER FOR GLASS PANEL}
유리 패널의 일종인 종래의 복층(複層) 유리에서는, 예를 들면 환형체(環形體)로 이루어진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환형의 스페이서라면 어떤 자세가 되어도 항상 높이가 일정하여 양 판유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페이서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대신, 매우 구르기 쉬워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로 인해, 판유리의 대향면 상의 소정 위치에 이 스페이서를 배치하려도 해도 판유리의 약간의 경사에 의해서도 전동(轉動)되어 해당 복층 유리를 유리 진열장(showcase)이나 창유리 등으로 사용한 경우에, 복층 유리의 미관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복층 유리의 조립시에는 스페이서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 배치시키기 위한 수단이 별도로 필요하였다.
또, 공극부의 소정 간격을 작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의 직경을 작게 하면, 양 판유리로의 접촉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고 스페이서는 그 첨단(尖端)으로 양 판유리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에, 복층 유리에 외압(外壓)이 가해져 접촉 압력이 높아지면 판유리의 국소 왜곡이 커져 헤르츠 균열을 발생시키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환형 스페이서의 치수 정밀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스페이서가 양 판유리의 대향면에 같이 맞닿을 수 없게 되며, 양 판유리의 대향면의 평면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비록 스페이서의 치수 정밀도가 높아도 양 판유리의 대향면에 동시에 맞닿을 수 없는 스페이서가 생긴다.
그 결과, 복층 유리를 형성한 후에 상기 스페이서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복층 유리의 미관이 손상되거나 양 판유리의 특정 개소가 스페이서와의 접촉에 의해 과도하게 응력(應力)이 집중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 판유리의 대향면이 완전하게 평면이 아닌 경우나 유리 패널이 외력에 의해 일그러진 경우에도, 양 판유리의 대향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스페이서가 잘 이동하지 않아 양 판유리의 대향면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가 첨단으로 판유리에 맞닿는 것을 피하여 판유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空隙部)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의 외연(外緣)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는 유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양 판유리의 대향면(對向面)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리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패널의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리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유리 패널의 일부를 생략한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21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 및 도 23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26 내지 도 28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9는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0 내지 도 33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제3 실시예에 의한 유리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에 도시한 유리 패널의 일부를 생략한 종단면도이고,
도 36은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의 일례를 도시한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7은 도 36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8은 도 36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39는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주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0은 도 39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39에 도시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42는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3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44 내지 도 47은 다른 스페이서의 예를 설명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곡면(6)으로 형성한 스페이서(S)를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하고, 양 판유리(1A, 1B)로 협지(挾持)함으로써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S)는 안정된 자세를 가지는 형상이며, 상기 안정된 자세를, 수평면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 수평면으로부터 스페이서(S)의 중심까지의 높이가 그 자세로부터 어떤 방향으로 요동(搖動)하더라도 높게 변위하는 상태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곡면(6)이 철곡면(凸曲面)(6a)인 경우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곡면(6)까지의 거리가 연직선(鉛直線) 상에서 그 곡면(6)의 반경 곡률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 철곡면(6a)이 비구면인 경우라도 그 곡면(6)의 미소(微少) 부분은 구면과 유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유사 구면의 곡률 반경을 그 부분의 곡면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한다.
상기 곡면(6)이 요곡면(凹曲面)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周緣部)(9) 이외의 부분이 상기 수평면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그 주연부(9)가 상기 수평면에 접해 있는 상태가 상기 안정된 자세가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S)가 구르는 것을 억제하고 배치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예에 따라 설명하면, 스페이서(S)의 형상을 평면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동일한 직경의 원이 되는 한 쌍의 부분구(部分球)를 그 절단면에서 일체로 접합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S)가 주연부(9)에서 지지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철곡면(6a)으로 판유리(1)의 대향면(2A) 상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은 철곡면(6a)의 중심과 스페이서(S)의 중심이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된 자세가 된다. 이때, 상기 주연부(9)는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절단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높이가 이 스페이서(S)의 최소 높이이고, 이 스페이서(S)를 동일한 치수로 형성해 두면 안정된 자세에서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이 스페이서(S)를 양 판유리(1A, 1B)로 협지했을 때, 이들의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1의 특징 구성을 가지는 스페이서(S)를 2개의 철곡면(6a)으로 형성하고 그 두께를 그 한쪽 철곡면(6a)의 곡률 반경의 2배보다 얇게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의 스페이서(S)가 가지는 작용 효과에 더해, 스페이서(S)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고 배치된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시한 스페이서(S)는 평면으로 절단한 절단면이 동일한 직경의 원이 되는 한 쌍의 부분구를 그 절단면에서 일체로 접합한 형상이고, 상기 절단면을 구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원형(圓形)의 주연부(9)의 직경보다 상기 절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의 높이가 작아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S)의 중심과 철곡면(6a)의 중심이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안정된 자세가 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의 일부가 평면부(10)와 상기 평면부(10)의 외주부에서 연속되는 철곡면(6a)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평면부(10)가 상기 대향면(2A, 2B)중 한쪽에 맞닿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S)를 부분 구체(球體)로 형성하면 상기 철곡면(6a)은 철구면이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S)를 양 판유리(1A, 1B)끼리 사이에 협지할 때는 평면부(10)가 상기 양 대향면(2A, 2B) 중 어느 한쪽에 맞닿아 안정된 자세가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S)를 항상 일정한 자세로 양 판유리(1A, 1B)끼리 사이에 협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S)의 철구면이 한쪽 판유리(1A)에서 지지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S)의 중심과 철구면의 중심이 연직 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에서 안정된 자세가 되어 스페이서(S)의 상기 평면부(10)가 수평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후 다른 쪽 판유리(1B)를 탑재한 경우에는 스페이서(S)의 상기 평면부(10)가 다른 쪽 대향면(2A, 2B)에 확실하게 맞닿는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S)의 높이 치수를 정밀도가 양호하게 형성해 둠으로써 양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처음부터 스페이서(S)의 평면부(10)가 한쪽 대향면(2A)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철구면이 다른 쪽 대향면(2A, 2B)에 맞닿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양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청구항 4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3의 특징 구성에서의 평면부(10)와 상기 철곡면(6a)의 정점(頂點) 사이의 높이(H)를 상기 평면부(10)의 폭(W)의 2분의 1보다 작게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S)를 부분 구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H)를 상기 구체의 반경(R)보다 작게 하는 것이다.
본 구성과 같이, 철곡면(6a)의 정점과 평면부(10) 사이의 높이(H)를 상기 평면부(10)의 폭(W)의 2분의 1보다 작게 설정하면, 스페이서(S)의 중심과 상기 정점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평면부(10)의 폭(W)의 2분의 1보다 더 짧아진다.
상기 철곡면(6a)이 한쪽 대향면(2A, 2B)에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스페이서(S)가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면, 이 스페이서(S)에 대해 흔들리게 하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한쪽 대향면(2A)에 대한 철곡면(6a)의 접촉 위치가 이동하지만, 이때 이 접촉 위치와 상기 중심의 거리는 급격하게 증대되어 스페이서(S)에는 강한 복원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본 구성의 경우에는 스페이서(S)의 자세가 보다 안정되고 스페이서(S)가 양 판유리(1A, 1B)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되어 양 판유리(1A, 1B)끼리의 간격이 상기 높이(H)로 설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다면체(正多面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다면체 형상이란, 정다면체 그 자체를 나타내는 것은 물론, 그 각 변 또는 그 일부를 면 깍기를 한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변 즉 능선(稜線)을 평면적으로 깍아 평면 깍기를 한 것, 또는 그 능선 또는 능선의 일부를 곡면으로 형성한 이른 바 R형 면 깍기를 한 것이 포함된다. 또, 각 측면(20) 또는 그 일부를 철면(凸面)으로 형성한 것이나 약간 돌출한 다면(多面)으로 형성한 것, 또 각 측면(20) 또는 그 일부를 요면(凹面)으로 형성한 것이나 오목하게 들어간 다면으로 형성한 것 등도 포함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각 능선을 R형 면 깍기를 한 정육면체 형상의 스페이서(S)가 도시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S)를 안정된 자세로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배치 자세로도 양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수평면 상에 지지된 상태의 정다면체는 지지면 즉 수평면에 어느 하나의 측면이 맞닿아 있는 상태가 안정된 자세이며, 이때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일정하게 된다. 또, 이 정다면체는 곡면 구성의 입체(立體)에 비해 잘 구르지 않기 때문에 스페이서(S)를 배치한 후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스페이서(S)는 각 변이 R형 면 깍기가 되어 있지만, 그 R형 면 깍기를 한 면(22)으로 안정된 자세가 되지는 않고 그 판유리(1)의 대향면(2A) 상의 높이는 항상 소정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가 된다. 또한, 양 대향면(2A, 2B)에 대해서는 각각 평면부(10)에서 맞닿기 때문에, 양 판유리(1A, 1B)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이들 스페이서(S)에 의해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응력 집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정사면체는 정다면체 중 가장 측면 수가 적고 가장 구르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S)를 탑재하는 한쪽 판유리(1A)의 자세가 다소 경사져 있어도 스페이서(S)를 안정된 자세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안정된 자세로 탑재한 각각의 스페이서(S)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양 대향면(2A, 2B)끼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도 용이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스페이서(S)에서는, 각 변을 평면 깍기를 하여 각 변을 이가 나가기 어렵게 하고, 또한 각 정점을 면 깍기를 하여 양 판유리(1A, 1B)에 응력을 집중시키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양 접촉부(5) 사이에 탄성부(7)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7)를 상기 양 접촉부(5)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양 접촉부(5)를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는 접촉판 부재(17)로 구성한다. 이 접촉판 부재(17)에는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동시에,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코일 스프링(7A)을 개재하여 탄성부(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가 양 접촉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의 평면도가 불충분해도 그 탄성부의 가압력으로 각각의 접촉부를 양 대향면(2A, 2B)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유리 패널(P)에 외력이 작용하여 양 대향면(2A, 2B)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상기 탄성부의 압축 반력으로 상기 양 접촉부를 이에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양 접촉부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한 경우나 상기 접촉면을 따른 방향으로 양 판유리(1A, 1B)끼리가 상대 이동하는 경우에, 스페이서(S)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 대향면(2A, 2B)에 과도한 항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7A)이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도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를 굴곡시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이 탄성부(7)로는 예를 들면 평판 부재(12)를 V자형으로 굴곡시킨 것(도 16 참조)이나, N자형으로 굴곡시킨 것(도 17 참조), Z자형으로 굴곡시킨 것(도 18 참조), W자형으로 굴곡시킨 것(도 19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7의 경우와 동일하게, 양 접촉면 사이의 간격의 불균일 또는 양 판유리(1A, 1B)끼리에 상기 접촉면을 따른 방향의 상대 변위가 있어도 스페이서(S)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유리의 대향면(2A, 2B)에 과도한 항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어떤 형상에서나 굴곡부(12b)의 굴곡 각도가 탄성적으로 변화되며 또한 평판부(12a)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양 대향면(2A, 2B)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다소의 차이에 대해서도 그 압축 변형에 대한 반력(反力)으로 접촉부(5)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을 향하여 가압 접촉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것에 추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판 부재(12)가 대략 평판화된 상태가 되거나 대략 접혀 겹쳐진 상태가 되면, 그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를 만곡시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양 접촉부(5) 사이에 설치하는 탄성부(7)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12)를 만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S)를 구성한다. 이 스페이서(S)로는 예를 들면 U자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20 참조) 또는 S자형으로 이루어진 것(도 21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구성의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S)가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양 접촉면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거나 양 판유리(1A, 1B)끼리에 상기 접촉면을 따른 방향의 상대 변위가 있어도 양쪽 접촉부(5)는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대해 확실하게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상기 접촉부(5)가 이것에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S)가 이동하거나 판유리의 대향면(2A, 2B)에 과도한 항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12c)는 일정한 범위 이상으로는 수축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도 기능한다.
청구항 10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7의 특징 구성에서의 탄성부로서, 환형 부재를 그 중심 축선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환형 부재(13)를 주위 방향의 2개소에 그 중심 축선(C)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한 세로 방향 만곡부(13a)를 형성하고 양 접촉부(5) 사이에 상기 세로 만곡부(13a)로 이루어지는 탄성부(7)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 접촉면끼리의 간격이 불균일하거나 양 판유리(1A, 1B)끼리에 상기 접촉면을 따른 방향의 상대 변위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환형 부재(13)가 그 가압력에 의해 양 대향면(2A, 2B)에 맞닿으며 또한 양 대향면(2A, 2B)에 추종하기 때문에, 스페이서(S)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유리의 대향면(A, 2B)에 과도한 항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대향면(2A, 2B)끼리는 적어도 상기 환형 부재(13)의 중심 축선(C) 방향의 두께 이하로는 근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한다.
청구항 11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평판을, 그 외주연부(14)에 대해 그 내주연부(15)를 중심 축선(C) 방향으로 변위시켜 환형 부재(13)를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의 스페이서(S)는 접시형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주연부(15)가 정상면의 외주 원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연부(14)가 저면(底面)의 외주 원을 형성하는 원추대(圓錐臺)의 주위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판을 세로 방향의 단면에서 볼 때 만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이 불균일하거나 양 판유리(1A, 1B)끼리에 양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의 상대 변위가 있어도 스페이서(S)가 접시형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양 대향면(2A, 2B)의 평면도가 불충분해도 내주연부(15)와 외주연부(14)로 이루어지는 접촉부(5)를 그 가압력으로 양 대향면(2A, 2B)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패널(P)에 외력이 작용하여 양 대향면(2A, 2B)끼리에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상기 탄성부의 압축 반력으로 상기 양 접촉부를 이것에 추종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의 스페이서(S)에 의하면, 스페이서(S)가 이동하거나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과도한 항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접촉부(5)끼리의 간격이 축소된 경우에도 이 간격은 적어도 상기 평판의 두께 이상이 되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한다.
청구항 12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7)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線形) 부재(20)를 나선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이 스페이서(S)는 원통형의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S)의 접촉부(5)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판 부재(17)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의 불균일 또는 판유리끼리에 상기 양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의 상대 변위가 있어도, 나선형으로 만곡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는 그 나선 축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이로 인해, 양 대향면(2A, 2B)의 평면도가 불충분해도 그 탄성부(7)의 탄발력(彈發力)으로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접촉부(5)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고, 또 유리 패널(P)에 외력이 작용하여 양 대향면(2A, 2B)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상기 탄성부의 압축 반력으로 상기 양 접촉부를 이것에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스페이서(S)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과도한 항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구성의 경우에도, 당해 스페이서(S)는 일정한 높이 이하로는 수축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한다.
청구항 13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20)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선회하도록 만곡시키는 동시에 상기 선회하는 중심축(P)을 따라 일방향으로 선회 반경을 점차 작게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본 구성의 스페이서(S)는 추형(錐形)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페이서(S)를 중심축(P) 방향으로 압축했을 때, 일주(一周) 선회 후의 선형 부재(23)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선회 반경을 주위 방향으로 변화시킨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좁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나선형으로 만곡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는 그 나선 축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의 평면도가 불충분해도 그 탄성부의 탄발력으로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유리 패널(P)에 외력이 작용하여 양 대향면(2A, 2B) 사이에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상기 탄성부의 압축 반력으로 상기 양 접촉부를 이것에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선형 부재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선회하도록 만곡시키고 그 선회 중심축 방향으로 선회 반경을 일방향을 향하여 점차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일주 후의 선회 반경을 그 전의 선회 만곡된 선형 부재의 내측이 되도록 하면 압축된 상태의 두께는 상기 선형 부재의 선회 축 방향의 두께이므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어떤 자세로 판유리의 대향면(2A, 2B) 상에 배치해도 그 접촉부가 상기 접촉면에 맞닿는 자세가 된다.
또한, 상기 양 접촉부(5)끼리의 간격이 상기 중심축(P) 방향을 따른 상기 선형 부재(23)의 두께 이하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한다.
청구항 14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7 내지 13의 특징 구성에서의 접촉부(5)를, 한쪽 대향면(2A, 2B)에 맞닿을 수 있으며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접촉판 부재(17)로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본 구성의 스페이서(S)로는 탄성부(7)의 단부(端部)에 접촉판 부재(17)를 설치하여 접촉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판 부재(17)에는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맞닿을 수 있는 판유리 접촉면(11)을 설치해 둔다. 본 구성의 경우, 탄성부(7)의 형상 여하에 관계없이 접촉부(5)가 양 대향면(2A, 2B)에 면 접촉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5)가 접촉판 부재(17)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S)와 양 판유리(1A, 1B)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양 판유리(1A, 1B)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경감시키고 양 판유리(1A, 1B)에 헤르츠 균열 등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7 내지 13의 특징 구성에서의 접촉부를, 한쪽 대향면(2A, 2B)에 전체 주연에 걸쳐 맞닿을 수 있는 환형 접촉 부재(16)로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의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한쪽 접촉부(5)를 상기 대향면(2A, 2B)에 전체 주연에 걸쳐 맞닿을 수 있는 환형 접촉 부재(16)로 형성하고, 다른 쪽 접촉부(5)를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중심축(P)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만곡시킨 선형 부재(23)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형 부재(23)는 탄성부(7)를 형성하고 그 길이는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내경(內徑) 내에 들어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과 같이, 스페이서(S)의 접촉부는 그 전체 주연이 상기 대향면(2A, 2B)에 접촉 가능하게 되는 환형 접촉 부재(16)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에 대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경감시키고 판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는 2개의 철곡면((6a)을 구비하고, 상기 양 철곡면(6a)이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의 스페이서(S)에서는 양 판유리(1A, 1B)끼리가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경우에, 접촉판 부재(17)인 상기 양 철곡면(6a)과 양 대향면(2A, 2B)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도 37 참조), 스페이서(S)와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구성에 의하면, 양 대향면(2A, 2B)과 접촉부 사이에 상대적인 슬립을 수반하지 않고 양 대향면(2A, 2B)을 따른 상대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페이서(S)에는 전단(剪斷) 왜곡이 발생되지 않고 판유리의 대향면(2A, 2B)에는 이 대향면(2A, 2B)을 따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유리 내부에 과도한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판유리 및 스페이서(S) 자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판유리의 대향면(2A, 2B) 상으로의 스페이서(S)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철곡면(6a)부를 2개 구비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스페이서(S)가 멋대로 구르는 것을 억제하여 대향면(2A, 2B) 상으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그후의 스페이서(S)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각각 동일 구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철곡면(6a)을 구비하고, 그 상하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 방향의 두께를 상기 구면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5)를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단, 상기 돌출부(25)가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중심축(C)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본 구성과 같이, 동일 구면의 일부로 형성한 양 철곡면(6a)이 양 대향면(2A, 2B)에 맞닿는 것이면 스페이서(S)가 요동해도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스페이서(S)가 구르는 것을 규제할 수 있어 판유리의 대향면(2A, 2B) 상으로의 스페이서(S)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구항 17의 특징 구성에서의 돌출부(25)를, 중심축(C) 주위로 전체 주연에 걸쳐 양 철곡면(6a)과 일체로 연접(連接)된 경사부(25A)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과 같이, 중심축 주위로 전체 주연에 걸쳐 돌출부를 형성하여 경사부(25A)로 하기 때문에 이 경사부(25A)로 스페이서(S)의 경동(傾動)을 규제할 수 있다. 또, 돌출부(25)인 경사부(25A)는 양 철곡면(6a)의 전체 주연에 걸쳐 일체로 연접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가 높고 돌출부(25)에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페이서(S)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이 회전 타원체는 요동 가능한 형상이며 스페이서(S)가 요동함으로써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이 스페이서(S)는 구(球)에 비해 잘 구르지 않기 때문에, 판유리의 대향면(2A, 2B) 상으로의 스페이서(S)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스페이서(S)는 양 판유리(1A, 1B) 및 스페이서(S)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상으로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판유리(1A, 1B)의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는 접촉판 부재(17)를 설치하고, 이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상기 양 대향면(2A, 2B)끼리가 그 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체(26)를 설치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이 변형 허용체(26)는 예를 들면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에 각각 설치한 접촉판 부재(17)끼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전단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해 둔다.
본 구성과 같이 양 접촉부 사이에 변형 허용체를 설치해 두면, 양 판유리(1A, 1B)가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경우에, 이 변형 허용체가 전단 변형되어 양 판유리(1A, 1B)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양 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아 양 판유리(1A, 1B)에 전단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으로의 양 판유리(1A, 1B)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스페이서(S) 및 양 판유리(1A, 1B)를 모두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20의 특징 구성에서의 변형 허용체를 횡방향 탄성체로 형성한 점에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본 구성의 스페이서(S)는 횡방향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변형 허용체(26)를 양 접촉판 부재(170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변형 허용체(26)의 횡방향 탄성 계수를 작게 설정해 두면 양 판유리(1A, 1B)의 상대 이동에 대한 전단 항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횡방향 탄성체의 전단 변형에 의해 상기 양 접촉부 사이의 간격은 그다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양 판유리(1A, 1B)가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때도 상기 양 판유리(1A, 1B)에 전단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횡방향 탄성체는 탄성 복원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 대향면(2A, 2B)끼리의 사이에 스페이서(S)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스페이서(S)를 중립 상태로 유지한 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는, 도 46 및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구항 20의 특징 구성에서의 변형 허용체(26)로서, 경질(硬質)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재(平板材)(27)를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겹친 점에 특징을 가진다.
본 구성과 같이,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재(27)를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 변형 허용체를 형성하는 것이면, 이들 평판재(27)끼리를 대향면(2A, 2B)을 따라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시의 반력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이동시에 양 접촉판 부재(17)끼리의 간격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양 판유리(1A, 1B)의 내부에 전단 왜곡을 초래하지 않고 양 판유리(1A, 1B) 및 스페이서(S)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는 그 사이에 상기 평판재(27)를 겹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평판재(27) 각각에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 속에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S)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S)에 대해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유리 패널(PP)은 한쪽 판유리(1A(1))와 다른 쪽 판유리(1B(1))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며, 한쪽 판유리(1A)의 대향면(2A(2))과 다른 쪽 판유리(1B)의 대향면(2B(2))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S)를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끼리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S)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곡면(6)으로 형성되며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S)가 2개의 철곡면(6a)으로 형성되며 스페이서(S)의 두께가 그 한쪽 철곡면(6a)의 곡률 반경의 2배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철곡면(6a)은 모두 철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부분구를 그 원형(圓形) 단면을 동일 반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단면끼리를 합쳐 양 부분구를 일체화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반 형상의 스페이서(S)의 두께는 양 부분구의 직경보다 작게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두께가 양 부분구의 어느 반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형상에 의하면, 수평면에 지지될 때는 중심과 양 철구면의 중심이 모두 연직선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지지되는 경우가 가장 안정적이다. 따라서, 스페이서(S)가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스페이서(S)가 균질(均質)의 것이면, 그 주연부(9) 즉 상기 단면을 형성하는 원 부분이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것은 스페이서(S)의 두께가 어떤 철구면의 반경의 2배보다 작은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스페이서(S)의 중심으로부터 양 구면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본 경우, 양 구면의 중심에서 해당 거리가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
스페이서(S)가 이상과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1B)의 다른 쪽 대향면(2A, 2BB) 상에 상기 스페이서(S)를 소정 배치한 후에는 이것이 잘 구르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옆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이외에는 상기 스페이서(S)가 상기 대향면(2A, 2B) 상에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한쪽 판유리(1A)를 이것에 덮어 유리 패널(P)을 형성할 때는 상기 판유리(1A)의 한쪽 대향면(2A, 2BA)이 상기 다른 쪽 대향면(2A, 2BB)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S)는 일정한 자세로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되기 때문에,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소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1〉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S)에 복수의 곡면(6)을 형성하기 위해,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면으로 철곡면(6a)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곡면(6)이 요곡면(8)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철곡면(6a) 측은 판유리(1)의 대향면(2A)에 맞닿지만, 요곡면(8)은 그 주연부(9)만으로 상기 대향면(2A, 2B)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요곡면(8)은 상기 주연부(9)로부터 상기 대향면(2A, 2B) 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 어떤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이러한 형상은 잘 구르지 않으며 상기 요곡면(8) 측을 판유리(1)의 대향면(2A)에 엎어놓은 자세가 가장 안정된 자세가 된다.
한편, 철곡면(6a) 측에서 지지하면 상기 주연부(9)가 대략 수평이 되는 자세로 안정된 자세가 되므로, 항상 일정 간격으로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S)에 복수의 곡면(6)을 형성하기 위해 철곡면(6a)이 양측으로 돌출하는 철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S) 표면의 일부가 평면부(10)와 상기 평면부(10)의 외주부에서 연속되는 철곡면(6a)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한 상태에서 스페이서(S)를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평면부(10)가 상기 대향면(2A, 2B) 중 한쪽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평면부(10)에 대한 상기 철곡면(6a)의 정점의 높이(H)가 상기 평면부(10)의 폭(W)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철곡면(6a)에 연속되는 평면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면, 수평으로 배치한 판유리(1B)의 다른 쪽 대향면(2A, 2B) 상에 상기 평면부(10)가 맞닿는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함으로써, 그 맞닿는 평면부(10) 상에 스페이서(S)의 중심이 위치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S)는 안정된 자세로 되기가 용이하다.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S)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평면부(10)가 아래로 되는 자세는 가장 안정된 자세이고, 철곡면(6a)으로 지지되는 자세에서는 상기 평면부(10)가 상기 다른 쪽 대향면(2A, 2B)에 대략 평행한 자세로 안정되기 때문에, 그 위로부터 한쪽 판유리(1A)를 덮으면 그 대향면(2A, 2B)과 상기 평면부(10)가 간단히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0)에 대한 상기 철곡면(6a)의 정점의 높이(H)가 상기 외주부의 단경(短徑) 즉 원반의 폭(W)보다 작게 되어 있으면, 상기 대향면(2A, 2B)에 상기 외주부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는 매우 불안정하게 되어 상기 스페이서(S)가 더 구르기 어렵게 된다.
〈3〉상기 〈2〉에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곡면(6a)이 타원을 단축 주위로 회전시켜 형성되는 회전 도형을 그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일 수도 있다.
또, 평면부(10)의 외주부 근방에 위치하는 곡면의 곡률 반경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타원을 장축 주위로 회전시켜 형성되는 회전 타원체를 장축에 평행한 면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모두 상기와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4〉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가,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의 기둥 형상체 또는 관(管) 형상체로 이루어지면, 마찬가지로 그 전동을 억제할 수 있어 일정한 높이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들은 기둥 형상 또는 관 형상의 측면이 철곡면(6a)을 구성하며 양단면이 평면부(10)를 구성한다.
또, 관 형상체 또는 기둥 형상체를 그 모선(母線)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잘라낸 것(도 11 참조)이어도, 그 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일정한 높이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통 형상체 또는 기둥 형상체의 측부 곡면이 철곡면(6a)을 구성하고 상기 잘라낸 절단면이 평면부(10)를 구성한다.
〈5〉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S)에 복수의 곡면(6)을 형성하기 위해, 양측으로 돌출하는 철구면으로 철곡면(6a)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스페이서(S)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이것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정팔면체 형상, 정십이면체 형상, 정이십면체 형상 어느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은 모두 평행한 측면을 가지며 이들의 간격이 모두 동등하기 때문에 모든 안정된 자세에서 동등한 높이가 된다. 따라서, 임의의 설정 위치에 움직이지 않게 설치한 상태에서 대향면(2A, 2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대향면(2A, 2B) 사이를 설정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단, 측면의 수가 적어질수록 구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스페이서(S)의 위치 안정을 위해서는 측면의 수는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6〉상기 〈3〉에서, 각 변(모서리)이 면 깍기 또는 R형 면 깍기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8은 각 모서리를 R형 면 깍기를 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각 모서리를 평면 깍기를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면 깍기를 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각 측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 측면에 철부(凸部)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설정 간격이 상이하지 않으면 된다. 각 측면이 요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기 설정 간격이 상이하지는 않다.
〈7〉상기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상하면을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측면을 복수의 곡면(6)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의 경우, 측면이 옆쪽으로 팽출(膨出)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측면에 의한 지지가 더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이들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패널(P)의 스페이서(S)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유리 패널(P)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S)는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키는 상기 스페이서(S)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촉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접촉부(5) 사이에 탄성부(7)를 설치하며 그 탄성부(7)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23)를 나선형으로 만곡시켜 나선형 스프링인 코일 스프링(7A)을 형성한다. 상기 양 접촉부(5)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7A)은 상기 양 접촉부(5)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을 수 있는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접촉판 부재(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면, 상기 코일 스프링(7A) 및 상기 접촉판 부재(17)는 모두 스테인레스 강(예를 들면 SUS304)의 세선(細線) 및 박판(薄板)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7A)으로는 예를 들면 선 직경이 5㎛의 스테인레스 강 세선을 선회 직경 150㎛로 5회 감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접촉판 부재(17)로는 상기 스테인레스 강 박판의 판 압력을 5㎛로 하고 200㎛의 원반으로 형성한 것을 각각 사용하여, 각각을 융착·일체화하여 상기 스페이서(S)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7)를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7A)의 양단이 면(面)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접촉판 부재(17)의 판유리 접촉면(11)으로 판유리(1)의 대향면(2A)에 면 접촉시키고, 상기 양 접촉부(5)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판유리(1)의 대향면(2A)의 평면도가 불충분하고 간격이 어느 정도 달라도 상기 코일 스프링(7A)의 압축 반력으로 양 판유리 접촉면(11)을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가압 접촉할 수 있어, 그 위치는 안정되며 또한 유리 패널(P)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양 대향면(2A, 2B)이 서로 근접 이간되는 상대 변위를 허용한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7A)의 코일 간격이 0이 되는 상태에서 그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S)가 가장 압축된 상태에서는 코일 축 방향 두께와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 두께의 합이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최소 간격(상기의 예에 의하면 35㎛)이 되어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소정 간격(예를 들면 35㎛ 이상)으로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유리 접촉면(11)으로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맞닿기 때문에, 첨단으로 유리면에 맞닿는 것을 피하여 양 유리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1〉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 부재(17)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통 형상의 코일 스프링(7A)만으로 스페이서(S)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7A)의 양단부가 상기 접촉부(5)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S)에서는 상기 접촉부(5)가 환형으로 형성되지만, 양 대향면(2A, 2B) 각각에 양단부로 맞닿게 되기 때문에 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2〉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상기 선형 부재(23)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선회하도록 만곡시키는 동시에, 상기 선회하는 중심축(P)을 따라 일방향으로 선회 반경을 점차 작게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S)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나선형의 선형 부재(23)가 직경이 큰 쪽의 선형 부재의 선회 직경 내에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선형 부재(23)가 전장에 걸쳐 양 대향면(2A, 2B)에 모두 맞닿는 상태가 되어,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최소 간격을 상기 선형 부재(23)의 선 직경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외력이 큰 상태에서는 상기 선형 부재(23)가 전장에 걸쳐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판유리(1)에 미치는 응력의 집중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7)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12)를 굴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서(S)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평판 부재(12)의 양단부에 한쪽 판유리(1A)의 대향면(2A)에 맞닿을 수 있는 판유리 접촉면(11)이 구비되어 있다. 이 판유리 접촉면(11)은 평판부(12a)로 이루어지는 한쪽 접촉부(5A)로서 형성된다. 스페이서(S)는 그 사이를 3개소에서 굴곡시켜 상기 탄성부(7)가 단면이 역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하 반대일 수도 있다. 상기 V자형으로 굴곡된 굴곡부(12b)가 다른 쪽 판유리(1B)의 대향면(2B)에 맞닿을 수 있는 다른 쪽 접촉부(5B)로 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의 양단부를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을 수 있으며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평판부(12a)로 이루어지는 접촉부(5)로 형성하고, 그 사이를 4개소에서 굴곡시켜 상기 탄성부(7)가 단면이 N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2개소의 굴곡부(12b)는 각각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는 접촉부(5)로도 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의 양단부를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을 수 있으며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평판부(12a)로 이루어지는 접촉부(5)로 형성하고, 그 사이를 2개소에서 굴곡시켜 상기 탄성부(7)가 단면이 Z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의 양단부를 한쪽 판유리(1A)의 대향면(2A)에 맞닿을 수 있으며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평판부(12a)로 이루어지는 한쪽 접촉부(5A)로 형성하고, 그 사이를 5개소에서 굴곡시켜 상기 탄성부(7)가 단면이 W자형(또는 M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W자형으로 굴곡된 2개소의 굴곡부(12b)가 다른 쪽 접촉부(5B)로 되어 있다. 또, 다른 1개소의 굴곡부(12b)는 한쪽 접촉부(5A)로도 되어 있다.
어느 형상에서나, 각 굴곡부(12b)의 굴곡 각도가 탄성적으로 변화하며 또한 상기 굴곡부(12b) 사이의 평판이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양 대향면(2A, 2B)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이 다소 변화되어도 그 압축 변형에 대한 탄성 반력으로 접촉부(5)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을 향해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것에 추종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 도 19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가 대략 평판화된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고, 도 18의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가 대략 접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게 된다. 따라서, 가장 외력이 큰 상태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가 대략 전장에 걸쳐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맞닿게 되기 때문에, 판유리(1)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장방형상의 평판 부재(12)를 굴곡시켜 형성되며 굴곡부(12b)를 구비하는 스페이서(S)를 도시하였지만, 평판부(12a)가 원·타원·장원·다각형 등의 상이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평판 부재(12)가 원형·타원형·장원형 등 도시한 것과는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4〉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7)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12)를 만곡시킨 것일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평판 부재(12)의 양단부를 접촉부(5)로 형성한다. 이 접촉부(5)는 각각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각각에 개별로 접촉이 가능하다. 접촉부(5)는 예를 들어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평판부(12a)로 구성하고 그 사이가 만곡된 만곡부(12c)로 연결되어 있다. 이 만곡부(12c)는 탄성부(7)로서 기능한다.
또 도 21에 도시한 예는, 양쪽 접촉부(5) 사이에 상기 만곡부(12c)를 2개소 형성한 것이다. 본 구성에서도 상기 만곡부(12c)가 곡률을 작게 하도록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접촉부(5)끼리가 탄성적으로 근접하도록 변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만곡부(12c)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 도 16 등에 도시한 예의 굴곡부(12b)를 만곡부(12c)로 치환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만곡부(12c)가 곡률을 크게 하도록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접촉부(5)끼리가 탄성적으로 근접하도록 변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장방형상의 평판 부재(12)를 만곡시켜 만곡부(12c)를 형성한 스페이서(S)를 도시하였지만, 평판부(12a)가 원·타원·장원·다각형 등의 상이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평판 부재(12)가 도시한 것과는 상이한 원형·타원형·장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다소의 차이에 대해서도 그 스페이서(S)의 압축 변형에 대한 탄성 반력으로 접촉부(5)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을 향하여 가압된다.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지고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 변화에 추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 상기 만곡부(12c)가 허용하는 범위 이상으로는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페이서(S)로서 기능한다.
〈5〉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7)가 원환(圓環) 형상으로 형성된 환형 부재(13)를 그 환형 부재(13)를 형성한 면에서 만곡시키고 그 중심 축선(C)의 길이 방향을 따른 2개소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만곡 돌출시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부재(13)는 중심 축선(C) 방향으로 돌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부재(13)가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으로 3개소에서 돌출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만곡 돌출되어 있는 개소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한쪽 판유리(1A)의 대향면(2A)에 맞닿을 수 있는 접촉부(50)를 상기 만곡 돌출된 정점에서 형성하게 되고,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의 만곡에 의해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으로의 만곡 돌출부가 탄성부(7)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다소의 차이에 대해서도 그 스페이서(S)의 압축 변형에 대한 탄성 반력으로 접촉부(5)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을 향하여 가압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것에 추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만곡 돌출부가 가압되어 환형 부재(13)가 환형으로 된 상태가 가장 압축된 상태이고,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상기 환형 부재(13)의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의 두께로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양쪽 도면에 도시한 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환형 부재(13)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평면에서 본 형상이 장원형·타원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 상기 탄성부(7)가 평면에서 보아 직선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상기 환형 부재(13)의 상기 탄성부(7)를 제외한 부위의 만곡 중심축 방향을 중심 축선(C) 방향이라고 한다.
〈6〉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도 26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내주연부(15)를 상기 중심 축선(C) 방향을 따라 외주연부(14)로부터 변위시켜 상기 환형 부재(13)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6에는 스페이서(S)를 원추면으로 형성한 접시형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도 27에는 스페이서(S)를 외측으로 팽출하는 곡선을 회전시킨 회전 면으로 형성한 접시형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며, 도 28에는 스페이서(S)를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곡선을 회전시켜 형성한 회전면을 구비하는 접시형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였다. 어느 예에서나 내주연부(15)와 외주연부(14)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을 수 있는 접촉부(5)를 구성하고 전체를 중심 축선(C)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부(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각각에 수직 방향의 중심 축선(C) 방향으로 탄성 반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에 다소의 동일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도, 또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것에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접촉부(5) 사이가, 적어도 상기 평판의 두께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하게 된다.
〈7〉제2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5)가 상기 대향면(2A, 2B) 중 한쪽에 전체 주연에 걸쳐 맞닿을 수 있는 환형 접촉 부재(16)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시한 것은 탄성부(7)를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23)로,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로부터 중심축(P)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여 뻗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부재(23)를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두께 이하로 형성하고, 이것이 양 대향면(2A, 2B) 사이에서 압축되었을 때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 내로 들어오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양 대향면(2A, 2B)이 가장 근접하는 상태는 상기 양 대향면(2A, 2B)이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양면에 맞닿는 상태이고,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중심축(P) 방향의 두께로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형 부재(23) 대신 판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환형 접촉 부재(16)의 내경 내에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8〉상기한 것 이외에, 예를 들면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판유리(1A)의 대향면(2A)에 맞닿을 수 있는 한쪽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12)의 일부를 잘라내어 상기 한쪽 판유리 접촉면(11)으로부터 돌기시켜 탄성부(7)를 형성한 스페이서(S)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탄성부(7)에 다른 쪽 판유리(1B)의 대향면(2B)에 맞닿을 수 있는 다른 쪽 판유리 접촉면(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상기 평판 부재(12)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S)를 평판화시키는 방향의 압축 왜곡을 가하여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에 협지되어 있으면,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각각에 수직 방향으로 탄성 반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에 다소의 동일하지 못한 부분이 있어도, 또 이 상태에서 유리 패널(P)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양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도 이것에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유리 접촉면(11) 사이가, 적어도 상기 평판 부재(12)의 두께 이하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규제할 수 있다.
〈9〉상기 스페이서(S)의 재료는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테인레스 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스테인레스 강일 수도 있고, 또 예를 들면 인코넬 718 등의 니켈기 초합금을 포함하는 니켈 합금이나, 그 이외에도 다른 금속·석영 유리·세라믹스 등일 수도 있으며, 요컨대 외력을 받아 양 판유리(1A, 1B)끼리가 접하지 않도록 간격을 규제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한, 세라믹스인 경우에도 매우 얇거나 또는 매우 가늘게 형성하면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의한 유리 패널(P)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극부(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스페이서(S)를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고,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저융점 유리를 융착하여 상기 외주 밀폐부(4)를 형성한다.
상기 공극부(3)를 감압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주 밀폐부(4)를 형성하고 외주부를 밀봉한 후에 흡인구(吸引口)(18)로부터 흡인 배기하여 상기 흡인구(18)도 마찬가지로 저융점 유리를 융착하여 밀봉한다(도 35 참조).
상기 스페이서(S)는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는 2개의 철곡면(6a)을 구비한다. 이 철곡면(6a)은 하나의 구면을 형성하는 가상 구체(19)의 일부이다. 상기 양 철곡면(6a)은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한다. 상기 스페이서(S)는 요동 가능하며, 상기 대향면(2A, 2B)을 따른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를 상기 철곡면(6a)의 접촉 위치의 변화에 의해 스페이서(S)와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의 상대적인 슬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양 대향면(2A, 2B)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하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C) 방향의 두께를 상기 구면의 직경, 즉 상기 가상 구체(19)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돌출 형성한 돌출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5)는 상기 중심축(C) 주위로 전체 주연에 걸쳐 상기 양 철곡면(6a)과 일체로 연접된 경사부(25A)를 형성하고 그 스페이서(S)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25A)는 도 36에 종단면을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면 모두 원추각이 크며, 상기 가상 구체(19)에 외접(外接)하는 원추면으로 형성하고 전체의 외표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S)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곡면(6a)으로 양 대향면(2A, 2B)에 접촉되어 있으면 양 판유리(1A, 1B)가 상대 이동해도 상기 양 대향면(2A, 2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경사부(25A)의 상하면이 상기 가상 구체(19)에 외접하는 서로 역방향의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25A)가 상기 대향면(2A, 2B)에 접할 때까지는 스페이서(S)는 경동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S)가 가장 경동되었을 때 상기 대향면(2A, 2B)에 접하는 것은 상기 원추면의 모선이다. 따라서, 상기 가상 구체(19)의 일부로 형성된 철곡면(6a)에 의해 스페이서(S)의 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
〈1〉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는, 예를 들면 도 39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상 구체(19)의 상하로 철곡면(6a)을 형성하고, 그 상하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C) 방향의 두께를 상기 가상 구체(19)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돌출 형성한 돌출부(2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상하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과 교차하는 세 방향으로 외주면이 상기 가상 구체(19)에 외접하고, 상기 중심축(C) 방향의 두께 즉 직경이 가는 쪽의 직경이 상기 구면의 직경보다 작아지는 원추면으로 돌출 형성된 3개의 돌출부(25)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상하 양 철곡면(6a)이 각각 동일 가상 구체(19)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 철곡면(6a)으로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에 접촉되어 있으면 상기 양 대향면(2A, 2B)의 간격이 상기 가상 구체(19)의 직경으로 유지된다.
또, 상기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페이서(S)가 경동했을 때는 상기 경사부(25A)로 상기 대향면(2A, 2B)에 접하게 된다(도 40 참조).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S)의 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5)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상기 가상 구체(19)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S)의 요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그 요동 각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가상 구체(19)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의 전동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중심축(C)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경사져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돌출부(25)의 수는 세 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의 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추면의 직경이 큰 쪽의 직경은 상기의 외접 원추면의 직경이 큰 쪽의 직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2〉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로는 상기 돌출부(25)를 상기 중심축(C) 주위로 전체 주연에 걸쳐 상기 양 철곡면(6a)과 일체로 연접된 경사부(25A)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곡면(6a)을 상하로 각각 형성하고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C) 주위로 상기 가상 구체(19)의 전체 주연에 걸쳐 원반 형상의 돌출부(25)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이 돌출부(25)의 외주부에 경사부(25A)를 형성해 둔다. 이 경사부(25A)는 양 대향면(2A, 2B)에 맞닿을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S)의 경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25A)는 양 철곡면(6a)과 일체로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그 돌출부(25)가 구부러져 손상되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3〉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로는 예를 들면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의 철곡면(6a)을 회전 타원체 표면의 일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절반의 타원을 그 단축 주위로 회전시킨 회전 타원 형상의 것을 스페이서(S)로 한다.
도시한 예는 단축(J)으로 분리한 절반의 타원을 상기 단축(J) 주위로 회전시킨 회전 타원체 형상으로 스페이서(S)를 형성한 예이며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에 의하면, 수평면 상에서는 상기 단축(J)이 연직 방향을 따른 자세 이외에서는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S)는 상기 단축(J)이 대략 연직이 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S)는 구르지 않기 때문에 판유리(1)의 대향면(2A) 상에 스페이서(S)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양 대향면(2A, 2B)에 대해서는 상하의 철곡면(6a)이 맞닿기 때문에, 상기 판유리(1)가 상기 대향면(2A, 2B)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철곡면(6a)과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스페이서(S)가 경동하게 된다.
〈4〉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S)로는, 예를 들면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S)에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는 접촉판 부재(17)를 설치하고, 그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상기 양 대향면(2A, 2B)끼리 이들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체(2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양 접촉판 부재(17)가 각각 양 대향면(2A, 2B)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페이서(S)는 경동하지 않지만, 상기 접촉판 부재(17)와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양 판유리(1A 1B)가 상대 이동할 수 있다(도 45 참조).
이때, 상기 양 판유리(1A, 1B) 내부에 전단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판유리(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변형 허용체(26)는 그 자체가 전단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S) 자체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5〉상기 〈4〉에서, 변형 허용체(26)를 횡방향 탄성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6 및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설치한 변형 허용체(26)를 횡방향 탄성체로 형성하여 스페이서(S)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양 판유리(1A, 1B)가 상기 대향면(2A, 2B)을 따라 상대 이동했을 때도 상기 변형 허용체(26)가 탄성적으로 전단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의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접촉판 부재(17)끼리가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허용체(26)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판유리(1)의 대향면(2A) 상에 스페이서(S)를 배치함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체(26)의 중립 위치, 즉 어떤 방향으로의 전단 변형 능력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상기 〈4〉에서의 변형 허용체(26)가 슬립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막 재료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4〉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7〉상기 〈4〉에서, 변형 허용체(26)를,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재(27)를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겹쳐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6 및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허용체(26)로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재(27)를 한 쌍의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 스페이서(S)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양 대향면(2A, 2B)을 따라 상대 이동한 경우에도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가 상기 양 판유리(1A, 1B)와 함께 저항없이 상대 이동할 수 있다(도 47 참조).
또한, 상기 평판재(27)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는 그 사이에 상기 평판재(27)를 겹친 상태에서 서로 연결해 두면, 상기 판유리(1)의 대향면(2A) 상에 이 스페이서(S)를 배치할 때 이것을 일체로 취급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평판재(27) 각각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 속에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것이 가능하게 된다.
〈8〉상기 〈6〉에서의 상기 평판재(27)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고, 상기 접촉판 부재(17) 사이에 1매의 평판재(27)를 상기 양 접촉판 부재(17)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하여 개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공통된 다른 실시예〕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를 적용하는 유리 패널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1〉상기 판유리는 앞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하게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재질·치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어 어떠한 판유리도 가능하다. 또 유리의 종별은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형(型) 판유리, 불투명 유리(표면 처리에 의해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유리), 망입(網入) 유리 또는 강화 유리나 열선(熱線) 흡수, 자외선 흡수, 열선 반사, 자외선 반사 등의 기능을 부여한 판유리나, 이들과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2〉또, 유리의 조성은 소다 규산 유리(소다 석회 실리카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각종 결정화 유리 등일 수도 있다.
〈3〉상기 판유리는 한쪽 판유리(1A)와 다른 쪽 판유리(1B)가 길이나 폭 치수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는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양 판유리(1A, 1B)의 겹치는 방법은 단연부(端緣部)끼리가 일치하는 상태로 겹칠 수도 있다. 또, 한쪽 판유리와 다른 쪽 판유리의 두께 치수가 상이한 것을 조합하여 유리 패널(P)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는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S)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유리 패널(P)은 여러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건축용·탈것(vehicle)용(자동차의 창유리, 철도 차량의 창유리, 선박의 창유리)·기기 요소용(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면 유리나, 냉장고의 개폐 도어나 벽부(壁部), 보온 장치의 개폐 도어나 벽부) 등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2)

  1.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外緣)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P)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곡면(6)으로 형성되며,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철곡면(凸曲面)(6a)으로 형성되며 그 한쪽 철곡면(6a)의 곡률 반경의 2배보다 얇게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3.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표면의 일부가 평면부(10)와 상기 평면부(10)의 외주부에서 연속되는 철곡면(6a)으로 형성되며, 안정된 자세로 움직이지 않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상기 평면부(10)가 상기 대향면(2A, 2B) 중 한쪽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10)와 상기 철곡면(6a)부의 상기 평면부(10)에 대한 정점(頂點) 사이의 높이가 상기 평면부(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5.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정다면체(正多面體)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그 복수 변(邊) 중 적어도 하나의 변 또는 그 복수 정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정점이 면 깍기가 되어 있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6.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정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정다면체의 형상이 정사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7.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촉부(5)를 형성하고 상기 양 접촉부(5) 사이에 탄성부(7)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7)가 상기 양 접촉부(5)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7)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平板) 부재(12)를 굴곡시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7)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부재(12)를 굴곡시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7)를 형성함에 있어 환형 부재(13)를 그 중심 축선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하여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재(13)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평판의 외주연부(14)에 대해 상기 평판의 내주연부(15)를 상기 중심 축선 방향으로 변위시켜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7)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20)를 나선형으로 만곡시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형 부재(20)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선회하도록 만곡되는 동시에 상기 선회하는 중심축을 따라 일방향으로 선회 반경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5)가 상기 대향면(2A, 2B) 중 한쪽에 맞닿을 수 있으며 판유리 접촉면(11)을 구비하는 접촉판 부재(17)로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5.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대향면(17) 중 한쪽에 전체 주연(周緣)에 걸쳐 맞닿을 수 있는 환형 접촉 부재(16)로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6.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는 2개의 철곡면(6a)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 철곡면(6a)부가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 사이에 협지함으로써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철곡면(6a)부로서 상하로 각각 동일 구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철곡면(6a)을 구비하고, 그 상하 양 철곡면(6a)을 통과하는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 방향의 두께를 상기 구면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돌출 형성한 돌출부(25)가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5)가 상기 중심축 주위로 전체 주연에 걸쳐 상기 양 철곡면(6a)과 일체로 연접(連接)된 경사부(25A)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19.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회전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20. 한 쌍의 판유리(1A, 1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공극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판유리(1A, 1B)의 외연 전체에 걸쳐 외주 밀폐부(4)를 설치하고, 상기 공극부(3)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는 유리 패널에서, 상기 양 판유리(1A, 1B)의 대향면(2A, 2B) 사이에 개재시켜 상기 대향면(2A, 2B) 사이를 상기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양 대향면(2A, 2B)에 각각 개별로 맞닿는 접촉부(5)를 형성하고 상기 양 접촉부(5) 사이에 상기 양 대향면(2A, 2B)끼리의 그들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변형 허용체가 설치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체가 횡방향 탄성 변형체로 형성되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체로서 경질(硬質)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재(27)가 상기 양 접촉부(5) 사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는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KR1020007001333A 1998-06-08 1999-06-03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KR20010022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58858A JPH11349358A (ja) 1998-06-08 1998-06-08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98-158858 1998-06-08
JP10221346A JP2000054745A (ja) 1998-08-05 1998-08-05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10221347A JP2000054746A (ja) 1998-08-05 1998-08-05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98-221346 1998-08-05
JP98-221347 1998-08-05
PCT/JP1999/002983 WO1999064365A1 (fr) 1998-06-08 1999-06-03 Plaque d'ecartement de panneau de ver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36A true KR20010022736A (ko) 2001-03-26

Family

ID=2732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33A KR20010022736A (ko) 1998-06-08 1999-06-03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18493A4 (ko)
KR (1) KR20010022736A (ko)
CN (1) CN1274339A (ko)
CA (1) CA2299349A1 (ko)
WO (1) WO199906436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88B1 (ko) * 2004-05-07 2007-04-12 (주)이엔바이오21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중창
KR101516110B1 (ko) * 2014-01-14 2015-05-04 윤영상 진공유리
KR102184224B1 (ko) * 2020-08-20 2020-11-27 주식회사 수정유리 내진 유리 구조체
KR20210112668A (ko) 2020-03-05 2021-09-15 이상백 진공유리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1715A1 (fr) * 2009-10-22 2011-04-29 Saint Gobain Espaceur en verre trempe
US9732552B2 (en) 2010-03-27 2017-08-15 Robert S. Jones Vacuum insulating glass unit with viscous edge seal
US9689195B2 (en) 2010-03-27 2017-06-27 Robert S. Jones Vacuum insulating glass unit with viscous edge seal
BE1019737A3 (fr) * 2010-05-18 2012-12-04 Agc Glass Europe Espaceur pour panneau de vitrage sous vide, panneau de vitrage sous v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s.
JP6305042B2 (ja) 2013-12-06 2018-04-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用間隔保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9366071B1 (en) * 2014-12-03 2016-06-14 Peter Petit Low-friction spacer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CN107065314B (zh) * 2017-03-03 2020-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隔垫物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WO2018179994A1 (ja) * 2017-03-31 2018-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及びガラス窓
EP3842611B1 (en) 2018-02-14 2023-10-11 VKR Holding A/S Compressible pillar for a vacuum insulated glazing unit
EP3755861B1 (en) * 2018-02-22 2021-12-29 VKR Holding A/S Vacuum insulating glass units based on topographic representations
WO2021182099A1 (ja) * 2020-03-13 2021-09-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減圧複層ガラス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84600D1 (de) * 1985-11-29 1992-04-30 Emil Baechli Waermeisolierendes bau- und/oder lichtelement.
AUPM888994A0 (en) * 1994-10-19 1994-11-10 University Of Sydney, The Design improvement to vacuum glazing
JPH08133795A (ja) * 1994-10-31 1996-05-28 Kazukimi Murakami 断熱性をもつ複合硝子板
JPH1149536A (ja) * 1997-07-31 1999-02-23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の作製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388B1 (ko) * 2004-05-07 2007-04-12 (주)이엔바이오21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는 이중창
KR101516110B1 (ko) * 2014-01-14 2015-05-04 윤영상 진공유리
KR20210112668A (ko) 2020-03-05 2021-09-15 이상백 진공유리창
KR102184224B1 (ko) * 2020-08-20 2020-11-27 주식회사 수정유리 내진 유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99349A1 (en) 1999-12-16
WO1999064365A1 (fr) 1999-12-16
EP1018493A4 (en) 2001-01-03
CN1274339A (zh) 2000-11-22
EP1018493A1 (en)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736A (ko) 유리 패널의 스페이서
US10578718B1 (en) Rotatable mirror assemblies
CN100492058C (zh) 微透镜阵列及其制造方法
US7567367B2 (en) Micro-mirror device and array thereof
JP6463036B2 (ja) 間隔保持部材
JP3946498B2 (ja) 液晶パネル
JPH11315668A (ja) ガラスパネル
US8446534B2 (en) Multi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CA1081069A (en) Radiant heat recouperation
JP2005114772A (ja) 反射体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6333319A (ja) フロッピ−ディスク装置の磁気ヘッド支持シ−ト
US20130229713A1 (en) Force-Insensitive Fabry-Perot Etalon
JPH11349358A (ja)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2000054746A (ja)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4970366B2 (ja) 組合せ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5375016A (en) Concave mirror
JP2000054745A (ja)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US7278623B2 (en) Vibration control unit and vibration control body
JPH11343151A (ja) ガラスパネルの間隔保持部材
JP2009271454A (ja) 非球面反射光学素子
US20020067445A1 (en) Reflecting panel structure of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CN215340658U (zh) 一种带张角反射式几何全息屏
US20230141217A1 (en) Depressurized multilayered glass panel
JPH116908A (ja) 道路反射鏡
KR830001086Y1 (ko) 너클 이음된 타일열을 사용한 용접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