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365A -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365A
KR20000059365A KR1019990006912A KR19990006912A KR20000059365A KR 20000059365 A KR20000059365 A KR 20000059365A KR 1019990006912 A KR1019990006912 A KR 1019990006912A KR 19990006912 A KR19990006912 A KR 19990006912A KR 20000059365 A KR20000059365 A KR 2000005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cent
strontium
titanium
aluminum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546B1 (ko
Inventor
김창주
한승전
정윤철
이기업
이봉수
이종택
도청락
도광락
Original Assignee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도청락
주식회사 한도산업
장용성
주식회사 한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도청락, 주식회사 한도산업, 장용성, 주식회사 한얼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9000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5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Energy Discharge Machine : EDM)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 고용 및 석출강화 효과에 의해 재료의 강도를 높이고, 스트론튬(Sr)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키거나, 티타늄(Ti)과 보론(B)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키거나, 스트론튬(Sr), 티타늄(Ti)및 보론(B)을 함께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킴과 아울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켜 취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열간 및 냉간가공성을 개선하여 아연(Zn)의 함량이 높거나 아연(Zn) 당량이 높은 재질이라도 그 선재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금은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된다.

Description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Cu-Zn-Al, Sr, Ti, B alloys for EDM(Energy Discharge Machine) w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방전가공기(Energy Discharge Machine : EDM)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 고용 및 석출강화 효과에 의해 재료의 강도를 높이고, 스트론튬(Sr)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키거나, 티타늄(Ti)과 보론(B)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키거나, 스트론튬(Sr), 티타늄(Ti)및 보론(B)을 함께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킴과 아울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켜 취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열간 및 냉간가공성을 개선하여 아연(Zn)의 함량이 높거나 아연(Zn) 당량이 높은 재질이라도 그 선재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방전가공은 수중에서 세선의 와이어 전극과 피삭물 간의 방전을 제어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방법으로, 주로 복잡하게 절단하려는 금형가공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뿐만 아니라 도전성이 있는 것이라면 초경합금이나 세라믹스 등과 같이 난가공성 재료의 가공에도 정밀성이 있어서 향후 확대보급이 확실시되고 있다.
현재 방전가공기 전극선으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는 65%동(Cu)-35%아연(Zn) 합금인 황동선과 최근에는 동(Cu)-20∼40%아연(Zn) 합금에 알루미늄(Al), 갈리움(Ga), 크롬(Cr), 망간(Mn)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1 ∼ 5.0% 이하로 첨가한 합금황동선을 비롯하여 황동선이나 강철선 표면에 아연(Zn)을 도금한 도금선 등의 3 종류로 대별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경은0.20 ∼ 0.30 mm가 주류를 이루나 정밀가공용으로는0.1 mm 이하의 선재도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방전가공기 전극선재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여러 가지로 많으나, 이 중에서 절삭속도를 좌우하는 요소는 선재의 합금성분 중에 아연(Zn)의 함량이 많을수록 양호하였다.
이는 방전시 발생되는 열이 증발하는 아연(Zn)과 함께도 소모되기 때문이며, 합금중에 아연(Zn)의 함량이 높을 수록 그 만큼 방열효과도 큰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황동합금에서 아연(Zn)의 함량을 높이거나 아연(Zn)의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기존의 황동합금에 아연(Zn)의 당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원소인 알루미늄(Al)을 첨가하는 합금이 개발되어 사용중이다.
방전가공시 절삭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전극선재인 황동에서 아연(Zn)을 40% 이상 첨가하면 금속기지는 β상의 조직으로 변하여 열간가공성에는 지장이 없으나, 상온에서의 경도가 증가하고 인성이 부족하여져서 냉간가공성이 급속히 나빠져 세선으로의 인발가공이 매우 곤란하여 실용성이 없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 고용 및 석출강화 효과에 의해 재료의 강도를 높이고, 스트론튬(Sr)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키거나, 티타늄(Ti)과 보론(B)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키거나, 스트론튬(Sr), 티타늄(Ti)및 보론(B)을 함께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킴과 아울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켜 취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열간 및 냉간가공성을 개선하여 아연(Zn)의 함량이 높거나 아연(Zn) 당량이 높은 재질이라도 그 선재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합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연(Zn)의 함량을 40-45%까지로 증가시켰으며 강도와 인성을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등의 첨가로써 보완한 새로운 합금으로 절삭속도가 15-20% 개선되었고 절삭시 과열에 의한 피절삭면의 변색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나타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아연(Zn) 함량과 제 3의 원소의 첨가량의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및 보론(B) 등을 적당량 첨가함으로써 재료의 강도와 냉간인발 가공성을 개선하였고, 아연(Zn)의 함량이나 당량을 높인 새로운 방전가공기 전극선의 개발로 절삭속도를 향상하였고, 금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0.1 mm 이하의 세선의 가공도 용이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은 최종적으로 선재를 만드는 단계에 사용되는 주괴의 주조방법에 따라 금형에 주조하여 압출가공을 거치는 방법과 연속주조하여 압출가공을 거치지 않는 방법으로 나뉘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먼저 금형 주조에 의한 주괴제조단계를 거치는 방법을 살펴보면,
목표로하는 합금성분에 따라 각각의 첨가원소들은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으로 조성되는 조성범위를 만족하도록 각각 평량하는 평량단계와,
평량단계후 먼저 동(Cu)을 용해하여 완전히 용해되면 용탕의 가열을 멈춘 후, 아연(Zn)을 한 덩어리씩 용탕 깊숙히 플런저로 밀어 넣어 용탕 속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아연(Zn)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하며 용해합금하며 계속하여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및 보론(B) 중에서 선택한 첨가원소도 같은 방법으로 투입하여 용해합금하는 용해합금단계와,
용해합금한 용탕을 주조가 적당한 온도까지 다시 가열한 후, 금형에 주조하여 슬라브 상태의 주괴로 제조하는 주괴제조단계와,
주괴제조단계를 거친 주괴를 열간압출 후 소둔처리와 냉간인발을 반복하여 선재를 제조하는 선재제조단계와,
선재제조단계를 거친 최종의 선재를 잔류응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강화효과를 주어 직선성과 탄성이 좋은 상태의 방전가공기용 전극선이 되도록 180 ∼ 2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소둔하는 소둔 단계를 거친다.
또한 연속주조에 의한 주괴제조단계를 거치는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목표로하는 합금성분에 따라 각각의 첨가원소들은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으로 조성되는 조성범위를 만족하도록 각각 평량하는 평량단계와,
평량단계후 먼저 동(Cu)을 용해하여 완전히 용해되면 용탕의 가열을 멈춘 후, 아연(Zn)을 한 덩어리씩 용탕 깊숙히 플런저로 밀어 넣어 용탕 속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아연(Zn)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하며 용해합금하며 계속하여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및 보론(B) 중에서 선택한 첨가원소도 같은 방법으로 투입하여 용해합금하는 용해합금단계와,
용해합금한 용탕을 주조가 적당한 온도까지 다시 가열한 후, 연속주조에 의해 연속적인 선재상태의 주괴로 제조하는 연속주조단계와,
이를 가지고 직접적으로 소둔처리와 냉간인발을 반복하여 선재를 목표로하는 선경으로 인발하여 제조하는 선재제조단계와,
선재제조단계를 거친 최종의 선재를 잔류응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강화효과를 주어 직선성과 탄성이 좋은 상태의 방전가공기용 전극선이 되도록 180 ∼ 2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소둔하는 소둔 단계를 거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알루미늄(Al)을 첨가하여 고용 및 석출강화 효과에 의해 재료의 강도를 높이고, 스트론튬(Sr)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키거나, 티타늄(Ti)과 보론(B)을 미량 첨가하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키거나, 스트론튬(Sr), 티타늄(Ti)및 보론(B)을 함께 첨가하여 주상정에서의 공정조직을 미세화시킴과 아울러 주상정 자체를 미세화시켜 취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열간 및 냉간가공성을 개선하여 아연(Zn)의 함량이 높거나 아연(Zn) 당량이 높은 재질이라도 그 선재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합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연(Zn)의 함량을 40-45%까지로 증가시켰으며 강도와 인성을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등의 첨가로써 보완한 새로운 합금으로 절삭속도가 15-20% 개선되었고 절삭시 과열에 의한 피절삭면의 변색을 방지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을 나타내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합금들의 예이며, 표 2는 이러한 합금재로 만든0.25 mm의 선경을 갖는 방전가공기용 와이어로써 합금공구강재인 STS-11 금형강을 대상으로 절단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2에서 보면 아연(Zn)과 첨가원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선재의 파단강도가 증가하여 고강도화가 되며, 아연(Zn)의 함량이 낮고 첨가원소의 함량만 많아지면 금형강의 피절단면의 경면성이 좋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절단가공시 선재로부터 발생되는 가루의 량은 적음을 나타내었다.
합 금 명 Cu Zn Al Sr Ti B
CZ35AlSr0.5 나머지 35% 0.450 0.050 - -
CZ35AlTiB0.5 나머지 35% 0.470 - 0.025 0.005
CZ40AlSr0.1 나머지 40% 0.090 0.010 - -
CZ40AlSr0.5 나머지 40% 0.450 0.050 - -
CZ40AlSr1.0 나머지 40% 0.900 0.100 - -
CZ40AlSr5.0 나머지 40% 4.500 0.500 - -
CZ40AlSr10.0 나머지 40% 9.000 1.000 - -
CZ40AlTiB0.1 나머지 40% 0.094 - 0.005 0.001
CZ40AlTiB10.0 나머지 40% 9.400 - 0.500 0.100
CZ40AlSrTiB0.5 나머지 40% 0.437 0.025 0.012 0.003
CZ42Al0.1 나머지 42% 0.100 - - -
CZ42Al0.5 나머지 42% 0.500 - - -
CZ42Al10.0 나머지 42% 10.000 - - -
CZ45AlTiB0.1 나머지 45% 0.094 - 0.005 0.001
CZ45AlTiB0.5 나머지 45% 0.470 - 0.025 0.005
CZ45AlSr0.5 나머지 45% 0.450 0.050 - -
CZ45AlSrTiB0.5 나머지 45% 0.437 0.025 0.012 0.003
표 1. 합금의 종류 및 성분조성
합 금 명 선경,(mm) 절삭성 파단강도(Kgf) 피절단면의 경면성 가공시가루발생
황동 2 종 0.25 양호 4.4-5.3 양호 많음
CZ35AlSr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35AlTiB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0AlSr0.1 0.25 양호 4.5-5.3 양호 적음
CZ40AlSr0.5 0.25 양호 4.5-5.3 양호 적음
CZ40AlSr1.0 0.25 양호 4.8-5.5 양호 적음
CZ40AlSr5.0 0.25 양호 5.2-6.3 양호 적음
CZ40AlSr10.0 0.25 양호 5.5-7.3 양호 적음
CZ40AlTiB0.1 0.25 양호 4.5-5.3 보통 적음
CZ40AlTiB10.0 0.25 양호 5.6-7.5 양호 적음
CZ40AlSrTiB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2Al0.1 0.25 양호 4.4-5.3 보통 적음
CZ42Al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2Al10.0 0.25 양호 5.7-7.5 양호 적음
CZ45AlTiB0.1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5AlTiB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5AlSr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CZ45AlSrTiB0.5 0.25 양호 4.4-5.3 양호 적음
표 2. 합금의 종류 및 금형강에 대한 절삭시험결과

Claims (3)

  1. 방전가공기 선재용 합금에 있어서,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
  2. 방전가공기 선재용 합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하는 합금성분에 따라 각각의 첨가원소들은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으로 조성되는 조성범위를 만족하도록 각각 평량하는 평량단계와,
    평량단계후 먼저 동(Cu)을 용해하여 완전히 용해되면 용탕의 가열을 멈춘 후, 아연(Zn)을 한 덩어리씩 용탕 깊숙히 플런저로 밀어 넣어 용탕 속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아연(Zn)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하며 용해합금하며 계속하여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및 보론(B) 중에서 선택한 첨가원소도 같은 방법으로 투입하여 용해합금하는 용해합금단계와,
    용해합금한 용탕을 주조가 적당한 온도까지 다시 가열한 후, 금형에 주조하여 슬라브 상태의 주괴로 제조하는 주괴제조단계와,
    주괴제조단계를 거친 주괴를 열간압출 후 소둔처리와 냉간인발을 반복하여 선재를 제조하는 선재제조단계와,
    선재제조단계를 거친 최종의 선재를 180 ∼ 2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소둔처리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강화효과를 주어 직선성과 탄성이 좋은 상태의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의 제조방법.
  3. 방전가공기 선재용 합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표로하는 합금성분에 따라 각각의 첨가원소들은 35.0 ∼ 45.0 wt%(중량 백분율)아연(Zn)과, 총함량 0.1 ∼ 10.0 wt%(중량 백분율)를 가지는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된 혼합첨가원소와, 나머지는 구리(Cu)로 조성하되, 상기 0.1 ∼ 10.0 wt%(중량 백분율)의 혼합첨가원소의 함량비는 0.1 ∼ 10.0 wt%(중량 백분율)알루미늄(Al)과, 0.01 ∼ 1.0 wt%(중량 백분율)스트론튬(Sr)과, 0.005 ∼ 0.5wt%(중량 백분율)티타늄(Ti)과, 0.001 ∼ 0.1 wt%(중량 백분율)보론(B)으로 조성되는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으로 조성되는 조성범위를 만족하도록 각각 평량하는 평량단계와,
    평량단계후 먼저 동(Cu)을 용해하여 완전히 용해되면 용탕의 가열을 멈춘 후, 아연(Zn)을 한 덩어리씩 용탕 깊숙히 플런저로 밀어 넣어 용탕 속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아연(Zn)의 산화를 최대한 억제하며 용해합금하며 계속하여 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및 보론(B) 중에서 선택한 첨가원소도 같은 방법으로 투입하여 용해합금하는 용해합금단계와,
    용해합금한 용탕을 주조가 적당한 온도까지 다시 가열한 후, 연속주조에 의해 연속적인 선재상태의 주괴로 제조하는 연속주조단계와,
    이를 가지고 직접적으로 소둔처리와 냉간인발을 반복하여 선재를 목표로하는 선경으로 인발하여 제조하는 선재제조단계와,
    선재제조단계를 거친 최종의 선재를 180 ∼ 2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소둔처리하여 잔류응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강화효과를 주어 직선성과 탄성이 좋은 상태의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알루미늄(Al),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계 합금의 제조방법.
KR1019990006912A 1999-03-03 1999-03-03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30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12A KR100302546B1 (ko) 1999-03-03 1999-03-03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12A KR100302546B1 (ko) 1999-03-03 1999-03-03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365A true KR20000059365A (ko) 2000-10-05
KR100302546B1 KR100302546B1 (ko) 2001-09-22

Family

ID=1957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912A KR100302546B1 (ko) 1999-03-03 1999-03-03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5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3005B2 (en) 2000-05-02 2006-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a silicon oxide layer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7179537B2 (en) 2000-05-02 2007-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in-on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silicon oxide layer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1056658B1 (ko) * 2009-03-04 2011-08-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전가공용 전극선 및 그 제조방법
CN102899523A (zh) * 2012-10-26 2013-01-30 镇江金叶螺旋桨有限公司 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1A (zh) * 2012-10-26 2013-02-06 江苏大学 钪、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4A (zh) * 2012-10-26 2013-02-06 江苏大学 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高锰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3A (zh) * 2012-10-26 2013-02-06 镇江金叶螺旋桨有限公司 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锰黄铜及其制备方法
CN102925745A (zh) * 2012-10-26 2013-02-13 江苏大学 镁、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锰黄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441A (ja) * 1983-05-06 1984-11-21 Inoue Japax Res Inc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用電極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3005B2 (en) 2000-05-02 2006-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orming a silicon oxide layer in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7179537B2 (en) 2000-05-02 2007-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in-on glass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silicon oxide layer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1056658B1 (ko) * 2009-03-04 2011-08-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전가공용 전극선 및 그 제조방법
CN102899523A (zh) * 2012-10-26 2013-01-30 镇江金叶螺旋桨有限公司 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1A (zh) * 2012-10-26 2013-02-06 江苏大学 钪、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4A (zh) * 2012-10-26 2013-02-06 江苏大学 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高锰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3A (zh) * 2012-10-26 2013-02-06 镇江金叶螺旋桨有限公司 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锰黄铜及其制备方法
CN102925745A (zh) * 2012-10-26 2013-02-13 江苏大学 镁、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锰黄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1B (zh) * 2012-10-26 2014-11-05 江苏大学 钪、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899523B (zh) * 2012-10-26 2015-03-25 镇江金叶螺旋桨有限公司 锆和锶复合微合金化的镍铝青铜及其制备方法
CN102912184B (zh) * 2012-10-26 2015-06-17 江苏大学 锶、钛和硼复合微合金化的高锰铝青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546B1 (ko) 200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80165A (ja) プレス打ち抜き性に優れた銅基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425717C (zh) 引线框架用铜合金及其制造方法
KR100302546B1 (ko)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알루미늄, 스트론튬, 티타늄, 보론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0631041B1 (ko) 절삭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쾌삭황동합금
KR100644297B1 (ko) 와이어 방전가공용 황동전극선 및 그 제조방법
FI87239B (fi) En foerbaettrad metallegering pao basis av koppar, speciellt foer framstaellning av elektroniska komponenter.
JPS6143418B2 (ko)
KR100519556B1 (ko) 금색을 유지하는 황동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2738869B2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KR100370436B1 (ko)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Cu)-아연(Zn)-세리움(Ce), 란탄(La), 니오디미움(Nd), 프로메티움(Pr) 합금
JPH09324230A (ja) 高導電線材
KR960015216B1 (ko) 저항용접기 전극용 동-지르코늄-세리움-란탄-니오디미움-프라세오디미움 합금의 제조방법
KR960015516B1 (ko) 저항용접기 전극용 동-지르코늄-마그네슘합금의 제조방법
JPH0635632B2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用電極材
KR20000059366A (ko) 방전가공기 전극선용 동-아연-니켈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JP3941352B2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0182223B1 (ko) 동-크롬-지르코늄-마그네슘-미쉬메탈 합금과 이 합금의 가공열처리방법
KR930000296B1 (ko) 와이어 방전가공용 전극선
KR0182225B1 (ko) 동-지르코늄-마그네슘-미쉬메탈 합금과 이 합금의 가공열처리방법
JPH1158139A (ja) 高強度銅合金線材および前記線材を用いた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JPS6322222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JPH0327617B2 (ko)
KR960015514B1 (ko) 저항용접기 전극용 동-지르코늄-마그네슘-세리움-란탄-니오디미움-프라세오디미움 합금의 제조방법
JPH03188238A (ja) 熱間鍛造用快削アルミニウム合金
JPS59170230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