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747A -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747A
KR20000048747A KR1019990702732A KR19997002732A KR20000048747A KR 20000048747 A KR20000048747 A KR 20000048747A KR 1019990702732 A KR1019990702732 A KR 1019990702732A KR 19997002732 A KR19997002732 A KR 19997002732A KR 20000048747 A KR20000048747 A KR 20000048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obile
pl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카라페트코프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0004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내의 단말기의 실제 접속 가능성이 2개의 시스템에 저장된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 제 1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단말기로서 그리고 이동 무선 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로서 작동 가능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의 설명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무선 이동 통신망에 의한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점검하며, 그리고 존재할 경우,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은, 무선 통신장 내에 접속이 이루어 질 수 없을 때,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단말기로 전달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TO A DUAL MODE TERMINAL}
이중 모드 송·수화기(Dual Mode Handy) 또는 이중 모드 단말기로서 명명된 상기 단말기는 최근에 몇몇 생산자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중 모드 단말기의 경우 중요한 것은 이동 무선 통신망용 송/수신 유닛과 암호화/해독 유닛 및 정상(定常) 무선 통신 시스템용 송/수신 유닛과 암호화/해독 유닛 등이 장착된 통신 단말기이다. 이동 무선 통신망으로서 주로 약 0.9 GHz 전송 주파수를 가지는 이동 무선 통신의 국제적 표준(GMS)에 따른 네트워크 또는 약 1.8 GHz 전송 주파수를 사용하는 표준 DCS1800에 따른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무선 통신 장치로서 디지털방법 무선 통신 장치는 디지털 확대무선 통신 DECT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에 대한 ETSI-표준에 따라 적용된다. 상기 단말기는 2가지 동작 모드인 무선 작동 또는 무선 이동 통신작동간에 상호전환이 가능한데, 특히 선택 입력 장치와 단말기의 전기 음향 변환기가 이러한 2가지 동작 모드로 사용된다.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되는 호출이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되어야 한다면 무선 단말기는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전신 영역 내에서 무선 모드로 작동 준비가 끝난 상태여야 한다. 가입자가 무선 통신 장치내에 이중 모드 단말기용으로 전송되는 호출을 다른 단말기로 받고자 하거나, 이동 무선 통신 작동내의 단말기로 받고자 한다면, 가입자는 특정 공지된 통신망의 경우, 특히 디지털 방법 서비스 통합 통신망에서 그러한 다른 단말기 또는 바로 그 단말기로 다른 통신망을 통해 통화를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대부분의 가입자들은 상기 통화 전환을 거의 사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가입자 단말기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 장치를 다음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에 호출이 전송될 때 일정 기간에 단말기용 호출이 전송되었다는 울림 신호가 상기 단말기에 울리게 되며, 이 기간의 진행 후 통화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호출을 받은 가입자가 상기 호출을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전환하고 싶지 않을 때, 정해진 기간 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받아들여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이 정해진 기간 내에 접속될 수 없을 때마다 두 개의 상이한 통신망 사이에 접속을 구성하는 동안, 가입자가 이동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신호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불필요하게 통신 네트워크가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중 모드 단말기는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단말기로서 작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 무선 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로서도 작동 가능하다.
도 1은 개략도로서 이동 무선 통신망, 공중 정상 네트워크 및 2개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성된 전용 네트워크 등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배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본 무선 통신 장치의 무선 단말기로서 작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 무선 통신망의 이동 무선 단말기로서도 작동가능 하다. 이때에 무선 통신 장치와 무선 이동 통신망 사이에 불필요한 접속 구성-신호화는 가급적 지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이하 종속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이동 통신망내에 이중 모드 단말기를 실제로 접속할 수 있을 때, 이에 관한 메시지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전달되며, 무선 통신 장치내에 무선 이동 통신망에 의한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무선 통신 장치내에 단말기용 호출이 전송될 경우 무선 통신 장치내에서 이동 무선 통신망에 의한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점검되고, 단말기가 무선 이동 통신망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내에 단말기로 전송되는 호출은 무선 이동 통신망내의 단말기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개선 사항은 통신 단말기용 호출이 전송된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기와 관련한 지역-무선 통신 장치라는 것이며, 이때 상기 단말기는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무선 통신 장치에서 작동 가능하며, 또한 출원된 것이다. 단말기가 상기 추가 무선 통신 장치의 영역에 접속 가능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이동 통신망에 정보를 전달하고, 무선 이동 통신망은 지역-무선 통신 장치에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무선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추가 무선 통신 장치의 영역 내에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지역-무선 통신 장치에 전달될 경우, 호출은 지역-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추가 무선 통신 장치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개선 사항은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메시지가 무선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무선 통신 장치로 전달될 때, 호출은 항상 지역-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되며, 무선 이동 통신망에 상기 추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실제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때, 지역-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된 호출은 무선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추가 무선 통신 장치로 전달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후자의 변형예는, 무선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무선 통신 장치로, 단지 무선 이동 통신망내에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는 점을 제시하는 메시지가 언제나 필요하다는 점을 보증한다. 그 다음 단말기의 실질적인 접속 가능 지역에 대한 메시지는 단지 상응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이동 통신망으로 전달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개선 사항은 지역-무선 통신 장치내에 도착하는 통신 단말기용 호출이, 상기 통신장치내에서 수동으로 통화 전환이 조절되는 경우에, 수동으로 조절된 스위칭 방향으로 접속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단말기용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통화가 무선 이동 통신망내의 단말기로 전환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그리고 통신 단말기가 무선 통신 장치내에서 접근 가능한 것으로서 파악될 때, 상기 통화의 전환이 비활성화 될 수 있도록,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변형예의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때, 단말기용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무선 이동 통신망내의 단말기로 통화의 전환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그리고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가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검사될 때, 상기 통화 전환이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기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가능하지는 않지만, 그러나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할 때면 항상 단말기용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들은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 이동 무선 통신망에 의해 자동적으로 통화 전환이 활성화되고, 뿐만 아니라 무선 이동 통신망내에 마찬가지로, 추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존재하는 한에 있어서, 추가 무선 통신 장치로의 자동 통화 전환이 활성화된다면,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은 대단히 높게 보장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호화에 요구되는 경비는 매우 적다.
다음에서 실시예에 따라 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개략도로서 적어도 한 가입자를 다른 가입자들과 접속시키고, 이동도 운영을 위한 네트워크 종속 시스템(NSS; Network Subsystem)과, 이동 스테이션과의 무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베이스 스테이션 종속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의 블록 회로도이다. 바람직한 예로서 도에서 이동 스테이션은 통신 단말기(KE1)로서 제시된다.
네트워크 종속 시스템(NSS)의 메인 유닛은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 장치(BCS; Base Station Controller)를 장착한 A-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이다. 도면에서 설명한 베이스 스테이션 종속 시스템(BSS) 내에 추가 베이스 스테이션(BTS)은 필요에 따라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 (MSC)와 접속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 장치(BSC)를 보여준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대개 스위칭-단자로 사용되고,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가입자들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가령 기록, 권한 부여, 체류 지역 갱신 및 베이스 스테이션과 호출 제어 장치 사이의 통화 개통 등과 같은 모든 기능들을 베이스 스테이션의 영역 내에 실제로 등록된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또한 공중 네트워크(PSTN)로, 그리고 도에 따른 예에서는 다른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x)로, 뿐만 아니라 전용 네트워크의 2개의 무선 통신 장치(PISN1, PISN2)로의 접속을 제공한다. 지역 체류지 기록 장치(HLR)와 외부 등록자 체류지 기록 장치(VLR) 등은 주로 통화 제어 장치의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와 가입자 단말기의 체류지 통보 장치와 함께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서 사용된다.
2개의 네트워크 종속 시스템(NSS)의 추가 기록 장치, 즉 장비-식별-기록 장치(EIR; Equipment-Identity-Register)와 권한 부여 기록 장치(AC)는 권한 부여 및 안전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장비-식별-기록 장치(EIR)는 모든 네트워크내에서 허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스트를 포함하는데, 이때 모든 이동 스테이션은 국제 이동 통신-장비-식별 장치를 통해 식별된다. 권한 부여 센터(AC)에 모든 가입자의 SIM-카드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모든 비밀 코드의 카피본들이 있어서, 그 카피본들은 무선 채널을 통한 권한 부여 및 암호화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모든 가입자들에 대한, 그들에 할당된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하며, 그 곳에는 그들 자신의 권한, 체류 지역 및 추가 정보들이 호출 가능하도록 저장되어 있다.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MAP로 명명된 프로토콜(Mobile Application Part Protocol; 이동 통신 응용 부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기록 장치 HLR, VLR, AC 및 EIR 등과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표준 프로토콜(MAP)은 이동 통신망내에 필요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신호화 기능을 포함한다.
도면은 전용 네트워크의 2가지 무선 통신 장치(PISN1, PISN2) 이외에 가입자들간의 접속 구성/해제를 위한 각각의 스위칭 장치(VE)를 보여준다. 여기서도 무선 통신 장치(PISN1, PISN2)는 동일한 것으로 도식되며, 단지 한번만 설명된다. 스위칭 장치(VE)는 스위칭 단자(SW)와 스위칭 제어 장치(SC)를 포함한다. 스위칭 장치(VE)는 네트워크 회선 접속 모듈(PLM)을 통해 공중 통신 네트워크(PSTN)와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의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등으로 접속 가능하다. 스위칭 장치(VE)는 가입자 접속 모듈(SLMD와 SLMC)을 통해 통신 단말기(KE2, KE2')와의 접속을 구성할 수 있다. 도에 바람직한 예로서 도식된 디지털 방법 단말기(SLMD)용 가입자 접속 모듈(SLMC)은 회선을 통해 통신 단말기(KE2)와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무선-가입자 접속 모듈(SLMC)은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무선 통신 구간 등에 의해 통신 단말기(KE2')와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이동 단말기(KE1)와 2개의 통신 단말기(KE2')는 그 접속 가능성에 상응하게 각각의 네트워크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의 물리적 실현은 여기에서 하나의 장치내에 단말기(KE1) 뿐 아니라 단말기(KE2')도 도면에 따라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상기 단말기(KE1/KE2')가 실제로 접속 가능할 때, 그것에 관한 메시지가 무선 통신 장치(PISN1)에 전송되고, 무선 통신 장치(PISN1)내에서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의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단말기(KE1/KE2')가 실제 무선 통신 장치(PISN1 내지 PISN2)를 통해 접속 가능할 때, 상기 관련된 메시지는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전달되고, 단말기(KE1/KE2')가 접속 가능하도록 해주는 무선 통신 장치(PISN1 내지 PISN2)와 관련한 정보는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저장된다.
제 1무선 통신 장치(PISN1)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PISN1)의 무선 단말기(KE2')로서 뿐만 아니라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의 이동 무선 단말기(KE1)로서도 작동 가능한 단말기(KE1/KE2')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무선 이동 통신망(PLMN)에 의한 단말기 (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가 점검된다.
이런 경우에, 호출이 무선 통신 장치(PISN1) 내에서 접속될 수 없는 점에 한해서, 무선 통신 장치(PISN1) 내에 전송되는 호출은 이동 무선 통신망(PLMN) 내의 단말기(KE1)에 전달된다.
통신 단말기(KE1/KE2')용 호출이 전송되는 무선 통신 장치(PISN1)가 상기 단말기(KE1/KE2')와 관련하여 지역-무선 통신 장치이며 그리고 단말기(KE1/KE2')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서 작동 가능할 경우,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이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에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메시지를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며,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서 실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는 조건하에서, 호출은,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의한 실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는 점에 한해서,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에서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로 전달된다.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실제 단말기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 내에 존재하는 경우,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는 전송되는 호출을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전달하고, 그리고 만약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의한 실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전송되는 호출은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서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전달된다.

Claims (6)

  1.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서 단말기(KE1/KE2')가 실제로 접속 가능한 경우, 상기 가능성에 대한 메시지가 무선 통신 장치(PISN1)에 전달되고, 무선 통신 장치(PISN1)내에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를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을 통해 저장되며,
    단말기(KE1/KE2')가 실제로 접속 가능한 경우, 무선 통신 장치(PISN1)를 통해서 상기 가능성과 관련한 메시지가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전달되고, 단말기(KE1/KE2')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PISN1)와 관련한 정보가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제 1무선 통신 장치(PISN1)에 전송되는 호출을, 상기 무선 통신 장치(PISN1)의 무선 단말기로서 뿐만 아니라, 또한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의 이동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도 작동 가능한 단말기(KE1/KE2')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을 통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
    - 무선 통신 장치(PISN1)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동 무선 통신망(PLMN)내의 단말기(KE1/KE2')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KE1/KE2')용 호출이 전송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기(KE1/KE2')와 관련하여 지역-무선 통신 장치이며, 단말기(KE1/KE2')가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서 작동 가능하며,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 단말기(KE1/KE2')의 실제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의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이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메시지를 이동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방법에 있어서,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의한 단말기(KE1/KE2')의 실제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호출을 지역-무선 통신 장치(PISN1)에서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이동 무선 통신망내의 단말기의 실제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지역-무선 통신 장치내에 존재할 경우, 지역-무선 통신 장치가 전송되는 호출을 이동 무선 통신망(PLMN)으로 전달하며, 이동 무선 통신망내에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의한 단말기(KE1/ KE2')의 실제 접속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동 무선 통신망(PLMN)에 전달된 호출을 이동 무선 통신망(PLMN)으로부터 추가 무선 통신 장치(PISN2)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화 전환이 수동으로 조절되는 경우에, 전송되는 통신 단말기용 호출을 수동으로 조절된 우회 방향으로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용(KE1/KE2')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을 통해 이동 무선 통신망(PLMN)내의 단말기(KE1/KE2')로 통화 전환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통신 단말기(KE1/KE2')가 무선 통신 장치(PISN1)내에서 접속 가능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화 전환을 비활성화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KE1/KE2')용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을 통해 자동으로 이동 무선 통신망(PLMN)내의 단말기(KE1/KE2')로 통화 전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단말기(KE1/KE2')의 접속 가능성과 관련한 정보가 이동 무선 통신망(PLMN)을 통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통화 전환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KR1019990702732A 1996-09-30 1997-09-24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20000048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0287A DE19640287A1 (de) 1996-09-30 1996-09-30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in einer Schnurloskommunikationseinrichtung ankommenden Rufs an ein Dualmodusendgerät
DE19640287.5 199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47A true KR20000048747A (ko) 2000-07-25

Family

ID=780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2732A KR20000048747A (ko) 1996-09-30 1997-09-24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8533B1 (ko)
EP (1) EP0929982B1 (ko)
KR (1) KR20000048747A (ko)
CN (1) CN1254984C (ko)
AT (1) ATE254379T1 (ko)
CA (1) CA2267255C (ko)
DE (2) DE19640287A1 (ko)
WO (1) WO19980151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24A (ko) * 2000-12-23 2002-07-02 송문섭 두개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8302B1 (fr) * 1998-04-30 2000-06-09 Sagem Telephone mobile d'un reseau cellulaire, utilisable en combine de telephone sans fil a usage domestique
KR100757860B1 (ko) * 2003-05-29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무선 서비스 장치
CN100372335C (zh) * 2004-07-13 2008-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将呼叫转移为因特网协议语音业务的方法
JP4254729B2 (ja) 2005-03-16 2009-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移動局及びプログラム
US8301780B2 (en) * 2006-09-26 2012-10-30 Nextel Communications, Inc. Client-based solution for seamless access to applications across networks
US8301734B1 (en) * 2006-09-26 2012-10-30 Nextel Communications, Inc. Client-based solution for seamless access to applications across networks
CN104247473B (zh) * 2013-04-08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互动语音应答设备、漏接来电提醒***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230A (en) * 1988-09-23 1991-01-29 Motorola, Inc. Cellular cordless telephone
FR2693863B1 (fr) * 1992-07-17 1994-09-30 Sagem Procédé de radiotéléphonie mobile et terminal radiotéléphonique mobile d'abonné pour la mise en Óoeuvre du procédé.
JP2901170B2 (ja) * 1993-05-27 1999-06-07 ケイディディ株式会社 衛星/陸上移動体通信システム統合方式
DE4343335C2 (de) * 1993-12-18 1998-04-30 Krone Ag Verfahren zum Erreichen von Fernsprechteilnehmern in festen und mobilen Fernsprechnetzen unter Verwendung eines Mobiltelefons
US5537467A (en) * 1994-08-23 1996-07-16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temporarily utilized portable telephone
FI101508B1 (fi) * 1995-09-29 1998-06-30 Nokia Mobile Phones Ltd Kiinteän viestintäverkon solukkolaajennus
US5890064A (en) * 1996-03-13 1999-03-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integrated wireless offic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24A (ko) * 2000-12-23 2002-07-02 송문섭 두개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4984C (zh) 2006-05-03
CA2267255A1 (en) 1998-04-09
CN1231805A (zh) 1999-10-13
DE59711005D1 (de) 2003-12-18
EP0929982A2 (de) 1999-07-21
WO1998015137A3 (de) 1998-07-16
US6678533B1 (en) 2004-01-13
EP0929982B1 (de) 2003-11-12
CA2267255C (en) 2008-01-29
ATE254379T1 (de) 2003-11-15
WO1998015137A2 (de) 1998-04-09
DE19640287A1 (de) 199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271A (en) Interface between cellular and wired networks with enhanced subscriber mobility
JPH09504416A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の加入者ステー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
EP1183885B1 (en) A method and a system rela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2332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call for a mobile station using either a wireless network or a wireline network
KR100691393B1 (ko) 다중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및 방법
RU9910450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проведения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вызовов
KR20040063926A (ko) 네트워크로의 활성 데이터 접속을 갖고 있지 않은 무선장치에 대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10058736A (ko) 단문메시지 라우팅 제어장치
KR20010062293A (ko) 개선된 모빌 대 모빌 콜 방법
JP2000502220A (ja) ワイヤレス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接続を確立する方法
KR20040101497A (ko) 이동전화용 재난 및 비상 모드
EP1340401B1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KR20000048747A (ko)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101560188B1 (ko)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합법적인 감청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합법적인 감청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합법적인 감청을 가능하게 하는 기지국 송수신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960004959B1 (ko) 인입 전화 호출 접속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US6405042B1 (en) Provision of cellular/wire-line service
WO1999056478A1 (en) An announcing system and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holding incoming circuit switched calls
US7024182B2 (en) Subscriber activated, time limited cellular incoming call redirection system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1981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KR100561675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자 위치정보 제공 방법
JP2000156892A (ja) 移動電話の盗聴に対する機密保護の改善
KR2000001942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JPH1127731A (ja) デジタル移動電話システム
JPH09215043A (ja) 呼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