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071A - 차량용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071A
KR20000006071A KR1019990021511A KR19990021511A KR20000006071A KR 20000006071 A KR20000006071 A KR 20000006071A KR 1019990021511 A KR1019990021511 A KR 1019990021511A KR 19990021511 A KR19990021511 A KR 19990021511A KR 20000006071 A KR20000006071 A KR 20000006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retainer
gas
vehicle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147B1 (ko
Inventor
노즈미시게유끼
야마모도료오스케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2000000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2Means for diverting, destroying or blocking the bag in case of dangerous deployment, e.g. during rescue operations or use of rear-facing childre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60R2021/276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의 전개형상의 변화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제공하고, 충돌시에 최적의 구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에어백장치는 차실내의 소정위치의 리드 내부에, 고압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트와 절첩된 에어백을 리액션캔 내부에 수납한 에어백모듈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에어백측부를 계지 또는 해방하는 리테이너와 리테이너에 의한 에어백측부의 계지 또는 헤방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리테이너가 에어백측부를 계지하고 있는 경우는, 리테이너가 에어백측부를 해방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에어백 전개시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장치{AIR BAG SYSTEM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실내에 배설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에어백장치, 특히 조수석용에어백장치로서는, 도8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실내 조수석측의 계기판(1)에 설치된 개구(2)에는, 동 개구(2)를 막도록 리드(3)가 설치되고 리드(3) 내측에는 에어백모듈(4)이 수납되어 있다.
에어백모듈(4)은 주로 리드(3), 에어백(5), 인플레이트(6), 리액션캔(reaction can)(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모듈(4)은 계기판(1) 내측에 있어서, 리액션캔(7)을 차체구성부재인 덱크로스파이프(deck cross pipe)(9)에 고정함으로서, 차체에 취부되어 있다.
인플레이트(6)는 도시하지 않은 ECU에서의 신호로 고압가스를 발생하는 것이고, 인플레이트(6)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리액션캔(7)의 개구부분에 절첩된 에어백(5)이 차실내측의 탑승자를 향하여 리드(3)를 열면서 전개한다.
ECU에는 충격검지센서가 접속되어 있고, 소정치 이상의 충격을 검지하면 인플레이트(6)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에 소정치이상의 충격이가해지면 에어백(5)이 전개되어, 에어백(5)이 완전히 전개된 시점에서 탑승자의 상반신이 접촉하기 시작하고, 에어백(5)측부에 설치된 에어백내부의 압력조정용의 벤트홀(5a)에서 가스가 배출되어 에어백(5)이 줄어들면서 상반신을 구속하고,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그렇지만, 탑승자가 계기판 가까이에 착석한 경우 등에는, 에어백이 완전히 전개하기 전에 탑승자과 에어백이 접촉하여, 접촉후에 에어백이 완전전개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에어백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평4-92738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소정 속도 이하로 장해물에 충돌한 경우에는, 에어백모듈 전체를 계기판내부(차량의 진행방향)로 이동시켜, 계기판 외측에 전개하는 에어백의 크기를 평상시보다 작게 하는 것이 있지만, 일본국 공개특허 평4-9273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에어백작동시 에 있어서의 차실내에의 전개의 크기를 평상시보다 작게 하지만, 소정 속도 이하로 충돌한 경우만 작게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탑승자가 계기판 가까이에 착석한 경우 등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다. 게다가, 계기판내부의 에어백주변에는글로브박스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유분의 스페이스가 없고, 에어백모듈 전체를 계기판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에어백장치가 가지고 있는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의 전개형상의 변화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제공하고, 충돌시에 최적의 구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에어백장치는 차실내에 설치되고, 절첩된 에어백 및 고압가스를 발생하여 동 에어백에 고압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트를 가지는 에어백모듈;
차량충돌시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
상기 충격센서가 소정조건을 만족하는 충격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인플레이트에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을 차실내의 탑승자방향에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트 제어장치;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는 제1위치 및 해방하는 제2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수 있는 리테이너, 동 리테이너는 동 에어백측부를 계지하였을 때 동 에어백의 전개량을 제한하고;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는 제1위치 및 해방하는 제2위치의 한쪽에 리테이너를 제어하는 리테이너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에어백모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디퓨저측의 단면도이다.
도7a는 에어백 대전개시의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5의 V-V 야시단면도이다.
도7b는 에어백 소전개시의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이고, 도5의 V-V 야시단면도이다.
도8는 종래의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개구 3. 리드 4.에어백모듈 5.에어백 5e.에어백의 상하면(측부)
6.인플레이트 7.리액션캔(reaction can) 8.ECU(제어수단) 11.리테이너
13.충격검지센서(충격검지수단) 14.탑승자검지센서(착석상태검출수단)
206.출력가변인플레이트 211.리테이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장치를 조수석 에어백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8에 도시하는 종래 기술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차실내 조수석측의 단면도이고,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기판(1)에 설치된 개구(2)를 막도록 리드(3)가 설치되고, 에어백모듈(4)은, 리드(3) 내측으로 덱크로스파이프(9)에 브라켓(10)을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도2,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모듈(4)의 케이스로서의 리액션캔(7)은 에어백(5)과 인플레이트(6)을 접속하는 통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동 리액션캔(7)은 상면(7c) 및 하면(7d)의 대략 중앙에 힌지(7e, 7e)가 각각 설치되고, 상면(7c)과 하면(7d)은 평형하게 플레이트(7g, 7g)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트(6) 근방의 리액션캔(7)의 상면측에는 내외를 연통하는 구멍(7f)이 형성되어 있다. 리액션캔(7)의 상하면(7c, 7d)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슬릿(7i)이 형성됨과 동시에, 플레이트(7g, 7g)에도 슬릿(7i)과 겹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슬릿(7j)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에 설치된 힌지(7e)에는, 대략 V자 모양의 리테이너(11)가 대략 중앙부분으로 축지되고 화살표a와 같이 회동한다. 이 리테이너(11)의 개구측의 단부에는 리액션캔(7)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리테이너핀(11b)이 폭방향으로 슬릿(7i), 슬릿(7j)와 같은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11)가 도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닫힌 위치에 있으면, 핀(11b)이 슬릿(7j), 슬릿(7i)를 관통한다. 또, 리테이너(11)의 힌지(7e)보다 인플레이트(6)측의 연장부(11d)는, 리테이너(11)가 닫힌 상태에서 회동되어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린 경우에는 구멍(7f)을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액션캔(7)의 하면측의 힌지(7e)에는 대략 V자 모양의 리테이너(12)의 일단부가 축지되고, 리테이너(12)의 타단은 리액션캔개구(7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화살표b와 같이 회동한다. 리테이너(12)의 리액션캔개구(7a) 측의 단부에는, 상측의 리테이너(11)와 같이 리액션캔(7)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리테이너핀(12b)가 폭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리테이너(12)가 닫힌 경우에는 핀(12b)이 하면측의 슬릿(7j), 슬릿(7i)을 관통한다.
이들 리테이너(11, 12)는, 각각 후술하는 ECU(제어수단)(8)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11c, 11c)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5)의 상하면(상하측부)(5e, 5e)에는 에어백(5)과 같은 가소성의 직포로 만들어진 단형상의 플랩(5f, 5f)가 재봉되어 있다. 이 플랩(5f)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5g)이 상기 리액션캔(7)의 슬릿(7i)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5)의 리액션캔 측단연는 동 리액션캔(7)에 볼트(7h, 7h)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5)의 수납상태에서는, 플랩(5f, 5f)이 리액션캔(7)의 상하면(7c, 7d)과 플레이트(7g, 7g)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리테이너핀(11b, 12b)이 플랩(5f, 5f)의 구멍(5g, 5g)에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에어백장치의 제어블럭도를 도4에 도시한다. ECU(8)에는 주로 전방에서 차체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검지센서 (충격검지수단)(13) 및 전자파나 음파 등을 이용하여 탑승자(15)와 계기판의 거리(즉, 탑승자의 착석상태)를 검출하는 탑승자검지센서(착석상태검출수단)(14)에서의 신호가 입력되고, 가스의 발생에 의하여 에어백(5)의 전개를 행하는 인플레이트(6), 리테이너(11, 12)를 구동하는 모터(11c)에 신호가 출력된다.
충격검지센서(13)가 소정치 이상의 충격을 검출하면, ECU(8)로부터 인플레이트(6)에 고압가스를 발생시키는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탑승자검지센서(14)의 출력에 기초한 리테이너(11,12)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충격검출시에, 탑승자검지센서(14)가 탑승자(15)의 통상위치 또는 계기판에서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의 착석을 검지한 경우에는, ECU(8)에 의한 모터(11c, 11c)의 구동으로 리테이너(11, 12)를 열어 핀(11b, 12b)을 구멍(5g, 5g)에서 뽑아, 플랩(5f, 5f)을 해방한다.
또한, 탑승자검지센서(14)가 탑승자(15)의 계기판(1) 가까이의 착석을 검지한 경우에는, ECU(8)에 의한 모터(11c, 11c)의 구동은 행하지 않고, 리테이너(11, 12)는 도2에 도시하는 위치가 보지되어 핀(11b, l2b)이 구멍(5g, 5g)에 삽입되어 플랩(5f, 5f)이 계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탑승자(15)가 계기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져 착석한(통상의 착석상태)때에 에어백(5)이 전개하는 경우, 플랩(5f, 5f)이 해방된 상태로 전개함으로서, 예를들면 용적이 100리터 정도로 대략 사각추모양의 일반적인 조수석 에어백과 동등의 크기로 전개한다(도1의 실선 및 도3참조). 또한, 탑승자(15)가 계기판(1) 가까이에 착석하고 있을 때에 에어백(5)이 전개하는 경우, 플랩(5f, 5f)이 리테이너핀(11b, 12b)에 의해 계지된 상태로 전개하므로, 도1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랩(5f, 5f)이 해방되어 있을 때 보다 작은, 예를들면 용적이 80리터정도의대략 사각추모양으로 전개한다. 플랩(5f, 5f)이 계지되어 전개한 에어백(5)의 탑승자(15)에 대향하는 면(5c)은, 플랩(5f, 5f)이 해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계기판(1)의 방향으로 예를들면 100mm 정도 평행이동한 위치가 된다(도1참조).
에어백(5)이 작게 전개되는 경우에는, 리액션캔(7)의 구멍(7f)이 해방되어 있기 위해서 일부의 가스는 구멍(7f)에서 밖으로 유출됨과 동시에, 탑승자가 에어백(5)에 접촉하여 에어백(5)이 수축할 때에도 가스는 구멍(7f)에서 밖으로 유출된다.
또한, 에어백(5)이 크게 전개되는 경우에는 리액션캔의 구멍(7f)이 리테이너연장부(11d)에 의해 막혀 모든 가스가 에어백내부로 유출하고, 탑승자가 에어백(5)에 접촉했을 때에 구멍(7f)에서 가스가 유출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에어백(5)의 전개형상에 응해서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에어백(5)의 내압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충격검출시의 탑승자(15)의 착석상태에 응해서 에어백(5)의 내압은 일정한 채로 에어백(5)의 형상을 변경할 수가 있고, 탑승자(15)를 최적으로 구속할 수가 있어, 탑승자(15)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액션캔(7)에 설치된 구멍(7f)을 리테이너(11)의 연장부(11d)에 의하여 개폐하는 것으로 에어백 전개시의 내압조정을 하고 있지만, 이 구성 대신에 인플레이트(6)를 ECU(8)의 신호에 의해 가스발생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출력가변 인플레이트로 하고, 에어백(5)을 크게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가스발생량을 많게 하고, 작게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가스의 발생량을 적게 하여 에어백(5)의 전개형상에 관계없이 에어백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구성으로서도 탑승자의 구속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출력가변 인플레이트와 동시에, 구멍(7f) 및 연장부(11d)를 조합한 구성으로서도, 에어백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구속을 적절하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중의 탑승자(15)와 계기판(1)사이의 거리를 직접 검출하는 탑승자검지센서(14)를, 탑승자(15)가 착석한 시트의 전후 조절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여,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리테이너(11, 12)의 제어를 행하더라도 탑승자(15)의 착석위치에 응한 적절한 구속을 실현할 수가 있어, 이 경우에는 간단한 센서의 이용에 의해 저코스트로 탑승자의 안전성 향상을 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검지센서에 의해,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분포 등으로부터 탑승자(15)의 체중검출을 행하고, ECU(8)에 의해 탑승자(15)의 체격을 추정하여, 탑승자(15)의 착석위치에 추가하여 탑승자(15)의 체격에 응해서 에어백(5)의 전개형상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탑승자의 구속을 실현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격이 작은 사람이 착석하고 있는 경우에 리테이너(11, 12)를 닫아 에어백(5)의 전개형상을 작게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15)의 시트벨트의 착용유무를 검출하여, 시트벨트의 착용이 검출된 경우에는, 리테이너(11)만 열리게 하면, 탑승자(15)의 두부, 흉부를 적절히 구속할 수가 있다.
또한, 탑승자검지센서(14)의 출력에 대신하여, 예를들면 에어백(5)을 대전개시키는 상태, 소전개시키는 상태, 전개시키지 않는 상태 속에서 에어백(5)의 전개형상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탑승자(15)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서 리테이너(11, 12)를 구동하여 에어백(5)의 전개형상을 바꾸는 구성으로 하여, 탑승자검지센서를 제거하여, 간단하고 저코스트의 구성으로 탑승자(15)를 적절히 구속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중의 모터(11c)에 대신하는 리테이너(11, 12)를 구동구조로 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5, 도6, 도7(a), (b)에 도시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5,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션캔(7)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상하면(7c, 7d)의 대략 중앙에 힌지(7e, 7e)가, 개구측의 상하면(7c, 7d)에는 플레이트(7g, 7g)가 설치되어 있다. 리액션캔(7)의 상하면(7c, 7d)에는 각각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슬릿(7i, 7i)이 형성됨과 동시에 플레이트(7g, 7g)에도 슬릿(7i, 7i)과 겹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슬릿(7j, 7j)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에 설치된 힌지(7e, 7e)에는, 대략 V자형의 리테이너(211, 211)의 일단부에서 축지되고, 타단은 리액션캔개구(7a)를 향하여 연장하고, 각각 화살표c, d와 같이 회동한다. 이 리테이너(211, 211)의 개구측의 단부에는 리액션캔(7) 내측에 향하여 돌출한 리테이너핀(11b, 11b)가 폭방향으로 상기 슬릿(7i, 7i)과 같은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리테이너(2l1, 211)가 도6에 도시하는 닫힌 위치에 있으면, 핀(11b, 11b)이 슬릿(7j, 7j), 슬릿(7i, 7i)을 관통한다.
또한, 에어백(5)은 전술한 도3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같이, 상하측부(5e, 5e)에는 에어백(5)과 같은 가소성의 직포로 만들어진 단형상의 플랩(5f, 5f)이 재봉되어 있다. 이 플랩(5f)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5g)이 슬릿(7i), 슬릿(7j)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5)의 리액션캔 측단연은 동 리액션캔(7)에 볼트(7h, 7h)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백(5)의 수납상태로서는, 플랩(5f, 5f)이 리액션캔(7)의 상면(7c), 하면(7d)과 플레이트(7g, 7g)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리테이너핀(11b, 11b)이 플랩(5f, 5f)의 구멍(5g, 5g)에 삽입된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션캔(7)의 폭방향의 일단에는 측부개구(207), 디퓨저(diffuser)(220)가 설치되고 있고, 도5의 V­V 단면인 도7(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디퓨저(220)는 디퓨저이너(inner diffuser) (220a)와 디퓨저아우터(outer diffuser)(220b)로 구성된다. 디퓨저이너(220a)는 리액션캔(7) 내부에 설치되고, 후술하는 출력가변 인플레이트(206)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일부를 화살표e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부개구(207)에서 외측으로 인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디퓨저아우터(220b)는, 디퓨저이너(220a)에 의해 리액션캔(7)의 외측에 인도된 가스를 리액션캔(7)의 측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인도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리액션캔(7)의 상하에 설치된 리테이너(211, 211)의 디퓨저(220)측의 단부에는 디퓨저아우터(22Ob) 내부까지 연장된 측방연장부(211a, 2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방연장부(211a, 211a)는, 디퓨저(220)에 의해 인도되는 가스의 유로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트(206)는 ECU(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가스의 발생범위와 동시에 가스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가 있는 출력가변 인플레이트이다. 출력가변 인플레이트(6)는 가스를 206a의 범위, 206a와 2O6b의 양쪽을 합친 범위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가스의 발생량은 발생범위에 응해서 변화된다.
에어백(5)을 크게 전개시키는 조건으로서는, 도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트(6)의 전범위(206a, 206b)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그 때, 일부의 가스는 디퓨저이너(220a)에서 디퓨저아우터(220b)에 인도되고, 리테이너 측방연장부(211a, 211a)를 밀어 올려, 리테이너(211, 211)를 열어, 플랩(5f, 5f)에서 리테이너핀 (11b, 11b)을 뽑기때문에, 에어백(5)이 크게 전개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5)을 작게 전개시키는 조건으로서는, 도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트(6)의 206a의 범위에서만은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퓨저(220)에 가스가 인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리테이너의 측방연장부(211a, 211a)를 밀어 올리는 일이 없고, 리테이너(211, 211)는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플랩(5f)은 핀(11b)에 의해 계지된 채로 작게 전개하게 된다.
리테이너를 가스에 의해서 가동시키기 때문에, 단순한 기구로 에어백의 전개상태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탑승자를 적절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트의 출력을, 에어백의 전개상태에 응해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고출력시와 저출력시로 에어백의 내압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전개시의 에어백의 크기에 관계없이 탑승자를 적절하게 구속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가있다.

Claims (7)

  1. 차실내에 설치되고, 절첩된 에어백 및 고압가스를 발생하여 동 에어백에 고압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트를 가지는 에어백모듈;
    차량충돌시의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
    상기 충격센서가 소정조건을 만족하는 충격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인플레이트에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을 차실내의 탑승자방향으로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트 제어장치;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는 제1위치 및 해방하는 제2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수 있고, 동 에어백측부를 계지하였을 때 동 에어백의 전개량을 제한하는 리테이너;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는 제1위치 및 해방하는 제2위치의 한쪽에 리테이너를 제어하는 리테이너 제어장치와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에어백측부를 해방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시의 크기를 작게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착석상태를 검출하는 착석상태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 제어장치는, 상기 착석상태검출장치의 검출출력에 응하여,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는 제1위치 및 해방하는 제2위치의 일측에 제어하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트와 상기 에어백과의 사이의 통로에 설치되고, 동 인플레이트에서 발생한 가스의 일부를 동 통로밖으로 배출가능한 배출구:
    동 배출구를 덮는 밸브;
    상기 리테이너가 계지되어 있을 때 동 배출구를 개방하는 밸브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리테이너에 연동되고, 동 밸브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에어백측부를 계지하고 있을 때에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에어백측부를 해방하고 있을 때에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리테이너 구동장치가 상기 밸브제어장치를 겸하고 있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모듈은, 상기 인플레이트 및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에어백은, 동 에어백측부에 취부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는 플랩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에 취부되고 동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플랩을 위치시킬 수 있는 갭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플랩의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가지는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이 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일단에 계지부재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리테이너를 회동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플랩의 구멍을 삽통하여 동 플랩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트는, 복수의 가스분출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인플레이트 제어장치에 의해 일부의 가스분출구에서의 가스의 분출을 정지할 수 있고;
    상기 일부의 가스의 분출구에서 분출된 가스를 외부에 도출하는 배출로; 및
    상기 동 배출로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리테이너와 연동된 이동부재, 동 이동부재는, 상기 배출로를 폐쇄하도록 하고 또한 동 배출로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인플레이트에서 분출된 가스가 동 배출로내에 인도되었을 때에, 상기 에어백측부를 해방하도록 상기 리테이너를 변위하는 것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에어백장치.
KR1019990021511A 1998-06-25 1999-06-10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331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90298A JP3528607B2 (ja) 1998-06-25 1998-06-25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10-178902 1998-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71A true KR20000006071A (ko) 2000-01-25
KR100331147B1 KR100331147B1 (ko) 2002-04-01

Family

ID=1605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511A KR100331147B1 (ko) 1998-06-25 1999-06-10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37949B1 (ko)
JP (1) JP3528607B2 (ko)
KR (1) KR100331147B1 (ko)
DE (1) DE1992648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844A3 (en) * 2007-08-14 2009-04-23 Cdnetwork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client and serve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2597B1 (en) 1999-11-12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390501B1 (en) 1999-11-12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JP2003515483A (ja) * 1999-11-12 2003-05-07 デルファイ・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可変プロフィールのエアーバッグ拘束システム
EP1504970B1 (en) * 1999-11-12 2015-03-18 Autoliv Development AB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US6736426B2 (en) 2000-09-28 2004-05-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profile air bag restraint
JP4631172B2 (ja) * 2001-01-22 2011-02-1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648371B2 (en)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US6786505B2 (en) * 2001-08-17 2004-09-07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JP2004001591A (ja) * 2002-04-08 2004-01-08 Takata Corp 乗員保護装置
US6942242B2 (en) * 2002-06-25 2005-09-13 Delphi Technologies, Inc. Biasing deployment flap and inflatable cushion cover
US6832778B2 (en) *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US6805055B1 (en) * 2003-06-25 2004-10-19 Gamma Recherches & Technologies Patent Sa Plasma firing mechanism and method for firing ammunition
GB2405250A (en) 2003-08-19 2005-02-23 Autoliv Dev A side air-bag with side crash sensor arrangement
US7121605B2 (en) * 2004-03-17 2006-10-17 Lear Corporation Glove box with sensor
US20060082114A1 (en) * 2004-10-20 2006-04-20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JP2006117235A (ja) * 2004-10-21 2006-05-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US20080054602A1 (en) * 2006-08-29 2008-03-06 Key Safety Systems, Inc. Passenger side twin airbag module assembly
KR100857353B1 (ko) * 2007-10-04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개거동 제어식 에어백 장치
US10967829B1 (en) 2019-09-17 2021-04-06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Driver side airbag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6101A1 (de) * 1970-11-14 1972-05-18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Sicherheitsvorrichtung
JP3605929B2 (ja) * 1996-03-04 2004-12-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709405A (en) * 1996-04-10 1998-01-20 Morton International, Inc. Variable mass flow airbag module
JPH1035405A (ja) * 1996-07-18 1998-02-10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ガス圧調整装置
US5743558A (en) * 1997-02-11 1998-04-28 Takata, Inc. Air cushion module with rotating vent ring
US5833265A (en) * 1997-02-21 1998-11-10 Takata, Inc. Airbag with excursion restrictors
US5899494A (en) * 1997-09-18 1999-05-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eflagration venting system for airbag systems
DE19756977C2 (de) * 1997-12-20 2001-07-05 Daimler Chrysler Ag 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DE29805209U1 (de) * 1998-03-23 1998-06-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63743 Aschaffenburg Aufprall-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844A3 (en) * 2007-08-14 2009-04-23 Cdnetwork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client and serv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26486B4 (de) 2006-04-13
KR100331147B1 (ko) 2002-04-01
JP3528607B2 (ja) 2004-05-17
US6237949B1 (en) 2001-05-29
DE19926486A1 (de) 2000-01-13
JP2000006754A (ja) 200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14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9533651B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92200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US7347444B2 (en)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JP4015112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8500164B2 (en) Airbag with passive-active venting
CA2108394A1 (en) Air bag cushion with fabric diffuser
WO2008010885A1 (en) Airbag with active exhaust vent
JPH07329688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
EP0837795A1 (en) Side air bag incorporated in vehicle outer armrest
JP2843099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210153697A (ko) 에어백 장치
JP2018024341A (ja) 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US7618059B2 (en) Tether ve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JP2007191077A (ja) 助手席用乗員拘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3284443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867131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H1134787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405871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34249A (ko) 에어백 장치
JP2938835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00616013B1 (ko) 에어백 장치
JP3744379B2 (ja) 乗員拘束装置
JP7099217B2 (ja) 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