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493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493A
KR19990076493A KR1019980036387A KR19980036387A KR19990076493A KR 19990076493 A KR19990076493 A KR 19990076493A KR 1019980036387 A KR1019980036387 A KR 1019980036387A KR 19980036387 A KR19980036387 A KR 19980036387A KR 19990076493 A KR19990076493 A KR 1999007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lamp
pair
fit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오 오오시로
Original Assignee
노즈미 아끼라
월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즈미 아끼라, 월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노즈미 아끼라
Publication of KR1999007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등을 확실히 고정가능하게 하므로서 배관 등에 세로방향 이외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횡방향으로의 치우짐을 일으키지 않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를 갖추고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감합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한쌍의 측벽을 수직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을 상기 측벽사이로 삽입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를 갖추고,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감합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협지부의 횡방향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선단부를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이 보지되는 보지홈을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램프
본 발명은 기대와 그 기대에 입설된 협지부를 갖춘 배관고정용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협지부의 가로치우침 방지용의 보지편을 구비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배관 작업시에는 배관을 마루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관고정용의 클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도 11은 종래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배관고정용의 클램프(이하, 단순히「클램프」라고 한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면에서 31이 클램프이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31)는 기대(32)와 그 기대(32)의 양단측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부(33)를 갖추고 있고, 또한 지지부(33)의 선단부에는 각각 반원통형상의 한쌍의 협지부편(3401,3402)이 가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한쌍의 협지부편(3401,3402)에 의해 배관을 협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쪽의 협지부재(3401)에는 그 선단부 외주측에 감합돌출부(35)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다른쪽의 협지부편(3402)에는 그 선단부 내주측에 상기 한쪽의 협지부편(3401)의 선단부 외주측에 설치된 감합돌출부(35)가 감합되는 감합오목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부내에 배관을 삽입한 후에 상기 감합돌출부(35)와 감합오목부(36)를 감합시키므로서 배관을 협지부내에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감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12이고 또한 배관(29)등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 13이다. 그리고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협지부편(3401,3402)을 서로 감합시킨 후는 한쪽의 협지부편(3401)의 선단부분을 하부측으로 누르거나 또는 다른쪽의 협지부편(3402)의 선단부분을 상부측으로 눌러올리지 않는 한 감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대(32)에는 저면부에 나사 구멍(37)을 갖추고 있고 이 나사구멍(37)을 사용하므로서 클램프(31)를 마루면 등에 부착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31)를 사용하여 배관 등을 고정할때에는 나사등으로 클램프(31)를 마루면 등에 고정하고 그후에 협지부내 배관(39)등을 삽입함과 동시에 협지부편(3401,3402)의 선단부를 감합시킨다.
또한, 이때 각각의 협지부편(3401,3402)은 상술한 바와같이 지지부(33)에 대해 가동가능하게 협지부내로 배관(39)등을 삽입한 후, 삽입한 배관(39)등에 의해 협지부편(3401,3402)의 하단부분(3403,3404)을 하부측으로 누르므로서 자동적으로 선단부(3401,3402)가 감합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38은 슬롯부이고 이 슬롯부(38)에 나사구멍을 갖춘 핀등을 삽입하여 상기 나사구멍(37)과 핀으로 구비된 나사구멍을 맞추므로서 보다 견고한 클램프를 마루면 등에 나사를 잠글 수 있다.
이렇게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에서는 협지부편(3401,3402)의 선단부를 감합시키므로서 배관(39)등을 협지하여 고정가능하므로 배관(39)등을 협지한 후는 협지부편(3401,3402)의 각각에, 개방 방향, 즉 외주방향으로 역의 힘이 더해진 경우라도 쉽게 협지부편(3401,3402)의 선단부의 감합이 엇갈려 개방되고 그 결과, 배관(39)등의 고정이 풀리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프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협지부편의 개방방향으로의 외력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을 갖고 있으나 외주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힘에 대해서는 이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없었다.
즉, 협지부편의 개방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감합돌출부(35) 및 감합오목부(36)등을 갖추고 있으므로 협지부편이 개방되는 위험성은 없으나 예를들면, 고정되어 있는 배관에 대해서 배관 등의 세로방향 이외의 힘이 더해지고 그 결과, 각각의 협지부편에, 외부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하 「횡방향」이하고 함)으로 역향하는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이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단이 없으므로 협지부편이 옆으로 치우침이나 비틀림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배관이 엇갈려 버리고 또한, 클램프 자체가 파손되는 것도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관 등을 확실히 고정가능하고, 배관 등에 횡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옆으로 치우침과 비틀림을 일으키지 않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클램프의 제 1실시예의 한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1실시예의 다른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의 제 1선단부를 변형시킨 실시예의 한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클램프의 제 1 실시예의 선단부를 변형시킨 실시예의 다른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3실시예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클램프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 클램프의 감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 클램프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11, 21 클램프
2, 12, 22 기대
3, 13, 23 지지부
4, 5, 14, 15, 24, 25 협지부편
6, 7, 16, 17, 26, 27 선단부
601, 1601, 2601 감합돌출부
701, 1701, 2701 감합오목부
602 좌우측벽
1602, 2702 보지편
1702, 2602 보지홈
본 발명의 클램프는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감합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 블록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한쌍의 측벽을 수직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을 상기 측벽사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클램프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기대를 마루면 등에 고정한 후에 배관 등을 기대에 입설된 협지부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그 후에 선단부의 한편에 수직설치한 한쌍의 측벽 사이로 선단부의 다른쪽을 삽입함과 동시에 선단부 한쪽에 형성된 감합돌출부에, 선단부의 다른쪽에 형성된 감합오목부를 감합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선단부의 한쪽에 형성된 감합돌출부에, 선단부의 다른 쪽에 형성된 감합오목부를 감합시키기 위해 협지부편의 개방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라도 협지부의 선단부가 이탈한 위험성이 없다.
또한, 선단부의 한쪽에는 한쌍의 측벽을 수직 설치하고, 이 측벽 사이로 다른쪽의 선단부를 삽입하도록 하기 위해 배관 등으로 그 세로방향이외의 강한 힘이 가해지고 그 결과, 각각의 협지부편의 횡방향으로 역향하여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가 옆으로 치우치거나 비틀림이 일어나서 고정하고 있는 배관 등의 위치가 변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 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감합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으로 협지부의 가로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선단부를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이 보지되는 보지홈을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클램프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기대를 마루면 등에 고정시킨 후에 배관 등을 기대에 입설된, 서로 감합가능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이후에 한쌍의 선단부를 감합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상기 협지부의 한쪽의 선단부로 가로치우침 방지용의 보존편을 구비함과 동시에 선단부를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이 보지된 보지홈을 다른쪽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따라서, 한쌍의 선단부를 서로 감합시키면 한쪽의 선단부에 형성된 보지편이 다른쪽의 선단부에 형성된 보지홈에 보지된다. 그러므로, 배관 등에 그 세로방향 이외의 강한 힘이 가해지고 그 결과 각각의 협지부편의 횡방향으로 역향하여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클램프 협지부편의 가로치우침과 비틀어짐이 일어나서, 고정된 배관 등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 클램프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실시예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예의 클램프이다.
본 실시예의 클램프(1)에서는 나사구멍(201) 및 슬롯(202)을 갖는 기대(2)의 양단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연속되는 지지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지부(3)에는 각각 반원통형상의 한쌍의 협지부편(4,5)이 입설되어 있고 이 한쌍의 협지부편(4,5)의 내주면으로 배관 등을 고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협지부편(4,5)은 상기 지지부(3)에 대해 가동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쪽 협지부편(4)의 선단부(6) 외주측에는 감합돌출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합돌출부(601)의 양측에는 한쌍의 좌우측벽(602)이 선단부(6)에서 연속하여 수직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한쌍의 좌우측벽(602)의 후단에는 선단부(6)로부터 연속된 후부측벽(603)이 수직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6)를 확대한 도면이 도 2이고 도에 있어서 (A)는 사시도이고, 또한 (B)는 (A)에 있어서 A-A선 단면도이다.
한편, 다른쪽의 협지부(5)의 선단부(7)에는 도 3에 도시된 있는 바와같이 상기 감합돌출부(601)를 감합가능한 감합오목부(701)가 내주측에 형성되고 이로써 선단부(6,7)를 서로 근접시켜 감합돌출부(601)와 감합오목부(701)를 감합시킬 수 있고 협지부(8)내에 배관 등을 삽입한 후에 선단부(6,7)를 서로 감합하므로서 배관 등을 협지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관 등에는 외경에 따라 복수의 종류가 존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합오목부(701)를 복수개 형성하여 복수 종류의 배관 등을 협지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단부(7)의 폭치수는 상기 한쪽의 선단부(6)에 수직 설치된 한상의 측벽(602) 사이의 치수이하로 하여 선단부(7)가 상기 측벽(602)내로 삽입 가능하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클램프(1)에서는 한쪽의 선단부(6)에 형성된 감합돌출부(601)에 다른쪽의 선단부(7)에 형성된 감합오목부(701)를 감합시킨 구조로 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단부(7)를 한쪽의 선단부(6)에 형성된 양측벽(602) 사이로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협지부편(4,5)의 개방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4,5)의 선단부(6,7)가 이탈된 위험성이 없으며 배관 등에 그 세로방향 이외의 강한 힘이 가해지고 그 결과 각각의 협지부편(4,5)의 횡방향으로 역향하여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4,5)이 옆으로 치우침과 비틀림을 일으켜 고정되어 있는 배관 등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클램프(1)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클램프(1)를 마루면 등의 소망하는 위치에 재치한 후, 나사구멍(201)에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고 마루면 등에 본 실시예의 클램프(1)를 고정한다. 또한 이때 상기 기대(2)에 설치된 나사구멍(201)과 거의 동일형상의 나사구멍을 갖춘 핀(도시하지 않음)을, 서로의 나사구멍이 중복되는 위치에서 슬롯(202)에 삽입하고 이후에 나사를 잠그므로서 보다 확실히 클램프(1)를 마루면 등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협지부편(4,5) 사이에 배관 등을 삽입하고 그리고 그 후에 한쪽의 선단부(6)에 형성된 양측벽(602) 사이로 다른쪽의 선단부(7)를 삽입하고 다른쪽의 선단부(6)에 형성된 감합돌출부(601)와 다른쪽의 선단부(7)에 형성된 감합오목부(701)를 감합시킨다. 이로써 배관 등을 소망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선단부(6,7)를 감합시키고 있는 협지부편(4,5)의 개방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4,5)의 선단부(6,7)가 이탈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협지부편(4,5)의 횡방향으로 각각 역향하여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4,5)이 옆으로 치우치거나 비틀림을 일으킬 위험성도 없다.
또한, 선단부(6,7)를 감합시킬 때, 본 실시예의 클램프(1)에서는 협지부편(4,5)을 지지부(3)에 대해 가동가능하게 입설하고 있으므로 배관 등으로 협지부편(4,5)의 하단부(8,9)를 누르므로서 자동적으로 선단부(6,7)를 감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클램프(1) 선단부(6,7)의 형상을 변형시킨 제 2실시예의 클램프(1) 선단부(6,7)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한쪽의 선단부(6)를, 그리고 도 5는 다른쪽의 선단부(7)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의 선단부(6)에 형성된 좌우측벽(602)의 내벽을 거의 八자 형상으로 하므로써 후부측벽(603)의 중앙부분의 상부를 절취하였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쪽의 선단부(7)는 상기 한쪽의 선단부(6)의 측벽(602)내에 삽입가능하도록 평면형상을 T자형으로 하므로서 절취부(702)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선단부(7)의 외주를 한쪽의 선단부(6)의 좌우측벽내보다 절취부(702)만큼만 크게 하므로서 보다 견고히 다른쪽의 선단부(7)를 선단부(6)내로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즉, 다른쪽의 선단부(7)를 한쪽의 선단부(6)내로 삽입하기 전에는 절취부(702)가 유지되나 다른쪽의 선단부(7)를 한쪽의 선단부(6)의 좌우측벽(602)내로 삽입할 때 및 삽입한 후에는 좌우측벽(602)내로 압압되어 절취부(702)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선단부(7)가 절취부(702)를 회복하고자 좌우측벽(602)내를 압압하고 그 결과 다른쪽의 선단부(7)를 한쪽의 선단부(6)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한쪽의 선단부(6)에 설치된 후부측벽(603)은 그 중앙부분의 상부를 절취하고 있으므로 그 절취부분에 드라이버등을 삽입하므로서 쉽게 다른쪽의 선단부(7)와 한쪽의 선단부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선단부(6,7)를 변형시킨 실시예이므로 그밖의 부분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 클램프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1은 본 실시예의 클램프이다.
본 실시예의 클램프(11)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나사구멍(1201), 및 슬롯(1202)을 갖는 기대(12)의 양단측으로 부터 상부측을 향해 연속해서 지지부(13)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지지부(13)에는 각각 반원통형상의 한쌍의 협지부편(14,15)이 입설되어 있고 이 한쌍의 협지부편(14,15)의 내주면으로 배관 등을 고정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협지부편(14,15)은 상기 지지부(13)에 대해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쪽의 협지부편(14)의 선단부(16)의 외주측에는 감합돌출부(16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 협지부편(15)의 선단부(17)의 내주측에 상기 감합돌출부(1601)가 감합가능한 감합오목부(1701)가 형성되어 협지부(14,15)내로 배관 등을 삽입한 후에 선단부(16,17) 서로를 감합하므로서 배관 등을 협지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감합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도 8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감합오목부(1701)를 복수개 형성하여 복수 종류의 배관 등의 협지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있어서, 1602는 협지부편(14,15)의 선단부(16,17)를 서로 감합시킨 후에 협지부편(14,15)의 횡방향 치우침과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이고, 상기 감합돌출부(1601)에서 연속하여 협지부편(14)의 외주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다른쪽의 협지부(15)의 선단부(17) 내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내주를 따라 상기 보지편(1602)을 보지시키기 위한 보지홈(17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지편(1602)은 선단부(16,17)를 서로 감합시켰을 때에 보지홈(1702)내에 보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지편(1602)이 보지홈(1702)에 보존되므로서 협지부편(14,15)의 횡방향 치우침과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클램프(11)로 협지고정하고 있는 배관 등에 그 세로방향이외로 부터 강한 힘이 가해지고, 협지부편(14,15)의 각각에 횡방향으로 역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14,15)이 횡방향으로 치우치거나 비틀림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클램프(11)를 사용할 때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클램프(11)를 마루면 등의 소망하는 위치로 재치한 후에 나사구멍(201)으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고 마루면 등에 본 실시예의 클램프(11)를 고정한다. 또한 이때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기대(12)에 설치된 나사구멍(1201)과 거의 동일형상의 나사구멍을 갖춘 핀(도시하지 않음)을 서로의 나사구멍이 중첩되도록 하는 위치에서 슬롯(1202)에 삽입하고 그 후에 나사를 잠그므로서 보다 확실히 클램프(11)를 마루면 등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고정된 배관 등을 협지편(14,15)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한쪽의 선단부(16)에 형성된 감합돌출부(1601)와 다른쪽의 선단부(17)에 형성된 감합오목부(1701)를 감합시키고 배관 등을 협지부편(14,15)내로 협지고정시킨다. 이로써 배관 등을 확실히 마루면 등에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보지편(1602)이 보지홈(1702)내로 보지되어 협지부편(14,15)의 횡방향 치우침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것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선단부(16,17)를 감합시켰을 때에는 본 실시예의 클램프(11)에서는 협지부편(14,15)을 지지부(13)에 대해 가동가능하게 입설하고 있어 배관 등에 의해 협지부편(14,15)의 하단부(18,19)를 누르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단부(16,17)를 감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클램프(21)에서는 한쪽의 협지부편(24)의 선단부(26)에 형성된 감합오목부(2601)의 일부를 절취하여 보지홈(260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른쪽의 협지부편(25)의 선단부(27)의 내부측에는 상기 보지홈(2602)내에 보지되는 보지편(2702)을 내주를 따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상술한 실시예 경우와 같이 클램프(21)에서 협지 고정되어 있는 배관 등으로 그 세로방향 이외로부터 강한 힘이 가해지고 협지부편의 각각에 횡방향으로 역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협지부편이 횡으로 치우치거나 또는 비틀림을 일으키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클램프(21)는 한쪽의 선단부(26)에 형성된 감합오목부(2601)를 절취하여 보지홈(2602)을 설치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선단부(27)내주측에 보지편(2702)을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고 그 밖의 작용효과 등은 상술한 제 3실시예의 클램프(11)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클램프(1,11,21)에서는 모두 한쌍의 협지부편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감합가능한 한쌍의 선단부를 갖고 있으면 반드시 한쌍의 협지부편을 이용할 필요가 없고 예를들면 협지부편의 하부측(클램프 1에 있어서, 8,9, 클램프(11)에 있어서 18,19등)을 연속시킨 형태라도 좋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클램프(1,11,21)에서는 기대(2,12,22)에 슬롯(202,1202,2202)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슬롯을 갖지 않은 형태라도 좋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클램프(1,11,21)에서는 감합오목부(701,1701,2701)를 복수개 형성하고 협지고정하는 배관 등의 외경이 다른 경우에도 대응가능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감합오목부를 복수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감합오목부를 1개만 형성한 형태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 기재한 바와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를 갖추고, 상기 선단부의 한쪽으로 감합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한쌍의 측벽을 수직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을 상기 측벽사이로 삽입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선단부의 한쪽에 형성된 감합돌출부에, 선단부의 다른쪽에 형성된 감합오목부를 감합시킴과 동시에 협지부편의 개방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경우라도 협지부의 선단부가 이탈할 위험성이 없으며 선단부의 한쪽에는 한쌍의 측벽을 수직설치하고, 이 측벽 사이로 다른쪽의 선단부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배관 등에 그 세로방향 이외의 강한 힘이 가해지고 그 결과 각각의 협지부편의 횡방향으로 역향하여 힘이 가해졌을 경우라도 협지부가 옆으로 치우치거나 비틀어져서 배관 등의 위치가 변해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기대와 그 기대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를 갖는 협지부 등을 갖추고,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감합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한쪽에 협지부의 횡방향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선단부를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이 보지되는 보지홈을 상기 선단부의 다른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클램프에서는, 상기 협지부의 한쪽의 선단부에 횡방향 치우침 방지용의 보지편을 갖춤과 동시에 선단부를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이 보지되는 보지홈을 다른쪽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한쌍의 선단부를 서로 감합시키면 한쌍의 선단부에 형성된 보지편이 다른쪽의 선단부에 형성된 보지홈에 보지된다. 그러므로 배관 등에 횡방향으로 향하는 강한 힘이 가해졌을 경우라도 클램프의 협지부가 옆으로 치우치거나 비틀림을 일으켜서 고정되어 있는 배관 등의 위치가 변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기대(2)와 그 기대(2)에 가동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6,7)를 갖는 협지부를 갖추고 상기 선단부(6,7)의 한쪽에 감합돌출부(60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6,7)의 다른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601)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701)을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6,7)의 한쪽에 한쌍의 측벽(602)을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6,7)의 다른쪽을 상기 측벽(602) 사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기대(2)와, 그 기대(2)에 입설된 한쌍의 협지부편(4,5)을 갖추고, 상기 협지부편(4,5)의 한쪽 선단에 감합돌출부(60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협지부편(4,5)의 다른 쪽의 선단에는 상기 감합돌출부(601)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701)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편(4,5)의 한쪽선단에 한쌍의 측벽(602)을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협지부편(4,5)의 다른쪽의 선단을 상기 측벽(602) 사이로 삽입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기대(12)와 그 기대(12)에 가동 가능하게 입설된 한쌍의 선단부(16,17)를 갖는 협지부를 갖추고, 상기 선단부(16,17)의 한쪽에 감합돌출부(160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선단부(16,17)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감합돌출부(1601)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1701)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6,17)의 한쪽에 협지부의 횡방향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160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선단부(16,17)을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보지편(1602)이 보지된 보지홈(1702)을 상기 선단부(16,17)의 다른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기대(12)와 그 기대(12)에 입설된 한쌍의 협지부편(14,15)을 갖추고, 상기 협지부편(14,15)의 한쪽 선단에 감합돌출부(160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협지부편(14,15)의 다른쪽의 선단에는 상기 감합돌출부(1601)가 감합하는 감합오목부(1701)를 형성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협지부편(14,15)의 한쌍의 선단에 협지부편(14,15)의 횡방향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편(160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협지부편(14,15)의 다른쪽 선단에 상기 보지편(1602)이 보지되는 보지홈(170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19980036387A 1998-03-31 1998-08-31 클램프 KR19990076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03837 1998-03-31
JP10103837A JPH11287360A (ja) 1998-03-31 1998-03-31 ク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93A true KR19990076493A (ko) 1999-10-15

Family

ID=143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387A KR19990076493A (ko) 1998-03-31 1998-08-31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87360A (ko)
KR (1) KR19990076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43Y1 (ko) * 2007-10-25 2010-01-13 전명욱 파이프 행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2295B2 (ja) * 2005-12-12 2011-10-12 リエ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パイプクランプ構造及びそのためのスリーブ部材
JP2007321887A (ja) * 2006-06-01 2007-12-13 Jfe Pipe Fitting Mfg Co Ltd 給水・給湯用立ち上がり管の支持装置およびその支持方法
JP5286771B2 (ja) * 2007-01-26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54508B1 (ko) * 2007-01-29 2007-09-03 주식회사 엑스텍 파이프 고정부재
JP5206136B2 (ja) * 2008-06-10 2013-06-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ホース用クリップ及びそのクリップを用いた車両のホース固定構造
JP6153098B2 (ja) * 2015-09-29 2017-06-28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ホルダー
US10704710B2 (en) * 2018-11-20 2020-07-07 The Boeing Company Easy lock P-clamp
CN110296276B (zh) * 2019-07-11 2020-08-2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管线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363A (en) * 1968-05-06 1970-06-02 Illinois Tool Works Spring clip
US4478381A (en) * 1981-07-04 1984-10-23 A. Raymond Pipe clamp
US4669688A (en) * 1985-02-07 1987-06-02 Kitagawa Industries Co., Ltd. Cable clamp
JPH07198068A (ja) * 1993-12-28 1995-08-01 Isuzu Motors Ltd 配管用クリ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5363A (en) * 1968-05-06 1970-06-02 Illinois Tool Works Spring clip
US4478381A (en) * 1981-07-04 1984-10-23 A. Raymond Pipe clamp
US4669688A (en) * 1985-02-07 1987-06-02 Kitagawa Industries Co., Ltd. Cable clamp
JPH07198068A (ja) * 1993-12-28 1995-08-01 Isuzu Motors Ltd 配管用クリ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43Y1 (ko) * 2007-10-25 2010-01-13 전명욱 파이프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87360A (ja)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8509B2 (ja) インサート、インサートのキット及び連結要素
US6463631B2 (en) Binding tool
US5040831A (en) Non threaded pipe connector system
US5466098A (en) Drill bit guiding device
KR19990076493A (ko) 클램프
EP0987484A2 (en) Pipe coupler
JP2002531734A (ja) 中空プロフィールロッド
JPS633162B2 (ko)
JP4426031B2 (ja) フライス工具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US4904000A (en) Connection fitting for a corrugated tube
KR100855334B1 (ko) 절단 및 홈가공 작업용 절삭공구
JP4703044B2 (ja) スピゴット継手
JPH08501256A (ja) 機械スピンドルをツールホルダーと接続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US6231051B1 (en) Cable sleeve consisting of a socket pipe having at least one transversely divided end member
US4569763A (en) Wire locking structure for a filter device
CA1156959A (en) Track splice
JP2018076912A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KR102546166B1 (ko) 프로파일 연결장치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2008003475A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
KR100926350B1 (ko) 물체를 지지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방법
JP4079567B2 (ja) 配線固定具
JP3417029B2 (ja) 配管用クリップ装置
IE20050099A1 (en) Ke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