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590A -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590A
KR19990035590A KR1019970057414A KR19970057414A KR19990035590A KR 19990035590 A KR19990035590 A KR 19990035590A KR 1019970057414 A KR1019970057414 A KR 1019970057414A KR 19970057414 A KR19970057414 A KR 19970057414A KR 19990035590 A KR19990035590 A KR 1999003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udio
unit
output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공현
Original Assignee
류공현
코스텔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공현, 코스텔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공현
Priority to KR101997005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590A/ko
Priority to US09/016,727 priority patent/US6047049A/en
Priority to TW089204032U priority patent/TW412028U/zh
Priority to CN98100617A priority patent/CN1216836A/zh
Publication of KR1999003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5Audio, video, tv, consumer electronics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거실, 침실 또는 사무실에 비치된 가구(특히, 씽크대의 찬장하부)등의 여유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부착형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의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디오 시스템에 전화 기능, 인터폰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가사 작업시 작업의 무료함을 극복하도록 하고, 전화 또는 인터폰에 의한 통화시 굳이 장소를 이동하지 않아도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전화 통화 녹음기능 및 음성 메시지 기능을 부가하여 전화 통화시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 있으며, 외출시 가족들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그리고, 실내 방송기능에 의해 실내의 가족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 내용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기청정 기능에 의해 주방에서의 가사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음식냄새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주방, 거실, 침실 또는 사무실에 비치된 가구 등의 여유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부착형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의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주부들이 하루 일과중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장소가 주방일 것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주방의 질 즉, 싱크대 및 각종 주방기구의 사용의 편리성등에 대해서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고 사용하였지만,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주방의 인테리어 및 작업의 편리성을 더해주는 각종 주방용 전자기구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주방용 전자기구중에서 단순하게 반복되는 가사노동의 무료함을 달래고, 또한 각종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방가구인 싱크대등(물론 거실, 침실 또는 사무실 등의 가구 등도 포함된다)의 여유공간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오디오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AM/FM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와, 디지털 시계가 일체로 내장되어 있어 라디오 청취와 아울러 현재의 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에는 그 기능이 라디오와 디지털 시계로 한정되어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불편한 요인이 많이 발생한다.
예컨데, 주방에서 주부들이 가사를 보는 동안에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가사 일을 멈추고 전화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해야 함으로써 작업의 중단과 함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화통화시 상대방이 전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메모지와 필기루를 준비하여 메시지를 직접받아 적어야 하지만, 만일 손이 물에 젖었다던지 여타의 음식물이 묻었을 경우 이를 닦은 후 기록해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주방에서의 작업시 손님이 찾아와 인터폰을 누르는 경우에도 인터폰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찾아온 손님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구 등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오디오 시스템에 전화, 전화통화 내용 녹음 음성 메시지 녹음 기능을 갖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 오디오 시스템에 인터폰 기능, 공기청정 기능, 그리고 실내 방송 기능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킨 다음 그 링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신호 출력과정; 링신호 출력후 사용자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과정; 사용자가 통화 종료를 원한다면 전화 통화의 연결을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통화 종료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통화 연결과정 수행도중에 사용자가 통화 내용의 녹음을 원한다면 이의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통화 내용 녹음과정;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녹음과정; 사용자가 저장된 녹음 내용을 재생하고자 한다면 이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재생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각 과정으로 수행되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13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170,170')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100);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13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170,170')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110);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전화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이후 재생 요구시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는 음성 저장부(120);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100), 전화 회로부(110), 음성 저장부(120)의 출력을 스피커(170,170')로 출력하는 스위칭부(130); 전화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140); 상기 링 신호 감지부(14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170,17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130)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 입력부(160)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30)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형태를 일예를 들어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일예를 들어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의거한 회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의거한 회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공기 정화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공기 청정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마이크로 폰 21,31: 호출버튼
100,200,300: 오디오 회로부 110,210,310: 전화 회로부
120,320: 음성 저장부 130,230,340: 스위칭부
140,240,350: 링신호 감지부 150,250,360: 제어부
160,260,370: 키입력부 170,270,380: 스피커
390: 실내 방송부 391: 증폭부
392: 스피커부 400: 제어부
410: 팬모터 420: 고압 트랜스
430: 집진판 440: 흡입구
450: 토출구
본 발명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성을 위하여 그 외관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패널(40)에 시간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계표시부(50), 라디오의 선국주파수를 디스플레이 하는 선국주파수 표시부(70), 라디오 선국과 스피커를 통한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부(80), 전화통화 및 음성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폰(10,20,30), 그리고 시스템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동작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키 입력부(160,260,370)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설치사용 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주방의 씽크대등)의 패널 하부에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을 안착 구조물에 의해서 또는 오디오 시스템 그 자체로 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구조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링신호 출력과정(ST100, ST101, ST102, ST103), 통화 연결과정(ST104, ST105, ST109), 통화 내용 녹음과정(ST106, ST107, ST108), 통화 종료과정(ST110, ST111), 음성 메시지 녹음과정(ST112, ST113, ST114, ST115, ST116, ST117, ST118), 재생과정(ST119, ST120, ST121, ST122, ST123, ST124, ST125, ST126, ST127)으로 수행된다.
링 신호 출력과정(ST100, ST101, ST102, ST103)은 오디오 청취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전화 시스템의 링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ST100);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링 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T101);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오디오 청취상태라고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ST102, ST103)로 수행된다.
통화 연결과정(ST104, ST105, ST109)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원하는 경우 즉,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면 통화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통화 내용 녹음과정(ST106, ST107, ST108)은 전화 통화 도중 사용자가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녹음하는 과정으로, 통화 도중 녹음 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ST106); 녹음 버튼이 온되면 통화 내용을 녹음 버튼이 오프되는 동안 녹음하는 제2단계(ST107, ST108)로 수행된다.
통화 종료과정(ST110, ST111)은 사용자가 통화 종료시 즉, 후크 스위치를 온시키면 통화를 종료시키는 과정으로, 후크 스위치가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ST109);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통화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제2단계(ST110, ST111)로 수행된다.
음성 메시지 녹음과정(ST112, ST113, ST114, ST115, ST116, ST117)은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시지 녹음 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오디오 청취 도중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ST112, ST113); 오디오 청취 도중이라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단계(ST114, ST115); 상기 제2단계 수행 도중 녹음 버튼이 오프되면 음성 메시지 저장을 종료한 다음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제3단계(ST116, ST117, ST118)로 수행된다.
재생과정(ST119, ST120, ST121, ST122, ST123, ST124, ST125, ST126, ST127)은 녹음된 전화 내용 및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과정으로, 재생 버튼이 입력되면 오디오 청취도중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ST119, ST120); 오디오 청취도중이라면 오디오를 뮤트시킨 다음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제2단계(ST121, ST122); 상기 제2단계 수행 도중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메시지의 재생을 중지하고 전화 통화를 우선적으로 연결하는 제3단계(ST123, ST124, ST125);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제1단계부터 재차 수행하는 제3단계(ST126, ST127 )로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시계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오디오 회로부(100); 전화 회로부(110); 음성 저장부(120); 스위칭부(130); 링 신호 감지부(140);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오디오 회로부(100)는 라디오 수신 장치를 비롯하여 카세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 Player)이 포함된다.
전화회로부(110)는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 입력부(160)의 후크 스위치(hook)가 오프되면 통화를 연결한다.
음성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전화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통화 내용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스위칭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 회로부(100) 및 전화회로부(110), 그리고 음성 저장부(120)의 출력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스피커(170,170')에 인가하는 것이다.
링 신호 감지부(140)는 전화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부(150)는 상기 링 신호 감지부(140)로부터 링 신호가 감지되면 전화 회로부(110)의 출력이 스피커(170,170')로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130)를 제어하고, 또한 키 입력부(160)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회로부(100), 전화 회로부(110), 음성 저장부(120)의 출력을 스피커(170,170')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1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시계부분과 알람기능에 대한 설명은 지극히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상에는 굳이 표현하지 않고 도 1의 외관적인 형태에서 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오디오 회로부(100)에서 출력되는 좌출력(L)은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의 고정접점(131a)에 연결되며, 우출력(R)은 제2스위치(132)의 고정접점(132a)에 연결된다.
전화회로부(110)의 출력은 각각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2)의 고정접점(131b, 132b)에 각각 연결되며, 이의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1c, 132c)은 제어부(150) 출력되는 제어신호(CTL1)에 의하여 고정접점(131a,131b,132a,132b)에의 접점상태를 달리한다.
음성 저장부(120)의 출력은 각각 스위칭부(130)의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고정접점(133a,134a)에 각각 연결되며,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고정접점(133b,134b)은 상기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1c,132c)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3c, 134c)은 각각 좌측 스피커(170) 및 우측 스피커(170')에 각각 연결되며, 이의 가동접점(133c,134c)은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2)에 의하여 고정접점(133a,133b,134a,134b)에의 접점상태를 달리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부(130)의 연결상태하에서 상기 제1스위치(131)의 가동접점(131c)이 고정접점(131a)에 연결되며,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2c)이 제2스위치(132)의 고정접점(132a)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3스위치(133)의 가동접점(133c)이 고정접점(133b)에 연결되고,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4c)이 고정접점(134b)에 연결된다면, 오디오 회로부(100)의 좌출력(L) 및 우출력(R)은 스위칭부(130)의 상기와 같은 접점 연결상태에 따라서 수신 또는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좌우 스피커(170,170')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평상시에는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이 우선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130)는 이와 같은 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오디오 회로부(100)를 통해 오디오 청취 도중 국선을 통해 전화가 걸려오면 그 링신호를 전화회로부(200)가 인가 받아 이를 출력하게 되고, 링 신호감지부(140)에서 이 링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에 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링 신호 감지부(140)로부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의 가동접점(131c)이 고정접점(131b)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2c)이 고정접점(132b)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하여 접점상태를 절환하도록 한다.
이때, 제3스위치(133)의 가동접점(133c)은 고정접점(133b)과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제4스위치(134)도 가동접점(134c)이 고정접점(134b)과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은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와 제2스위치(132)의 절환에 의해 일시적으로 뮤트(mute)상태가 되고, 전화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는 스위칭부(130)를 통해 스피커(170,170')로 출력된다(ST100,ST101,ST102,ST103).
이때, 사용자는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 및 전화 회로부(110)의 출력을 동시에 듣고자 하여 키 입력부(160)를 통해 키 명령을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150)는 이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의 가동접점(131c)을 고정접점(131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함으로써 좌측 스피커(170)로는 오디오 회로부(100)의 오디오가 출력되고, 우측 스피커(170')로는 전화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의 링신호를 듣고 전화를 받고자하여 키 입력부(160)의 후크스위치(hook)를 오프시키게 되면 전화 통화가 연결되어, 스피커(170,170')와 마이크론 폰(10)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ST104, ST105).
이후 사용자가 통화종료를 시키고자 키 입력부(160)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면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 및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1c,132c)이 고정접점(131a,132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접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CTL1)를 출력하게 된다.
즉, 오디오 회로부(100)의 뮤트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화통화 종료후 이전에 청취하던 오디오 회로부(100)의 오디오 신호를 계속 청취할 수 있게 된다(ST109, ST110, ST111).
한편,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하는 도중 중요한 메시지(일예를 들어 전화번호, 주소, 약속장소 및 시간등의 메시지)를 기록하고자 하여 키 입력부(160)를 통해 녹음 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제어부(150)는 이를 인가받아 상기 음성 저장부(120)에 녹음 명령(W)을 인가하게 된다.
이로인해 음성 저장부(120)는 전화 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통화 내용을 인가받아 이를 저장하게 된다(ST106, ST107).
물론, 이때의 전화회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통화 음성은 스피커(170,170')통해 출력되며, 사용자가 굳이 녹음 버튼을 오프시키지 않더라도 후크 스위치(hook)를 온 시키게 되면 녹음이 종료됨과 아울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통화가 종료된다(ST108, ST109).
한편, 사용자가 외출 시에 다른 가족들에게 남길 메시지를 남기고자 하거나 또는 특정하게 일시 기억해 두어야 할 메모 메시지 등을 기록해 두고자 하는 경우에 키 입력부(160)를 통하여 메시지 녹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ST112), 제어부(150)는 이를 인가받아 녹음 명령(W)을 음성 저장부(120)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따라, 마이크로 폰(10)을 통해 인가되는 녹음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음성 저장부(300)에서 인가받아 내부 저장공간에 기록하게 된다(ST115).
이때, 사용자의 음성이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과 혼합되어 저장되지 않도록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의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3c, 134c)이 고정접점(133a, 134a)에 연결되도록 제어신호(CTL2)를 발생한다.
그러나, 음성 저장부(120)의 출력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은 뮤트상태가 된다(ST113, ST114).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의 저장을 완료하고자 녹음 버튼을 오프시키게 되면 (ST116),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의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3c, 134c)이 고정접점(133a,134a)에 연결되도록 제어신호(CTL2)를 발생하여 뮤트상태를 해제시킨다(ST116, ST117, ST118).
상기 음성 저장부(120)의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메모리 칩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대방과의 통화도중 녹음한 통화 내용 또는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고자 하여 키 입력부(160)의 재생 버튼을 누른다면, 제어부(150)는 음성 저장부(120)에 재생 명령(R)을 인가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음성 저장부(120)는 저장된 통화 내용 또는 음성 메시지를 스위칭부(130)의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고정접점(133a, 134a)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어신호(CTL2)를 발생하여 상기 음성 저장부(120)는 스위칭부(130)의 제3스위치(133) 및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3c, 134c)이 고정접점(133a, 134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점을 절환시키도록 한다.
이로인해 음성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는 스피커(170,170')통해 출력되고, 이때 오디오 회로부(100)의 출력은 뮤트 상태가 된다(ST119, ST120, ST121, ST122)
상기 음성 저장부(120)에 저장된 통화 내용 또는 음성 메시지의 재생 도중 전화 회로부(110)로부터 링 신호가 인가되면, 링 신호 감지부(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고(ST123), 이로 인해 제어부(150)는 전화 통화가 우선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의 가동접점(131c)이 고정접점(131b)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2c)이 고정접점(132b)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한다.
또한, 제3스위치(133)의 가동접점(133c)은 고정접점(133b)과 연결되도록, 그리고,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4c)이 고정접점(134b)과 연결되도록 제어신호(CTL2)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음성 저장부(120)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재생은 종료되고,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ST124, ST125).
이후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종료시키고자 키 입력부(160)를 통하여 후크 스위치(hook)를 온 시키게 되면, 제어부(150)는 스위칭부(130)의 제1스위치(131)의 가동접점(131c)이 고정접점(131a)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스위치(132)의 가동접점(132c)이 고정접점(132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한다.
또한, 제3스위치(133)의 가동접점(133c)은 고정접점(133a)과 연결되도록, 그리고, 제4스위치(134)의 가동접점(134c)이 고정접점(134a)과 연결되도록 제어신호(CTL2)를 출력함으로써 오디오 회로부(100)의 뮤트상태를 해제시킨다(ST126, ST12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킨 다음 그 링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신호 출력과정; 링신호 출력후 사용자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과정; 상기 통화 연결과정중 인터폰의 호출음이 발생한 후 전화 보류 버튼이 입력되면 전화 통화 상태를 보류시키는 전화 보류과정; 전화 통화가 보류되면 인터폰 통화를 연결하고, 인터폰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통화를 다시 연결하는 통화 절환 과정; 사용자가 전화 통화의 종료를 원한다면 전화 통화의 연결을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전화통화 종료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통화 연결과정 수행도중에 인터폰의 호출음이 발생한 후 보류 버튼이 입력되지 않고 인터폰의 통화를 원한다면 전화 및 인터폰의 통화를 동시에 연결하는 동시 연결과정; 인터폰의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통화만을 연결한 후 상기 전화통화 종료과정을 수행하는 인터폰 통화 종료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각 과정으로 수행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23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270,270')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200);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23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270,270')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210); 인터폰의 호출 버튼(21)이 눌려지는 경우 스위칭부(230)의 절환상태를 제어하여 스피커(270')를 통해 벨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통화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인터폰 회로부(220);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200), 전화 회로부(210), 인터폰 회로부(220)의 출력을 스피커(270,270')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30); 전화 회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240); 상기 링 신호 감지부(24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270,27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230)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입력부(260)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30)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링신호 출력과정(ST200, ST201, ST202, ST203), 통화 연결과정(ST204, ST205), 전화 보류과정(ST206, ST207, ST208, ST209), 통화 절환과정(ST210, ST211, ST212, ST213), 동시 연결과정(ST214, ST215), 인터폰 통화 종료과정(ST216), 전화통화 종료과정(ST217, ST218)으로 수행된다.
링 신호 출력과정(ST200, ST201, ST202, ST203)은 오디오 청취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전화 시스템의 링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ST200);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링 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T201);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오디오 청취 상태라고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되는 제3단계(ST202, ST203)로 수행된다.
통화 연결과정(ST204, ST205)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원하는 경우 즉,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면 통화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전화 보류과정(ST206, ST207, ST208, ST209)은 인터폰의 호출음이 발생되는 경우에 전화의 통화상태를 보류시키는 과정으로, 인터폰의 호출 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ST206); 인터폰의 호출버튼이 입력되면 호출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전화통화의 보류 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T207, ST208); 전화통화의 보류버튼이 입력되면 전화 통화를 보류시키는 제3단계(ST209)로 수행된다.
통화 절환과정(ST210, ST211, ST212, ST213)은 전화 통화의 보류상태에서 인터폰의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으로,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면 인터폰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1단계(ST210, ST211); 인터폰의 통화 연결도중에 인터폰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전화통화의 보류상태를 해제하는 제2단계(ST212, SR213)로 수행된다.
동시 연결과정(ST214, ST215)은 전화 통화의 보류버튼이 입력되지 않고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만 입력되면 전화 통화와 인터폰 통화를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인터폰 통화 종료과정(ST216)은 인터폰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통화만을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전화통화 종료과정(ST217, ST218)은 전화의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전화통화를 종료하고,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시계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오디오 회로부(200); 전화 회로부(210); 인터폰 회로부(220); 스위칭부(230); 링 신호 감지부(240);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오디오 회로부(200)는 라디오 수신 장치를 비롯하여 카세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 Player)이 포함된다.
전화회로부(210)는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 입력부(260)의 후크 스위치(hook)가 오프되면 통화를 연결한다.
인터폰 회로부(220)는 실외(예를들면 현관측)와 실내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다.
스위칭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 회로부(200) 및 전화회로부(210), 그리고 인터폰 회로부(220)의 출력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스피커(270,270')에 인가하는 것이다.
링 신호 감지부(240)는 전화 회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50)로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부(250)는 상기 링 신호 감지부(240)로부터 링 신호가 감지되면 전화 회로부(210)의 출력이 스피커(270,270')로 인가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230)를 제어하고, 또한 키 입력부(260)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회로부(200), 전화 회로부(210), 인터폰 회로부(220)의 출력을 스피커(270,270')에 선택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2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회로부(200)에서 출력되는 좌출력(L)은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의 고정접점(231a)에 연결되며, 우출력(R)은 제2스위치(232)의 고정접점(232a)에 연결된다.
전화회로부(210)의 출력은 각각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고정접점(231b, 232b)에 각각 연결되며, 이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 232c)은 제어부(250) 출력되는 제어신호(CTL1)에 의하여 고정접점(231a, 231b, 232a, 232b)에의 접점상태를 달리한다.
인터폰 회로부(220)의 출력은 스위칭부(130)의 제4스위치(234)의 고정접점(234b)에 연결되며, 제3스위치(233)의 일측단자 및 제4스위치(234)의 고정접점(234a)은 각각 상기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 232c)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스위치(233)의 타측단자 및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은 각각 좌측 스피커(270) 및 우측 스피커(27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3스위치(233)는 제어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CTL2)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를 달리하고,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은 인터폰 회로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3)에 의하여 고정접점(234a,234b)에의 접점상태를 달리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부(230)의 연결상태하에서 상기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232c)이 각각 고정접점(231a,232a)에 연결되며, 제3스위치(233)가 온되어 있고,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이 고정접점(234a)에 연결된다면, 오디오 회로부(200)의 좌출력(L) 및 우출력(R)은 스위칭부(230)의 상기와 같은 접점 연결상태에 따라서 수신 또는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좌우 스피커(270,270')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같이, 평상시에는 오디오 회로부(200)의 출력이 우선될 수 있도록 스위칭부(230)는 이와 같은 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오디오 회로부(200)를 통해 오디오 청취 도중 국선을 통해 전화가 걸려오면 그 링신호를 전화회로부(200)가 인가받아 이를 출력하게 되고, 링 신호 감지부(240)에서 이 링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50)에 그에 대한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링 신호 감지부(240)로부터 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의 가동접점(231c)이 고정접점(231b)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2c)이 고정접점(232b)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하여 접점상태를 절환하도록 한다.
이때, 제3스위치(233)는 온상태를 유지하고, 제4스위치(234)는 가동접점(234c)이 고정접점(234b)과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오디오 회로부(200)의 출력은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와 제2스위치(232)의 절환에 의해 일시적으로 뮤트(mute)상태가 되고, 전화회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는 스위칭부(230)를 통해 스피커(270,270')로 출력된다(ST200, ST201, ST202, ST203).
이때, 사용자는 오디오 회로부(200)의 출력 및 전화회로부(210)의 출력을 동시에 듣고자 하여 키 입력부(260)를 통해 키 명령을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250)는 이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의 가동접점(231c)을 고정접점(231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를 출력함으로써 좌측 스피커(270)로는 오디오 회로부(200)의 오디오가 출력되고, 우측 스피커(270')로는 전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의 링신호를 듣고 전화를 받고자하여 키 입력부(260)의 후크스위치(hook)를 오프시키게 되면 통화 연결되어, 스피커(270,270')와 마이크로폰(20)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ST024, ST205).
이후 사용자가 통화종료를 시키고자 키 입력부(260)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면 제어부(250)는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 232c)이 고정접점(231a,232a)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치의 접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CTL1)를 출력하게 된다.
즉, 오디오 회로부(200)의 뮤트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화통화 종료후 이전에 청취하던 오디오 회로부(200)의 오디오 신호를 계속 청취할 수 있게 된다(ST217, ST218).
한편, 전화통화 도중에 손님이 찾아와 인터폰 버튼(21)을 누르게 된다면 인터폰 회로부(220)는 제4스위치(234)의 고정접점(234c)이 가동접점(234b)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3)를 발생함으로써 좌측 스피커(270)로는 전화 음성이, 우측 스피커(270')로는 인터폰의 벨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T206, ST207).
사용자가 이 인터폰 호출음을 듣고 전화 통화를 보류시키고 인터폰 통화를 우선적으로 하고자 키 입력부(260)를 통해 보류 버튼을 입력시키게 되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2)를 발생하여 제3스위치(233)를 오프시킴으로써 전화를 보류시키게 된다(ST208, ST209).
이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260)를 통해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오프시키게 되면 인터폰 회로부(220)는 스위칭부(230)의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을 고정접점(234b)로 절환시킴으로써 인터폰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ST210, ST211).
사용자가 인터폰의 통화를 끝내고자 키 입력부(260)를 통해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게 되면, 인터폰 회로부(220)는 스위칭부(230)의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을 고정접점(234a)로 절환시킴으로써 인터폰 통화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2)에 의해 제3스위치(233)를 온시킴으로써 전화 통화의 보류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ST212, ST213).
계속해서 사용자가 전화의 통화까지 종료시키고자 전화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1)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 232c)을 고정접점(231a,232a)으로 절환시켜 전화통화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시킨다(ST217, ST218).
만일, 인터폰의 호출음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의 보류 버튼을 누르지 않고 곧바로 키 입력부(260)를 통해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오프시킨 다면 스위칭부(230)의 제4스위치(234)는 인터폰 회로부(220)의 제어신호(CTL3)에 의해 가동접점(234c)을 고정접점(234b)로 절환되어 스피커(270,270')를 통해 전화 및 인터폰의 통화가 동시에 가능하다(ST215).
사용자가 인터폰의 통화를 종료하고자 키 입력부(260)를 통해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게 되면 인터폰의 통화가 종료되고, 전화의 통화만이 계속 연결된다.
이때, 전화의 통화를 종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화의 후크 스위치(hook)가 온되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1)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232c)을 고정접점(231a,232a)으로 절환시켜 전화통화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시킨다(ST217, ST218).
한편,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인터폰의 통화 도중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인터폰 통화 도중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와 링신호 감지부(240)에 의해 링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250)는 스위칭부(230)의 제1스위치(231) 및 제2스위치(232)의 가동접점(231c,232c)이 고정접점(231b, 232b)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1)을 발생하고, 또한 제3스위치(233)을 온시키도록 제어신호(CTL2)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링신호는 스피커(270)로 출력되고, 인터폰의 통화는 스피커(270')로 가능하게 된다(ST219, ST220, ST221).
사용자가 이 링신호를 듣고 인터폰 통화를 보류시키고 전화 통화를 우선적으로 하고자 키 입력부(260)를 통해 인터폰 보류 버튼을 입력시키게 되면, 제어부(250)는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인터폰 회로부(220)는 제어신호(CTL3)를 발생하여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이 고정접점(234a)에 절환되도록 한다.
즉, 인터폰 통화의 보류상태가 되도록 한다(ST222, ST223).
이로인해 전화의 통화만이 가능하게 된다(ST225).
사용자가 전화의 통화를 끝내고자 키 입력부(260)를 통해 전화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2)에 의해 스위칭부(230)의 제3스위치(233)를 오프시키게 되고, 인터폰 회로부(220)는 제어신호(CTL3)에 의해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을 고정접점(234b)으로 절환시킴으로써 인터폰 통화의 보류를 해제시키게 된다(ST206, ST207).
만일, 전화의 링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터폰의 보류 버튼을 누르지 않고 곧바로 키 입력부(260)를 통해 전화의 후크 스위치(hook)를 오프시킨 다면 제어부(250)는 제3스위치(233)를 온시킬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2)를 발생하고, 인터폰 회로부(220)는 스위칭부(230)의 제4스위치(234)의 가동접점(234c)이 고정접점(234b)으로 절환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CTL3)를 발생한다.
이로인해 인터폰과 전화 통화가 동시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ST208, ST209).
이후 전화의 후크 스위치가 온된다면 제어부(250)는 제어신호(CTL2)에 의해 스위칭부(230)의 제3스위치(233)를 오프시킴으로써 인터폰만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ST300, ST219).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380,380')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300);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380,380')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310);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전화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이후 재생 요구시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는 음성 저장부(320);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380,380')를 통해 호출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외부인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인터폰 회로부(330);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300), 전화 회로부(310), 음성 저장부(320), 인터폰 회로부(330)의 출력을 스피커(380,380')로 출력하는 스위칭부(340); 전화 회로부(310)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350); 상기 링 신호 감지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310)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380,38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340)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 입력부(370)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340)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360); 상기 제어부(360)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실내의 각 요소에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되는 실내 방송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의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손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동작상태에 따른 스위칭부(340)의 절환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을때의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는, 제1스위치(341)의 가동접점(341c)은 고정접점(341a)으로, 제3스위치(343)의 가동접점(343c)은 고정접점(343b)으로, 제5스위치(345)의 가동접점(345c)은 고정접점(345a)으로 연결되며, 제2스위치(342)의 가동접점(342c)은 고정접점(342a)으로, 제4스위치(343)는 온되고, 제6스위치(346)의 가동접점(346c)은 고정접점(345a)으로 연결되어 스피커(380,380')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의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는, 제어부(360)의 제어신호(CTL2)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341) 및 제2스위치(342)의 가동접점(341c, 342c)만이 고정접점(341b,342b)으로 절환된다.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인터폰의 호출버튼(31)이 눌려지는 경우에 스위칭부(340)의 절환상태는, 인터폰(330)의 제어신호(CTL3)에 의해 상기 제3스위치(343)의 가동접점(343c)이 고정접점(343a)으로 절환되어 호출음이 스피커(380)로 출력되고, 아울러 오디오 회로부(300)의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38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70)의 제어신호(CTL4)에 의해 제4스위치(344)는 오프된다.
다음으로 음성 저장부(320)에 저장된 메시지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제어신호(CTL1)에 의해 제5스위치(345) 및 제6스위치(346)의 가동접점(345c, 346c)이 고정접점(345b, 346b)로 연결되어 스피커(380,380')를 통해 저장된 음성이 출력된다.
만일 음성 저장부(320)에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온다면, 제어신호(CTL1, CTL2, CTL3, CTL4)에 의해 제1스위치(341)의 가동접점(341c)은 고정접점(341b)으로, 제3스위치(343)의 가동접점(343c)은 고정접점(343b)으로, 제5스위치(345)의 가동접점(345c)은 고정접점(345a)으로 연결되며, 제2스위치(342)의 가동접점(342c)은 고정접점(342b)으로, 제4스위치(343)는 온되고, 제6스위치(346)의 가동접점(346c)은 고정접점(345a)으로 연결되어 스피커(380,380')를 통해 전화 통화가 가능해진다.
만일 음성을 재생하는 도중에 인터폰이 호출된다면, 제3스위치(343)의 가동접점(343c)은 고정접점(343a)으로 연결되고, 아울러 제어신호(CTL4)에 의해 제3스위치(343)는 오프됨과 아울러 제어신호(CTL2)에 의하여 제6스위치(346)의 가동접점(346c)은 고정접점(346a)으로 연결됨으로써 인터폰 통화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 방송 기능까지 포함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키 입력부(370)를 통하여 실내 방송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360)는 실내방송부(390)의 증폭부(391)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이로인해 마이크로 폰(30)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증폭부(391)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된 다음 스피커부(392)로 인가된다.
상기 스피커부(39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스피커로 구성되어 실내의 요소요소 즉, 안방, 작은방, 거실, 화장실, 2층등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증폭부(391)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스피커부(392)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굳이 큰소리로 말하지 않더라도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가 정확히 실내의 가족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상기의 기능이외에도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구비한다.
즉, 실내에 비치된 가구 등의 여유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에 공기중의 부유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청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디오 시스템의 정면 패널(40)쪽으로 다기능을 갖는 오디오부가 위치하고, 그 뒷면에 공기청정장치가 부가되는데, 이의 공기청정장치의 동작설명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공기청정기능을 사용하고자 스위치(41)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400)는 오염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된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보통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상·중·하로 구분하여 그 오염도에 따라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팬 모터(410)의 회전력을 제어한다.
이와동시에 고압 트랜스(420)를 구동시켜 약 6000볼트의 고압을 집진판(430)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410)의 회전력에 의해 오디오시스템의 저면부에 위치한 흡입구(44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집진판(430)을 통과함으로써 미세한 부유물질과 악취 등이 제거된 다음, 팬(410)의 분출력으로 인해 오디오 시스템의 전면부로 향하도록 한 토출구(450)로 깨끗한 공기와 음이온이 토출된다.
이후, 오염감지센서(40)에 의해 감지된 공기가 깨끗이 청정되었다면 제어부(400)는 팬 모터(410) 및 고압 트랜스(420)의 구동을 중단시켜 공기청정기능을 멈추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주방등에서의 작업시 음식물 냄새나 악취를 빠르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예시하듯이 본 발명의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시계, 오디오, 전화, 인터폰, 음성 녹음, 실내 방송, 공기청정기능등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오디오 청취에 의해 가사 노동의 지루함을 달래줄 수 있으며, 작업 도중 걸려온 전화, 인터폰 등의 통화를 위하여 굳이 이동하지 않더라도 통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 도중 기록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메시지를 별다른 필기구없이 곧바로 녹음할 수 있으며, 외출시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남겨놓음으로써 다른 가족들에게 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실내 방송기능에 의해 실내의 가족들을 손쉽게 호출할 수 있다.
아울러 주방에서의 작업시에 발생하는 각종 냄새 및 실내의 공기를 빠르고 쉽게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0)

  1.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킨 다음 그 링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신호 출력과정;
    링신호 출력후 사용자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과정;
    사용자가 통화 종료를 원한다면 전화 통화의 연결을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통화 종료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링 신호 출력과정은 전화 시스템의 링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링 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오디오 청취 상태라고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종료과정 후크 스위치가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통화를 종료시킴과 아룰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제2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4.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킨 다음 그 링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신호 출력과정;
    링신호 출력후 사용자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과정;
    통화 연결과정 수행도중에 사용자가 통화 내용의 녹음을 원한다면 이의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통화 내용 녹음과정;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는 음성 메시지 녹음과정;
    사용자가 통화 종료를 원한다면 전화 통화의 연결을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통화 종료과정;
    사용자가 저장된 녹음 내용을 재생하고자 한다면 이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재생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링 신호 출력과정은 전화 시스템의 링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링 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오디오 청취 상태라고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통화 내용 녹음과정은 통화 도중 녹음 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녹음 버튼이 온되면 통화 내용을 녹음 버튼이 오프되는 동안 녹음하는 제2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 녹음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시지 녹음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오디오 청취 도중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오디오 청취 도중이라면 오디오 신호를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도중 녹음 버튼이 오프되면 음성 메시지 저장을 종료한 다음 오디오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제3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통화 종료과정은 후크 스위치가 온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통화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제2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재생과정은 재생 버튼이 입력되면 오디오 청취도중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오디오 청취도중이라면 오디오를 뮤트시킨 다음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 도중 링 신호가 감지되면 음성 메시지의 재생을 중지하고 전화 통화를 우선적으로 연결하는 제3단계;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오디오의 뮤트 상태를 해제한 다음 상기 제1단계부터 재차 수행하는 제3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국선으로부터 링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킨 다음 그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링신호 출력과정;
    링신호 출력후 사용자의 통화 요구가 있으면 통화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과정;
    상기 통화 연결과정중 인터폰의 호출음이 발생한 후 전화 보류 버튼이 입력되면 전화 통화 상태를 보류시키는 전화 보류과정;
    전화 통화가 보류되면 인터폰 통화를 연결하고, 인터폰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통화를 다시 연결하는 통화 절환 과정;
    사용자가 전화 통화의 종료를 원한다면 전화 통화의 연결을 종료시킴과 아울러 오디오 신호의 뮤트상태를 해제하는 전화통화 종료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링 신호 출력과정은 전화 시스템의 링 신호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링 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오디오 청취 상태라고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킨 다음 링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3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전화 보류과정은 인터폰의 호출 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인터폰의 호출버튼이 입력되면 호출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전화통화의 보류버튼이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전화통화의 보류버튼이 입력되면 전화 통화를 보류시키는 제3단계(ST209)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통화 절환과정은 인터폰의 후크 스위치가 오프되면 인터폰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제1단계;
    인터폰의 통화 연결도중에 인터폰 후크 스위치가 온되면 전화통화의 보류상태를 해제하는 제2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통화 연결과정 수행도중에 인터폰의 호출음이 발생한 후 보류 버튼이 입력되지 않고 인터폰의 통화를 원한다면 전화 및 인터폰의 통화를 동시에 연결하는 동시 연결과정;
    인터폰의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통화만을 연결한 후 상기 전화통화 종료과정을 수행하는 인터폰 통화 종료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화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이후 재생 요구시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는 저장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 전화 회로부, 음성 저장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전화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
    상기 링 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재생이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18.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
    인터폰의 호출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스위칭부의 절환상태를 제어하여 스피커를 통해 벨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통화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인터폰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 전화 회로부, 인터폰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전화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
    상기 링 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인터폰 회로부는 인터폰 통화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뮤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화 회로부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보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3. 현재의 시각을 디스플레이하고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시계부;
    현재의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링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상대방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화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이후 재생 요구시 저장된 내용을 출력하는 음성 저장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스위칭부의 절환상태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호출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통화 요구시 외부인과의 통화를 연결하는 인터폰 회로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절환상태를 달리하여 오디오 회로부, 전화 회로부, 음성 저장부, 인터폰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전화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부;
    상기 링 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전화 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링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을 제어함과 아울러 키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키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절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인터폰 회로부는 인터폰 통화가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의 재생이 종료되면 스위칭부의 접점상태를 절환시켜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스피커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오디오 회로부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뮤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8. 제2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화 회로부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보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실내의 각 요소에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실내 방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30. 실내에 비치된 가구 등의 여유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에 공기중의 부유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청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KR1019970057414A 1997-10-31 1997-10-31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9990035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14A KR19990035590A (ko) 1997-10-31 1997-10-31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09/016,727 US6047049A (en) 1997-10-31 1998-02-02 Multi-function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089204032U TW412028U (en) 1997-10-31 1998-02-07 Multi-function audio system
CN98100617A CN1216836A (zh) 1997-10-31 1998-02-13 多功能声频***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414A KR19990035590A (ko) 1997-10-31 1997-10-31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90A true KR19990035590A (ko) 1999-05-15

Family

ID=1952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414A KR19990035590A (ko) 1997-10-31 1997-10-31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47049A (ko)
KR (1) KR19990035590A (ko)
CN (1) CN1216836A (ko)
TW (1) TW41202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7525Y1 (it) * 1999-12-24 2002-08-22 Gitronica S R L Cappa aspirante per cucine .
US20030080113A1 (en) * 2001-11-01 2003-05-01 Williamson Charles G. Intelligent oven appliance
US20030083028A1 (en) * 2001-11-01 2003-05-01 Williamson Charles G. Remote programming of radio preset stations over a network
US20030083758A1 (en) * 2001-11-01 2003-05-01 Williamson Charles G. Remote updating of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s
US8467546B2 (en) * 2005-06-28 2013-06-18 Sony Corporation Switchable audio circuits for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the same
ATE466240T1 (de) * 2005-08-10 2010-05-15 Best S P A Dunstabzugshaube mit kommunikationsfunktion
US20080122934A1 (en) * 2006-11-27 2008-05-29 Marotti Martin J Audio/video messaging device and system
CN104113578B (zh) * 2014-01-07 2018-07-13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通过热水器接听电话的方法及通过热水器接听电话的***
CN113132927B (zh) * 2019-12-27 2023-03-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来电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5644A (en) * 1991-11-21 1994-05-24 Harris Corporation Telephone interface circuit
US5870453A (en) * 1993-07-27 1999-02-09 Shapiro; L. Dennis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able sound producing device
JPH09205482A (ja) * 1996-01-24 1997-08-05 Fujitsu Ten Ltd オーディ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7049A (en) 2000-04-04
CN1216836A (zh) 1999-05-19
TW412028U (en) 200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5590A (ko)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H02181559A (ja) 電話装置
US5396544A (en) Telephone answering system
KR19990074502A (ko)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US4805206A (en) Function controller serving as a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machine in an audio/video component system
KR200166679Y1 (ko) 다기능 식기 건조기
JP2647647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4660448B2 (ja) 電話装置
JPS63148746A (ja) 電話自動応対録音方法
KR200241861Y1 (ko) 주방용 라디오/전화기의 벨소리 변경 장치
JPH0691580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S583358A (ja) 動作状況を音声で明示する留守番電話装置
KR200191662Y1 (ko)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JPH04262654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10313351A (ja) 着信音録音可能な携帯電話機
JPH09214594A (ja) 発信者電話番号送出サービス対応型留守番電話機
JPH0234076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1189265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134055A (ja) 留守番電話機
JPH0279654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371048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8181767A (ja) 留守番電話装置
KR19990036569U (ko) 다기능 오디오 시스템
JPH02262752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167744A (ja) 留守番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