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844A -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 Google Patents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844A
KR19980069844A KR1019970032660A KR19970032660A KR19980069844A KR 19980069844 A KR19980069844 A KR 19980069844A KR 1019970032660 A KR1019970032660 A KR 1019970032660A KR 19970032660 A KR19970032660 A KR 19970032660A KR 19980069844 A KR19980069844 A KR 1998006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detection
error
adpcm
code
det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721B1 (ko
Inventor
무라타켄지
고토코지
Original Assignee
기다오까다까시
미쓰비시뎅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다오까다까시, 미쓰비시뎅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다오까다까시
Publication of KR1998006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 H04B14/06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differential modulation, e.g. delta modulation
    • H04B14/066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differential modulation, e.g. delta modulation using differential modulation with several bits [NDPCM]
    • H04B14/068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ulse modulation using differential modulation, e.g. delta modulation using differential modulation with several bits [NDPCM] with adaptive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 데이터 에러발생시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발생을, 장치규모 및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에러검출정보102의 수신 데이터 에러비검출상태시 활성화되어 입력 ADPCM101을 PCM부호105로 신장하고 또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시 복호처리동작을 정지하는 ADPCM 복호기3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시 기록상태로 설정되어 생성된 ADPCM 부호를 순차 격납하고, 또한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가 되면 그 격납한 PCM부호를 출력하는 메모리회로(4)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 상태시 PCM 부호5를 선택해서 다음단의 PCM 복호기에 주고, 또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일 때에는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PCM부호106를 선택해서 다음단의 PCM복호기에 주는 재생출력변환 스위치5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본 발명은, 수신압축부호화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DPCM(적응형 차분(差分) 펄스부호변조)부호화 데이터를 PCM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계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ADPCM 음성부호화방식으로 사용하는 음성복호기에 있어서의 전송오류발생시의 잡음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ㆍ핸드폰ㆍ시스템(PHS : 제2세대 디지털 무선전화시스템) 및 디지털 유럽무선전화시스템(DECT)등에 사용되는 통신단말기에는, 전송 데이터량을 감소하기 위해서 음성신호가 고능률로 압축부호화되어 송신되고, 수신측에서 이 부호화된 음성데이터가 복호된다.
도 36은, 종래의 PHS 휴대전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에 있어서, 휴대전화기는 ADPLCM 방식 음성부호 복호기 1과, 이 ADPCM방식 음성 부호 복호기1와 ADPCM 부호의 교환을 행하는 송수신유닛 2를 포함한다.
ADPCM 방식 음성 부호 복호기 1은, 마이크로폰 MC을 통해 주어지는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받아 PCM(펄스부호변조)부호로 변환하는 PCM 부호기 1a와, 이 PCM 부호기 1a에서의 PCM 부호를 ADPCM(적응형 차분 펄스부호변조)부호로 압축하여 송수신유닛2에 전달하는 ADPCM 부호기 1b와, 송수신유닛2으로부터 주어지는 ADPCM 부호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를 생성하는 ADPCM 복호기 1c와, 이 ADPCM 복호기 1c에서 주어지는 PCM 부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SP에 주는 PCM 복호기 1d를 포함한다.
이 송수신유닛 2는, ADPCM 부호화데이터(이하, 단지 ADPCM 부호라고 칭함)의 송수신시, 패킷의 형태로 주고 받는다. 또한, 송수신유닛 2는 송신패킷 및 수신패킷을 시분할적으로 주고받음과 동시에, 송신시에는 이 송신패킷을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수신시에는 이 송수신유닛 2는 수신한 패킷 2로부터 반송파를 제거하여 ADPCM 부호의 패킷을 생성한다.
도 37은 이 통신시에 사용되는 패킷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에 있어서, 송신 수신패킷 50은 소정의 비트 패턴을 가지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패턴을 격납하는 프레임 동기영역 50a와, 통신데이터(송신데이터또는 수신 데이터)를 격납하는 통신데이터영역16b와, 이 통신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검출부호를 격납하는 에러검출 비트영역 16c를 포함한다.
이 패킷에의 변환은 도 36에 나타내는 송수신유닛2에서 실시된다. 송신시에는 오류검출부호는 통신데이터영역 16b에 포함되는 통신데이터에 소정의 처리(예를 들면 생성행렬을 통과시키는 처리)에 의해 생성된다. 이 프레임 50에는 5ms∼10ms정도의 시간폭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포함되고, 이 프레임을 단위로 하는 송신/수신의 시분할다중화가 실시된다.
또한 이들 무선방식의 통신에서는, 페이징현상등에 의해 수신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하는 확률은 유선통신로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의 그것보다도 높고, 또한, ADPCM 부호화처리등과 같은 고능률부호화기술을 이용하여 전송데이터가 압축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의 데이터의 오류의 영향이 커지므로, 이러한 데이터의 오류에 기인하는 잡음을 억제하는 기능이 중요해진다.
이러한 데이터의 오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에는 오류검출회로60가 설정된다. 이 오류검출정정회로60는 수신패킷에 포함되는 통신데이터및 오류검출부호를 사용하여 검사행렬에 따라, 이 통신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이 검출된 에러가 정정가능한 경우에는, 에러를 정정하여 ADPCM 부호를 생성해서 도 36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1c에 준다. 이 오류검출부호로서는 CRC(순회 용장검사)비트가 사용되고, 또, 통상 이러한 오류검출부호를 사용하여 검출된 에러를 정정하는 일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오류검출회로60에 있어서, 에러의 존재가 검출된 경우에는 이 오류검출회로60는, 에러검출정보를 에러검출지시상태로 설정한다. 이 에러검출 정보의 에러검출 지시상태에 따라서 프레임보간처리등에 의한 에러 콘실멘트(concealment)처리가 실시된다.
도 39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의 전송오류발생시 잡음억제를 행하는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에 있어서, 잡음억제부는 데이터입력노드 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101를 프레임단위로 기억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 1ca와, 입력노드102a를 통해 주어지는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이 프레임 버퍼1ca에서 판독된 ADPCM 부호103와, 입력노드101a에서 주어지는 ADPCM 부호101의 한 쪽을 선택하여 복호하여야 할 ADPCM 부호104로 해서 ADPCM 복호기1c에 주는 복호기 입력변환스위치1cb를 포함한다. 이 ADPCM 복호기1c에 의해 신장되어 생성된 ADPCM 부호105는 출력노드105a를 통해 도 36에 나타내는 PCM 복호기1d에 주어진다.
프레임 버퍼1ca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때에는 입력노드101a에서 주어지는 수신ADPCM 부호를 프레임단위로 격납한다. 이 프레임 버퍼 1ca는 또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었을 때에는 기록이 금지되고 판독상태로 설정되어, 그 격납된 ADPCM 부호를 순차 출력한다. 복호기입력변환스위치1cb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를 나타낼때에는 입력노드101a에 주어지는 수신ADPCM 부호101를 선택하여 ADPCM 복호기1c에 준다. 한 편,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이 복호기 입력변환스위치1cb는, 프레임 버퍼1ca에서 판독된 ADPCM 부호103를 선택하여 ADPCM복호기1c에 준다.
도 40은 이 도 39에 나타내는 잡음억제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 도 40을 참조하여 도 39에 나타내는 잡음억제부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때 프레임 버퍼1ca는 기록상태로 설정되어, 이 입력노드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101는 프레임 n13, n12 및 n11을 각각 단위로 해서 순차 격납한다.
복호기 입력변환스위치 1cb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때에는 수신ADPCM 부호101를 선택하여 ADPCM 복호기 1c로 보낸다. 따라서, ADPCM 복호기1c는 이 프레임 n-3, n-2, n-1에 포함되는 ADPCM 부호를 순차 복호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입력노드101a에 다음 프레임 n의 ADPCM 부호가 주어질 때, 이 프레임 n에 수신 데이터 에러가 존재할때에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 서는, 프레임 버퍼1ca는 기록이 금지되어 판독상태로 설정되고, 또한 복호기입력변환스위치1cb는 프레임버퍼 1ca에서의 ADPCM 부호103를 선택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프레임버퍼1ca에서는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 n의 전의 프레임 n-1의 ADPCM 부호가 기억되어 있고, 이 프레임 n-l의 ADPCM 부호가 순차 판독되어 ADPCM 복호기1c에 주어진다. 따라서, 프레임 I에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그 직전의 프레임 n-1의 ADPCM 부호에 따라서 PCM 부호105가 생성된다.
이 다음의 프레임 n+1에서 에러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검출정보102는 에러 비검출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 버퍼1ca가 다시 기록상태로 설정되어, 새로 주어지는 프레임 n+1의 ADPCM 부호101를 순차 격납한다. 이 때, 또복호기입력변환스위치1cb는 입력노드101a에서 주어지는 ADPCM 부호101를 선택한다. ADPCM 복호기1c는, 이 프레임 n+1에 포함되는 ADPCM 부호를 순차 신장처리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은 그 전의 정상적인 프레임으로 치환된다. 플레임길이가 5ms∼10ms 정도인 경우, 연속한 2프레임 사이에서의 음성신호파형은 근사한 파형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전송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그 전의 프레임의 ADPCM 부호화 데이터(이하, ADPCM 부호라고 칭함)로 치환하여 복호함으로서 잡음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송오류시의 잡음을 억제하는 방식에서는, 1 프레임의 ADPCM 부호를 격납하는 기억용량을 가지는 프레임버퍼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장치구성요소의 수가 많아져서 회로규모 및 소비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이러한 대기억 용량의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는 경우, 소형일것과 저소비전력화가 요구되는 이동체 통신단말기 용도에 대해 커다란 장해가 된다.
또한, ADPCM 부호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처럼, 차분신호를 부호화한 것이고, 에러발생시에 전의 프레임의 ADPCM 부호에서 치환을 했을 경우,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도 41은, 송신하여야 할 ADPCM 부호를 생성하는 ADPCM 부호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에 있어서, ADPCM 부호기1b는 PCM 부호기로부터 노드120a를 통해 주어지는 PCM 부호120와 예측신호122와의 차분을 구하여 차분신호123를 생성하는 감산기23와, 이 차분신호123에 대하여 적응양자화 처리를 행하여 ADPCM 부호121를 생성해서 전송로121a에 전달하는 적응양자화기20와, 이 적응양자화기20에서의 ADPCM 부호121에 적응역양자화처리를 실시하여 양자화 차분신호124를 생성하는 적응 역양자화기22와, 예측신호122와 양자화 차분신호124를 가산하여 재생신호125를 생성하는 가산기24와, 양자화 차분신호124와 재생신호125를 받아 적응예측을 행하여 예측신호122를 생성하는 적응예측기21를 포함한다.
즉, ADPCM 부호는, 적응예측에 따라서 생성된 예측신호와 PCM 부호의 차분신호를 적응양자화한 것이고, 이 적응적인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그 내부상태(뒤에 설명하는 계수)는 적응적으로 변경된다.
도 42는, 도 39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 1c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에 있어서, ADPCM 복호기 1c는 입력노드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 l01에 적응 역양자화처리를 실시하여 양자화 차분신호127를 생성하는 적응 역양자화기25와, 양자화 차분신호127와 예측신호126를 가산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해서 노드105a에 전달하는 가산기27와, 가산기27로부터의 PCM 부호105와 적응역양자화기25로부터의 양자화 차분신호127에 따라서 적응예측을 행하고 예측신호126를 생성하여 가산기27에 주는 적응예측기26를 포함한다. 이 ADPCM 복호기 1c에서도 PCM 부호105와 양자화 차분신호127에 따라서 적응예측을 행하고, 예측신호126가 생성된다.
이 도 41 및 도 42에 나타나는 것처럼, ADPCM 부호기 1b의 내부피드백 루프, 즉 적응역양자화기22, 가산기24 및 적응예측기21로 구성되는 피드백 루프의 구성은, ADPCM 복호기1c의 내부구성과 동일하다. 송신측 및 수신측에 있어서 ADPCM 부호기와 ADPCM 복호기는, 각각의 적응역양자화기및 적응예측기의 내부상태(적응예측을 위한 계수)가 완전히 일치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송신측 ADPCM 부호기에서의 적응 역양자화기22 및 적응예측기21의 내부상태는, 수신측의 ADPCM 복호기1c에 포함되는 적응역양자화기25 및 적응예측기26의 내부상태와 같아진다. 이에 따라, ADPCM 복호기에 입력되는 PCM 부호120와, ADPCM 복호기1c에서 출력되는 PCM 부호105가 같아져서, 정확한 음성신호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송오류가 발생했을 때에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데이터(ADPCM 부호)를 정상적인 앞프레임의 데이터로 치환하여 복호를 행한 경우, 이하의 문제가 생긴다. 즉, 제4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 경우, 시각 t1 및 t2에 있어서 각각 재생출력 변환스위치의 접속경로가 변환된다. 따라서, 이 시각 t1 및 t2에서 데이터의 연속성이 없어지고, 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 1cb의 변환직후에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것과 똑 같이 된다. 즉,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에의 이행시에는, 복호되는 ADPCM 부호는, 프레임 n-1의 최종ADPCM 부호#N에서 프레임 n-1의 선두 ADPCM 부호#1으로 변화한다. 또한,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에의 이행시에는, 프레임 n-1의 최종 ADPCM 부호# N이 복호된 뒤, 새로운 프레임 n+1의 선두 ADPCM 부호# 1이 복호된다.
플레임길이가 5ms∼10ms 정도의 경우, 이들 연속한 두 프레임사이에서의 음성신호파형은 근사파형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ADPCM 복호기의 내부 파라메타도 이들 연속한 두 프레임사이에서는 근사한 수치를 취하는 것 및, ADPCM 부호의 각 부호가 취할 수 있는 확률분포가 한 쪽으로 치우쳐서, 이 때문에 잡음발생확률이 높은 차분값이 큰 부호(예측신호와의 오차가 큰 부호)가 불연속점에서 연결될 가능성이 낮은 것등으로, 이 데이터의 불연속의 영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렇지만, 에러검출의 프레임이 1회 발생한 경우, 재생출력 변환스위치1cb의 변환은 시각 t1 및 시각 t2에서 2회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데이터의 불연속점도 2개소 발생하여, 데이터 에러가 2회 발생한 것과 같아진다. 또한 이 에러검출정보가 2 프레임이상 연속하여 에러검출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1 프레임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프레임 버퍼 1ca를 반복하여 사용한 경우, 프레임변경시에는 이 프레임 버퍼 1ca에 격납된, 에러발생의 직전의 프레임의 선두 ADPCM 부호와 최종 ADPCM 부호가 연속적으로 복호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프레임사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불연속점이, 이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는 프레임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잡음억제의 효과가 감소한다.
이 데이터 불연속점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버퍼의 기억 용량을 이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프레임의 연속수에 대응하는 사이즈에까지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장치규모의 소형화에 대한 큰 장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규모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저소비전력화가 가능하고, 또한 수신 데이터 에러발생시에 생기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DPCM 부호 복호기를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의 전송에러발생시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신 데이터의 신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1에 관계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는,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주어지는 압축부호화 된 수신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노드와, 이 입력노드로부터의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수신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호기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기록상태로 되어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판독상태로 되어 해당 기억한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회로와, 이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신장부호화 데이터 및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받아,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이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해서 출력하고, 또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를 구비한다.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는,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 지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에의 변화를 검출하는 변화검출회로를 더 구비한다. 압축부호화 데이터는 ADPCM 부호화 데이터이고, 복호기는, 고속스케일팩터 yu와 저속스케일팩터 y1를 사용하여, 이 ADPCM 부호화 데이터의 적응 역양자화처리를 행하기 위한 스케일팩터 y를 생성하는 양자화 스케일팩터 유닛과, 변화검출 회로에서의 변화검출지시에 응답하여, 고속스케일팩터 yu를 저속스케일팩터 y1와 스케일링팩터2-a를 사용해서 yu=2-aㆍy1에 치환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a는 6≤a≤18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자연수이다.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는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주어지는 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받기 위한 입력노드와, 이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전송로를 통해 주어지는 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호기와, 배경잡음을 발생하기 위한 배경잡음 발생기와, 배경잡음 발생기로부터의 배경잡음과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받아,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이배경잡음을 선택하고 출력하여 또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복호기로부터 출력되는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를 구비한다.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는,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전달되는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관해서, 프레임단위로 각 프레임내의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입력하는 노드와, 이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전송로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ADPCM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ADPCM 복호기와, 입력노드로부터의 에러검출정보의 상태변화시, 이 ADPCM 복호기의 출력데이터의 재생시에 생기는 잡음을 억제하기 위한 잡음억압기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ADPCM 복호기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또한 이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따라서 잡음억압기로부터의 잡음억제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변환스위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에러검출 정보변화시의 동작시퀀스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ADPCM 복호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A)는 저속의 스케일팩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B)는 고속의 스케일팩터(scale factor)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양자화 스케일팩터 적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양자화 스케일팩터 적응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페이드아웃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함수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페이드아웃(fade out)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 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에 나타내는 페이드인(fade in)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함수발생부에서 발생하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8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 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1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도 24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최대치 검출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30에 나타내는 최대치 검출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32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도 32에 나타내는 배경잡음 발생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5는 도 34에 나타내는 배경잡음 발생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6은 종래의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7은 종래의 통신단말기에서의 수신 ADPCM 부호의 프레임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8은 종래의 통신단말기에서의 에러검출 정보발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9는 종래의 전송오류 잡음억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0은 도 39에 나타내는 장치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
도 41은 도 36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2는 도 36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3은 종래의 전송오류잡음 억제방식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ADPCM 복호기 4 : 메모리회로
5 : 재생출력변환스위치 6 : 에러변화점 검출기
3a : 적응역량자화기 3d : 양자화 스케일팩터 적응부
7 : 페이드아웃처리부 8 : 페이드인처리부
9 : 페이드인/아웃처리부 11 : 클립처리부
12 : 최대치검출회로 13 : 배경잡음 발생기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전송로에 결합되는 입력노드 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101를 받아, 입력노드102a를 통해 주어지는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상태시에 활성화되어, 이 받은 ADPCM 부호101를 PCM 부호105로 신장하는 ADPCM 복호기3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시에 기록상태로 설정되고, 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하는 메모리회로4와,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ADPCM 복호기3로부터 출력되는 PCM 부호105와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 106의 한쪽을 선택하여 다음단의 PCM 복호기(도 36참조)에 주어지는 PCM 부호107를 생성하는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를 포함한다.
ADPCM 복호기3은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프레임내에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비활성상태가 되어 복호동작을 정지한다. 메모리회로4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었을 때에는, 데이터의 기록이 정지되어 판독상태로 설정되고, 에러검출직전에 격납된 PCM 부호화 데이터를 판독한다.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입력노드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열에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PCM 부호107로서 출력하고, 한편, 에러검출정보102가 수신 데이터 에러발생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메모리회로 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PCM 부호107를 생성한다. 다음에, 이 도 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2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2의 신호파형에는 톤(tone)신호를 일례로서 나타낸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때에는, ADPCM 복호기3는 활성화되어 복호동작(신장처리)을 실행하고, ADPCM 부호101로부터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따라서 요사이, 프레임 n-2 및 n-1에 포함되는 ADPCM 부호에 따라서 PCM 부호105가 생성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PCM 부호107는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완만한 재생파형를 얻을 수 있다. 이 에러 비검출상태에서는, 메모리회로4는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한다. 이 메모리회로4는 1개의 PCM 부호화데이터를 격납할 뿐이고, 순차 그 기억내용이 기록동작에 의해 갱신된다.
프레임 n-1로부터 프레임 n으로 이행할 때의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이 프레임 n 내에서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ADPCM 복호기3는 비활성상태로 되어 복호동작이 정지된다. 메모리회로4는 기록상태로부터 판독상태로 변환되고, 그 격납된 프레임 n-1의 최종PCM부호를 출력한다.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이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메모리회로4에는,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1개의 PCM 부호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에러검출기간에서는 프레임 n-1의 최종PCM 부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 에러비검출상태에서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에, ADPCM 부호101의 불연속의 영향은 전혀 없고 잡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프레임 n의 구간에서는, 음성신호 재생중에 이 메모리회로4로부터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PCM 부호에 의해 뮤트가 삽입되게 된다(재생신호는 DC 신호임). 그렇지만, 프레임의 시간폭은 5ms∼10ms이고, 이러한 단기간(5ms∼10ms)의 뮤트(mute)의 삽입은 약간의 재생음성에서 단속감(斷續感)이 감지되는 정도이고, 청감품질의 열화는 매우 작다.
이 에러프레임기간이 경과하면, 에러검출정보102는 시각 t2에서 에러비검출상태로 설정된다.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 따라서 ADPCM 복호기3가 다시 활성화되고, 다음 프레임 n+1에 포함되는 ADPCM 부호101의 복호동작을 행한다. 메모리회로4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 따라서 다시 기록상태로 설정되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기록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다시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시각 t2 이후의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순차 주어지는 프레임 n+1, n+2, n+3, 의 ADPCM 부호101에 따라서 PCM 부호107가 생성되어 음성신호가 재생된다.
이 시각 t2이전에는 ADPCM 복호기3는 복호처리를 정지하고 있고, 그 내부변수(내부상태)도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기 직전의 프레임 n-1의 최후의 처리시에 갱신된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플레임길이가 5ms∼10ms 정도인 경우, 연속된 2프레임에서의 음성신호파형은 근사파형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ADPCM 복호기3에 유지된 내부변수의 값을 사용하여 복호처리를 재개하더라도, 종래와 동등한 정도로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발생확률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회로4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 메모리회로4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메모리회로4는 기록상태에 있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한다. 이 메모리회로4는 PCM 부호를 기록할 때마다 그 기억내용이 갱신된다. 따라서, 항상 이 메모리회로4에서는 1개의 PCM 부호가 격납된다.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면, 이 메모리회로4는 프레임 n-1의 최후의PCM 부호# N을 격납하고 있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 메모리회로4는 판독상태로 설정되어, 그 기억된 프레임 n-1의 PCM 부호# N을 연속적으로 판독한다. 따라서, 이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프레임의 구간, 메모리회로4에 격납되는 PCM 부호화 데이터의 값은 이 프레임 n-1의 최종PCM 부호# N의 값으로 고정되고, 따라서,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되는 PCM 부호106계열은 DC의 PCM 부호열이 된다. 이 시각 t1에서 PCM 부호는 연속되어 있고, ADPCM 부호101의 불연속의 영향은 생기지 않는다.
시각 t2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설정되면, 메모리회로4는 다시 기록상태로 설정되어 활성화된 ADPCM 복호기3으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한다. 이 시각 t2 이후에는 다음 프레임 n+1의 선두PCM 부호#1이후의 PCM 부호가 메모리회로4에 순차 격납된다. 이 시각 t2이전의 에러검출상태일 동안에, ADPCM 복호기3의 내부상태는 프레임 n-1의 최종PCM 부호# N 생성시의 내부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프레임비검출상태에서 ADPCM 부호의 각 부호가 취할 수 있는 확률분포가 한 쪽으로 치우치고, 차분값이 작을 확률이 높다. 또한, 플레임길이가 5ms∼10ms 정도일 경우, 연속한 프레임사이에 놓을 수 있는 음성파형은 근사파형인 확률도 높다. 따라서, 이 프레임 n+1의 선두 ADPCM 부호# 1를 프레임 n-1의 최종ADPCM 부호# N의 복호시의 내부상태(내부변수)에 따라서 복호처리를 하더라도, 불연속점에서의 차분값의 오차가 작은 수치를 취할 확률이 높고, 발생하는 불연속의 영향을 작게 할 수가 있으며, 불연속점 이후의 복호처리에 있어서 잡음발생확률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메모리회로4로서는 1개의 PCM 부호화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용량을 가지고, 또한 에러검출정보에 따라서 기록상태/판독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구성이면 임의의 구성을 사용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도 이용할 수가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회로4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메모리회로4는 PCM 부호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레지스터회로4a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시 활성화되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레지스터회로4a에 기록하는 기록게이트4b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일 때 활성화되고, 이 레지스터회로4a에 격납된 PCM 부호데이터를 판독하여 PCM 부호106를 생성하는 판독게이트4c를 포함한다. 레지스터회로4a는, 1개의 PCM 부호데이터를 격납하는 용량을 구비한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메모리회로4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메모리회로4는 1개의 PCM 부호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 용량이 요구될 뿐이고, 그 점유면적은 훨씬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면, 에러비검출시에는 ADPCM 복호기에서의 PCM부호에 따라서 PCM 복호동작을 행하고, 에러검출시에는 이 에러검출직전에 생성된 PCM부호를 사용하여 PCM복호처리를 행하며, 이 에러검출기간동안 ADPCM 복호기를 비활성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의 영향이 생기지 않고 잡음이 발생하지않는다. 또한,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는 ADPCM 부호의 영향은 생기지만, 연속하는 2프레임의 음성신호파형은 근사파형일 확률이 높고, 종래 예와 동등하게 이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발생확률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회로는 PCM부호를 격납할 뿐이어서 장치규모 및 소비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노드102a를 통해 주어지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 시점을 검출하는 에러변화점 검출기6와, 이 에러변화점 검출기6로부터의 변화점 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소정의 내부변수를 치환하고, 이 내부변수에 따라서 전송로에 결합되는 입력노드101a에서의 ADPCM 부호101의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하는 ADPCM 복호기3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일 때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하는 메모리회로4와,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와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의 한편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서 PCM 부호107로서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를 포함한다.
ADPCM 복호기3는, 그 내부구성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먼저 도 4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 ADPCM 부호에 대하여 적응역양자화처리를 실시한다. 이 적응 역양자화처리에서는, 각 ADPCM 부호에 대하여 양자화 스케일팩터 y(k)가 사용되고, 이 적응적으로 요청된 양자화 스케일팩터 y(k)에 따라서 ADPCM 부호로부터 양자화 차분신호가 생성된다. 이 양자화 스케일팩터y(k)는, 고속스케일팩터 yu(k)와 저속스케일팩터 y1(k)를 포함한다. 고속스케일팩터 yu(k)는, 차분신호가 큰 변동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신호(예를들면, 음성)에 대응하고,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차분신호가 작은 변동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예를들면 음성주파수 대역데이터신호 및 톤(tone)신호등의 신호에 대응한다. 저속스케일팩터 y1(k)는 변화속도가 작아 연속한 2프레임기간에서는 거의 그 값이 일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에, 이 ADPCM 복호기3에서 이 저속스케일팩터 y1(k)의 스케일링에 의해 구한 고속스케일팩터 yu(k)에 의해 에러검출전의 고속스케일팩터 수치를 치환한다. 다음에, 이 도 5에 나타내는 장치의 동작을 도 6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각 t1전의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ADPCM 복호기3는 활성상태에서 수신한 ADPCM 부호101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메모리회로4는, 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격납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가 되면 ADPCM 복호기3는 복호동작을 정지하고, 그 내부상태는 에러검출직전의 프레임 n-1의 최종ADPCM 부호의 신장처리시의 상태로 유지된다. 메모리회로4는 기록상태에서 판독상태로 변환되고,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n의 구간(시각 t1으로부터 시각 t2의 구간)에서는,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에러검출직전의 프레임 n-1의 최종PCM 부호106가 판독되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에 주어진다. 이들 동작은, 앞서의 실시의 형태1의 동작과 동일하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에러변화점 검출기6가 ADPCM복호기3에 에러변화점 검출지시를 한다. ADPCM 복호기3에서는, 이 에러변화점 검출기6로부터의 에러변화점 검출지시에 응답하여, 그 내부에 유지된 저속스케일팩터 yl(k)를 스케일링한 값(21a.y1(k))으로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는 고속스케일팩터 yu(k)를 치환한다. 이 치환한 고속스케일팩터및 저속스케일팩터를 사용하여 스케일링 팩터y(k)가 생성되고, 시각 t2의 뒤에 주어진 정상프레임 n+1의 ADPCM 부호101의 복호처리가 ADPCM 복호기3에서 실행된다.
이후는, 이 주어지는 ADPCM 부호에 따라서 그 내부변수가 변화하여 순차 복호처리가 실시된다. 복호재개시에 이 고속스케일팩터 yu(k)를 스케일링된 저속스케일팩터 y1(k)로 치환하는 것에 의한 효과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3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ADPCM 복호기3는 ADPCM 부호101(I(k))와, 양자화스케일팩터y(k)에서 양자화 차분신호dq(k)를 생성하는 적응 역양자화기3a와, 양자화 차분신호dq(k)와 예측신호se(k)에서 재생신호sr(k)를 생성하여 PCM 부호105로서 출력하는 재생신호산출기3b와, 양자화 차분신호dq(k)와 재생신호sr(k)에서 예측신호se(k)를 생성하는 적응예측기3c를 포함한다. 신호는 전부 샘플링된 디지탈신호이고, 각 신호에 첨부된 괄호내의 문자k는 샘플링시각을 나타낸다.
ADPCM 복호기3는 다시 ADPCM 부호101(I(k))와 적응속도제어변수a1(k)에 따라서 양자화 스케일팩터y(k)를 생성하는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d와, 양자화스케일팩터y(k)와 ADPCM 부호101(I(k))와 적응예측기3c에서의 적응계수a2(k)와 양자화차분신호dq(k)에 따라서 속도변수tr(k) 및 td(k)를 생성하여 적응예측기3c 및 적응속도제어부3e에 주는 톤 및 변화점 검출기3g를 포함한다. 다음에, 각부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적응역양자화기3a는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d에서 주어지는 양자화 스케일팩터y(k)를 사용하여, 입력ADPCM 부호101(I(k))를 양자화 차분신호dq(k)로 변환한다. 이 입력신호I(k)는 송신측에서 차분신호(예측신호 se(k)와 양자화 PCM신호 si(k)의 차분신호)를 양자화한 뒤 부호화되어 전송된 것이다. 적응양자화기에서는 이 차분신호가 2를 밑으로 하는 대수로 변환되고, 이어서 스케일팩터y(k)로 정규화된다.
즉,
1og2(d(k))-y(b)
의 식에 따라서 정규화된 값이 다음으로 양자화되고, 이 양자화치를 부호화함에 의해 ADPCM 부호101(I(k))를 얻을 수 있다.
적응 역양자화기3a는 이 적응양자화기의 적응양자화처리와 반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a에서 주어진 양자화스케일팩터 y(k)에 의해 입력신호I(k)를 스케일링하여, 이 스케일링된 값을 대수로부터 진수로 변환함에 의해 양자화차분신호 dq(k)가 구해진다.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d는, ADPCM 부호101(I(k))와 적응속도 제어변수al(k)에 따라서 스케일팩터 y(k)를 생성한다. 이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d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 및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적응적으로 구한다.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는, 예를들면 음성과 같은 차분신호가 큰 변동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신호에 대응한다.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톤신호 및 음성주파수 대역데이터와 같은, 차분신호가 작은 변동을 나타내는 신호에 대응한다.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 및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각각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yu(k) =(1-2-5)ㆍy(k) + 2-5ㆍW〔I(k)]
1(k) =(1-2-6)ㆍy1(k-1) + 2-6ㆍyu(k)
단, yu(k)는 1.06 ≤yu(k) ≤10.00의 범위로 제한된다.
W[I(k)]는, 입력I(k)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값을 취하는 이산적(離散的)인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계수(1-2-5)와 같은 계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응화의 과정에서 과거의 영향이 유한으로 되어, 전송오류가 생긴 경우에도 부호기와 복호기의 내부상태는 양자가 일치하도록 수습된다. 이들 계수는 링키지(리이크)계수라고 불린다. 스케일팩터y(k)는, 이 고속스케일팩터 yu(k)와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다음식에 따라서 적응속도제어변수a1(k)를 사용하여 합성함에 의해 구해진다.
y(k)〓al(k)ㆍyu(k-1)+[1-a1(k)]ㆍy1(k-1)
여기서, 0≤al(k)≤1이다.
양자화스케일팩터 적응부3d에서는, 리셋트신호에 따라서 이 고속스케일팩터 yu(k) 및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가 소정의 초기치(544 및 34816)로 리셋트된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바와 같이,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 그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가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스케일링한 값에 의해 구해진다(이것에 관하여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적응속도제어부3e에서의 적응속도 제어변수a1(k)는, 음성신호의 경우에 1에 가깝고, 음성주파수대역데이터신호 및 톤신호의 경우는 0에 가깝다. 즉, 스케일팩터y(k)는 음성신호의 경우에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영향이 커지고, 음성주파수 대역데이터신호 및 톤신호의 경우에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영향이 커진다. 이 적응속도제어변수al(k)는, 차분신호의 변화율에 의해 산출된다. 입력ADPCM 부호101(I(k))의 크기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수치가 2종류 산출된다.
dms(k)=(1-2-5)ㆍdms(k-1)+2-5ㆍF[I(k)]
dm1(k)=(1-2-7)ㆍdm1(k-1)+2-7ㆍF[I(k)]
함수 F[I(k)]는 입력ADPCM 부호101(I(k))의 값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이산적인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dms(k)는, 함수F[I(k)]의 비교적 단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dm1(k)은, 함수F[I(k)]의 비교적 장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이들 2종류의 평균값dms(k) 및 dm1(k)을 사용하여 변수ap(k)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i) |dms(k)-dm1(k)|≥2-3ㆍdm1(k)일 때 :
ap(k)=(1-2-4)ㆍap(k-1)+2-3
(ii) y(k)<3일 때 :
ap(k)=(1-2-4)ㆍap(k-1)+2-3
(iii) td(k)=1일 때 :
ap(k)=(1-2-4)ㆍap(k-1)+2-3
(iv) tr(k)=1일 때 :
ap(k)=1
(v) 그 밖의 경우 :
ap(k)=(1-2-4)ㆍap(k-1)
상술의 조건(i)에 있어서, 변수ap(k)는 평균값dms(k) 및 dm1(k)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즉, 입력ADPCM 부호I(k)의 크기의 평균값이 크게 변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2에 가깝고(초항 1/8, 공비(公比) 1/16의 등비수열(等比數列)), 한편 양자의 차가 작은 경우에는, 즉 입력ADPCM 부호I(k)의 크기의 평균값이 비교적 일정한 때에는, 조건(v)에서 0에 가까워진다(공비15/16의 등비수열).
상술의 조건(ii)에서의 y(k) 3은, 빈 채널을 사용한 통신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변수ap(k)는 2에 가까워진다.
협대역(狹帶域)신호의 경우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td(k)=1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에는, 변수ap(k)는 2에 가까워진다.
협대역신호의 변화검출시(tr(k)=1로 표시되는 경우(iv)), 변수ap(k)는 1에 세트된다. 이 변수ap(k-1)부터 다음식에 따라서 적응속도제어변수 a1(k)가 구해진다.
a1(k)=1 : ap(k-1) >1,
a1(k)=ap(k-1) : ap(k-1)≤1
이 비대칭인 적응속도제어변수 al(k)에 대한 제한에 의해, 입력ADPCM 부호I(k)의 절대치가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게 될 때까지 적응속도가 빠른 상태로부터 느린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늦춘다. 이것은, 펄스모양의 입력신호에 대해 잘못하여 고속적응상태로부터 저속적응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펄스모양의 입력신호에 대해서 차분신호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고속적응상태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적응속도제어변수a1(k)를 1에 가까이 하고,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영향을 크게 하여 양자화 스케일팩터y(k)를 산출함으로써 실현된다.
적응속도제어부3e에서는 리셋트신호의 발생에 따라서 변수ap(k)가 0으로 초기설정되고, 또한 평균값 dms(k) 및 dml(k)도 각각 0으로 초기설정된다. 따라서, 적응속도제어변수al(k)도 이들 계수ap(k), dms(k) 및 dm1(k)의 리셋트에, 초기값 0으로 리셋트 된다. 즉 이 리셋트동작에 의해 적응속도가 늦어진다(이 리셋트치에 의해, 스케일팩터 y(k)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가 무효하게 되어,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에 의해 주어지게 된다).
적응예측기3c는 양자화 차분신호dq(k)에서 예측신호se(k)를 산출한다. 이 적응예측기30에서는 2종류의 적응예측이 행하여진다. 예측신호se(k)는 다음식에 따라서 산출된다.
se(k)=∑ai(k-1)ㆍsr(k-i)+sez(k)
단 총화 ∑는, i=1 및 2에 관해서 행하여진다.
sez(k)=∑bi(k-1)ㆍsq(k-i)
단, 총화Z는 i=1에서 6에 관해서 행하여진다.
재생신호산출기3b에서 산출되는 재생신호sr(k-i)는 다음식으로 정의된다.
sr(k-i)=se(k-i)+dq(k-i)
예측신호se(k)를 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2차 극예측(極豫測)에 사용되는 계수 a1(k) 및 a2(k)는, 각각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a1(k)=(1-2-8)ㆍa1(k-1)
+(3ㆍ2-8)ㆍsgn[p(k)]ㆍsgn[p(k-1)],
a2(k)=(1-2-7)ㆍa2(k-1)
+(2-7{sgn[p(k)]ㆍsgn[p(k-2)]
-f[a1(k-1)]ㆍsgn[p(k)]ㆍsgn〔p(k-1)]}
여기서, p(k)=dq(k)+sez(k)이다. 함수f는 다음식으로 정의된다.
f(a1)=4ㆍa1 : |al|≤2-1
f(a1)=2ㆍsgn(a1) : |al|>2-1
함수 sgn[p(k)]는 p(k)의 부호를 나타낸다.
tr(k)=1의 경우에는, 변수 a1(k) 및 a2(k) 모두 0이 된다(a1(k)=a2(k)=0).
또 하나의 6차 영예측(零豫測)에 사용되는 계수bi(k)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bi : (k)=(1-2-8)ㆍbi(k-1)
+2-7ㆍsgn[dq(k)]ㆍsgn[dq(k-i)]
i=1, 2, …, 6
tr(k)=1일 때에는, 계수 b1(k) ∼b6(k)는 전부 0으로 된다(b1(k)=b2(k)= …=b6(k)=0).
재생신호산출부3b에서, 리셋트신호가 주어진 경우에는 재생신호sr(k - 1)및 sr(k - 2)가 소정의 수치(32)로 리셋트된다. 적응예측기3c에서는, 이 리셋트신호에 따라서 계수b1(k - 1)∼b6(k - 1)가 전부 0으로 리셋트되고, 또한 계수 a1(k - 1) 및 a2(k - 1)가 0으로 리셋트되며, 또한 ap(k - 1)가 0으로 리셋트되고, 따라서 적응속도 제어변수a1(k)가 0으로 리셋트된다. 또한, 적응예측기3c에서는 변수p(k - 1) 및 p(k - 2)는 소정의 값(0)으로 리셋트되고, 또 양자화차분신호 dq(k-1)∼dq(k-6)가 소정의 수치(32)로 리세트된다.
톤 및 변화점 검출기3g에서는, 톤신호 및 음성주파수대역 데이터신호등의 협대역신호를 검출할 때, 역양자화기의 적응속도를 고속측으로 옮긴다. 즉, 이 제어변수td(k)는 다음식으로 정의된다.
(i) a2(k)<-0.71875일 때 :
td(k) = 1
(ii) 그 밖의 경우 :
td(k) = 0
즉, 이 검출된 협대역신호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는, 적응예측기 3c에서의 계수 a1, a2 및 bi(k)가 전부 0으로 세트된다. 즉, 변수tr(k)는 다음식으로 정의된다.
(i) a2(k)<-0.71875 또한 |dq(k)|>24ㆍ2ㆍesp(y1(k))일 때 :
tr(k) = 1
(ii) 그 밖의 경우 :
tr(k) = 0
이 도 7에 나타내는 ADPCM 복호기3의 구체적구성은, ITU 권고G. 726에 상세히 표시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에러변화점 검출기6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가 되는 변화점을 검출하였을 때에, 재생신호진폭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스케일팩터 y(k)이다. 변화점에서의 잡음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이 스케일팩터y(k)의 값이 가능한 한 정확한 수치일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일팩터y(k)는,
y(k) = al(k)ㆍyu(k - 1) + [1 - al(k)]ㆍy1(k - 1)
으로 주어지고, 적응속도제어변수 a1(k)을 사용하여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및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를 합성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 및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가 정확한 수치일 필요가 있다.
저속의 스케일팩터 yl(k)는, 다음식에 따라서 전개할 수 있다.
yl(k) = (1 - 2-6)ㆍy1(k - 2) + 2-6ㆍyu(k)
= (1-2-6)2ㆍy1(k - 2) + 2-6{yu(k) + (1-2-6)ㆍyu(k - 1))
=
=(1 - 2-6)nㆍyl(k - n) + 2-6{yu(k) + (1-2-6)ㆍyu(k-1)
+ … +(1 - 2-6)nㆍyu(k - n))
= …
= (1 - 2-6)Kㆍy1(0)
+ 2-6{yu(k) + (1 - 2-6)yu (k-1) + … +(1 - 2-6)kㆍ yu(0)}
즉,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1 - 2-6)으로 가중된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가산평균(시간에 관해서의 평균값)이고, 완만한 변화를 한다.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구하는 처리에서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로패스 필터처리를 행하여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가 구해진다. 따라서, 에러가 검출된 프레임을 끼워서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값의 변화는 근소하다고 간주할 수 있고, ADPCM 복호기3의 복호처리정지에 의해 유지된 값은, 그대로 복호처리재개시의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값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에 관하여는, 초기화시의 스케일팩터 yu(k)와 y1(k)의 값 544과 34816의 관계에 기초를 두며, 이 정확한 값을 주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l(k)를 다음식에 따라서 스케일링하여 구한다.
yu(k) = 2-6ㆍy1(k)
상술의 치환에 의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 이 ADPCM 복호기3의 내부변수인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를, 정확한 값을 주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사용하여 치환함에 의해, ADPCM 복호처리 재개시의 스케일팩터y(k)의 오차를 축소할 수 있고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에 의한 치환의 이유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비트구성을 나타내고, 도 8(B)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비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저속의 스케일팩터 yl(k) 및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비트구성은, 전술의 ITU 권고 G. 726에서 규정되어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23∼2-15의 자리수를 가지는 19비트로 표현된다. 테두리 안에 나타내는 숫자는 각 자리수의 승을 나타내는 (예를들면, 「3」은, 23의 자리수를 나타낸다). 이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는, 리셋트시 수치 34816으로 리셋트된다.
한편,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는 23∼2-9의 13비트로 표시된다. 이 도 8(B)에 있어서도 테두리 안의 숫자는 각 자리수의 승을 나타낸다. 이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는 리셋트시 값544에 리셋트된다. 이 리셋트시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리셋트치(초기값)와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의 리셋트치(초기값)의 관계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의 초기값이 고속의 스케일팩터 yu의 26배의 값으로 되어있다. 즉, 초기값에 있어서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는 저속의 스케일팩터 y1를 6비트산술 오른쪽 시프트하여 (시프트후의 상위비트에는 0을 삽입)상위13 비트를 취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복호처리 재개시의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로서, 이 초기화시와 같은 관계를 만족시키는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사용하면, 비교적 정확한 고속의 스케일팩터 yu가 구해지고, 따라서 스케일팩터y(k)의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의 스케일팩터 yl(k)는 또한 12비트 오른쪽 시프트처리를 행할 수 있다(1비트는 남길 필요가 있기 때문에). 따라서, 저속의 스케일팩터 y1를 18비트(6비트 + 12비트)산술 오른쪽시프트하고, 그 상위13비트를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복호처리재개시에 있어서의 고속의 스케일팩터 yu로서는, 다음식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yu = 2-aㆍy1(k)
단, a : 6 ≤a≤18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이다.
실제의 처리에 있어서는,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에 대해서는 하한치가 정해지고 있고, 1.06보다도 작은 수치는 전부 이 하한치로 클립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a>10은 전부 같은 고속의 스케일팩터치를 주기 때문에, 다음식에 따라서 복호처리 재개시의 고속의 스케일팩터의 치환이 행하여지더라도 괜찮다.
yu(k) = 2-aㆍy1(k)
단, a : 6 ≤a≤10를 만족시키는 자연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a의 값을 6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여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의 스케일링량을 크게 취하면, 스케일팩터 y(k)의 값도 작아지고 따라서 ADPCM 복호기의 복호처리 재개직후의 재생신호가 일시적으로 뮤트된 상태로 되어, a = 6의 경우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잡음발생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양자화 스케일팩터적응부3d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양자화 스케일팩터 적응부3d는 입력ADPCM 부호I(k)를 받아, 함수W 및 스케일팩터y(k)에 따라서 고속의 스케일팩터 yu(k)를 산출하는 yu 산출부3da와, 이 yu 산출부3da에서 산출된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1샘플링기간 지연하기 위한 지연회로3db와, yu 산출부3da에 의해 산출된 고속의 스케일팩터와 1샘플링앞의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 - 1)에 따라서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를 산출하는 yl 산출부3dc와, y1산출부3dc의 출력데이터를 1샘플링기간 지연하여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 - 1)를 생성하는 지연회로3dd와, 적응속도제어변수 a1(k)에 따라서 지연회로3db 및 3dd에서 출력되는 스케일팩터 yu(k-1) 및 yl(k-1)를 합성하여 스케일팩터y(k)를 생성하는 합성회로3de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일 때에 이 지연회로3db에서의 저속의 스케일팩터 y1(k-1)에 따라서 복호재개시에 치환하여야 할 갱신된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갱신yu 산출부3df를 포함한다.
이 갱신 yu산출부3df에서의 갱신고속 스케일팩터는, 도 5에 나타내는 에러변화점 검출기6으로부터의 변화점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연회로3db에 격납된다. 이것에 의해서, 지연회로3db의 유지내용이 갱신된다. 다음에, 이 도 9에 나타내는 양자화 스케일팩터적응부3d의 동작을,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1).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양자화 스케일팩터적응부3d는 그 스케일팩터산출동작을 정지하고, 또한 그 내부변수를 유지한다(스텝S2). 이 상태에서 갱신 yu 산출부 3df에서 저속의 스케일팩터 y1의 스케일링에 의해, 고속의 스케일팩터 yu가 산출되어 유지된다. 이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태가 유지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스텝S4), 지연회로3db는, 변화점 검출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서 갱신yu 산출부3df에서 산출된 고속의 스케일팩터로, 그때까지 유지하고 있던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치환한다. 이 치환된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사용하여 새로 주어진 ADPCM 부호I(k)에 대한 스케일팩터의 산출동작이 재개된다(스텝S5).
이 갱신된 고속의 스케일팩터는, 새로 주어지는 고속의 스케일팩터에서 고쳐 쓰여져서, 각 입력ADPCM 부호I(k)에 대한 스케일팩터y(k)의 산출동작이 계속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복호동작은 계속하여 실행되기 때문에, 스텝 S6 에 따라서 스케일팩터y(k)의 산출동작이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 상술의 설명에서는, 스케일팩터y(k)의 산출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실행되도록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디지탈ㆍ시그널ㆍ프로세서(DSP)를 사용하여 실행되더라도 괜찮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따르면, ADPCM 부호의 복호재개시에 있어서 고속의 스케일팩터를 유지하고 있는 저속의 스케일팩터의 스케일링된 값으로 치환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재개시의 양자화스케일팩터의 값을 거의 바른 수치에 가깝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처리재개시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은, 도 1에 나타나는 실시의 형태 1과 아래와 같은 점에서 서로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의 ADPCM 부호107를 받아,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에의 변화직후부터, 받은 ADPCM 부호107를 서서히 감쇠시켜서 출력하는 페이드아웃처리부7가 설정된다. 이 페이드아웃처리부7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일 때에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ADPCM 부호107를 그대로 ADPCM 부호108로서 출력하여, 노드108a를 통해 다음단의 ADPCM 복호기에 준다. 다음에, 이 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12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일 때에는, ADPCM 복호기3는 복호처리를 실시 하고 있고, ADPCM 복호기3로부터 출력되는 ADPCM 부호105가 재생출력변환스위치5에 의해 선택되어 페이드아웃처리부7로 주어진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일 때에는 페이드아웃처리부7는 비활성상태에 있고, 이 주어진 ADPCM 부호107를 그대로 ADPCM 부호108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이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ADPCM 복호기3에 의해 생성된 ADPCM 부호에 따른 재생음성를 얻을 수 있다.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ADPCM 복호기3는 그 복호처리를 정지한다. 한편, 메모리회로4가 기록상태로부터 판독상태로 변경되고, 이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ADPCM 부호106가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를 통해 페이드아웃처리부7에 주어진다. 페이드아웃처리부7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지시에 따라서 활성화되어,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ADPCM 부호107(메모리회로4의 출력하는 ADPCM 부호106)를 서서히 감쇠시킨다. 이 페이드아웃처리부7의 감쇠처리에 의해, ADPCM 부호108의 재생파형의 진폭이 서서히 감쇠한다. 따라서, 이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ADPCM 부호106에 따르는 DC치 보다도 DC 바이어스가 작은 뮤트상태가 되어 안정되게 뮤트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페이드아웃 처리부7에 의해 서서히 PCM 부호108의 진폭을 감쇠시킴으로써, 급격히 감쇠시키는 경우에 생기는 잡음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의 잡음발생을 억제하여 안정되게 뮤트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페이드아웃처리부7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페이드아웃처리부7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 지시시에 활성화되고, 소정의 감쇠함수f(x, t)를 발생하는 함수발생부7a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 지시때 활성화되며, 이 함수발생부7a에서의 함수f(x, t)를 주어진 PCM 부호107에 적용하여 PCM 부호108를 생성하는 연산부7b를 포함한다. 연산부7b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를 나타내는 때에는, 주어진 PCM 부호107를 간단히 통과시키는 전송게이트로서 기능한다.
함수발생부7a가 발생하는 감쇠함수f(x, t)에 있어서, t는 시간을 나타내고, x는 입력PCM 부호를 나타낸다.
도 14는 함수발생부7a가 출력하는 감쇠함수f(x, t)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이 감쇠함수f(x, t)의 시각 t에 관해서의 변화f(x)를 나타낸다. 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쇠함수f(x, t)는 시간 t의 경과와 함께 입력값 x에 대한 감쇠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감쇠함수f(x, t)의 일례로서는 함수2-tㆍx가 있다. 다음에, 이 도 13에 나타내는 페이드아웃처리부7의 동작을 도 1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했는지가 식별된다(스텝 Sl0).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지시를 유지하는 동안에, 이 스텝 Sl0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지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함수발생부7a및 연산부7b가 활성화되어 감쇠처리가 실시된다(스텝S11). 이 감쇠처리에서는 함수발생부7a가 감쇠함수f(x, t)를 발생하여 연산부7b에 준다. 연산부7b는, 이 함수발생부7a에서 주어지는 함수f(x, t)에 따라서 입력된 PCM 부호107를 처리하여, 처리뒤의 함수치를 입력PCM 부호107와 같은 양자화폭으로 양자화한 뒤 PCM 부호108에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연산부7b는 미리 정해진 최대감쇠치에 도달하면, 그 최대감쇠치로 처리된 값을 계속적으로 출력한다(스텝S12). 이 최대감쇠치는 출력PCM 부호108의 진폭치가 0이라도 좋고, 또한 유한의 진폭치여도 상관없다. 연산처리가 이 상태에서 정지하고, 출력값이 유지되어 접속해서 출력되더라도 상관없다. 이 때, 메모리회로의 판독도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산부7b는, 최대감쇠치를 계속하여 출력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로 이행하면, 연산부7b가 감쇠처리를 정지하고 또한 함수발생부7a도 동작상태에 있으면, 그 함수발생동작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연산부7b가 입력PCM 부호107를 단지 통과시키는 전송게이트로서 기능한다(스텝S14). 이 상태에서 스텝 S10으로 되돌아가서 에러검출정보102의 모니터가 행하여진다.
이 페이드아웃처리부7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 페이드아웃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르면, 에러검출시에는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PCM 부호에 대하여 페이드아웃처리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이 에러검출시에 재생음성에 대하여 뮤트를 걸을 수가 있어, 이 에러검출시의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4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아래와 같은 점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와 다르다.
즉,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가 출력하는 PCM 부호107를 받아,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이 받은 PCM 부호107에 대하여, 소정의 감쇠량으로부터 감쇠량0에 복귀할 때까지 서서히 증폭하여 PCM 부호110를 생성하는 페이드인처리부8가 설정된다. 이 페이드인 처리부8로부터의 PCM 부호110는 노드110a를 통해 다음단의 PCM 복호기에 주어진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17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일때는, ADPCM 복호기3는 복호동작을 정지하고 있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페이드인 처리부8에 준다. 페이드인처리부8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일 때에는, 단지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0로서 다음단의 PCM 복호기에 준다. 도 17에서는 진폭치0의 PCM 부호를 나타내지만, 소정레벨의 DC 신호이면 된다. 시각 t2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하면, 페이드인 처리부8가 활성화되고 미리 정해진 감쇠량으로부터 서서히 감쇠량을 감소하여, 지레의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입력PCM 부호107에 대하여 증폭동작을 개시한다. PCM 부호110의 재생파형은, 시간과 동시에 그 진폭이 서서히 증가한다. 이 감쇠량이 0에 도달하면(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페이드인처리부8는 이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에 대한 증폭동작을 정지하여, 주어진 PCM 부호107를 그대로 통과시켜서 PCM부호110로 해서 출력한다. 이 에러비검출상태에서는 ADPCM 복호기3가 복호동작을 실시하고 있고,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이 ADPCM 복호기3으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페이드인 처리부8로 주고 있다.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 ADPCM 부호에 불연속이 생기더라도, 페이드인처리부8는 최대의 감쇠량으로 주어진 PCM 부호107에 대한 증폭동작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의 진폭은 충분히 작게 되어 있어,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의 잡음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ADPCM 복호기3의 복호처리개시후의 재생음성의 청감품질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처리부8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 페이드인처리부8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소정시간 활성화되어 증폭함수g(x, t)를 발생시키는 함수발생부8a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함수발생부8a에서 주어지는 함수g(x, t)를 입력PCM 부호107에 적용하여 PCM 부호110를 생성하는 연산부8b를 포함한다. 연산부8b는 이 에러검출정보 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뒤, 또는 함수발생부8a에서의 함수g(x, t)의 감쇠량이 0에 도달하면, 전송게이트로서 기능하여 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0을 생성한다.
도 19는 함수발생부8a가 발생하는 증폭함수g(x, t)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함수발생부8a에서 발생되는 함수g(x, t)는, 시간 t의 경과와 동시에, 그 감쇠량이 작아지고, 최종적으로 그 감쇠량이 0이 된다. 함수g(x)로서는, 예를 들면(1 - 2-t)ㆍx가 있다. 다음에, 이 도 18에 나타내는 증폭동작을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에의 변화가 생기는 가 아닌가가 모니터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일 때에는, 페이드인처리8는 비활성상태에 있어 증폭동작은 행하지 않는다. 이 때,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 페이드인처리부8는 최대의 감쇠율로 증폭동작을 행하고 있더라도 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함수발생부8a 및 연산부8b가 활성화되어, 연산부8b는 이 함수발생부8a에서의 함수g(x, t)에 따라서 입력PCM 부호107에 대하여 증폭동작을 실시한다(스텝S21). 연산부8b는 이 함수발생부8a에서의 함수g(x, t)의 감쇠량이 0에 도달했는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S22). 이 판정동작은 단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가 아닌가에 의해 판정이 행하여지더라도 괜찮다. 이 시간경과시에, 함수발생부8a가 발생시키는 함수g(x, t)의 감쇠량이 0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 함수g(x, t)의 감쇠량이 0에 도달할 때까지, 연산부8b는 이 함수g(x, t)에 따라 증폭동작(감쇠율이 감소되는 감쇠동작)을 실시한다. 감쇠량이 0에 도달하면 연산부8b는 증폭동작을 정지하고 입력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0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페이드인처리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따르면,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그 감쇠량이 시간과 동시에 서서히 저감되는 감쇠량을 가지고 증폭동작을 행하는 페이드인처리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복호처리개시시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2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와 아래와 같은 점에서 다르다.
즉, 도 2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에서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를 받아,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페이드인/페이드아웃처리를 실시하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9가 설정된다. 이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되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에 대하여 페이드아웃처리를 실시하여, 서서히 이 출력PCM 부호109의 진폭을 감소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 이 페이드인/아웃처리부는 최대감쇠량으로 감쇠된 PCM 부호109를 유지한다. 페이드인1 아웃처리부9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에 대하여 페이드인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에, 이 도 21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22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의 상태에서는, ADPCM 복호기3는 입력ADPCM 부호101에 따라서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2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에 준다.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비검출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처리시간 경과후)에는,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를 선택하여 PCM 부호109로서 다음단의 PCM 복호기에 준다.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ADPCM 복호기3는 복호동작을 정지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메모리회로4로부터의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지레의 PCM 부호107로서 페이드인/아웃처리부로 준다.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는데 따라서, 입력PCM 부호107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3와 같이 페이드아웃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페이드인1 아웃처리부9로부터 출력되는 PCM 부호109의 재생파형은 서서히 그 진폭이 감소되고, 최대의 감쇠치에 도달하면 그 진폭치로 유지된다.
도 22에서는, 이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진폭치0에까지 PCM 부호109의 진폭치를 감소하고 있는 처리상태가 일례로서 표시된다. 이 최대감쇠시의 PCM 부호의 크기는, 0이 되지 않아도 되고, 소정의 유한의 수치라도 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시각 t2에서 변화하면,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에 대하여 페이드인처리를 실행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 따라서 ADPCM 복호기3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에 준다. 이에 따라, 복호된 PCM 부호105에 따라서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로부터의 PCM 부호109의 재생파형의 진폭은 서서히 커진다. 따라서,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때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이 생기더라도,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에서 페이드인처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ADPCM 부호의 불연속시의 재생음성파형의 진폭치는 작고, 불연속으로 인한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이 감쇠량이 0에 도달하면 페이드인처리를 정지하여,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를 이 PCM 부호109로 해서 전달한다.
도 23은,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할 때 활성화되어, 미리 정해진 감쇠함수f(x, t)를 발생하는 함수발생기9a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 활성화되어, 미리 정해진 증폭함수g(x, t)를 발생하는 함수발생기9b와,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함수발생기9a 및 9b가 출력하는 함수의 한편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9c와,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할 때 및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 활성화되어, 선택기9c에서 주어지는 함수를 입력PCM 부호107에 적용하여 PCM 부호109를 생성하는 연산부9d를 포함한다. 이 도 23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의 구성은, 도 13 및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을 조합한 것이다. 따라서, 이 도 23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9의 동작은, 도 15 및 도 20에 나타내는 흐름을 조합한 것에 의해 주어진다. 즉,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이고 또한 에러 비검출상태에의 이행후 소정시간 경과후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단지 전송게이트로 해서 기능하여, 입력PCM 부호107를 통과시킨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함수발생기9a가 활성화되어, 선택기9c가 이 함수발생기9a에서의 함수f(x, t)를 선택하여 연산부9d에 준다. 연산부9d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변화에 응답하여, 입력PCM 부호107에 대하여 선택기9c에서 주어진 함수를 적용하여 PCM 부호109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PCM 부호109의 재생파형진폭치가 서서히 감소되고, 에러프레임기간중 최소진폭치로 유지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일 동안에, PCM 부호109는 최소진폭치의 상태에 있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함수발생기9b가 활성화되고 또한 선택기9c가 이 함수g(x, t)를 선택하여 연산부9d로 준다. 연산부9d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의 변화에 응답하여, 선택기9c에서 주어지는 함수를 입력PCM 부호107에 적용하여 PCM 부호109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PCM 부호109의 재생파형진폭이 서서히 커진다. 연산부9d는, 이 함수발생기9g에서 주어지는 함수g(x, t)의 감쇠량이 0에 도달하거나 또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증폭동작을 정지하여, 전송게이트로서 기능하여 입력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09를 생성한다.
이 도 23에 나타내는 페이드인/아웃처리부9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더라도 되고, 또한 DSP에 의해 실현되더라도 되며, 단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현되더라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5에 따르면,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할 때 페이드아웃처리를 실시하고,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 이 페이드아웃된 상태로부터 페이드인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109를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 확실하게 페이드인처리를 실시할 수 있어, ADPCM 부호 불연속시의 잡음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와 아래와 같은 점에서 다르다. 즉,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노드113a에서 주어지는 클립시간설정신호113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노드114a에서 주어지는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로 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의 진폭을 클립하는 클립처리부11가 설정된다. 클립처리부11에 의해 그 진폭이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로 클립된 PCM 부호115가 생성되어, 노드115a를 통해 이 PCM 부호115가 다음단의 PCM 복호기에 주어진다.
다음에 이 도 24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25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의 일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 일 때에는, ADPCM 복호기3은 복호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105를 생성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ADPCM 복호기3으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PCM 부호107로 해서 클립처리부11에 준다. 클립처리부11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에 있기 때문에 클립처리는 행하지 않고, 이 주어진 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5를 생성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ADPCM 복호기3는 복호처리를 정지하고,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클립처리부로 준다. 이 에러검출시간에 있어서도, 클립처리부11는 클립처리는 행하지 않고 주어진 입력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5를 생성한다. 도 25에서는 이 에러검출시의 PCM 부호107(PCM 부호115)의 진폭은 0으로 표시된다.
시각 t2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클립처리부11는 이 클립시간 설정신호113이 설정하는 기간에 활성화되어 클립처리를 행한다. 에러비검출 상태로 이행하는데 따라서,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ADPCM 복호기3에 의해 생성된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PCM 부호107로서 클립처리부11로 주고 있다. 클립처리부11는 이 주어진 PCM 부호107의 진폭을 클립치신호114와 비교한다. 입력PCM 부호107의 진폭치가 클립치신호114의 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입력PCM 부호107의 진폭치가 클립치진폭114이 나타내는 클립치로 치환된다. 클립길이 설정신호113가 설정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클립처리부11는 클립처리를 정지하여, 이 입력PCM 부호107를 클립처리를 행하지 않고 통과시켜서 PCM 부호115를 생성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에 소정시간동안 클립처리를 행함에 따라서, ADPCM 부호101의 불연속적인 발생에 의해 ADPCM 복호기3가 재생한 PCM 부호105의 진폭치가 비정상적으로 커져서, 잡음의 발생원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도, 이 진폭치가 큰 PCM 부호l05의 진폭치가 미리 설정된 클립치신호114로 제한됨에 의해 잡음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4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1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 클립처리부11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시 클립길이 설정신호113가 나타내는 기간에 활성화되는 타이머15와, 타이머15의 출력신호113b 활성화시 활성화되어 클립치신호114와 입력 PCM 부호107의 진폭치를 비교하는 비교기11a와, 비교기11a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클립치신호114 및 PCM 부호107의 한 편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택기11b를 포함한다. 이 선택기11b에서 PCM 부호115가 출력된다. 비교기11a는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을 때 및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에 있고 또한 타이머15로부터의 출력신호113a의 비활성화시에는, 선택기11b에 PCM 부호107를 선택시킨다. 다음에 이 도 26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의 동작을, 도 27에 나타내는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스텝S30).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타이머15가 기동된다(스텝S31). 타이머15는, 이 기동시의 클립길이 설정신호113가 나타내는 기간에 활성화되어 그 출력신호113b를 활성화한다. 비교기11a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 및 타이머15의 출력신호113a의 활성화에 따라서 활성상태가 되어 비교동작을 행한다(스텝S32). 이 비교기11a는, 입력PCM 부호107의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와 입력 PCM 부호107의 진폭의 대소판별을 행한다(스텝S33).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가 PCM 부호107의 진폭보다도 큰 경우에는, 선택기 11b는 비교기11a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PCM 부호107를 선택하여 PCM 부호115로서 출력한다(스텝S34). 한편,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가 PCM 부호107의 진폭이하의 경우에는, 선택기11b는 비교기11a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PCM 부호107의 진폭치를 클립치로 치환하여 출력한다. 즉, 클립치신호114가 나타내는 클립치에 입력PCM 부호107의 부호를 붙여서 출력한다(스텝S35).
다음에, 타이머15로부터의 출력신호113b가 활성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스텝S36). 타이머15로부터의 클립길이규정신호113b가 활성상태에 있고 클립구간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2에 되돌아가서 다시 비교동작이 행하여진다. 타이머15가 출력하는 클립길이 규정신호113a가 비활성상태가 되면, 비교기11a는 비교동작을 정지하고, 따라서 선택기11b는 입력PCM 부호107를 선택하여 PCM 부호115로서 출력한다(스텝S37). 스텝 S37 뒤에는 스텝 S30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처리에 대비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에서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 소정의 클립기간 입력PCM부호107의 진폭에 대하여 클립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처리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행하여져도 되고,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이 도 26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타이머15는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기동하고 있다. 클립길이 설정신호113로서는 소정기간내에 주어지는 샘플수(입력PCM 부호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클립처리부1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의 이행에 따라서 카운터가 카운트동작을 행하고, 입력PCM 부호107의 수를 카운트한다. 이 카운트치가 클립길이 설정신호113가 나타내는 카운트치와 같아지면 클립치가 정지된다. 이 구성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에 따르면,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 소정구간 사이에 입력PCM 부호의 진폭치를 소정의 클립치로 클립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ADPCM 복호처리 재개시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의해, 잡음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비정상적인 진폭을 가지는 PCM 부호의 재생이 억제되고, 따라서 잡음발생이 억제된다.
[실시의 형태 7]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7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28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도 24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와 아래의 점에서 서로 다르다. 즉, 이 도 28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에서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와 클립처리지시113b의 비처리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각 프레임마다 소정구간내의 PCM 부호105의 최대진폭치를 검출하여, 그 유지된 최대진폭치를 클립치 신호114로서 출력하는 최대치검출회로12가 설정된다. 이 최대치검출회로12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 및 클립처리실시중일 때에는 최대치검출동작을 정지하여, 직전의 프레임에서 검출한 PCM 부호105의 최대진폭치를 유지한다. 클립처리부11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에의 변화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최대치검출회로114로부터의 클립치신호114에 따라서, 재생출력 전환스위치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에 대한 클립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이 도 28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29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일 때에는, ADPCM 복호기3가 복호동작을 실행하여 ADPCM 부호101를 PCM 부호105로 신장하고 있다. 최대치검출회로12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에 따라서, 각 프레임단위로 프레임내의 소정의 기간내에서의 PCM 부호105 최대진폭치를 검출한다. 이 최대치검출회로12는, 각 프레임단위로 검출한 최대치가 갱신된다(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일 때).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ADPCM 복호기3는 복호동작을 정지하고,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메모리회로4로부터 판독된 PCM 부호106를 선택하여 클립처리부11에 준다. 최대치검출회로12는,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에의 변화에 응답하여 최대치검출동작을 정지하여, 앞서의 프레임에서 검출한 최대진폭치를 유지한다. 클립처리부11는, 이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일 때에는 클립처리는 행하지 않고, 최대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를 통과시켜서 PCM 부호115를 출력한다. 메모리회로4에서는, 이 사이클에서의 최종ADPCM 부호에 대응하는 PCM 부호가 격납되어 있고, 따라서 PCM 부호106의 진폭치가 유한하지만, 도 29에서는, 이 진폭치는 0이 되도록 표시된다.
시각 t2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하면, 최대치검출회로12는, 유지한 최대진폭치를 클립치신호114로 해서 클립처리부11에 준다. 클립처리부11는, 클립장기간 설정신호113에 따라서 소정기간 이 클립치신호114에 따라서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 주어지는 PCM 부호107의 진폭치에 대한 클립처리를 실시한다. 이 클립처리 실행중에도 최대치검출회로12의 동작을 정지한다. ADPCM 복호기3는 복호동작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 최대치검출회로12에서 검출된 최대진폭치는 에러검출직전 프레임에서의 소정구간내의 PCM 부호 최대진폭치이다. 따라서 연속하는 2프레임에서의 음성파형은 근사파형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 앞의 프레임내의 소정구간내에서의 PCM 부호 최대진폭치를 클립치로서 사용함으로써, 복호처리재개시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으로 인해 재생된 PCM 부호의 진폭치가 매우 커져서, 잡음발생원이 되는 신호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 클립치신호114의 클립치는 각 프레임마다 갱신되기 때문에, 각 프레임에 대응한 적절한 클립치를 사용하여 복호처리재개시의 클립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내는 최대치검출회로1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에 있어서, 최대치검출회로12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비검출상태와 클립처리지시113b의 클립처리 비실행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입력PCM 부호105와 레지스터12b에 격납된 PCM 부호의 진폭을 비교하는 비교기12a를 포함한다. 레지스터12b는 프레임종료정보120의 프레임종료지시에 응답하여 그 기억내용이 초기값에 리셋트되고, 또한 비교기12a에서의 출력신호가 입력PCM 부호105의 진폭치가 큰 것을 나타낼 때 입력PCM 부호105를 격납한다. 레지스터12b는 또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그 기억내용을 다음단의 레지스터12c에 전송한다. 레지스터12c에서 클립치신호114가 출력된다. 다음에 이 도 30에 나타내는 최대치검출회로12의 동작을 도 31에 나타내는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스텝S40). 이어서, 클립처리기간중에 있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스텝S46).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이고 또한 클립처리기간중이 아닐 때에는, 비교기12a가 활성상태에 있고, 각 프레임마다 소정구간내에서 입력PCM 부호105의 최대진폭치가 검출된다(스텝S41). 이 최대진폭치 검출처리시에 이하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레지스터12b는 각 프레임마다 그 격납치가 소정의 초기값(예를들면 진폭치0)에 리셋트된다. 비교기12a는 각 프레임마다,소정구간내에서 활성화되어, 입력PCM 부호105의 절대치와 레지스터12b에 격납된 값을 비교한다. 입력PCM 부호105의 진폭치(절대치)가 레지스터12b에 격납된 수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레지스터12b는 그 기억내용의 갱신은 행하지 않는다. 한편, 입력PCM 부호105의 진폭치가 레지스터12b에 격납된 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비교기12a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레지스터12b는 입력PCM 부호105의 진폭치를 격납한다. 이 처리가 소정구간내에서 입력PCM 부호105에 대하여 실행된다. 이 소정구간은, 각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서 소정시간경과 후 또는 소정샘플수 경과 후 비교기12a가 활성화되는 구성이 이용되면 되고, 프레임의 시작은 프레임동기패턴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종료정보120는, 각 프레임사이에서는 프레임사이에 있는 시간차가 존재하고 있어, 이것을 검출함에 의해 프레임종료를 검출할 수 있다.
프레임 종료정보120가 비활성상태에 있고 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고 있지 않을 때에는, 이 동작이 반복된다(스텝S42). 한편, 프레임종료정보120가 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면, 레지스터12b의 격납치(소정구간내에서의 최대진폭치)가 레지스터12c에 전달되고, 또한 레지스터12b의 기억내용이 초기값에 리셋트된다(스텝S43). 이어서 다시 스텝 S40으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스텝 S40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일 때, 또는 스텝 S46에 있어서 클립기간중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최대치 검출처리가 정지된다(스텝S44). 즉, 비교기12a는 비교동작은 행하지 않고, 또한 레지스터12b도 그 기억내용의 갱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종료정보120가 프레임의 종료를 나타내더라도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을 때에는, 레지스터12b에서 레지스터12c에의 데이터전송은 금지된다(스텝S45).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다시 스텝 S41으로부터의 처리에 의해 각 프레임마다 소정구간에서의 최대진폭치 검출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때, 레지스터12c는 에러검출직전 프레임에 있어서의 소정구간내의 최대진폭치를 유지하고 있어, 클립치신호114로서 출력하고 있다. 이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한 후의 최초의 프레임에서는, 이 레지스터12c의 입력 데이터를 클립치신호114로 해서, 클립처리부11에서 PCM 부호107에 대한 클립처리가 행하여진다.
클립처리부11의 동작은, 전번의 도 26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의 구성 및 도 27에 나타내는 클립처리부의 동작과 동일하다. 주어지는 클립치신호가 에러검출 프레임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 다를 뿐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따르면, 각 프레임마다 소정구간내에서 PCM 부호의 최대진폭치를 검출하여 유지하고,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이 에러검출전의 프레임에서의 소정구간내의 PCM 부호의 최대진폭치를 클립치신호로 해서 사용하여, PCM 부호의 진폭의 클립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 상태로 이행할 때의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이상진폭을 가지는 PCM 부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클립치는, 에러검출 프레임마다에 정해지기 때문에, 최적의 클립치를 설정하여 클립처리를 행할 수가 있고, 청감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8]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에 따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신장부는, 전송로에 결합되는 노드101a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101를 PCM 부호105에 신장하는 ADPCM 복호기3와, 노드102a에서 주어지는 에러검출정보l02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배경잡음116을 발생하는 배경잡음 발생기13와, 에러검출정보102에 따라서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 및 배경잡음 발생기13로부터의 배경잡음116의 한편을 선택하여, PCM 부호117로서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를 포함한다. 이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로부터의 PCM 부호117는, 노드117a를 통해 다음단의 PCM 복호기로 주어진다.
ADPCM 복호기3은, 앞서의 실시의 형태1로부터 7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 그 복호동작이 정지된다. 다음에, 이 도 32에 나타내는 수신 데이터 신장부의 동작을 도 33에 나타내는 동작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때에는, ADPCM 복호기3는 활성상태에 있어, ADPCM 부호101를 PCM 부호105로 신장한다. 재생출력 변환스위치5는 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노드117a를 통해 PCM 부호117로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배경잡음 발생기13는 비활성상태로 있다.
시각 t1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ADPCM 복호기3는 복호처리를 정지한다. 배경잡음 발생기13은, 이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 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배경잡음116을 발생한다.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이 배경잡음116을 선택하여 PCM 부호117로해서 출력한다.
시각 t2에 있어서,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하면, 배경잡음 발생기13은 배경잡음116의 발생을 정지한다. 한편, ADPCM 복호기3은 다시 복호동작을 개시하여, ADPCM 부호101를 PCM 부호105에 신장한다. 재생출력변환스위치5는 이 ADPCM 복호기3로부터의 PCM 부호105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 에러검출시에 ADPCM 복호기3의 복호처리를 정지시켜서, 배경잡음을 발생함에 의해 에러검출시에 수신신호가 완전히 무음(無音)이 되는 상태를 피할 수 있고, 재생음성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ADPCM 복호기3은 에러검출시 그 복호처리가 정지되어 있고 내부상태는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ADPCM 부호의 불연속은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에만 생긴다. 지금 이 경우에 있어서, 배경잡음이 삽입되어 있고 이 불연속에 의한 잡음의 효과를 감소할 수 있다.
도 34는, 도 32에 나타내는 배경잡음 발생기1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에 있어서, 배경잡음 발생기13는 에러검출정보102의 에러검출상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유사잡음(PN)패턴을 발생하는 PN 패턴발생기13a와, 이 PN 패턴발생기13a에서의 PN 패턴의 대역을 제한하는 1/f 필터13b를 포함한다. 1/f 필터13b에서 배경잡음116이 출력된다. 1/f 필터13b는 주파수f에 따라서 통과레벨을 저감한다. 다음에 이 도 34에 나타내는 배경잡음 발생기13의 동작을 도 35에 나타내는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했는가 아닌가가 감시된다(스텝S50).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 비검출상태일 경우에는, 이 배경잡음 발생기13는 동작하지 않고 비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면, PN 패턴발생기13a가 활성화되어 PN 패턴을 발생한다(스텝S51). 이 PN 패턴발생기13a에서의 PN 패턴은, 1/f 필터13b에 의해 대역제한되어 배경잡음116으로서 출력된다. 이에 의해, PN 패턴이 발생하더라도 1/f 필터13b의 대역제한에 의해, 불쾌감을 주는 잡음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배경잡음116의 발생은, 에러검출정보102가 에러검출상태에 있는 동안에 실시된다(스텝S52). 에러검출정보102가 스텝 S52에서 에러 비검출상태로 변화하였다고 판정되면, 이 PN 패턴발생기13a는 비활성상태라고 되어, 배경잡음116의 발생이 정지된다(스텝S53). 에러비검출상태에 있어서는, ADPCM 복호기3에 의해 생성된 PCM 부호105에 의한 음성재생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에 따르면, 에러검출시 ADPCM 복호기의 처리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배경잡음을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신호가 완전히 무음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재생음성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의 형태1∼8에서는, ADPCM 복호기의 구성이 표시된다. 그렇지만, 압축부호화된 부호를 신장처리하여 신장부호를 생성하는 방식의 수신 데이터 신장부라면 본 발명은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에 있어서, 각처리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및 디지탈·시그널·프로세서등을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에러검출정보로서는 이하의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프레임내에 에러검출정정부호를 포함시켜서 에러검출을 행하여 정정가능한 에러는 정정한다. 프레임내에 정정불가능한 에러가 존재할 때만 에러검출정보를 에러검출상태로 설정한다.
에러검출정보에 따라서,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표시된 경우에는, 복호기의 복호처리가 정지되고, 재생출력 변환스위치는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일 때에는, 메모리회로는 리이드상태(데이터 판독상태)로 설정되고, 데이터의 기록은 정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메모리회로에 격납된 신장부호화 데이터는, 에러검출정보가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전환하기 직전에 복호기가 출력한 신장부호화 데이터로 되어, 직류(DC)의 신호로서 출력된다. 5ms∼10ms의 시간폭을 가지는 프레임을 구성할 경우에는, 음성신호재생중에 이 DC신호에 의해, 5ms∼10ms의 뮤트가 삽입되게 되지만, 청감품질은 약간의 단속감이 감지되는 정도이다.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변화할 때는, 복호기의 내부상태는 이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로 변화하기 직전의 내부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축부호의 불연속은 발생하지만, 종래예와 같은 정도의 청감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러검출정보가 에러 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하면, 복호기는 복호처리를 정지하고, 이 때의 압축화부호의 불연속은 관계가 없으며, 에러검출상태인 동안에 이 에러검출상태 이행직전의 신장화부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 압축부호의 불연속은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에만 되고, 종래보다도 이 압축부호의 불연속의 발생회수를 절반으로 할 수가 있어, 잡음발생확률을 감소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신장화부호를 메모리회로가 격납할 뿐이기 때문에, 장치규모 및 소비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ADPCM 복호기에서는, 적응 역양자화처리를 행하기 위한 스케일링팩터를 산출하기 위해서, 고속스케일팩터 yu 및 저속스케일팩터 y1가 사용된다.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에의 이행시에, 이 고속스케일팩터 yu를 스케일링된 저속스케일링팩터 y1, 즉 2-aㆍy1로 설정한다. 저속스케일링팩터 y1는 고속스케일팩터 yu의 시간을 지나는 가산평균을 나타내고 있어 그 변화가 작고, 에러검출상태로부터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하기 전에 주어지는 ADPCM 부호에 대한 저속스케일팩터의 값과,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의 저속스케일링팩터 y1의 값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저속스케일링팩터 y1를 이용하여 고속스케일링팩터 yu를 산출하면, 에러비검출상태로부터 에러검출상태로 이행할 때의 고속스케일팩터 yu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오차를 축소할 수 있으며, 이 값을 사용하여 스케일링팩터 y를 구함으로써, 에러비검출상태로 이행한 뒤의 ADPCM 부호에 대해, 보다 오차가 작은 스케일링팩터 y를 산출할 수 있고, 이 ADPCM 부호불연속점에서의 잡음발생확률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에러검출정보가 에러검출상태일 때, 즉 복호기의 복호처리 정지시에는, 배경잡음 발생기로부터의 배경잡음을 출력함에 의해 에러검출상태시에 수신신호가 완전히 무음이 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단위에서 전달되는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관해 프레임단위로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에 따라서, ADPCM 복호기 및 잡음억제 데이터발생기의 출력의 한편을 선택함에 의해, 에러검출시의 이 ADPCM 부호의 불연속에 기인하는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DPCM 복호기를 에러검출시에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내부상태는 에러검출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복호재개시에 새로 주어지는 ADPCM 부호에 대한 내부상태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복호기의 처리를 정지하여, 그 내부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전송오류시의 잡음억제를 개선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 버퍼가 불필요해 져서 하드웨어 구성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저소비전력 및 장치규모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수신 데이터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복호기의 처리정지시간이 길어질 뿐이고 부호의 불연속점이 증가하는일은 없으며, 따라서 잡음발생확률이 높아지는 일도 없다.

Claims (4)

  1.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주어지는 압축부호화된 수신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노드와,
    상기 입력노드로부터의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수신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호기와,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기록상태로 되고, 상기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기억하며 또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판독상태로 되고, 그 기억한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회로 및,
    상기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신장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복호기로부터 주어지는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받아,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회로에서 판독된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를 구비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 지시상태로부터 에러 비검출상태에의 변화를 검출하는 변화검출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호화 데이터는 ADPCM 부호화 데이터이며,
    상기 복호기는, 고속스케일팩터 yu와 저속스케일팩터 y1을 이용하여 상기 ADPCM 부호화 데이터의 적응 역양자화처리를 행하기 위해 스케일팩터 y를 생성하기 위한 양자화 스케일팩터 유닛과,
    상기 변화검출회로에서의 변화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저속스케일팩터 y1와 소정의 스케일링팩터 2-a를 사용하고, 상기 고속스케일팩터 yu를
    yu=2-aㆍyl, 단, a는 6 ≤a≤18의 자연수
    로 치환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3.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주어지는 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받는 입력노드와,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 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전송로를 통해 주어지는 압축부호화 데이터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복호기와,
    배경잡음을 발생하기 위한 배경잡음 발생기와,
    상기 배경잡음 발생기로부터의 배경잡음과 상기 복호기로부터의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받아,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배경잡음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복호기로부터 출력되는 신장부호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 변환스위치를 구비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4. 전송로를 통해 프레임단위로 전달되는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관해서, 프레임단위로 각 프레임내의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에러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에러검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노드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주어지는 ADPCM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 상기 에러검출정보가 에러비검출 지시상태일 때 활성화되고, 주어진 ADPCM 부호화 데이터에 신장처리를 실시하여 PCM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또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상태일 때에 그 신장처리동작이 정지되는 ADPCM 복호기와,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상태변화시에, 상기 ADPCM 복호기가 출력하는 PCM 부호의 불연속에 의한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잡음억압기와,
    상기 ADPCM 복호기 및 상기 잡음억압기에 결합되어,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검출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잡음억압로부터의 잡음억제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에러검출정보의 에러비검출 지시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ADPCM 복호기로부터의 PCM 부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재생출력변환스위치를 구비하는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KR1019970032660A 1997-01-24 1997-07-14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KR100262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0597A JP3596841B2 (ja) 1997-01-24 1997-01-24 受信データ伸長装置
JP11205 1997-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844A true KR19980069844A (ko) 1998-10-26
KR100262721B1 KR100262721B1 (ko) 2000-08-01

Family

ID=1177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660A KR100262721B1 (ko) 1997-01-24 1997-07-14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25146A (ko)
EP (1) EP0856960B1 (ko)
JP (1) JP3596841B2 (ko)
KR (1) KR100262721B1 (ko)
DE (1) DE69700620T2 (ko)
DK (1) DK0856960T3 (ko)
ES (1) ES2140168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08B1 (ko) * 2005-05-31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7219B1 (en) * 1998-06-24 2002-07-30 Conexa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US6622275B2 (en) * 1998-09-12 2003-09-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TDD/TTY modulation over vocoded channels
JP2000278142A (ja) * 1999-03-23 2000-10-06 Toshiba Video Products Japan Kk デ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00601627B1 (ko) * 1999-11-26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베이스밴드에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디코딩장치 및 디코딩 방법
US6931124B1 (en) * 2000-01-13 2005-08-16 Acoustic Technology, Inc. Soft mute circuit
JP3881157B2 (ja) * 2000-05-23 2007-0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装置
CN1205540C (zh) * 2000-12-29 2005-06-08 深圳赛意法微电子有限公司 含有解码器的电路、时分寻址的方法和一个微控制器
JP2002237803A (ja) * 2001-02-08 2002-08-23 Oki Electric Ind Co Ltd 受信回路
US7321559B2 (en) * 2002-06-28 2008-01-22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noise reduction in receiving wireless transmission of packetized audio signals
JP3922979B2 (ja) * 2002-07-10 2007-05-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伝送路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4398323B2 (ja) * 2004-08-09 2010-01-13 ユニデン株式会社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JP5202960B2 (ja) 2005-01-31 2013-06-05 スカイプ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レームの連結方法
JP4257862B2 (ja) 2006-10-06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復号化装置
JP4915577B2 (ja) * 2007-05-28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伝送システム
JP4915575B2 (ja) * 2007-05-28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伝送システム
JP4915576B2 (ja) * 2007-05-28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伝送システム
JP5053712B2 (ja) * 2007-05-29 2012-10-1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および無線端末の音声再生方法
JP2009047914A (ja) * 2007-08-20 2009-03-05 Nec Corp 音声復号化装置、音声復号化方法、音声復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204753B2 (en) * 2007-08-23 2012-06-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tabilization and glitch minimization for CCITT recommendation G.726 speech CODEC during packet loss scenarios by regressor control and internal state updates of the decoding process
JP2009093056A (ja) * 2007-10-11 2009-04-30 Oki Semiconductor Co Ltd ディジタル音声通信方法及びディジタル音声通信装置
JP5256756B2 (ja) * 2008-02-05 2013-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dpcm音声伝送システムの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の音声処理方法
US20100138724A1 (en) * 2008-12-01 2010-06-03 Dsp Group Ltd. Adaptive error pro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5326051B2 (ja) * 2009-10-15 2013-10-30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音声コーデックを備えた補聴器および方法
US8468421B2 (en) * 2010-06-23 2013-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system for error checking fetch and store data
KR20130123713A (ko) * 2012-05-03 2013-1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팝 노이즈 제거 방법
JP6379351B2 (ja) * 2014-04-02 2018-08-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9934788B2 (en) * 2016-08-01 2018-04-03 Bose Corporation Reducing codec noise in acoust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7171A (nl) * 1978-06-30 1980-01-03 Philips Nv Ontvanger voor digitale signalen in lijncode.
US5309443A (en) * 1992-06-04 1994-05-03 Motorola, Inc. Dynamic muting method for ADPCM coded speech
JPH05347594A (ja) * 1992-06-16 1993-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伝送符号誤り補償装置
WO1996022637A1 (de) * 1995-01-20 1996-07-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ignalverarbeitungsverfahren für ein blockweise codiertes audiosignal in einem audio-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08B1 (ko) * 2005-05-31 2007-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6960B1 (en) 1999-10-13
EP0856960A1 (en) 1998-08-05
JP3596841B2 (ja) 2004-12-02
US5925146A (en) 1999-07-20
JPH10209977A (ja) 1998-08-07
ES2140168T3 (es) 2000-02-16
DE69700620T2 (de) 2000-04-06
DE69700620D1 (de) 1999-11-18
KR100262721B1 (ko) 2000-08-01
DK0856960T3 (da) 200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721B1 (ko) 수신 데이터 신장장치
JP4146489B2 (ja) 音声パケット再生方法、音声パケット再生装置、音声パケット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30086577A (ko) 음성 복호화에서 음성 프레임 오류 은폐를 위한 방법 및시스템
JPH0226898B2 (ko)
JPH02288520A (ja) 背景音再生機能付き音声符号復号方式
US7443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coding with noise suppression
JP2904083B2 (ja) 音声符号化切替えシステム
EP0798908B1 (en) Speech encoder/decoder with speech recording and reproduction functions
JP2003050598A (ja) 音声復号装置
JP4572755B2 (ja) 復号化装置,復号化方法及びデジタル音声通信システム
JPH08211898A (ja) サブバンド・オーディオ信号合成装置
JP3603470B2 (ja) 音声品質改善装置
JP3187953B2 (ja) 無線通信装置
JP3254460B2 (ja) Adpcm符号化音声復号化方法
JP3649854B2 (ja) 音声符号化装置
JP3398457B2 (ja) 量子化スケールファクタ生成方法、逆量子化スケールファクタ生成方法、適応量子化回路、適応逆量子化回路、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H0697846A (ja) 無線通信装置
JP3315708B2 (ja) 比較減衰器付音声符復号器
JP3079894B2 (ja) 音声復号化装置
JP3580906B2 (ja) 音声復号装置
JP3603469B2 (ja) 音声品質改善装置
JP2001148632A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JPH07115403A (ja) 無音区間情報の符号化及び復号化回路
JP3163567B2 (ja) 音声符号化通信方式及びその装置
JPH05113798A (ja) 音声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