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642A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642A
KR19980065642A KR1019970000753A KR19970000753A KR19980065642A KR 19980065642 A KR19980065642 A KR 19980065642A KR 1019970000753 A KR1019970000753 A KR 1019970000753A KR 19970000753 A KR19970000753 A KR 19970000753A KR 19980065642 A KR19980065642 A KR 1998006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output
pads
pull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642A/ko
Publication of KR1998006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42A/ko

Link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패드 배치방법은, 메모리셀 어레이 부위와, 주변회로 부위와, 외부에 내부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출력 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패드 배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를 패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필드 트랜지스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X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제어회로를 위치시키고 Y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출력패드 배치방법은, 패드를 두 층으로 배치할 경우에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패드의 상하방향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칩 폭 방향, 즉 Y 방향으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의 졍션을 공유시킴으로써 입력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를 두 층으로 배치할 경우에 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출력패드 배치벙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하고 처리속도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패키지 이상으로 패키지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 칩 설계자들은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취하는 데, 그 대표적인 것이 레이아웃과 시뮬레이션을 최적화하여 칩 면적을 줄이는 것이고 또 하나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설계룰(Design Rule)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레이아웃과 시뮬레이션의 최적화로 칩 면적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칩 면적의 최소화가 설계자의 한 과제가 되고 있다. DRAM에 있어서 칩 면적의 구성은 메모리셀 부위, 주변회로 부위, 및 패드 부위로 나눌 수 있는 데, 현재의 반도체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메모리 셀 부위와 주변회로 부위는 끊임없는 공정개발로 인해 면적이 많이 줄어들었으나 패드의 면적은 거의 줄어들지 않고 있다. 반대로 메모리장치의 추세는 다 비트화로 가고 있는 데, 이것은 패드의 개수가 늘어남을 의미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패드중에서는 메모리장치의 동작 비트가 많아짐에 따라 그에 비례해서 출력 패드의 개수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 칩 면적에서 출력 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커지게 된다. 출력 패드의 구성을 살펴보면 패드, 출력드라이버, 제어회로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현재까지의 출력패드 배치는 칩 전체의 패드를 한 줄로 나열하는 것에 기본을 두었었다.
도 1은 종래의 출력 패드의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출력패드에서는 패드(1a,1b)를 기준으로 우측 및 좌측에 제어회로(2a,2b) 및 ESD에 관련된 필드 트랜지스터(3a,3b)가 배치되고, 상기 패드(1a,1b)를 기준으로 상하에 풀업트랜지스터(4a,4b)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5a,5b)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출력 패드의 배치는, 상기 패드(1a,1b)를 한줄로 나열하여 배치시킬 때는 상기 패드 주위의 여유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칩 폭(Width) 방향으로의 면적감소에 도움을 주지만, 상기 패드를 두 층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반대로 폭 방향으로 칩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를 두 층으로 배치할 경우에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 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출력 패드의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패드의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패드 배치방법은, 메모리셀 어레이 부위와, 주변회로 부위와, 외부에 내부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출력 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패드 배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를 패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필드 트랜지스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X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제어회로를 위치시키고 Y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패드의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두 층으로 배치된 패드는 주변회로의 영역 때문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어야 하고, 출력 패드는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필드 트랜지스터, 제어회로가 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드(6a,6b)가 두 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의 공간에 X 방향으로는 제어회로(7a,7b)를 배치하며 Y 방향으로는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배치하고, 즉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풀업 트랜지스터(8a,8b)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9a,9b)를 X 방향으로 나열하여 두 트랜지스터들의 입력 졍션(Junction) 단을 공유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은, 패드를 두 층으로 배치할 경우에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패드의 상하방향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칩 폭 방향, 즉 Y 방향으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풀업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들의 졍션을 공유시킴으로써 입력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메모리셀 어레이 부위와, 주변회로 부위와, 외부에 내부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출력 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패드 배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를 패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필드 트랜지스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X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제어회로를 위치시키고 Y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패드 배치방법.
  2. 메모리셀 어레이 부위와, 주변회로 부위와, 외부에 내부신호를 출력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다수개의 출력 패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 패드 배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를 패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 필드 트랜지스터, 및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X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제어회로를 위치시키고 Y 방향으로 상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위치시키는며 상기 드라이버 트랜지스터의 풀업 트랜지스터 및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패드 배치방법.
KR1019970000753A 1997-01-14 1997-01-14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KR19980065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753A KR19980065642A (ko) 1997-01-14 1997-01-14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753A KR19980065642A (ko) 1997-01-14 1997-01-14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42A true KR19980065642A (ko) 1998-10-15

Family

ID=6595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753A KR19980065642A (ko) 1997-01-14 1997-01-14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6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579B2 (en) 2002-08-23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on-chip termination
KR100773397B1 (ko) * 2005-03-14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종결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KR20220169575A (ko) 2021-06-21 2022-12-28 에스지티(주) 압력보상 관개용 점적급수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579B2 (en) 2002-08-23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on-chip termination
KR100773397B1 (ko) * 2005-03-14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종결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레이아웃
KR20220169575A (ko) 2021-06-21 2022-12-28 에스지티(주) 압력보상 관개용 점적급수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3224B2 (en) Multi-threshold MIS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circuit design method thereof
EP0707316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ore chip and memory peripheral circuit ch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6721933B2 (en) Input/output cell placement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US466017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divided regular circuits
KR017242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447066B1 (ko) 멀티 칩 모듈
KR19980065642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출력패드 배치방법
KR100261201B1 (ko) 반도체 집적회로 및 시스템
KR100310116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
JP3834282B2 (ja) メモリマクロ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JPH0831581B2 (ja) 半導体装置
KR100359591B1 (ko) 반도체 장치
KR100211768B1 (ko) 삼중 금속층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69435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ayout area of periphery of output pad reduced
JP318671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207493B1 (ko) 메모리 셀 어레이 제어 회로의 배치 관계를 개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09153286A (ja) 半導体記憶装置
KR930004297B1 (ko) Cmos 집적회로의 입출력 겸용 셀
JPH0774252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3318263A (ja) 半導体装置
KR20030059637A (ko) 고집적화에 유리한 패드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436229B2 (ja) 半導体装置
JPS63114418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418674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6232267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設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