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473U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473U
KR19980062473U KR2019970006813U KR19970006813U KR19980062473U KR 19980062473 U KR19980062473 U KR 19980062473U KR 2019970006813 U KR2019970006813 U KR 2019970006813U KR 19970006813 U KR19970006813 U KR 19970006813U KR 19980062473 U KR19980062473 U KR 199800624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connector
pres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호
Original Assignee
박재혁
주식회사 양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혁, 주식회사 양강산업 filed Critical 박재혁
Priority to KR2019970006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473U/ko
Publication of KR19980062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473U/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대직경 철근의 연결을 간편하게 견고하게 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대략 봉형상 몸체의 일단에 철근(1)의 단부가 편철(17)을 개재시켜서 삽입되도록 된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 일면에는 맞물림톱니부(11)가 형성된 한쌍 연결몸체(1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몸체(10)의 맞물림톱니부(11)에는 관통볼트(18)가 관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된 철근 연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에는 조임볼트(18)가 체결되는 체결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연결구
본 고안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대직경 철근의 연결을 간편하게 견고하게 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철근공사에 관한 시방서에는 대체로 직경 32mm 이하의 철근은 겹침이음이 가능하지만, 대형구조물에 사용되는 직경 32mm 이상의 철근은 겹침이음을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직경의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철근 연결구가 사용된다. 즉, 내주면에 암나사부(4)가 형성된 슬리이브(2)와, 이 슬리이브(2)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철근 외부면 요철부에 부합되는 요철부(5)가 형성된 편철(3)로 이루어져서, 이 편철(3)을 개재하여 철근(1)이 슬리이브(2)의 양단부를 통해 결합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2)의 외주면에 관통된 체결공(6)을 통해 다수의 조임볼트(7)로 조이도록 한 것들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근 연결구는 대직경 철근을 간편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이지만, 상당히 긴 철근(1)을 동일직선상으로 배열하고 양 철근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슬리이브(2)를 끼우거나, 긴 철근(1)을 회전시켜서 슬리이브(2)에 나사결합시켜야 하므로 철근조립이 번거롭게 된다. 더욱이 철근이 약간이라도 휘어진 경우에는 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리이브(2)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이러한 철근 연결구가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철근 연결상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철근의 연결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철근이 약간 휘어진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철근 연결구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연결구의 구성도 및 조립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철근2. 슬리이브
3. 편철4. 나사부
5. 요철부6. 체결공
7. 조임볼트10. 연결몸체
11. 톱니부12. 철근삽입구
13. 관통공14. 관통볼트
15. 너트
본 고안에 따르면, 대략 봉형상 몸체의 일단에 철근(1)의 단부가 편철(17)을 개재시켜서 삽입되도록 된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 일면에는 맞물림톱니부(11)가 형성된 한쌍 연결몸체(1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몸체(10)의 맞물림톱니부(11)에는 관통볼트(18)가 관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에는 조임볼트(18)가 체결되는 체결공(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이의 조립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한쌍의 봉형상 연결몸체(10)로 구성되는데, 이 연결몸체(10)의 일단에는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되고 타측의 일면에는 맞물림톱니부(1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철근삽입구(12)의 내주면은 암나사부로 구성되어 철근의 외부 요철에 부착되는 내측면형상을 지닌 편철(17)을 개재시켜서 철근(1)의 단부를 삽입한다. 일측 몸체의 맞물림톱니부(11)는 타측 몸체의 맞물림 톱니부(11)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록 형태지워진다. 그리고, 이 맞물림톱니부(11)가 형성된 연결몸체(10) 부위에는 다수의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13)을 통해 관통볼트(14)와 너트(15)가 체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철근 삽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위에 다수의 조임볼트(18)가 체결되는 체결공(19)이 형성되어 연결몸체(10)와 철근(1)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철근을 조립하려면, 각각의 연결몸체(10)를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의 단부에 결합한 후에, 긴 철근을 회전시키지 않고, 간편히 맞물림톱니부(11)를 서로 결합시킨 후, 관통공(13)을 통해 관통볼트(14)와 너트(15)를 체결함으로써 철근연결이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철근 연결구를 맞물림톱니부에서 서로 결합가능한 한쌍의 연결몸체로 제작하여 각각의 연결몸체를 간편하게 철근단부에 결합한 후, 이들 연결몸체를 맞물어서 관통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긴 철근을 회전시켜서 슬리이브에 결합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철근이 약간 휘어지거나 규격에서 벗어나더라도 양호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대략 봉형상 몸체의 일단에 철근(1)의 단부가 편철(17)을 개재시켜서 삽입되도록 된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 일면에는 맞물림톱니부(11)가 형성된 한쌍 연결몸체(1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몸체(10)의 맞물림 톱니부(11)에는 관통볼트(18)가 관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구(12)가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에는 조임볼트(18)가 체결되는 체결공(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KR2019970006813U 1997-04-03 1997-04-03 철근 연결구 KR199800624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13U KR19980062473U (ko) 1997-04-03 1997-04-03 철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813U KR19980062473U (ko) 1997-04-03 1997-04-03 철근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473U true KR19980062473U (ko) 1998-11-16

Family

ID=6968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813U KR19980062473U (ko) 1997-04-03 1997-04-03 철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4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14B1 (ko) * 2000-02-07 2003-03-17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060111967A (ko) * 2005-04-26 2006-10-31 두우균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14B1 (ko) * 2000-02-07 2003-03-17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KR20060111967A (ko) * 2005-04-26 2006-10-31 두우균 단부에 요철 형태의 체결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이형 철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979A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9980062473U (ko) 철근 연결구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0177975Y1 (ko) 철근연결금구
KR100411242B1 (ko)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KR200327348Y1 (ko) 철근 연결구
KR960006890Y1 (ko) 이형철근의 연결관
KR200162852Y1 (ko) 철근 연결금구
JP2521922Y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用埋込金具
JPH0526158Y2 (ko)
KR0116605Y1 (ko) 철근이음용 슬리브
KR20050082131A (ko) 철근의 기계식 커플러
JP3540102B2 (ja) セグメントにおけるインサートナットの固定構造
KR100406140B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227284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 연결구
KR100314408B1 (ko) 철근 연결구
JPH0539700A (ja) トンネル用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
KR920006190Y1 (ko) 구조물 체결구
KR200271180Y1 (ko) D29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000007269U (ko) 철근연결금구
JP4257005B2 (ja) ねじ鉄筋
KR19990008007U (ko) 철근연결구
KR200271179Y1 (ko)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0153754Y1 (ko) 철근 연결구
KR20010079323A (ko) 철근 연결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