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636B1 -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636B1
KR102665636B1 KR1020200015936A KR20200015936A KR102665636B1 KR 102665636 B1 KR102665636 B1 KR 102665636B1 KR 1020200015936 A KR1020200015936 A KR 1020200015936A KR 20200015936 A KR20200015936 A KR 20200015936A KR 102665636 B1 KR102665636 B1 KR 10266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signal
electronic device
signal
processor
various embodi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679A (ko
Inventor
이광희
김민우
김승진
이민우
이주석
정우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636B1/ko
Priority to EP21752932.0A priority patent/EP4022599A4/en
Priority to CN202180009081.XA priority patent/CN114945973A/zh
Priority to PCT/KR2021/000766 priority patent/WO2021162265A1/en
Priority to US17/155,132 priority patent/US11380286B2/en
Publication of KR2021010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95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n embedded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IMING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커맨드(command) 방식으로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내부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에 동기화하여 메모리(예: GRAM(graphic random-access memory))에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리드(read)하여 디스플레이의 패널(panel)을 통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마다, 주사 시간(scan on time) 동안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예: 패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예: DPU(display processing unit))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내부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각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메모리(예: GRAM)으로 전송하여, GRAM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테어링 효과(tearing effect)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 이내에(예를 들어, 주사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각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GRAM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는, 디스플레이의 재생률(refresh rate)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지, 또는 긴 사용 시간이 요구되는지(예: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되는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가 짧을수록,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통해 출력되기까지 적은 시간이 소요되지만(다른 말로, 높은 반응성이 보장되지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이 짧아지므로, 프로세서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 이내에 메모리(예: GRAM)로 전송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는 높은 동작 속도로 동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의 소모 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타이밍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가 길수록,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통해 출력되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지만(다른 말로, 낮은 반응성이 제공되지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이 길어지므로 프로세서는 낮은 동작 속도로 동작하여도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 이내에 메모리(예: GRAM)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의 소모 전력이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지, 또는 긴 사용 시간이 요구되는지에 따라서,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의 재생률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이 변경되면, 변경 시에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에 밝기 차이가 시인(visible)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의 재생률이 동적으로 전환될 때, 사용자에게 불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지, 또는 긴 사용 시간이 요구되는지에 따라서,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가 변경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지, 또는 긴 사용 시간이 요구되는지에 따라서,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여,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메모리(예: GRAM)로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실행될 때,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가 변경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의 주사 시간을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심리스(seamless)한 재생률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함으로써,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또는, GRAM)로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을 조절하여, 프로세서의 소모 전력 및/또는 프로세서의 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여 발휘되는 다양한 효과들은 상술한 효과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타이밍 신호들 및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3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또는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이 변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가능 시간이 변경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재생률을 설정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타이밍 신호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실행 화면들이 표시된 경우에, 타이밍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타일러스 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또는 디스플레이(203)(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전반을 수행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및/또는 디스플레이(203)를 제어하는 DPU(display processing unit)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의 별도의 모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메모리(13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는, TE-SYNC(tearing effect synchronization)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E-SYNC(tearing effect synchronization) 신호가, TE(tearing effect) 신호, 타이밍 신호, 테어링 신호, 테어링 효과 신호, 테어링 효과 동기화 신호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용어로 불려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를 TE-SYNC 신호, 제1 타이밍 신호 또는 제2 타이밍 신호라는 용어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TE-SYNC(tearing effect synchronization) 신호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내부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는, 일정 주기마다 전압 값이 상승(rising) 및/또는 하강(falling)하는 전기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고 전압 값이 상승 및/또는 하강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또는 메모리(130)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또는 메모리(130)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에 의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의 유선 전송은, 프로세서(120)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및/또는 메모리(13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의 무선 전송은, 셀룰러 통신과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BL, Bluetooth)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또는 Wi-Fi(wireless-fidelity)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유선 및/또는 무선 전송 외에도, 다양한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및/또는 메모리(13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의 상승 시점(예: TE-SYNC 신호의 전압 값이 상승하는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제어 정보(예: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상승 시점이 변경된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를 전송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의 상승 시점을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화면(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내용,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제어 정보(예: 제2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함이 확인되면,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를 상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디스플레이(203)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디스플레이(203)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 display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는, VSYNC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VSYNC 신호가 타이밍 신호, 수직 동기화 신호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용어로 불려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문서에서는, 동기화 신호를 VSYNC 신호라는 용어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는, 일정 주기마다 전압 값이 상승 및/또는 하강하는 전기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기반하여, 메모리(130)에 저장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전압 값의 상승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03)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하는 동작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리드(또는, 스캔) 하는 동작 또는 리드(또는, 스캔) 하여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하는 동작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는,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의 역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함으로써, 프로세서(120)에게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의 주기 및/또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하는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와 상응하는 시점에 전압 값이 상승 및/또는 하강할 수 있고, 상이한 시점에 전압 값이 상승 및/또는 하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GRAM(graphic random-access memory)(예: 도 1의 휘발성 메모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203)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로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문서에서는, 타이밍 신호를 TE-SYNC 신호로 설명하고, 동기화 신호를 VSYNC 신호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타이밍 신호들 및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AP”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의미하고, “DDI”(display driver IC)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의미하고, “Display”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타이밍 신호는, VSYNC 신호(301)(예: 도 2의 동기화 신호) 및 TE-SYNC 신호(303)(예: 제1, 2 타이밍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의 세로 축은 각 신호의 전압 값의 상대적인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의 상승 상태에서의 전압 값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SYNC 신호(301)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리드(read)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하는 시간(또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301, 30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에 기반하여,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리드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307)은, VBP 구간(309), VACTIVE 구간(311) 및 VFP 구간(3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BP 구간(309)은, 수직적 백 포치(vertical back porch, VBP) 구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FP 구간(313)은, 수직적 프론트 포치(vertical front porch, VFP) 구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ACTIVE 구간(311)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스캔 구간일 수 있다. VACTIVE 구간(311)은, 리드 구간, 스캔 구간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용어로 불려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VACTIVE 구간(311)에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리드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BP 구간(309)의 길이(시간) 및/또는 VFP 구간(313)의 길이(시간)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307)에 대응하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BP 구간(309)의 길이(시간) 및/또는 VFP 구간(313)의 길이(시간)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307) 중 일정한 비율을 차지하여,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길수록 길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TE-SYNC 신호(301)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30)(예: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메모리(130))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또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303, 30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각 상승 시점마다 메모리(130)로 이미지 프레임(예: Frame Nth, Frame (N+1), …)을 전송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테어링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이미지 프레임을 리드하는 VACTIVE 구간(311) 이내에(예를 들어, 각각의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 전에)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하, 전송 가능 시간)은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①)부터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②)까지의 시간(T) 이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주기 내에서 VACTIVE 구간(311)의 길이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비례하므로,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은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 VACTIVE 구간(311)의 길이 및/또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의 301, 303을 참조하면, VSYNC 신호(301)와 TE-SYNC 신호(303)는 상응하는(예: 동일한) 주기를 가지고 전압 값이 상승 및/또는 하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SYNC 신호(301)의 상승 시점과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SYNC 신호(301)의 상승 시점과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예: 일치)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은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 VACTIVE 구간(311)의 길이 및/또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에 의해 생성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전송된 각 이미지 프레임은 각 VACTIVE 구간(311)에서 디스플레이(203)로 전송되므로, 프로세서(12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은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 VACTIVE 구간(311)의 길이 및/또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VBP 구간(309) 및 VFP 구간(313)을 생략하고, VACTIVE 구간(311)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제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모드는 일반 구동 모드라고 불려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모드는 고속 구동 모드라고 불려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2 모드는 전술한 구동 모드 외에, 다양한 용어로 불려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a 및 도 4b의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도 3의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예: 일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4b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은, 도 4a의 경우보다 도 4b의 경우가 높은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은 60Hz이고, 도 4b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은 120Hz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약 16.67ms(= 1/(60Hz)*1000)이고, 도 4b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약 8.33ms(= 1/(120Hz)*100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테어링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이미지 프레임을 리드(또는, 스캔)하는 VACTIVE 구간(311) 이내에 각각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P-FREQ(401)는, 프로세서(120)의 동작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와 관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속도는, 프로세서(120)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VACTIVE 구간(311) 이내에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동작 속도로,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이 짧을수록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는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주파수는, 프로세서(120)가 특정 동작 속도로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동작 주파수로,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오실레이터(oscillator)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전송 가능 시간(t1, t2) 이내에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짧을수록 전송 가능 시간이 짧을 수 있다(예: t1>t2). 따라서,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짧을수록(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이 높을수록),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는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약 16.67ms이고, 도 4b의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약 8.33ms이므로, 도 4b의 경우에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는 도 4a의 경우보다 높을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구동 모드 OSC[MHz] VFP VACTIVE 구간의 길이 [ms]
제1 모드
(도 4a)
OSC_NM VFP_NM (1000/FPS) * (VACTIVE/VTOTAL_NM)
제2 모드
(도 4b)
OSC_HS VFP_HS (1000/FPS) * (VACTIVE/VTOTAL_HS)
도 4a의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약 16.67ms이고, 도 4b의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약 8.33ms인 경우에, 표 1의 수치들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OSC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주파수(예: 오실레이터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SC_NM은 48.25MHz이고, OSC_HS는 96.5MHz일 수 있다.
FPS(frame per second)는,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은 VSYNC 신호(301)의 주기의 역수 값일 수 있다.
(VACTIVE/VTOTAL_NM) 및 (VACTIVE/VTOTAL_HS)는, VSYNC 신호(301)의 구간(예: VBP 구간+VACTIVE 구간+VFP 구간) 중, VACTIVE 구간(311)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VACTIVE 구간은, VSYNC 신호(301)의 구간에서 VBP 구간(예: 도 3의 VBP 구간(309)) 및 VFP(예: 도 3의 VFP 구간(313))을 제외한 구간일 수 있다.
도 4a와 도 4b의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각각 약 16.67ms, 약 8.33ms인 경우에, 도 4a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는 약 16.5ms(= (1/60Hz)*(3200H/3232H)*1000)이고, 도 4b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는 약 8.25ms(= (1/120Hz)*(3200H/3232H)*100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b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예: 약 8.25ms)가 도 4a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예: 약 16.5ms)보다 짧으므로, VACTIVE 구간(311a, 311b) 이내에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하기 위해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는 도 4b의 경우가 도 4a의 경우보다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자 장치(101)의 소모 전력(또는, 소모 전류)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는, 도 4b의 경우가 도 4a의 경우보다 높으므로, 전자 장치(101)이 소모 전력은 도 4b의 경우보다 도 4a의 경우가 높을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제3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모드는, 적응적(adaptive) 고속 구동 모드라고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의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도 3의 VSYNC 신호(301) 및 TE-SYNC 신호(303)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예: 일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의 제3 모드에서는,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반드시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예: 일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5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주파수가 도 4b의 제2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주파수와 동일하고,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또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이 도 4a의 제1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또는, VSYNC 신호(301)의 주기)와 동일한 경우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주파수가 도 4b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도 5의 제3 모드와 도 4b의 제2 모드 간에 심리스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주파수가 도 4b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각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로부터 리드하여,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하는 VACTIVE 구간(311)의 길이는 도 4b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VACTIVE 구간의 길이를 참조하면, 도 5의 VATIVE 구간(311)의 길이는, 약 8.25ms(= (1/60Hz)*(3200H/6464H)*100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P-FREQ(401)는,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가 도 4b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와 동일하므로,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t3)은 도 4b의 전송 가능 시간(t2)과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전송 가능 시간(t3) 이내에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도 4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20)에게 높은 동작 속도 및 높은 동작 주파수가 요구될 수 있다.
도 4a, 4b 및 도 5를 비교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구동 모드 전력 소모 재생률
(VSYNC 신호 주기)
심리스 전환 가부
제1 모드
(도 4a)
낮음 보통
(보통)
불가
제2 모드
(도 4b)
높음 빠름
(짧음)
제2 모드 및 제3 모드 간의 심리스 전환 가능
제3 모드
(도 5)
보통 보통
(보통)
도 4b 및 도 5를 비교하면, 도 5의 경우에는, 프로세서(120)가 제1 이미지 프레임(예: Frame0)에 대응하는 VACTIVE 구간(311)이 만료된 시점(②)부터, 다음 순서로 전송되는 제2 이미지 프레임(예: Frame1)에 대응하는 VACTIVE 구간(311)이 시작하는 시점(③)까지의 블랭크(blank) 구간(501)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랭크(blank) 구간(501)이 발생함은, VFP 구간(예: 도 3의 VFP 구간(313))의 길이가 증가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테어링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주기의 VACTIVE 구간(311)에 대응하는 시간마다,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이미지 프레임(예: Frame0)을 전송한 후, 블랭크 구간(501) 동안에 다음 순서로 전송되는 제2 이미지 프레임(예: Frame1)을 전송하기 시작하여도, 테어링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경우, 하나의 동작 구간(307)이 6464H이므로, 블랭크 구간(501)은 3232H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도 5의 재생률을 도 4b과 동일한 재생률(예: 60Hz)로 설명하였으나, 도 5의 재생률은 반드시 도 4b와 동일한 재생률일 필요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의 재생률은, 60Hz 내지 120Hz 범위에 포함되는 값을 가질 수 있고, 60Hz 내지 120Hz 범위에서 동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00a)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 및/또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610a에서,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에 기반하여,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가능 시간은,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부터 VACTIVE 구간(예: 도 3의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예: 도 5의 ②)까지의 시간(예: 도 3의 T) 이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은,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 VACTIVE 구간(예: 도 3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 및/또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630a에서,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화면(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내용,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650a에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각 주기 내에서의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제어 정보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예: 도 3의 동작 구간(307))이 6464H인 경우, 3232H인 블랭크 구간(501) 중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기 위한 변경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시간에 대한 정보는, 변경 시간에 대응하는 변경 값(단위: H 또는 ms) 및/또는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블랭크 구간(501))에 대한 변경 시간의 길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기 위한 변경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응성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또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프로세서(1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가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가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을수록, 전자 장치(101)의 반응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모 전력은, 프로세서(1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소모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는,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인하여,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가 많을수록(예: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높을수록), 생성된 데이터(예: 이미지 프레임)가 짧은 시간 이내에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될 필요가 있고,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반응성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는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제작자에 의해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에,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반응성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반응성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화면(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내용에 기반하여,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동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의 표시 모드의 회전(예를 들어, 가로 모드(landscape mode) 및 세로 모드(portrait mode) 간의 전환)이 감지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화면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변화하지 않는 경우,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인 경우,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이 분리됨이 감지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화면을 스크롤 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의 입력이 수신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에 기반하여,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온도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203))에 대하여 감지되는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 50도)를 초과함이 감지되면,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 20도) 미만임이 감지되면, 높은 반응성이 허용되는 상태 또는 높은 소모 전력이 허용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보다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기 위한 변경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이거나 높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임이 판단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보다 빠르게 하는 변경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낮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이거나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임이 판단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보다 느리게 하는 변경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변경 시간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670a에서,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타이밍 신호는,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이밍 신호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보다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이밍 신호는, 제1 타이밍 신호가 도 8a의 TE-SYNC 신호(301-1)인 경우, 도 8a의 TE-SYNC 신호(303-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은, 도 8a의 제2 상승 시점(①-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이밍 신호는, 제1 타이밍 신호가 도 8a의 TE-SYNC 신호(301-2)인 경우, 도 8a의 TE-SYNC 신호(303-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은, 도 8a의 제1 상승 시점(①-1)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690a에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타이밍 신호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 및/또는 디스플레이(20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00b)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01b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03b에서, 메모리(130)로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은,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작 605b에서, 메모리(130)로부터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스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의 스캔은, VSYNC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작 607b에서,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동작 609b에서,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시각적인 형태(예: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11b에서,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609b는, 반드시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된 후에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동작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수행되기 전 및/또는 어느 하나의 동작이 수행되는 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13b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작 615b에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정보(예: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포함된 확인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상이한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가지는 제2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17b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상이한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가지도록 생성된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19b에서, 메모리(130)로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은, 제2 타이밍 신호의 전압 값의 상승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작 621b에서, 메모리(130)로부터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스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의 스캔(또는, 리드)은, VSYNC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작 623b에서,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203)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동작 625b에서,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은,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시각적인 형태(예: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동작 603b와 동작 619b를 상이한 동작 속도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와 제2 타이밍 신호는, 상이한 시점에 전압 값이 상승하기 때문에,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은,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상승(703a)하거나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상승(703b)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은,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에 의해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제2 상승 시점(①-2)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되거나,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제1 상승 시점(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될 수 있다. 도 7에서, VSYNC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이 상승(707)하는 시점과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이 상승(703a)하는 시점(①-1)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이 상승(703a)하는 시점(①-1)은, ①-1과 ①-2 사이의 어느 하나의 시점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미지 프레임("Frame-a")(701a)(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은, 제1 전송 시간(Ta)동안,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13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미지 프레임("Frame-b")(701b)(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은, 제2 전송 시간(Tb)동안, 프로세서(120)에 의해 메모리(13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이 변경됨에 따라서, 프로세서(120)가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하, 전송 가능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고, 프로세서(1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변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제2 상승 시점(①-2)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되거나,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제1 상승 시점(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이거나 높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제2 상승 시점(①-2)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낮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이거나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제1 상승 시점(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가 하강(705)하는 시점은,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상승(703a)하는 경우와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상승(703b)하는 경우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하강 시점은, VSYNC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가 하강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하강 시점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상승(703a)하는 경우와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상승(703b)하는 경우에서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상승(703a)하는 경우와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상승(703b)하는 경우에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이 유지되는 지속 시간(duration time)은 동일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하강 시점은 제1 상승 시점(①-1)에서 상승(703a)하는 경우와 제2 상승 시점(①-2)에서 상승(703b)하는 경우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표 2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asynchronous TE")와,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된 경우("synchronous TE")를 비교하는 표이다. 예를 들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asynchronous TE")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제2 상승 시점(①-2)인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과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동기화된 경우("synchronous TE")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제1 상승 시점(①-1)인 경우일 수 있다.
Scenario Layers asynchronous TE synchronous TE
AP-FREQ AP-FREQ
Camera preview 5 200 400
Video player(landscape) 3 400 666
Video player(portrait) 3 200 400
Youtube(landscape) 3 200 400
Youtube(portrait) 6 400 666
표 3을 참조하면, AP-FREQ는, 프로세서(120)의 동작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AP-FREQ의 값들은, 프로세서(120)의 동작 주파수의 상대적인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Layers"는, 각 "Scenario"에서,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어(layer)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Camera preview"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Video player"는,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Youtube"는, 유튜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landscape" 및 "portrait"는, 디스플레이(203)의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인 경우일 수 있다.
다시 표 3을 참조하면, "asynchronous TE"의 경우가, 프로세서(120)의 동작 주파수에서,"synchronous TE"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변경함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주파수가 감소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소모 전력은 감소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이 변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a를 도 5 및/또는 도 7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는, 한 주기를 기준으로 제1 상승 시점(①-1)마다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상승하고 제1 지속 시간(D1) 동안 상승 상태가 유지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는, 도 5의 타이밍 신호(예: 도 5의 TE-SYNC 신호(303))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는, 한 주기를 기준으로 제2 상승 시점(①-2)마다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상승하고 제2 지속 시간(D2) 동안 상승 상태가 유지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와 비교하면,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는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와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를,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거나,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부터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를,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하는 내용(예: 도 7의 ⓐ 방향)으로 설명하지만,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를,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부터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하는 경우(예: 도 7의 ⓑ 방향)도 이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가능 시간은,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부터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②)까지의 시간 이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은,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인 경우,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①-1)부터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②)까지의 시간(T3)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의 전송 가능 시간은,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인 경우,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①-2)부터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②)까지의 시간(T3')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전송 가능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시간 동안,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인 경우, 제1 전송 시간(Ta)동안,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인 경우, 제2 전송 시간(Tb)동안,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송 시간(Ta) 및 제2 전송 시간(Tb)는 각각, T3 및 T3'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시간은,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 변경됨에 따라, 제1 전송 시간(Ta)로부터 제2 전송 시간(Tb)로 변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P-FREQ(401)는,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 동작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전송 시간이 제1 전송 시간(Ta)로부터 제2 전송 시간(Tb)으로 변화(예: 증가)함에 따라, 낮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가 변화(예: 감소)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가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로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20)의 전송 시간은 감소하고,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증가하고, 프로세서(120)의 소모 전력은 증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2))의 제2 상승 시점(①-2)은, 제1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1))의 제1 상승 시점(①-1)보다 변경 시간(B)(= Tb-Ta)만큼 빠를 수 있다. 도 9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변경 시간(B)은, 블랭크 구간(501)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랭크 구간(501)의 길이는, VFP 구간(예: 도 3의 VFP 구간(313))의 증가한 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랭크 구간(501)의 길이는 3232H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경 시간(B)의 길이는, 제1 제어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변경 시간(B)에 대응하는 변경 값(단위: H 또는 ms) 및/또는 블랭크 구간(501)에 대한 변경 시간의 길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는, 블랭크 구간(501)의 시간 길이(예: 8.25ms)보다 작거나 같은, 변경 시간(B)(예: 4m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는, 블랭크 구간(501)의 길이(예: 3232H)에 대한 변경 시간(B)의 길이 비율(예: 5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예: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이 제1 상승 시점(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①-2)으로 변경됨에 따라, 변경 시간(B)의 길이만큼, 프로세서(120)에게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감소하고, 프로세서(120)의 소모 전력은 감소할 수 있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의 전송 가능 시간이 변경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b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이 제1 재생률인 경우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재생률은 120Hz일 수 있다.
도 8b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이 제2 재생률(예: 60Hz)인 경우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작 구간이 도시된다. 제2 재생률은, 제1 재생률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재생률은 60Hz 내지 120Hz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도 8b에서는, 제2 재생률이 제1 재생률의 절반(예: 60Hz)인 경우를 예시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이 제1 재생률로부터 제2 재생률로 변경되면, VFP 구간(313)의 길이는, L1으로부터 L2로 변경(△L만큼 증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VFP 구간(313)의 구간(△VFP)은, 블랭크 구간(501)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VFP 구간(313)의 길이가 증가(예를 들어, 블랭크 구간(501)이 발생)함에 따라, 증가한 구간(△VFP)의 길이(△L) 범위 내에서 TE-SYNC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TE-SYNC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제1 상승 시점(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①-2)로, B만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변경 시간의 길이(B)는, 증가한 구간(△VFP)의 길이(△L)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가한 구간(△VFP)의 길이(△L)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일 수 있다.
도 8b의 (c) 및 (d)를 참조하면, TE-SYNC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이 B만큼 변경됨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이미지 프레임("Frame Nth")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가능 시간은 T3로부터 T3'로 변경(증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송 가능 시간이 T3로부터 T3'로 변경(증가)됨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B만큼 증가한 시간 동안, 이미지 프레임("Frame Nth")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20))가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VACTIVE 구간(311) 이내에(예: VACTIVE 구간(311)의 만료 시점 전에)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130)로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감소하고, 프로세서(120)의 소모 전력은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가 TE-SYNC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하는 제1 제어 정보는, 블랭크 구간(501)의 길이에 대한 변경 시간(B)의 길이의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는, B/△L 또는 이와 상승하는 값(예: B/△L*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변경 시간(B)에 대응하는 변경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정보는, 변경 시간(B)의 길이가 4ms라는 정보 및/또는 300H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10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화면(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내용,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930에서,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또는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동작 950에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느리게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낮은 소모 전력이 요구(또는, 허용)되는 상태는, 낮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 및/또는 낮은 반응성이 허용되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할 수 있다. 도 7의 ⓐ 방향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가 상승(예: 도 7의 707)하는 시점에 대하여, -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전자 장치(101)의 상태가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동작 970에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는, 높은 소모 전력이 요구되는 상태 및/또는 높은 소모 전력이 허용되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할 수 있다. 도 7의 ⓑ 방향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가 상승(예: 도 7의 707)하는 시점에 대하여, +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술한 동작 950 또는 동작 970을 수행한 후에, 동작 910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a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a)이다. 도 9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10a에서,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예: 도 5의 제3 모드)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501)이 존재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나, 반드시 본 개시의 특정한 동작 모드(예: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10a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가 활성화 되어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동작 1020a에서,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가 활성화 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예를 들어,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50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본 개시의 특정한 동작 모드(예: 일반 구동 모드, 고속 구동 모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한정되어 해석될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가 활성화 되어있다고 판단되면, 동작 1030a 내지 동작 1060a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30a 내지 동작 1060a는, 도 9의 동작 910 내지 970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동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b)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10b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높은 값(예: 120Hz)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디스플레이의 재생률(예: 120Hz)의 역수 값인, 예를 들어, 8.33ms(= 1/120*1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구동 모드는, 도 4b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구동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30b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반드시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어 해석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30b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50b에서,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블랭크 구간(501))이 존재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나, 반드시 본 개시의 특정한 동작 모드(예: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한정되어 해석될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정보는, 설정하고자 하는 재생률 및/또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301))의 주기를 지시하는 구체적인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정보는, 설정하고자 하는 재생률 및/또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301))의 주기를 변경하는 비율을 지시하는 구체적인 설정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동작 1010b의 재생률(예: 120Hz)보다 낮은 재생률(예: 60Hz)로 변경하는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제2 제어 정보에 포함된 설정값에 대응하는 재생률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동작 1010b의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301))의 주기(예: 8.33ms)보다 긴 주기(예: 16.67ms(= 1/120))로 변경하는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가 변경된 주기(예: 16.67ms)의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301))를 발생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주사 시간(예: 도 3의 VACTIVE 구간(311)의 길이)은, 디스플레이(203)에 높은 재생률(예: 120Hz)이 설정된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 및/또는 동기화 신호(예: VSYNC 신호(301))의 주기가 변경된 후,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이 변경되기 위한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블랭크 구간(501))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동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c)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10c에서, 고속 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높은 값(예: 120Hz)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디스플레이의 재생률(예: 120Hz)의 역수 값인, 예를 들어, 8.33ms(= 1/120*1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구동 모드는, 도 4b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구동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30c에서, 전자 장치(101)에서,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온도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디스플레이(203))에 대하여 감지되는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온도는, 50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030b는, 프로세서(120) 및/또는 온도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50c에서,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구간(예: 도 5의 501)이 존재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나, 반드시 본 개시의 특정한 동작 모드(예: 적응적 고속 구동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한정되어 해석될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제어 정보는, 도 10b의 동작 1050b의 제2 제어 정보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재생률을 설정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 상에는,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1101a)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3)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 화면(1101a)은, 높은 재생률("High refresh rate")에 대응하는 제1 항목(item)(1103a) 및 표준 재생률("Stand refresh rate")에 대응하는 제2 항목(1105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준 재생률은, 높은 재생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재생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재생률은 120Hz이고, 표준 재생률은 60Hz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 화면(1101a)은, 적용 버튼("Apply")(1107a)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항목(1103a)은, 도 4b의 제2 모드 또는 도 5의 제3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항목(1105a)은, 도 4a의 제1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제1 항목(1103a) 또는 제2 항목(1105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제1 항목(1103a) 또는 제2 항목(1105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예: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적용 버튼(1107a)을 선택하는 입력(예: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항목(1103a)이 선택된 경우, 도 4b의 제2 모드 또는 도 5의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항목(1103a)이 도 4b의 제2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3)는 높은 재생률(예: 120Hz)로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짧은 주기(예: 8.33ms)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동작 속도 및/또는 높은 동작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확인되거나, 전자 장치(101)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 50도)를 초과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은, 높은 재생률(예: 120Hz)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재생률(예: 60Hz 내지 120Hz 범위에 포함되는 값)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4b의 제2 모드에서 도 5의 제3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낮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항목(1103a)이 도 5의 제3 모드에 대응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3)는 상대적으로 낮은 재생률(예: 60 내지 120Hz 범위에 포함되는 값)로 설정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의 주기는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제3 모드로 전환되거나,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1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도 10b의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 상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01b)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됨이 확인되면, 제3 모드(예: 도 5의 제3 모드)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예: 도 4b의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예: 도 5의 제3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낮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예: 60Hz)로 생성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에 설정된 재생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재생률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재생률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높음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낮출 수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소모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낮추도록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예: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거나,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실행 화면으로 전환됨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높이도록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도 10b의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 상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01c)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됨이 확인되면, 제3 모드(예: 도 5의 제3 모드)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예: 도 4b의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예: 도 5의 제3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낮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예: 60Hz)로 생성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에 설정된 재생률을 확인하고, 확인된 재생률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재생률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높음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낮출 수 있는 경우라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소모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낮추도록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높은 전력을 소모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무선 통신 방식(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신호가 송신 및/또는 수신될 수 있으므로,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실행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어플리케이션임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203), 프로세서(120)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의 소모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디스플레이(203)의 재생률을 낮추도록 디스플레이(203) 및/또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1))의 전압 값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동작 속도 및/또는 동작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 상에는, 어플리케이션(예: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201a)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03)(예: 터치 스크린)를 이용하여, 사용자(1203a)로부터 실행 화면(1201a)을 스크롤 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지점(1205a)으로부터 제2 지점(1207a)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을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도 5의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행 화면(1201a)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실행 화면(1201a)을 스크롤 하기 위한 드래그 입력이 해제(release)됨이 확인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실행 화면들이 표시된 경우에,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03) 상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예: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들(1201b, 1203b)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일 수도 있고, 상이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종류 및/또는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종류 및/또는 확인된 실행 화면들의 내용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반응성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반응성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반응성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확인되면, 프로세서(120)는,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모두가 낮은 소모 전력에 대응하는(예: 낮은 반응성이 허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라고 확인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실행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낮은 소모 전력에 대응하는(예: 낮은 반응성이 허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라고 확인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높은 FPS를 가지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표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들 중 모두에서 높은 FPS를 가지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으로부터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내용은 일 예시이며, 복수의 실행 화면들(1201b, 1203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높은 반응성을 요구하는 사용자 입력(예: 스크롤 제스처)이 수신되는 경우,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스타일러스 펜(1303)에 기반하여,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301)으로부터, 스타일러스 펜(1303)이 분리(1305)(예: 팝업(pop-up))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하우징에 포함된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1303)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1303)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스타일러스 펜(1303)이 분리되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1303)에 의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1303)에 의한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1303)을 이용한 터치, 탭, 호버링 또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1303)에 의한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1303)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1303)의 분리(1305)가 확인되거나, 스타일러스 펜(1303)에 의한 입력이 수신되면, 높은 반응성이 요구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스타일러스 펜(1303)의 분리(1305)가 확인되거나, 스타일러스 펜(1303)에 의한 입력이 수신되면,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상승 시점(예: 도 5의 ①)을, 제2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2)으로부터 제1 상승 시점(예: 도 7의 ①-1)로 변경(예: 도 7의 ⓑ 방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0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예: 도 3의 이미지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예: 도 3의 TE-SYNC 신호(303))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rising)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전송 시간은, 제1 전송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동작 속도로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동작 속도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제2 동작 속도는, 제1 동작 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변경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예: 도 3의 VSYNC 신호(301))에 기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에 기반하여,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리드(read)하여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에 대한(with respect to)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고, 변경된 상승 시점을 가지는 제2 타이밍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의 주기 범위 내에서,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상태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표시된 실행 화면의 내용,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rising)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전송 시간은, 제1 전송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동작 속도로 제1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동작 속도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2 동작 속도는, 제1 동작 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어 정보는,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변경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동기화 신호에 기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기화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동기화 신호에 대한(with respect to)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 또는 제1 타이밍 신호의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변경된 상승 시점을 가지는 제2 타이밍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실행될 때,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20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203: 디스플레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 시점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타이밍 신호는 상기 동기화 신호와 동기화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 및 지속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신호와 비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rising)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송 시간은, 상기 제1 전송 시간과 상이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동작 속도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동작 속도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동작 속도는, 상기 제1 동작 속도와 상이한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변경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한(with respect to)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상승 시점을 가지는 상기 제2 타이밍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주기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는,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표시된 실행 화면의 내용,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 시점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타이밍 신호는 상기 동기화 신호와 동기화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 및 지속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신호와 비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rising)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의 상승에 응답하여,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시간은, 상기 제1 전송 시간과 상이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전송 시간 동안, 제1 동작 속도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상기 제2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전송 시간 동안, 제2 동작 속도로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 속도는, 상기 제1 동작 속도와 상이한 방법.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을 변경할 변경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의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한(with respect to)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 또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가, 상기 변경된 상승 시점을 가지는 상기 제2 타이밍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기록 매체는, 실행될 때,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제1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레임을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동기화 신호의 상승 시점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타이밍 신호는 상기 동기화 신호와 동기화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을 변경하는 제1 제어 정보를 전송함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 제2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타이밍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로 전송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의 시점은,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시점과 상이하고,
    상기 제2 타이밍 신호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상승 시점 및 지속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신호와 비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휘발성 기록 매체.
KR1020200015936A 2020-02-10 2020-02-10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36A KR102665636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1752932.0A EP4022599A4 (en) 2020-02-10 2021-01-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NCHRONIZATION SIGNAL
CN202180009081.XA CN114945973A (zh) 2020-02-10 2021-01-20 用于控制定时信号的电子装置和方法
PCT/KR2021/000766 WO2021162265A1 (en) 2020-02-10 2021-01-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iming signal
US17/155,132 US11380286B2 (en) 2020-02-10 2021-01-2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imin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36A KR102665636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79A KR20210101679A (ko) 2021-08-19
KR102665636B1 true KR102665636B1 (ko) 2024-05-14

Family

ID=7717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36A KR102665636B1 (ko) 2020-02-10 2020-02-10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0286B2 (ko)
EP (1) EP4022599A4 (ko)
KR (1) KR102665636B1 (ko)
CN (1) CN114945973A (ko)
WO (1) WO2021162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6910B2 (ja) * 2020-05-15 2024-03-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1620968B2 (en) 2020-07-31 2023-04-04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nto LED panels
US11495195B2 (en) * 2020-07-31 2022-11-08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 display images unto LED panels
US11995267B2 (en) * 2021-11-29 2024-05-2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Touchscreen displays
TWI819801B (zh) * 2022-09-19 2023-10-21 大陸商集創北方(珠海)科技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頻率校正電路和頻率校正方法
WO2024072053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의 메모리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4072056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서로부터 디스플레이로의 펄스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8846A1 (en) * 2014-09-17 2016-03-17 Mediatek Inc. Processor for use in dynamic refresh rate switching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170193971A1 (en) * 2015-12-31 2017-07-06 Apple Inc. Variable Refresh Rate Display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723B1 (ko) 2011-12-20 201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티어링과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조절하는 장치들과 그 방법
KR102043625B1 (ko) * 2013-01-31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파수 보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15018245A (ja) * 2013-07-11 2015-01-2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セッサと、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102133978B1 (ko) * 2013-11-13 202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널 셀프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타이밍 컨트롤러,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10319317B2 (en) * 2015-08-31 2019-06-1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519727B1 (ko) 2016-08-02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8846A1 (en) * 2014-09-17 2016-03-17 Mediatek Inc. Processor for use in dynamic refresh rate switching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20170193971A1 (en) * 2015-12-31 2017-07-06 Apple Inc. Variable Refresh Rate Display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65A1 (en) 2021-08-19
US11380286B2 (en) 2022-07-05
CN114945973A (zh) 2022-08-26
US20210248980A1 (en) 2021-08-12
EP4022599A1 (en) 2022-07-06
EP4022599A4 (en) 2022-11-09
KR20210101679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636B1 (ko) 타이밍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1050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US10909946B2 (en) Low power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EP318269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3286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557907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charging state in start of charging
CN111937063A (zh) 用于控制信号的输出定时的电子设备和方法
KR102657681B1 (ko) 화면의 부분 영역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9257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갱신 방법
CN108141631B (zh)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KR102531333B1 (ko) 저전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303433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high speed screen of electronic device
KR20220060991A (ko)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 가능한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102624100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098259A (ko)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1516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158110A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KR102674197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6179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EP3706104B1 (en)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KR20210031187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45961A (ko) 이미지를 적응적으로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117967A (ko) 윈도우의 상태를 전환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112160A (ko) 프로세서로부터 디스플레이로의 펄스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