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01B1 -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 Google Patents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01B1
KR102662101B1 KR1020230153609A KR20230153609A KR102662101B1 KR 102662101 B1 KR102662101 B1 KR 102662101B1 KR 1020230153609 A KR1020230153609 A KR 1020230153609A KR 20230153609 A KR20230153609 A KR 20230153609A KR 102662101 B1 KR102662101 B1 KR 10266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band
expansion
compression band
bod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하연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조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하연 filed Critical 조하연
Priority to KR102023015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제1압박부;와, 제1압박부에 잇대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제1압박부는 외측면을 이루면서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압박밴드, 내측면을 이루면서 좌우 방향의 신축이 억제되어 착용 부위를 압박하는 제2압박밴드와,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기 위해 좌우로 배치되는 신축억제심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착용 부위가 압박되면서도 편안하여 착용감이 향상되고, 체형 보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Band for correcting narrow part of body and cloth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형을 보정하기 위한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력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원단이 교번으로 배치되고, 위치에 따라 다른 봉제 방식으로 원단들이 봉제됨으로써, 허리를 포함한 신체 일부위에 착용되어 아랫배를 비롯하여 착용 부위를 감싸듯이 조여 아름다운 바디 라인을 만들어 주도로 한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적 연령 또는 몸무게 등에 따라 아랫배가 나오고 다소 처지는 등 신체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볼록한 아랫배를 조여주기 위해 거들을 착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거들은 바지를 입듯이 골반 부위에 착용하게 되고, 복부 전체, 엉덩이와 허벅지까지 넓은 범위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배 전체 부위 중에서 아랫배 부위에만 위치되고, 압박보다는 조여주는 정도의 탄성을 제공하면서도 체형을 보정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3839호(2020.07.1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441호(2006.10.11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배 전체 중 아랫배와 같이 체형 보정이 요구되는 협소 부위에 착용되고, 신축성이 다른 2종 이상의 밴드가 교번으로 배치되면서 2종 이상의 봉제 방식으로 제조됨으로써, 아랫배를 비롯한 보정을 원하는 일부위를 압박하여 체형 보정이 가능하면서도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한 협소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1압박부;와 제1압박부에 잇대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압박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압박부는 외측면을 이루면서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압박밴드, 내측면을 이루면서 좌우 방향의 신축이 억제되어 착용 부위를 압박하는 제2압박밴드와,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기 위해 좌우로 배치되는 신축억제심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 및 제2압박밴드와 박음질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제1압박부 또는 탄성부의 하단과, 제1압박부 및 탄성부의 봉제 부위는 제1압박부에서 중앙부보다 봉제부위에서 감소된 압박감이 제공되도록 제1봉제부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는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밴드는 반으로 접히고, 접힌 부위가 상단에 위치되며, 하단의 봉제 부위와 제1압박부(100)와의 봉제부위는 제1압박부(100)에서 중앙부보다 봉제부위에서 감소된 압박감이 제공되도록 제1봉제부(S2)로 봉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형봉재밴드는 제1압박부와 대응하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3압박부;와 제1압박부와 제3압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압박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는 제1압박부와 제3압박부 사이에 위치되거나, 제1압박부와 제2압박부 또는,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압박부 또는 제3압박부는 외측면을 이루면서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압박밴드와, 내측면을 이루면서 좌우 방향의 신축이 억제되어 착용 부위를 압박하는 제2압박밴드를 구비하고,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테두리가 상호 봉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와 제2압박부 또는, 탄성부와 제3압박부의 봉제 부위는 제1봉제부보다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제2압박부는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기 위해 좌우로 배치되는 신축억제심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 및 제2압박밴드와 박음질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제3압박부는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기 위해 좌우로 배치되는 신축억제심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 및 제2압박밴드와 박음질로 봉제될 수 있다.
한편,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가 접혀지면서 대향 위치되어 외측에서부터 제1압박밴드의 외측면(a)과 접힘부(b),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순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배치되고, 제1압박밴드의 접힘부(b),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c)와 내측면(d)과 함께 박음질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박음질로 인해 제1압박밴드의 외측면(a)의 신축이 보장되고, 착용시 신축억제심재가 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신축억제심재)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모빌론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박음질은 제2압박밴드의 상하 방향의 신축에 대해 상호 별도로 작용하는 상하 2줄이고, 좌우 방향의 신축에 대해 억제되도록 신축억제심재의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2중 박음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체형보정밴드를 구비한 의류는 하의의 허리부를 포함하여 상의와 하의 속옷 등의 일부위에 체형보정밴드 1개 이상이 단독 또는 상호 교차하여 봉제되고, 이 체형보정밴드가 착용자의 신체 일부위를 압박하거나 조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방향 신축이 억제된 제2압박밴드를 갖는 제1압박부와, 다방향 신축성이 높은 탄성밴드를 갖는 탄성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보정을 요하는 신체의 일부위를 압박하면서도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 방향 신축이 억제된 제2압박밴드를 갖는 제1압박부,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가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다방향 신축성이 높은 탄성밴드를 갖는 탄성부가 개재됨으로써, 압박부가 위치한 부위가 압박되면서도 탄성부가 위치한 부위에서 자유롭게 신축되어 압박되면서도 편안하여 착용감이 향상됨은 물론 체형 보정도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압박부, 제2압박부 또는 제3압박부에서 좌우 신축이 억제된 제2압박밴드는 아랫배 또는 신체 일부위를 압박하고, 제1압박밴드는 자유롭게 신축됨으로써, 압박감과 더불어 편안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압박부, 제2압박부 또는 제3압박부의 상단 부위에 신축억제심재가 내장되어 제2압박밴드의 좌우 방향 신축이 억제됨으로써, 제2압박밴드의 압박 기능을 보조하면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압박밴드의 상단의 접혀진 부위만 신축억제심재와 함께 봉제되고, 제1압박밴드의 대부분의 신축이 보장됨으로써, 착용하는 동안 신축억제심재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압박밴드와 신축억제심재가 상하 2줄의 박음질로 봉제되고, 제1봉제부와 교차하여 봉제됨으로써, 제2압박밴드의 상하 신축은 물론 좌우 신축이 최대한 억제되어 체형보정을 위한 압박 기능이 향상되고, 신축억제심재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접이 배제된 제1,2봉제부에 의해 피부가 닿는 부위에 부드러움이 극대화되면서 거칠함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봉제부는 폭이 넓은 제1압박부에서의 강한 압박을 약간 여유롭게 하여 봉제하고, 제2봉제부는 탄성부와 폭이 좁은 제2,3압박부에서의 다소 여유로운 착용감에 대해 강하게 봉제함으로써, 제1압박부의 강한 압박이 보장되면서도 여유로운 느낌의 착용감과, 탄성부와 제2,3압박부에서의 느슨함을 방지하여 조이는 느낌의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의 앞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앞면의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위를 펼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체형보정밴드의 옆면의 외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옆면의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체형보정밴드의 뒷면의 외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뒷면의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도 1에 도시된 체형보정밴드가 의류에 적용된 사용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10)는 도 1,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박부(100),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앞쪽의 제1압박부(100)와 뒤쪽의 제3압박부(400)가 위치되고, 이 둘 사이에 탄성부(200)와, 제2압박부(300)가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탄성부(20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형보정밴드(10)는 도 1에서의 노란색의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10)는 착용자의 허리 부위에 착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이하, '밴드'는 의류를 제작하는 원단들 중 신축이 뛰어난 원단과 신축이 억제된 원단이거나, 이들 원단이 단독 또는 상호 봉제되어 제작된 구성품일 수 있다.
먼저, 제1압박부(100)는 착용시 착용자의 아랫배에 위치되어 압박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제1압박부(100)는 도 1, 도 5와 도 7에서 보듯이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에 비해 폭이 제일 넓고, 높이도 제일 높은 부위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는 대체로 착용자의 아랫배 전체를 감싸면서 강한 압박을 제공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압박부(1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외측의 제1압박밴드(B1)와 내측의 제2압박밴드(B2)가 상호 봉제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압박밴드(B1)는 다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이 높은 원단일 수 있다. 이외에 제1압박밴드(B1)는 도 9a 내지 도 9d에서처럼 하의에 적용된 경우 하의 원단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압박밴드(B)는 결 방향 즉, 신축성이 높은 좌우로 배치되고, 일 예로 아랫배에 위치되는 경우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다.
제2압박밴드(B2)는 상하 방향으로만 신축성이 자유롭고, 좌우 방향으로는 신축성이 억제된 원단일 수 있다, 물론, 상하 방향에 대해서도 신축성이 억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압박밴드(B2)는 결 방향의 직각 방향 즉, 신축성이 억제되도록 배치되고, 일 예로 아랫배에 위치되는 경우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강하게 압박 또는 조여줌으로써 체형이 보정될 수 있다. 또, 도 3에서 보듯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부 봉제는 2줄 박음질(S1)로 봉제되고, 이는 제2압박밴드(B2)의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을 최소 또는 방지하고, 제1봉제부(S2) 또는 제2봉제부(S3)보다 현저히 낮은 신축이 제공되도록 하며, 후술된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2줄 박음질(S1)은 전문용어로 2줄 삼봉일 수 있다.
또, 도 4에서 보듯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부 봉제 부위에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최소 또는 방지하기 위해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될 수 있고, 이 신축억제심재(C)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이거나 모빌론 테이프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봉제 구조는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을 제외하고, 제1압박밴드(B1)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 제2압박밴드(B2)의 내측면(d)과,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개재된 신축억제심재(C)가 2줄 박음질(S1)로 봉제될 수 있다. 이때, 2줄 박음질(S1)의 봉제는 도 1에서처럼 상부와 하부에 별개로 박음질 되고, 신축억제심재(C)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제2압박밴드(B2)의 상하 신축에 따른 상부 박음질과 하부 박음질 간의 간섭이 완전 배제되고, 좌우 신축에 따른 상호 간의 간섭이 최소 또는 방지되며, 좌우 신축에 대해 강하게 억제되고, 신축억제심재(C)의 윗부위가 아래로 향하는 뒤집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도 4에서처럼 신축억제심재(C)는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에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에 감싸져 봉제될 수도 있다. 또, 2줄 박음질(S1)이 제2압박밴드(B2)의 내측면(d) 및 접힘부(c)와,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를 봉제하도록 작업될 수 있다. 이는 2줄 박음질(S1)이 되지 않은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의 자유로운 신축이 보장되고, 신축억제심재(C)와 함께 접힘부(c)와 내측면(d)이 2줄 박음질(S1)된 부위에서의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이 극히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제2압박밴드(B2)는 아랫배를 압박하게 되고, 제1압박밴드(B1)는 보다 자유로이 신축되어 신축억제심재(C)를 잡아당기는 현상이 최소화되므로 힘신축억제심재(C)의 뒤집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부(1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 중 적어도 1곳에 배치되고, 탄성부(200)에서는 배제될 수 있다. 이는 제1압박부(1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에서는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가 신축억제심재(C)와 함께 2줄 박음질(S1)로 성형되므로 장시간 착용에도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탄성부(200)에서처럼 1장의 탄성밴드(B3)가 접혀서 성형되므로 단시간의 착용에도 신축억제심재(C)가 쉽게 뒤집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부(100), 제2압박부(300) 또는 제3압박부(400)의 상단 전체 길이에 배치되거나, 일부 길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에서 2줄 박음질(S1)된 상부를 제외한 좌측부, 우측부와 하부의 제1봉제부(S2)는 제2봉제부(S3)보다 낮은 파지력(봉제로 잡아주는 힘)이 제공되어 봉제부위에서의 압박이 하향 조정되는 봉제 방식이 적용되고, 이 제1봉제부(S2)는 메로우 스티치일 수 있다. 이 메로우 스티치는 도 3에서 보듯이 봉제 부위의 좌우 폭이 제2봉제부(S3)보다 좁고, 시접이 배제되어 피부 접촉시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는 봉제 방식일 수 있다. 또, 메로우 스티치는 제2봉제부(S3)보다 파지력이 낮음으로써, 넓은 폭의 제1압박부(100)가 강한 압박감을 주면서도 봉제 부위에서 다소 여유로운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박부(100)의 중앙부위는 강한 압박이 제공되고, 양측 주변에는 여유로운 압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제1봉제부(S2)는 제1압박부(100),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 전체에 걸쳐 하단을 마무리하는 봉제 방식일 수 있다. 물론, 제2봉제부(S3)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압박부(100)는 도 1에서 보듯이, 하단이 곡선을 갖는 형상이고, 중앙부위의 높이(h1)가 가장 높고, 양측의 높이(h2)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체형보정밴드(10)의 전체 형상은 도 1과 도 7에서 보듯이, 제1압박부(100)의 중앙 높이(h1)가 가장 높고, 제3압박부(400)의 중앙 높이(h4)가 높이(h1)와 동일하거나 낮으며, 순차적으로 제1압박부(100)의 양측 높이(h2)와 제3압박부(400)의 양측 높이(h5)의 높이가 낮아지고, 탄성부(200)와 제2압박부(300)의 봉제부위의 높이(h3, h6)의 높이가 제일 낮은 곡선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착용자의 아랫배를 좀 더 넓은 범위에서 감싸 압박하고, 이 압박이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 및 제3압박부(400)에 의해 보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모든 부위의 높이(h1 내지 h6)가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2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제1압박부(100)에 잇대어 위치되고, 다방향 신축이 가능한 원단으로 제작되며, 이로 인해 외력에 대해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다. 일 예로, 호흡시 충분히 늘어나 옆구리에 대한 압박이 최소화되거나, 제1압박부(100),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보다 압박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1장의 탄성밴드(B3)로 이루어지고, 반으로 접힌 후 접힌 부위가 상부에 위치되며, 접힌 상태에서 상부에는 봉제가 없고, 하부가 제1봉제부(S2)를 통해 봉제될 수 있다. 물론, 제1봉제부(S2)를 제2봉제부(S3)가 대신할 수 있다.
또, 탄성부(200)는 양측 부위 중 일측 부위가 제1압박부(100)와 제1봉제부(S2)로 봉제되고, 타측 부위가 제2압박부(300) 또는 제3봉제부(400)와 제2봉제부(S3)로 봉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봉제부(S2)는 제1압박부(100)의 중심의 강한 압박이 봉제 부위에서 다소 여유로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2봉제부(S3)는 높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부(200)에 대해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여 탄성부(200)의 높은 신축성을 보장하면서 봉제부위에서 강하게 봉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봉제부(S3)는 오드람프 스티치일 수 있다. 이 오드람프 스티치는 도 3에서 보듯이 제1봉제부(S2)보다 폭이 더 넓고, 탄성밴드(B3)의 신축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봉제 부위에서의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봉제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00)의 상단 부위가 봉제가 되지 않으면서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성밴드(B3)의 신축성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시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압박부(300)는 탄성밴드(B3)들 사이에 배치되고, 이외에 탄성밴드(B3)와 제3압박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2압박부(300)는 제1압박부(100)와 동일하게 제1압박밴드(B1), 제2압박밴드(B2), 신축억제심재(C)와 2줄 박음질(S1)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재심재(C)는 배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좌우 폭이 제1압박부(100)보다 짧고, 양측에 이웃한 탄성밴드(B3)와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는 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압박부(300)는 강한 압박감을 제공하는 제1압박부(100) 보다는 다소 낮은 압박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봉제 부위에서도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B3)가 적용되어 전체 면적에 대해 고른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허리 착용시 옆구리에 대해 제2압박부(300)가 압박보다는 조이는 느낌과 더불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봉제부(B2) 대신 제1봉제부(B2)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3압박부(400)는 작용자의 뒤 허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3압박부(400)는 제1압박부(100)와 동일하게 제1압박밴드(B1), 제2압박밴드(B2), 신축억제심재(C)와 2줄 박음질(S1)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재심재(C)는 배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좌우 폭이 제1압박부(100)보다 짧으면서 제2압박부(300)보다는 넓고, 양측에 이웃한 탄성밴드(B3)와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는 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압박부(400)는 강한 압박감을 제공하는 제1압박부(100) 보다는 다소 낮은 압박감을 제공하면서 제2압박부(300) 보다는 다소 높은 압박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봉제 부위에서도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B3)가 적용되어 전체 면적에 대해 고른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허리 착용시 뒤 허리에 대해 제3압박부(400)가 압박보다는 조이는 느낌과 더불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봉제부(B2) 대신 제1봉제부(B2)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압박부(400)는 제2압박부(3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다만 면적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압박부(100)와 제3압박부(400) 사이에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탄성부(200) 순서로 배치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계방향으로 제1압박부(100),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 탄성부(200), 제3압박부(400), 탄성부(200), 제2압박부(300)와 탄성부(200)로 배치되어 8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압박부(100)와 탄성부(200)로만 이루어지거나, 탄성부(200)와 제2압박부(300)의 개수가 변경되거나, 제2압박부(300) 또는 제3압박부(400)가 배제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제1압박부(100)에 적용된 제1봉제부(S2)를 제외한 봉제 부위에서는 제1봉제부(S2)와 제2봉제부(S3)가 상호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형보정밴드(10)는 도 9a 내지 도 9f에서 보듯이, 바지, 트레이닝복, 조거 팬츠, 요가복, 레깅스, 반바지, 거들과 팬티 등의 다양한 하의에서의 종래의 허리 밴드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반바지의 밑단에 배치되어 허벅지를 조이거나, 바지의 허리 또는 밑단에 교차하도록 측면에 상하로 배치되어 허벅지를 조이거나, 바지의 허리 또는 밑단의 체형보정밴드와 교차하도록 측면에 상하로 체형보정밴드가 배치되어 허벅지를 조이거나, 긴 바지의 발목 부위, 상의의 손목, 팔목, 허리 부위를 조이거나, 브래지어의 컵 밴드나 착용 밴드 등을 대신하는 다양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체형보정밴드(10)와 의류의 일부위 간의 봉제부위는 시접이 없으면서 피부에 부드러운 접촉감을 제공하는 제1봉제부(S2) 또는 제2봉제부(S3)가 단독 또는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체형보정밴드(10)는 의류의 일부위에 1개 이상이 단독 또는 상호 교차 봉제되어 사용되거나, 단독으로 제작되어 허리 또는 허벅지 등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위를 압박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체형보정밴드
100:제1압박부 200:탄성부
300:제2압박부 400:제3압박부.
B1:제1압박밴드 B2:제2압박밴드
B3:탄성밴드 C:신축억제심재
S1:2줄 박음질 S2:제1봉제부
S3:제2봉제부.

Claims (12)

  1. 전방에 배치되는 제1압박부(100);와
    상기 제1압박부(100)에 잇대어지는 탄성부(200);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압박하도록 제작되고,
    상기 제1압박부(100)는 외측면을 이루면서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압박밴드(B1)와, 내측면을 이루면서 적어도 일방향의 신축이 억제되어 착용 부위를 압박하는 제2압박밴드(B2)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200)는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밴드(B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B3)는 반으로 접히고, 접힌 부위가 일측부에 위치되며, 반대측 부위 및 제1압박부(100)에 잇대어진 부위를 포함한 3측부가 제1봉제부(S2)로 봉제되어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일단 부위에 개재된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이고, 길이 방향으로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을 억제하도록 봉제되는 신축억제심재(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3. 청구항 2에서,
    상기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단 부위가 접혀지면서 대향 위치되고 외측에서부터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과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순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배치되고,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과 함께 박음질로 고정되며,
    상기 박음질로 인해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의 신축이 보장되고, 착용시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4. 청구항 3에서,
    상기 박음질은 신축억제심재(C)의 폭 방향에 대해 2줄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박음질되어 길이 방향으로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을 억제하도록 된 2줄 박음질(S1)인 것으로 하는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압박부(100)와 대응하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3압박부(400);와
    상기 제1압박부(100)와 제3압박부(40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압박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200)는 제1압박부(100)와 제3압박부(400) 사이에 위치되거나, 제1압박부(100)와 제2압박부(300) 또는, 제2압박부(300)와 제3압박부(40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되어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6. 청구항 5에서,
    상기 제2압박부(300) 또는 제3압박부(400)는 외측면을 이루면서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제1압박밴드(B1)와, 내측면을 이루면서 적어도 일방향의 신축이 억제되어 착용 부위를 압박하는 제2압박밴드(B2)를 구비하고,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테두리가 상호 봉제되어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7. 청구항 5에서,
    상기 탄성부(200)와 제2압박부(300) 또는, 탄성부(200)와 제3압박부(400)의 봉제 부위는 제1봉제부(S2)보다는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어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일단 부위에 개재된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을 억제하도록 봉제되는 신축억제심재(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9. 청구항 8에서,
    상기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단 부위가 접혀지면서 대향 위치되고 외측에서부터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과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순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배치되고,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과 함께 박음질로 고정되며,
    상기 박음질로 인해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의 신축이 보장되고, 착용시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10. 청구항 9에서,
    상기 박음질은 신축억제심재(C)의 폭 방향에 대해 2줄이면서 길이 방향으로 박음질되어 길이 방향으로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을 억제하도록 된 2줄 박음질(S1)인 것으로 하는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11. 청구항 2 내지 4와,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신축억제심재(C)는 형상기억합금 또는 모빌론 테이프인 것으로 하는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
  12.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체형보정밴드(10)가 하의의 허리 부위 또는 허박지 부위를 포함하여 상의, 하의와 속옷 등의 일부위에 적어도 1개가 단독 또는 상호 교차 봉제되어 착용자의 신체 일부위를 압박하거나 조이도록 이루어진 체형 보정밴드를 구비한 의류.
KR1020230153609A 2023-11-08 2023-11-08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KR10266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609A KR102662101B1 (ko) 2023-11-08 2023-11-08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609A KR102662101B1 (ko) 2023-11-08 2023-11-08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101B1 true KR102662101B1 (ko) 2024-04-29

Family

ID=9088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3609A KR102662101B1 (ko) 2023-11-08 2023-11-08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482Y1 (ko) * 2002-10-15 2003-01-30 주식회사태창 여성용 팬티
JP2003049301A (ja) * 2001-07-31 2003-02-21 Shinwa:Kk 腹部サポートベルト
KR200428441Y1 (ko) 2006-07-15 2006-10-11 김승호 기능성 거들
KR102133839B1 (ko) 2019-01-10 2020-07-16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바지용 허리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301A (ja) * 2001-07-31 2003-02-21 Shinwa:Kk 腹部サポートベルト
KR200302482Y1 (ko) * 2002-10-15 2003-01-30 주식회사태창 여성용 팬티
KR200428441Y1 (ko) 2006-07-15 2006-10-11 김승호 기능성 거들
KR102133839B1 (ko) 2019-01-10 2020-07-16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바지용 허리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8225B2 (ja) 体型補整機能裏地付き衣服
JP6129822B2 (ja) スポーツ用衣服
JP4938566B2 (ja) 衣料
TWI662953B (zh) 內衣
JP2008050718A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JP4213194B2 (ja) 下肢用衣料
KR102662101B1 (ko)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JP5273532B2 (ja) 成形衣料
JP5004676B2 (ja) 男性用下着
JP4953671B2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JP3605808B1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3777464B2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WO2021006150A1 (ja) 水着
JP5592871B2 (ja) 腰用サポーター
US2755478A (en) Girdle
JP3236395U (ja) 下肢用衣料
JP2007239160A (ja) ダンス用被服
JP2006299436A (ja) 体形補整部材付きパンツ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JP3605806B1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7433680B1 (ja) ボトム衣類
KR100573862B1 (ko) 보정 속옷
JP5473315B2 (ja) 下半身用衣類
JP2022055341A (ja) 下肢用衣料
JP7069050B2 (ja) 上半身部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