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448B1 -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448B1
KR102657448B1 KR1020180086713A KR20180086713A KR102657448B1 KR 102657448 B1 KR102657448 B1 KR 102657448B1 KR 1020180086713 A KR1020180086713 A KR 1020180086713A KR 20180086713 A KR20180086713 A KR 20180086713A KR 102657448 B1 KR102657448 B1 KR 10265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polymer
secondary battery
formul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123A (ko
Inventor
박솔지
안경호
이철행
한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US16/610,5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03762A1/en
Priority to PCT/KR2018/008450 priority patent/WO2019022522A1/ko
Priority to EP18839191.6A priority patent/EP3605705B1/en
Priority to CN201880026669.4A priority patent/CN110574209B/zh
Publication of KR2019001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carbonates or 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POLYMER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정성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들 전자(통신)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이 분야의 핵심부품인 리튬 이차전지의 박막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전해질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고분자전지로 나눌 수 있다.
리튬 이온전지의 경우, 고용량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리튬염을 함유한 액체 전해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누액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인해 전지 설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리튬 고분자 전지의 경우에는 전해질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나 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성 향상과 동시에 유연성을 가져, 소형 또는 박막형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고체 또는 겔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보다 낮은 이온전도도 값을 나타내고 있어, 상용화되기에 아직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고분자 전해질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의 경우, 알칼리 금속염의 양이온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에 존재하는 산소 원자들과 배위 결합에 의한 착물을 형성하면서 안정화되기 때문에, 용매가 없는 고체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안정한 이온 상태로 존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는 상온에서 반결정성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해리된 금속염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그 결과, 상온에서 1.0 x 10-8 S/cm 정도의 낮은 이온전도도 값을 가지면서 에너지 특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상용화에 적합하지 않은 수준이다.
이에, 고체상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가공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0447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온전달 능력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전압 및 고온에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폴리머가 반상호침투형 폴리머 네트워크(semi-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를 형성하는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상기 제1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n1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b]
상기 화학식 1b에서,
n2는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c에서,
n3는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p-페닐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에닐렌 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이소티아나프탈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염을 포함하며, 상기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중에 0.5M 내지 5M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은 자립형 (free-standing) 고체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용매;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세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p-페닐렌, 티오펜, 피롤, p-페닐렌 설파이드, p-페닐렌 비닐렌, 티에닐렌 비닐렌, 아닐린, 이소티아나프탈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페닐렌옥사이드, 에테르설폰, 아릴레이트, 에테르에테르케톤, 아미드이미드, 및 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중 반응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은 산소 억제제(O2 inhibito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소 억제제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제조된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재 상에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분리하는 단계; 및 기제조된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분리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개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유래 폴리머 고유의 이온전달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포함함으로써 고전압 및 고온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성이 강화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 *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의 말단부 간의 연결된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농도의 샘플 시료를 준비한 후, GPC 측정 시스템 alliance 4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기기가 안정화되면 기기에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어낸 다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시스템: Alliance 4, 컬럼: Ultrahydrogel linear Х2, eluent: 0.1M NaNO3 (pH 7.0 phosphate buffer, flow rate: 0.1 mL/min, temp: 40℃, injection: 100μL).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온전도도는 교류 임피던스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도는 VMP3 측정 장비와 4294A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1MHz 내지 0.01 Hz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산화) 안정성은 potentiostat(EG&G사, model 270A) 장비를 이용한 선형 주사 전압전류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 을 이용하여, 60℃에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인장 강도는 ASTM standard D638 (Type V specimens)을 통하여 준비된 전해질 시편을 Lloyd LR-10K를 이용하여 25℃, 약 30%의 상대습도에서 분당 5 mm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현재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은 겔 고분자 전해질 또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겔 고분자 전해질은 높은 이온전도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가소제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거나, 막 두께를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액체 전해액을 이온 수송 매체로 한 이차전지에 비해 용액 누설이 없기 때문에, 전지의 신뢰성,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박형화, 패키지의 간략화, 경량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본질적으로 양호한 가공성을 갖기 때문에, 전지 등의 전기화학 소자에 이용하는 경우, 전극과의 적층 구조체 형성이 용이하고, 이온 흡장(吸藏) 방출에 의한 전극의 체적 변화에 따른 고체 전해질 계면의 형상 변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겔 고분자 전해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이를 사용한 이차전지는 상온에서 충방전 전류 밀도가 낮아 전지 저항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이온전달 능력이 우수하여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 구체적으로 고체 고분자 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자고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폴리머가 반상호침투형 폴리머 네트워크(semi-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는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 5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n1은 1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 5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b]
상기 화학식 1b에서,
n2는 1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 5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0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c에서,
n3는 1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 5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상기 제1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g/mol 내지 1,000,000 g/mol, 구체적으로 5,000 g/mol 내지 70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5,000 g/mol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으며, 제1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과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농도의 샘플 시료를 준비한 후, GPC 측정 시스템 alliance 4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기기가 안정화되면 기기에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어낸 다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시스템: Alliance 4, 컬럼: Ultrahydrogel linear Х 2, eluent: 0.1M NaNO3 (pH 7.0 phosphate buffer, flow rate: 0.1 mL/min, temp: 40℃, injection: 100μL)
또한,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p-페닐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에닐렌 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이소티아나프탈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스티렌, 폴리(p-페닐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에닐렌 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이소티아나프탈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000 g/mol 이하, 구체적으로 1,000 g/mol 내지 1,00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1,000 g/mol 내지 700,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1,000 g/mol 내지 500,000 g/mol 일 수 있으며, 제2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고분자 전해질의 산화전위창을 높이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여 고전압하에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고온에서 고분자 용융(melting)에 의한 쇼트(short)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물리적,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에서 상기 제2 폴리머는 상기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구체적으로 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가 상기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산화전위창 및 이온전달능력 등을 향상시켜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폴리머에 비해 제1 폴리머가 이온전달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제1 폴리머가 제2 폴리머와 동량 이상으로 포함되어야, 제2 폴리머의 네트워크(망상) 구조로 인해 Li 이온 전달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산화전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폴리머가 제1 폴리머 대비 1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전압, 고온에서의 셀 구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제1 폴리머로 이루어진 이온 전달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매트릭스 구조와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들 간의 가교 중합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 구조가 상호 뒤얽혀(intermingled)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 및 산화전위창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염을 포함함으로써, 리튬 이온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양이온으로 Li+를 포함하고,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AlO4 -, AlCl4 -, PF6 -, SbF6 -, AsF6 -, BF2C2O4 -, B(C2O4)2 -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 C4F9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N-,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튬염은 1종 또는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은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나, 최적의 전극 표면의 부식 방지용 피막 형성 효과를 얻기 위하여, 고분자 전해질 내에 0.5M 내지 5M, 구체적으로 0.5M 내지 3M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은 제1 폴리머와 제2 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리튬염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자립형 (free-standing) 고체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다.
이러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3.0 × 10-5 S/cm 내지 3.0 × 10-4 S/cm, 구체적으로 3.0 × 10-5 S/cm 내지 2.5 × 10-4 S/cm 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도는 교류 임피던스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도는 VMP3 측정 장비와 4294A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1MHz 내지 0.01 Hz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용매;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 50 내지 7,000, 더욱 바람직하게 50 내지 5,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중 제1 폴리머,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물들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내지 9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중량% 내지 9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가 50 중량% 이상이면 고분자 매트릭스 형성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 및 이온 전달 특성이 보다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폴리머가 95 중량% 이하이면, 과량의 폴리머에 의한 이온전달 효과 저하를 막아, 고온, 고전압에서의 전지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 아세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p-페닐렌, 티오펜, 피롤, p-페닐렌 설파이드, p-페닐렌 비닐렌, 티에닐렌 비닐렌, 아닐린, 이소티아나프탈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VAc),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페닐렌옥사이드, 에테르설폰, 아릴레이트, 에테르에테르케톤, 아미드이미드, 및 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 g/mol 내지 5,000 g/mol, 구체적으로 200 g/mol 내지 1,000 g/mol 인 올리고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대신 이의 올리고머를 적용하는 경우, 보다 견고한 가교 결합 구조에 의하여 이온전도도를 크게 저하 시키지 않으면서 산화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농도의 샘플 시료를 준비한 후, GPC 측정 시스템 alliance 4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기기가 안정화되면 기기에 표준 시료와 샘플 시료를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을 얻어낸 다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시스템: Alliance 4, 컬럼: Ultrahydrogel linear Х 2, eluent: 0.1M NaNO3 (pH 7.0 phosphate buffer, flow rate: 0.1 mL/min, temp: 40℃, injection: 100μL)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서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구체적으로 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 일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가 상기 함량비로 포함되는 경우에 기계적 강도 확보와 동시에 이온전달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기계적 강도와 이온전달 능력 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를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를 함께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들간의 가교 중합 반응에 의해 구현된 가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가 제1 폴리머와 상호 뒤얽혀(intermingled) 있는 반상호침투형 폴리머 네트워크 (semi-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고분자 전해질 내에 존재하는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 폴리머가 서로 화학적 결합에 의한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 즉 가교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폴리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의 프리-볼륨 (free volume) 사이에 상기 제2 폴리머가 보조적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폴리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의 약한 내구성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산화전위창을 확보하는 동시에, 리튬 이온을 자유화(free Li+) 시켜 리튬 이온의 이동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전고체 전지(All solid-ion battery)의 형태에서도 전지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대신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와 함께 혼합하는 경우에는 제1 폴리머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단순히 혼합된 형태의 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폴리머 단독으로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에 비하여 기계적 물성이나 산화 안정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내구성이 열화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용매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산화 반응 등에 의한 분해가 최소화될 수 있고, 첨가제와 함께 목적하는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낮은 비점의 휘발성 유기용매 또는 비휘발성 유기용매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이하, "NMP"라 약칭함), 디메틸술폭시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N),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 감마-부티로락톤(GBL), 1,2-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록시푸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DOL), 1,4-디옥산(4-dioxane),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메틸 아세테이트(EA),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P), 메틸 아세테이트(MA), 메틸 프로피오네이트(MP), 디메톡시 에탄(DME) 인산 트리에스테르, 디에틸에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트리글라임(Triglyme), 테트라글라임(TEGDME),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피온산 메틸, 및 프로피온산 에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낮은 비점의 유기용매 또는 N-메틸-2-피롤리돈 등의 휘발성이 우수한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을 고체-액체 혼성 고분자 전해질 형태로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유기용매는 고분자 전해질을 잘 스웰링시켜 고체-액체 혼성 고분자 전해질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테트라글라임 등과 같은 비휘발성 유기용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의 사용량은 제1 폴리머 및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는 양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고분자 전해질 성형 시 막의 균일성 확보와 동시에, 박막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폴리머 및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고형분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0 중량부 내지 10,00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00 중량부 내지 5,0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100 중량부 내지 10,000 중량부인 경우, 유기용매 제거가 용이하여, 유기용매의 잔류에 의한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강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어, 고분자 전해질 성형 시 막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알려진 중합개시제를 이용한 중합 반응을 이용하여 제1 폴리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간의 가교 결합으로 형성된 제2 폴리머로 이루어진 고분자 매트릭스 구조가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중합개시제로서, 구체적으로 UV 중합개시제, 광 중합개시제, 및 열 중합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중합개시제는 대표적인 예로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파논, 옥시-페닐아세틱 애씨드 2-[2-옥소-2 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 옥시-페닐-아세틱 2-[2-히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 알파-디메톡시-알파-페닐아세토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몰포리닐)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몰포리닐)-1-프로파논,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비스(에타 5-2,4-시클로펜타디엔-1-일), 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4-이소부틸페닐-4'-메틸페닐아이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메틸 벤조일포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중합개시제 또는 열 중합개시제는 그 대표적인 예로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및 2,2'-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MVN; 2,2'-Azobisdimethyl-Valeronitril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전지 내에서 UV, 또는 30℃ 내지 100℃의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상온(5℃ 내지 30℃)에서 광(light)에 의해 분해되어 자유라디칼을 생성하고, 상기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간의 가교 결합이 형성되어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개시제가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고분자 전해질 내에서 중합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미반응 중합개시제가 잔류하여 전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가 0.1 중량부 이상 포함되어야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간 중합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균일한 두께의 고분자 전해질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간의 가교 결합 반응성 (중합 반응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가교 반응을 방해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산소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 억제제는 그 대표적인 예로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소 억제제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화합물 간 가교 결합을 방해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산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간의 가교 결합 반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부반응 방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용액 캐스팅 방법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제조된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직접 코팅(도포)한 다음, 건조 및 경화하는 단계로 자립된 (free-standing) 형태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유리 기판,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테프론(Teflon), 또는 FEP 필름 등의 지지 기재 상에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유연(流延) 도포(캐스팅 제막)하여 도막을 형성한 다음, 건조(유기용매 제거)하여 막(film) 형태로 제조하고, 상기 지지 기재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분리한 다음, 기제조된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분리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위치시키는 단계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자립형 (free-standing) 고체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다.
상기 막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의 두께는 이온전도성을 고려하여 약 0.5㎛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두께가 0.5㎛ 이상인 경우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300㎛ 이하인 경우 이온 전달자인 양성자(H+) 등이 통과가 용이하여, 이차전지 스팩의 단위 성능 당 부피 증가를 방지하여 높은 성능의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필요에 따라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 및 음극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합제층은 양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양극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상에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1종 이상의 금속과 리튬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리튬-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MnO2, LiMn2O4 등), 리튬-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O2 등), 리튬-니켈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O2 등),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MnYO2(여기에서, 0<Y<1), LiMn2-zNizO4(여기에서, 0<Z<2) 등), 리튬-니켈-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1-Y1CoY1O2(여기에서, 0<Y1<1) 등), 리튬-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Co1-Y2MnY2O2(여기에서, 0<Y2<1), LiMn2-z1Coz1O4(여기에서, 0<Z1<2) 등),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i(NipCoqMnr1)O2(여기에서, 0<p<1, 0<q<1, 0<r1<1, p+q+r1=1) 또는 Li(Nip1Coq1Mnr2)O4(여기에서, 0<p1<2, 0<q1<2, 0<r2<2, p1+q1+r2=2) 등), 또는 리튬-니켈-코발트-전이금속(M) 산화물(예를 들면, Li(Nip2Coq2Mnr3MS2)O2(여기에서, M은 Al, Fe, V, Cr, Ti, Ta, Mg 및 M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p2, q2, r3 및 s2는 각각 자립적인 원소들의 원자분율로서, 0<p2<1, 0<q2<1, 0<r3<1, 0<s2<1, p2+q2+r3+s2=1이다) 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전지의 용량 특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LiCoO2, LiMnO2, LiNiO2, 리튬 니켈망간코발트 산화물 (예를 들면 Li(Ni1/3Mn1/3Co1/3)O2, Li(Ni0.6Mn0.2Co0.2)O2, Li(Ni0.5Mn0.3Co0.2)O2, Li(Ni0.7Mn0.15Co0.15)O2 및 Li(Ni0.8Mn0.1Co0.1)O2 등), 또는 리튬 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산화물(예를 들면, Li(Ni0.8Co0.15Al0.05) O2 등) 등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또는 덴카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또는 서멀 블랙 등의 탄소 분말; 결정구조가 매우 발달된 천연 흑연, 인조흑연,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흑연 분말;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NMP(N-methyl-2-pyrrolidone)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7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합제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합제층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용매 등을 포함하는 음극 슬러리를 코팅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탄소 물질,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및 전이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탄소 물질로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인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과 같은 흑연을 들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으로는 Cu, Ni,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또는 이들 금속과 리튬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복합 산화물로는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Bi2O5, LixFe2O3(0≤x≤1), LixWO2(0≤x≤1), 및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Ox(0<x≤2), Si-Y 합금(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며, Si은 아님), Sn, SnO2, Sn-Y(상기 Y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원소, 14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이며, Sn은 아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SiO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원소 Y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i, Ge, P, As, Sb, Bi, S, Se, Te, 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로는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도전재, 활물질 및 집전체 간의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음극 슬러리 중 고형분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또는 덴카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또는 서멀 블랙 등의 탄소 분말; 결정구조가 매우 발달된 천연 흑연, 인조흑연,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흑연 분말;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또는 NMP,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 등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점도가 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슬러리 중의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7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양 전극의 내부 단락을 차단하고 전해질을 함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분자 수지, 충진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분리막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분리막 조성물을 전극 상부에 직접 코팅 및 건조하여 분리막 필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분리막 조성물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 및 건조된 후, 상기 지지체로부터 박리된 분리막 필름을 전극 상부에 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이고, 기공도는 5 내지 9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300㎛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수행되는 목적에 따라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전극 제조)
양극활물질로 4.2V급 LiCoO2 화합물 94 중량부, 도전재로 카본 블랙 4 중량부, 바인더 성분으로 PVDF 2 중량부를 용제인 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고형분 함량 90 중량%의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20㎛ 두께의 알루미늄(Al) 박막 표면에 상기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10㎛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양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Cu 박막 상에 리튬 금속을 도포한 후, 압연하여 20㎛ 두께의 음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제조)
1M 리튬염이 용해된 NMP 1.9kg에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중량평균분자량(Mw)=50,000g/mol, n1=490) 100g과 비닐 아세테이트(VAc) 10g, 및 UV 중합개시제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0.1g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극판의 적어도 일 표면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UV 경화를 실시하여 50㎛ 두께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이차전지 제조)
상기 제조된 음극 및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두께: 20 ㎛)을 개재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수납하고, EC/DEC = 5:5 부피비로 혼합한 1M LiPF6를 포함하는 액체 전해액을 주액하여 4.2V 급 파우치형 이차전지(Full cel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대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3.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2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4.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제1 폴리머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중량평균분자량(Mw)=100,000g/mol, n2=1,000)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5.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대신 스티렌 20g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6.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제1 폴리머로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중량평균분자량(Mw)=5,000g/mol, n3=50)를 사용하고, 비닐 아세테이트 3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7.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산소 억제제로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포스파이트 1g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8.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대신 비닐 아세테이트 올리고머(중량평균분자량(Mw)=250g/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1.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VAc)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2.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상기 제1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3.
고분자 전해질 제조 시에, 제1 폴리머 대신 선형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중량평균분자량(Mw)=100,000g/mol, Aldrich co.)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하기 표 1 참조).
비교예 4.
1M 리튬염이 용해된 NMP 1.9kg에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중량평균분자량(Mw)=50,000g/mol, n1=490) 100g과 제2 폴리머로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중량평균분자량(Mw)=50,000g/mol, Aldrich co.) 10g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제1 폴리머 제2 폴리머 형성용 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 제2 폴리머 산소
억제제
화학식 분자량 함량(g) 명칭 함량(g) 명칭 함량(g) (g)
실시예 1 1a 50,000 100 VAc 10 - - -
실시예 2 1a 50,000 100 MMA 10 - - -
실시예 3 1a 50,000 100 VAc 20 - - -
실시예 4 1b 100,000 100 VAc 10 - - -
실시예 5 1b 100,000 100 스티렌 20 - - -
실시예 6 1c 5,000 100 VAc 30 - - -
실시예 7 1a 50,000 100 VAc 10 - - 1
실시예 8 1a 50,000 100 VAc
올리고머
10 1
비교예 1 1a 50,000 100 - - - - -
비교예 2 - - - VAc 10 - - -
비교예 3 PEO 100,000 100 VAc 10 - - -
비교예 4 1a 50,000 100 - - 폴리(에틸렌 글리콜) 10 -
VAc: 비닐 아세테이트 MM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E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실험예
실험예 1. 전기화학적 안정성 실험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선형 주사 전위법(Linear sweep voltammetry, LSV)에 따른 전기화학적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로는 potentiostat(EG&G사, model 270A)를 사용하였으며, 측정온도는 60℃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산화 안정성(V) @ 60℃
실시예 1 5.1V
실시예 2 5.2V
실시예 3 8V 이상
실시예 4 5.5V
실시예 5 6V 이상
실시예 6 6V 이상
실시예 7 5.3V
실시예 8 6V 이상
비교예 1 4.8V
비교예 2 4.6V
비교예 3 4.1V
비교예 4 4.4V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이차전지는 약 5.1V 이상에서 산화 개시 전압을 보여 우수한 전기화학적 (산화)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반하여, 비교예 1 내지 4의 이차전지는 산화 개시 전압이 모두 실시예 1 내지 8의 이차전지 보다 낮은 약 5.0V 미만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8의 이차전지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의 이차전지보다 산화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측정
실시예 1 내지 8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과 비교예 1, 3 및 4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한 다음, 이들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은 ASTM standard D638 (Type V specimens)을 통해 일괄적으로 제작하였으며, 인장 강도는 25℃, 약 30%의 상대습도에서 분당 5 mm의 속도로 Lloyd LR-10K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 (MPa)
실시예 1 8.7
실시예 2 6.6
실시예 3 12.4
실시예 4 9.1
실시예 5 15.4
실시예 6 18.0
실시예 7 9.2
실시예 8 16.5
비교예 1 4.2
비교예 3 5.2
비교예 4 3.8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 3 및 4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인장 강도는 대부분 5.2 MPa 이하인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의 인장 강도는 모두 6.6 MPa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 8과 같이 제2 폴리머 형성용 에틸렌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올리고머를 적용하는 경우에, 모노머를 적용한 실시예 7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에 비해 인장 강도가 보다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이온전도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부에 금(Au) 전극을 1 mm 지름의 원형으로 스퍼터(sputter)법을 사용하여 코팅한 후, 온도에 따라 교류 임피던스 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이온전도도는 VMP3측정 장비와 4294A를 사용하여 주파수 대역 100MHz 내지 0.1Hz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온도 (℃) 이온전도도 (S/cm)
실시예 1 25 1.5 × 10-4
실시예 2 25 1.2 × 10-4
실시예 3 25 9.1 × 10-5
실시예 4 25 8.5 × 10-5
실시예 5 25 4.6 × 10-5
실시예 6 25 3.8 × 10-5
실시예 7 25 2.2 × 10-4
실시예 8 25 2.0 × 10-4
비교예 1 25 1.5 × 10-4
비교예 2 25 1.6 × 10-5
비교예 3 25 2.8 × 10-5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1, 실시예 7 및 실시예 8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고분자 전해질에 비하여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제1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네트워크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2 내지 6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에 비하여 이온전도도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고분자 전해질은 제1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네트워크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 2 내지 6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에 비하여 전기화학적 안정성 및 인장 강도 등이 열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들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폴리머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p-페닐렌),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에닐렌 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이소티아나프탈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폴리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폴리머와 상기 제2폴리머가 반상호침투형 폴리머 네트워크(semi-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구조를 형성하는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1a]

    상기 화학식 1a에서,
    n1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b]

    상기 화학식 1b에서,
    n2는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c에서,
    n3는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폴리머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염을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중에 0.5M 내지 5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자립형 (free-standing) 고체 고분자 전해질인 것인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용매;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세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p-페닐렌, 티오펜, 피롤, p-페닐렌 설파이드, p-페닐렌 비닐렌, 티에닐렌 비닐렌, 아닐린, 이소티아나프탈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페닐렌옥사이드, 에테르 설폰, 아릴레이트, 에테르에테르케톤, 아미드이미드, 및 비닐렌 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청구항 1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고,
    n은 10 내지 10,000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다.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폴리머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중 제1 폴리머,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반응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이의 올리고머는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은 산소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산소 억제제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14.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청구항 8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건조한 후, 경화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15. 기재 상에 청구항 8의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을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재로부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분리하는 단계; 및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분리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 방법.
  16.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청구항 1의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
KR1020180086713A 2017-07-26 2018-07-25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65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10,592 US20200203762A1 (en) 2017-07-26 2018-07-26 Polymer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CT/KR2018/008450 WO2019022522A1 (ko) 2017-07-26 2018-07-26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18839191.6A EP3605705B1 (en) 2017-07-26 2018-07-26 Polymer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201880026669.4A CN110574209B (zh) 2017-07-26 2018-07-26 用于二次电池的聚合物电解质和包括该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59 2017-07-26
KR20170094959 2017-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123A KR20190012123A (ko) 2019-02-08
KR102657448B1 true KR102657448B1 (ko) 2024-04-16

Family

ID=6536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13A KR102657448B1 (ko) 2017-07-26 2018-07-25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03762A1 (ko)
EP (1) EP3605705B1 (ko)
KR (1) KR102657448B1 (ko)
CN (1) CN1105742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5870B2 (en) 2018-05-07 2022-02-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Gel and polymer based flow meters
KR102107794B1 (ko) * 2018-08-17 2020-05-07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US11668613B2 (en) * 2019-05-06 2023-06-0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BA type block co-polymers for temperature sensing and flow meters
CN110323464B (zh) * 2019-06-27 2022-07-19 渤海大学 一种包括聚苯胺-碳纳米管-二氧化锡-聚丙烯腈复合纳米纤维隔膜的钾空气电池
US11912807B2 (en) 2020-03-2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for sensing heat or infrared light and device including same
US11855258B2 (en) * 2020-06-08 2023-12-26 Cmc Materials, Inc. Secondary battery cell with solid polymer electrolyte
US11637317B2 (en) * 2020-06-08 2023-04-25 Cmc Materials, Inc.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KR20230140347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교 시간이 단축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230141242A (ko) 2022-03-31 2023-10-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교 시간이 단축된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와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46B1 (ko) * 2012-10-10 2014-01-16 한국화학연구원 올리고에틸렌글라이콜을 곁사슬로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가소제를 함유하는 semi―IPN 타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590B1 (en) * 2000-03-22 2003-04-15 Integument Technologies, Inc. Polymer and inorganic-organic hybrid composit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2000082330A (ja) * 1998-09-07 2000-03-21 Sony Corp 電解質用組成物ならびに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US6413676B1 (en) * 1999-06-28 2002-07-02 Lithium Power Technologies, Inc. Lithium ion polymer electrolytes
US6645675B1 (en) * 1999-09-02 2003-11-11 Lithium Power Technologies, Inc. Solid polymer electrolytes
AU8397201A (en) * 2000-08-04 2002-02-18 Shell Int Research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JP2004146346A (ja) * 2002-08-28 2004-05-20 Nisshinbo Ind Inc 非水電解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40224233A1 (en) * 2003-05-05 2004-11-11 Show -An Chen Method for preparation of chemically crosslinked polyacrylonitrile polymer electrolyte as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y
JP2005044704A (ja) 2003-07-25 2005-02-17 Hitachi Ltd 固体電解質
KR100542213B1 (ko) * 2003-10-31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금속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CN100539271C (zh) * 2004-09-09 2009-09-09 旭化成电子材料株式会社 固体高分子电解质膜及其制造方法
CN100572429C (zh) * 2007-08-08 2009-12-23 江苏科技大学 一种半互穿网络凝胶聚合物电解质薄膜的制备方法
JP6045162B2 (ja) * 2011-03-25 2016-12-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二次電池の作製方法
KR101292835B1 (ko) * 2011-04-26 2013-08-05 한국화학연구원 시클로트리포스파젠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US20130108930A1 (en) * 2011-10-28 2013-05-02 Enerdel, Inc. Performance enhancement additives for disordered carbon anodes
CN102522589A (zh) * 2011-12-16 2012-06-27 浙江大东南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具有互穿网络结构凝胶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65826B1 (ko) * 2013-07-08 2017-08-23 애경화학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27560B1 (ko) * 2013-11-1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이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5098233B (zh) * 2014-05-22 2017-10-24 上海交通大学 半互穿网络聚合物凝胶电解质膜的制备方法
KR101797295B1 (ko) * 2014-10-02 2017-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92691B1 (ko) * 2015-04-03 2023-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6207296A1 (en) * 2015-06-25 2016-12-29 Freie Universität Berlin Nanogel compound
KR102024889B1 (ko) * 2015-10-30 201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 상호침투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006717B1 (ko) * 2015-10-30 2019-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질산리튬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273774B1 (ko) * 2016-07-28 202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차전지
US11183690B2 (en) * 2016-12-23 2021-11-23 Sion Power Corporation Protective layers comprising metal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10985373B2 (en) * 2017-02-27 2021-04-20 Global Graphene Group, Inc. Lithium battery cath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46B1 (ko) * 2012-10-10 2014-01-16 한국화학연구원 올리고에틸렌글라이콜을 곁사슬로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가소제를 함유하는 semi―IPN 타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ectrochimica Acta, 2010, 제55권, 제4호, 페이지 1495-15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123A (ko) 2019-02-08
CN110574209A (zh) 2019-12-13
CN110574209B (zh) 2022-12-27
EP3605705B1 (en) 2023-07-26
EP3605705A1 (en) 2020-02-05
US20200203762A1 (en) 2020-06-25
EP3605705A4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448B1 (ko)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0178258B (zh) 用于锂二次电池的电解质和包括该电解质的锂二次电池
CN108028424B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和凝胶聚合物电解质
CN111480256B (zh) 用于锂二次电池的电解质和包括所述电解质的锂二次电池
KR102019312B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1670514B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和包括由该组合物形成的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KR102320015B1 (ko)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3544893B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和包括由该组合物形成的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US10601076B2 (en)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gel polymer electrolyte
CN111433965B (zh) 锂二次电池用电解质和包含该电解质的锂二次电池
KR102298292B1 (ko) 겔 폴리머 전해질 조성물, 이에 의해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56487B1 (ko)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5986317A (zh) 用于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该隔板的锂二次电池
KR102465821B1 (ko)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1033861B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由该组合物制备的凝胶聚合物电解质和包括该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JP2022540359A (ja) 高分子電解質用共重合体、これを含むゲルポリマー電解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10603681A (zh)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由该组合物制备的凝胶聚合物电解质和包括该凝胶聚合物电解质的锂二次电池
KR102680028B1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543326A (ja) 電解質組成物、ゲル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30012430A (ko) 전해질 조성물,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