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340B1 -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340B1
KR102648340B1 KR1020180049915A KR20180049915A KR102648340B1 KR 102648340 B1 KR102648340 B1 KR 102648340B1 KR 1020180049915 A KR1020180049915 A KR 1020180049915A KR 20180049915 A KR20180049915 A KR 20180049915A KR 102648340 B1 KR102648340 B1 KR 10264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up
turmeric extract
study
tur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735A (ko
Inventor
전준호
박형근
백남준
유재영
조성모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340B1/ko
Priority to PCT/KR2019/005066 priority patent/WO2019212202A1/ko
Publication of KR2019012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8Soybean prote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이 이들의 각각의 단일물 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간손상 보호, 지방간 억제 및 숙취 해소 등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hepatoprotective activity comprising Turmeric extract solution and Rice Soybean extract}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이 이들의 각각의 단일물 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간손상 보호, 지방간 억제 및 숙취 해소 등의 효과를 갖는다.
현대사회의 복잡성과 계속적인 스트레스로 말미암아 통계적으로 알코올의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음주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알코올 다량섭취는 체내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장기 및 인간세포의 장애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위장관, 뇌, 신경, 내분비 기관, 췌장, 조혈기관, 면역계 등 신체의 주요기관에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간 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알코올이 섭취되면 위장에서 흡수되어 혈액 속으로 이동되어 간으로 운반된 후, 알코올탈수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분해되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라는 물질로 바뀐다. 여기서 아세트알데히드는 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촉매 반응으로 아세트산(acetic acid)과 수소가 된다.
숙취는 알코올을 섭취하는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두통이나 구토, 속쓰림, 피곤함, 설사와 같은 반응이 나타나며, 숙취를 경험하는 사람에게 신체적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손실도 상당히 불러 일으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숙취의 정확한 원인은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으나 혈중 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숙취 증상의 감소를 위해서 빠른 알코올 분해가 필요하다고 추측되고 있다. 또한, 과량의 알코올 소비는 숙취 이외에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과 같은 알코올관련 질병의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 남용 후 가장 먼저 발생하는 질병으로 간세포의 지방축적이 특징이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여러가지 복잡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다음과 같이 4단계에 의해 일어난다. 첫째, 알코올의 산화에 의한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DH)의 생성 증가, 중성지방과 지방산의 합성증가, 지방산의 미토콘드리아 β산화 과정(mitochondrial β의 억제가 발생한다. 둘째, 지방조직에서 간으로의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의 유입이 증가되고 내장점막에서 유미지립(chylomicron)의 유입이 증가된다. 셋째, 에탄올을 매개로 하여 일인산 아데노신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화가 억제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지방질 생합성이 증가되고 PPAR 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가 억제되고 SREBP1c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가 활성화됨에 따라 지방분해가 감소된다. 넷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미세소관(microtubule)들이 손상을 입고 그 결과 NADH 산화가 감소되고 초저밀도지질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이 축적된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인 점을 고려할 때, 과도한 음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음주 시 초래되는 알코올성 간질환 완화 및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강황(Curcuma longa L)은 여러해살이풀 강황Curcuma aromatic SALISB.의 뿌리줄기이다. 약리작용으로는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자궁 흥분 작용, 혈압강하 작용, 진통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황색포도상구균, 진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고지혈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증명되어 있다[한국본초강목, 안덕균 저]. 강황은 중국 남부에서부터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비가 많이 오는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숲 지대에서는 야생으로도 많이 자란다. 강황에는 정유성분이 4.5%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 turmerone, zingerene, phellandrene, cineole 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부작용이 없으면서 간질환 및 간손상의 회복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물질을 개발하고자 오랫동안 연구를 수행한 결과, 강황추출물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이 이들의 각각의 단일물 보다 월등하게 우수한 간손상 보호, 지방간 억제 및 숙취 해소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지방간 또는 숙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1:1 내지 1: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강황추출물의 가용화를 위하여 상기 강황추출물의 평균입자 크기는 500 내지 1,5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황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강황추출분말, 점증제, 유화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액상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3) 단계 2)의 분쇄물을 수퍼밀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초미세 분쇄물을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
상기 제조방법에서 점증제 및 유화제는 강황추출분말과 함께 혼합되어 균질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증제는 가티검, 아리비아검, 구아검, 타마린드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로커스트콩검, 알긴산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가티검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린,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대두, 레시틴, 사포닌 또는 폴리소르베이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쌀눈, 탈지쌀겨, 대두펩타이드, 피틴산,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글루코오스, 소포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미생물에 의해 발효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물을 마이크로필터 여과를 통해 제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생물은 사카로미케스(Saccharomyces)속 및 이사첸키아(Issatchenkia)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카로미케스(Saccharomyces)속 미생물은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시아, 사카로미케스 보울라디 및 사카로미케스 바야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사첸키아(Issatchenkia)속 미생물은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이사첸키아 옥시데탈리스, 이사첸키아 스쿠투라타 및 이사첸키아 텔리콜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지방간 또는 숙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유제품, 발효제품 또는 식품첨가물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강황추출물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은 강황추출물 또는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간손상모델 (D-galactosamin 간염 모델, CCl4 간손상 모델, 및 알코올 지방간 모델)에서 대표적인 간지표인 AST, ALT및 지질 감소에 있어서,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간보호, 간기능향상 및 숙취해소 등의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강황추출물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은 부작용이 없어, 장기간 복용시 간손상 및 지방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 마우스에서 AL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 마우스에서 AS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 마우스에서 AL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 마우스에서 AS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은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손상 랫드 모델에서 AL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손상 랫드 모델에서 AS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손상 랫드 모델에서 T-CHO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손상 랫드 모델에서 TG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만성알코올 랫드 모델에서 AL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만성알코올 랫드 모델에서 AST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는 만성알코올 랫드 모델에서 T-CHO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은 만성알코올 랫드 모델에서 TG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만성알코올 랫드 모델에서 Oil-red O 염색을 통한 간세포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황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가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1) 강황추출분말, 글리세린, 가티검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액상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3) 단계 2)의 분쇄물을 수퍼밀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초미세 분쇄물을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추출분말 1-20 중량%, 글리세린, 1-30 중량%, 가티컴 1-10 중량%, 및 정제수 5-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황추출물은 500 내지 1,500n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1) 쌀눈, 탈지쌀겨, 대두펩타이드, 피틴산,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글루코오스, 소포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미생물에 의해 발효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4) 단계 3)의 농축물을 마이크로필터 여과를 통해 제균하는 단계.
본 발명의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은 사카로미케스(Saccharomyces)속 및 이사첸키아(Issatchenkia)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카로미케스속 미생물은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시아, 사카로미케스 보울라디 및 사카로미케스 바야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사첸키아속 미생물은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이사첸키아 옥시데탈리스, 이사첸키아 스쿠투라타 및 이사첸키아 텔리콜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유제품, 발효제품 및 식품첨가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선택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의 혼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정제, 캡슐, 액제, 현탁액 등과 같은 단위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에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검, 인산칼슘, 알긴산염, 트래거캔스 고무,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시럽, 메틸셀룰로오스, 메틸 및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광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반드시 의약품으로 허가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인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보조 식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강황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강황조성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강황추출분말 12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가티검 2 중량%, 정제수 66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혼합물을 액상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상기분쇄물을 수퍼밀로 초미세 분쇄한 후, 400mesh 스탠 여과망으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65℃에서 30분간 살균하여, 강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쌀눈 40g, 탈지쌀겨 30g, 대두펩타이드 4g, 피틴산 5g, 인산수소나트륨 10g, 인산수소칼륨 2.5g, 글루코오스 15g, 소포제 0.25g을 물 500g에 넣었다. 상기 혼합액에 프로테아제 0.05%(w/w)를 첨가하고 교반시켜 원료를 혼합하였다. 상기 배지에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시아 1% (w/w)를 접종하고, 30~40℃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활성탄 처리하고 규조토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약30%가 되도록 농축하여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마우스에 미치는 보호효과
<1-1> 시험방법
동물은 C57BL/6 마우스 (25~35g)를 사용하여, Normal (정상군),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4)에 의해 간독성이 유발된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대조군),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군 (Study 1~7, 혼합비율로)의 총 9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5일 동안 5차례 시험약을 경구투여 한 이후 간독성유발은 CCl4 를 단회 복강투여 하였고 (0.2%, 10mg/kg) 18시간째 부검한 후 복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1,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한 후 혈장만을 회수하여 혈액생화학 분석을 통해ALT및 AS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1-2> 실험결과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ALT AST
Normal - - 143±16 43±16
Control - - 15623±2655 6895±1455
Study 1 50 20 15222±2336 6544±1446
Study 2 50 40 12511±3214 5423±699
Study 3 50 80 10566±2411 4355±698
Study 4 50 160 9211±2455 4022±587
Study 5 50 320 9161±2561 3844±785
Study 6 50 640 8755±2633 3688±874
Study 7 50 1280 8365±1455 3566±874
상기 표 1,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udy 2 (강황추출물 :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 1 : 0.8)의 ALT및 AST가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 20% (p<0.05) 감소하였고, Study 3 (강황추출물 :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 1 : 1.6)의 용량부터 고용량까지 약효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1).
[실험예2]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손상마우스에 미치는 보호효과
<2-1> 시험방법
동물은 C57BL/6 마우스 (25~35g)를 사용하여, Normal (정상군),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CCl4)에 의해 간독성이 유발된 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대조군), 쌀눈대두발효추출물을 투여한 군 (Study 1, 160 mg/kg), 강황추출물을 투여한 군 (Study 2, 100 mg/kg),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 (Study 3: 쌀눈대두 발효추출물80mg/kg, 강황추출물50 mg/kg 혼합)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2-2> AST및 ALT수치 측정
CCl4의 단기투여는 실험적인 간손상 및 간섬유화를 일으키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CCl4가 간손상 및 간섬유화를 일으키는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나 CCl4의 산화제(pro-oxidant)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즉, CCl4가 간내의 microsomal cytochrome P-450에서 trichloromethyl free radical을 형성하고 그 결과 trichloromethylperoxy radical을 형성하며, 이 radical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세포막의 지질 또는 다른 분자들에 손상을 유발한다.
Normal (정상군), CCl4 간 독성 동물모델에서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대조군),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에서 간손상의 주요 마커인 AST 및 ALT 수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2-3> 실험결과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ALT AST
Normal - - 125±23 40±23
Control - - 14564±3658 5988±1266
Study 1 - 160 12020±2145 4988±1688
Study 2 100 - 8459±2144 3655±9884
Study 3 50 80 6745±1366 2258±6665
상기 표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의 ALT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 18% (p<0.05), AST는 약 17% (p<0.05) 감소하였고,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ALT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 42%, AST는 약 40% 감소 (각 p<0.01) 감소하였다.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및 강황추출물 혼합 투여군 (Study 3)의 ALT및 AST는 모두 약 45% (p<0.01) 이상 감소하여,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 혼합 투여군 (Study 3)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및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단일투여군과 비교하여, 단일투여군 각각의 절반의 추출물을 투여하였으나, 훨씬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3]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D-galactosamine으로 유도된 간손상랫드 모델에 미치는 보호효과
<3-1> 시험방법
동물은 SD 랫드(250g)를 사용하여, Normal (정상군), D-galactosamine에 의해 간독성이 유발된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대조군),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투여한 군(Study 1, 80mg/kg), 강황추출물을 투여한 군 (Study 2, 50mg/kg),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 (Study 3: 쌀눈대두 발효추출물40mg/kg, 강황추출물25 mg/kg혼합)의 총 5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독성 유발은 D-galactosamine을 복강투여 하였으며, 0일, 2일에는 600mg/kg 용량, 4일째는 700mg/kg 그리고 6일째는 800mg/kg의 용량으로 서서히 용량을 증가시키면서 총 4회 투여하여 간독성을 유발하였다. 약물처리는 간독성 유발일부터 시험종료일까지 매일 경구투여(10ml/kg)를 실시하였다. 시험기간은 총 14일로 부검한 후 복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1,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한 후 혈장만을 회수하여 간손상의 지표인 AST, ALT 및 지질변화 지표인 T-CHO, TG를 대상으로 혈액생화학 분석을 진행하였다.
<3-2> AST, ALT, T-CHO 및 TG 수치 측정
D-galactosamine(D-GalN)은 간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며, 실험동물에 투여시 간세포의 지방변화, 염증성 세포 반응 및 간세포 괴사 등을 일으키며 마치 virus성 간염과 유사한 병변을 유도한다. 특히, D-GalN의 급성 중독의 경우에는 간괴사, 만성중독의 경우에는 간경변과 세포성 종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D-GalN 의 간독성에 관한 기전은 간세포 내에서 uridine phosphate 화합물이 galactose 대사과정에서 고갈되어 uridine 대사가 억제되고 그 결과 RNA와 단백질 합성에 이상을 일으켜 세포막의 투과성이 변화되어 세포 내로 많은 양의 칼슘이 유입되면서 간세포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의D-GalN간손상 모델에서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에서 간손상의 주요 마커인 AST, ALT, T-CHO 및 TG 수치를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표 4,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3-3> 실험결과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ALT AST
Normal - - 35.2±3.6 83.3±6.3
Control - - 71.2±9.5 150.6±19.6
Study 1 - 80 50.2±12.3 134.3±12.6
Study 2 50 - 45.3±9.8 120.3±16.8
Study 3 25 40 35.4±4.6 93.3±21.0
상기 표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Study 1)의 ALT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9% (p<0.05) 감소하였고, AST는 약 10% (p<0.05) 감소하였으며, 강황추출물군 (Study 2)의 ALT는 약 36%(p<0.01) 감소하였고, AST는 약 20% (p<0.01) 감소하였다.
특히,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의 ALT및 AST는 모두 약 30% (p<0.01) 감소하였으므로,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및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단일투여군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T-CHO TG
Normal - - 37.6±3.6 46.0±3.6
Control - - 90.3±5.6 100.6±5.6
Study 1 - 80 80.9±10.3 90.3±6.9
Study 2 50 - 75.3±12.6 79.3±6.3
Study 3 25 40 53.0±16.5 58.3±5.7
상기 표 4,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 지표를 살펴본 결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의 T-CHO및 TG는 약 1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T-CHO는 약 15%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TG는 약 21% (p<0.01)감소하였다.
반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의 T-CHO및 TG는 모두 약 35% 감소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은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및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단일투여군에 비해 지질감소에 대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4]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만성알코올 투여에 의한 지방간에 미치는 보호효과
<4-1> 시험방법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은 평균체중이 약 200 g인 Sprague-Dawley계 수컷 SD 랫드(DBL, Eumseong, Korea)를 1주일간 적응기간을 가진 후, 10 마리씩 5군으로 나누었으며, 에탄올이 없는 정상사료를 급여하는 Normal (정상군), 에탄올이 함유된 사료군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에탄올이 함유된 사료군은 Control (대조군),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80mg/kg),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 50mg/kg),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 쌀눈대두 발효추출물40mg/kg, 강황추출물25 mg/kg 혼합)으로 총 5군으로 나누어 설정한 뒤5일간의 알코올식이 적응 기간을 갖고, 이후 10일간의 Lieber-Decali Diet에 기반하여 5%(v/v) EtOH liquid diet를 사료로 주었다. 각 시험물질은 군에 따라 알코올사료에 첨가하여 배정하였다. 시험 11일째 되는 날 30% 도수의 알코올을 경구투여한 후 9시간이 경과한 뒤 부검을 실시하여 간 및 혈청 등을 적출하여 혈청에서는 간손상의 지표인 AST, ALT 및 지질변화 지표인 T-CHO, TG를 대상으로 혈액생화학 분석을 진행하였고, 간조직에서는 지방염색 Oil-red O 염색을 통해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 도 9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
<4-2> 실험결과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시에는 췌장염, 심근경색, 신경장애, 결핵 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나아가 간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ALT AST
Normal - - 35.6±5.3 93±15.2
Control - - 95.6±10.2 206.3±14.5
Study 1 - 80 75.6±8.6 173.2±16.5
Study 2 50 - 63.2±6.9 145.4±11.3
Study 3 25 40 41.3±3.6 112.2±11.3
상기 표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의 ALT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0% (p<0.05), AST는 약 16% (p<0.05) 감소하였고,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ALT는 약34% (p<0.01), AST는 약 30% (p<0.01) 감소하였다. 또한,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의 ALT는 46% (p<0.01), AST는 36% (p<0.01)로 크게 감소하여,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및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단일투여군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물질 (mg/kg) 혈액생화학 지표
강황추출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T-CHO TG
Normal - - 52.3±9.3 42.3±5.3
Control - - 120.6±10.2 129.6±3.3
Study 1 - 80 110.6±11.3 100.2±14.2
Study 2 50 - 80.3±16.5 80.3±14.3
Study 3 25 40 65.1±19.7 60.2±10.3
상기 표 6,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 지표를 살펴본 결과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의 T-CHO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9%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TG는 약 18% (p<0.05) 감소하였다. 또한,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의 T-CHO는 약 34% (p<0.05), TG는 약 38% (p<0.05) 감소하였다.
특히,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의 T-CHO 및 TG는 모두 약 40% 감소하여, 단일투여군에 비해 지질감소에 대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직학적 분석 중 지방염색을 살펴본 결과 Normal (정상군)에서는 간세포에 축적된 지방구가 비교적 작고 고르게 퍼져 있으나, Control (대조군)의 간세포는 다량의 지방 축척이 고르게 분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쌀눈대두 발효추출물 투여군 (Study 1), 강황추출물 투여군 (Study 2),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방구의 크기나 양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간조직 사진촬영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쌀눈대두 발효추출물과 강황추출물의 혼합 투여군 (Study 3)의 감소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고,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1:1 내지 1: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강황추출물의 평균입자 크기는 500 내지 1,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1) 강황추출분말, 점증제, 유화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액상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3) 단계 2)의 분쇄물을 수퍼밀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초미세 분쇄물을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
    상기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지방간 또는 숙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 쌀눈, 탈지쌀겨, 대두펩타이드, 피틴산,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글루코오스, 소포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미생물에 의해 발효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물을 마이크로필터 여과를 통해 제균하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로 가티검을 포함하고, 유화제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강황추출분말 1-20 중량%, 글리세린 1-30 중량%, 가티컴 1-10 중량%, 및 정제수 5-80 중량%를 포함하고, 이들의 총합이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사카로미케스(Saccharomyces)속 및 이사첸키아(Issatchenkia)속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카로미케스(Saccharomyces)속 미생물은 사카로미케스 세레비시아, 사카로미케스 보울라디 및 사카로미케스 바야누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사첸키아(Issatchenkia)속 미생물은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이사첸키아 옥시데탈리스, 이사첸키아 스쿠투라타 및 이사첸키아 텔리콜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유제품, 발효제품 또는 식품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80049915A 2018-04-30 2018-04-30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64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15A KR102648340B1 (ko) 2018-04-30 2018-04-30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PCT/KR2019/005066 WO2019212202A1 (ko) 2018-04-30 2019-04-26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15A KR102648340B1 (ko) 2018-04-30 2018-04-30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35A KR20190125735A (ko) 2019-11-07
KR102648340B1 true KR102648340B1 (ko) 2024-03-18

Family

ID=6838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15A KR102648340B1 (ko) 2018-04-30 2018-04-30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8340B1 (ko)
WO (1) WO2019212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811B1 (ko) * 2021-01-18 2024-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콩비지 미세분말 기반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1786A1 (ja) 2007-06-22 2008-12-31 Kaneka Corporation 生理活性物質含有組成物
KR101247927B1 (ko) * 2012-07-16 2013-03-26 보령제약 주식회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296995B1 (ko) 2013-02-15 2013-08-14 주식회사 엠에스씨 발효 쌀겨 및 미배아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94B1 (ko) * 2011-05-02 2013-08-28 보해양조주식회사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24431B1 (ko) * 2013-05-14 2013-10-3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61402B1 (ko) * 2014-12-31 2016-09-29 주식회사 풀무원 아스파라거스, 울금추출물, 미배아대두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08406B1 (ko) * 2016-02-23 2017-12-14 심희영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1786A1 (ja) 2007-06-22 2008-12-31 Kaneka Corporation 生理活性物質含有組成物
KR101247927B1 (ko) * 2012-07-16 2013-03-26 보령제약 주식회사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296995B1 (ko) 2013-02-15 2013-08-14 주식회사 엠에스씨 발효 쌀겨 및 미배아를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SAKI et al., Innovative Preparation of Curcumin for Improved Oral Bioavailability. Biol. Pharm. Bull. 2011, Vol. 34, No. 5, pp. 660-66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202A1 (ko) 2019-11-07
KR20190125735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8538B (zh) 包含水飞蓟、姜黄、甘草以及决明子的宿醉消解用组合物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205630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A2592733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nephropathy and healthy food comprising herb extracts
CN113616744A (zh) 一种小米全谷物黄酮活性组分的制备方法和应用
KR102648340B1 (ko)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CN112791137B (zh) 三种五味子提取物及其制备工艺和应用
KR101706017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101784093B1 (ko) 발효발아현미와 와송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활성 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921871A (zh) 生理活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822338B (zh) 降血糖降血脂、预防和/或治疗糖尿病及其并发症的复方组合物及其用途
CN106074662B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姜黄组合物
KR20050114040A (ko)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8891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알콜농도 저감 촉진용 조성물
WO2020248964A1 (zh) 盐肤木果实在制备治疗或预防肝纤维化的药物中的应用
KR101982816B1 (ko) 함초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8077485A (zh) 一种青钱柳凉茶及其制备方法
WO2019014040A1 (en) METHOD OF TREATING HEPATIC STEATOSIS
CN106942439B (zh) 一种青钱柳番石榴叶降糖茶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73318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190041783A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KR20110047585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9453249B (zh) 防治药物性肝损伤的药物组合物及不同剂型的制备方法
US10357524B2 (en) Method for treating hepatitis B
KR20170143149A (ko) 신체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