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43B1 -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43B1
KR102647843B1 KR1020210194401A KR20210194401A KR102647843B1 KR 102647843 B1 KR102647843 B1 KR 102647843B1 KR 1020210194401 A KR1020210194401 A KR 1020210194401A KR 20210194401 A KR20210194401 A KR 20210194401A KR 102647843 B1 KR102647843 B1 KR 10264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junction block
stud bolt
assembly groove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3487A (ko
Inventor
유현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94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487A/ko
Priority to KR1020230165912A priority patent/KR2023016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포지션을 낮추면서, 나사산 가공을 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정션블록의 메인바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조립되며 상기 디바이스에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는,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조립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조립부 및 상기 조립홈의 상면을 형성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 볼트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바이스와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Device mounting structure of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자동차 전원을 분배 또는 연결하거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정션블록 또는 PDU(Power distribution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블록 또는 PDU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원을 분배/연결 및 회로를 보호하는 정션블록 또는 PDU(Power distribution unit)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정션블록 또는 PDU, 또는 전원을 분배/연결하거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물을 통칭하여 정션블록이라 칭한다.
정션블록 및 PDU는 차량 내 필요한 퓨즈, 릴레이, 다이오드, 전류센서, 버스바, 커넥터 등의 부품을 하나의 박스에 집적한 부품이다. 최근 하이브리드 전기차 또는 전기차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정션블록에 집적되는 부품의 전압도 크게 높아져 고전압 정션블록으로 칭하기도 한다.
디바이스란 고전압 정션블록 내 조립되는 고전압 릴레이, 고전압 퓨즈, 다이오드, 전류센서 등을 지칭하며, 고전압 릴레이 또는 다이오드는 구조 상 높이가 높은 편에 속하는 디바이스이다.
정션블록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 상하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바디는 디바이스, 버스바, 와이어링, 커넥터 등의 회로 부품이 수납되어 고정되며, 고전압 정션블록의 수분 유입 방지 및 차폐 역할을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a)는 종래 정션블록 메인바디의 고전압 릴레이 고정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1 (b)는 고전압 릴레이 고정 부분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 (c)는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종래의 고전압 릴레이 고정 구조는, 고전압 정션블록 알루미늄 메인바디(1)에 원기둥 형상의 마운팅부(3)가 형성되며, 마운팅부(3)에 나사산(3a) 가공을 하고, 고전압 릴레이(2)의 마운팅부(2a)를 안착시킨 후 볼트(4)로 조립하여 고정하였다.
그런데 메인바디(1)의 원통형 마운팅부(3)에 나사산(3a) 가공을 적용하기 때문에 디바이스(2) 포지션(h)이 바닥보다 메인바디 마운팅부(3) 높이만큼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1 (d)의 A-A’부분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디바이스의 포지션(h)이 높아지므로 메인바디를 포함한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H)도 높아져서 상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고 정션블록 전체 높이 축소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고전압 릴레이나 다이오드 등과 같이 높이가 높은 부품의 경우에는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 방향 설계 시 자유도가 크게 저하되고, 박스 전체 높이가 높아지거나 해당 부분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나사산 가공 시 과도하게 깊이 가동되는 경우 메인바디 하단이 뚫리거나 두께가 얇아져 크랙 또는 파손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이 유입되어 고압 살수 또는 침수와 관련된 기밀 기준을 불만족할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수분 유입 시 쇼트 및 화재 위험도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포지션을 낮추면서, 나사산 가공을 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고정할 수 있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정션블록의 컴팩트화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하며 상관 부품 간에 여유 갭을 형성할 수 있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정션블록의 메인바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조립되며 상기 디바이스에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는,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조립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조립부 및 상기 조립홈의 상면을 형성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 볼트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디바이스와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홈은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조립홈의 일측 개구 부분에서 삽입되어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에는 상기 조립홈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 시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이탈방지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보다 너비가 크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볼트 삽입 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상기 조립부 및 이탈방지부의 최내측은 상기 스터드볼트의 걸림부 및 조립부의 측부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 삽입 시 상기 조립부 및 이탈방지부의 최내측과 상기 스터드볼트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홈은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조립홈의 상측 개구 부분에서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홈 내측에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드볼트의 체결볼트 외주에는 일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여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토크가 가해지는 일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상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은 상기 스터드볼트가 회전된 위치에서 스터드볼트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에 따르면 스터드볼트를 메인바디에 조립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를 고정하여, 실장되는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 및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높이가 높은 디바이스가 설치된 부분만 커버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었던 것을 개선하여 커버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체 중량이 절감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낮춤으로써 상단 커버와 내부 부품(볼트, 버스바 등) 사이의 절연거리를 추가로 확보하기 용이하다. 또한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를 낮춤으로써, 주변 부품 간에 여유 갭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계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탭핑(tapping, 나사산 가공) 미적용으로 가공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여 정션블록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기밀 기준을 충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분 유입으로 인한 쇼트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정션블록 메인바디의 고전압 릴레이 고정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일부 사시도, 확대 단면도 및 A-A’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제1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및 X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제2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및 Y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홈 내측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사시도 및 스터드볼트 조립 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적용 시의 마운팅 높이 및 정션블록 전체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제1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및 X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 정션블록 메인바디(100)에 구현될 수 있다. 제1 정션블록 메인바디에는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이 형성되고,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에 스터드볼트(120)가 조립될 수 있다.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은 정션블록 메인바디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스터드볼트(120)는 메인바디의 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디바이스(20)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운팅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마운팅부(21)에 볼팅홀이 형성되어 있어, 스터드볼트(120)와 체결너트(2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마운팅 높이라고 함은 메인바디의 바닥면부터 디바이스(20)의 마운팅부(21)까지의 길이를 의미하고,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는 마운팅부(21)를 포함한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 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스터드볼트(120)는 삽입부(121), 걸림부(122), 체결볼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21)는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며 고정될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너비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부분보다 너비가 크게 형성된 부분은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의 이탈방지부(112)에 걸리는 구조이다. 또한 삽입부(121)는 마운팅 높이를 낮추기 위해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123)는 삽입부(121)의 일면으로부터 디바이스(20)가 배치되는 부분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123)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2)는 삽입부(121)와 체결볼트(123)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볼트(123)보다 너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2)는 스터드볼트(120)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의 조립 구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메인바디 마운팅부(110)는, 스터드볼트(120)가 삽입되는 조립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부(111)는 조립홈(113)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부(112)는 조립홈(113)의 상면을 형성하며, 이탈방지부(112)의 중앙에는 스터드볼트(120)의 걸림부(122)와 체결볼트(123)가 돌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12)는 스터드볼트(120)의 삽입부(121) 상부를 규제함으로써 조립홈(1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실시예에서 조립홈(113)은 메인바디의 면 방향으로 스터드볼트(1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바디 마운팅부(110)의 측부에서 스터드볼트(120)의 삽입부(121)가 메인바디의 바닥면을 따라 조립홈(1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조립홈(113)의 최내측까지 삽입되게 된다.
조립홈(113)의 최내측은, 조립부(111)의 최내측이되는 내측단부(115)와, 이탈방지부(112)의 최내측이 되는 외측단부(114)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단부(115)는 스터드볼트(120) 삽입부(121)의 일측 형상과 부합하고, 외측단부(114)는 스터드볼트(120) 걸림부(122)의 일측 형상과 부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볼트(120)가 조립홈(113)의 최내측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스터드볼트(120)의 일측은 조립홈(113)에 맞물리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112)에는, 조립홈(113)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11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6)은 스터드볼트(120)가 조립홈(113)에 삽입된 후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인바디 및 메인바디 마운팅부(110)는 알루미늄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알루미늄의 물성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터드볼트(120)가 조립홈(113)에 삽입될 때 걸림턱(116)을 지나 삽입이 완료되며, 이 때 걸림턱(116) 부분은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삽입 완료 후 복원되어 스터드볼트(120)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걸림턱(116)은 삽입부(121) 또는 걸림부(122)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일 실시예로 이탈방지부(112)의 측면에서 조립홈(113)의 중앙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터드볼트(120)가 조립홈(113)에 삽입된 위치에서, 걸림턱(116)은 걸림부(122)를 지지하면서, 걸림부(122)가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120)를 조립홈(113)에 메인바디의 면방향으로 삽입하여, 걸림턱(116)을 지나 조립되며, 디바이스(20)의 마운팅부(21)를 스터드볼트(120)에 꽂아 체결너트(22)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스터드볼트 삽입 방향 및 고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제2실시예의 일부 사시도 및 Y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조립홈 내측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사시도 및 스터드볼트 조립 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2 정션블록 메인바디(200)에 구현될 수 있다. 제2 정션블록 메인바디(200)에는 메인바디 마운팅부(210)가 형성되고, 메인바디 마운팅부(210)에 스터드볼트(220)가 조립될 수 있다. 메인바디 마운팅부(210)는 정션블록 메인바디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스터드볼트(220)는 메인바디 마운팅부(210)가 형성된 바닥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된 후, 회전되어 고정된다.
스터드볼트(220)의 각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며,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는 삽입부(221)의 형상이다. 삽입부(221)는 메인바디 마운팅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며 고정될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너비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1)는 작은 패널 형상으로 납작하게 형성되되, 일축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즉 체결볼트(223)를 중심으로 일 축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메인바디 마운팅부(21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터드볼트(220)가 삽입되는 조립홈(213)을 포함하고, 조립홈(213)의 측면을 형성하는 조립부(211)와, 조립홈(213)의 상면을 형성하는 이탈방지부(212)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이탈방지부(212)의 중앙에는 스터드볼트(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될 수 있다. 개구 형성된 부분은 스터드볼트(220)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형의 걸림부(222)가 삽입될 수 있는 중앙홀(214)이 형성되고, 중앙홀(214)의 양측으로 삽입부(221)가 삽입될 수 있는 날개홀(2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터드볼트(220)는 메인바디 마운팅부(2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된 후, 회전된 위치에서 삽입부(221)가 이탈방지부(212)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조립홈(213)의 내측에는 스토퍼(21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16)는 삽입부(221)가 삽입된 후 스터드볼트(220)의 회전되는 각도를 규제하기 위함이며, 도면과 같이 스터드볼트(220)가 90도 회전된 위치에서 이탈방지 성능이 가장 좋고, 과회전될 경우 이탈하기 더욱 쉬워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바디 마운팅부(210) 내측에 원형의 조립홈(213)이 형성되되, 스터드볼트(220)가 90도 회전된 위치에서 과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216)가 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220)는 삽입부(221), 원형의 걸림부(222), 체결볼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체결볼트(223) 외주에는 체결너트(22)를 체결할 때 너트에 일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스토퍼(216)는 이 체결너트(22)가 결합되는 일 방향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를 체결할 때 스터드볼트(22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6 (b)의 위치로 스터드볼트(220)가 회전된 위치에, 이탈방지부(212)의 저면(217)에서 상부로 요입형성되는 상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홈의 형상은 삽입부(221)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220)에 디바이스(20) 마운팅부(21)를 거치하고 체결너트(22)에 토크를 가해 체결할 때, 스터드볼트(220)와 이탈방지부(212) 사이가 조여지게 되는데, 삽입부(221)를 형성하면 이 때 이탈방지부(212)의 상부홈으로 삽입부(221)가 들어오면서 조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홈에 삽입부(221)가 걸리면서 스터드볼트(220)가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220)를 조립홈(213)에 메인바디의 바닥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며, 스토퍼(216)에 걸릴때까지 회전되어 조립된다. 이 위치에서 디바이스(20)의 마운팅부(21)를 스터드볼트(220)에 꽂아 체결너트(22)로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적용 시의 마운팅 높이 및 정션블록 전체 높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마운팅 높이(h)가 종래에 비해 낮아지므로, 메인바디를 포함한 정션블록의 전체 높이(H) 또한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정션블록을 소형화할 수 있고, 주변 부품과의 여유 갭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메인바디에 탭핑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어 내구성 및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 및 각 실시예를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이나 일부 실시예를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디바이스 21 마운팅부
22 체결너트
100 제1 정션블록 메인바디 200 제2 정션블록 메인바디
110, 210 메인바디 마운팅부 111, 211 조립부
112, 212 이탈방지부 113, 213 조립홈
114 외측단부 115 내측단부
116 걸림턱 214 중앙홀
215 날개홀 216 스토퍼
217 이탈방지부 저면
120, 220 스터드볼트 121, 221 삽입부
122, 222 걸림부 123, 223 체결볼트

Claims (9)

  1.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정션블록의 메인바디 마운팅부; 및
    상기 마운팅부에 조립되며 상기 디바이스에 체결되는 스터드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는,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의 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개구된 조립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조립부 및 상기 조립홈의 상면을 형성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조립홈에 삽입되는 패널 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디바이스와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홈의 상측 개구 부분에서 상기 메인바디 마운팅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 내측에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체결볼트 외주에는 일 방향으로 토크를 가하여 너트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토크가 가해지는 일 방향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요입형성되는 상부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홈은 상기 스터드볼트가 회전된 위치에서 스터드볼트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KR1020210194401A 2021-12-31 2021-12-31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KR10264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01A KR102647843B1 (ko) 2021-12-31 2021-12-31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KR1020230165912A KR20230169879A (ko) 2021-12-31 2023-11-24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01A KR102647843B1 (ko) 2021-12-31 2021-12-31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912A Division KR20230169879A (ko) 2021-12-31 2023-11-24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487A KR20230103487A (ko) 2023-07-07
KR102647843B1 true KR102647843B1 (ko) 2024-03-14

Family

ID=871549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401A KR102647843B1 (ko) 2021-12-31 2021-12-31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KR1020230165912A KR20230169879A (ko) 2021-12-31 2023-11-24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912A KR20230169879A (ko) 2021-12-31 2023-11-24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7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520A (ja) 1999-03-23 2000-10-0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18107953A (ja) 2016-12-27 2018-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21040408A (ja) * 2019-09-03 2021-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733A (ko) * 2017-06-13 2018-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520A (ja) 1999-03-23 2000-10-0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18107953A (ja) 2016-12-27 2018-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21040408A (ja) * 2019-09-03 2021-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487A (ko) 2023-07-07
KR20230169879A (ko) 202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297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7291024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US9431806B2 (en) Waterproof box and electric junction box equipped with same
US78933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39506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124079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8907213B2 (en) Electric junction box
RU2599604C2 (ru) Вставка из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его материала,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й вставки в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KR101405623B1 (ko) 자동차용 전장박스
US11063413B2 (en) Housing,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9601975B2 (en) High altitude, high voltage rear terminal block assembly
KR102647843B1 (ko) 정션블록의 디바이스 고정 구조
KR20210111929A (ko) 차량의 배터리용 퓨즈 박스
KR200467192Y1 (ko) 차량용 안테나 체결 장치
US20150114679A1 (en) Cover
JP4933162B2 (ja) 電気接続箱
KR200470700Y1 (ko) 차량용 조인트 박스
KR102517855B1 (ko)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0439567Y1 (ko) 정션박스의 상부커버 배수구조
JP2597713Y2 (ja) 分岐接続箱
KR102517854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180135733A (ko) 체결장치
US20230170680A1 (en) Inverter junction box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KR102653945B1 (ko) 정션블록의 마운팅부 수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