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01B1 -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 Google Patents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01B1
KR102638201B1 KR1020230121936A KR20230121936A KR102638201B1 KR 102638201 B1 KR102638201 B1 KR 102638201B1 KR 1020230121936 A KR1020230121936 A KR 1020230121936A KR 20230121936 A KR20230121936 A KR 20230121936A KR 102638201 B1 KR102638201 B1 KR 10263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r
boarding
car
wire rop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3012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01B1/ko
Priority to KR1020230176416A priority patent/KR102638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7/00Russian swings; Great wheels, e.g. Ferri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광지나 유원지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관람차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형타워(11)와,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카(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도록 하기 위한 관람차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는, 하부 일부가 지상에 설치되는 타워 지지구조물(15)에 의해 고정되어 탑승카(12)의 구동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탑승카(12)는, 와이어로프(13)가 권취된 트랙션 시브(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며, 상기 탑승카(12)는,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의 2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배치되어, 1대의 탑승카가 다른 1대 탑승카의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하며,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제1 와이어 로프(13')와 제2 와이어 로프(13")에 의해 각기 연결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FERRIS WHEEL HAVING PASSENGER CAR MOVING ALONG OUTER CIRCUMFERENCE SURFACE OF FIXED CIRCLE-TYPE TOWER}
본 발명은 관광지나 유원지 등의 야외에 설치되어 탑승객이 주변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관람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타워의 하부 일부를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원형타워 안쪽에 방사상의 보강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강풍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원형타워 구조물에 의해 관람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려한 외관과 조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관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차는, 거대한 원형의 회전륜 둘레에 복수개의 탑승카가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어, 관광지나 유원지 등의 야외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의 관람차에서 회전륜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륜에 매달린 복수의 탑승카도 같이 회전하여,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이 주변의 경치를 관람할 수가 있다.
이러한 관람차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110937호의 "수륙 양용 대관람차"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대관람차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00);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륜(200); 상기 회전륜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곤돌라(300); 및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륜(200)은, 하방 일정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곤돌라(300)는, 내각(310); 상기 내각(31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각(320); 상기 내각 및 외각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곤돌라의 수중 유출입시 해수가 주배수(注排水)되는 밸러스터탱크(Ballast tank)(330); 및 상기 내각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 및 내각에 각각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탱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2에서, 도면부호 110은 방진부재, 230은 곤돌라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륙 양용 대관람차에 의하면, 곤돌라(탑승카)가 회전륜의 자전에 의해 수상 및 수중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곤돌라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수상의 자연환경 뿐 아니라 수중의 해양환경을 순차적으로 관람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런데 도 1 및 2에 도시된 종래의 관람차는, 회전륜(200)의 안쪽에 동력발생부(400)와 각 곤돌라(300)를 연결하는 부재가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하중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거대한 회전륜(200)을 회전시키는 구조이므로,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여 동력발생부(400)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곤돌라(300)가 회전륜(200)과 하나의 지지축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탑승칸이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운행이 어렵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2329453호의 "탑승칸의 지지력이 보강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대관람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대관람차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상향 설치되는 기둥들을 포함하는 지지대(2); 상기 기둥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인 내측면에 복수개의 지지부들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들을 포함하는 회전부(4);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탑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이 형성되며, 양측부가 상기 회전부의 지지부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탑승칸(5)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는, 서로 평행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체(41)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3)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이 형성되는 원형 프레임(411); 일단부가 상기 원형 프레임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상기 원형 프레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골조(412)들;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골조들의 외측단부가 결합되는 내부 링프레임(413);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 링프레임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내부 링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링프레임(414); 상기 내부 링프레임과 상기 외부 링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415)들; 상기 내부 링프레임 및 상기 외부 링프레임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부(416)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6)들은,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내부 링프레임 및 상기 외부 링프레임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측면 지지판(4161);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판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내주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탑승칸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원통부(4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종래의 대관람차에 의하면, 탑승칸의 양측면 및 외주면이 회전부에 설치된 지지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탑승칸의 지지력이 증가된다.
이로써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등이 탑승칸에 의해 가해져도 탑승칸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회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칸의 양측면이 지지프레임들과 볼들에 의해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탑승칸이 지지부들에 의해 측면방향 이동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볼들에 의해 접촉되어 회전 시 발생되는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종래의 대관람차 역시, 거대한 회전륜을 회전시키는 구조이므로,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전륜의 안쪽에 다수의 보강부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풍압의 영향을 많이 받아 약한 바람이 불 경우에도 사고 방지를 위해 운행을 중지하여야 한다.
또한 탑승카가 회전부의 구조물에 둘러싸여 있는 구조이므로, 관람객의 시야를 방해하여 조망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 한국 등록특허 제10-2110937호(2020. 05. 14. 공고) : 한국 등록특허 제10-2329453호(2021. 11. 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원형타워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객이 탑승한 탑승카만 회전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관람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타워 안쪽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바람에 의한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강풍이 아닌 한 관람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형타워 안쪽에 방사상의 보강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관람차의 외부 미감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형타워의 하부 일부를 지면에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관람차의 크기를 대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탑승카를 구동함으로써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를 트윈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탑승카가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구동력으로도 탑승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구동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원형타워 구조물에 의해 관람객의 시야가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형타워의 최상부에 별도의 조망용 스카이라운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관람객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장시간 머물면서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는,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형타워와, 상기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도록 하기 위한 관람차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는, 하부 일부가 지상에 설치되는 타워 지지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어, 탑승카의 구동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탑승카는, 와이어로프가 권취된 트랙션 시브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며, 상기 탑승카는, 제1 탑승카와 제2 탑승카의 2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탑승카와 제2 탑승카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배치되어, 1대의 탑승카가 다른 1대 탑승카의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탑승카와 제2 탑승카는, 제1 와이어 로프와 제2 와이어 로프에 의해 각기 연결되고, 상기 제1 탑승카의 외주면에,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와 제2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탑승카의 외주면에, 제1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와 제2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로프와 제2 와이어 로프가 탑승카 본체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탑승카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 구동장치는, 탑승카를 구동하기 위한 트랙션 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종동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와 종동시브를 양쪽에서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타워의 최상부에 스카이 라운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타워의 하부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상에 탑승카 승강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는, 전방 및 후방에 탑승카 도어를 구비한 탑승카 본체와, 상기 탑승카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한 쌍의 원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에 비상탈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상기 원형 프레임의 내주면과 탑승카 본체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의 탑승카 내부롤러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승카 본체의 내면 바닥에 일정 중량의 웨이트 부재가 구비되어,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탑승카 본체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탑승카 내부 롤러와 접촉하는 탑승카 본체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탑승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프레임의 하부 양쪽 각각에 탑승카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 지지부재의 하부가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 연결부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 연결부재의 양쪽 단부에 탑승카 가이드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람차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타워의 전방 및 후방 외주면에 원호상의 탑승카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탑승카 1대당 구비되어 있는 4개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탑승카 가이드프레임의 내부홈을 따라 원호상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원형타워의 외주면 둘레에, 와이어로프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가이드롤러가 일정 간격을 갖조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타워의 하부 일부가 지반에 매립되고, 지반에 탑승카가 통과하도록 피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륜이 회전하는 통상의 관람차와 달리, 원형타워는 회전하지 않고 승객이 탑승한 탑승카만 회전하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관람차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관람차와 달리 원형타워 안쪽에 별도의 보강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빈 공간을 유지하므로, 바람에 의한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원형 타워의 하부 일부를 지면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탑승카에 구비된 4개의 가이드롤러가 가이드프레임 내부홈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탑승카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강풍이 아닌 한 관람차를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타워 안쪽은 방사상의 보강부재가 없이 빈 공간을 유지하게 되므로, 관람차의 외부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타워의 하부 일부를 지면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관람차의 크기를 대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를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구동함으로써,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랙션 머신과 종동시브 사이에 텐션 유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탑승카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를 트윈형으로 구성할 경우, 하나의 탑승카가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동력을 최소화하여 관람차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 구동부의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구동부를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가 원형타워의 외주면 바깥쪽에서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원형타워 구조물에 의해 관람객의 시야가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여 조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가 자동조심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형타워의 최상부에 별도의 조망용 스카이라운지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관람객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장시간 머물면서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가 있다.
이로써 관람차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관람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카의 상부에 비상탈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비상상황 발생시 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관람차의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곤돌라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대관람차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탑승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탑승카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탑승카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탑승카 이동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의 와이어 로핑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구동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타나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람차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형타워(11)와,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카(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도록 하기 위한 관람차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는, 하부 일부가 지지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어 탑승카(12)의 구동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탑승카(12)는, 와이어로프(13)가 권취된 트랙션 시브(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한다.
즉 본 발명은 원형타워가 회전하는 일반적인 관람차와 달리, 원형타워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탑승카가 와이어로프에 의해 원형타워의 외면을 타고 원호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타워(11)의 최상부에 스카이 라운지(14)가 형성된다.
상기 스카이 라운지(14)는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ge)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카이 라운지(14)에 의해, 승객이 최상층에 도달한 탑승카에서 내린 후, 일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카이 라운지(14)의 양쪽 측면에는 탑승카(12)가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최상부에 정지한 탑승카(12)에서 승객이 승하차 하도록 하기 위한 승강장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타워(11)의 하부에도, 탑승카 승강장(16)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타워(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장(16)은, 스카이 라운지(14)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장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원형타워(11)의 하부 승강장(16)에서 승객이 탑승카(12)에 승하차할 때, 스카이 라운지(14)에 있는 승객이 최상부에 위치한 탑승카(12)에 동시에 승하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탑승카(12)는,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에 탑승카 도어(12c)를 구비한 탑승카 본체(12b)와, 상기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한 쌍의 원형 프레임(1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탑승카(12)는, 타원형 형태의 탑승카 본체(12b) 둘레에 2개의 원형 프레임(12a)이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각 원형 프레임(12a)의 내주면과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탑승카 내부롤러(12d)가 구비된다.
상기한 복수의 내부롤러(12d)에 의해, 탑승카(12)가 원형타워(11)의 원호상을 따라 회전할 때, 탑승카 본체(12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프레임(12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가이드롤러(12g)를 구비한 수평 연결부재(12i)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카 본체(12b)의 내면 바닥에 일정 중량의 웨이트 부재(12e)가 구비된다.
상기 웨이트 부재(12e)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 본체(12b)가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승카 내부 롤러(12d)와 접촉하는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에는,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댐퍼(12j)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12j)는, 탑승카 본체(12b)가 웨이트 부재(12e) 및 내부롤러(12d)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려고 할 때, 일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탑승카 본체(12b)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프레임(12a)의 하부 양쪽 각각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 지지부재(12f)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 지지부재(12f)는 수평 연결부재(12i)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평 연결부재(12i)의 양쪽 단부에는, 탑승카 가이드롤러(12g)가 각각 구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2개의 원형 프레임 중 전방의 원형 프레임(12a)의 하부 양쪽에 2개의 탑승카 지지부재(12f)가 연장되고, 후방의 원형 프레임(12a)의 하부 양쪽에도 2개의 탑승카 지지부재(12f)가 연장된다.
그리고 탑승카를 도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전방 및 후방의 탑승카 지지부재(12f)는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i)와 연결되고, 우측 전방 및 후방의 탑승카 지지부재(12f)는 다른 하나의 수평 연결부재(12i)와 연결된다.
그리고 2개의 수평 연결부재(12i)의 양단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2g)가 구비된다.
이로써 탑승카 1대당 4개의 가이드롤러(12g)가 구비되므로, 탑승카(12)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형타워(11)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2g)가 타고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프레임(12h)이 구비된다.
상기 탑승카 가이드프레임(12h)은,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차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타워(11)의 전방 및 후방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탑승카(12) 1대당 구비되어 있는 4개의 가이드롤러(12g)가, 상기 탑승카 가이드프레임(12h)의 내부홈을 따라 원호상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카 가이드프레임(12h)은, 바깥쪽으로 밀폐된 구조이므로, 탑승카(12)의 이동 중에 가이드롤러(12g)가 이탈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탑승카(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의 2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탑승카의 구동시, 1대의 탑승카가 다른 1대 탑승카의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써 탑승카를 아주 작은 힘으로도 구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관람차의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카가 2대인 경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가, 제1 와이어 로프(13')와 제2 와이어 로프(13")에 의해 각기 연결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탑승카(12')의 외주면에,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a)와 제2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탑승카(12")의 외주면에, 제1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b)와 제2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d)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람차는, 탑승카(120)를 통상의 엘리베이터처럼 와이어로프(13)에 의해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카 구동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a)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탑승카 구동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카를 구동하기 위한 트랙션 시브(17)와, 상기 트랙션 시브(17)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종동시브(18)와, 상기 트랙션 시브(17)와 종동시브(18)를 양쪽에서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19)와, 유압 실린더(19)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19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3)는, 상기 종동시브(18)를 일정한 압력으로 밀어서 트랙션 시브(17)와 와이어로프(13)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와이어로프(13)에 슬립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와이어로프(13)가 5가닥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와이어로프의 가닥수는 탑승카(12)의 중량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로프(13')의 일단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탑승카(12')의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c)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탑승카(12")의 제1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d)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와이어로프(13")의 일단은, 제1 탑승카(12')의 제2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a)에 고정된 후, 트랙션 시브(17) → 종동시브(18) → 트랙션 시브(17)에 차례로 권취된 후, 타단이 제2 탑승카(12")의 제2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b)에 고정된다.
상기한 와이어로프의 로핑방식에 의해, 트랙션 시브(1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와이어로프(13')와 연결된 제1 탑승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탑승카(12')와 제2 와이어로프(13")에 의해 연결된 제2 탑승카(1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가 동시에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원형 프레임(12a)의 내주면과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에 구비된 내부롤러(12d) 및 탑승카 본체(12b)의 하면에 구비된 웨이트 부재(12e)에 의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9 및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타워(11)의 외주면 둘레에, 와이어로프(13)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가이드롤러(13e)가 일정 간격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형타워(11)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원형타워(11)의 하부 일부를 지반에 매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반에는 탑승카(12)가 통과하도록 피트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탑승카의 상부에 비상탈출구(20)가 구비된다.
이로써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카에 있는 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가 있다.
이하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람차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편의상 탑승카가 2대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승객이 하부 승강장(16)에서 탑승카를 호출한 후 제1 탑승카(12')에 탑승한 후 트랙션 시브(1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탑승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형타워(11)의 좌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탑승카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내부롤러(12d) 및 웨이트 부재(12e)에 의해, 탑승카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제1 탑승카(121)가 최상부의 스카이 라운지(14)에 도달하면, 스카이 라운지(14)에서 내리고 싶은 승객이 하차한다.
이때 제2 탑승카(12")는 하부 승강장(16)에 도달하게 되므로, 새로운 승객이 제2 탑승카(12")에 탑승할 수 있다.
이어서 트랙션 시브(17)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제1 탑승카(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시 하부 승강장(16)에 도달하게 되고, 제2 탑승카(12")는 스카이 라운지(14)에 도달하여 내리고 싶은 승객이 내리도록 한다.
즉 탑승카가 2대로 구성되는 경우, 제1 탑승카(12')는 원형타워(11)의 왼쪽부분에서만 승강하고, 제2 탑승카(12")는 원형타워(11)의 오른쪽 부분에서만 승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의 탑승카 도어(12c)가 모두 닫힌 경우에만 트랙션 시브(18)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람차는, 원형타워를 회전시키는 종래의 관람차와 달리, 링 형상의 원형타워(1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탑승카(12)가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의 시야가 원형타워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므로, 승객의 조망감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형타워의 최상부에 투명 재질의 스카이 라운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승객이 원하는 경우 스카이 라운지에 내려서 주변의 경관을 천천히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원형타워의 내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풍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관람차의 미감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풍하중의 영향이 적어지므로 원형타워를 아주 대형화할 수가 있다.
또한 탑승카를 와이어로프에 의해 구동하므로, 구동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유지보수도 간편해진다.
특히 탑승카를 2대만 설치할 경우, 1대가 다른 1대의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아주 작은 힘으로도 트랙션 시브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관람차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탑승카가 4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각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홈을 타고 원호상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탑승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형 프레임(12a)의 내주면과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의 탑승카 내부롤러(12d)가 구비되고, 탑승카 본체(12b)의 내면에 웨이트 부재(12e)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탑승카 본체가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카 내부 롤러(12d)와 접촉하는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댐퍼(12j)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탑승카의 이동시 바람 등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관람차 11: 원형타워(Tower)
12: 탑승카(Car) 12': 제1 탑승카
12": 제2 탑승카 12a: 원형 프레임(Frame)
12b: 탑승카 본체 12c: 탑승카 도어(Door)
12d: 탑승카 내부롤러(Roller) 12e: 웨이트(Weight) 부재
12f: 탑승카 지지부재
12g: 탑승카 가이드롤러(Guide Roller)
12h: 탑승카 가이드프레임(Guide Frame)
12i: 수평 연결부재 12j: 마찰 댐퍼(Damper)
13: 와이어로프(Wire Rope) 13': 제1 와이어로프
13": 제2 와이어로프 13a: 제2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
13b: 제2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 13c: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
13d: 제1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 13e: 와이어로프 가이드롤러
14: 스카이 라운지(Sky Lounge) 15: 타워 지지구조물
16: 하부 승강장 16a: 승강장 도어
17: 트랙션 시브(Traction Sheave) 18: 종동시브
19: 유압실린더(Cylinfer) 19a: 스프링(Spring)
20: 비상탈출구

Claims (19)

  1.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트러스 구조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원형타워(11)와,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카(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카에 탑승한 승객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도록 하기 위한 관람차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는,
    하부 일부가, 지상에 설치되는 타워 지지구조물(15)에 의해 고정되어, 탑승카(12)의 구동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탑승카(12)는,
    와이어로프(13)가 권취된 트랙션 시브(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이동하며,
    상기 탑승카(12)는,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의 2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배치되어, 1대의 탑승카가 다른 1대 탑승카의 카운터웨이트 역할을 하도록 하며,
    상기 제1 탑승카(12')와 제2 탑승카(12")는, 제1 와이어 로프(13')와 제2 와이어 로프(13")에 의해 각기 연결되고,
    상기 제1 탑승카(12')의 외주면에, 제2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a)와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c)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탑승카(12")의 외주면에, 제2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b)와 제1 와이어로프 제2 고정부(13d)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 로프(13')와 제2 와이어 로프(13")가 탑승카 본체(12b)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와이어로프 제1 고정부(13a)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탑승카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 구동장치는,
    탑승카를 구동하기 위한 트랙션 시브(17)와,
    상기 트랙션 시브(17)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종동시브(18)와,
    상기 트랙션 시브(17)와 종동시브(18)를 양쪽에서 연결하는 유압 실린더(19)와,
    유압 실린더(19)의 피스톤 외주면에 구비되는 스프링(19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의 최상부에 스카이 라운지(14)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타워(11)의 하부 일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상에, 탑승카 하부 승강장(1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12)는,
    전방 및 후방에 탑승카 도어(12c)를 구비한 탑승카 본체(12b)와,
    상기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한 쌍의 원형 프레임(1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에 비상탈출구(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원형 프레임(12a)의 내주면과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의 탑승카 내부롤러(12d)가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카 본체(12b)의 내면 하부에 일정 중량의 웨이트 부재(12e)가 구비되어, 탑승카 본체가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때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탑승카 내부 롤러(12d)와 접촉하는 탑승카 본체(12b)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댐퍼(12j)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프레임(12a)의 하부 양쪽 각각에 탑승카 지지부재(12f)가 구비되고,
    상기 탑승카 지지부재(12f)의 하부가, 원형타워(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 연결부재(12i)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i)의 양쪽 단부에 탑승카 가이드롤러(12g)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7. 제 6 항에 있어서,
    관람차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타워(11)의 전방 및 후방 외주면에 원호상의 탑승카 가이드프레임(12h)이 구비되고,
    탑승카(12) 1대당 구비되어 있는 4개의 가이드롤러(12g)가, 상기 탑승카 가이드프레임(12h)의 내부홈을 따라 원호상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의 외주면 둘레에, 와이어로프(13)를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프 가이드롤러(13e)가 일정 간격을 갖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워(11)의 하부 일부가 지반에 매립되고, 지반에 탑승카(12)가 통과하도록 피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차.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30121936A 2023-09-13 2023-09-13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KR10263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936A KR102638201B1 (ko) 2023-09-13 2023-09-13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KR1020230176416A KR102638202B1 (ko) 2023-09-13 2023-12-07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936A KR102638201B1 (ko) 2023-09-13 2023-09-13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416A Division KR102638202B1 (ko) 2023-09-13 2023-12-07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01B1 true KR102638201B1 (ko) 2024-02-19

Family

ID=90055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936A KR102638201B1 (ko) 2023-09-13 2023-09-13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KR1020230176416A KR102638202B1 (ko) 2023-09-13 2023-12-07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6416A KR102638202B1 (ko) 2023-09-13 2023-12-07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82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380A1 (en) * 2002-11-05 2004-05-21 E & J Hall Investments Limited Amusement rides
JP2007105354A (ja) * 2005-10-17 2007-04-26 Taisei Corp 縦連設型観覧車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8100072A (ja) * 2006-09-19 2008-05-01 Goki Agency:Kk 水中、空中観覧装置
JP2008246160A (ja) *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Heavy Ind Ltd 搬送装置
KR20090068160A (ko) * 2007-12-21 2009-06-25 포마갈스키 곤돌라 차가 매달린 페리스 휠 형 탑승 놀이기구
KR102110937B1 (ko) 2018-11-26 2020-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륙 양용 대관람차
KR102329453B1 (ko) 2021-07-26 2021-11-22 오준영 탑승칸의 지지력이 보강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대관람차
KR20220142261A (ko) * 2021-04-14 2022-10-21 윤치영 회전 가능한 놀이기구용 통로 조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1380A1 (en) * 2002-11-05 2004-05-21 E & J Hall Investments Limited Amusement rides
JP2007105354A (ja) * 2005-10-17 2007-04-26 Taisei Corp 縦連設型観覧車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8100072A (ja) * 2006-09-19 2008-05-01 Goki Agency:Kk 水中、空中観覧装置
JP2008246160A (ja) *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Heavy Ind Ltd 搬送装置
KR20090068160A (ko) * 2007-12-21 2009-06-25 포마갈스키 곤돌라 차가 매달린 페리스 휠 형 탑승 놀이기구
KR102110937B1 (ko) 2018-11-26 2020-05-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륙 양용 대관람차
KR20220142261A (ko) * 2021-04-14 2022-10-21 윤치영 회전 가능한 놀이기구용 통로 조립체
KR102329453B1 (ko) 2021-07-26 2021-11-22 오준영 탑승칸의 지지력이 보강되어 안정성이 향상된 대관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202B1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362B2 (en) Tower ride
US3633904A (en) Rotary elevator observation tower
KR20120060882A (ko) 짐벌 방식의 탑승자 캐리지 놀이 기구를 가진 고정형 트랙
US20070238536A1 (en) Ferris Wheel
CN101804936B (zh) 电梯
JP2008188384A (ja) 塔形観覧車
KR102638201B1 (ko)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US7927223B2 (en) Amusement ride
CN107126705B (zh) 游乐场过山车
JP4820018B2 (ja) 観覧車及びこれを備えた高層ビル
CN106714921A (zh) 用于观景摩天轮的可居住支撑结构
JP2002143569A (ja) 観覧車
JP4269077B2 (ja) レクリエーション装置
CN112587937B (zh) 蹦极观光装置
JPH1134861A (ja) 空中・水中両用ロープウェー装置
CN212897860U (zh) 一种可入水的新型观光塔
KR101768808B1 (ko) 승강 회전식 놀이기구
CN212282691U (zh) 一种失衡感体验滚筒及游乐场设备
CN115217361A (zh) 摩天塔
CN215051982U (zh) 悬吊桥面高空游憩设备
KR101546422B1 (ko) 수면에 설치되는 놀이기구
CN115223461B (zh) 一种基于桥体结构的桥下成像***
BE466387A (ko)
KR200244785Y1 (ko) 누드식 본체 구조를 갖는 스윙식 놀이기구
JPS6040081A (ja) 観覧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