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48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748B1
KR102636748B1 KR1020210100691A KR20210100691A KR102636748B1 KR 102636748 B1 KR102636748 B1 KR 102636748B1 KR 1020210100691 A KR1020210100691 A KR 1020210100691A KR 20210100691 A KR20210100691 A KR 20210100691A KR 102636748 B1 KR102636748 B1 KR 10263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exhaust passage
exhaust
trap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410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10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상단에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가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 및 뚜껑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가 형성된 인클로져;, 상기 제2 배기 유로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배기 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되는 중에 상기 제1 배기 유로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제2 배기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흡입 과정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이 되도록 진공 배기한 후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하는 조리기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진공 배기 과정에서 이물질이 배기 유로 내로 유입되면, 진공 펌프까지 이물질이 도달하게 되고, 결국 진공 펌프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상단에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가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 및 뚜껑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가 형성된 인클로져;, 상기 제2 배기 유로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배기 유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되는 중에 상기 제1 배기 유로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제2 배기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인클로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랩 유닛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트랩 유닛 수용홈의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인클로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기홀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는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랩 유닛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트랩 유닛 수용홈의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기홀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기 유로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배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기 유로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폐쇄 상태에 위치할 때에 상기 하부 배기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개방 상태에 위치할 때에 상기 하부 배기 유로와 연결이 끊길 수 있다.
상기 하부 배기 유로의 상단은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상부 배기 유로의 하단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하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뚜껑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부 부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기체를 상기 제2 배기 유로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사이로 유입된 액체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액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부 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한 주연부를 갖는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주연부와 상기 하부 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개재되면,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가 안내 유로 중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상면과 상기 상부 부재의 하면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유입홀과 상기 제1 배기 유로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둘러싸며 상기 뚜껑의 상면과 밀착되는 환형의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체 이물질은 물론 소량의 액체 이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의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하부 인클로져의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이물질 트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진공 배기 중인 상태의 도 10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진공 배기가 완료된 상태의 도 10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인클로져(20)와 이물질 트랩 유닛(1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인클로져(20)는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는 내부에 모터, 진공 펌프, 모터와 진공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 조리기(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베이스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클로져(20)를 구비한 조리기(1)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까지 내부에 수용하는 인클로져에 이물질 트랩 유닛(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인클로져(20)가 상부 인클로져(21)와 하부 인클로져(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종(鐘) 형상의 인클로져에 이물질 트랩 유닛(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용기(30) 및 뚜껑(40)을 더 포함한다.
용기(30)는 상단에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이 투입되는 개구부(31)와 개구부(31)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32)을 포함한다. 용기(30)의 일측에는 손잡이(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가 대략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33)는 측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3)가 측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면, 사용자가 손잡이(33)를 잡고 용기(30) 내의 음식물을 컵이나 그릇 등에 부을 때에, 손잡이(33)의 반대측 모서리가 스파우트(spout)로 기능하게 되므로, 수용 공간(32) 내의 음식물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 공간(32) 내에는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고). 가공 부재(35)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가공 부재(35)는 용기(30)의 하부를 관통하는 회전축(34)에 지지되어 수용 공간(3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용기(30)의 하부에 노출된 회전축(34)의 하부에는 기어(34a)가 형성될 수 있고(도 8 참고), 기어(34a)는 베이스에 구비된 모터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출력축(미도시)과 계합되어, 모터의 회전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뚜껑(40)은 용기(30)의 개구부(3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뚜껑(40)이 용기(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뚜껑(40)은 개구부(31)를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의 상부는 용기(30)의 상단에 안착되고, 뚜껑(40)의 하부는 용기(30)의 개구부(31) 내로 삽입된다.
뚜껑(40)의 상부는 제1 상면부(41), 제2 상면부(42) 및 제3 상면부(43)를 포함한다. 제1 상면부(41)는 뚜껑(40)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3 상면부(41)는 제1 상면부(41)의 내측에 제1 상면부(41)보다 낮게 위치하며, 제2 상면부(42)는 제1 상면부(41)와 제3 상면부(43)를 연결하며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1 상면부(41)의 외곽은 용기(30)의 개구부(31)의 외곽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며,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코너 부분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편(41a)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편(41a)은 사용자가 용기(30)로부터 뚜껑(40)을 분리하고자 할 때 뚜껑(40)을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가락의 지지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제3 상면부(43)의 중앙부에는 제1 배기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배기홀(44)이 형성된다. 제1 배기홀(44)은 제3 상면부(4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3 상면부(43)의 하면에는 방벽부(46)가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둘러싸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방벽부(46)는 수용 공간(32) 내의 기체가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32) 내의 액체나 이물질이 제1 배기홀(44)로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뚜껑(40)의 하부에는 제1 상면부(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45)가 구비된다. 삽입부(45)는 용기(30)의 개구부(31)와 정합되는 형상을 갖고, 용기(3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삽입부(45)의 외측면에는 용기(30)와 뚜껑(4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실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링 부재는 삽입부(45)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용기(3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상부 인클로져의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하부 인클로져의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부 인클로져(21)는 용기(30)의 상부, 전면부,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211), 전면부(212), 측면부(213) 및 후면부(214)를 포함한다.
상면부(211)에는 트랩 유닛 수용홈(216)과 제1 유로 수용부(215)가 구비된다.
트랩 유닛 수용홈(216)은 후술하는 이물질 트랩 유닛(10)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 수용부(215)의 일부와 상면부(21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물질 트랩 유닛(10)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제1 유로 수용부(215) 내에는 상부 배기 유로(217c, 도 8 참고)를 형성하는 상부 배기 튜브(217, 도 8 참고)가 수용된다. 상부 배기 유로(217c)의 일단(217a)은 트랩 유닛 수용홈(216)의 내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이물질 트랩 유닛(10)을 제거할 때에 손가락으로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 수용부(215) 중 트랩 유닛 수용홈(216)의 주변을 형성하는 부분에는 파지홈(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212)는 상면부(211)의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손잡이(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인클로져(21)를 폐쇄 상태(도 1의 상태)에서 개방 상태(도 2의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개방 상태(도 2의 상태)에서 폐쇄 상태(도 1의 상태)로 전환할 때에 손잡이(212a)를 파지한 상태로 상부 인클로져(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측면부(213)는 전면부(212)와 상면부(211) 사이에 형성되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13)는 전방측이 후방측에 비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13)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인클로져(22)의 회전 계합부(221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계합부(213a)가 형성된다. 회전 계합부(213a, 221a)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21)는 하부 인클로져(22)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214)는 측면부(213)와 상면부(211) 사이에 형성되며, 전면부(212)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후면부(214)의 내측면에는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이 노출 형성된다.
하부 인클로져(22)는 용기(30)의 후면과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21)와 후면부(222)를 포함한다.
측면부(221)의 외측에는 전술한 회전 계합부(221a)가 구비된다. 하부 인클로져(22)의 측면부(221)와 상부 인클로져(21)의 측면부(213)는 서로 일부가 중첩되며, 상부 인클로져(21)가 폐쇄 상태에 위치할 때에 하부 인클로져(22)의 측면부(221)와 상부 인클로져(21)의 측면부(213)는 용기(30)의 측면을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21)의 측면부(213)는 내측면의 일부가 하부 인클로져(22)의 측면부(221)의 외측면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222)는 양측의 측면부(22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후면부(222)는 제2 유로 수용부(223), 회전 제한 수용홈(222a) 및 회전 제한면(222b)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222)의 외측면은 회전 제한 수용홈(222a)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함몰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제한 수용홈(222a)은 상부 인클로져(2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부 인클로져(21)의 후면부(214)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회전 제한면(222b)은 회전 제한 수용홈(222a)을 정의하는 형상의 하부를 형성하고, 후방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제한면(222b)은 상부 인클로져(2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후면부(214)를 지지하여, 상부 인클로져(2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부 인클로져(21)의 회전 한계를 설정한다.
제2 유로 수용부(223) 내에는 하부 배기 유로(224c, 도 8 참고)를 형성하는 하부 배기 튜브(224, 도 8 참고)가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은 후면부(222)의 외측면의 상단측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기 유로(224c)의 타단(224b)은 후면부(222)의 내측면의 하단측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과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은 상부 인클로져(21)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서로 정합되도록 구비되고,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과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 및/또는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에는 O-ring 등의 밀봉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은 후면부(222)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인클로져(21)에 구비된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은 후면부(214)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상부 인클로져(21)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이동하면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과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이 자동적으로 연결 및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인클로져(21)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하면 하부 배기 유로(224c)의 일단(224a)과 상부 배기 유로(217c)의 타단(217b)의 연결은 자동적으로 끊기게 된다.
또한, 하부 배기 유로(224c)의 타단(224b)은 베이스에 노출 형성된 진공 유로(미도시)의 단부와 연결된다. 진공 유로는 베이스에 구비된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진공 펌프로부터 발생한 진공압을 하부 배기 유로(224c)로 전달한다.
하부 배기 유로(224c)의 타단(224b)이 후면부(222)의 내측면의 하단측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하부 인클로져(22)가 베이스에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하부 배기 유로(224c)의 타단(224b)와 베이스에 노출 형성된 진공 유로의 단부가 연결 및 밀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 유닛(10)은 상부 인클로져(21)의 트랩 유닛 수용홈(216)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물질 트랩 유닛(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이물질 트랩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종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 유닛(10)은 상부 부재(110), 가동 부재(130) 및 하부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110)는 내부에 기액 분리 공간(113)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기액 분리 공간(113)과 연통하는 제2 배기홀(111)이 관통 형성된다. 제2 배기홀(111)은 기액 분리 공간(113)의 바닥면(115)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액 분리 공간(113)의 바닥면(115)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상부 유입홀(114)이 형성된다. 기액 분리 공간(113)의 바닥면(115)은 복수의 상부 유입홀(114)을 향해 하방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부 유입홀(114)을 통해 기액 분리 공간(113)으로 액체가 유입되더라도 액체의 자중에 의해 액체가 상부 유입홀(114)을 통해 다시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고, 제2 배기홀(111)이 바닥면(115)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존재하므로, 기액 분리 공간(113) 내의 기체만이 제2 배기홀(11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5)의 하부에는 제1 하향 돌출링(116), 제2 하향 돌출링(117) 및 결합링(11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116)은 복수의 상부 유입홀(1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2 하향 돌출링(117)는 제1 하향 돌출링(116)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116)은 제2 하향 돌출링(117)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링(112)은 제2 하향 돌출링(117)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하부 부재(120)는 지지 부재(120a)와 연결 부재(120b)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20a)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13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120a)는 가동 부재(130)를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고, 측벽부의 상부에는 상부 부재(110)의 결합링(11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링(121)이 형성된다.
바닥부의 중앙부에는 가동 부재(130)의 코어부(132)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23)가 구비된다. 지지부(123)는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부(132)의 하부를 수용한다. 코어부(132)의 하부와 지지부(123)는 코어부(132)가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하되, 코어부(132)의 하부가 지지부(123)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상보적 구조를 갖는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3)의 주변에는 바닥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하부 유입홀(124)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입홀(124)의 주변에는 가동 부재(130)의 차단 플레이트(131)를 지지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122)가 구비된다. 돌기(122)는 가동 부재(130)의 차단 플레이트(131)가 하부 부재(120)의 바닥부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120)의 측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하부 유입홀(124)을 향한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하향 경사면은 하부 부재(120) 내로 유입된 액체가 자중에 의해 하부 유입홀(124)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연결 부재(120b)는 지지 부재(120a)를 둘러싸며 지지 부재(120a)에 결합되는 결합부(128)와 결합부(12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환형의 밀착부(129)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 위치한 상부 인클로져(21)에 결합된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밀착부(129)는 뚜껑(40)의 제3 상면부(43) 상에 밀착된다. 밀착부(129)가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둘러싸며 제3 상면부(43) 상에 밀착되므로, 복수의 제1 배기홀(44)과 하부 유입홀(124) 사이가 밀폐된다.
결합부(128)와 밀착부(129)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부(129)와 뚜껑(40)의 제3 상면부(43)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부재(130)는 코어부(132)와 차단 플레이트(131)를 포함한다.
코어부(132)의 하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재(120)의 지지부(12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코어부(132)의 상부는 상부 부재(110)의 복수의 상부 유입홀(114) 및 제1 하향 돌출링(116)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코어부(132)의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하향 돌출링(116)과 마주하며 코어부(132)의 상부의 중앙부에 비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림(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31)는 코어부(13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향 돌출링(117)의 하부에 위치한다. 차단 플레이트(131)는 주연부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물질 트랩 유닛(10)은 하부 유입홀(124),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의 사이, 제2 하향 돌출링(117)과 차단 플레이트(131)의 사이, 돌출림(132a)과 제1 하향 돌출링(116) 사이, 상부 유입홀(114), 기액 분리 공간(113) 및 제2 배기홀(111)로 이어지는 연결 유로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의 상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조리기(1)의 진공 과정 및 상부 인클로져(21)의 개폐 동작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 유닛(10)이 상부 인클로져(21)에 결합되면, 상부 배기 유로(217c)의 일단(217a)과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제2 배기홀(111)이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상부 배기 유로(217c)와 연결 유로가 연결된다.
상부 인클로져(21)가 폐쇄 상태에 위치하면, 제2 배기 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배기 유로(217c)와 하부 배기 유로(224c)가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되고,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밀착부(129)와 뚜껑(40)의 상면이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되므로, 연결 유로와 제1 배기 유로가 연결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 인클로져(22)가 베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하부 배기 유로(224c)는 베이스의 진공 유로와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 펌프가 작동하면, 제2 배기 유로 - 연결 유로- 제1 배기 유로 - 수용 공간(32)이 누설없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용 공간(32)의 기체가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통해 유입된다.
수용 공간(32) 내의 기체가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32) 내의 액체나 이물질은 방벽부(46)에 의해 제1 배기홀(44)로 유입되는 것이 1차적으로 차단된다.
제1 배기홀(44)을 통과한 기체는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연결 유로를 통해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배기홀(44)을 통과한 기체는 복수의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고, 이후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의 사이를 통과하고, 제2 하향 돌출링(117)과 차단 플레이트(131)의 사이를 통과하고, 돌출림(132a)과 제1 하향 돌출링(116) 사이를 통과한 후, 상부 유입홀(114)을 통과하여 기액 분리 공간(113)으로 진입한 후 제2 배기홀(111)을 통해 제2 배기 유로로 진행한다.
수용 공간(32)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수용 공간(32) 내부의 액체 등이 제1 배기홀(44)을 통과하여 이물질 트랩 유닛(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과정에서 식재료가 튀어 제1 배기홀(44)로 유입되거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거품이 상승하여 제1 배기홀(44)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까지 도달하면 진공 펌프가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이물질 트랩 유닛(10)은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고체 이물질이 제1 배기홀(44)과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한 경우,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고체 이물질은 차단 플레이트(131)에 의해 가로막히고, 결국 자중에 의해 하부 유입홀(124) 측으로 낙하하여 하부 부재(120)의 바닥면 상에 남거나,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여 뚜껑(40) 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진공압에 의해 수용 공간(32)으로부터 다량의 액체가 제1 배기홀(44) 및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여 이물질 트랩 유닛(10) 내로 유입되고, 하부 부재(120)의 바닥과 차단 플레이트(131) 사이가 액체로 가득 차게 되면 액체에 의한 부력으로 가동 부재(130)가 상승하고, 돌출림(132a)과 제1 하향 돌출링(116) 및/또는 차단 플레이트(131)와 제2 하향 돌출링(117)이 서로 맞닿으며 연결 유로가 차단되며 액체가 연결 유로를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고 진공 배기가 중단된다.
수용 공간(32)으로부터 소량의 액체가 제1 배기홀(44) 및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여 이물질 트랩 유닛(10) 내로 유입되면 대부분의 액체는 차단 플레이트(131)의 바닥면에 충돌한 후,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하부 부재(120)의 바닥면 상에 남거나,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여 뚜껑(40) 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진공압에 의해 일부 소량의 액체가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소량의 액체는 이 간극을 통과하지 못하고 간극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면, 연결 유로가 폐쇄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여 가동 부재(130)가 진공압에 의해 상승하고, 돌출림(132a)과 제1 하향 돌출링(116) 및/또는 차단 플레이트(131)와 제2 하향 돌출링(117)이 서로 맞닿으며 연결 유로가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이물질 트랩 유닛(10)은 제1 배기 유로를 통과한 이물질이 제2 배기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 펌프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진공 펌프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하고, 인클로져(20) 내에 수용되어 쉽게 분리/세척할 수 없는 제2 배기 유로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기(1)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진공 배기 중인 상태의 도 10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진공 배기가 완료된 상태의 도 10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와 비교하여, 뚜껑(40)에 체크 밸브(47)를 더 포함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7)는 제1 배기홀(44)이 형성된 제3 상면부(4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배기홀(44)을 개폐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면부(43)의 상부로 노출되는 체크 밸브(47)의 상부는 제1 배기홀(44)을 전부 폐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7)가 상승하여 제1 배기홀(44)을 개방한 상태에서 체크 밸브(47)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상면부(43)의 하부에 위치하는 체크 밸브(47)의 하단에는 스토퍼(47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트랩 유닛(10)의 밀착부(129)가 뚜껑(40)의 제3 상면부(43) 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가 작동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에 의해 체크 밸브(47)가 상승하여 제1 배기홀(44)이 개방되고, 수용 공간(32)의 기체는 복수의 제1 배기홀(44)을 통해 배기된 후, 복수의 하부 유입홀(124)을 통과하고, 이후 차단 플레이트(131)와 하부 부재(120)의 내측면의 사이를 통과하고, 제2 하향 돌출링(117)과 차단 플레이트(131)의 사이를 통과하고, 돌출림(132a)과 제1 하향 돌출링(116) 사이를 통과한 후, 상부 유입홀(114)을 통과하여 기액 분리 공간(113)으로 진입한 후 제2 배기홀(111)을 통해 제2 배기 유로로 진행한다.
진공 펌프의 작동이 멈추고, 이물질 트랩 유닛(10)과 뚜껑(40) 사이의 공간, 구체적으로, 밀착부(129)가 둘러싸는 제3 상면부(43) 상부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7)는 제3 상면부(43) 상부 공간과 수용 공간(32) 사이의 압력 차로 인해 하강하고, 체크 밸브(47)의 상부가 제1 배기홀(44)에 밀착되면서 제1 배기홀(44)을 폐쇄하여, 수용 공간(32) 내부가 음압 상태로 유지된다.
상부 인클로져(21)가 하부 인클로져(22)에 대해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서, 이물질 트랩 유닛(10)과 뚜껑(40)이 분리되더라도, 체크 밸브(47)가 제1 배기홀(44)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수용 공간(32)이 음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조리기 10: 이물질 트랩 유닛
21: 상부 인클로져 22: 하부 인클로져
30: 용기 31: 개구부
32: 수용 공간 33: 손잡이
40: 뚜껑 41: 제1 상면부
41a: 돌출편 42: 제2 상면부
43: 제3 상면부 44: 제1 배기홀
45: 삽입부 46: 방벽부
47: 체크 밸브 47a: 스토퍼
110: 상부 부재 111: 제2 배기홀
113: 기액 분리 공간 114: 상부 유입홀
115: 바닥면 116: 제1 하향 돌출링
117: 제2 하향 돌출링 120: 하부 부재
120a: 지지 부재 120b: 연결 부재
122: 돌기 123: 지지부
124: 하부 유입홀 128: 결합부
129: 밀착부 130: 가동 부재
131: 차단 플레이트 132: 코어부
215: 제1 유로 수용부 215a: 파지홈
216: 트랩 유닛 수용홈 217c: 상부 배기 유로
222a: 회전 제한 수용홈 222b: 회전 제한면
223: 제2 유로 수용부 224c: 하부 배기 유로

Claims (12)

  1. 상단에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가 형성된 뚜껑;
    상기 용기 및 뚜껑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가 형성된 인클로져;
    상기 제2 배기 유로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뚜껑의 상면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2 배기 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기체가 배기되는 중에 상기 제1 배기 유로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제2 배기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유닛을 포함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인클로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랩 유닛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트랩 유닛 수용홈을 향해 노출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인클로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기홀이 일측에 형성되는, 조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랩 유닛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트랩 유닛 수용홈을 향해 노출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의 일단과 연결되는 배기홀이 일측에 형성되는,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유로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배기 유로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배기 유로를 포함하는,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기 유로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폐쇄 상태에 위치할 때에 상기 하부 배기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개방 상태에 위치할 때에 상기 하부 배기 유로와 연결이 끊기는, 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기 유로의 상단은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상부 배기 유로의 하단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하부에 노출되는,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트랩 유닛은,
    상기 뚜껑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배기 유로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부 부재,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기체를 상기 제2 배기 유로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 사이로 유입된 액체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액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하는, 조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부 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한 주연부를 갖는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주연부와 상기 하부 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개재되면, 상기 안내 유로를 통해 전달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안내 유로를 폐쇄하는, 조리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 중 일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상면과 상기 상부 부재의 하면 사이의 공간인, 조리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과 상기 제1 배기 유로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둘러싸며 상기 뚜껑의 상면과 밀착되는 환형의 밀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
KR1020210100691A 2019-07-05 2021-07-30 조리기 KR10263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91A KR102636748B1 (ko) 2019-07-05 2021-07-30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52A KR102287287B1 (ko) 2019-07-05 2019-07-05 조리기
KR1020210100691A KR102636748B1 (ko) 2019-07-05 2021-07-30 조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2A Division KR102287287B1 (ko) 2019-07-05 2019-07-05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410A KR20210098410A (ko) 2021-08-10
KR102636748B1 true KR102636748B1 (ko) 2024-02-15

Family

ID=741139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2A KR102287287B1 (ko) 2019-07-05 2019-07-05 조리기
KR1020210100691A KR102636748B1 (ko) 2019-07-05 2021-07-30 조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52A KR102287287B1 (ko) 2019-07-05 2019-07-05 조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40722A1 (ko)
EP (1) EP3995054A4 (ko)
JP (1) JP7357755B2 (ko)
KR (2) KR102287287B1 (ko)
CN (1) CN114144097B (ko)
AU (1) AU2019455916B2 (ko)
WO (1) WO20210064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3144A (en) * 1988-08-26 1989-11-28 Haushalter Frederick W Noise absorbing housing for a blender
US5957577A (en) * 1997-10-01 1999-09-28 K-Tec, Inc. Enclosure apparatus for processing devices
JP3966531B2 (ja) * 1999-05-31 2007-08-29 東芝機器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US6571908B2 (en) * 2001-08-20 2003-06-03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Shielding enclosure
WO2005051149A1 (en) * 2003-11-25 2005-06-09 Conair Corporation Improved blender and sound-dampening enclosure
US7520663B1 (en) * 2005-08-10 2009-04-21 Vita-Mix Corporation Enclosure for a food processor
US7686952B2 (en) * 2006-01-24 2010-03-30 Bivens Thomas H Liquid filtering apparatus
US8287180B2 (en) * 2008-07-21 2012-10-16 Vita-Mix Corporation Enclosure for a blender
US8087603B2 (en) * 2008-08-15 2012-01-03 Vita-Mix Corporation Sealing enclosure for a blender
JP5639136B2 (ja) * 2012-10-05 2014-12-10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US20140217211A1 (en) * 2013-02-04 2014-08-07 Hamilton Beach Brands, Inc. Kitchan Appliance With Quiet Shield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506497B1 (ko) * 2014-02-20 2015-03-30 주식회사 로이첸 하나의 밸브로 냄비의 일정압력 유지와 진공유도를 위한 밸브가 장착된 조리용 냄비
CN106231966A (zh) * 2015-03-30 2016-12-14 杰世科技有限公司 料理机
CN105534313B (zh) * 2015-04-28 2019-03-19 周林斌 磨豆咖啡壶机器的粉碎过滤装置
CN206182991U (zh) * 2016-08-04 2017-05-24 唐行中 一种蒸汽加热的食物料理机
CN206462899U (zh) * 2016-10-26 2017-09-05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效果好的真空料理机
CN206499388U (zh) * 2016-10-30 2017-09-19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搅拌机
AU2018100064B4 (en) * 2016-11-17 2018-05-10 Nuc Electronics Co., Ltd. Blender
KR101804162B1 (ko) * 2016-11-17 2017-12-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US10405686B2 (en) * 2017-01-16 2019-09-10 A. J. Antunes & Co. Food cooking appliance utilizing super-heated steam for cooking food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EP3424380A1 (en) * 2017-07-06 2019-01-09 Koninklijke Philips N.V. A food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jar
US10376102B2 (en) * 2017-07-19 2019-08-13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with quiet shield
WO2019022398A1 (ko) * 2017-07-24 2019-01-31 안중근 진공블렌더
KR102096518B1 (ko) * 2017-08-18 2020-04-02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US10750907B2 (en) * 2017-11-07 2020-08-25 Nuc Electronics Co., Ltd. Food processor
EP3427620B1 (en) * 2017-11-08 2020-06-17 NUC Electronics Co., Ltd. Food processor
KR102374738B1 (ko) * 2017-11-28 2022-03-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CN110236422B (zh) * 2018-03-07 2022-03-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抽真空装置和食物料理机
CN108378725B (zh) * 2018-05-03 2024-05-24 广东昌盛电器有限公司 一种改进真空装置的料理杯
KR102082394B1 (ko) * 2019-04-29 2020-02-27 씨티엠(주)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9806A (ja) 2022-09-13
EP3995054A1 (en) 2022-05-11
EP3995054A4 (en) 2023-08-23
WO2021006435A1 (ko) 2021-01-14
CN114144097B (zh) 2023-05-26
US20220240722A1 (en) 2022-08-04
KR102287287B1 (ko) 2021-08-09
AU2019455916A1 (en) 2022-02-03
CN114144097A (zh) 2022-03-04
KR20210004671A (ko) 2021-01-13
JP7357755B2 (ja) 2023-10-06
KR20210098410A (ko) 2021-08-10
AU2019455916B2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978B1 (ko)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102096518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EP0619070B1 (en) External filtration device particularly for aquariums and ornamental water tanks
CA2562459C (en) Liquid aspirator
KR102636748B1 (ko) 조리기
KR101836074B1 (ko)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KR102525571B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KR102257104B1 (ko) 조리기
CN111281161A (zh) 蒸汽阀及烹饪器具
JP6694615B2 (ja) ポンプ用回転羽根部材および排水ポンプ
KR101576389B1 (ko) 발효식품용기의 안전구조를 갖춘 뚜껑
KR102287286B1 (ko) 진공 조리기용 용기
CN110141113B (zh) 饮水装置
JP5874370B2 (ja) 液体容器
US11944237B2 (en) Blender
CN220236730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2281049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CN216416828U (zh) 饮品冲泡设备
CN213850254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8683935U (zh) 杯盖组件、搅拌杯组件及料理机
JP5874371B2 (ja) 液体容器
US3014642A (en) Centrifugal separator
KR20230064058A (ko) 공기배출구가 적용된 용기
KR20240010863A (ko) 회전교반유닛이 장착된 진공블렌더
CN117377417A (zh) 装配异物接收件的真空破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