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38B1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38B1
KR102374738B1 KR1020180073180A KR20180073180A KR102374738B1 KR 102374738 B1 KR102374738 B1 KR 102374738B1 KR 1020180073180 A KR1020180073180 A KR 1020180073180A KR 20180073180 A KR20180073180 A KR 20180073180A KR 102374738 B1 KR102374738 B1 KR 10237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blender
soundproof cover
vacuu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123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599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7390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8007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 진공 블렌더의 본체가 차지하는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본체에 대한 용기의 착탈이 방해 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고,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공 부재 및 상측 개구에 기밀하게 장착되는 용기 덮개를 갖는 용기;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제1 진공 튜브; 상기 용기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탈착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에 의해서 일단의 개구가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폐쇄되는 방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일 측 단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블렌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렌더{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블렌더의 용기 내에서 음식 재료를 가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하부 내측에 가공 날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용기 내에 과일, 야채 등과 같은 음식 재료를 넣고 덮개를 닫은 후 용기의 외부에 장착된 구동 장치의 동력을 가공 날에 제공하여, 용기 내의 음식 재료가 혼합, 분쇄 등과 같은 가공 절차를 겪도록 하는 것으로서, 바쁜 현대 사회에서 신속하게 쥬스, 스프 등을 제조할 수 있어,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블렌더의 용기 내에서 가공되는 음식 재료가 더욱 신선한 상태에서 가공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진공 블렌더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진공 블렌더는 용기의 내부를 감압 상태(낮은 산도 농도)로 유지하면서 음식 재료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 재료의 갈변, 산화, 영양소 파괴 등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가공된 음식 재료에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어, 가공된 음식 재료의 식감 내지 시각적인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 블렌더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18729에 개시되고, 도 1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 블렌더(100)는, 내부에 모터(240) 및 진공 펌프(230)를 수용하고, 조작 버튼(220)이 표면으로 배치되는 조작부(200)가 마련되는 본체(210); 본체(2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내부의 바닥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믹서날(515)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510)로 구성되는 진공 분쇄부(500); 진공 분쇄부(500)의 측벽을 따라서 본체(2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00); 및 지지부(30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저장 용기(510)의 상단과 연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진공 감압부(4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 블렌더(100)에서, 지지부(300)가 본체(210)와 일체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저장 용기(510)가 본체(210)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도 블렌더(100)의 높이가 크므로, 수납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300)가 용기(510)의 일측을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510)의 제거나 장착을 위해서 본체(210)로 접근할 때 장애 요소가 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어떤 위치에서는 지지부(300)에 의해 용기(510)가 가려 용기(510)의 내부를 시인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여, 음식 재료의 가공 상태 파악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의 상부에는, 용기(510)의 상측에 연결된 밀봉 덮개(530)에 형성된 배기 홀과 연통될 수 있는 제1 진공실(530)이 형성된 진공 감압부(4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감압부(400)는 용기(510) 상단의 밀봉 덮개(530)에 의해서 하측으로부터 지지되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어, 용기(510)가 없는 경우에는 하측에서 지지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지나치게 하측으로 회동되어 힌지부(310) 등에서 큰 스트레스가 발생되어 파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용기(510)가 본체(210)의 상부에 작동가능하게 안착되면, 본체(210) 내부의 모터(240)의 구동력은 회전 베이스(250)에, 그리고 이와 마찰 또는 요철 결합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512)에, 그리고 하부 패킹(517) 및 베어링(516)에 의해서 회전 지지되는 회전 샤프트(514)에 전달되고, 따라서, 회전 샤프트(514) 단부에 연결된 믹서날(515)이 용기(51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모터(240)의 구동력을 용기(510) 내부의 믹서날(515)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에는 구성 요소 간의 기계적인 마찰이 많이 발생되므로, 블렌더(100) 작동 중에, 사용자 및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까지 불편을 초래할 정도로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용기(510) 내부의 믹서날(515)이 음식 재료를 분쇄할 때에도 이들 간의 마찰 및 충돌에 의해서 큰 소음이 발생되고, 또한, 진공 펌프(230)에 동작에 의해서 제1 진공실(450) 및 제2 진공실(580)의 공기가 배기될 때, 제2 진공 마개(540), 연결 노즐(440) 등을 지나가는 공기가 이들과 마찰하는 등에 의해서도 큰 소음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18729 (2016년 04월 29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 블렌더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되지 않을 때 블렌더의 본체가 차지하는 수납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본체에 대한 용기의 장착 및 탈착이 방해받지 않고 둘레 어느 곳으로부터라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고,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공 부재 및 상측 개구에 기밀하게 장착되는 용기 덮개를 갖는 용기;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제1 진공 튜브; 상기 용기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탈착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에 의해서 일단의 개구가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폐쇄되는 방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내부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덮개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기 방음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배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배기홀 근처에 배치되는 제2 진공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홀과 밀착되게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홀과 밀착되게 접촉되기 위한 흡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방음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방음 커버와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방음 커버의 이중 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흡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방음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복수의 일측 단부 중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일 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방음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는 측벽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손잡이를 통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의 상측 벽은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보조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 커버에는 상기 보조 투입부가 외부로 노출되게끔 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여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방음 커버 외부로 돌출되게끔 절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접촉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방음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압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공 부재 및 상측 개구에 기밀하게 장착되는 용기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제1 진공 튜브; 상기 용기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탈착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에 의해서 일단의 개구가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폐쇄되는 방음 커버로서,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방음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의 외측에 노출되는, 상기 방음 커버; 및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배기홀 근체에 배치되는 제2 진공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분해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진공 블렌더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분해된 상태에서 연결부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분해된 상태에서 연결부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가동 접촉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가동 접촉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블렌더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 및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진공 펌프(30)를 수용하는 본체(10); 및 용기(20)를 수용하고,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음 커버(5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는 진공 블렌더를 사용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진공 블렌더일 필요는 없으며, 일반 블렌더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20)는 본체(10)에 제거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고, 내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음식 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 예를 들어 믹서날(23)을 구비할 수 있다. 용기(20)의 상측 개구에는 용기 덮개(21)가 기밀하게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측에는 용기(20)의 안착을 돕고, 모터(11)의 구동력을 용기(20)의 믹서날(23)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이 배치될 수 있는 안착부(13)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작동부가 있어, 사용자가 작동부의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진공 블렌더를 필요에 따라서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작동부 조작에 의해서 모터(11) 또는 진공 펌프(30)의 동작이 조절될 수 있다.
모터(11)는 용기의 믹서날(23)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모터(11)의 축(12)은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어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회전 베이스(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베이스는 용기(20)의 하부 외측에 마련되어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회전 플레이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는 회전 샤프트(22)와 연결되고, 회전 샤프트(22)의 용기(20) 내측 단부에는 가공 부재, 예를 들어 믹서날(23)이 연결된다.
진공 펌프(30)는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인 포트(미도시)로부터 진공 튜브(35; 제1 진공 튜브(또는 유로))가 연장될 수 있다. 진공 펌프(30)는 모터(11)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수도 있으나, 별도의 구동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진공 펌프(30)의 흡인 포트에 연결된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1)는, 예를 들어 본체(10)의 상측 표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노출된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1)는, 후술되는 방음 커버(50)가 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되면, 방음 커버(50)의 하단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진공 튜브(35; 제2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3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펌프(30)의 흡인력이 방음 커버(50)의 내부에 있는 진공 튜브(35)를 통해서 접촉부(33)와 밀착되는 덮개(21)의 배기홀(24)에 전달되어, 용기(20) 내부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진공 펌프(30)에는 이와 같이 흡인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포트(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배기홀이 용기(20)의 덮개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20) 자체의 어느 일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진공 펌프(30)는 작동 후 미리결정된 기간 동안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작동이 종료되면, 실질적으로 진동 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용기(20)의 하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착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에는 모터(11)의 축과 연결된 회전 베이스가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용기(20)는 하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공 부재로서 믹서날(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믹서날(23)은 회전 샤프트(22)를 통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모터(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용기(20)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강화 유리로 만들어져 내부가 사용자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다.
용기(20)의 상단의 개구에는 기밀하게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1)가 마련된다. 덮개(21)는 후술되는 방음 커버(50)의 접촉부(33)와 연통될 수 있는 배기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홀(24)의 주위에는 오목부(27)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접촉부(33)와의 밀착시에 기밀성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홀(24)에는 배기만 가능하고 용기(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일종의 체크 밸브(29)가 마련될 수도 있다.
방음 커버(50)는 용기(20)의 상측으로부터 용기(20) 및 용기 덮개(21)를 덮도록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방음 커버(50)는, 예를 들어 상측 단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음 커버(50)의 측벽(54)에는 방음 커버(50)의 하단으로부터 접촉부(33)까지 연장되는 진공 튜브(35; 제2 진공 튜브)가 배치될 수 있다. 방음 커버(50)에 마련되는 진공 튜브(35)는 별도의 튜브일 수도 있으나, 방음 커버(50)의 측벽(54)의 일부를 이중으로 하여, 즉, 내측벽(51)을 형성함으로써 이중 벽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음 커버(50)의 상측 벽(52)에는, 방음 커버(50)가 몸체(10)에 장착되면, 용기 덮개(21)의 배기홀(24)과 연결되기 위한 접촉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33)의 하측으로 제2 진공 튜브(35)의 타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접촉부(33)는 상측벽(52)의 하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 바디(36)와 돌출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착 부재(34)이 마련될 수 있다. 흡착 부재(34)의 중앙부에는 제2 진공 튜브(35)의 타측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접촉부(33)의 하측면에는 접촉부(33)와 덮개(21) 사이 연결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흡착 부재(34)가 마련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이 경우, 덮개(21)의 배기홀(24) 주변부에 형성된 오목부(27)와 협력하여,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진공 펌프(30)와 연결되는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는, 방음 커버(50)가 장착될 때, 방음 커버(50)에 의해서 덮이는 본체(10)의 상측 표면 외측으로, 즉 방음 커버(50) 내부 공간의 외측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음 커버(50)에 배치되는 진공 튜브(35)는 방음 커버(50)의 외측 표면에 별도의 관 부재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방음 커버(50)가, 예를 들어 본체(10)의 상측에 장착되면, 진공 펌프(30)의 흡인력은 진공 튜브(35)를 통해서 접촉부(33)에 전달되고, 접촉부(33)로부터 덮개(21)의 배기홀(24)을 통해서 용기(20) 내부에 전달되어, 용기(2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 내부의 산소 밀도를 낮출 수 있어, 용기(20) 내부에서 음식 재료를 가공하는 부재, 예를 들어 믹서날(23)에 의해서 가공되는 음식 재료의 색깔 변화 억제, 산화 억제, 영양소 파괴 감소, 기포 발생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용기(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밸브(29) 등을 지나면서 소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방음 커버(50)에 의해서 외부로 전파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방음 커버(50)가, 예를 들어 본체(10)에 장착되면, 방음 커버(50)는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된 안착부(13)도 덮는다. 따라서, 모터(11)의 구동력을 용기(20)의 믹서날(23)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에서 발생되는 기계적인 소음 및 믹서날(23)과 음식 재료의 부딪힘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사용자 및 주위 사람들의 소음으로 인한 불편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진공 펌프(30)에 의해서 방음 커버(50)와 본체(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예를 들어 접촉부(33)의 흡착 부재(34)을 제거함으로써,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진공 펌프(30)의 흡인 포트에 연결되는 제1 진공 튜브(또는 유로)를 방음 커버(50)에 의해서 덮이는 본체(10)의 상측 표면에 연통시킴으로써(도 15 참조)), 소음 찬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기계적 마찰음과 같은 소음은 공기를 매질로 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방음 커버(5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함으로써, 공기 밀도를 낮추면, 소음 전달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방음 커버(50)는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에 용기(20)를 장착하거나, 본체(10)로부터 용기(20)를 제거하는 작업이 진공 블렌더의 전체 둘레 어느 곳으로부터도 가능하다. 또한, 진공 블렌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방음 커버(50)가 완전히 제거되므로, 본체(10)를 수납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음 커버(50)가 본체(10)로부터 제거될 때, 방음 커버(50) 내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밸브(미도시)가, 예를 들어 본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밸브는 진공 펌프(30)의 인입 포트와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1) 사이의 진공 튜브(35)에 배치되어, 진공 해제 시에 외부 공기가 방음 커버(5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음 커버(50)는 용기(20)와 함께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용기(20) 내부를 전체 둘레로부터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방음 커버(50)가 손잡이(55)를 갖는 점이다. 손잡이(55)는, 예를 들어 방음 커버(50)의 측벽(54)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5)가 측벽(54)의 종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진공 튜브(35)가 손잡이(55)를 통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잡이(55) 부분은 두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진공 튜브(35)가 내부에 용이하게 매립될 수 있다. 진공 튜브(35)는 별도의 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손잡이(55)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방음 커버(50)의 하단과 본체(10)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의 개략적인 측단면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본체(10)에 장착된 방음 커버(50)의 위치가 본체(10)의 상측 표면 상에서 측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결정부(53)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방음 커버(50)의 하단 내측에는 방음 커버(50)의 폭 또는 내측 직경 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되어,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안착부(13)와 밀착될 수 있는 위치결정부(53)가 형성된다. 위치결정부(53)는, 예를 들어 환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간헐적으로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1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위치결정부(53)가 방음 커버(50)의 평면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 펌프(30)에 연결된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1)와 방음 커버(50)에 마련되고 방음 커버(50)의 하단에 위치되는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2) 사이의 연결 상태가 신뢰성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방음 커버(50)의 하단에 복수의 진공 튜브(35) 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이 복수의 진공 튜브(35) 일측 단부는 연결관(135)에 의해서 진공 튜브(35)와 그리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진공 튜브(35) 일측 단부 중 어느 하나를 본체(10)의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31)와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방음 커버(50)의 장착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되지 않은 복수의 진공 튜브(35)의 단부는 본체(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차단부(14)에 의해서 폐쇄될 수도 있으나, 폐쇄되지 않고 방음 커버(50)의 내부 공기를 배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다른 진공 블렌더의 방음 커버와 본체가 연결되는 연결 부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위치결정부(153)가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접근되는 제1 경사면(153)을 갖고, 안착부(13)의 가장자리는 위치결정부(53)의 제1 경사면(153)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113)을 갖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며,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위치결정부(53)의 하측 폭 또는 직경이 크고, 반면 안착부(13) 상측의 폭 또는 직경은 작기 때문에, 안착부(13)가 위치결정부(53)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방음 커버(50)의 안착부(13)에 대한 연결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53)와 안착부(13)에서, 각각 돌출부(미도시) 및 이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커버(50)의 본체(10)에 대한 정렬을 그리고 장착 상태의 유지를 도울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방음 커버의 상부의 개략적인 측단면이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접촉부(33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방음 커버(50)의 상측 벽(52)에 홀이 형성되고, 접촉 바디(136)가 이 홀에서 기밀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의 높이에 따라서, 접촉 바디(136)를 상하로 위치 조정하여 접촉부(33a)가 덮개(21)의 배기홀(24)과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기밀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는, 접촉 바디(136)는 한번 하측으로 눌리면, 하측 위치에 고정되고, 다시 한번 더 하측으로 눌리면,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방음 커버의 상부의 개략적인 측단도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방음 커버(50)의 상측 벽(152)이 개폐 도어로 구성되는 점이다. 개페 도어(152)는 방음 커버(50)의 측벽(54)의 일측 상단에 힌지(56)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152)의 닫힘 상태 유지를 위해서, 개폐 도어(52)의 힌지(56)에 대한 반대측 단부에는 걸림 부재(58)가 마련될 수도 있고, 측벽(54)의 상단에는 걸림 부재(58)가 걸릴 수 있는 돌기(59)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가, 방음 커버(50)가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용기(20) 내부로의 음식물 내지 재료의 투입을 허여할 수 있는 보조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보조 투입부(80)는 용기(20)의 덮개(21)에 형성되는 홀(85)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82); 및 연장부(82)의 상측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보조 뚜껑(81)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82)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서 패킹(83)을 거쳐 덮개(21)의 홀(8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장부(82)의 상단은 방음 커버(50)의 상측 벽(52)에 형성되는 개구(86)와 밀착될 수 있다(도 9의 A 참조). 이때 연장부(82)와 상측 벽(52)의 밀착되는 연결을 위해서 연장부(82)의 외측 표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 접촉부(87)가 형성될 수 있다.
방음 커버(5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보조 투입부(80)의 보조 뚜껑(81)은 연장부(82)를 폐쇄하는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도 9의 B 참조). 보조 뚜껑(81)은 연장부(82)를 기밀하게 폐쇄하기 위해서, 보조 뚜껑(81)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부(82)의 내측 표면에 밀착되는 삽입부(8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82)의 내측 표면에는, 삽압부(84)에 대응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어, 보조 뚜껑(81)과 연장부(82) 사이의 기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기홀(24)은 보조 투입부(80)의 근처에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접촉부(33b)의 흡착 부재(34) 등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경우, 용기(120)의 측벽에 용기(120)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여할 수 있는 배출부(125)가 형성되는 점이다.
배출부(125)는 용기(120)의 하부 측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부(125)의 자유 단부에는 배출부(125)의 개폐를 위한 밸브(126)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25)는 방음 커버(5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방음 커버(50)는,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부(125)의 자유단부가 방음 커버(5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결부(154; 도 10의 A 참조)가 방음 커버(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154)는, 예를 들어 방음 커버(5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방음 커버(50)를 본체(10)에 장착할 때, 배출부(125)가 삽입될 수 있다.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이 되면, 절결부(154)의 상단부분에 배출부(125)의 외측 표면이 형상맞춤되도록 밀착될 수 있고, 나머지 개방된 절결부(154)는, 예를 들어, 배출부(125)의 하측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폐쇄부(167)에 의해서, 폐쇄되거나(도 10의 B 참조), 또는 본체(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폐쇄부(164)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으며(도 10의 C 참조), 이 경우에는 폐쇄부(164)의 상단에 형성되는 오목부가 배출부(125)의 하측 외측 표면과 형상맞춤되도록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진공 펌프(30) 등과 같이, 용기(120) 내부 또는 방음 커버(50) 내부를 배기할 수 있는 상술된 또는 후술되는 구성이 도시되지 않으나,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가 이러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전술된 실시형태와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는 방음 커버(5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점이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렌더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모터(11)의 분당 회전 수, 용기(20)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모터의 작동 시간 또는 모터가 작동된 후 경과된 시간, 용기(20) 내에 담겨있는 내용물의 최대 높이, 내용물의 온도 및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된 개수를 갖는 수증기 표시, 용기(20) 내부의 진공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는 증강현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도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진공 펌프(30)와 같은, 용기(120)의 내부 또는 방음 커버(50) 내부를 배기할 수 있는 상술된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일부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접촉부(33c)가 상측벽(52)의 하측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접촉부(33c)는 덮개(21)의 오목부(27)의 둘레부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압착판(136a), 압착판(136a)의 관통구멍(137)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연결 노즐(150), 일단이 연결노즐(15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156)의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측벽(52)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지지바(152), 지지바(152)에 외삽되어 제1 플랜지(156)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5)를 포함한다.
또한, 압착판(136a)과 연결 노즐(150)이 연결되는 연결 노즐(150)의 부분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157)가 연결 노즐(15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압착판(136a)과 연결 노즐(150)의 연결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압착판(136a)의 하측 표면, 즉 덮개(21)와 밀착되는 표면에는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O-링과 같은 실링 부재(134)가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155)의 양 단부는 각각 상측벽(52) 및 제1 플랜지(156)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어, 연결 노즐(150)이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노즐(150)은 대략 90도 각도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 단부는 진공 튜브(35)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압착판(136a)에 연결된다. 연결 노즐(150)은 내측 벽(51)의 개구(151)를 통해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방음 커버(50)가 용기(20)를 덮도록 본체(10)에 장착되면, 접촉부(33c)의 압착판(136a)은 덮개(21)의 오목부(27) 둘레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압착판(136a)은 덮개(21)에 의해서 미리결정된 정도로 상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압착판(136a)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부재(155)는 압축되어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압착판(136a)과 덮개(21) 사이의 밀착성이 높아 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진공 펌프(30)로부터 연장되는 진공 튜브(35; 제1 진공 튜브(또는 유로))의 일측 단부(31)가 안착부(13)에서, 예를 들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113)에서 노출되고, 이와 연결되는, 커버(50)의 하단부에서 노출되는 진공 튜브(35; 제2 진공 튜브(또는 유로))의 일측 단부(32)가 위치 결정부(53)에서, 예를 들어 제1 경사면(153)에서 노출되는 점이다.
도 13의 원(A) 안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펌프(30)로부터 연장되는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에는 흡착 부재(1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착 부재(114)는,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는 위치 결정부(53)의 제1 경사면(153)과 밀착될 수 있고, 또한, 진공 펌프(30)가 작동되어 흡착 부재(114) 내측에서 흡입력이 생성되면, 제1 경사면(153)과 더욱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50)가 본체(10)로부터 탈착되면,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착 부재(114)와 위치 결정부(53)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렌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진공 펌프(30)의 흡인 포트와 연통되는 진공 튜브(35; 제1 진공 튜브(또는 유로))의 일측 단부가 본체(10)의 상측 표면 중에서,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방음 커버(50)와 본체(10)에 의해서 밀폐되는 공간을 이루는 부분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점이다.
또한, 용기(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허여하고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체크 밸브(129)가 덮개(21)에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크 밸브(129)가 용기(20)의 일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체크 밸브(129)는, 상측은 폐쇄되고 바닥에는 개구가 있는 중공의 기둥 형상의 바디(228), 바디(228)의 측벽에 형성되고, 덮개(21)의 외측에 위치되는 배기홀(128), 및 이 배기홀(128)을 막도록 바디(228)의 측벽에 배치되는 배기홀 커버(28)를 포함한다.
배기홀 커버(28)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으로 형성되어, 커버(50) 내부의 공기가 진공 튜브(35)를 통해서 진공 펌프(30)에 의해서 배기될 때, 들어 올려져 배기홀(128)이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20) 내부의 공기가 커버(50) 내부로 유동되고, 진공 튜브(35)를 통해서 방음 커버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펌프(30)의 인입 포트에 연결되는 진공 튜브(35)의 일측 단부에는 공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 부재(131)가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측 표면에는, 방음 커버(50)가 본체(10)에 장착될 때, 방음 커버(50)의 하단부와 밀착되기 위한 압착 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압착 부재(110)에 의해서, 방음 커버(50)의 하단과 본체(10)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압착 부재(110)는 탄성 재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방음 커버(50) 하단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용기(20) 내부의 공기 및 방음 커버(50) 내부의 공기도 배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블렌더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소음, 예를 들어, 믹서날(23)과 음식의 마찰에 의한 소음, 모터(11)의 동력을 믹서날(23)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메커니즘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는 반드시 하나의 실시형태로만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실시형태의 특징부가 다양한 조합으로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 커버가 본체에 장착됨으로써, 용기 및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기밀하게 덮을 수 있고, 또한 방음 커버 내부 또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할 수 있어, 용기 내부 및 본체의 안착부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방음 커버가 본체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상측에 돌출되는 구성이 형성되지 않아, 본체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절약될 수 있고, 아울러, 용기를 본체의 안착부에 장착하는 것과, 용기 내부를 관찰하는 것이 본체 전체 둘레 어디에서나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내지 수정을 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해당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10: 본체
11: 모터
12: 모터 축
13: 안착부
20: 용기
21: 덮개
22: 회전 샤프트
23: 믹서날
24: 배기홀
27: 오목부
29; 129: 체크 밸브
30: 진공 펌프
31: 진공 펌프에 연결된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
32: 방음 커버 하단에 마련된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
33; 33a; 33b; 33c: 접촉부
34: 흡착 부재
35: 진공 튜브
36; 136: 접촉 바디
136a: 압착판
50: 방음 커버
51: 내측 벽
52: 상측 벽
54: 측벽
55: 손잡이
56: 힌지
80: 보조 투입부
81: 보조 뚜껑
82: 연장부
125: 배출부

Claims (21)

  1.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및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가공 부재 및 상측 개구에 기밀하게 장착되는 용기 덮개를 갖는 용기;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제1 진공 튜브;
    상기 용기를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탈착가능하며,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본체에 의해서 일단의 개구가 폐쇄되어 내부 공간이 폐쇄되는 방음 커버;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덮개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기 방음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배기홀; 및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배기홀 근처에 배치되는 제2 진공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진공튜브는 상기 방음커버 상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방음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진공튜브에 장착되는, 블렌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홀과 밀착되게 접촉되기 위한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블렌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홀과 밀착되게 접촉되기 위한 흡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렌더.
  6.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방음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방음 커버와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블렌더.
  7.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방음 커버의 이중 벽에 의해서 형성되는, 블렌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흡착 부재가 마련되는, 블렌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방음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제2 경사면에 배치되는, 블렌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에 복수 개 배치되는, 블렌더.
  11. 청구항 10 있어서,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복수의 일측 단부 중 상기 제1 진공 튜브의 상기 일측 단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2 진공 튜브의 상기 일 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블렌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음 커버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방음 커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결정부가 마련되는, 블렌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블렌더.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음 커버는 측벽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진공 튜브는 상기 손잡이를 통해서 배치되는, 블렌더.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블렌더.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음 커버의 상측 벽은 개폐가 가능한, 블렌더.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보조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 커버에는 상기 보조 투입부가 외부로 노출되게끔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블렌더.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여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출부가 상기 방음 커버 외부로 돌출되게끔 절결부가 형성되는, 블렌더.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음 커버와 상기 본체의 접촉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방음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압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렌더.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음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밸브를 더 포함하는, 블렌더.
  21. 삭제
KR1020180073180A 2017-11-28 2018-06-26 블렌더 KR10237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80A KR102374738B1 (ko) 2017-11-28 2018-06-26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34A KR101873900B1 (ko) 2017-11-28 2017-11-28 블렌더
KR1020180073180A KR102374738B1 (ko) 2017-11-28 2018-06-26 블렌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34A Division KR101873900B1 (ko) 2017-11-28 2017-11-28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123A KR20180077123A (ko) 2018-07-06
KR102374738B1 true KR102374738B1 (ko) 2022-03-16

Family

ID=8095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80A KR102374738B1 (ko) 2017-11-28 2018-06-26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119B1 (ko) * 2019-06-24 2020-12-15 이지인 진공 믹싱 장치
KR102287287B1 (ko) * 2019-07-05 2021-08-0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CN110541281A (zh) * 2019-10-08 2019-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降噪结构、洗衣机
EP4324365A1 (en) * 2021-04-12 2024-02-21 NUC Electronics Co., Ltd. Vacuum blender
KR102396544B1 (ko) * 2021-04-12 2022-05-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진공 블렌더
KR102371439B1 (ko) * 2021-05-20 2022-03-08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940A1 (en) 2003-07-28 2005-02-03 Van Beusekom Thomas J. Sound minimizing apparatus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JP2015119868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7603B2 (en) * 2008-08-15 2012-01-03 Vita-Mix Corporation Sealing enclosure for a blender
KR20150125168A (ko) * 2014-04-30 2015-11-09 이혁구 착즙기능을 구비한 믹서기
KR101618729B1 (ko) * 2014-06-18 2016-05-0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3940A1 (en) 2003-07-28 2005-02-03 Van Beusekom Thomas J. Sound minimizing apparatus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JP2015119868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123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738B1 (ko) 블렌더
EP3323329B1 (en) Blender
KR101618729B1 (ko)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674164B1 (ko) 진공 믹서기
KR101673246B1 (ko) 진공 믹서기
KR101873900B1 (ko) 블렌더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KR101695733B1 (ko) 진공 믹서기
AU2018100064A4 (en) Blender
KR20230059768A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KR200482022Y1 (ko) 진공 믹서기용 보조용기
KR102275784B1 (ko) 진공블렌더
JP4976784B2 (ja) ジュースミキサー
KR20190047678A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1978810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20200124631A (ko) 진공블렌더
CN111110068A (zh) 过滤组件、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KR102489974B1 (ko)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CN111839276B (zh) 抽气与泄压组件、真空头组件、杯盖组件及料理机
CN210043809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KR200255227Y1 (ko) 날자 표시기능을 갖는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