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08B1 -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08B1
KR102627108B1 KR1020240000303A KR20240000303A KR102627108B1 KR 102627108 B1 KR102627108 B1 KR 102627108B1 KR 1020240000303 A KR1020240000303 A KR 1020240000303A KR 20240000303 A KR20240000303 A KR 20240000303A KR 102627108 B1 KR102627108 B1 KR 10262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ture
mushroom
fatty li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7304A (ko
Inventor
조항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비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비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비오스
Priority to KR102024000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08B1/ko
Publication of KR2024000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시 부작용이 없어 안전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comprising mixture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 and mushroom extract as effe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시 부작용이 없어 안전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간장은 신체 장기에서 가장 중요한 대사 기관의 하나로서, 담즙분비, 영양소의 저장, 해독작용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간장에 이상이 생길 경우에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과 질소 대사, 아미노산 대사, 단백질 대사와 간성 뇌질환, 비타민 대사, 흡수 불량 등의 대사성 장애가 발생하고, 감염, 지방성 간장, 간경변증 등으로 간장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간장질환으로는 약물 등에 의한 급성 간염, 음주 등에 의한 지방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전기 급성 간염이 변형된 만성 간염 또는 전기 장해에 수반되는 간경변 등의 다양한 간장기능장해를 나타내는 질환이 알려져 있다.
그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술과 관계없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과 연관되어 발병되는 일반적인 만성 간 질환으로, 간에 과도한 지방(주로, 중성지방)이 쌓여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간 무게의 5% 이상의 지방이 쌓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은 지방간염, 섬유증, 간경화증 심지어 간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식생활의 풍요, 소득 수준의 증가로 인한 식생활 트랜드의 편의 지향, 가공식품의 소비 증대는 총 열량에 대한 지방의 섭취 비율을 증가시켜 이상지질혈증 및 지방간의 발생 빈도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지방간(fatty liver)은 간에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현상으로 비만의 발생과도 관련성이 높아 선진 국가에서 지방간 발생율이 총 인구의 약 20∼30% 정도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보고되어 있다(Bellentani, 2017). 지방간은 대사증후군뿐만 아니라 비만, 2형 당뇨, 심혈관 질환 등의 원인과도 관련성이 높으며(Mgaggini 등, 2013), 특히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간경변으로 진행된 환자의 4∼27% 정도에서 간암을 초래하며,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tarley 등, 2010). 이러한 현상은 간조직 내 중성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될 경우 단순 지방종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19.9%,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은 17.2%로 2015년에 비해 증가 추세를 보여 이상지질혈증의 개선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비알콜성 식이성 지방간은 단순 지방증에서 시작되어 간세포 내 염증의 초래, 조직의 괴사, 간염, 간경변 및 간암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질환으로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소재의 발굴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중성지방혈증은 간 기능의 저하, 지용성 비타민의 결핍 초래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개발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Chang과 Schiano, 2007). 따라서 화학적인 약제의 단점이나 부작용을 배제하며, 총콜레스테롤의 저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단풍나무과(Aceraceae)에 속하는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국내에서 북부 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되고 있으며 산겨릅나무, 산청목으로도 알려져 있다(Kim, 1996). 벌나무의 잎이나 잔가지, 수피 등은 민간에서 간염, 지방간, 간경변 및 간암 등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간의 해독, 부종, 간 세포의 회복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ng 등, 2007). 벌나무의 간보호(Lee와 Moon, 2010; Lee와 Woo, 2010) 및 항산화 활성(Tung 등, 2008)은 식물체 중의 quercetin, catechin 등과 같은 페놀 화합물 등에 의존적이라고 보고되어 있다(Park 등, 2006). 또한 벌나무의 간보호 관련 생리활성으로 수피의 ethyl 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항산화 활성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분획물 중 catechin, p-hydroxyphenethyl alcohol 1-O-β-D-(6"-O-galloyl)-glucopyranoside의 페놀계 배당체에 기인되며(Hong 등, 2007), 벌나무 주정추출물은 CCl4, d(+)-galactosamine, DL-ethionine에 의한 간 손상(Kwon 등, 2008)에 효능이 있으며, 리포다당에 의한 급성 간 손상에 대해 벌나무 부탄올 분획물의 간보호 효과(Shin 등, 2006)가 보고된 바 있다. 벌나무의 식이성 지방섭취에 따른 지방간 개선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있으나(Seo 등, 2016), 기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재료 중에서도 건강 증진 및 유지에 효과적인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버섯류가 생리활성 물질로서 큰 관심을 얻고 있다.
버섯은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면역증강, 항암, 항바이러스, 항당뇨, 항혈전, 항고혈압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밝혀져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식품으로서 생산과 소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가 가능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상기 영지버섯 추출물 외에, 표고버섯,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상황버섯, 해송이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추출물의 함량은 벌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향미제, 보존제, 천연 탄수화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9.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SREBP-1c, PPARγ 및 FAS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간세포,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벌나무 및 용매의 혼합물과 버섯과 용매의 혼합물을 각각 추출기에 투입시켜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차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차 추출시키는 2차 추출 단계; 상기 2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차 추출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3차 추출 단계;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농축기에 투입시켜 80℃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 시키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 후 건조 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상기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3차에 결쳐 추출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풍부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 방식을 통해서 투여하였을 때에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SREBP-1c, PPARγ 및 FAS 등과 같은 지방 축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전사인자의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간세포 또는 혈장 등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주사제 등을 사용한 경피주사 등의 투여 방법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 조성물을 사용할 시에,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혈청 중 ALT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혈청 중 AST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간조직의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하, 약학적 조성물로도 기재)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지방간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지방간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방간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이하, 본원의 제 1측면에 따른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 및 방법을 통해 투여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 투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은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의 잎, 가지, 잔가지 및 수피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벌나무 추출물을 얻기 위해 벌나무의 잎, 가지, 잔가지 및 수피(이하, 벌나무 재료)를 사용할 시,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벌나무 재료는 추출이 용이한 크기라면, 분쇄 크기의 제한없이 분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분쇄의 용이성 및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된 벌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은 상기 벌나무 재료를 분쇄하여 얻은 벌나무 분쇄 시료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해낸 것일 수 있다. 이때, 단순히 상온의 물에 담가두는 것 만으로 침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빠른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유효성분을 추출해내기 위한 추가적인 처리를 통해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혹시 추출물에 용매 성분이 잔류하여도, 투여 시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처리로는, 유기 용매의 추가 사용, 가열, 초음파 및 교반 등의 처리를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의 추가 사용시, 별도의 유기 용매 제거작업이 요구되지 않도록, 추출물에 용매 성분이 잔류하더라도 추출물을 투여 받은 개체의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 처리 시, 얻고자 하는 벌나무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라면 가열 온도는 제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용매인 물의 끓는 점인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벌나무 추출물을 추출할 때, 단순히 시료에 용매를 가하여 침출시키는 것이나, 열을 가하는 것 외에도,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즉, 벌나무 재료와 용매가 함께 들어있는 용기 등에 초음파를 가하거나, 진탕 시키거나, 이를 교반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 것을 통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얻고자 하는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은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거나, 이를 도울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용 버섯에는 아미노산, 마니트, 트레할로오스 등이 많이 있으며 그밖에 비타민 B2와 비타민 D의 전구체인 에르고스테린 같은 여러 비타민류와 효소도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버섯은 항암 효과, 항변이원성 효과, 혈청 지질저하 효과, 면역증강 효과 등 노화억제 및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그 이용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버섯류에는 영지, 표고, 새송이, 상황, 아가리쿠스, 먹물, 목이, 말굽 및 석이 등의 식용 및 약용 버섯류가 알려져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영지버섯의 약효성분으로 열수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와 단백질 복합체인 polysaccharide protein complex가 보고된 바 있으며, 암세포 생육 억제, 본태성 고혈압 치료,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고버섯에는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강장, 이뇨, 고혈압, 신장염, 천식, 위궤양 등의 치료에도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표고버섯 열수 추출물은 혈청 및 간장의 지질 저하 작용 및 간손상 억제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새송이버섯의 다당류 추출물은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억제작용과 새송이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 외에, 표고버섯,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상황버섯, 해송이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표고버섯 및 새송이버섯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의 함량은 벌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섯 추출물의 함량이 벌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버섯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적어, 버섯의 유효성분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버섯의 유효성분의 효과의 증대는 크지 않은 반면, 생산 비용이 증가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의 양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포함 될 수 있다.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의 양이 상기 약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혼합물의 유효성분의 효과의 증대는 크지 않은 반면, 생산 비용이 증가되므로,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향미제, 보존제, 천연 탄수화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감미제,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100 ㎖ 당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04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 g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첨가된 첨가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없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99.999%를 초과하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연령, 성별, 체중, 질병의 종류, 질병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투여 기간, 배출 비율, 동시 사용되는 약물,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치료제로 투여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다른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01 내지 2,000 mg/kg,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 mg/kg의 양을 하루 1회 내지 수 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중 60 kg인 성인 1일 1 mg 내지 1 g의 용량, 바람직하게는 30 mg 내지 120 mg의 용량으로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므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모든 개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개체의 예는, 인간뿐만 아니라,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포유류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SREBP-1c, PPARγ 및 FAS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SREBP-1c는 간에서 지방산의 합성을 자극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로, 주로 지방산 합성 및 인슐린의 포도당 신진 대사를 유도하는 전사인자이다. PPARγ(PPAR gamma)는 지방세포의 분화와 형성, 당대사, 인슐린감수성 및 지질의 저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FAS는 비만 시에 지방조직과 더불어 간 조직에서도 많이 발현되며, 특히 간에서는 비만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FAS의 발현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즉, FAS의 신호 전달에 의해서 지방 축적 등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SREBP-1c, PPARγ 및 FAS의 mRNA 발현으로, 지방산의 합성, 지방세포의 분화와 형성, 지질 저장, 지방 축적 등이 일어나게 되어, 비만, 지방간 또는 지방간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SREBP-1c, PPARγ 및 FAS의 mRNA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버섯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간세포,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이, 지방산의 합성, 지방세포의 분화와 형성, 지질 저장, 지방 축적 등을 억제함으로써, 간세포, 혈장 등에 존재하는 지방세포의 수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등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원의 제2측면은,
벌나무 및 용매의 혼합물과 버섯과 용매의 혼합물을 각각 추출기에 투입시켜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차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차 추출시키는 2차 추출 단계;
상기 2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차 추출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3차 추출 단계;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농축기에 투입시켜 80℃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 시키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 후 건조 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1측면과 중복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본원의 제1측면에 대한 내용은 제 2측면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제 2측면에 따른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 1은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원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시에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벌나무 및 버섯이 1차 추출 단계 이전에, 즉, 벌나무와 버섯을 용매와 혼합하기 전에 서로 혼합하거나, 벌나무 및 용매의 혼합물과 버섯과 용매의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후 1 내지 3차 추출 단계를 거치고, 농축 및 건조 되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벌나무 및 용매의 혼합물과 버섯과 용매의 혼합물을 각각 추출기에 투입시켜 1차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이후에, 또는 2차 추출 단계 이후에, 서로 혼합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하여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3차 추출 단계 이후에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시킨 후 다음 단계를 진행하여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농축 단계 이후에, 각각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한 후 건조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건조한 이후에, 건조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농축 단계 이후에,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 후 건조 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벌나무 및 용매의 혼합물과 버섯과 용매의 혼합물을 각각 추출기에 투입시켜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차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기는 일반적으로 추출을 수행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추출은 바람직하게 열수 추출인 것일 수 있고,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추출 시 일정 속도로 진탕 또는 교반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추출단계는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약 100℃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을 수행한 후, 상기 혼합물을 1차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각은 상온의 온도에서 약 1 시간 동안 방냉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영지버섯의 약효성분으로 열수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와 단백질 복합체인 polysaccharide protein complex가 보고된 바 있으며, 암세포 생육 억제, 본태성 고혈압 치료,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고버섯에는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강장, 이뇨, 고혈압, 신장염, 천식, 위궤양 등의 치료에도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표고버섯 열수 추출물은 혈청 및 간장의 지질 저하 작용 및 간손상 억제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새송이버섯의 다당류 추출물은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억제작용과 새송이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 버섯 추출물 외에, 표고버섯,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양송이버섯, 상황버섯, 해송이버섯, 꽃송이버섯, 차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버섯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표고버섯 및 새송이버섯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차 추출시키는 2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출은 바람직하게 열수 추출인 것일 수 있고,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추출 시 일정 속도로 진탕 또는 교반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2차 추출단계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약 80℃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추출을 수행한 후, 상기 혼합물을 2차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각은 상온의 온도에서 약 1 시간 동안 방냉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2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차 추출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3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3차 추출은 바람직하게 열수 추출인 것일 수 있고,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추출 시 일정 속도로 진탕 또는 교반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3차 추출단계는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약 60℃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 추출을 수행한 후, 상기 혼합물을 3차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각은 상온의 온도에서 약 15 시간 동안 방냉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농축기에 투입시켜 80℃ 이하의 온도에서 농축 시키는 농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농축기는 일반적으로 농축을 수행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바람직하게는 진공증발 농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는 8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을 수행한 후, 상기 농축물을 냉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각은 상온의 온도에서 약 15 시간 동안 방냉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혼합 후 건조 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의 유효성분의 활성이 저하되지 않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건조 방법 중 하나인 동결건조, 진공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상기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상기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고형 제제로 제제화 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제화 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벌나무 추출물의 제조
벌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벌나무의 건조된 가지 및 수피를 분쇄한 시료 50g과 70% 에탄올 500g을 혼합한 후, 10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1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냉각한 후, 다시 8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2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냉각한 후, 다시 6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3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3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5시간 냉각한 후, 이를 모두 모아 회전식 진공증발 농축기로 60℃ 이하에서 농축하여 벌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버섯 추출물의 제조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 건조된 영지버섯, 표고버섯 및 새송이 버섯 분쇄시료를 0.02: 0.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 버섯 시료 50g과 70% 에탄올 500g을 혼합한 후, 10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1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1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냉각한 후, 다시 8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2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 냉각한 후, 다시 60℃의 항온수조에서 80 rpm의 속도로 진탕하여 3시간 동안 3차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3차 추출을 수행한 상기 혼합물을 상온에서 15시간 냉각한 후, 이를 모두 모아 회전식 진공증발 농축기로 60℃ 이하에서 농축하여 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3: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회전식 진공증발 농축기로 60℃ 이하에서 완전히 건조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이하, 벌나무 및 버섯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20℃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1] 벌나무 및 버섯 추출물 혼합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폴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70% 에탄올로 재용해한 후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액에 5 mg/100mL의 DPPH 용액을 동량으로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1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ate) 라디칼 소거활성은 ABTS 용액을 제조한 후 415 nm에서 1.5의 흡광도가 되도록 증류수로 조절한 ABTS 기질용액 1 mL에 시료액 0.5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켜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벌나무 및 버섯 혼합물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은 TEAC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Trolox(Sigma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 1 g당 Trolox 농도(mM TE/g)로 나타내었다.
또한,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벌나무 및 버섯 혼합물 추출물을 70% 에탄올에 일정농도로 재용해한 시료액 1 mL에 Folin-Ciocalteau 시약 0.5 mL, 10% Na2CO3 시약 0.5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켜 760 nm에서 분광광도계(Evolution 300UV-VIS spectrophotometer, Thermoscientific, Worcester,MA, 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Sigma Co.)를 표준물질로 한 검량선에 따라 계산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상기의시료액 1 mL과 10% aluminum nitrate 0.1 mL, 1 M potassium acetate 0.1 mL, 80% ethanol 4.3 mL를 혼합 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켜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uercetin (Sigma Co.)에 의한 검량선에 따라 계산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 및 폴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치료 효능 확인을 위한 대조군 및 실험군의 준비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으로 90∼110 g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주)중앙실험동물(Seoul,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온도 22±2℃,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07:00∼19:00)으로 자동 설정된 동물사육실에서 실험 사육하였다. 첫 1주간은 시판 고형사료(SamyangCo., Korea)로 적응시켰으며, 2주째 체중에 따른 난괴법에 의해 10마리씩 3그룹으로 구분하여 사육 상자에 2마리씩 넣어 5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Rodent diet / ND), 고지방식이급이군(HFD), 벌나무 추출물 급이군(HFD+ATM) 및 벌나무와 버섯 혼합 추출물 급이군(HFD+ATM+MUSH)으로 구분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물과 식이는 자유 급이 시켰으며, 벌나무 추출물은 물에 용해하여 1일 1회 일정시간에 경구 투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매일 오전에 잔량을 측정하였으며, 체중은 주 1회 측정하였다. 식이효율(%)은 실험 사육 5주간의 체중 증가량을 총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5주간의 실험 사육기간 최종일에 실험동물을 16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킨 다음 복부절개하여 간 조직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씻은 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즉시 액체 질소로 3분간 급속 동결하여 70℃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군 및 실험군의 급이량 및 5 주 뒤의 체중 증가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실험예 3] 혈청 ALT 및 AST 활성 측정
간기능 평가를 위한 혈중 지표로 인지되는 ALT (alanineaminotransferase) 및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활성도는 ALT 및 AST 측정용 kit 시약(AM 101-k, Asanpharm Co., Seoul, Korea)으로 측정하여 혈액 1 mL당 Karmen unit로 나타내었으며, 이의 결과를 도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보건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식이한 버섯 혼합 추출물 급이군(HFD+ATM+MUSH)의 경우 정상군(ND)과 유사한 ALT 및 AST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간기능에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간 무게 측정
실험동물의 일반상태를 관찰한 결과 벌나무 및 버섯 혼합 추출물 식이 후 외관상의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MOUSE의 장기를 적출하여 간 장기의 무게 측정을 통하여 지방간의 무게 감소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식이한 버섯 혼합 추출물 급이군(HFD+ATM+MUSH)의 경우 정상군(ND)과 유사한 간 무게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은 지방간에 매우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간조직의 형태 관찰
간조직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간조직을 적출한 즉시 4% neutral buffered paraformaldehyde로 고정시킨 다음, 수세하여 고정액을 제거하고 70, 80, 90, 95 및 100% 에탄올과 xylene을 차례로 사용하여 탈수 및 투명화 과정을 거쳐 paraffinembedding center (Leica, Wetzlar, Germany)에서 포매하였다. 이후 회전식 박절기(Leica, Wetzlar, Germany)를 이용하여 파라핀 블록을 5 μm로 박절하였다. 절편된 조직은 다시 xylene, 100, 95, 90, 80, 70% 에탄올의 순서로 탈파라핀 및 함수 과정을 거친 다음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시켰으며, permount를 이용하여 봉입한 후, 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으로 간 조직 중의 지질 분포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식이한 버섯 혼합 추출물 급이군(HFD+ATM+MUSH)의 경우 지질분포가 고지방식이급이군(HFD) 및 벌나무 추출물 급이군(HFD+ATM)에 비해 적어 지방간에 효능이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벌나무 70% 에탄올 추출물 및 버섯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버섯 추출물은 영지버섯, 표고버섯 및 새송이버섯의 분쇄시료를 0.02:0.2:2 중량비로 혼합하고 추출한 것이며,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상기 버섯 추출물은 3:1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향미제, 보존제, 천연 탄수화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9.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버섯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간세포, 혈장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벌나무 및 70% 에탄올의 혼합물과 영지버섯, 표고버섯 및 새송이버섯의 분쇄시료를 0.02:0.2:2 중량비로 혼합한 70% 에탄올의 혼합물인 버섯 혼합물을 각각 추출기에 투입시켜 80℃내지 120℃의 온도에서 1차 추출하는 1차 추출 단계;
    상기 1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60℃내지 100℃의 온도에서 2차 추출시키는 2차 추출 단계;
    상기 2차 추출시킨 벌나무 혼합물 및 버섯 혼합물을 각각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3차 추출시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는 3차 추출 단계;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각각 농축기에 투입시켜 80℃이하의 온도에서 농축 시키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된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을 3:1 중량 비율로 혼합 후 건조 시키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벌나무 추출물 및 상기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경구투여용 제제로 제제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40000303A 2021-01-26 2024-01-02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0303A KR102627108B1 (ko) 2021-01-26 2024-01-02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67A KR20220107669A (ko) 2021-01-26 2021-01-26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40000303A KR102627108B1 (ko) 2021-01-26 2024-01-02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67A Division KR20220107669A (ko) 2021-01-26 2021-01-26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304A KR20240007304A (ko) 2024-01-16
KR102627108B1 true KR102627108B1 (ko) 2024-01-23

Family

ID=828456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67A KR20220107669A (ko) 2021-01-26 2021-01-26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40000303A KR102627108B1 (ko) 2021-01-26 2024-01-02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67A KR20220107669A (ko) 2021-01-26 2021-01-26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07669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104B1 (ko) * 2016-05-04 2018-02-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trients, 2020, Vol.12, pp.3753-37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304A (ko) 2024-01-16
KR20220107669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pton Stinging nettles leaf (Urtica dioica L.): Extraordinary vegetable medicine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12622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for improving and treating arthritis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29057B1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70079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2225574B1 (ko)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6006729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aeda japonica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diabetes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Eldamaty Effect of adding nettle leaves (Uritca dioica l.) powder on basal diet to lower diabetesin rats
KR102627108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006494B (zh) 一种显脉旋覆花复合解酒组合物、解酒护肝制剂及其应用
KR102151011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201000749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6773B1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8595B1 (ko)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5035B1 (ko) 포공영, 생강 및 황금을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및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