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25B1 -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 Google Patents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25B1
KR102616925B1 KR1020210106899A KR20210106899A KR102616925B1 KR 102616925 B1 KR102616925 B1 KR 102616925B1 KR 1020210106899 A KR1020210106899 A KR 1020210106899A KR 20210106899 A KR20210106899 A KR 20210106899A KR 102616925 B1 KR102616925 B1 KR 10261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nk
fluid
flooring
tank clea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760A (ko
Inventor
김대봉
신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엑스
Priority to KR102021010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25B1/ko
Priority to PCT/KR2022/012094 priority patent/WO2023018282A1/ko
Publication of KR2023002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25B1/ko
Priority to US18/439,394 priority patent/US2024018012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청소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 출수구 및 바닥재 배출구를 포함하는 중공형의 몸체;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 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몸체로부터 일부 노출되어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유체를 출수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프로펠러; 및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각도이격되도록 회전축과 결합되고, 유체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는 바닥재 거름망;를 포함하는, 어항청소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FISH BOWL CLEANER}
본 발명은 어항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어항청소기는 어항내에 투입되는 사료, 어류의 배설물, 미생물 번식 등에 의해 생겨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어항 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수조에 수용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물을 정화하기 위해 어항청소기 내로 물을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어항내에 배치된 바닥재도 함께 흡입될 수 있다. 바닥재가 과도하게 흡입될 경우, 바닥재는 펌프를 거쳐 정화필터로 넘어가게 되고, 바닥재가 필터를 막게되어 필터가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 통상의 어항청소기는 적당한 흡입력만 가지도록 설계되어지며, 흡입구 단부까지만 바닥재를 흡입한 후, 청소기를 위로 들어올려 바닥재가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도록 사용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어항청소기는 청소에 긴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다른 종래의 예로서 어항내의 물을 정화하기 위해 어항외부로 물을 이동시키는 청소기가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별도의 물받이 및 배수호스가 요구되어 불편하며, 물을 어항 내로 재공급해야하는 번거러움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어항내의 물을 정화함과 동시에 바닥재가 필터를 가로막는 것을 방지하고 정화된 물이 어항 내부로 즉시 유입되는 등의 기능적으로 개선된 어항청소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71141 호 (2013. 05. 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항 내부에 생성되고 침적되는 오염물을 빠르고 강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항청소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와 바닥재 배출구와 출수구를 포함하는 중공형의 몸체; 몸체의 출수구쪽 일단에 결합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인 구동부; 몸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몸체의 내부 길이방향 중심을 지나면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결합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흡입구를 통해 물과 바닥재를 같이 흡입하는 제 1프로펠러; 몸체의 내부 단면을 가로질러 설치는 바닥재 거름망; 바닥재 거름망 상부(출수구쪽)에 위치하며, 회전축에 결합되고,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바닥재 거름망을 통과한 물을 어항으로 환수시키기 위한 제 2프로펠러; 몸체 내부 또는 출수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오염물을 정화하는 바닥재 거름망;를 포함하는 어항청소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몸체는, 물과 함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바닥재가 몸체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바닥재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 거름망은, 흡입된 바닥재가 배출구 측으로 안내되도록 유체의 흡입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로 흡입된 바닥재와 물은, 거름망을 통과하여 출수구 또는 바닥재 거름망으로 오염물과 물만 이동하여 여과 또는 환수되는 제2경로 및 흡입구로부터 바닥재 배출구로 이동되며 비여과(unfiltered)되는 제1경로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전기모터 회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청소기의 흡입력 또는 압축공기의 배출력으로 회전하는 제 3프로펠러로부터 회전력을 사용하여 회전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내측에 회전축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항에 생성되고 침적되는 이물을 빠르고 강력하게 제거할 수 있는 어항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의 사시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의 정면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거름망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10)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항청소기(10)는 어항(T) 내에 적어도 일부 침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어항청소기(10)는 어항(T) 내에 수용된 물을 통과시키며 이물을 여과하여 정화된 물을 어항에 재공급함으로써 어항에 있는 물에 섞인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장시간 정화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항(T) 내의 바닥재에 침착된 오염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어항청소기(10) 내로 흡입되는 유체(W)는 흙, 자갈 등의 어항(T) 내의 바닥재와 섞여 혼입된 물일 수 있다. 흡입된 바닥재는 어항청소기(10) 내부 구조와의 접촉에 의해 바닥재에 침착된 오염물이 박리될 수 있고, 박리된 오염물은 유체(W)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며 여과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통해 형성되는 유체의 흐름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유체흐름(F1) 및 제2유체흐름(F2)일 수 있다. 제1유체흐름(F1) 및 제2유체흐름(F2)과 관련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기로 하며, 간략히 설명하면 유체가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닥재를 배출하기 위한 흐름인 제1유체흐름(F1) 및 유체로부터 오염물을 여과하여 유체(W)를 어항(10)으로 환수하기 위한 흐름인 제2유체흐름(F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항청소기(100)는 흡입구(111), 출수구(112) 및 바닥재 배출구(113)가 형성되는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흡입구(111) 측이 물에 침지되어 물과 바닥재 일부가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W)가 흡입이 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모터 또는 청소기일 수 있다. 구동부(P)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회전력을 제공해 유체(W)를 몸체(110) 내측으로 흡입시킬 수 있다. 흡입된 유체(W)는 출수구(112) 및 바닥재 배출구(113)를 통해 몸체(110)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구(112)로 이동되는 물은 몸체(110) 내에 위치된 바닥재 거름망(150)을 통과하여 필터부(170)에 의해 이물이 여과된 유체(W)이다. 필터부(170)는 유체(W)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몸체(110) 내부 또는 출수구(112) 외부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몸체(110) 내부에 필터부(170)가 위치되는 예시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바닥재 배출구(113)를 통해서는 흡입구(111)로 유입된 유체(W)는 바닥재 등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에 침착된 오염물은 이러한 과정에서 바닥재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과 함께 도 3을 통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100)의 사시측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어항청소기(100)는 흡입구(111) 및 출수구(112)를 포함하는 중공형의 몸체(110),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P), 구동부(P)와 연결되며 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20), 회전축(120)과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축(120)이 회전됨으로써 흡입구(111)를 통해 유체(W)를 거름망(150), 배출구(113), 출수구(112) 측으로 이송시키는 프로펠러(130) 및 유체(W)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는 바닥재 거름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구동부(P)는 회전력을 회전축(120)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가능하며 실시예로서, 전기모터 또는 청소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청소기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회전력으로 에너지를 변환하는 방식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 1프로펠러(130)는 구동부(P)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20)과 결합되며 제 1프로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유체(W)는 강제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예시의 경우 바닥재 거름망(150)의 상부측에 회전축(120)에 결합된 제 2프로펠러(131)를 더 포함함으로써 유체(W)의 흐름을 보다 더 원할하게 하고, 몸체(110) 내부 또는 출수구(112) 외측에 설치되는 필터부(170)에 보다 적극적으로 미여과된 유체(W)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미여과된 유체는 바닥재 거름망(150)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유체(W)를 포함하며, 필터부(170)에 의해 여과되지 않은 상태의 유체(W)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100)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흡입구(111)를 통해 흡입된 바닥재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바닥재 배출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재 배출구(113)로는 몸체(110)의 단면을 가로질러 설치된 바닥재 거름망(150)에 걸러진 바닥재를 배출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바닥재 거름망(150)은 몸체(110)와 경사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체(W) 중 바닥재가 기 결정된 기울기로 배치된 바닥재 거름망(150)을 따라 이동하여 바닥재 배출구(113)로 토출되어진다. 이를 통해 바닥재로 인한 바닥재 거름망(150)의 막힘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제2유체흐름(F2) 및 바닥재 분리 배출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프로펠러(131)는 바닥재 거름망(150)을 통과한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60)는 회전축(120)이 회전진동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 하면서도 회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지지부(160)는 회전축(120)을 따라 복수 개 설치가능하여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거름망(150)을 통과하는 유체(W)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재 거름망(150)은 물과 함께 유입된 바닥재가 배출구(113) 측으로 안내되도록 유체(W)의 흡입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 배치될 수 있다. 바닥재 거름망(150)은 바닥재가 제2유체흐름(F2)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며 제1유체흐름(F1)으로 바닥재가 함께 이송되는 안내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일 예로서 바닥재 거름망(150)은 프레임(151) 및 거름망(152)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름망(152)은 프레임(151) 하단부(흡입구쪽)에 부착되어 바닥재가 제2유체흐름(F2)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바닥재가 원할하게 바닥재 배출구(113)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51)은 적어도 몸체(110)의 내주연에 연하도록 형성되고 회전축(120)의 외주연에 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재 거름망(150)은 분리 세척 또는 조립을 위하여 회전축(120) 통과를 위한 개구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항청소기(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항청소기(200)는 흡입부(211), 출수구(212) 및 바닥재 배출구(213)가 형성되는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흡입구(211) 측이 유체(W)에 침지되어 유체(W)가 몸체(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W)의 유입이 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입 또는 배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청소기나 에어건과 같이 공기를 흡입 및 배출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풍력을 제공해 어항(T) 속 유체(W)를 몸체(210) 내측으로 흡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본 예시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연결부(240)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면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들과 함께 도 7을 통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P)와 연결되는 연결부(2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연결부(240)에 결합되어 공기의 풍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P)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P)로부터 발생되는 풍력에 의한 에너지는 제 3프로펠러를 통하여 구동부(P)와 회전축(220) 간의 비접촉상태로 회전축(220)에 회전 에너지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에는 구동부(P)가 공기의 흡입 또는 배출할 때, 연결부(240) 내부에 몸체(210)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회전축(220)과 제 3프로펠러를 결합구성하여 회전축(2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40)와 연결되는 구동부(P)에 의해 연결부(240) 내측으로 흡입되거나 연결부(240) 외측으로 배출되기 위해 연결부(240)는 통공(241)을 하나 이상 마련하여 원활한 공기흐름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연결부(240)에 결합되어 흡입력 또는 배기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P)를 더 포함하고, 연결부(240)에 내부에 형성되며, 흡입력 또는 배기력에 의한 공기의 제3유체흐름(F3)이 발생하고 연결부(240) 내에 위치한 제 3프로펠러(23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축(220)이 회전되고,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어항청소기
110, 210 : 몸체
111, 211 : 흡입구
112, 212 : 출수구
113, 213 : 바닥재 배출구
120, 220 : 회전축
130, 230 : 제 1프로펠러
131, 231 : 제 2프로펠퍼
232 : 제 3프로펠러
140, 240 : 연결부
150, 250 : 바닥재 거름망
151, 251 : 바닥재 거름망 프레임
152, 252 : 바닥재 거름망 그물망
160, 260 : 지지부
170, 270 : 필터부
241 : 통공
T : 어항
W : 유체
P : 구동부
Pa : 회전축
F1 : 제1유체흐름
F2 : 제2유체흐름
F3 : 제3유체흐름

Claims (10)

  1. 흡입구 및 출수구를 포함하는 중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몸체의 중공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몸체로 적어도 일부 노출되어 상기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하나 이상이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체를 상기 출수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연장방향과 각도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유체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되는 바닥재 거름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출수구로 이동되며 상기 바닥재 거름망에 의해 바닥재가 걸러져 물과 오염물만 이동하는 제2경로 및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측과 연통되도록 개구된 바닥재 배출구로 이동되며 비여과(unfiltered)되는 제1경로가 동시에 형성되는, 어항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거름망은,
    상기 중공부로 유입된 상기 바닥재가 상기 바닥재 배출구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유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어항청소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어항청소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과 연결 및 이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어항청소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펠러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흡입되는 상기 공기에 의해 상기 연결부 내에 위치한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되는, 어항청소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회전축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어항청소기.

KR1020210106899A 2021-08-12 2021-08-12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KR10261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99A KR102616925B1 (ko) 2021-08-12 2021-08-12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PCT/KR2022/012094 WO2023018282A1 (ko) 2021-08-12 2022-08-12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US18/439,394 US20240180129A1 (en) 2021-08-12 2024-02-12 Aquarium cleaner having structure for suctioning, separating and discharging mixed flow of aquarium floor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99A KR102616925B1 (ko) 2021-08-12 2021-08-12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60A KR20230024760A (ko) 2023-02-21
KR102616925B1 true KR102616925B1 (ko) 2023-12-21

Family

ID=8520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899A KR102616925B1 (ko) 2021-08-12 2021-08-12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80129A1 (ko)
KR (1) KR102616925B1 (ko)
WO (1) WO202301828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804A (ja) * 1999-12-03 2001-06-12 Yoshihiro Inagaki 浄化装置つき還流型水槽電動掃除機
JP2006223271A (ja) 2005-02-21 2006-08-31 Univ Of Miyazaki 魚類の飼育用水槽及び飼育用水槽等の汚泥除去方法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JP2010180810A (ja) * 2009-02-06 2010-08-19 Torishima Pump Mfg Co Ltd 立軸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50Y1 (ko) * 1991-07-05 1993-09-28 김시명 상승기포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용수장치
JP2790031B2 (ja) * 1994-02-22 1998-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情報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271141B1 (ko) 2012-11-19 2013-06-04 유귀식 휴대용 어항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804A (ja) * 1999-12-03 2001-06-12 Yoshihiro Inagaki 浄化装置つき還流型水槽電動掃除機
JP2006223271A (ja) 2005-02-21 2006-08-31 Univ Of Miyazaki 魚類の飼育用水槽及び飼育用水槽等の汚泥除去方法
JP2010180810A (ja) * 2009-02-06 2010-08-19 Torishima Pump Mfg Co Ltd 立軸ポンプ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60A (ko) 2023-02-21
WO2023018282A1 (ko) 2023-02-16
US20240180129A1 (en) 2024-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8724B (zh) Filter cleaning device
US20100084324A1 (en) Cleaning apparatus
TWI436814B (zh) Filter device with a filter outside the cleaning device, the system and filter cleaning method
JPH0353428B2 (ko)
US5300225A (en) Vacuum cleaned micro-strainer system
WO2003075646A1 (en) Waste extraction system
KR102616925B1 (ko)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US5655245A (en) Apparatus for removing debris from gravel in a fish pond
JP6853918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US20040158943A1 (en) Swimming pool vacuum apparatus
JP2000070996A (ja) 海底浄化装置
KR100560056B1 (ko) 준설용 진공흡입장치
JP2975933B1 (ja) 泡除去装置
JP3076766B2 (ja) 観賞魚水槽用濾過装置の筒状パイプジョイント
US9363985B1 (en) Aquarium cleaning system
JP5292042B2 (ja) 水槽用濾過装置
JP2006524124A (ja) 航空機の外板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KR102441146B1 (ko) 수중에 잠겨있는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수중 청소로봇의 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
KR100745465B1 (ko) 수족관용 이물질 흡입 제거장치
JPH1015306A (ja) 沈殿物排出装置
US4744897A (en) Sweeper type apparatus for clearing the deposition formed on the bottom of a pond
JPH0655087B2 (ja) 水槽内清掃具
EP2570026B1 (en) Aquarium gravel cleaning system
JPH10151473A (ja) 水質浄化装置
JP2021041408A (ja) 固液分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