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324B1 - 의자 시트 - Google Patents

의자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324B1
KR102614324B1 KR1020210089504A KR20210089504A KR102614324B1 KR 102614324 B1 KR102614324 B1 KR 102614324B1 KR 1020210089504 A KR1020210089504 A KR 1020210089504A KR 20210089504 A KR20210089504 A KR 20210089504A KR 102614324 B1 KR102614324 B1 KR 10261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ed person
thigh
support
sea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003A (ko
Inventor
공인구
Original Assignee
공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인구 filed Critical 공인구
Priority to KR102021008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척추를 바르게 편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고, 착석시 사용자의 하중을 엉덩이와 허벅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상면의 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부, 상기 상면의 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부, 상기 상면의 후면부쪽 가운데에 형성되고 착석자의 척추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착석자의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 시트{SEAT BOARD FOR CHAIR}
본 개시내용은 착석시 사용되는 의자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중요한 생활가구의 하나로, 현대인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생활용품이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의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의자의 사용시간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어, 현대인의 생활에서 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높다.
최근 들어,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착석시에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면서도 신체 건강을 해치지 않는 의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척추를 바르게 유지하면서 앉을 수 있도록 된 좌식의자를 개발한 바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74770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특허 등록을 받은 좌식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좌식 의자를 포함하여 통상의 착석용 의자는 착석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쳐주는 시트를 포함한다. 의자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트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구조의 의자는 척추를 바르게 유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기는 하나, 착석시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과제는 사용자의 척추를 바르게 편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시트에 착석시 사용자의 하중을 엉덩이와 허벅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가 고정되어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장시간 동안 안정적인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의자는 착석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쳐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는 상기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착석자의 엉덩이쪽 선단을 이루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반대쪽 선단을 이루는 전면부,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 사이의 양 측 선단을 이루는 측면부,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 및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자를 지지하는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상면의 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부, 상기 상면의 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부, 상기 상면의 후면부쪽 가운데에 형성되고 착석자의 척추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착석자의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엉덩이부는 상기 척추지지부를 중심으로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서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되어 착석자의 양 엉덩이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엉덩이홈부, 상기 한 쌍의 엉덩이홈부 사이를 이루며 상기 엉덩이홈부의 바닥에서 위로 돌출되어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엉덩이부는 엉덩이홈부의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첨부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엉덩이홈부의 바닥 저점을 향해 연속된 하향 경사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엉덩이홈부는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첨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엉덩이홈부의 바닥 저점은 폭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첨부까지의 거리에 대해 측면부로부터 83% 내지 86% 거리의 위치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엉덩이홈부는 바닥 저점에서 측면부 상단까지의 높이차가 2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허벅지부는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서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엉덩이홈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를 연결하여 착석자의 양 허벅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허벅지홈부, 상기 한 쌍의 허벅지홈부 사이를 이루며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위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벅지부는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볼록부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을 향해 연속된 하향 경사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은 폭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볼록부 중심까지의 거리에 대해 상기 측면부로부터 51% 내지 53% 거리의 위치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허벅지홈부는 바닥 저점에서 상기 측면부 상단까지의 높이차가 1.5 내지 2.5㎝m이고, 바닥 저점에서 상기 볼록부의 상단까지의 높이차는 0.5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시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 보다 상기 엉덩이홈부 바닥 저점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상기 첨부 사이는 원호형태로 만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시트의 표면이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척추를 바르고 곧게 편 상태로도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시트의 표면에 사용자의 허벅지부와 허벅지가 자연스럽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하여, 하중의 편중을 방지하고 국부적인 하중 편중에 의한 통증을 방지하여 장시간 보다 편안하게 앉아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허벅지부와 허벅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앉은 자세를 흐트러짐 없이 장시간 바르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의자에 구비되는 시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의자에 구비된 시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자라 함은 등받이나 지지프레임의 유무에 관계없이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시트는 의자를 포함하여 착석자가 앉을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시트는 야외 스탠드 계단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적용된 시트를 예로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도 1의 y축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x축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엉덩이가 위치하는 뒤쪽을 후방이라 하고 허벅지가 위치하는 앞쪽을 전방이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z축 방향을 폭방향이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는 착석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쳐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시트(100), 시트(100)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10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자(10)는 팔걸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시트(100)와 등받이(300)를 고정하며 하단에는 지면에 접하여 구르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의자(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시트(100)는 착석자의 엉덩이쪽 선단을 이루는 후면부(110), 후면부(110)의 반대쪽 선단을 이루는 전면부(112), 후면부(110)와 전면부(112) 사이의 양 측 선단을 이루는 측면부(114), 후면부(110)와 전면부(112) 및 측면부(114)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자를 지지하는 상면(116), 상면(116)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의자(10)의 지지프레임(200)과 결합되는 하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110)와 전면부(112) 및 측면부(114)는 서로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후면부(110)는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나 위쪽으로 돌출되어 착석자의 허리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면부(110)의 상단 높이는 측면부(114)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그 높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후면부(110)의 폭방향 중심쪽에 형성되는 척추지지부가 착석자의 꼬리뼈를 지나 위쪽 연장되어, 꼬리뼈를 충분히 감싸면서 척추를 바르게 세워줄 수 있게 된다. 척추지지부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후면부(110)와 전면부(112), 측면부(114)는 상면(116)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시트(100)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면(118)은 시트(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면(116)의 하부에 조립 설치될 수 있다.
시트(100)는 착석자가 앉았을 때, 척추를 곧게 편 상태로 엉덩이와 허벅지를 안락하게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상면(116)의 후면부(110)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부(120), 상면(116)의 전면부(112)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부(130), 상면(116)의 후면부(110)쪽 가운데에 형성되고 착석자의 척추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착석자의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착석자가 시트(100)에 앉게 되면, 축추지지부에 의해 착석자는 척추를 바르게 세워 유지하면서, 엉덩이와 허벅지가 시트(100)의 엉덩이부(120)와 허벅지부(130)에 보다 편안하게 접하여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엉덩이부(120)는 착석자의 엉덩이 골격구조를 고려하여 인체 공학적인 단면 형태를 이룬다.
엉덩이부(120)는 척추지지부(140)를 중심으로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면(116)에서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되어 착석자의 양 엉덩이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엉덩이홈부(122), 한 쌍의 엉덩이홈부(122) 사이를 이루며 엉덩이홈부(122)의 바닥에서 위로 돌출되어 시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첨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엉덩이홈부(122)는 시트(100)의 상면(116)에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엉덩이홈부(12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폭방향을 따라 중간에 배치된 척추지지부(140)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에, 착석자는 엉덩이홈부(122)에 엉덩이가 지지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시트(100)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첨부(124)는 두 개의 오목한 엉덩이홈부(122) 사이에서 위로 돌출되어 연결된 부분이다. 첨부(124)는 폭방향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앞쪽으로는 허벅지부(130)의 볼록부(134)와 부드럽게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뒤쪽으로는 척추지지부(140)와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엉덩이홈부(122)는 측면부(114)의 상단에서 엉덩이홈부(122)의 바닥 저점(126)을 향해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이 하향 경사면은 오목하게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연속된 하향 경사면이라 함은 하방향으로 기울어져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의미할 수 있다. 만곡된 곡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굽어져 원호형태의 곡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홈부(122) 바닥 저점(126)에서 폭방향 단면을 따라 측면부(114)의 높이가 첨부(124)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엉덩이홈부(122)는 바닥 저점(126)에서 폭방향 단면을 따라 측면부(114)에서 첨부(124)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부(120)는 폭방향으로 양 측면부(114) 상단에서부터 중심쪽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곡률반경이 원만하게 줄어들고, 엉덩이홈부(122)의 바닥 저점(126)을 지나 첨부(124)에 이르기까지 곡률반경이 급격히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엉덩이홈부(122)의 바닥 저점(1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중심쪽에 편심되어 형성된다. 바닥 저점(126)이라 함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엉덩이홈부(122)의 가장 낮은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엉덩이홈부(122)는 전체적으로 측면부(114)의 상단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측면부(114)에서 폭방향을 따라 엉덩이홈부(122) 바닥 저점(126)까지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 착석자의 엉덩이가 중심쪽으로 모아지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엉덩이가 중심쪽으로 힘을 받아,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착석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100)의 폭방향 중심에 배치된 척추지지부(140)로 엉덩이의 척추를 보다 곧게 세워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엉덩이홈부(122)는 바닥 저점(126)이 폭방향을 따라 측면부(114)에서 첨부(124)까지의 길이(L)에 대해 측면부(114)로부터 83% 내지 86%의 길이(G)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114)에서 첨부(124)까지의 거리를 100㎝으로 하였을 때, 바닥 저점(126)은 측면부(114)로부터 83 내지 86㎝ 길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저점(126)의 형성 위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착석자가 엉덩이홈부(122)에 엉덩이를 지지하였을 때 편안함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엉덩이홈부(122)는 바닥 저점(126)에서 측면부(114) 상단까지의 높이차(H)가 2 내지 3Cm일 수 있다.
상기한 높이차(H)를 유지함으로써, 착석자의 엉덩이가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중심쪽으로 쏠려 안락하고 안정적인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높이차(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엉덩이홈부(122)의 폭방향 경사가 너무 급하거나 평평하여 착석자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기 어려우며, 척추지지부(140)에 의한 효과도 저하될 수 있다.
척추지지부(140)는 후면부(110)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착석자가 시트(100)에 앉은 상태에서 척추의 꼬리뼈에 일치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척추지지부(140)는 후면부(1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착석자가 시트(100)에 앉았을 때 착석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한다. 또한, 척추지지부(140)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42)을 이룬다. 척추지지부(140)의 경사면(142)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추지지부(140)가 착석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척추지지부(140)는 엉덩이부(120)의 엉덩이홈부(122) 사이에 형성되는 첨부(124)와의 사이는 원호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착석자는 엉덩이홈부(122)에 엉덩이가 편안하게 지지된 상태로 첨부(124)와의 간섭없이 척추의 꼬리뼈가 척추지지부(140)에 의해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허벅지부(130)는, 착석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허벅지홈부(132)와 허벅지홈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벅지홈부(13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폭방향을 따라 상면(116)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허벅지홈부(132)는 착석자의 허벅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폭방향을 따라 설정된 곡률반경으로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된다. 그리고, 허벅지홈부(13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엉덩이홈부(122)와 전면부(112) 사이를 연결한다.
허벅지홈부(132)는 시트(100)의 상면(116)에 폭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허벅지홈부(13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에, 착석자는 허벅지홈부(132)에 허벅지가 지지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시트(100)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각 허벅지홈부(132)는 오목하게 파여진 상태로 전면부(112)와 부드럽게 연결되며, 후면쪽의 각 엉덩이홈부(122)와도 부드럽게 연결된다.
볼록부(134)는 두 개의 오목한 허벅지홈부(132) 사이에서 위로 돌출되어 연결된 부분이다. 볼록부(134)는 한 쌍의 허벅지홈부(132) 사이를 이루며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위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시트(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볼록부(134) 역시, 위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돌출된 상태로 전면부(112)와 연속되도록 부드럽게 연결되며, 후면쪽의 첨부(124)와도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허벅지홈부(132)는 폭방향 단면을 따라 측면부(114)의 높이가 볼록부(134)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일 수 있다.
즉, 허벅지홈부(132)는 측면부(114)의 상단에서 허벅지홈부(132)의 바닥 저점(136)을 향해 연속된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이 하향 경사면은 오목하게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부(130)는 폭방향으로 양 측면부(114) 상단에서부터 중심쪽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면서 허벅지홈부(132)의 바닥을 지나 볼록부(134)까지 다시 점차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벅지홈부(132)는 바닥 저점(136)이 폭방향을 따라 측면부(114)에서 볼록부(134) 중심까지의 길이(P)에 대해 측면부(114)로부터 51% 내지 53% 길이(Q)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114)에서 볼록부 중심까지의 길이를 100㎝으로 하였을 때, 허벅지홈부(132)의 바닥 저점(136)은 측면부(114)로부터 51 내지 53㎝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저점(136)이라 함은 폭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허벅지홈부(132)의 가장 낮은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허벅지부(130)는 허벅지홈부(132)의 바닥 저점(136)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바닥 저점(136)에서 측면부(114) 상단까지의 높이차(T)가 바닥 저점(136)에서 볼록부(134)의 상단까지의 높이차(S)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벅지홈부(132)는 바닥 저점(136)에서 측면부(114) 상단까지의 높이차(T)가 1.5 내지 2.5㎝이고, 바닥 저점(136)에서 볼록부(134) 상단까지의 높이차(S)는 0.5 내지 1㎝일 수 있다.
이에, 허벅지홈부(132)는 전체적으로 측면부(114)의 상단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 측면부(114)에서 폭방향을 따라 허벅지홈부(132) 바닥까지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 착석자의 허벅지가 중심쪽으로 모아지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착석자는 허벅지가 오목한 형태의 두 개의 허벅지홈부에 안착되어 편안하게 착석하면서도, 두 허벅지가 중심쪽으로 힘을 받아,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착석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허벅지홈부(132)는 측면부(114)와 볼록부(134) 간에 상기한 높이차를 유지함으로써, 착석자의 허벅지가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중심쪽으로 쏠려 안락하고 안정적인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높이차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허벅지홈부(132)의 폭방향 경사가 너무 급하거나 평평하여 착석자는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허벅지홈부(132)의 바닥 높이가 엉덩이홈부(122) 바닥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일 수 있다. 바닥이라 함은 바닥 저점(136)을 의미할 수 있다. 엉덩이부(120)의 첨부(124)와 허벅지부(130)의 볼록부(134) 역시 볼록부(134)의 상단 높이가 첨부(124)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엉덩이홈부(122)의 위치가 허벅지홈부(132)보다 낮아, 착석자는 시트(100)에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의 하중이 후방쪽으로 쏠리게 된다. 따라서, 착석자의 꼬리뼈가 안정적으로 척추지지부(140)에 밀착되면서 척추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착석자는 전방쪽으로 밀려나지 않고 척추지지부(140)가 꼬리뼈에 밀착되어 착석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석자는 본 실시예의 시트에 앉았을 때 바르게 허리가 세워지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몸의 모든 부분이 제자리를 잡아 근육과 긴장이 풀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의자 100 : 시트
110 : 후면부 112 : 전면부
114 : 측면부 116 : 상면
118 : 하면 120 : 엉덩이부
122 : 엉덩이홈부 124 : 첨부
126, 136 : 저점 130 : 허벅지부
132 : 허벅지홈부 134 : 볼록부
140 : 척추지지부 142 : 경사면
200 : 지지프레임 300 : 등받이

Claims (4)

  1. 착석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쳐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시트, 상기 시트 하부에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착석자의 엉덩이쪽 선단을 이루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반대쪽 선단을 이루는 전면부,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 사이의 양 측 선단을 이루는 측면부,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 및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자를 지지하는 상면,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의자의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면, 상기 상면의 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엉덩이부, 상기 상면의 전면부쪽에 형성되어 착석자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부, 상기 상면의 후면부쪽 가운데에 형성되고 착석자의 척추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착석자의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엉덩이부는 상기 척추지지부를 중심으로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서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되어 착석자의 양 엉덩이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엉덩이홈부, 상기 한 쌍의 엉덩이홈부 사이를 이루며 상기 엉덩이홈부의 바닥에서 위로 돌출되어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엉덩이부는 엉덩이홈부의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첨부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엉덩이홈부의 바닥 저점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연속적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홈부는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첨부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이고,
    상기 엉덩이홈부는 바닥 저점이 폭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부에서 첨부까지의 길이에 대해 상기 측면부로부터 83% 내지 86%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홈부는 상기 바닥 저점에서 상기 측면부 상단까지의 높이차가 2 내지 3cm인 의자용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부는 폭방향을 따라 양쪽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서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소정 깊이로 만곡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엉덩이홈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를 연결하여 착석자의 양 허벅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허벅지홈부, 상기 한 쌍의 허벅지홈부 사이를 이루며 설정된 곡률반경에 따라 위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벅지부는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에서의 폭방향 단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볼록부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연속적으로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된 구조의 의자용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허벅지홈부의 바닥 저점 보다 상기 엉덩이홈부 바닥 저점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구조의 의자용 시트.
KR1020210089504A 2021-07-08 2021-07-08 의자 시트 KR10261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504A KR102614324B1 (ko) 2021-07-08 2021-07-08 의자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504A KR102614324B1 (ko) 2021-07-08 2021-07-08 의자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03A KR20230009003A (ko) 2023-01-17
KR102614324B1 true KR102614324B1 (ko) 2023-12-14

Family

ID=8511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504A KR102614324B1 (ko) 2021-07-08 2021-07-08 의자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45Y1 (ko) * 2003-04-25 2003-08-30 권기현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353543Y1 (ko) 2004-03-04 2004-06-22 성용진 의자용 방석시트
KR101336168B1 (ko) * 2013-07-29 2013-12-03 (주) 늘빛 척추교정용 명상의자
KR101461336B1 (ko) 2013-09-06 2014-11-20 김정인 피멀리스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602A (ko) * 2005-04-18 2006-10-23 이범석 자세교정방석
KR20180120928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굿먼데이 요추 만곡 유지기구
KR102074770B1 (ko) * 2017-09-08 2020-02-07 공인구 척추 교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45Y1 (ko) * 2003-04-25 2003-08-30 권기현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353543Y1 (ko) 2004-03-04 2004-06-22 성용진 의자용 방석시트
KR101336168B1 (ko) * 2013-07-29 2013-12-03 (주) 늘빛 척추교정용 명상의자
KR101461336B1 (ko) 2013-09-06 2014-11-20 김정인 피멀리스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03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469B2 (en) Seat furniture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KR101690054B1 (ko) 유동좌판식 요추의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2614324B1 (ko) 의자 시트
US5997095A (en) Supporting seat
JP5635573B2 (ja) 椅子
US7350869B2 (en) Chair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US5181764A (en) Chair and seat apparatu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US5052755A (en) Chai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CA2375917A1 (en) An improved open-angle seat for a chair
JP7191426B1 (ja) 椅子
KR102497522B1 (ko) 자세 교정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좌식 의자
KR20000066379A (ko) 등받이 의자
JP3105880U (ja) 正座椅子
KR20240067580A (ko) 요통경감의자
KR20240031483A (ko) 시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