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145Y1 - 착석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착석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145Y1
KR200325145Y1 KR20-2003-0012847U KR20030012847U KR200325145Y1 KR 200325145 Y1 KR200325145 Y1 KR 200325145Y1 KR 20030012847 U KR20030012847 U KR 20030012847U KR 200325145 Y1 KR200325145 Y1 KR 200325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ed
sea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권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현 filed Critical 권기현
Priority to KR20-2003-0012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61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상향돌출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이탈방지턱을 갖고 양측선단이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대퇴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대퇴지지부를 갖으며 후방선단에서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관골부를 지지하는 관골지지부를 갖고 양측단 하부 다수 곳에 축결합된 벨트고정간을 갖는 판체인 좌판과, 좌판의 벨트고정간에 양단이 고정되어 좌판을 의자판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벨트와, 좌판의 후방측 벨트고정간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일측 선단이 단속노브를 갖는 버클이 체결된 타측 선단에 체결고정되는 착용벨트와, 착용벨트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벨트가이드를 갖고 착용벨트에 의해 착석자의 상전장골극과 장골능 사이인 장, 상간능을 압박하여 착석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시키는 한 쌍의 교정패드를 구비하여 교정패드를 착용벨트에 의해 착용했을 때 한 쌍의 교정패드가 의자판에 착석한 사람의 좌, 우측 관골구의 장골능과 상전장골극의 사이의 능선부인 장, 상간능부분을 각각 적당히 압박하며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함으로써 척추가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석자세교정장치{correction apparatus for taking a seat posture}
본 고안은 착석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패드를 착용벨트에 의해 착용했을 때 한 쌍의 교정패드가 의자판에 착석한 사람의 좌, 우측 관골구의 장골능과 상전장골극의 사이의 능선부인 장, 상간능부분을 각각 적당히 압박하며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함으로써 척추가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착석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지대(Pelvic girdle) 또는 골반(pelvis)은 2개의 관골(hip bones)과 천골 및 미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골 뒤쪽은 천골과 관절하고 앞쪽은 양쪽 관골이 관절하고 있다. 하지대는 하지(lower extremities)와 몸통골격을 연결시키고 있고, 인체 기립 자세에서는 하지로의 무게 분산과 이동에 국한하며 점점 크기와 무게가 증가한다. 각 관골(hip bone or os coxae)은 크고 불규칙하며 중심으로부터 2개의 선풍기 날개 모양으로 퍼져 있다. 관골은 장골(ilium), 좌골(ischium), 치골(pubis)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가 출생 후 하나로 융합되며 3부분이 모두 모여 형성된 것을 관골구(acetabulum)라 하는데 이곳은 깊은 컵 모양의 함몰부로서 대퇴골 두가 간절하고 있고 관골의 중심 역할을 한다.
장골(ilium)은 관골구 위쪽에 위치하는데 장골 하부 또는 장골 체는 관골구의 5분의 2를 형성하며, 납작한 모양의 상부는 장골익(ala)을 형성한다. 장골 상면의 구부러진 가장자리를 장골능(iliac crest)이하 하며, 허리 바로 아래에서 촉지할 수 있다. 장골능 양쪽 끝에는 4개의 장골극(iliac spine)이 형성되어 있다. 서혜인대(inguinal ligament)와 몇 종류의 대퇴근육이 부착되는 상전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은 해부학적인 중요한 지표가 된다. 장골이 후연에 깊게 팬 대좌골절흔(greater sciatic notch)은 좌골신경(sciatic nerve)이 지나고 있으며, 장골의 이상면(auricular surface)은 천골과 관절하여 천장관절(sacroiliac)을 이룬다.
좌골(ischium)은 관골구 후하방에 형성된 것으로 관골구의 5분의 2를 형성하는 좌골체와 좌골지(ischial ramus)가 있다. 좌골 후연에는 좌골극(ischial spine)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는데, 이곳도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지표가 되며 또한 얕은 함몰부인 소좌골절흔(lesser sciatic notch)은 내음부신경과 혈관들이 통과하고 있다. 좌골체 끝에는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이 크고 거칠게 돌출되어 있는데 이곳은 앉았을 때 의자에 닿는 부위인 동시에 체중을 받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좌골지는 전방으로 굽어져 치골의 하지(inferior ramus)와 만나게 된다.
치골(pubis)은 관골구 전하방에 위치하며 관골구의 5분의 1을 형성하는 치골체와 2개의 치골지(rami)가 있다. 이 치골지는 반대쪽 치골지와 관절하게 되는데 이를 치골결합(pubic symphysis)이라 하며, 상치골지(superior pubic ramus)는 상후방의 장골(ilium)과, 하치골지(inferior pubic ramus)는 하부방의 좌골지와 만나다. 양쪽의 하치골지가 만나 치골궁(pubic arch)을 형성하며, 치골과 좌골지의 연(edge)이 폐쇄공(obturator foramen)이라는 큰 구멍을 형성하는데 이곳으로 폐쇄신경(obturator nerve) 및 혈관 등이 통과한다.
골반(pelvis)은 전측 및 외측을 이루는 1쌍의 관골과, 그리고 후측의 천골과 미골에 의해 형성된 대야 모양의 골이다. 골반은 방광(urinary bladder), 일부 생식기 및 대장(large intestine)의 하부를 보호하고 있다. 골반은 곡선인 골반연(pelvic brim)에 의해 둘로 나뉘는데 그 선은 천골의 갑각(sacral promontory), 장골의 궁상선(arcuate line)과 치골선(pectineal), 치골능을 지나간다. 분게선 위쪽에 위치한 대골반 또는 가골반(false pelvis)은 골반 장기보다는 복부 장기를 보호하고 있으며 이 가골반의 뒤쪽은 요추에 의해서, 외측부에서 감지할 수 있는 장골에 의해서, 앞쪽은 복벽근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골반연 또는 골반입구(pelvic inlet)는 위쪽 경계로서 소골반 또는 진골반(true prlvis)의 입구를 나타내는데, 진골반은 분계선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뒤쪽의 천골가 미골, 좌골 및 측부 장골의 하부, 앞쪽의 치골지에 의해 골성강(bony cavity)으로 이루어졌다. 방광은 천골과 미골 앞에 위치해 있으며, 질(vagina)과 자궁(uterus)은 여성에 있어 방광과 직장 사이에 위치한다. 진골반으로부터의 출구를 골반출구하 하는데 뒤쪽은 미골 끝과 양 외측의 좌골결절, 그리고 앞쪽의 치골궁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여성 골반은 또한 산도(brith canal)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 골반 사이는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 즉, 남성 골반(male pelvis)은 크고 무거운데 비해 여성 골반(female pelvis)은 가볍고 섬세하다. 남성 골반 입구는 심장(hear)모양인데 비해 여성 골반 입구는 둥글거나 난형으로 넓다. 남성 진골반은 좁고 깊은데 비해 여성 진골반은 넓고 얕다. 남성 골반 출구는 치골궁의 각도가 90도보다 작아서 좁은데 비해 여성 골반 출구는 치골궁의 각도가 90도보다 크기 때문에 넓다. 여자의 골반강은 분만 때 태아 및 태반의 통로인 산도(産道) 중 골산도(骨産道)에 속하는 것으로, 분만 때 태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므로 그 형태와 크기는 출산의 난이도와 큰 관계가 있다. 또 골반의 경사도는 자세와 운동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Lower extremity)는 대퇴(thigh), 하퇴(leg), 족근(발목; ankle), 발(foot) 및 발가락(toes)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하지골에는 대퇴를 이루는 대퇴골(femur), 하퇴를 이루는 경골 및 비골(tibia and fibula), 발목을 이루는 족근골(tarsale), 발을 이루는 중족골(metatarsale)과 발가락을 이루는 족지골(phalanges)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신체구조 및 골격을 가진 착석자가 장시간 동안 의자판에 착석하여 작업이나 공부를 지속하게 되면, 착석자는 몸을 의자등받이에 밀착시키면서 착석자세를 자주 바꾸게 되고, 이렇게 착석자가 척추나 좌, 우관골을 자주 움직이면 척추나 좌, 우관골의 일측으로 상체의 힘이 집중되어 더욱 허리부위나 좌, 우관골부위가 쉽게 피로해져 결국, 계속적으로 몸을 뒤척이게 되면서 작업이나 공부에 집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판에 앉는 착석자세가 불안정한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척추가 기형으로 변형되어 허리디스크나 신경통 등의 질병에 쉽게 노출되고, 성장기의 아이는 키가 크게 자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정패드를 착용벨트에 의해 착용했을 때 한 쌍의 교정패드가 의자판에 착석한 사람의 좌, 우측 관골구의 장골능과 상전장골극의 사이의 능선부인 장, 상간능부분을 각각 적당히 압박하며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함으로써 척추가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착석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석자세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상향돌출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이탈방지턱을 갖고 양측선단이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대퇴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대퇴지지부를 갖으며 후방선단에서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관골부를 지지하는 관골지지부를 갖고 양측단 하부 다수 곳에 축결합된 벨트고정간을 갖는 판체인 좌판과;
좌판의 벨트고정간에 양단이 고정되어 좌판을 의자판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벨트와;
좌판의 후방측 벨트고정간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일측 선단이 단속노브를 갖는 버클이 체결된 타측 선단에 체결고정되는 착용벨트와;
착용벨트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벨트가이드를 갖고 착용벨트에 의해 착석자의 상전장골극과 장골능 사이인 장, 상간능을 압박하여 착석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시키며 착석자의 허벅지 위쪽 상면인 좌, 우측 상대퇴부와 아랫배 좌, 우측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교정패드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교정패드의 벨트가이드는 교정패드의 외면에 다른 재질인 경질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성형한 보강판을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함을 특징을 갖는다.
상기 벨트가이드의 일측단은 교정패드에서 이격되어 분리된 벨트출입절개부를 각각 형성시켜 착용벨트의 착용을 보다 손쉽게 구성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우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우측면도,
도 4a는 도 3a의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b는 도 3b의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도 4b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판 12 : 위치이탈방지턱
14,14a : 대퇴지지부 16 : 관골지지부
18,18a : 벨트고정간 20 : 고정벨트
30,30a : 착용벨트 32 : 버클
33 : 단속노브 34 : 착용길이조절구멍
35 : 벨트단속핀 36 : 스프링
37: 탄동홈 40,40a : 고정패드
41,41a : 보강판 42,42a,43,43a,44,44a : 벨트가이드
45: 벨트출입절개부 50,50a : 좌, 우측관골
51,51a : 상전장골극 52,52a ; 장골능
53,53a : 장, 상간능 54 : 척추
60 : 의자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정면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 우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우측면도이며, 도 4a는 도 3a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b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b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착석자세교정장치는 의자판에 착석한 사람의 좌, 우측 관골구의 장골능(52)과 상전장골극(51) 사이의 능선부인 장, 상간능(53)부분을 적당한 힘으로 압박하며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가 교정되도록 한 것으로, 착석자가 앉는 판체인 좌판(10)과, 좌판(10)을 의자판(60)에 고정시키는 고정벨트(20)와, 좌판(10)에 착석자를 고정시키는 착용벨트(30)(30a)와, 착석자의 장, 상간능(53)(53a) 부분을 각각 적당히 힘으로 압박하여 척추(54)의 착석자세를 바로 잡는 교정패드(40)(40a)로 구성된다.
상기 좌판(10) 대신에 의자판(60) 및 쇼파상면 등에 직접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좌판(10)은 의자판(60)으로 대신할 수 있는 것인 바, 사용자가 앉는 합성수지나 목재의 판체로, 중심부엔 전방으로 상향돌출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이탈방지턱(12)을 형성하고, 양측선단에는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대퇴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대퇴지지부(14)(14a)를 형성하며, 후방선단에는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관골부(50)(50a)를 지지하는 관골지지부(16)를 형성하고, 양측단 하부의 다수 곳에는 축결합된 벨트고정간(18)(18a)을 형성시킨다.
고정벨트(20)는 섬유 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좌판(10)의 대퇴지지부(14)(14a) 하부에 위치된 다수개의 벨트고정간(18)(18a)에 양단을 고정시킴으로써 좌판(10)을 의자판(60)에 완강히 고정결합시키는 것이다.
착용벨트(30)(30a)는 섬유 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좌판(10)의 후방측 벨트고정간(18)(18a)에 각각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일측 선단을 단속노브(33)를 갖는 버클(32)이 체결된 타측 선단에 완강히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교정패드(40)(40a)는 착석자의 허벅지 위쪽 상면인 좌, 우측 상대퇴부와 아랫배 좌, 우측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우레탄폼 재질의 패드로, 외측면에는 착용벨트(30)(30a)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가 각각 형성되고, 착용벨트(30)(30a)에 의해 체결되어 착석자의 상전장골극(51)과 장골능(52) 사이인 장, 상간능(53)을 압박하여 착석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교정패드(40)(40a)의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는 교정패드(40)(40a)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교정패드(40)(40a)의 외면에 교정패드(40)(40a)와 다른 재질인 경질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성형하여 외측으로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가 형성된 보강판(41)(41a)을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시키는 것이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의 강도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의 일측단은 교정패드(40)(40a)에서 이격되어 분리된 벨트출입절개부(45)를 각각 형성시켜 착용벨트(30)(30a)가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에 손쉽게 결합되고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교정패드(40)(40a)의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에 도 4a와 같이, 착용벨트(30)(30a)를 각각 삽입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또는 도 4b와 같이,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의 벨트출입절개부(45)를 통해 착용벨트(30)(30a)에 교정패드(40)(40a)를 각각 체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좌판(10)을 의자판(60)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좌판(10)의 대퇴지지부(14)(14a) 저면의 벨트고정간(18)에 일측이 고정된 고정벨트(20)를 이용하여 의자판(60)의 저면을 감은 다음, 고정벨트(20)의 타측선단을 타측의 벨트고정간(18a)에 감아 완강히 고정시킨다.
이렇게 의자판(60) 상면에 좌판(10)을 고정시키고, 사용자는 좌판(10)에 착석하면, 사용자의 좌, 우측관골(50)(50a)은 좌판(10)의 관골지지부(16)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사용자의 대퇴부는 중간의 위치이탈방지턱(12)과 양측단의 대퇴지지부(14)(14a)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이때, 착용벨트(40)(40a)에 결합되어있는 교정패드(40)(40a)는 좌, 우방향으로 유동이 자유로우므로 사용자는 자기 체형에 맞도록 좌, 우로 움직여서 착석자의 좌, 우측 상대퇴부(허벅지 위쪽 상면)와 아랫배 좌, 우측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교정패드(40)(40a)와의 간격을 적당하게 조절하면서 착용벨트(30a)의 선단을 다른 착용벨트(30)의 선단에 고정된 버클(32)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렇게, 착용벨트(30)(30a)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석자는 착용할 때 가장 좋은 착석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착용벨트(30)(30a)를 착용해야 하며, 만약, 조절이 필요하다면 버클(32)의 일측에서 돌출된 단속노브(33)를 눌러서 착용벨트(30)(30a)를 보다 느슨하게 또는 조여서 착용하면 된다.
이때, 도 3b 및 도 5와 같이, 교정패드(40)(40a)의 일측에 탄동홈(37)을 형성시켜 그 내부에 스프링(36)에 의해 탄발되는 벨트단속핀(35)을 형성시킴으로써 착용벨트(30a)의 선단부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착용길이조절구멍(34)중 하나에 삽입시켜 착용벨트(30a)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런 본 고안 착석자세교정장치의 좌판(10)은 의자판(60)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고정벨트(20)만 없으면 된다.
이런 본 고안 착석자세교정장치의 좌판(10)은 착용벨트(30)(30a)의 긴장감으로 편안하게 착석자의 장골능(52)(52a)과 상전장골극(51)(51a) 사이의 능선부인 좌, 우측 장, 상간능(53)(53a)을 감싸는 교정패드(40)(40a)는 의자판(60)에 착석한 착석자의 착석자세가 일측으로 기울거나 누워져 척추(54)나 좌, 우측관골(50)(50a)의 일부분에 무리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척추(54)가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른 착석자세로 척추(54)와 좌, 우측관골(50)(50a)에 집중되는 힘이 고르게 분산되어 피로도를 크게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교정패드를 착용벨트에 의해 착용했을 때 한 쌍의 교정패드가 의자판에 착석한 사람의 좌, 우측 관골구의 장골능과 상전장골극의 사이의 능선부인 장, 상간능부분을 각각 적당히 압박하며 감싸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함으로써 척추가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착석자세교정용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상향돌출되어 착석자의 대퇴부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이탈방지턱(12)을 갖고 양측선단이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대퇴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대퇴지지부(14)(14a)를 갖으며 후방선단에서 상향절곡되어 착석자의 관골부(50)(50a)를 지지하는 관골지지부(16)를 갖고 양측단 하부 다수 곳에 축결합된 벨트고정간(18)(18a)을 갖는 판체인 좌판(10)과;
    좌판(10)의 벨트고정간(18)(18a)에 양단이 고정되어 좌판(10)을 의자판(60)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벨트(20)와;
    좌판(10)의 후방측 벨트고정간(18)(18a)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일측 선단이 단속노브(33)를 갖는 버클(32)이 체결된 타측 선단에 체결고정되는 착용벨트(30)(30a)와;
    착용벨트(30)(30a)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를 갖고 착용벨트(30)(30a)에 의해 착석자의 상전장골극(51)과 장골능(52) 사이의 능선인 장, 상간능(53)을 압박하여 착석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시키며 착석자의 허벅지 위쪽 상면인 좌, 우측 상대퇴부와 아랫배 좌, 우측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교정패드(40)(40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0) 대신에 의자판(60)으로 대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교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패드(40)(40a)의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는 교정패드(40)(40a)의 외면에 다른 재질인 경질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성형한 보강판(41)(41a)을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교정장치.
  4. 제 1 항에서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42,43,44)(42a,43a,44a)의 일측단은 교정패드(40)(40a)에서 이격되어 분리된 벨트출입절개부(45)를 각각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2003-0012847U 2003-04-25 2003-04-25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325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47U KR200325145Y1 (ko) 2003-04-25 2003-04-25 착석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47U KR200325145Y1 (ko) 2003-04-25 2003-04-25 착석자세교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223A Division KR100563511B1 (ko) 2003-04-25 2003-04-25 착석자세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145Y1 true KR200325145Y1 (ko) 2003-08-30

Family

ID=4941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47U KR200325145Y1 (ko) 2003-04-25 2003-04-25 착석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03A (ko) * 2021-07-08 2023-01-17 공인구 의자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03A (ko) * 2021-07-08 2023-01-17 공인구 의자 시트
KR102614324B1 (ko) * 2021-07-08 2023-12-14 공인구 의자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4469A (en) Orthopedic appliance
US78331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foot with adustable bladder
US3605731A (en) Device for support,correction and treatment of the human spinal column
US4688558A (en) Orthopedic appliance
US10617553B2 (en) Neck orthosis
US20050203453A1 (en) Adjustable spinal brace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CN110215322B (zh) 高弓足下肢矫正装具
US20090054818A1 (en) Spinal orthoses
JP5750396B2 (ja) 脊椎変形矯正装具
US20050222531A1 (en) Ankle braces
CN107714254B (zh) 脊椎侧弯矫正衣
KR100563511B1 (ko) 착석자세 교정장치
KR200325145Y1 (ko) 착석자세교정장치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200439676Y1 (ko) 골반교정 벨트
RU2758543C1 (ru) Корриг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кифотических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854289B1 (ko) 골반교정 기능이 마련된 에어 커프
US5387184A (en) Orthopaedic device of the non-ischial weight bearing kind
US20040167449A1 (en) Appliance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JP3176411U (ja) サポートベルト
CN219289831U (zh) 一种可调节骨盆加压带
KR101475211B1 (ko) 골반 교정용 벨트
WO2002051343A1 (en) Ankle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