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956B1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956B1
KR102611956B1 KR1020220076599A KR20220076599A KR102611956B1 KR 102611956 B1 KR102611956 B1 KR 102611956B1 KR 1020220076599 A KR1020220076599 A KR 1020220076599A KR 20220076599 A KR20220076599 A KR 20220076599A KR 102611956 B1 KR102611956 B1 KR 10261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locker
protrusion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만규
박범오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7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956B1/ko
Priority to PCT/KR2023/004565 priority patent/WO20232492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42B3/205Chin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visor);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저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 락커(locker)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저 락커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저 락커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는 지지 부재; 및 수용된 상기 삽입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Head part protector}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결합 상태의 해제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두부 보호 장비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된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두부 보호 장비는 두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때, 주행 중인 착용자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두부 보호 장비의 전방 측에는 투명한 소재의 바이저(visor)가 구비된다.
바이저는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착용자는 바이저를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착용자가 두부 보호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 중일 경우,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을 폐쇄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착용자가 상기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개방하고자 할 경우, 바이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78275호는 헬멧의 바이저 정착 기구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및 바이저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가동판의 결합 상태를 체결 돌출부 및 체결 함몰부의 결합을 통해 유지할 수 있는 헬멧의 바이저 정착 기구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의 바이저 정착 기구는 바이저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바이저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3302호는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에 형성된 걸림홈과 헬멧 본체에 형성된 후크를 이용하여 바이저와 헬멧 본체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는 바이저와 헬멧 본체의 탈거를 위한 방안을 개시할 뿐, 바이저의 회전 제한 및 바이저의 용이한 회전을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78275호 (2018.07.13.)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3302호 (2006.1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저와 메인 프레임의 해제를 위한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저의 개방과 바이저 및 메인 프레임의 해제를 위한 외력의 방향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visor);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저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 락커(locker)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저 락커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저 락커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는 지지 부재; 및 수용된 상기 삽입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의 일 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타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한 돌기가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한 돌기가 상기 지지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이 제한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이동 몸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이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압 경사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락커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지 모서리; 및 상기 지지 모서리에서 상기 바이저 락커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 모서리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락커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경사면은,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저는,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경사면은,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연속되며, 상기 락커 결합부와 멀어지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연속되며, 상기 락커 결합부와 멀어지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이 연속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이동 부재 수용부;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이저를 수용하는 바이저 돌기 수용부; 및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 및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와 각각 연통되며, 그 두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락킹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이동 몸체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락킹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락킹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저는, 그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삽입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공간을 하측에서 둘러싸며 연장되는 턱 보호부; 및 상기 턱 보호부의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이저 락커가 결합되는 락커 지지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저 락커는, 상기 락커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락커 지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락커 지지부 및 상기 결합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바이저와 메인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바이저와 메인 프레임의 해제를 위한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바이저의 개방과 바이저 및 메인 프레임의 해제를 위한 외력의 방향이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바이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바이저를 도시하는 후방에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과 바이저 락커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메인 프레임과 바이저 락커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바이저 락커에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또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바이저 락커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또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의 바이저 락커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메인 프레임, 바이저 및 바이저 락커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바이저 락커(30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과 바이저(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바이저(20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바이저(20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되게 바이저 락커(300)가 가압되어 바이저(200)가 해방 및 이동될 수 있다.
두부 보호 장비(10)는 복수 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각 구성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은 다른 하나의 구성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부 보호 장비(10)는 메인 프레임(100), 바이저(200) 및 바이저 락커(30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공간에 수용된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게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두부를 수용하고, 수용된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하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 형상이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바이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이저(2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전방 측의 개구부, 즉 후술될 프레임 개구부(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바이저 락커(300)가 결합된다. 바이저 락커(300)의 구성의 일부는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되, 바이저 락커(300)의 구성의 다른 일부는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저 락커(300)의 상기 다른 일부가 가압되어 이동되면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된 바이저(200)가 해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프레임 개구부(110), 턱 보호부(120) 및 락커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 개구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개방 형성된다. 프레임 개구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
프레임 개구부(110)는 바이저(2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저(200)가 하측으로 회전 이동되면, 프레임 개구부(110)는 바이저(200)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바이저(200)가 상측으로 회전 이동되면, 프레임 개구부(110)가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 개구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다른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개구부(110)의 좌측, 우측 및 상측은 메인 프레임(100)에 둘러싸인다. 또한, 프레임 개구부(110)의 하측은 턱 보호부(120)에 둘러싸인다.
턱 보호부(120)는 메인 프레임(100)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을 형성한다. 턱 보호부(120)는 메인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턱 보호부(120)는 메인 프레임(100)의 좌측의 후방 및 우측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턱 보호부(120)에는 바이저(200)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이저(200)는 턱 보호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바이저(200)의 지지 모서리(210)는 턱 보호부(120)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턱 보호부(120)는 소정의 두께,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턱 보호부(120)의 높이 방향의 단부 중 바이저(200)를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는 바이저 락커(3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이저 락커(300)는 턱 보호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된 바이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바이저(200)는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락커 지지부(130)는 바이저 락커(300)가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도 7 참조). 락커 지지부(130)는 턱 보호부(12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커 지지부(130)는 턱 보호부(120)의 부분 중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락커 지지부(130)는 턱 보호부(120)의 높이 방향의 단부 중 바이저(2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락커 지지부(130)의 위치는 바이저(200)에 결합되는 락커 결합부(220), 파지 돌기(230),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락커 지지부(130)는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되어, 바이저 락커(300)를 통해 바이저(20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커 지지부(130)는 턱 보호부(120)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된 공간으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커 지지부(130)는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31)는 턱 보호부(1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사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1 지지부(131)는 턱 보호부(12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131)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에는 바이저 락커(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31)를 덮으며 지지 부재(320)가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결합된다. 또한, 지지 부재(32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310)가 결합된다. 이동 부재(310)의 락킹 돌기(314)는 제1 지지부(131)에 인입,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31)는 이동 부재(310)가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를 향해 이동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부재(320)에 반대되게 바이저 락커(300)의 결합 부재(330)가 제1 지지부(13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제1 지지부(131)를 덮으며 턱 보호부(120)에 결합된다. 결합 부재(33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개구부(332)의 제1 부분(332a) 및 제2 부분(332b)은 제1 지지부(131)와 연통된다.
제1 지지부(131)의 내측은 결합 부재(330)에 의해, 제1 지지부(131)의 외측은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에 의해 덮이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31)는 외측으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 부재(32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부재(310)가 결합된다. 이동 부재(310)는 제1 지지부(131)에 수용된 탄성 부재(400)가 인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는 바이저 락커(300)의 일부 구성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131)는 제2 지지부(132)에 비해 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지지부(131)에 인접하게 제2 지지부(132)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132)는 턱 보호부(1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사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2 지지부(132)에는 바이저 락커(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132)에는 지지 부재(320)의 프레임 결합부(326)가 관통 결합된다. 지지 부재(320)는 제2 지지부(132)를 외측에서 덮으며 제2 지지부(132)에 결합된다. 이때, 복수 개의 프레임 결합부(326) 중 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가 제2 지지부(132)에 삽입 결합된다(도 13 참조).
지지 부재(320)에 반대되게 바이저 락커(300)의 결합 부재(330)가 제2 지지부(13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제2 지지부(132)를 덮으며 턱 보호부(120)에 결합된다.
제2 지지부(132)의 내측은 결합 부재(330)에 의해, 제2 지지부(132)의 외측은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에 의해 덮이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132)는 외측으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제2 지지부(132)의 위치 및 형상은 상술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13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메인 프레임(100)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132)는 제1 지지부(131)에 비해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바이저(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 개구부(1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된다. 바이저(2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외주와 같은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20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즉 좌측의 후방 단부 및 우측의 후방 단부가 메인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이저(200)는 프레임 개구부(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2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곡면 형상이다.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이저(200)는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될 수 있다. 바이저 락커(30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바이저(200)와 바이저 락커(30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바이저 락커(300)가 가압되면, 후술될 과정을 통해 바이저(200)가 바이저 락커(300)에서 해방될 수 있다. 이때, 바이저 락커(300)가 가압되는 방향과,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개방하도록 가압되는 방향은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이저 락커(300)를 가압하는 힘의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바이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200)는 지지 모서리(210), 락커 결합부(220), 파지 돌기(230),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를 포함한다.
지지 모서리(210)는 바이저(200)의 일 모서리를 형성한다. 지지 모서리(210)는 바이저(200)의 모서리 중 턱 보호부(120)를 향하는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모서리(210)는 바이저(200)의 하측 모서리를 형성한다.
지지 모서리(210)는 턱 보호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하며 바이저 락커(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모서리(210)는 턱 보호부(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개방하며 바이저 락커(300)와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 모서리(210)는 턱 보호부(120)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저(200)는 지지 모서리(210)가 턱 보호부(120)와 접촉될 때까지 이동되어 프레임 개구부(110)를 덮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모서리(210)의 부분 중 바이저 락커(300)에 인접한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우측 부분에는 락커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락커 결합부(220)는 지지 모서리(210)의 상기 일 측에서 턱 보호부(12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락커 결합부(220)는 지지 모서리(210)에서 외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하게 위치되면, 락커 결합부(220)는 바이저 락커(300)의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의 일부를 덮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에서, 락커 결합부(220)는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의 전방 측 일부를 덮게 배치된다.
락커 결합부(220)의 내면, 즉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일 면에는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가 구비된다. 락커 결합부(220)가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의 상기 일부를 덮게 배치되면,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는 각각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될 수 있다.
락커 결합부(220)는 바이저 락커(300)를 부분적으로 덮고,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가 구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커 결합부(220)는 턱 보호부(12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하는 꼭지점을 포함하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락커 결합부(220)의 일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파지 돌기(230)가 형성된다.
파지 돌기(230)는 바이저(200)가 사용자에게 가압되는 부분이다. 파지 돌기(230)는 바이저(200)의 외면, 즉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반대되는 일 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파지 돌기(230)는 지지 모서리(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지 돌기(230)는 지지 모서리(210)의 일 부분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기(230)는 지지 모서리(210)의 부분 중 후방 측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파지 돌기(230)가 연장되는 방향은 바이저 락커(300)의 이동 부재(310)의 가압 경사면(312)의 연장 방향과 유사할 수 있다. 즉, 가압 경사면(312)을 가압하는 힘은 그 방향의 과다한 변경 없이 파지 돌기(230)에 인가되어 바이저(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기(230)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파지 돌기(23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부분은 서로 연속되되, 서로 다른 경사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기(230)는 제1 파지 돌기(231) 및 제2 파지 돌기(23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파지 돌기(231)는 파지 돌기(230)의 전방 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파지 돌기(231)는 지지 모서리(210)를 따라 연장되되, 락커 결합부(220) 상에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 돌기(231)는 락커 결합부(220)의 하측 모서리 중 후방 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파지 돌기(231)는 락커 결합부(220)의 후방 측 모서리와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1 파지 돌기(231)의 경사, 즉 수평면에 대한 경사는 제2 파지 돌기(232)의 경사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지 돌기(231)는 제2 파지 돌기(232)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파지 돌기(231)의 후방 측 단부는 제2 파지 돌기(232)의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파지 돌기(232)는 파지 돌기(230)의 후방 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2 파지 돌기(232)는 지지 모서리(210)의 부분 중 락커 결합부(2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파지 돌기(232)는 제1 파지 돌기(231)의 후방 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2 파지 돌기(232)는 지지 모서리(210)의 후방 측과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2 파지 돌기(232)의 경사가 제1 파지 돌기(231)의 경사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이저 락커(300)를 가압한 힘은 그 방향의 과다한 전환 없이 제2 파지 돌기(232)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지 돌기(232)의 연장 방향은 바이저 락커(300)의 가압 경사면(312)의 연장 방향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240)는 바이저(200)가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이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삽입된 삽입 돌기(240)는 이동 부재(310)의 락킹 돌기(314)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바이저(200)와 바이저 락커(300), 더 나아가 바이저(200)와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삽입 돌기(240)는 락커 결합부(22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돌기(240)는 락커 결합부(220)의 면 중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형성된다. 삽입 돌기(240)는 락커 결합부(220)의 후방 측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삽입 돌기(240)는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락킹 돌기(314)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돌기(240)는 바이저(200)의 연장 방향, 즉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삽입 돌기(240)에 인접하게 락킹 돌기 수용부(250)가 형성된다.
락킹 돌기 수용부(250)는 이동 부재(310)의 락킹 돌기(314)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락킹 돌기 수용부(250)에 수용된 락킹 돌기(314)는 삽입 돌기(240)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삽입 돌기(24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바이저(200)와 바이저 락커(300), 더 나아가 바이저(200)와 메인 프레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락킹 돌기 수용부(250)는 락커 결합부(22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락킹 돌기 수용부(250)는 락커 결합부(220)의 면 중 삽입 돌기(240)가 배치된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으로 정의된다. 락킹 돌기 수용부(250)는 락커 결합부(220)의 후방 측면의 부분 중 삽입 돌기(240)에 인접한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일부로 정의된다.
바이저 락커(300)는 바이저(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이저 락커(300)는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되되, 일부 구성은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구성은 메인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이저(200)가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되면, 상기 다른 구성은 메인 프레임(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바이저(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성이 특정 방향으로 가압되면, 바이저(200)가 바이저 락커(300)에서 해방될 수 있다.
바이저 락커(300)는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락커(300)는 턱 보호부(120)에 형성되는 락커 지지부(130)에 결합된다. 바이저 락커(300)는 바이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바이저 락커(300)는 프레임 개구부(110)를 폐쇄하게 이동된 바이저(200)의 락커 결합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바이저 락커(300)는 바이저(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바이저(200)의 삽입 돌기(240)는 후술될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삽입되고, 락킹 돌기(314)가 락킹 돌기 수용부(250)에 수용되어 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락커(300)는 이동 부재(310), 지지 부재(320), 결합 부재(330)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310)는 바이저 락커(300)의 상기 다른 구성으로 정의된다. 이동 부재(310)는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 구체적으로 락커 지지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이동 부재(310)가 지지 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310)는 락커 지지부(130) 및 락커 지지부(130)에 고정 결합된 지지 부재(320)를 외측에서 덮으며 지지 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310)는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즉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방향, 즉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320)와 결합된다.
이동 부재(310)는 바이저 락커(300) 중 가장 외측에 위치된다. 이동 부재(310)의 일부는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이동 부재(310)를 내측, 즉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이동 부재(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부재(310)는 락커 지지부(130)의 제1 지지부(131)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310)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310)는 이동 몸체(311), 가압 경사면(312), 바이저 안착 면(313), 락킹 돌기(314), 제한 돌기(315), 탄성 돌기(316) 및 축 중공(317)을 포함한다.
이동 몸체(311)는 이동 부재(310)의 몸체를 형성한다. 이동 몸체(311)에는 이동 부재(310)의 다른 구성이 결합, 형성된다. 이동 몸체(311)는 락커 지지부(130)와 연장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몸체(311)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이동 몸체(311)의 면 중 외측을 향하는 일 면에는 가압 경사면(312) 및 바이저 안착 면(313)이 형성된다. 이동 몸체(311)의 면 중 내측을 향하는 타 면에는 락킹 돌기(314), 제한 돌기(315) 및 탄성 돌기(316)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 몸체(311)의 각 측 중 바이저(2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축 중공(317)이 관통 형성된다.
가압 경사면(312)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가압 경사면(312)은 이동 몸체(311)의 상기 일 면, 즉 외측 면에 형성된다. 가압 경사면(312)은 이동 몸체(311)의 상기 일 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각만으로 가압 경사면(312)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이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은 이동 몸체(311)의 상기 일 면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이동 몸체(311)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가압 경사면(312)의 전방 측에는 바이저 안착 면(313), 락킹 돌기(314) 및 제한 돌기(315)가 위치된다.
가압 경사면(312)은 이동 몸체(311)와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은 바이저(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 경사면(312)은 프레임 개구부(110)를 덮게 이동된 바이저(200)의 락커 결합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락커 결합부(22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은 바이저(200)의 파지 돌기(2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즉 바이저(200)가 프레임 개구부(110)가 덮게 이동된 상태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파지 돌기(2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을 가압하는 힘은 과다한 이동 없이 파지 돌기(230)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가압 경사면(312)의 연장 방향은 바이저(200)의 파지 돌기(230), 구체적으로 제2 파지 돌기(232)의 연장 방향과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제2 파지 돌기(23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경사면(312)을 가압하는 힘은 그 방향이 과다하게 변경되지 않고도 파지 돌기(230)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저 락커(300)에 결합된 바이저(200)의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부분은 서로 연속되되, 각 부분은 서로 경사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경사면(312)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경사면(312a), 제2 경사면(312b) 및 제3 경사면(312c)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312a)은 가압 경사면(312)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1 경사면(312a)은 가압 경사면(312)의 상기 부분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어, 바이저(200)의 지지 모서리(210) 및 락커 결합부(2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경사면(312a)은 락커 결합부(22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312a)은 이동 몸체(3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312a)은 바이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하는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경사면(312a)은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경사면(312a)은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제2 경사면(312b)과 연속된다.
제2 경사면(312b)은 가압 경사면(312)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제2 경사면(312b)은 가압 경사면(312)의 상기 부분 중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제2 경사면(312b)은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면(312b)은 제1 경사면(312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면(312b)은 둔각을 이루며 제1 경사면(312b)과 연속된다.
제2 경사면(312b)은 제3 경사면(312c)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면(312b)은 둔각을 이루며 제3 경사면(312c)과 연속된다. 이때, 제2 경사면(312b)과 제3 경사면(312c)이 연속되는 부분은 방사상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촉각으로 제2 경사면(312b)과 제3 경사면(312c)이 연속되는 부분을 인지하고, 이동 부재(3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경사면(312b) 또는 제3 경사면(312c)을 가압하여 이동 부재(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경사면(312c)은 가압 경사면(312)의 또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제3 경사면(312c)은 가압 경사면(312)의 상기 부분 중 하측에 위치된다. 제3 경사면(312c)은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 경사면(312c)은 제2 경사면(312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경사면(312c)과 제2 경사면(312b)이 연속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경사면(312b) 및 제3 경사면(312c)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가압하여 이동 부재(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압 경사면(312)에 인접하게 바이저 안착 면(313)이 형성된다.
바이저 안착 면(313)은 바이저(200)의 락커 결합부(22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바이저 안착 면(313)은 이동 몸체(311)의 상기 일 면, 즉 외측 면의 일 부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안착 면(313)은 이동 몸체(311)의 외면 중 가압 경사면(312)의 전방 측에 위치되는 면의 일부로 정의된다.
바이저 안착 면(313)은 락커 결합부(22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안착 면(313)에는 락커 결합부(220)의 내면 중 삽입 돌기(240) 및 락킹 돌기 수용부(25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일부가 안착된다. 바이저 안착 면(313)은 락커 결합부(220)에 의해 덮여, 상기 나머지 부분의 일부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바이저 안착 면(313)에 인접하게 락킹 돌기(314)가 배치된다.
락킹 돌기(314)는 지지 부재(320)의 락킹 개구부(323)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락킹 돌기(314)는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수용된 바이저(200)의 삽입 돌기(240)를 상측에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수용된 삽입 돌기(24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되어, 바이저(200)와 메인 프레임(100) 또는 바이저(200)와 바이저 락커(3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락킹 돌기(314)는 이동 몸체(311)의 외측 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락킹 돌기(314)는 이동 몸체(31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락킹 돌기(314)의 돌출 길이는 이동 부재(3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310)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락킹 돌기(314)는 바이저(200)의 이동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돌기(240)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10)가 가압된 상태에서, 락킹 돌기(314)는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돌기(24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310)는 상기 상태가 형성될 수 있을만큼 충분한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락킹 돌기(314)에 인접하게 제한 돌기(315)가 형성된다.
제한 돌기(315)는 이동 부재(310)가 지지 부재(320)와 결합되는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한 돌기(315)는 지지 부재(320)에 관통되어, 지지 부재(320)의 내측에 위치된다. 즉, 제한 돌기(315)는 지지 부재(320)의 내면과 턱 보호부(120) 사이에 위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이동 부재(310)는 탄성 부재(400)가 인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한 돌기(315)가 지지 부재(320)의 내면에 걸림으로써, 이동 부재(310)가 지지 부재(3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한 돌기(315)는 이동 부재(31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한 돌기(315)는 이동 부재(31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중 가압 경사면(312)에 반대되는 일 단부, 즉 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제한 돌기(315)는 이동 부재(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한 돌기(315)는 지지 부재(320)의 내면과 접촉되어, 이동 부재(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돌기(316)는 탄성 부재(400)에 삽입되어, 탄성 부재(400)의 연장 방향의 일 측을 지지한다. 탄성 돌기(316)는 이동 몸체(311)의 내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탄성 돌기(316)는 락커 지지부(130)의 제1 지지부(131), 지지 부재(320)의 탄성 부재 하우징(327) 및 탄성 부재 지지부(328)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돌기(316)는 이동 몸체(311)의 연장 방향의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 돌기(316)는 바이저 안착 면(313)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축 중공(317)은 이동 부재(310)가 지지 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축 중공(317)은 이동 부재(31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축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축 중공(317)은 이동 부재(310)를 지지 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축 중공(317)은 제한 돌기(315)에 반대되게, 이동 몸체(311)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즉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310)는 축 중공(317)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또는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되,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거리는 제한 돌기(315)에 의해 제한됨이 이해될 것이다.
지지 부재(320)는 바이저 락커(300)의 상기 일부 구성으로 정의된다. 지지 부재(320)는 메인 프레임(100)의 락커 지지부(130)에 고정 결합된다. 지지 부재(320)에는 이동 부재(31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310)는 축 중공(3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재(320)와 결합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지지 부재(320)는 결합 부재(3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320)는 락커 지지부(130)가 형성된 턱 보호부(120)를 사이에 두고 결합 부재(33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지지 부재(320)와 결합 부재(330)는 턱 보호부(12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0)는 탄성 부재(400)와 결합된다. 지지 부재(320)는 탄성 부재(400)의 일 측을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타 측은 이동 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320)와 이동 부재(310)는 탄성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0)는 이동 부재(310)에 의해 덮이게 배치된다. 지지 부재(320)는 이동 부재(310)와 결합 부재(330)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 부재(320)는 이동 부재(31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20)는 이동 부재(310)와 유사하게,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20)는 지지 몸체(321), 이동 부재 수용부(322), 락킹 개구부(323),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 축 개구부(325), 프레임 결합부(326), 탄성 부재 하우징(327) 및 탄성 부재 지지부(328)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321)는 지지 부재(3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몸체(321)에는 지지 부재(320)의 다른 구성이 결합, 형성된다. 지지 몸체(321)는 이동 몸체(311)와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몸체(321)의 각 측 중 이동 부재(31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에는 이동 부재 수용부(322), 락킹 개구부(323) 및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가 형성된다. 지지 몸체(321)의 각 측 중 턱 보호부(120)를 향하는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에는 프레임 결합부(326), 탄성 부재 하우징(327) 및 탄성 부재 지지부(328)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 몸체(321)의 각 측 중 바이저(2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축 개구부(325)가 관통 형성된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는 이동 부재(310)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는 이동 부재(310)를 향하는 지지 몸체(321)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는 지지 몸체(3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의 연장 방향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 몸체(311)의 연장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락킹 돌기(314)에 대응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는 락킹 개구부(323)가 형성된다.
락킹 개구부(323)는 락킹 돌기(314)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다. 락킹 돌기(314)는 락킹 개구부(323)에 수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 및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락킹 개구부(323)는 이동 부재 수용부(322)와 연통된다. 이동 부재 수용부(322)에 수용되는 이동 몸체(311)와 연속되는 락킹 돌기(314)는, 락킹 개구부(3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락킹 개구부(323)는 지지 몸체(321)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킹 개구부(323)는 지지 몸체(321)의 폭 방향, 즉 방사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락킹 개구부(323)는 락킹 돌기(314)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락킹 개구부(323)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락킹 개구부(323)에 인접하게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가 형성된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바이저 락커(300)에 결합된 바이저(200)의 일 부분을 수용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바이저(200)의 삽입 돌기(240)를 수용할 수 있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락킹 개구부(32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이동 부재 수용부(322)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이동 부재 수용부(322)와 연통된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는 락킹 돌기(314)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삽입 돌기(240)를 지지할 수 있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이동 부재(310)를 향하는 지지 몸체(321)의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의 하측은 지지 몸체(32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바이저(200)의 하측 방향의 이동 거리는 바이저(200)의 지지 모서리(210)(즉, 삽입 돌기(240))에 인접한)가 지지 몸체(321)에 접촉될 때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락킹 개구부(323)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의 내측은 지지 몸체(321)의 내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의 내측 및 하측은 지지 몸체(321)의 내면에 의해 감싸진다.
축 개구부(325)는 이동 부재(310)가 지지 부재(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축 개구부(325)는 지지 부재(32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축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축 개구부(325)는 축 중공(317)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축 개구부(325)는 락킹 개구부(323) 또는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반대되게, 지지 몸체(321)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즉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프레임 결합부(326)는 지지 부재(320)가 락커 지지부(130)와 결합되는 일 부분을 형성한다. 프레임 결합부(326)는 락커 지지부(130)를 향하는 지지 몸체(321)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326)는 락커 지지부(130)의 제2 지지부(132)에 관통 결합된다. 프레임 결합부(326)는 결합 부재(330)의 결합 개구부(33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326)의 내부에는 중공(도면 부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320), 턱 보호부(120) 및 결합 부재(330)에 관통되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326)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 결합부(326)는 지지 몸체(32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치우치게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326)는 지지 몸체(321)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는 제1 지지부(131)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개구부(333)에, 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는 제2 지지부(132)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개구부(333)에 각각 관통, 삽입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 결합부(326)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개구부(333)에 삽입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은 탄성 부재(400)를 수용한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은 수용된 탄성 부재(40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탄성 부재(400)는 그 외주 방향을 감사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은 락커 지지부(130)를 향하는 지지 몸체(321)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되, 다른 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400)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에 용이하게 삽입되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 및 탄성 부재 하우징(327)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 부재(400)는 제1 지지부(131)에 삽입 결합된다.
탄성 부재 하우징(327)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 지지부(328)가 구비된다.
탄성 부재 지지부(328)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에 수용된 탄성 부재(400)의 연장 방향의 타 측을 지지한다. 탄성 부재(400)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의 일 단부는 이동 부재(310)의 탄성 돌기(316)에, 탄성 부재(400)의 타 단부는 탄성 부재 지지부(32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310)는 지지 부재(32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지지부(328)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의 내부에 위치된다. 탄성 부재 지지부(328)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의 면 중 방사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일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결합 부재(330)는 턱 보호부(120) 및 지지 부재(320)와 각각 결합된다. 결합 부재(330)에 의해, 지지 부재(320)는 턱 보호부(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다. 결합 부재(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부재(330)는 락커 지지부(130)의 내측에서 락커 지지부(130)와 결합된다.
결합 부재(330), 락커 지지부(130) 및 지지 부재(320)의 결합을 위해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미도시)는 결합 부재(330), 락커 지지부(130) 및 지지 부재(3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30)는 결합 몸체(331), 수용 개구부(332) 및 결합 개구부(333)를 포함한다.
결합 몸체(331)는 결합 부재(330)의 몸체를 형성한다. 결합 몸체(331)에는 결합 부재(330)의 다른 구성이 형성된다. 결합 몸체(331)는 이동 몸체(311) 또는 지지 몸체(321)와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몸체(331)의 각 측 중 락커 지지부(13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에는 수용 개구부(332)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결합 몸체(33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결합 개구부(333)가 관통 형성된다.
수용 개구부(332)는 이동 부재(310)가 가압됨에 따라 내측을 향해 이동되는 락킹 돌기(314)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용 개구부(332)는 결합 몸체(331)의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이 개방 형성되어, 락킹 돌기(314)가 인입, 인출될 수 있다.
수용 개구부(332)는 락킹 개구부(323)와 연통된다. 락킹 돌기(314)는 락킹 개구부(323)를 지나 수용 개구부(332)까지 진행될 수 있다.
수용 개구부(332)는 락킹 돌기(314) 또는 락킹 개구부(323)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개구부(332)는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수용 개구부(332)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된 복수 개의 각 부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개구부(332)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332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332b)을 포함한다.
제1 부분(332a)에는 락킹 돌기(314)의 일 부분 및 제한 돌기(315)가 인입, 인출된다. 제1 부분(332a)은 락킹 돌기(314)의 상기 일 부분 및 제한 돌기(315)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332a)은 제2 부분(332b)보다 짧은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분(332b)에는 바이저 안착 면(313)의 부분 중 내측을 향하는 일 부분이 인입, 인출된다. 제2 부분(332b)은 바이저 안착 면(313)의 상기 일 부분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분(332b)은 제1 부분(332a)보다 긴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333)는 결합 부재(330)가 메인 프레임(100) 및 지지 부재(3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개구부(333)는 결합 몸체(331)에 관통 형성된다. 체결 부재(미도시)는 결합 개구부(333), 락커 지지부(130)에 관통되어 프레임 결합부(326)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3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개구부(333)는 결합 몸체(3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333)는 두 개 구비되어, 결합 몸체(331)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개구부(333)는 제1 지지부(131)와 연통되고, 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와 결합된다. 또한,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개구부(333)는 제2 지지부(132)와 연통되고, 후방 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26)와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탄성 부재(40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400)는 이동 부재(310)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 부재(400)는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와 각각 결합된다. 이동 부재(310)가 내측을 향해 가압되면, 탄성 부재(400)는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 부재(400)는 저장한 복원력을 이동 부재(310)에 제공하여, 이동 부재(310)가 외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이동 부재(310) 및 지지 부재(320)와 결합되어 이동 부재(3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40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외측 단부는 이동 부재(310)의 탄성 돌기(316)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내측 단부는 지지 부재(320)의 탄성 부재 지지부(328)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400)는 탄성 부재 하우징(327)에 수용되어 지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축 중공(317) 또는 축 개구부(325)에 구비되어 축 부재(미도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의 형태로 구비되어, 이동 부재(310)를 탄성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바이저(200)가 바이저 락커(300)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바이저(200)의 삽입 돌기(240)는 락킹 돌기(314)에 의해 구속된다. 이에 따라, 바이저(200)와 바이저 락커(300)가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삽입 돌기(240)는 지지 부재(320)의 바이저 돌기 수용부(324)에 수용된다. 이때, 이동 부재(310)는 탄성 부재(400)가 인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락킹 돌기(314) 또한 외측으로 이동되어 삽입 돌기(24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삽입 돌기(240)의 상측은 락킹 돌기(314)에 의해 구속되어 바이저(200)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이동 부재(310)가 가압되면, 락킹 돌기(314)가 락킹 개구부(323) 및 수용 개구부(332)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락킹 돌기(314)와 삽입 돌기(240)는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게 되어, 삽입 돌기(240)가 해방된다. 상기 상태에서 바이저(200)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310)의 가압 상태가 해제될 경우, 이동 부재(310)가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400)에 저장된 복원력이 이동 부재(310)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310)는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 돌기(230)는 이동 부재(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 경사면(312)과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이동 부재(310)를 가압하기 위해 가압 경사면(312)에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과, 바이저(2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파지 돌기(230)에 인가되는 외력의 방향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부재(310)를 가압하던 방향으로 파지 돌기(230)를 가압하여, 바이저(2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이동 부재(310)가 가압되어 바이저(200)가 해방되고, 바이저(200)가 가압되어 이동되는 과정을 통해 프레임 개구부(110)가 개방되도록 바이저(20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과정은 유사한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저(200)의 이동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메인 프레임
110: 프레임 개구부 120: 턱 보호부
130: 락커 지지부 131: 제1 지지부
132: 제2 지지부 200: 바이저
210: 지지 모서리 220: 락커 결합부
230: 파지 돌기 231: 제1 파지 돌기
232: 제2 파지 돌기 240: 삽입 돌기
250: 락킹 돌기 수용부 300: 바이저 락커
310: 이동 부재 311: 이동 몸체
312: 가압 경사면 312a: 제1 경사면
312b: 제2 경사면 312c: 제3 경사면
313: 바이저 안착 면 314: 락킹 돌기
315: 제한 돌기 316: 탄성 돌기
317: 축 중공 320: 지지 부재
321: 지지 몸체 322: 이동 부재 수용부
323: 락킹 개구부 324: 바이저 돌기 수용부
325: 축 개구부 326: 프레임 결합부
327: 탄성 부재 하우징 328: 탄성 부재 지지부
330: 결합 부재 331: 결합 몸체
332: 수용 개구부 332a: 제1 부분
332b: 제2 부분 333: 결합 개구부
400: 탄성 부재

Claims (12)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visor);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저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저 락커(locker)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저는,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저 락커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저 락커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 돌기를 수용하는 지지 부재; 및
    수용된 상기 삽입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결합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이동 부재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의 일 부분이 상기 지지 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타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한 돌기가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한 돌기가 상기 지지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이 제한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이동 몸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이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압 경사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락커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는 지지 모서리; 및
    상기 지지 모서리에서 상기 바이저 락커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 모서리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락커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경사면은,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는,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이동 몸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경사면은,
    상기 락커 결합부의 상기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경사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연속되며, 상기 락커 결합부와 멀어지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연속되며, 상기 락커 결합부와 멀어지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3 경사면이 연속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이동 부재 수용부;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이저를 수용하는 바이저 돌기 수용부; 및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 및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와 각각 연통되며, 그 두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락킹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 수용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이동 몸체; 및
    상기 이동 몸체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락킹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락킹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는,
    그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바이저 돌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삽입 돌기를 상측에서 지지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공간을 하측에서 둘러싸며 연장되는 턱 보호부; 및
    상기 턱 보호부의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바이저 락커가 결합되는 락커 지지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 락커는,
    상기 락커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락커 지지부의 외측에서 상기 락커 지지부 및 상기 결합 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220076599A 2022-06-23 2022-06-23 두부 보호 장비 KR10261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599A KR102611956B1 (ko) 2022-06-23 2022-06-23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565 WO2023249215A1 (ko) 2022-06-23 2023-04-05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599A KR102611956B1 (ko) 2022-06-23 2022-06-23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956B1 true KR102611956B1 (ko) 2023-12-08

Family

ID=8916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599A KR102611956B1 (ko) 2022-06-23 2022-06-23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1956B1 (ko)
WO (1) WO202324921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02Y1 (ko) 2006-09-21 2006-12-08 (주)기도산업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
US20100095439A1 (en) * 2008-10-16 2010-04-22 HaberVision LLC Actively ventilated helmet systems and methods
KR101878275B1 (ko)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604A (ja) * 1992-01-31 1993-08-24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制御装置
JP4215797B2 (ja) * 2006-12-14 2009-01-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ITMI20080784A1 (it) * 2008-04-29 2009-10-30 Givi Srl Casco con protezione integrata nella visiera
KR101150796B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ES2713100B2 (es) * 2017-11-08 2019-10-16 Tomas Manuf Casco de Protección para motorist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02Y1 (ko) 2006-09-21 2006-12-08 (주)기도산업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
US20100095439A1 (en) * 2008-10-16 2010-04-22 HaberVision LLC Actively ventilated helmet systems and methods
KR101878275B1 (ko)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215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2778T3 (es) Casco
ES2450146T3 (es) Protección auditiva para su fijación a un casco protector, particularmente para trabajadores forestales
JP5144769B2 (ja) 壊れやすい構造を持つ安全な首保護カラー
US3873997A (en) Cervix guard for protective headgear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ES2538685T3 (es) Equipamiento interior para un casco, en particular para trabajadores forestales
EP3154386B1 (en) Removable shield for protective headwear
ES2729663T3 (es) Accesorio de protección facial para cascos y casco dotado de dicho accesorio de protección facial
CN103027422A (zh) 头盔
CN104093332A (zh) 保护头盔和屏幕
KR102611956B1 (ko) 두부 보호 장비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JP6568837B2 (ja) 反転収納ヘルメット
US4882684A (en) Engaging device of a keyboard for a data processing unit
KR102365056B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KR102210718B1 (ko) 쉴드 개폐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JPH0314607A (ja) モータサイクリスト用ヘルメット帽
JP6417069B1 (ja) ヘルメット
JP6166009B1 (ja) ヘルメット
US20130089423A1 (en) Protective helmet stand
JP2017530271A (ja) 折り畳み式庇を備える帽子
KR102627598B1 (ko) 두부 보호 장비
KR102604970B1 (ko) 두부 보호 장비
JP4856280B1 (ja)
CN219781793U (zh) 一种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