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104B1 -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104B1
KR102611104B1 KR1020220168578A KR20220168578A KR102611104B1 KR 102611104 B1 KR102611104 B1 KR 102611104B1 KR 1020220168578 A KR1020220168578 A KR 1020220168578A KR 20220168578 A KR20220168578 A KR 20220168578A KR 102611104 B1 KR102611104 B1 KR 10261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umidity
storage
control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성우
공지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케이엘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케이엘엠스 filed Critical (주)에스케이엘엠스
Priority to KR102022016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본 발명은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서적이나 유물과 같은 유서가 있는 물품들의 경우에는 전시를 하는 환경을 포함해서 유물을 보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그림이나 서적과 같은 유물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분에 취약하여 썩어버리는 문제로 인한 훼손을 걱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보관하는 박물관의 경우에는 보다 더욱 이러한 보존에 신경을 써야할 수 있다.
외부와는 차단된 공간이므로 타인의 손길에 의한 훼손을 걱정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수분에 의한 훼손은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기 어렵고 훼손이 발생된 이후에는 제대로된 복원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문제로 인해 일반적으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내부 습도조절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습도를 제거해줄 수 있는 제습제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다만, 단순히 습도가 낮은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유물의 상태 보존을 위해서는 습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분을 배출하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습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면서 유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절유닛은, 겔 상태의 물질인 아트소브와 유사한 조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와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위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팽창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제1 수납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과 이격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면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획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구획유닛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된 상기 조절유닛이 팽창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 내부의 조절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습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조절유닛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반적인 형태들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서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 내부의 조절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서적이나 유물 등과 같은 유서 깊은 대상물(O)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내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O)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O)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120)을 형성하는 골조유닛(100),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O)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200),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120)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300) 및 상기 내부공간(120)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300)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조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결합되어 내부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120)에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골조유닛(100)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공간(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격벽공간(14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20)을 서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유닛(200)은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격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격벽을 형성하면서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부 격벽, 외부 격벽, 상하 격벽 등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유닛(200)에는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부재(282)와 삽입부재(28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28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284)는 상기 끼움부재(28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절유닛(300)은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4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수납공간(4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유닛(300)은 아트소브제와 갈은 겔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의 물질은 일정 수준의 수분을 흡수하고, 일정 수준 이하의 습도가 되면 수분을 배출하는 물질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시스템적 조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물질의 특성상 내부의 습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내부의 습도조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은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12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유닛(300)과 상기 대상물(O)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맞닿아 수분에 상기 대상물(O)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격벽공간(140)의 일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측에 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측벽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반드시 제시된 위치에 제한받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4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이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400)은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440),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측벽부(440)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4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상기 측벽부(440)가 상기 조절유닛(300)을 지지할 수 없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측벽부(440)의 일단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300)을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덮개부(46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과 상기 조절유닛(300)이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앞서 제시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대략적인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습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과 상기 고정유닛(400)이 서로 부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측이 아닌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대상물(O)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부(460)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위치되고,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30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은 일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46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일정 수준, 예를 들어, 제1 습도를 기준으로 제1 습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습도가 높아지면 상기 조절유닛(300)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제1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O)과 상기 조절유닛(300)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수분을 머금을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이나 별도의 제습제를 통해 제습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대상물(O)과 보다 밀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효과적으로 상기 대상물(O) 주변의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상기 조절유닛(300)과 유사한 조습제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에 상기 대상물(O)과 같이 구비하는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습제가 수분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접촉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고, 조습제가 수분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대상물(O)과 인접한 위치상에 배치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본 발명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습도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대상물(O)에 관여되는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O)과 상대적으로 밀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O)과 밀접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습도를 기준으로 제1 습도보다 낮은 제2 습도 이하로 습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조절유닛(300)은 물질의 특성상 수분을 배출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O)의 인근에서 습도를 조절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대상물(O)의 보존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앞서 제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외에도 변형예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조절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조절유닛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반적인 형태들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구획유닛(200)에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의 내부에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벽과 상기 조절유닛(30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직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돌출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200)의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20)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홀(2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홀(260)을 통해 습도에 대해 상기 조절유닛(300)이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유닛(200)의 일면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끼움부재(282)가 형성되고, 일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타면에는 상기 끼움부재(282)가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부재(28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재(28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40)와 유사하게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에도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48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480)는 상기 조절유닛(300)을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내부에서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맞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유닛(300)이 겔 형태로 구비되는 아트소브제와 유사한 조습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의 중앙부가 무게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개방된 일측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덮개부(460)를 통해 상기 조절유닛(3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유닛(200)의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에는 각각 상기 돌기부(480) 및 상기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및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내부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벽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유닛(300)이 외부의 습도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240) 및 상기 돌기부(480)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는 과정에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및 상기 제2 수납공간(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유닛(300)의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앞선 도 1 내지 도 7에서 언급된 형태만을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조절유닛(3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 형태를 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망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240)와 상기 돌기부(480)에 의해 상기 구획유닛(200) 및 상기 조절유닛(30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습도조절이 민감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420) 혹은 상기 제2 수납공간(22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로 구비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유닛(20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이격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습도의 저항이 강한 상기 대상물(O)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앞서 지속적으로 상황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의 형태, 상기 고정유닛(400)의 위치 등을 한정하지 않았으나,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본 발명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자기와 같은 물질과 서적이나 그림이 함께 보관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분의 습도조절에만 민감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유닛(400)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9(b)는 본 발명의 도 1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일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습도뿐만 아니라 통풍과 같은 공기 순환에도 중요한 상기 대상물(O)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공기유동에 따른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절유닛(300)이 도 8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9(c)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예시를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만약 도 9(d)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가 폐쇄되는 형태로 상기 대상물(O)이 보관되기 때문에 내부의 습도조절이 필수적으로 중요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공기의 유동이 적어 도 8과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을 구비하는 것보다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유닛(30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고 설명한 것이며, 앞선 이유들에 따라 반드시 제시된 바에만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도 9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이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한 것은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유닛(20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한하지 않고 이해를 돕기 위해 이와 같이 도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도 2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O: 대상물
100: 골조유닛
120: 내부공간
140: 격벽공간
200: 구획유닛
220: 제2 수납공간
240: 돌출부
260: 홀
282: 끼움부재
284: 삽입부재
300: 조절유닛
400: 고정유닛
420: 제1 수납공간
440: 측벽부
460: 덮개부
480: 돌기부

Claims (10)

  1.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배출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와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위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팽창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수납공간 내부의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의 습도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상기 제1 수납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과 이격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겔 상태의 물질인 아트소브와 유사한 조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닛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된 상기 조절유닛이 팽창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KR1020220168578A 2022-12-06 2022-12-06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KR10261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ko) 2022-12-06 2022-12-06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ko) 2022-12-06 2022-12-06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104B1 true KR102611104B1 (ko) 2023-12-11

Family

ID=8916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ko) 2022-12-06 2022-12-06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0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248A (ja) * 1994-08-30 1996-03-12 Kuriyama Bussan:Kk 組立式収納キット
KR200340561Y1 (ko) * 2003-10-17 2004-02-11 김희채 제습케이스
KR20070065286A (ko) * 2007-06-04 2007-06-22 한상관 의복 또는 이불에서 인간에게 이로운 향기가 발산되도록장롱을 구성하는 방법
JP2007301343A (ja) * 2006-04-14 2007-11-22 Gac Corp ショーケース装置
JP2008038579A (ja) * 2006-08-07 2008-02-21 Masahiro Hieda 調湿部材
JP3183289U (ja) * 2012-12-12 2013-05-16 正弘 稗田 複合機能性桐材付き家具
CN112438531A (zh) * 2019-08-30 2021-03-05 徐州荔枝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多功能艺术交流用的展示架
CN112971459A (zh) * 2021-02-03 2021-06-18 深圳市华图测控***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湿度的智能文物存储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248A (ja) * 1994-08-30 1996-03-12 Kuriyama Bussan:Kk 組立式収納キット
KR200340561Y1 (ko) * 2003-10-17 2004-02-11 김희채 제습케이스
JP2007301343A (ja) * 2006-04-14 2007-11-22 Gac Corp ショーケース装置
JP2008038579A (ja) * 2006-08-07 2008-02-21 Masahiro Hieda 調湿部材
KR20070065286A (ko) * 2007-06-04 2007-06-22 한상관 의복 또는 이불에서 인간에게 이로운 향기가 발산되도록장롱을 구성하는 방법
JP3183289U (ja) * 2012-12-12 2013-05-16 正弘 稗田 複合機能性桐材付き家具
CN112438531A (zh) * 2019-08-30 2021-03-05 徐州荔枝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多功能艺术交流用的展示架
CN112971459A (zh) * 2021-02-03 2021-06-18 深圳市华图测控***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湿度的智能文物存储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793A (en) Humidity modifying device for guitars
MXPA05010116A (es) Dispositivo para distribuir un liquido volatil utilizando una mecha en una corriente de aire ambiental.
KR102611104B1 (ko)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CN108820521A (zh) 一种升降式生物检测试剂盒
US9824669B2 (en) Climate controlled guitar cabinet
JP2732447B2 (ja) 冷蔵庫
US20180117206A1 (en) Enclosure for porous members impregnated with volatile substance
US20040069384A1 (en) Article shape maintenance system
JP2009106030A (ja) 機器を収納する箱体の調湿構造
KR20120073776A (ko) 밀폐형 무빙랙
WO2006104446A1 (en) Drying apparatus for a freight container
JP2529989B2 (ja) 冷蔵庫
US4232492A (en) Drying apparatus for multi-glazed window unit
KR20010046650A (ko)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의 조습제 박스 설치구조
US20030188448A1 (en) Breathable rack for storing helmets and the like
KR910000664Y1 (ko) 제습용기
WO2002012089A1 (en) Gel for moisture control and device
KR200490711Y1 (ko) 제습제 보관 용기
JP6960296B2 (ja) ハニカムスクリーン装置
JPH08238149A (ja) 展示ケース
KR930002545Y1 (ko) 휴대용 약품 용기
US10126007B2 (en) Humidity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KR20150116580A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JP2000039251A (ja) 冷蔵庫
KR20220101814A (ko) 흡습제를 내장할 수 있는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