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64Y1 - 제습용기 - Google Patents

제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64Y1
KR910000664Y1 KR2019880021854U KR880021854U KR910000664Y1 KR 910000664 Y1 KR910000664 Y1 KR 910000664Y1 KR 2019880021854 U KR2019880021854 U KR 2019880021854U KR 880021854 U KR880021854 U KR 880021854U KR 910000664 Y1 KR910000664 Y1 KR 910000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moisture
partition
contain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747U (ko
Inventor
마사유끼 스야리
Original Assignee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시모 시즈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시모 시즈유끼 filed Critical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습용기
제1도는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3도 내지 제8도 각각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흡수제 M : 제3물질
1 : 용기본체 2 : 통기공
3 : 덮개체 4 : 반투명막
5 : 방습씨이트 6 : 흡수제수납부
7 : 흡습액 수용부 8 : 안의 칸막이체
9 : 구획 칸막이부 10 : 돌출부
11 : 배출 통과 구멍 12 : 외기 통과 구멍
13 : 배출 절결 14 : 지지 돌출부
15 : 감합 구멍 16 : 감합 돌기
17 : 걸어 맞춤 돌기
본 고안은 주로 가정내에서의 벽장, 선반, 기타에서의 공기중의 습기분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제습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일반가옥, 맨션,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은, 그 주택 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밀폐성이 높아지고 있어 그에 수반하여 결로(結露) 현상의 발생이 매우 많아지고 있다.
결로 현상의 발생은 창 유리에의 물방울의 부착, 벽의 습기의 증가, 천장뒤쪽의 물방울의 부착등이 생기게 하는 것이 되고, 그것이 계속됨에 따라서 곰팡이가 생겨 볼품이 나빠지며, 경우에따라서는 건축구조물의 구체자체를 크게 손상시키는 일이 있다.
이러므로서 종래 각종의 제습장치 방법이 제공, 제안되고 있다. 그중에서의 간단한 제습 방법의 하나로서 공업용의 염화칼슘의 흡습성을 이용하여 그것을 용기내에 충전, 봉입하여 습기분을 흡착하도록 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실개소 62-179019호 공보, 일본국실개소 62-179020호, 일본국실 공소 61-22665호 공보 등이다.
그래서 일본국 실개소 62-179019호 공보의 것은 상부에 흡습제를 수납하고, 하부에 조해액(潮解液)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상하 2단 구조의 것으로 하고, 사용 경과후에서의 조해액만을 버릴 수가 있고, 또 흡습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상단의 흡습제 수납부 저벽의 배출안내 부분인 작은 구멍이 작을 경우에는 흡습제의 응결물로 막히는 일이 생긴다. 또, 수납부 들레벽에 형성한 긴 구멍은 그것에 의하여 조해액의 배출을 행하려고 하여도 실제상으로는 그 하부만으로 배출하고 있으므로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고 있지 않다. 더우기 흡습상태에서의 흡습제 용액이 제응결하면 그 응결물은 상기의 작은 구멍, 긴구멍에서 막히고, 막혀버리면 외기와의 접촉이 적기 때문에 액상으로 되지 않고, 그 결과 흡습 작용의 계속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하단의 조해액 수용부에 제3물질로서의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수납하여도 외기와는 연통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효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
또 실개소 62-179020호의 공보의 것은 투습(透濕) 필름으로서 개구부가 덮여진 용기내 바닥부에 소정량의 흡습제를 수납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투습필림과 흡습제와의 사이가 필연적으로 크게 격리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안되고, 간격이 너무 벌여져 버리기 때문에 흡습속도가 늦어진다.
또, 흡습액의 배출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결정수를 함유한 응결체를 형성하기 쉽고 그렇게 하면 응결체층이 흡습제 표면층을 커버하여 버리고, 흡습 능력이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더우기 상기한 제3물질을 병용하였을 경우 그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당초부터 흡습제와 구획하지 않고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흡습제와 혼합되어 버리므로 그 효능을 100% 발휘시키는 매우 곤란하다.
또한 일본국 실공소 61-22665호 공보의 것은 저부에 흡습제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외 용기 상부에 흡습제를 수납하는 내용기를 상하 2단 구조로하고 내용기 저벽내에 설치한 종장의 파이프와 내용기 주벽에 슬리트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 의하면 상술한 2개의 예의 것과 같이 슬리트 폭이 좁으면 흡습제액이 응결물로 되어서 막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넓으면 흡습제의 가루입자가 외용기내에 낙하한다.
또 흡습제액이 적절하게 외용기내에 배출된다고 하여도 덮개를 떼어내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중에 무엇인가의 충격으로 용기가 쓰러져 버리면 내용기내의 흡습제가 쏟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외용기내에 저류된 흡습제액도 파이프를 거쳐 외부로 새어나오기 때문에 주위를 오손시키고, 예를 들면 고가의 의복, 서적, 구두등을 오손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흡습제에 의한 흡습 작용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고, 이들을 충분히 고려한 용기 구조로 하지 않으면 그 흡습 능력의 충분한 작용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며, 상술한 종래의 것은 이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즉, 흡습제로서의 염화 칼슘은 최종적으로는 자중의 2.5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하고 그 경우의 수용액 농도는 약 30%가 된다.
따라서 흡습액이 신속하게 또한 균일하게 30% 전후의 용액이 되도록 흡습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흡습 능력 흡습 속도의 향상에 쓸모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그것이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는 않았던 것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극단적인 경우, 흡습제 용기 저부에 대량의 응결물이 맨 먼저 집적되고, 그 상부에 30% 전후의 희박한 수용액이 고여버렸을 경우에는 하부의 응결층은 흡습 작용에 관계하지 않게 되고, 그 이상의 습기의 흡수는 행할 수 없게 된다.
또, 흡습제층이 상부가 흡습할 때 흡습수가 하부 또는 측부의 배수 구멍, 배수 슬리트로부터 배수 저류부에 배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흡습제층의 상부까지 흡습수가 체류하고, 이에 따라서 응결층을 형성해 버리면 그 후의 흡습 능력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이다.
그래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염화칼슘에 의한 흡습작용의 특성을 고려하고, 또 상술한 종래의 여러 가지 결점을 해소하고져 개량한 것이며 염화칼슘과 같은 흡습제의 흡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고 또, 비록 습기를 흡수한 흡습제액이 배출안내 부분에서 응결하는 일이 있어도 그것을 용이하게 막히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우기 외기에 항상 접촉시키므로서 흡수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는 제습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서는 기체는 투과되지만 액체는 투과되지 않는 반투막에 의하여 상부개구가 덮혀져 있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내를 흡습제가 충전되는 흡습제 수납부, 공기중의 습기분을 흡수한 흡습제가 저류되는 흡습액 수용부 각각에 상하에서 구획하는 안 칸막이체를 구비하고 있고, 안칸막이체는 충전된 흡습제를 용기 본체 상부측에 유지하여 용기 본체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와, 유지된 흡습제 위에 돌출하는 만곡된 돌출부로서 이루어지고 구획 칸막이부에는 배출통과 구멍을 돌출부에는 외기 통기구멍을 각각 뚫어 열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배출 통과 구멍, 외기 통기 구멍을 슬리트 현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용기 본체는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흡습액 수용부내에는 흡습액보다 비중이 가벼운 약제형상의 제3물질을 장입하여 둘 수가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제습 용기에 있어서, 대기중의 습기분은 안 칸막이체위에 충전 유지되어 있는 흡습제와 반응하여 흡습제에 흡수된다.
습기분을 흡수한 흡습제는 구획 칸막이부에 뚫려 있는 배출 통과 구멍에 의하여 흡습액 수용부내에 낙하하고 저류된다. 이때 슬리트 형상의 배출 통과 구멍은 흡습제액을 흡습액 수용부내에 원활하게 배출안내한다.
흡습제의 흡습 능력이 한계에 달하고 흡습 작용이 종료될 때까지 공기속의 습기분을 흡수하고 그 흡습 상태는 투명한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 안칸막이체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외기 통기구멍을 항상 개구된 상태에 있으므로 흡수액 수용부의 내외에서의 공기 유통을 유지하고 있고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외기 통기 구멍으로부터 흡습액 수용부내에 침입한다.
그 때문에 배출 통과 구멍 부근에서 흡습제가 응결하여도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배출통과 구멍의 내측에서 응결물에 접촉하고 그것을 재차 용해한다.
재차 용해후는 배출 통과 구멍에 있어서의 흡수제의 흡습 액수용부내에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구획 칸막이부위에 충전되어 있는 흡습제의 흡습 작용을 속행 시킨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용기 본체]
도면에 있어서 나타나는 부호 1은 용기 본체이며 이 용기 본체(1)은 그 저부로부터 상부 개구에 이름에 따라 점차 넓어지는 거의 역재두종(逆栽頭鍾)체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탄력성이 있는 열가소성의 투명한 합성수지로서 형성된다.
용기 본체(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모서리부가 둥근듯한 평면이며 거의 정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것을 정방형 형상, 둥근 형상, 삼각형상 기타의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 이 용기 본체(1)는 선전, 사용 설명서 등을 표시한 적당한 포장지에 의하여 커버된다.
[덮개체]
용기본체(1)의 상부 개구부에는 통기구멍(2)이 뚫려져 있는 덮개체(3)가 착탈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도시에 있어서의 통기구멍(2)은 거의 둥근 형상으로 가로세로 각각으로 3열의 제9개로 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상배열은 임의이며 통기구멍(2)을 거쳐 용기본체(1)내외에서의 공기 유통이 충분히 확보되면 좋다.
또 이 덮개체(3)는 후술하는 반투명막(4)을 보호한다.
즉 예를 들면 본 고안 용기를 수송함에 있어서 용기 자체에 위쪽으로부터 예측 못한 외부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반투명막(4)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때문에 덮개체(3) 자체는 그 내부가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투명막(4)과는 적당한 간격이 설치되어서 용기본체(1) 개구에 피착된다(제2도 참조).
[반투명막]
또 용기본체(1)의 상부 개구는 기체는 투과되지만 액체는 투과되지 않는 반투명막(4)에 의하여 가리워져 있고, 이 반투명막(4)은 상부 개구 상연부에 열 용착, 접착기타의 수단에 의하여 이탈 불능하게 장착된다.
[방습 시이트]
또한 이 반투명막(4) 위에는 이 반투명막(4)을 커버하도록 한 알미늄막과 같은 방습 씨이트(5)가 떼어내기 용이하게 점착되어 있다. 이 방습 씨이트(5)는 사용시에 제거되는 것으로 그 주연부는 상기 반투명막(4) 바깥둘레밖에 예를 들면 용기본체(1)의 상부 개구 상연부 위치에 점착된다.
[안 칸막이체]
그래서 용기본체(1)내는 염화 칼슘과 같은 흡습제(C)가 충진되는 흡습제 수납부(6)와, 공기중의 습기분을 흡수한 흡습제(C)가 저류되는 흡습액 수용부(7)에 안 칸막이체(8)에 의하여 구획 형성되어 있다.
안 칸막이체(8)는 충전된 흡습제(C)를 용기본체(1)상부측에 유지하여 용기분체(1)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와, 유지된 흡습제(C) 위에 돌출하는 만곡된 돌출부(10)를 구비하고 구획 칸막이부(9)에는 배출통과구멍(11)을, 돌출부(10)에는 외기 통기 구멍(12)을 각각 뚫어서 열어 놓은 것이다. 이 안 칸막이체(8)는 예를 들면 탄력성이 있는 열가소성의 투명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다.
또 안 칸막이체(8) 저부에는 그 저부 근방에서 흡습 상태로된 흡습제(C)의 흡습액 수용부(7)내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출 절결(13)이 절결 형성되어 있다.
안 칸막이체(8)의 정상부인 돌출부(10)는 용기본체(1)의 상연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본 고안 용기를 수송함에 있어 용기자체가 저부로부터의 예측하지 못한 외부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10)정상부가 반투명막(4)을 처올리므로서 반투명막(4)을 파손시키지 않기 위함이다.
[배출 통과 구멍, 외기 통기 구멍]
배출 통과 구멍(11)은 구획 칸막이부(9)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종장의 슬리트 형상으로 하여 복수열로 형성되어 있고, 구획 칸막이부(9)자체가 경사져 있는 것과 더불어 안칸막이체(8)위에서의 흡습 상태로 된 흡습제(C)가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또 외기 통기 구멍(12)은 안칸막이체(8)좌우의 구획칸막이부(9)에서의 슬리트 형상의 배출 통과 구멍(11)과 같이 배출 통과 구멍(11)의 연장(延長)상에 위치되는 것 같은 슬리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은 구획 칸막이부(9)의 양측에 걸쳐지듯이 되어 있다.
이들의 슬리트 형상의 배출 통과 구멍(11), 외기 통기구멍(12)은 그 폭이 약 1mm 정도의 것으로 된다.
이것은 상당히 폭이 넓은 경우에는 흡습제(C) 분말의 큰 입자까지도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시켜 버려 충전량에 대하여 실질적인 흡습 능력이 저하하거나, 흡습 속도가 늦어지거나 하는 불편이 생기기 때문이며, 또 반대로 폭이 좁을 경우에는 흡습후의 흡습액 수용부(7)내로의 낙하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들의 배출통과구멍(11), 외기 통과 구멍(12)은, 슬리트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 그치지 않고, 소정 지름의 원형 형상으로 하거나, 삼각형 구형 기타의 다각형으로 하여도 되고, 임의로 선정 가능하며, 또 슬리트 형상으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획 칸막이부(9)의 경사면에 따라서 복수개 배열시켜 놓으면 좋다.
즉 충전장입한 흡습전의 흡수제(C)가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하지 않고 구획 칸막이부(9)위에 그대로 유지되고, 흡습후의 흡습제(C)가 액상으로 되어서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하면 되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한 것 같은 형상, 크기, 폭, 길이 또한 수, 배열 형태의 것으로서 설정되면 좋다.
또 배출 통과 구멍(11), 외기 통기 구멍(12)의 위치, 형상, 수는 안칸막이체(8)자체의 강도, 유지하는 흡습제(C)의 중량 기타의 관계에 의하여 적당히 설정되는 것도 실질적으로 개구 면적을 크게 하는 쪽이 흡습 능력을 향상할 수 있고 또 그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본체, 안칸막이체의 형성 소재]
또, 용기본체(1)는 외부에서 투사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필요만 있으면 안칸막이체(8)도 투명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된다.
[앤드 마-크 표시]
또한 흡습제(C)에서의 흡습 능력이 종료를 표시하는 앤드 마-크를 표시하여 둘수가 있다.
이 앤드 마-크는 용기본체(1)외부에 적당히 표시하거나 포장하는 커버지에 표선을 표시하거나 또, 흡습액 수용부(7)내에 흡습 종료점이 판명되도록 한 비중이 가벼운 보올 형상의 찌(흡습도 검출용인지 캐-터)를 넣어 두거나 한다.
[제3물질의 장입]
또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습액 수용부(7)내에 제3물질(M) 예를 들면,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장입하여 둘 수 있다.
이 경우, 이들의 제3물질(M)은 흡습액보다 비중이 가볍고, 수면상에 부상하는 것같은 소정의 약제 형상으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렇게 하면 이 제3물질은 상기의 찌 대용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이 제3물질(M)은 상온에서 휘산되는 것이 좋고, 그 휘산 물질은 항상 개구되어 있는 외기 통기 구멍(12)을 용기 본체(1) 또는 덮개체(3)밖으로 방출시킬 수도 있다.
[흡습제의 용기 본체내에의 충진 수납]
그래서 용기본체(1)내에 흡습제(C)를 수납하려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칸막이체(8)에서의 돌출부(10)에 뚫어 열어 놓은 외기 통기 구멍(12)이 노출되는 상태, 즉 외기 통기 구멍(12)을 상시 개구시키고 있는 상태로 하여 안칸막이체(8)위에 충전된다.
이때 흡습제(C) 표면이 반 투명막(4)으로부터 너무 떨어지면 흡습 속도가 느려지므로, 반투명막(4)과 흡습제(C)표면과의 간격은 적절한 것으로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반투명막(4)과 돌출부(10) 상부와의 간격을 거의 1cm의 것으로 하여 둔다.
다음에 안칸막이체(8)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몇가지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칸막이체(8)는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만곡형상의 돌출부(10)로 되어 있어서, 좌우측 부분이 돌출부(10)에 연속된 구획 칸막이체(9)로 되어 있는 단면에서 거의 역 V자형으로 형성된 홈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구획 칸막이부(9) 하단은, 용기본체(1)저부의 좌우측부에 위치 고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안칸막이체(8)를 용기 본체(1)내에 장입하여 용기본체(1)내 저부에 강제적으로 끼워 맞추거나 접착하거나 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단면에서 약 V자형으로 형성된 홈 모양을 나타내는 안 칵막이체(8)는 그 하단이 용기 본체(1)저부의 좌우측부에 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수납된 흡습체(C)를 충분히 유지하고, 그 중량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상, 구조가 간단하다.
[제2실시예]
제3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칸막이체(8)는 제1실시예와 같이 단면이며 거의 역 V자형으로 형성된 홈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그 중앙의 돌출부(10) 하부면을 용기 본체(1) 측벽내에 돌설한 봉 형상의 지지돌출부(14)에 의하여 지지하고, 구획 칸막이부(9) 네모퉁이에 뚫어서 열어 놓은 끼워 맞춤 구멍(15)을 용기본체(1) 저부 네 모퉁이에 돌설한, 상부가 큰 지름인 끼워 맞춤돌기(16)에 강제적으로 끼워 맞춘 것이다.
[제3실시예]
제4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안 칸막이체(8)는 상부를 거의 플래스한 면으로 한 돌출부(10)의 양측에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를 연속 형성하여 단면으로 거의 부사산(富士山)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하고 돌출부(10)상부면 중앙, 구획 칸막이부(9)내부면 중앙 각각을 걸림돌기(17)로서 걸림 지지하는 동시에, 구획 칸막이부(9) 네 모서리에 뚫어서 열어 넣은 끼워 맞춤 구멍(15)을 용기본체(1)저부 네 모퉁이에 돌설한 상부가 큰 지름이 끼워 맞춤 돌기(16)에 강제적으로 끼워 맞춘 것이다.
[제4실시예]
또 제5도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칸막이체(8)는 돌출부(10) 상부면 중앙, 구획 칸막이부(9) 내부면 상부 각각을 걸림돌기(17)로서, 걸림지지한 것이며, 다른 것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제3, 제4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10)에 뚫어서 열어 놓은 외기 통기 구멍(12)의 수를 많게 할 수 있으므로 흡습액 수용부(7) 내외의 공기 유통량을 많게 하므로서 흡습 능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제5실시예]
제6도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안 칸막이체(8)는 좌우 한쌍의 돌출부(10)와, 각각의 돌출부(10)의 양측에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를 배치하여 전체에서의 단면이 거의 역 W자형으로 형성된 홈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구획 칸막이부(9) 저부에 뚫어서 열어 놓은 끼워 맞춤 구멍(15)을, 용기본체(1) 저부에 돌설한 상부의 지름이 큰 끼워 맞춤 돌기(16)에 강제적으로 끼워 맞춘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10) 하부면 중앙을 걸림돌기(17)로서 걸림 지지하는 일도 있다.
이에 따르면, 구획 칸막이부(9)에 뚫어서 열어 놓은 배출 통과 구멍(11)수를 많게 할 수 있으며 흡습액의 흡습액 수용액(7)내에의 배출도 신속하며 흡습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6실시예]
제7도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칸막이체(8)는 좌우 한쌍의 돌출부(10)와 각각의 돌출부(10) 사이에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를 배치하여 전체에서의 단면이 거의 M자형으로 형성된 홈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10) 하부면 중앙 각각, 돌출부(10) 사이의 구획 칸막이부(9), 저부 상부면을 걸림돌기(17)로서 걸림지지할 수도 있다.
[제7실시예]
제8도에 나타낸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칸막이체(8)는 중앙에 돌출부(10)의 양측의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에 적당한 수의 단부를 형성한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부(10)하부면 중앙을 걸림돌기(17)로서 걸림 지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여하튼 안 칸막이체(8)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는 구획 칸막이부(9)에 있어서는 수납된 흡습제(C)를 용기본체(1)상부측에 유지하고, 또 배출 통과 구멍(11)이 뚫어져서 열려 있는 경사진 측벽을 가지면 족하고 돌출부(10)에 있어서는 유지된 흡습제(C)상에 돌출하고, 그 돌출부분에 항상 열려져 있는 외기 통기 구멍(12)을 형성할 수 있으면 족한 것이다.
따라서 안칸막이체(8)자체는 단면에서 홈 형상을 나타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추 형상이라도 되고, 또 구획 칸막이부(9)의 단부 형상, 돌출부(10)의 수, 안칸막이체(8)의 용기본체(1)내에의 고정 수단 기타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의 일예]
사용시에 있어서는 반 투명막(4)위에 점착되어 있는 방습 씨이트(5)를 박리하고, 반투명막(4)위에 덮개체(3)를 씌우고(제2도 참조), 소정 장소에 가만히 두면 된다.
그러면 대기중의 습기분은 덮개체(3)의 통기 구멍(2)을 거쳐서 안칸막이체(8)위에 충전 유지되어 있는 흡습제(C)와 반응하여 흡습제(C)에 흡수된다.
습기분을 흡수한 흡습제(C)는 액상으로 되며, 구획칸막이부(9)에 뚫어서 열려 있는 배출 통과 구멍(11)에 의하여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하여 저류된다. 흡습능력이 종료될 때까지의 흡습 작용이 행하여지며, 그 흡습 상태는 투명한 용기본체(1)의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감시할 수 있다.
그래서 흡습제(C)가 염화칼슘이면 습기분을 흡수하여도 그 수용액 농도가 약 50% 이하로 될 때까지는, 습도 조건에 따라서는 일단 수용액으로 된 흡습액이 다시 결정수를 함유한 어름 형상의 응결물을 형성하고, 이 응결물이 배출 통과 구멍(11)을 막히게 하는 일이 있다.
이때 안칸막이체(8)에서의 돌출부(10)의 외기 통기 구멍(12)은 항상 열려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흡습액 수용부(7)의 내외에서의 공기 유통을 유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외기 통기 구멍(12)으로부터 흡습액 수용부(7)내에 침입하여 배출 통과 구멍(11)의 내측으로부터 응결물에 접촉하여 그것을 재체 용해한다.
재 용해후에는 배출 통과 구멍(11)에 있어서의 흡습 상태의 흡습제(C)의 흡습액 수용부(7)내에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흡습 작용을 속행시킨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흡습 작용중에 응결한 흡습제(C)에 의하여서도 흡습액 수용부(7)에의 배출 안내 부분이 막히는 일이 없고, 흡습 작용은 흡습제(C)가 가지는 흡습 능력의 한계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제습 용기는 흡습 능력이 매우 높으므로 흡습 능력에 여유가 있으면서 응결 현상 때문에 흡습 작용이 제한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충전 수납된 흡습제(C)의 흡습 능력을 충분히 발휘 시킬 수가 있다.
즉 이것은 본 고안이 반 투명막(4)에 의하여 상부 개구가 가리워져 있는 용기본체(1)와, 이 용기본체(1)내를 수납부(6), 흡습액 수용부(7)각각으로 구획하는 안칸막이체(8)를 구비하고 있고, 안 칸막이체(8)는 충전된 흡습제(C)를 용기본체(1)상부측에 유지하여 용기본체(1)내를 상하고 구획하는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9)와, 유지된 흡습제(C)위에 돌출하는 만곡된 돌출부(10)로서 이루어지고, 구획 칸막이부(9)에는 배출 통과 구멍(11)을 돌출부(10)에는 외기 통기 구멍(12)을 각각 뚫어서 열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흡습후의 흡습제(C)를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 수용하기 위한 배출 통과 구멍(11)이 흡습 작용중에 응결한 흡습제(C)에 의하여 막히는 일이 있어도 외기 통기 구멍(12)을 거쳐서 흡습액 수용부(7)내에 도입되는 신선한 공기중의 습기분에 의하여 재차 용해되고, 배출 통과 구멍(11)이 막히는 일이 없는 것이다.
특히, 구획 칸막이부(9)는 경사져 있어서, 이 경사 부분에 배출 통과 구멍(11)이 뚫어서 열려져 있으므로 흡습 상태의 흡습제(C)의 수분 제거가 원활히 행하여지고 더욱이 외기 통기 구멍(12)을 거쳐서 공급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응결물의 재 용해를 매우 용이하게 하여, 흡습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 본 고안 용기의 수송중에 외부의 진동, 충격 기타에 의하여 분말 상태의 흡습제(C)가 흡습액 수용부(7)내에 낙하하여도 이 낙하된 흡습제(C)는 항상 개구되어 있는 외기 통기 구멍(12)에 의하여 외기와 접촉하므로 이들의 흡습 작용도 충분히 발휘되어 흡습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흡습제(C)의 충전 상태로 변화가 생기고 흡습제 수납부(6)의 어느 한쪽으로 기우러졌을 경우라도, 반대측에서의 배출 통과 구멍(11)이 반대로 개구 상태로 되며, 외기 통과 구멍의 역할을 다하게 되므로 총체적인 흡습능력에 제약은 받지 않고,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흡습 능력 흡습액 배출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흡습제 수납부(6)내에의 흡습제(C)의 충전 수납상태를 보면, 종래의 것이 용기 상부에 흡습제(C)를 배치하므로서 중력적으로 통혜비인 상태로 불안정하였던 것을 해소할 수 있고, 본 고안에 있어서는 중력적으로 매우 안정된 것이 되며, 사용 배치시에는 한층 더 정치(靜置)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안 칸막이체(8)의 돌출부(10)는 흡습제 수납부(6)위에 유지된 흡습제(C) 위에 돌출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 용기의 수송중, 전시중 등에서 역전 낙하하였을 경우라도, 돌출부(10)가 반투명막(4)을 파손시키는 일이 없으며, 안전하고도 상품가치를 감쇄시키지 않는다.
또 배출 통과 구멍(11), 외기 통기 구멍(12)는 슬리트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흡습 상태의 흡습제(C)의 흡습액 수용부(7)내에의 배출, 흡습액 수용부(7)내에의 외기 도입을 원활히 하고, 흡습제(C)의 흡습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용기본체(1)를 외부에서 투시 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하므로서 흡습제(C)의 감소상황, 흡습액의 증가상황, 흡습 능력의 종료등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흡습액 수용부(7)내에 흡습액보다 비중이 가벼운 약제 형상의 예를 들면 방향제, 소취제, 방충제, 곰팡이 방지제 등의 제3물질(M)을 장입하여 둠으로서 흡습 능력의 종료한계를 알수도 있다.
또, 상온에서 휘산되는 제3물질 M은, 상기 개구되어 있는 외기 통기 구멍(12)을 거쳐 용기본체(1)밖에 방출되고 소정의 효과를 휘산 발휘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염화칼슘과 같은 흡습제의 습기 흡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고 또 비록 습기를 흡수한 흡습제가 배출 안내 부분에서 응결하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흡습액 수용부내를 외기와 항상 공기 유통시키므로써 그것을 용이하게 용이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외기에 항상 접촉시키므로서 흡습 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또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하다는 등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4)

  1. 기체는 투과하지만,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 반투명막에 의하여 상부 개구가 가리워져 있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본체내를 흡습제가 충전되는 흡습제 수납부, 공기중의 습기분을 흡습한 용액이 저류되는 흡습액 수용부 각각에 상하에서 구획하는 안 칸막이체를 구비하고 있고, 안 칸막이체는 충전된 흡습제를 용기본체 상부측에 유지하여 용기 본체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경사진 구획 칸막이부와, 유지된 흡습제위에 돌출하는 만곡된 돌출부로서 이루어지고 구획 칸막이부에는, 배출 통과 구멍을 돌출부에는 외기 통기 구멍을 각각 뚫어서 열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 통과 구멍, 외기 통기 구멍은 슬리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에 있어서, 용기본체는 외부에서 투시 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용기.
  4. 제1항,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흡습액 용기내에는 흡습액보다 비중이 가벼운 약제 형상의 제3물질이 장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용기.
KR2019880021854U 1988-11-12 1988-12-29 제습용기 KR9100006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7968 1988-11-12
JP1988147968U JPH0270720U (ko) 1988-11-12 1988-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747U KR900009747U (ko) 1990-06-01
KR910000664Y1 true KR910000664Y1 (ko) 1991-02-08

Family

ID=31418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854U KR910000664Y1 (ko) 1988-11-12 1988-12-29 제습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70720U (ko)
KR (1) KR9100006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72A (ko) * 2002-06-04 2002-07-12 이재경 라면 조리시 필요한 물의량을 계량할 수 있는 라면 계량봉지
KR100968059B1 (ko) * 2002-05-04 2010-07-08 레킷트 뱅키저 (유케이) 리미티드 제습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71Y2 (ja) * 1989-06-13 1996-01-17 桐灰化学工業株式会社 除湿器
JPH0742491Y2 (ja) * 1990-11-29 1995-10-04 株式会社白元 除湿容器
JP2569041Y2 (ja) * 1992-06-30 1998-04-22 フマキラー株式会社 除湿器
JP5393012B2 (ja) * 2007-09-25 2014-01-22 株式会社白元 除湿器
JP7016584B2 (ja) * 2018-04-26 2022-02-07 エステー株式会社 除湿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483U (ja) * 1983-07-29 1985-02-26 富士電気化学株式会社 直列制御式チョッパ−回路
JPH0626647B2 (ja) * 1985-01-28 1994-04-13 ジョンソン株式会社 除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59B1 (ko) * 2002-05-04 2010-07-08 레킷트 뱅키저 (유케이) 리미티드 제습품
KR20020059272A (ko) * 2002-06-04 2002-07-12 이재경 라면 조리시 필요한 물의량을 계량할 수 있는 라면 계량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747U (ko) 1990-06-01
JPH0270720U (ko) 199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7521B1 (en) System for hanging a dehumidifying and deodorizing pouch
US4394144A (en) Dehumidifying container
US6899749B2 (en) Apparatus for moisture absorption
WO1999016536A1 (en) Dehumidifying pouch
GB2224657A (en) Vapour dispenser with sorbent member and microporous membrane
KR910000664Y1 (ko) 제습용기
KR100949052B1 (ko) 제습 장치
JP3042828B2 (ja) 除湿容器
JPH0626647B2 (ja) 除湿器
JP2002224527A (ja) 除湿器
JPH01123981A (ja) 野菜貯蔵容器
JPS6240668Y2 (ko)
JPH0243471Y2 (ko)
JP2836778B2 (ja) 除湿容器
KR850000488Y1 (ko) 제습용기(除濕容器)
JP2548886Y2 (ja) 除湿器
JPH10128037A (ja) 除湿容器
JPS582417Y2 (ja) 除湿容器
JP4850347B2 (ja) 除湿器
GB2060392A (en) Perfume dispensers
JP3018058U (ja) 簡易除湿器
JPH0725208Y2 (ja) 除湿装置
JP3814638B2 (ja) 除湿器及び該除湿器を連結する連結具並びに連結式除湿器
JP3417500B2 (ja) 除湿容器
JP3323946B2 (ja) 除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