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104B1 -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 Google Patents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104B1
KR102611104B1 KR1020220168578A KR20220168578A KR102611104B1 KR 102611104 B1 KR102611104 B1 KR 102611104B1 KR 1020220168578 A KR1020220168578 A KR 1020220168578A KR 20220168578 A KR20220168578 A KR 20220168578A KR 102611104 B1 KR102611104 B1 KR 10261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umidity
storage
control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성우
공지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케이엘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케이엘엠스 filed Critical (주)에스케이엘엠스
Priority to KR102022016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을 제공한다.The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adjusting humidity for storing objects such as old books and relics by controlling the internal humidity and storing the objects, so that the objects are located inside. A plurality of framing units are cross-link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a partition unit is inserted inside the framing unit to form a partition wall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objects are positioned, and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raming unit.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absorbs or discharges moisture depending on humidity and a fixing unit that fixes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in a part of the interior space. to provide.

Description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본 발명은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space for storage of humidity-sensitive objects such as ancient books and relics, while absorbing moisture to maintain humidity at a certain level. This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for storage that can control humidity by discharging it.

일반적으로 고서적이나 유물과 같은 유서가 있는 물품들의 경우에는 전시를 하는 환경을 포함해서 유물을 보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items with a legacy, such as ancient books or relics, it is also important to store the relics, includ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displayed.

특히, 그림이나 서적과 같은 유물을 보관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분에 취약하여 썩어버리는 문제로 인한 훼손을 걱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보관하는 박물관의 경우에는 보다 더욱 이러한 보존에 신경을 써야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storing relics such as paintings or books, they are vulnerable to moisture and have to worry about damage due to rotting, so museums that store them may need to pay even more attention to their preservation.

외부와는 차단된 공간이므로 타인의 손길에 의한 훼손을 걱정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수분에 의한 훼손은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기 어렵고 훼손이 발생된 이후에는 제대로된 복원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문제로 인해 일반적으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내부 습도조절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습도를 제거해줄 수 있는 제습제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Since it is a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damage caused by someone else's hands. However, damage caused by moisture is difficult to immediately check with the naked eye, and proper restoration may not be possible after damage occurs. To control humidity, methods such as using an internal humidity control system or using a dehumidifier that can remove humidity are used.

다만, 단순히 습도가 낮은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유물의 상태 보존을 위해서는 습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분을 배출하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only important to have low humidity, but it is also good to maintain the humidity at a certain level to preserve the condition of the relic.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not only remove moisture but also discharge moisture to maintain appropriate humidity. You can.

이를 위해서 습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면서 유물을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To this end, various methods are being devised to effectively store artifacts while controlling humidity to a certain level, and a means to solve this problem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forms a space for storage of objects sensitive to humidity such as ancient books and relics, while absorbing moisture to maintain humidity at a certain level. The task is to control humidity by discharging.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is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for storing objects such as old books and relics, and controlling the humidity inside the storage cabinet to store the objects. A fram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units are cross-link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so as to be positioned, a partition unit inserted inside the framing unit to form a partition wall to partition the space where the objects are positioned, and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ram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part to absorb or discharge moisture depending on humidity, and a fixing unit to fix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in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여기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uni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bsorbs moisture in a relatively high humidity situation and discharges moisture in a relatively low humidity situation.

아울러 상기 조절유닛은, 겔 상태의 물질인 아트소브와 유사한 조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as a humidifier similar to Artsorb, a gel-like material.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와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ixing uni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in the internal space, and one side is open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contact the outside to absorb or discharge moisture.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위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팽창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제1 수납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과 이격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has a first storage space formed on the inside where the adjustment unit is located, and the adjustment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adjustment unit from expanding and coming off to the open side while absorbing moisture. 1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unit in the storage space.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면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toward the first storage space to space the adjustment uni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한편, 상기 구획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unit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partition units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to form the partition wall.

이 때, 상기 구획유닛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torage space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and the adjustment un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된 상기 조절유닛이 팽창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storage space on the inner side to prevent the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from being expanded and leaving through the opening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the second storage spac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습도에 민감한 대상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ms a space for storing humidity-sensitive objects such as ancient books and relics,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moisture to maintain humidity at a certain level. It may have the effect of controlling humidity by discharging it or discharging 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 내부의 조절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습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조절유닛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반적인 형태들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The above-described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hape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fixing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inside a fixing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umidity control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partition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xing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control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forms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서 전반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lly described through FIGS. 1 to 4.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 내부의 조절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hape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n to explain the position of the fixing unit, Figure 3 is a drawing shown to explain a partition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control unit inside the fixed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xampl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서적이나 유물 등과 같은 유서 깊은 대상물(O)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내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들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unit that can control internal humidity while forming a space for storing historical objects (O) such as ancient books or relics, inside which the objects (O) are located. Various spaces can be form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O)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O)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120)을 형성하는 골조유닛(100),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O)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200),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120)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300) 및 상기 내부공간(120)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300)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detail,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present invention regulates the internal humidity for the storage of objects (O) such as ancient books and relics, and provides a humidity-adjustabl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objects (O). As an employment storage cabinet, a plurality of framing units (100) are cross-link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120) so that the object (O) is positioned inside, and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ing unit (100) to store the object (O). A partition unit 200 that forms a partition wall to divide the spaces between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300 that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120 formed by the frame unit 100 and absorbs or discharges moisture depending on humidity. And it may include a fixing unit 400 that fixes the adjustment unit 300 so that the adjustment unit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O) in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120.

여기서 상기 골조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결합되어 내부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공간(120)에 상기 대상물(O)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2 and 3, a plurality of the framing units 100 can b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120, and the object O can be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120. there is.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골조유닛(100)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공간(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격벽공간(14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20)을 서로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200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space 140 formed inside the framing unit 100, and a plurality of the partition units 200 ar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space ( 140) can be inserted insid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120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구획유닛(200)은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격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격벽을 형성하면서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부 격벽, 외부 격벽, 상하 격벽 등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space 140 formed by the framing unit 100 to form a partition wall, and the internal partition wall of the framing unit 100 is formed while forming the partition wall. , may be provided to form an external partition, an upper and lower partition, etc., and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partition space 140.

또한, 상기 구획유닛(200)에는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부재(282)와 삽입부재(28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28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284)는 상기 끼움부재(28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측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200 may be formed with a fitting member 282 and an insertion member 284 so that they can b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fitting member 282 protrudes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insertion member 28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tting member 282, and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partition unit 200.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조절유닛(300)은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4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수납공간(4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djustment uni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xing unit 400, and as shown in FIG. 4, i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storage space 420 formed inside the fixing unit 400. It can be provid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아울러 상기 조절유닛(300)은 아트소브제와 갈은 겔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의 물질은 일정 수준의 수분을 흡수하고, 일정 수준 이하의 습도가 되면 수분을 배출하는 물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be formed of an artsorb agent and a ground gel material, and this material absorbs a certain level of moisture and releases moisture when the humidity falls below a certain level. It can be.

즉, 별도의 시스템적 조절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물질의 특성상 내부의 습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내부의 습도조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은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질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eparate systematic control is not required, but the internal humidity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so internal humidity control can be maintained more conveniently.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can be used to control humidity in high humidity areas. Since it absorbs moisture and can become relatively bulky,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the first storage space 420 of the fixing unit 400.

한편,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12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유닛(300)과 상기 대상물(O)을 서로 이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120 formed by the framing unit 100, and prevents the adjustment unit 30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object O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맞닿아 수분에 상기 대상물(O)이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This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object (O) from being affected by moistur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O) while the control unit (300) absorbs moisture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constant humidity. It can be.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상기 격벽공간(140)의 일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의 내측에 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측벽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반드시 제시된 위치에 제한받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400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partition space 140 formed by the framing unit 100, as shown in FIG. 2, and as shown in FIG. 4, the framing unit 100 )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and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o the presented location.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40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이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unit 400 may be formed to form the first storage space 420 into which the adjustment unit 300 is inserted and positioned, and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 and the first storage space 420 is positioned by inserting the adjustment unit 300. It may be provided to absorb or discharge moisture.

또한, 상기 고정유닛(400)은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440),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측벽부(440)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4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상기 측벽부(440)가 상기 조절유닛(300)을 지지할 수 없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측벽부(440)의 일단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300)을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40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ide wall portion 440 forming the side wall and the open 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420, and is coupled to the side wall portion 440 to slide and be inserted. It may include a cover part 460 that is formed, and in FIG. 4, the side wall part 440 is shown as being unable to support the adjustment unit 300, but one end of the side wall part 440 may be used as necessary. They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each other to support the control unit 300.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덮개부(46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과 상기 조절유닛(300)이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460 so that external moisture and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act each other.

앞서 제시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대략적인 활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FIG. 5 may be referred to to roughly explain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presented above.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습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umidity control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과 상기 고정유닛(400)이 서로 부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상기 격벽공간(140)의 내측이 아닌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대상물(O)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framing unit 100 and the fixing unit 400 are provided in a form attached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form shown in FIG. 2, the inside of the partition space 140 If it is provided outside, the fixing unit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O by a preset distance.

이 때, 상기 덮개부(460)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위치되고,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30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은 일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46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djustment unit 3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460, and the adjustment unit 300 can be located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420. The space 420 is formed to be open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ver portion 460.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일정 수준, 예를 들어, 제1 습도를 기준으로 제1 습도보다 높은 수준으로 습도가 높아지면 상기 조절유닛(300)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제1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object O in this arranged state, when the humidity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for example, to a level higher than the first humidity based on the first humidity,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ccordingly, moisture is absorbed and the first humidity can be naturally maintained.

이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O)과 상기 조절유닛(300)은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수분을 머금을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대상물(O)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일반적인 시스템이나 별도의 제습제를 통해 제습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대상물(O)과 보다 밀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효과적으로 상기 대상물(O) 주변의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object (O) and the control unit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e control unit 300, which will retain moisture, can control the internal humidity without affecting the object (O). , Since it is not dehumidified through a general system or a separate dehumidifier, it is provided in a closer state to the object (O) and can effectively respond sensitively to the humidity around the object (O).

예를 들어, 단순히 상기 조절유닛(300)과 유사한 조습제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에 상기 대상물(O)과 같이 구비하는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습제가 수분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접촉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고, 조습제가 수분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O)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대상물(O)과 인접한 위치상에 배치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본 발명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서 습도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대상물(O)에 관여되는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humidifier similar to the control unit 300 is simply provided with the object O in the internal space 120, the object O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humidifier retains mois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 risk of contact with the object (O), and even if the humectant retains moisture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object (O), it is dangerous to place it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object (O)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the humidity related to the object O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because the humidity is maintained at a relatively greater distance than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O)과 상대적으로 밀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물(O)과 밀접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to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420 so that it is located in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object O. It is possible to maintain close humidity.

한편, 제1 습도를 기준으로 제1 습도보다 낮은 제2 습도 이하로 습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조절유닛(300)은 물질의 특성상 수분을 배출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O)의 인근에서 습도를 조절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대상물(O)의 보존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umidity is lowered below the second humidity, which is lower than the first humidity based on the first humidity, the control unit 300 adjusts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120 by discharging mois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is ma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intain the object O more effectively by controlling the humidity in the vicinity of the object O.

앞서 제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외에도 변형예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조절유닛(30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bove,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12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modification,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FIGS. 6 to 9.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구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조절유닛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의 전반적인 형태들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ixation of a storage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n to explain the unit, Figure 8 is a drawing shown to explain various examples of a control unit of a storage cabinet capable of controlling humid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drawing shown to explain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rawing is designed to present the overall shapes of storage cabinets that can control humidity.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구획유닛(200)에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의 내부에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벽과 상기 조절유닛(30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직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돌출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storage space 220 that is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ntrol unit 30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partition unit 200.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the inner wall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that protrudes toward the space 220. The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a representative example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shape that protrudes so that the direct dimension becomes gradually narrower.

아울러 상기 구획유닛(200)의 상기 제2 수납공간(220)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내부공간(120)의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20)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홀(26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홀(260)을 통해 습도에 대해 상기 조절유닛(300)이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120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rol unit 300 located inside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of the partition unit 200 can respond sensitively to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120. A plurality of holes 260 protruding toward the humidity may be formed,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made to respond sensitively to humidity through the holes 260.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유닛(200)의 일면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끼움부재(282)가 형성되고, 일면과 대향되는 방향의 타면에는 상기 끼움부재(282)가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부재(282)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재(28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member 282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fitting member 28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ide so that the fitting member 282 is inserted. The insertion member 28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282.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40)와 유사하게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에도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48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돌기부(480)는 상기 조절유닛(300)을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내부에서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맞닿지 않도록 하여 외부의 수분과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similar to the protrusion 240 formed inside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the first storage space 420 of the fixing unit 400 also has the first storage space. A protrusion 48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pace 420, and the protrusion 480 formed in this manner may secure the adjustment unit 300 within the first storage space 420. The contact area with external moisture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it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unit 400.

다만, 상기 조절유닛(300)이 겔 형태로 구비되는 아트소브제와 유사한 조습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의 중앙부가 무게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상기 제1 수납공간(420)의 개방된 일측으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덮개부(460)를 통해 상기 조절유닛(3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trol unit 300 may be equipped with a humidification agent similar to Artsorb, which is provided in a gel form, the central part of the control unit 300 may bend due to weight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by forming the first storage space. Since it can leak out to one open side of 4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ntrol unit 300 from leaving through the cover part 460.

즉, 상기 구획유닛(200)의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상기 제1 수납공간(420)에는 각각 상기 돌기부(480) 및 상기 돌출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유닛(300)이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및 상기 제2 수납공간(220) 내부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의 내벽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조절유닛(300)이 외부의 습도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480 and the protrusion 240 are form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first storage space 420 of the fixing unit 400,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unit 400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420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so that the control unit ( 300) can improve the area in contact with external humidity.

아울러 상기 돌출부(240) 및 상기 돌기부(480)는 상기 조절유닛(300)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는 과정에 상기 제1 수납공간(420) 및 상기 제2 수납공간(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240 and the protrusion 480 prevent the control unit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420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during the process of absorbing moisture and expanding. It may also have the effect of performing the role of fixing it.

한편, 상기 조절유닛(300)의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앞선 도 1 내지 도 7에서 언급된 형태만을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 8, and may not necessarily maintain only the form mentioned in FIGS. 1 to 7.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조절유닛(3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 형태를 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사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ead shape as shown in FIG. 8(a),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ght-angled square as shown in FIG. 8(b). and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8(d).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망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조절유닛(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c), a plurality of the control units 300 may be inserted into a mesh network, but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다만, 이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240)와 상기 돌기부(480)에 의해 상기 구획유닛(200) 및 상기 조절유닛(300)의 내벽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습도조절이 민감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수납공간(420) 혹은 상기 제2 수납공간(22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로 구비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유닛(20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내벽과 이격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습도의 저항이 강한 상기 대상물(O)의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However, when provided in this way, it is somewhat difficul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s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by the protrusion 240 and the protrusion 480, so as necessary. When humidity control is sensitively required, it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rage space 420 or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but is provided in a relatively small volume, as shown in FIGS. 6 and 7.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partition unit 200 and the fixing unit 400, and in the case of the object O with relatively strong resistance to humidity, the control unit 300 as shown in FIG. It may have various forms and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한편, 앞서 지속적으로 상황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300)의 형태, 상기 고정유닛(400)의 위치 등을 한정하지 않았으나,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유닛(100)이 형성하는 본 발명의 형태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hape of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position of the fixing unit 400 were not limi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the framing unit 100 as shown in FIG. 9. This may be because it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자기와 같은 물질과 서적이나 그림이 함께 보관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분의 습도조절에만 민감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유닛(400)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it is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Figure 9(a), there may be cases where materials such as ceramics and books or pictures are stored together, and because it is necessary to be sensitive to only a portion of humidity control, the fixing unit The form of (400) may not be limited.

또한, 도 9(b)는 본 발명의 도 1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일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습도뿐만 아니라 통풍과 같은 공기 순환에도 중요한 상기 대상물(O)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공기유동에 따른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절유닛(300)이 도 8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며, 도 9(c)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예시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9(b) has a form similar to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formed to be entirely open in one direction, and when formed in this way, the object is important not only for humidity but also for air circulation such as ventilation. Since (O) can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300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ure 8 to relatively improve the contact area according to air flow, and has the form as shown in Figure 9(c). You can also use this example when getting drunk.

아울러 만약 도 9(d)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가 폐쇄되는 형태로 상기 대상물(O)이 보관되기 때문에 내부의 습도조절이 필수적으로 중요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공기의 유동이 적어 도 8과 같이 상기 조절유닛(300)을 구비하는 것보다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formed as shown in FIG. 9(d), since the object O is stored in a closed form, internal humidity control is inevitably important, so the relative flow of air is at least 8. It may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contact area with air as shown in FIGS. 6 and 7 rather than providing the control unit 300 as shown.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유닛(30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고 설명한 것이며, 앞선 이유들에 따라 반드시 제시된 바에만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adjustment unit 300 and the fixing unit 400 are described without limitation, and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o what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above reasons.

아울러 도 9에서 상기 구획유닛(200)이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한 것은 필요에 따라 상기 구획유닛(20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한하지 않고 이해를 돕기 위해 이와 같이 도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도 2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FIG. 9, the partition unit 200 is shown as if it is formed of a single plate, so the size of the partition unit 200 can be varied as needed, so it is shown like thi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without limiting it. ,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FIG. 2 as needed, but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We have looked a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will b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 대상물
100: 골조유닛
120: 내부공간
140: 격벽공간
200: 구획유닛
220: 제2 수납공간
240: 돌출부
260: 홀
282: 끼움부재
284: 삽입부재
300: 조절유닛
400: 고정유닛
420: 제1 수납공간
440: 측벽부
460: 덮개부
480: 돌기부
O: object
100: Framing unit
120: Internal space
140: Bulkhead space
200: Compartment unit
220: Second storage space
240: protrusion
260: Hall
282: Fitting member
284: Insertion member
300: Control unit
400: Fixed unit
420: First storage space
440: side wall portion
460: cover part
480: protrusion

Claims (10)

고서적 및 유물과 같은 대상물의 보관을 위해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며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으로서,
내부에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도록 다수개가 서로 교차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골조유닛;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끼리 위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구획유닛;
상기 골조유닛이 형성하는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 구비되어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하는 조절유닛; 및
상기 내부공간 일부에서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흡수하며,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수분을 배출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과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와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위치되는 제1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이 수분을 흡수한 상태에서 팽창되며 개방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수납공간 내부의 상기 조절유닛이 외부의 습도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상기 제1 수납공간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내측과 이격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기 골조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It is a storage cabinet for storing objects such as ancient books and artifacts that regulates the internal humidity and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humidity for storing the objects,
A plurality of framing units are cross-link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object is positioned inside;
A partition unit inserted inside the frame unit to form a partition wall to partition a space where the objects are positioned;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framing unit to absorb or discharge moisture depending on humidity;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adjustment unit so that the adjustment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object in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The control unit is,
It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unit, absorbs moisture in a relatively high humidity situation, and discharges moisture in a relatively low humidity situation,
The fixed unit is,
The inner space is provided to contact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one side is open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absorb or discharge moisture by contacting the outside, and a first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located is formed on the inside. The control unit expands while absorbing moisture and prevents the control unit from coming off to the open side, and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to improve the area in which the control unit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is in contact with external humidity. It includes a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unit in the first storage space,
The compar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formed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ing unit to form the partition wall.
Storage cabinet for storage with humidity contro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겔 상태의 물질인 아트소브와 유사한 조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humidifying agent similar to Artsorb, a gel-like substance.
Storage cabinet for storage with humidity contr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닛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납공간의 내측에 상기 조절유닛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par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torage space op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and the adjustment un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Storage cabinet for storage with humidity contro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에 구비된 상기 조절유닛이 팽창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면에서 상기 제2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use 8,
The compar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o prevent the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space from being expanded and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orage cabinet for storage with humidity contro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제2 수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수장고용 수납장.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than the second storage space,
Storage cabinet for storage with humidity control.
KR1020220168578A 2022-12-06 2022-12-06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KR102611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en) 2022-12-06 2022-12-06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en) 2022-12-06 2022-12-06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104B1 true KR102611104B1 (en) 2023-12-11

Family

ID=8916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578A KR102611104B1 (en) 2022-12-06 2022-12-06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0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248A (en) * 1994-08-30 1996-03-12 Kuriyama Bussan:Kk Sectional storage kit
KR200340561Y1 (en) * 2003-10-17 2004-02-11 김희채 Dehumidifier case
KR20070065286A (en) * 2007-06-04 2007-06-22 한상관 Method to manufacture wardrobe giving out profitable fragrance to man from clothes or quilts
JP2007301343A (en) * 2006-04-14 2007-11-22 Gac Corp Showcase device
JP2008038579A (en) * 2006-08-07 2008-02-21 Masahiro Hieda Humidity control member
JP3183289U (en) * 2012-12-12 2013-05-16 正弘 稗田 Furniture with composite functional paulownia wood
CN112438531A (en) * 2019-08-30 2021-03-05 徐州荔枝文化传媒有限公司 Multifunctional display stand for art AC
CN112971459A (en) * 2021-02-03 2021-06-18 深圳市华图测控***有限公司 Intelligent historical relic cabinet of adjustable humitur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248A (en) * 1994-08-30 1996-03-12 Kuriyama Bussan:Kk Sectional storage kit
KR200340561Y1 (en) * 2003-10-17 2004-02-11 김희채 Dehumidifier case
JP2007301343A (en) * 2006-04-14 2007-11-22 Gac Corp Showcase device
JP2008038579A (en) * 2006-08-07 2008-02-21 Masahiro Hieda Humidity control member
KR20070065286A (en) * 2007-06-04 2007-06-22 한상관 Method to manufacture wardrobe giving out profitable fragrance to man from clothes or quilts
JP3183289U (en) * 2012-12-12 2013-05-16 正弘 稗田 Furniture with composite functional paulownia wood
CN112438531A (en) * 2019-08-30 2021-03-05 徐州荔枝文化传媒有限公司 Multifunctional display stand for art AC
CN112971459A (en) * 2021-02-03 2021-06-18 深圳市华图测控***有限公司 Intelligent historical relic cabinet of adjustable hum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793A (en) Humidity modifying device for guitars
MXPA05010116A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using a wick in an ambient air stream.
KR102611104B1 (en) Storage cabinet with humidity control
CN108820521A (en) A kind of lift biological detection reagent kit
US9824669B2 (en) Climate controlled guitar cabinet
JP2732447B2 (en) refrigerator
US20180117206A1 (en) Enclosure for porous members impregnated with volatile substance
US20040069384A1 (en) Article shape maintenance system
JP2009106030A (en) Humidity conditioning structure of box for storing apparatus
KR20120073776A (en) Airtight moving rack
WO2006104446A1 (en) Drying apparatus for a freight container
JP2529989B2 (en) refrigerator
US4232492A (en) Drying apparatus for multi-glazed window unit
KR20010046650A (en) Install device of damp controlling box for air-tight display case in cultural assets
US20030188448A1 (en) Breathable rack for storing helmets and the like
KR910000664Y1 (en) Drying container
WO2002012089A1 (en) Gel for moisture control and device
KR200490711Y1 (en) Desiccant storage container
JP6960296B2 (en) Honeycomb screen device
JPH08238149A (en) Exhibition case
KR930002545Y1 (en) Portable container for drugs
US10126007B2 (en) Humidity delivery method and apparatus
KR20150116580A (en) Air tight type of cosmetics refill case
JP2000039251A (en) Refrigerator
KR20220101814A (en) Tupperware with a built-in absorbent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