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455B1 -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 Google Patents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455B1
KR102610455B1 KR1020210037234A KR20210037234A KR102610455B1 KR 102610455 B1 KR102610455 B1 KR 102610455B1 KR 1020210037234 A KR1020210037234 A KR 1020210037234A KR 20210037234 A KR20210037234 A KR 20210037234A KR 102610455 B1 KR102610455 B1 KR 10261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dy
fermentation
coffee
yeast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223A (ko
Inventor
민재명
황주상
노예찬
Original Assignee
민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재명 filed Critical 민재명
Priority to KR102021003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4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05Solid or pasty alcoholic beverage-for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박을 활용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커피박을 생수와 함께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상기 커피액을 술지게미와 혼합하는 단계; (c) 당을 첨가하는 보당 단계; (d) 효모, 효모영양제를 투여하고, 발효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여과액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A process for preparation of brandy by upcycling coffee waste and brandy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브랜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버려지는 커피박(粕)을 이용하여 브랜디(Brandy)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브랜디에 관한 것이다.
브랜디(Brandy)는 증류주의 일종으로서, 증류주는 알코올의 증류액을 숙성시켜서 마시는 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브랜디와 같은 증류주는 발효주에 비해 장시간 동안 보관 가능하며, 제조 후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술의 품질이 거의 변하지 않아 전세계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넓은 의미의 브랜디는 과일주를 증류하여 만든 술을 총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포도주를 증류한 후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술을 가리키나, 다양한 과일을 이용한 브랜디가 존재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98955호에서도 다양한 과실을 이용하여 과실증류주인 브랜디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환경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업사이클링(Upcycling)이 시도되고 있다. 업사이클링이란 버려지는 자원을 활용해서 가치있는 새 물건을 만들어내는 작업으로서, 식품 분야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국내 커피 소비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커피 찌꺼기의 처리비용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커피를 추출한 후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커피박이라고 하며, 커피 추출 시 원두의 약 0.2 중량%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커피박으로 버려지게 되어, 이의 업사이클링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커피를 추출한 후 버려지는 커피박을 활용하여 풍미가 우수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498955B
본 발명은 버려지는 커피박을 업사이클링(Upcycling)하여 브랜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a) 커피박을 생수와 함께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상기 커피액을 술지게미와 혼합하는 단계; (c) 당을 첨가하는 보당 단계; (d) 효모, 효모영양제를 투여하고, 발효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여과액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커피박은,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커피액 및 상기 술지게미의 함량은, 술지게미:커피액 = 1:1.5 내지 1:2.5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c) 단계는, 당도가 22 내지 28 Brix가 되도록 당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d) 단계는, 발효 중 벤토나이트 및 젤라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후발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후발효는 14 내지 18℃에서 25 내지 35일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f) 단계는, 증류액의 알코올 함량이 15 내지 40%(v/v)가 되도록 1차 증류한 후, 재증류하여 알코올 함량이 40 내지 70%(v/v)가 되도록 2차 증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f) 단계 이후, (g) 상기 증류액을 10 내지 25 ℃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브랜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려지는 커피박을 업사이클링하여 풍미가 우수한 브랜디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디 제조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며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면 및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커피박을 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커피박을 생수와 함께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상기 커피액을 술지게미와 혼합하는 단계; (c) 당을 첨가하는 보당 단계; (d) 보당된 상기 발효원료에 효모, 효모영양제를 투여하고, 발효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여과액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먼저 (a) 커피박을 생수와 함께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커피박은 일반적으로 원두로부터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 찌꺼기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로부터 수득되는 것이 커피의 원성분과 향이 더욱 보존되어서 더 깊은 커피 향미를 갖는 브랜디를 제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하는 것으로, 직화 방식, 반열풍 방식, 열풍 방식으로 나뉠 수 있고, 그 방식에 따라 원두커피를 볶는 드럼의 형태가 상이하다. 직화식은 원두커피를 볶는 드럼에 작은 구멍이 뚫어져 있는 형태로 불이 내부 드럼에 100%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며, 열풍식은 드럼과 완전히 분리되어 공급되는 강한 열을 드럼 속으로 불어넣어 순간적인 고열을 이용해 커피를 볶는 방식이다. 또한, 반열풍식은 직화식과 달리 드럼 표면에 구멍이 뚫려있지 않고 드럼 뒷면에 구멍이 뚫려있어, 열이 드럼에 직접적으로 약 40% 정도 전달되고 드럼 뒤편을 통해 약 60% 정도의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통해 로스팅하는 방식이다.
열풍 로스팅 시, 열풍기의 내부(드럼) 온도를 200±50℃로 예열한 뒤 생두를 넣어 로스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로스팅은 생두를 5 내지 20분 동안 볶는 작업을 거쳐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 이후, (b) 추출한 상기 커피액을 술지게미와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b) 단계에서 혼합하는 술지게미는 와인이나 막걸리를 짜고 남은 부산물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곡물뿐만 아니라 과일, 채소 등으로 만든 술지게미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상기 커피액과 혼합되는 상기 술지게미는 술지게미:커피액 = 1:1.5 내지 1: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1:1.8 내지 1:2.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의 중량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술지게미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발효가 많이 되어 브랜디의 커피향이 미미하고, 술지게미가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술지게미가 커피액을 다량 흡수하여 알코올 발효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후에 발효액을 얻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버려지는 커피박을 활용하여 브랜디에 은은한 커피향을 부여할 수 있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술지게미와 커피액의 중량비는 술지게미의 점도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이 많은 과일로 만든 지게미의 경우 점도가 낮으므로 커피액을 상대적으로 적게 혼합하고, 수분이 적은 과일이나 곡물, 채소로 만든 지게미의 경우 점도가 높으므로 커피액을 상대적으로 많게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20℃에서 약 6000 Cp의 점도를 갖는 술지게미의 경우, 술지게미:커피액(점도 약 1 Cp) = 1:1.8 내지 1:2.2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1:2의 중량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b) 단계 이후, (c) 당을 첨가하는 보당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보당 단계는 당도를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설탕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보당 단계를 통해 당도는 22 내지 28 Brix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27 Brix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연적인 발효를 통한 알코올 생성은 13 내지 14%(v/v) 정도까지이며, 그 이상의 당은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당분이 충분하지 않아 정상적으로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위트 와인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와인 제조 후 브랜디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증류과정을 통해 발효되지 못한 당 성분이 모두 파괴되므로, 28 Brix를 초과하는 보당 작업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 이후, (d) 효모 및 효모영양제를 투여하고, 발효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d) 단계에서 첨가되는 효모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visia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효모는 커피박 1 중량부 대비 0.0001 내지 0.00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효모가 상기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발효가 충분히 되지 않아 변질될 수 있고, 효모가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첨가량 대비 그 효율이 좋지 못하다.
일 예로서, 상기 (d) 단계에서 첨가되는 효모 영양제는 효모의 증식과 당의 원활한 분해를 위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효모가 증식할 수 있는 영양이 부족하면, 발효가 일어나지 않거나 발효가 중지되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예로서, 효모영양제는 질소(N), 인(P), 비타민 B1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질소질과 인을 함께 공급할 수 있는 인산암모늄(Diammonium Phosphat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d) 단계의 발효는, 보당 후의 원료에 효모, 효모영양제를 투여하고, 30 내지 50일간 숙성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d) 단계의 발효는, 추후 (e) 단계의 여과 시 청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발효 기간 중 벤토나이트(Bentonite) 및/또는 젤라틴(Gelatin)을 첨가하여 후발효를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토나이트 및/또는 젤라틴을 첨가하기 전을 1차 발효, 첨가한 이후를 2차 발효로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발효는 알코올 발효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기간으로서 효모의 증식 및 당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선행되는 발효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는 청징 효율을 더욱 높이고 맛을 보완하기 위한 후숙성 과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1차 발효는 5일 내지 15일간 숙성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일간 숙성되는 것일 수 있고, 밀봉하여 15 내지 20℃의 그늘진 공간에 보관하여 숙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늘진 공간은 햇빛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이면 충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 이후, 병을 옮겨 담고 벤토나이트 및/또는 젤라틴을 추가하여 2차 발효를 진행할 수 있고, 상기 2차 발효는 25 내지 35일간 밀봉하여 14 내지 18℃의 햇빛을 차단시킨 숙성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화산재와 바닷물과 반응하여 형성된 변성암으로 흡착성과 팽윤성을 띠므로, 발효액 내부의 부유물과 단백 용해물을 흡착하고 침전시켜 청징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벤토나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벤토나이트 사용량 대비 2배의 물을 수일간 진탕시킨 후 사용하거나, 동량의 뜨거운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벤토나이트 현탁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동물의 뼈나 가죽에서 추출한 단백질의 일종으로 발효주에 희석하면 플록(Floc)을 형성하여 혼탁물질과 함께 침강하여 청징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젤라틴 및 벤토나이트는 병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젤라틴은 양전하를 띠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음전하를 띠므로, 이를 병용 사용하면 청징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d) 단계의 발효 시, 오크 칩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발효액에 향을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d) 단계를 통한 발효가 끝나면,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발효액만을 순수하게 회수하고, 이후 (f) 단계에서 증류시킬 수 있다. 여과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양조 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증류 이전에는 필터프레스 여과기를 사용하여 제거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여과액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여과액을 증류기에 투입하여 증류를 수행할 수 있다. 증류는 1차 증류 및 2차 증류로 나누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증류는 상기 여과액에 주정분이 남지 않을때까지 증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알코올 함량이 15 내지 40 %(v/v)가 되도록 증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증류는 1차 증류를 통해 수득한 증류액을 재증류하는 것으로, 이 때의 증류액은 초류(head)와 후류(tail)액은 분리하여 제거하고 본류(body)만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류에는 좋지 않은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될 수 있고, 후류는 풍미가 떨어져 본류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증류는 알코올 함량이 40 내지 70 %(v/v)가 되도록 증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f) 단계 이후, (g) 상기 증류액을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f) 단계를 통해 얻은 증류액을 적절한 용기에 저장하여 숙성시킴으로써 풍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용기는 오크통, 유리병, 트레인리스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상기 숙성은 10 내지 25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실시예>
1. 제조예 1 - 브랜디의 제조(실시예 1)
커피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브랜디를 제조하였다. 제조 과정의 일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1) 발효원료 준비
커피박 500g을 생수 1000ml와 함께 열탕하여 우러나온 커피액을 추출하였다. 커피박은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에서 수득된 것을 사용하였다. 추출한 커피액을 술지게미 500g과 혼합한다. 술지게미는 으능정이 부루어리(대전)에서 지역특산주를 주조하고 남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설탕을 200g 첨가하여 26 Brix가 되도록 보당하였다. 이 때 측정된 알코올 함량은 13 %(v/v)였다.
(2) 발효액 제조 및 여과
상기 (1)과 같은 과정을 거친 원료에 효모를 0.2g 투여하였다. 주 효모로 Lalvin사의 EC-1118®을 넣고, 보조 효모로 La parisienne(S. I. Lesaffre, France)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DSM Food Specialties, Delft, Netherlands)을 넣었다. 또한, 효모영양제로 제2인산암모늄을 20g 넣고, 펙틴엔자임을 5g 투여하여 밀봉하고 15 ~ 20℃가 유지된 그늘진 공간에 보관하여 11일간 숙성발효시켰다. 이후, 병을 옮긴 뒤 벤토나이트 1g, 젤라틴 0.5g, 오크칩(French Oak Chip, SEBAK) 0.5g을 넣고 밀봉하여 한달간 후숙성 과정을 거쳤다. 후숙성은 14 ~ 18℃가 유지된 그늘진 공간에서 수행되었다.
후숙성이 끝나면 필터프레스 여과기를 통해 발효액을 여과시킨다. 발효 중 존재하는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발효액을 순수하게 회수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3) 증류
상기 (2)를 통해 수득한 여과액을 증류기에 투입한 후 증류를 실시한다. 증류는 1차 증류와 2차 증류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1차 증류 시에는 원료 과실주의 주정분이 술덧에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증류를 진행하여, 알코올 함량은 15 ~ 40%(v/v)가 되도록 한다. 2차 증류시에는 1차 증류로 얻은 액을 재증류하여, 초류와 후류액은 분리하고 본류만 사용하여 증류하며, 알코올 함량이 40 ~ 70%(v/v)가 되도록 한다.
(4) 숙성
이후, 브랜디의 풍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3)을 통해 수득한 증류액을 오크통에 저장하여 10 ~ 25 ℃에서 숙성시켰다. 제조된 브랜디는 이러한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한층 깊은 맛을 나타내었다.
2. 제조예 2 - 브랜디의 제조(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커피박은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가 아닌 일반적인 로스팅을 거친 커피박을 사용하여, 브랜디를 제조하였다.
3. 제조예 2 - 브랜디의 제조(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보당 과정에서 당도를 18 Brix로 하여 브랜디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생성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제조된 브랜디에서 좋지 않은 향미가 났다.
4. 제조예 2 - 브랜디의 제조(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과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술지게미:커피액 = 3:1 중량비로 혼합하여 브랜디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발효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발효액을 얻을 수 없었다.
5. 브랜디의 관능 평가 및 알코올 함량 측정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브랜디에 대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브랜디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5: 매우 좋음, 4: 좋음, 3: 보통, 4: 나쁨, 5: 매우 나쁨).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9 4.7 4.7
실시예 2 4.6 4.6 4.5
비교예 1 2.8 2.9 2.8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향과 맛에서 실시예 1 및 2의 브랜디가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실시예 1 및 2의 브랜디가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브랜디는 알코올의 쓴맛 끝에 커피향이 느껴진다는 평가가 많았고, 따라서 대체적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에서 수득된 커피박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비해 훨씬 풍부한 커피향을 제공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알코올 생성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맛과 향이 좋지 않고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a) 200±50℃의 온도에서 열풍 로스팅된 커피원두로부터 수득된 커피박을 생수와 함께 열탕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단계;
    (b) 추출한 상기 커피액과 술지게미를 1:1.5 내지 1: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에 당도가 25 내지 27 Brix가 되도록 당을 첨가하는 보당 단계;
    (d) 당이 첨가된 상기 혼합물에 효모 및 효모영양제인 인산암모늄을 투여하고, 발효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
    (e) 상기 발효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여과액을 증류하여 증류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visiae)인, 브랜디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발효는, 발효 중 벤토나이트 및 젤라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후발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브랜디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발효는 14 내지 18℃에서 25일 내지 35일간 수행되는 것인, 브랜디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증류액의 알코올 함량이 15 내지 40%(v/v)가 되도록 1차 증류한 후, 재증류하여 알코올 함량이 40 내지 70%(v/v)가 되도록 2차 증류하는 것인, 브랜디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
    (g) 상기 증류액을 10 내지 25 ℃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브랜디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브랜디.
KR1020210037234A 2021-03-23 2021-03-23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KR10261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34A KR102610455B1 (ko) 2021-03-23 2021-03-23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234A KR102610455B1 (ko) 2021-03-23 2021-03-23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23A KR20220132223A (ko) 2022-09-30
KR102610455B1 true KR102610455B1 (ko) 2023-12-06

Family

ID=8345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234A KR102610455B1 (ko) 2021-03-23 2021-03-23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4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265A (ja) 2000-01-14 2001-07-17 Mercian Corp 香味の改良された香味液および合成清酒
KR101730913B1 (ko) * 2015-11-05 2017-05-11 이선희 무화과 와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239A (ja) * 1997-11-10 1999-05-25 Hisashi Tsujimura 蒸留酒及び蒸留酒の製造方法
KR101498955B1 (ko) 2012-06-29 2015-03-05 오세근 과실 발효주 및 과실 증류주의 제조방법
US11248198B2 (en) * 2018-06-22 2022-02-15 Starbucks Corporation Spirits prepared from cold brew coffee groun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265A (ja) 2000-01-14 2001-07-17 Mercian Corp 香味の改良された香味液および合成清酒
KR101730913B1 (ko) * 2015-11-05 2017-05-11 이선희 무화과 와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23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54049A1 (ru) &#34;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апитка &#34;Лесной аромат&#34;
SU1264831A3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безалкогольных напитков с дрожжевым ароматом
CN101060833A (zh) 含黄腐酚的天然提取物及其制取方法以及由其制得的产品
DE243740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neutral schmeckenden alkoholischen substrats und das dabei erhaltene produkt
CN104762180A (zh) 杨梅果酒及其酿制工艺
CN109234114A (zh) 一种复合小浆果白兰地和无醇酒及其制备方法
CN111592951A (zh) 一种澄清度高的艾尔精酿啤酒及其生产工艺
CN111434760A (zh) 一种果香型白酒酿造方法
JP2001178438A (ja) 人参ビールの製造方法
CN1840631A (zh) 一种五味子酒及其制备工艺
KR102610455B1 (ko) 커피박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KR102508089B1 (ko) 배 발효물 함유 막걸리 및 그 제조 방법
CN111304041A (zh) 一种杏干白酒及白兰地的制备方法
RU241298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ина игристого яблочного
CN110894451A (zh) 一种葡萄欧李复合蒸馏酒的制作方法
CN107586687A (zh) 利用槟果酿造果酒的方法
JPS6054033B2 (ja) 食酢の製造方法
KR102601342B1 (ko) 과일껍질을 새활용한 브랜디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브랜디
US2148051A (en) Methods in utilizing sugar cane juice in the preparation of effervescent alcoholic drinks
DE3506198C2 (ko)
JP5857437B2 (ja) 甘藷を原料とした醸造酒の製造方法
JPS6149941B2 (ko)
RU241298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ина игристого яблочного
CN110872548A (zh) 一种柠檬椰香型甜酒的酿造方法
KR102505674B1 (ko) 머루포도를 이용한 맥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