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899B1 -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 Google Patents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899B1
KR102604899B1 KR1020210145049A KR20210145049A KR102604899B1 KR 102604899 B1 KR102604899 B1 KR 102604899B1 KR 1020210145049 A KR1020210145049 A KR 1020210145049A KR 20210145049 A KR20210145049 A KR 20210145049A KR 102604899 B1 KR102604899 B1 KR 10260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bubbles
injector
drone
lar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0382A (en
Inventor
하상균
Original Assignee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filed Critical 하상균
Priority to KR10202101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899B1/en
Publication of KR2023006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으로, 하강 기류에 의해 부양력 및/또는 추력을 얻는 추진체가 탑재된 드론에서도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분사 및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 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량의 버블을 연속 분사하는 버블 생성부, 버블 생성부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발생부, 버블 생성부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버블 생성부 및 레이저 발생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 및 버블 생성부와 레이저 발생부 및 회전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버블 생성부와 레이저 발생부 및 회전모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기체 이동에 의한 바람 또는 하강 기류 등에 의해서도 버블이 파괴되지 않고 효과적인 버블과 레이저 공연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is intended to continuously spray and emit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even in a drone equipped with a propellant that obtains lift and/or thrust by a descending air current.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bble generat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and rotates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continuously sprays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is rotatable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The laser generator is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and rotates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emit lasers of various colors. It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the bubble generator and laser. A rotation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uni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or, laser generator, and rotation motor to overall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laser generator, and rotation motor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llows effective bubble and laser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without the bubble being destroyed by wind or downward air currents caused by gas movement.

Description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본 발명은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분사 및 방출하면서 회전모터에 의해 드론 몸체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회전할 수 있게 하여 드론 몸체의 주변으로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자유롭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체(機體)의 이동에 의한 바람 또는 하강 기류 등에 의해서도 버블이 파괴되지 않고 효과적인 분사가 가능하게 하여 하강 기류에 의해 부양력 및/또는 추력을 얻는 추진체가 탑재된 드론에 의해서도 효과적인 버블과 레이저 공연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버블액에 방재용 약제나 식물 재배 등에 필요한 보충제나 물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약제나 보충제나 수분 등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재용도나 식물재배 등도 가능하게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one that can continuously spray and emit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while rotat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around the drone body by a rotation motor, thereby allowing the drone to move around the drone body. A propellant that enables effective spraying without being destroyed by wind or descending air currents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gas by allow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to be sprayed freely, thereby obtaining lift and/or thrust by the descending air curr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bubble and laser performances even with a drone equipped with a drone.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chemicals or supplements or water needed for plant cultivation are added to the bubble liquid and the medicine, supplements, or moisture are sprayed. It is about a drone that can generate a large amount of bubbles, making it possible to use it for disaster prevention or plant cultivation.

일반적으로 종래의 드론 공연은 지상의 관제센터나 드론에서 레이저 빔이나 엘이디 빔을 방출하면서 버블이나 연무 등의 특수효과 물질을 공중에 흩뿌려 빛의 난반사를 발생시키고 시각적인 효과를 더하여 공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상의 관제센터나 드론에서 빔 프로젝트 등을 이용하여 엘이디 빔 또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면서 동시에 별도의 버블 생성기나 연무 생성기 등을 이용하여 버블이나 연무를 발생시켜 빔의 광로 상에 흩뿌려 줌으로써 레이저 빔이나 엘이디 빔의 광 입자가 버블이나 연무 등에 의해 산란되게 하여 빛의 난반사를 발생시키게 된다.In general, conventional drone performances emit laser beams or LED beams from a control center or drone on the ground and scatter special effect materials such as bubbles or fog in the air to generate diffuse reflection of light and add visual effec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effect. To achieve this, an LED beam or laser beam is emitted using a beam projector from a control center on the ground or a drone,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bubble generator or mist generator is used to generate bubbles or haze to create a space on the beam's optical path. By scattering the light particles of the laser beam or LED beam, they are scattered by bubbles or haze, causing diffuse reflection of light.

그러나 이와 같은 버블 등의 특수효과물질을 이용하는 공연의 경우 비행중인 드론에서 버블을 생성하여 전면으로 방출하게 되면 드론의 상승 또는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발생되는 바람 또는 기류 등에 의해 버블이 파괴되거나 흐트러지게 되어 드론 공연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특히 버블을 하방으로 방출하기 위하여 버블 생성기를 세우게 되면 버블액이 유출되어 드론의 하방으로 버블을 분사 또는 방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지상에 구비된 버블 생성기에서 버블을 생성하여 상공으로 쏘아 올리는 경우 버블 생성기에서 발생된 버블은 바람 또는 기류 등에 의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분산되어 버리거나 중력에 의하여 지상으로 쉽게 가라앉아 버리기 때문에 다량의 버블을 분사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합당한 공연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performances using special effect materials such as bubbles, if bubbles are generated from a flying drone and released to the front, the bubbles will be destroyed or disturbed by wind or air currents generated downward as the drone rises or m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drone's performance may be reduc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bubble generator is set up to release bubbles downward, the bubble liquid leaks out,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impossible to spray or release bubbles downward from the drone. Also, when bubbles are generated from a bubble generato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hot into the sky,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or are dispersed in unwanted directions by wind or air currents, or easily sink to the ground due to gravity, cre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Despite spraying, it had the disadvantage of not producing the appropriate performance effect.

KRKR 10-1753364 10-1753364 B1B1 2017.06.27.2017.06.27. 등록registration KRKR 10-2017-0046727 10-2017-0046727 AA 2017.05.022017.05.02 공개op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분사 및 방출 가능한 버블 분무 노즐과 레이저 발생부를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하고 회전모터에 의해 드론 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수평 및 수직 회전할 수 있도록 인젝터를 설치하여 버블액이 흘러내리지 않고 드론 몸체의 주변으로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자유롭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체(機體)의 이동에 의한 바람 또는 하강 기류 등에 의해서도 버블이 파괴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하여 하강 기류에 의해 부양력 및/또는 추력을 얻는 추진체가 탑재된 드론에 의해서도 효과적인 버블과 레이저 공연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버블액에 방재용 약제나 식물 재배에 필요한 보충제나 물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약제나 보충제나 수분 등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재용도나 식물재배 등도 가능하게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bubble spray nozzle and a laser generator capable of continuously spraying and emit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addition, an injector is installed so that it can freely rotat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round the drone body by a rotary motor, so that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can be freely sprayed around the drone body without the bubble liquid flowing down, thereby creating a It allows bubbles to be effectively sprayed without being destroyed by moving wind or descending air currents, allowing effective bubble and laser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even by drones equipped with propellants that gain lift and/or thrust by descending air currents.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chemicals, supplements or water needed for plant cultivation can be added to the bubble liquid to spray chemicals, supplements, or moisture, thereby cre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that can be used for disaster prevention or plant cultivation. The goal is to provide dron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드론 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량의 버블을 연속 분사하는 버블 생성부, 버블 생성부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발생부, 버블 생성부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버블 생성부 및 레이저 발생부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 및 버블 생성부와 레이저 발생부 및 회전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버블 생성부와 레이저 발생부 및 회전모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ubble generato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and continuously sprays a large amount of bubbles while rotating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laser generat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generator and rotates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emits lasers of various colors. It is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rotation motor that is driven by and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laser genera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or, the laser generator, and the rotation mo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laser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It is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and rotation motor.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분사 및 방출 가능한 버블 분무 노즐과 레이저 발생부를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하고 이들을 회전모터에 의해 드론 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360도 수평 회전 또는 드론 몸체의 하방측으로 수직 회전 가능하게 하므로, 드론 몸체의 주변으로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를 자유롭게 분사 및 발생할 수 있게 되어 기체(機體)의 이동에 의한 바람 또는 하강 기류 등에 의해서도 버블이 파괴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강 기류에 의해 부양력 및/또는 추력을 얻는 추진체가 탑재된 드론에 의해서도 효과적인 버블과 레이저 공연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다량의 버블을 필요로 하는 드론공연에서 특수물질 등에 의한 공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bble spray nozzle and a laser generator capable of continuously spraying and emit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and these are freely rotated 360 degrees horizontally around the drone body by a rotation motor or rotated by the drone body. Since it can rotate vertically downward,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s can be freely sprayed and generated around the drone body, and the bubbles can be sprayed effectively without being destroyed by wind or downward air currents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aircraft. , This allows effective bubble and laser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even by drones equipped with propellants that obtain levitation and/or thrust by descending air currents, thereby maximizing the performance effects of special materials in drone performances that require a large amount of bubbles.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enabl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블액에 방재용 약제나 식물 재배 등에 필요한 보충제나 물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약제나 보충제나 수분 등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재용도나 식물재배 등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dditives such as supplements or water necessary for disaster prevention drugs or plant cultivation to the bubble liquid, it is possible to spray drugs, supplements, moisture, etc.,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enabling disaster prevention use and plant cultiva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블생성부의 내부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블생성부에서 버블 분무 노즐을 구성하는 단위 노즐을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사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버블생성부에서 인젝터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버블액이 버블 분무 노즐에 공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인젝터의 작동상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1.
Figure 3 is a reference photo illustrating the unit nozzles constituting the bubble spray nozzle in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1.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jector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bubble liquid to the bubble spray nozzle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in the bubble generating unit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its effec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은 드론 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블 생성부(100), 버블 생성부(100)의 하우징 상부에 버블 생성부(10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이저 발생부(200), 버블 생성부(1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300), 및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버블 생성부(100)와 레이저 발생부(200) 및 회전모터(3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드론은 드론몸체의 내부에 원격 비행 또는 자율 비행을 위한 비행 제어 모듈, 원격 송수신 모듈, 카메라 모듈, GPS 모듈, 자이로 센서, 전원 공급모듈, 및 키입력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드론의 각 구성요소는 공연장 상공에서의 비행이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비행체 모형의 하우징 내에 모두 탑재되어 설치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10.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the laser generator 200, which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bubble generator 100. It will be comprised of a rotation motor 300 and a control unit 400 that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nd the rotation motor 300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You can. The drone to which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includes a flight control module for remote or autonomous flight, a remot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a camera module, a GPS module, a gyro sensor, a power supply module, and a key input module inside the drone body. It can be configured, and each component of this drone can be mounted and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of an aircraft model that is implemented to facilitate flight over the performance venue.

버블 생성부(100)는 드론 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10)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량의 버블을 연속 분사한다. 이러한 버블 생성부(100)는 예를 들면 드론 몸체(10)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수직회전(예를 들면 0~ 90°범위로 수직회전)하면서 동시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360도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bubble generator 10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10 and continuously sprays a large amount of bubbles while rotating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10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For example, the bubble generator 100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otate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drone body 10 (for example, rotate vertically in the range of 0 to 90°) and freely rotate horizontally 360 degrees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do.

레이저 발생부(200)는 버블 생성부(10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레이저를 방출한다. 이러한 레이저 발생부(200)도 버블 생성부(10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드론 몸체(10)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수직회전(예를 들면 0~ 90°범위로 수직회전)하면서 동시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360도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aser generator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rotates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0 to emit lasers of various colors. Like the bubble generating unit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lso rotates vertically, for example,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drone body 10 (for example, rotates vertically in the range of 0 to 90°) and simultaneously rotates in the for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otate freely 360 degrees horizontally.

회전모터(300)는 버블 생성부(10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버블 생성부(100) 및 레이저 발생부(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회전모터(300)는 드론몸체(10)에 탑재된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rotation motor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is drive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the laser generator 200. to provide. This rotation motor 3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power supply device mounted on the drone body 10 o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 separately provided power supply device.

제어부(400)는 버블 생성부(10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설치되며 버블 생성부(100)와 레이저 발생부(200) 및 회전모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블 생성부(100)와 레이저 발생부(200) 및 회전모터(3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드론몸체(10)에 탑재된 주제어부와의 연동을 통해 또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nd the rotation motor 300 to provide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ly, the operations of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nd the rotation motor 300 are overall controlled. This control unit 40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an receive preset scenarios or remote control signals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ain control unit mounted on the drone body 10 o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도 2는 도 1의 버블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블생성부에서 버블 분무 노즐을 구성하는 단위 노즐을 발췌하여 예시한 참고사진이며,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버블생성부에서 인젝터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버블액이 버블 분무 노즐에 공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인젝터의 작동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공연용 드론에 설치되는 버블 생성부(100)는 하우징 몸체(110), 버블 분무 노즐(120), 인젝터(130), 엑추에이터(140), 송풍기(150), 버블액 저장부(160), 및 공급용 펌프(170)를 포함하여 일실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수용 펌프(180)를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1, Figure 3 is a reference photo illustrating the unit nozzles constituting the bubble spray nozzle in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1, and Figures 4a and 4b are This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injector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supplying bubble liquid to the bubble spray nozzle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in the bubble generator of Figure 1. The bubble generator 100 installed in the performanc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cluding a housing body 110, a bubble spray nozzle 120, an injector 130, an actuator 140, a blower 150, a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and a supply pump 170. It may be configured in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ing a recovery pump 180.

하우징 몸체(110)는 버블 생성부(100)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그 내부에 전체적으로 내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의 케이스로서, 전방 캡(111), 후방 캡(112)으로 구성된다. The housing body 110 is a case that form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ubble generating unit 100 can be stored as a whole, and is composed of a front cap 111 and a rear cap 112.

전방 캡(111)은 인젝터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에는 외부로 버블을 분무할 수 있도록 버블 분무 노즐(120)이 설치되며 후면부는 개방되어 후방 캡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후방 캡(112)은 엑추에이터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과 액추에이터 거치대(115)가 구비되고 후면부에는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환기구(112a)가 형성되며, 전면부는 개방되어 상기 전방 캡(111)의 후면부와 결합된다.The front cap 111 has an internal space for installing an injector, and a bubble spray nozzle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part to spray bubbles to the outside. The rear part is open so that the rear cap can be attached or separated. The rear cap 112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installing an actuator and an actuator holder 115, and a ventilation hole 112a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and the front portion is open so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cap 111 is combined with

이러한 구성의 하우징 몸체(110)의 양측 내벽에는 서로 대향하면서 평행하게 쌍을 이루는 거치대 안내레일(114)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술될 인젝터 거치대의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거치대 안내레일에는 인젝터 거치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젝터 거치대는 거치대 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 및 거치되기 위한 안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On both inner walls of the housing body 110 of this configuration, a pair of holder guide rails 114 facing each other and in parallel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hold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holder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holder guide rail, and the injector holder may be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for being movably fixed and mounted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holder guide rail. You can.

또한 이러한 하우징 몸체(110)는 버블 분무 노즐(120)에서 분무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는 잔여 버블액을 포집하기 위한 잔여액 포집부(113)가 하부 일측에는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잔여액 포집부(113)는 버블액 회수용 배관을 통해 후술될 버블액 저장부와 연결되며, 버블 분무 노즐(120)이 설치되는 전방 캡(111)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using body 110 may further have a residual liquid collecting part 113 formed on one lower side to collect the remaining bubble liquid that is not sprayed from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nd flows down. This residual liquid collection unit 113 is connected to a bubble liquid storage unit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bubble liquid recovery pipe, and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cap 111 where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s installed.

버블 분무 노즐(120)은 하우징 몸체(110)를 구성하는 전방 캡(11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다량의 버블을 분무한다. 이러한 버블 분무 노즐(120)은 도 3의 참고사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분사구(121)의 중심부에 인젝터의 노즐 터치부와의 접촉을 위한 터치블록(122)이 형성되고 터치블록(122)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버블 생성링(123)이 균등 간격으로 이격되게 연설되어, 인젝터에서 공급되는 버블액을 다수 개의 버블 생성링(123)을 통해 전방으로 분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버블 분무 노즐(120)은 하우징 몸체(110) 전방 캡(111)의 전면부에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노즐이 조합된 형태의 노즐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bubble spray nozzle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front cap 111 constituting the housing body 110 and sprays a large amount of bubbles. As illustrated in the reference photo of FIG. 3, this bubble spray nozzle 120 has a touch block 12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nozzle injection hole 121 for contact with the nozzle touch part of the injector, and the touch block 122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rings 123 are radially spaced around the circumference at equal intervals, allowing the bubble liquid supplied from the injector to be sprayed for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rings 123. This bubble spray nozzle 120 may be configured as a nozzle array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unit nozzles that are radially evenly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ront cap 111 of the housing body 110.

인젝터(130)는 하우징 몸체(110)의 전방 캡(111) 내측에 설치되되 버블 분무 노즐(1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을 버블 분무 노즐(120)에 공급한다. 이러한 인젝터(13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안내레일(114)을 타고 이동 가능한 인젝터 거치대(136)에 의해 거치 및 지지되어 하우징 몸체(110)의 내측에서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인젝터(130)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몸체(131), 선회유로(133), 개폐블록(134), 및 노즐 터치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njecto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p 111 of the housing body 110 and on the rear side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to supply bubble liquid for creating bubbles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s illustrated in FIG. 2, the injector 130 is mounted and supported by an injector holder 136 that can move along the holder guide rail 114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housing body 110. This injector 1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er body 131, a swirling passage 133, an opening/closing block 134, and a nozzle touch unit 135, as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실린더 몸체(131)는 인젝터 거치대(136)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몸체의 중심부에는 센터홀(131a)이 형성되고 센터홀(131a)의 내부에는 실린더 로드(132)가 실린더 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실린더 로드(132)는 후단부에 탄성 스프링(132a)이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 스프링(132a)이 압축되면서 후방측으로 밀리도록 구성되고, 반대로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에서 후방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 스프링(132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도록 구성된다. The cylinder body 131 consists of a cylindrical body fixed immovably by an injector holder 136. A center hole 131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body, and a cylinder rod 132 is formed inside the center hole 131a. is inserted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body 131. This cylinder rod 132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spring 132a coupled to the rear end so that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rod 132 to the rear, the elastic spring 132a is compressed and pushed to the rear. Conversely, the cylinder rod 132 When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front end of 132 to the rear side is released, i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2a.

또한 실린더 몸체(131)의 선단부 내측에는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 노출 및 버블액 토출을 위한 선단부 토출구(131b)가 센터홀(131a)에서 연설되어 형성된다.Additionally, on the in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body 131, a distal end discharge port 131b for exposing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rod 132 and discharging the bubble liquid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center hole 131a.

선회유로(133)는 버블액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로서, 실린더 몸체(131)의 내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센터홀(131a)과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유로의 일측 단부는 실린더 몸체(131)의 후단부에서 버블액 공급용 배관을 통해 버블액 저장부와 연결되고 유로의 다른측 단부는 센터홀(131a)의 선단부와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선단부 토출구(131b) 측으로 버블액을 공급한다.The swirling passage 133 is a passage for supplying bubble liquid,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inner side of the cylinder body 131, bu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enter hole 131a, and one end of the passage is formed on the cylinder body 131. ) is connected to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through a pipe for supplying bubble liquid at the rea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is formed to join the tip of the center hole (131a) to supply bubble liquid to the tip discharge port (131b).

개폐블록(134)은 센터홀(131a)에 긴밀하게 삽입 가능한 원통블록으로서 실린더 로드(132) 상에 설치되어 실린더 로드와 일체로 센터홀 내부를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하며, 이러한 개폐블록(134)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선회유로(133)가 합류하는 센터홀(131a)의 선단부 토출구(131b)가 폐쇄 또는 개방되어 선회유로(133)와 선단부 토출구(131b) 간의 버블액 공급 유로가 단속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is a cylindrical block that can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131a) and is installed on the cylinder rod 132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center hole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rod. Du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the tip discharge port 131b of the center hole 131a where the pivot path 133 joins is closed or opened, and the bubble liquid supply path between the pivot path 133 and the tip discharge port 131b is interrupted.

노즐 터치부(135)는 버블액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도록 다공성 홈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터치가 가능하도록 완충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로드(132)의 첨단부에 설치되어 개폐블록(134)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선단부 토출구(131b)를 통해 버블액을 공급받고 실린더 로드(132)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버블 분무 노즐(120)의 터치블록(122)과 접촉하여 함유하고 있는 버블액을 버블 분무 노즐(120)에 전달한다.The nozzle touch part 135 has a porous groove to absorb and contain the bubble liquid,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a buffering force to enable a soft touch. It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cylinder rod 132 and is used to protect the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The bubble liquid is supplied through the tip discharge port (131b)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and the bubble liquid is contained in contact with the touch block 122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cylinder rod 132. is delivered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이러한 인젝터(130)는 버블 분무 노즐(120)이 노즐 어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노즐 어레이의 각 단위 노즐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어 버블액을 각 단위 노즐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 개의 단위 인젝터가 조합된 인젝터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s configured as a nozzle array, the injector 130 is an inject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injectors are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unit nozzle of the nozzle array and supply bubble liquid to each unit nozzle. It can be composed of:

엑추에이터(140)는 하우징 몸체(110)의 후방 캡(112) 내측에 별도의 엑추에이터 지지대(115)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되 인젝터(130) 또는 인젝터 어레이를 거치 및 지지하는 인젝터 거치대(136)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엑추에이터 로드(141)를 동작시켜 인젝터 거치대(136)를 엑추에이터 로드(141)의 행정거리만큼 전방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인젝터(130) 또는 인젝터 어레이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엑추에이터(140)는 인젝터(130)를 거치 및 지지하는 인젝터 거치대(136)의 후방측에 엑추에이터 로드(141)가 직접 연결되어 인젝터(130) 또는 인젝터 어레이의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젝터 거치대(136)에 직접 전달한다.The actuator 140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rear cap 112 of the housing body 110 by a separate actuator support 115,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injector holder 136 that holds and supports the injector 130 or the injector array. It is installed on the side and operates the actuator rod 141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ush the injector holder 136 forward by the stroke distance of the actuator rod 141, thereby moving the injector 130 or the injector array forward and backward. Provides power for slide movement. In particular, in this actuator 140, the actuator rod 14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injector holder 136, which mounts and supports the injector 130, and provides power for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130 or the injector array. It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holder (136).

송풍기(150)는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엑추에이터(140)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하우징 몸체(110)의 후방 캡(112)에 형성된 환기구(112a)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버블 분무 노즐(120) 및 인젝터(130) 측으로 송풍한다. The blower 15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actuator 140 inside the housing body 110 and operates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open the ventilation hole 112a formed in the rear cap 112 of the housing body 110. External air is sucked in and blown toward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nd injector 130.

버블액 저장부(160)는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이 저장되어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버블액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161)가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버블액 공급용 배관(171)을 통해 인젝터(130)의 선회유로(133)와 연결되어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을 인젝터로 공급한다. 또한 이러한 버블액 저장부(160)에는 잔여 버블액의 회수를 위한 회수구(162)가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버블액 회수용 배관을 하우징 몸체(110)의 잔여액 포집부(113)에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버블액 저장부(160)에는 버블액에 방재용 약제나 식물 성장 보충제나 물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약제나 보충제나 수분 등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재용도나 식물재배용도 등에도 사용 가능하게 한다.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stores the bubble liquid for creating bubbles and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110, and a flow control valve 161 for controlling the outflow amount of the bubble liqui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It is opened and clos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and is connected to the swirling passage 133 of the injector 130 through the bubble liquid supply pipe 171 to supply bubble liquid for bubble generation to the injector. In addition, in this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a recovery port 162 for recovering the remaining bubble liqui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and the pipe for recovering the bubble liquid is connected to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ng part 113 of the housing body 110. . In addition, this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can be used for disaster prevention or plant cultivation purposes by adding additiv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drugs, plant growth supplements, or water to the bubble liquid to spray drugs, supplements, or water. Make it possible.

공급용 펌프(170)는 정량 펌프로 구성되어 인젝터(130)의 선회유로(133)와 버블액 저장부(160)의 유량조절밸브(161) 사이의 버블액 공급용 배관(171) 상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버블 생성을 위한 정량의 버블액을 펌핑하여 인젝터(130)의 선회유로(133)에 공급한다.The supply pump 170 is composed of a fixed-quantity pump and is installed on the pipe 171 for supplying bubble liquid between the swirling passage 133 of the injector 130 and the flow control valve 161 of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It operates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ump a fixed amount of bubble liquid for creating bubbles and supplies it to the swirling passage 133 of the injector 130.

회수용 펌프(180)는 잔여액 포집부(113)와 버블액 저장부(160) 사이에 연결되는 버블액 회수용 배관(181) 상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잔여액 포집부(113)에 포집된 버블액을 펌핑하여 버블액 저장부(160)의 회수구(162)로 회수시킨다.The recovery pump 180 is installed on the bubble liquid recovery pipe 181 connected between the residual liquid collection unit 113 and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and operates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he bubble liquid collected in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on unit 113 is pumped and recovered to the recovery port 162 of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에서의 버블 생성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bubble generating operation and its effects in the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제어부(400)에서 드론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버블 생성부(10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게 되면 공급용 펌프(170)가 동작하여 버블액 저장부(160)로부터 유량조절밸브(161)와 버블액 공급용 배관(171)을 통해 인젝터(130)의 선회유로(133) 측으로 정량의 버블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First, when the control unit 400 su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bubble generator 10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10, the supply pump 170 operates and the flow control valve ( A fixed amount of bubble liquid can be supplied to the swirling passage 133 of the injector 130 through 161) and the bubble liquid supply pipe 171.

이와 동시에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버블 생성부(100)의 엑추에이터(140)가 동작하여 엑추에이터 로드(141)가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엑추에이터의 동력이 하우징 몸체(110)의 인젝터 거치대(136)에 전달되면서 인젝터 거치대(136)가 거치대 안내레일(114)을 타고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인젝터(130)의 실린더 몸체(131)는 선단부 일측이 인젝터 거치대(136)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인젝터 거치대(136)와 함께 하우징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actuator 140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00 operates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causing the actuator rod 141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ower of the actuator is transmitted to the injector holder of the housing body 110. As it is transmitted to (136), the injector holder 136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holder guide rail 114. At this time, the cylinder body 131 of the injector 130 is installed with one end fixed by the injector holder 136, so i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0 together with the injector holder 136. .

만약,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공급되지 않으면 버블 생성부(100)의 엑추에이터(140)는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인젝터(130)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132)의 개폐블록(134)은 실린더 몸체(131)의 선단부 측으로 작용하는 탄성 스프링(132a)의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 몸체(131)의 선단부 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개폐블록(134)에 의해 선단부 토출구(131b) 및 선회유로(133)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f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is not supplied, the actuator 140 of the bubble generating unit 100 does not operate, so the injector 130 operates as an opening/closing block of the cylinder rod 132, as illustrated in FIG. 4A. (134) is pushed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body 13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2a acting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cylinder body 131, and is opened by the distal end discharge port 131b and the swirling passage ( 133) will remain closed.

이후 제어부(400)의 제어신호가 공급되어 엑추에이터 로드(141)가 전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인젝터 거치대(136)가 거치대 안내레일(114)을 타고 전진 이동하게 되므로 인젝터(130)가 버블 분무 노즐(120) 측까지 도달하여 인젝터(130)와 버블 분무 노즐(120)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젝터(130)와 버블 분무 노즐(12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인젝터(130)의 실린더 로드(132) 선단부가 버블 분무 노즐(120)의 터치블록(122)에 접촉하게 되면서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에 후방측으로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이 가해지면 실린더 로드(132)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132a)이 압축되면서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132)이 실린더 몸체(131)의 내부에서 그 후방측으로 밀리게 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is supplied and the actuator rod 141 slides forward, the injector holder 136 moves forward on the holder guide rail 114, so that the injector 130 moves forward through the bubble spray nozzle 120. ) side, so that contact between the injector 130 and the bubble spray nozzle 120 can be made. When such contact is made between the injector 130 and the bubble spray nozzle 120, the tip of the cylinder rod 132 of the injector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uch block 122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nd the cylinder rod 132 ) is appli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ward side. When this pressure is applied, the elastic spring 132a coupled to the cylinder rod 132 is compressed, and the cylinder rod 132 is pushed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er body 131 to the rear side, causing a slide movement, as illustrated in FIG. 4B. I do it.

이와 같이 실린더 로드(132)가 실린더 몸체(131)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로드(132) 상에 설치된 개폐블록(134)이 하우징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측으로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서 선회유로(133)를 타고 센터홀(131a) 측으로 유입된 일정량의 버블액이 실린더 몸체(131)의 선단부 토출구(131b)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선단부 토출구(131b) 측으로 밀린 버블액이 실린더 로드(132) 첨단부에 설치된 노즐 터치부(135)까지 전달되어 노즐 터치부(135)의 다공성 홈에 함유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ylinder rod 132 slides to the rear side of the cylinder body 131, the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installed on the cylinder rod 13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0, as illustrated in FIG. 4B. As it slides along the rear side, a certain amount of bubble liquid flowing into the center hole (131a) through the swirling passage (133) can flow into the distal end discharge port (131b) of the cylinder body 131, and thus through the distal discharge port (131b). The bubble liquid pushed toward (131b) is delivered to the nozzle touch portion 135 installed at the tip of the cylinder rod 132 and can be contained in the porous groove of the nozzle touch portion 135.

이러한 상태에서 인젝터(130)의 노즐 터치부(135)가 버블 분무 노즐(120)의 터치블록(122)과 접촉하게 되면, 노즐 터치부(135)에 함유되어 있던 버블액이 버블 분무 노즐(120)의 터치블록(122)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그 둘레의 버블 생성링(123)으로 확산 및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하우징 몸체(110)의 후방측에 설치된 송풍기(150)가 구동되면 외부 공기가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하우징 몸체(110) 전방의 버블 분무 노즐(120) 측으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버블 분무 노즐(120)에서는 다수 개의 버블 생성링(123)에 의해 다량의 버블이 분무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nozzle touch part 135 of the injector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uch block 122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the bubble liquid contained in the nozzle touch part 135 is transferred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 can spread around the touch block 122 and be spread and transmitted to the bubble generating ring 123 around it, and at this time, the blower 15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11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n drive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110 and is blown toward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n front of the housing body 110. Therefore, the bubble spray nozzle 120 creates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rings ( 123), a large amount of bubbles can be sprayed.

반대로 엑추에이터 로드(141)가 후진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인젝터(130)와 버블 분무 노즐(120)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에서 후방측으로 가해지는 압력도 해제되며, 따라서 실린더 로드(132)와 개폐블록(134)은 탄성 스프링(132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4a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되어 버블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actuator rod 141 slides backward, the contact between the injector 130 and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rod 132 to the rear side is also released, and thus the cylinder rod 132 ) and the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ar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4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132a, thereby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bubble liqui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버블 생성부(100)에서는 엑추에이터(140)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반복적으로 다량의 버블을 연속적으로 분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eatedly and continuously spray a large amount of bubbles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actuator 140.

아울러 제어부(400)에서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레이저 발생부(200)에서는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레이저가 방출되고, 레이저와 다량의 버블에 의한 난반사가 발생되면서 다채로운 형태와 컬러의 공연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control signal is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400, the laser generator 200 emits lasers of various colors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and diffuse reflection due to the laser and a large amount of bubbles occurs, creating various shapes and forms. Color performances can now be held.

한편, 상기와 같이 버블 생성부(100) 및/또는 레이저 발생부(200)가 동작하는 중에 제어부(400)가 회전 모터(300)를 구동하여 버블 생성부(100) 및/또는 레이저 발생부(200)를 측방과 하방 사이에서 수직 회전시키거나 또는 전후좌우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키게 되면, 버블 생성부(100) 및/또는 레이버 발생부(200)는 드론몸체의 측방에서 하방으로 일정 각도의 범위(예를 들면 0~ 90°범위) 내에서 수직회전하면서 동시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360도 수평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공연용 드론에서는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컬러로 방출되는 레이저와 다량의 버블에 의해 다채로운 형태와 컬러의 공연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bubble generator 100 and/or the laser generator 200 is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rotation motor 300 to generate the bubble generator 100 and/or the laser generator ( When 200) is rotated vertically between the side and downward or freely rotated horizontally forward, left, right, and left, the bubble generator 100 and/or the raver generator 200 extends at a certain angle from the side of the drone body downward. It is possible to rotate vertically within the range (for example, 0 to 90°) and at the same time rotate horizontally 360 degree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drones in various colors according to preset scenarios or remote control signals. The lasers and large amount of bubbles emitted make it possible to perform performances of various shapes and colors.

한편, 버블 분무 노즐(120)의 터치블록(122) 또는 버블 생성링(123)에 전달된 버블액은 버블액이 갖는 물질적 특성(예를 들면 점성 특성 등)에 의해 그 전체가 완전하게 버블 생성에 사용되지 못하고 그 일부가 분무되지 못한 상태로 하우징 몸체(131)의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잔여 버블액은 하우징 몸체(13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잔여액 포집부(113)에 의해 포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다량의 버블과 레이저에 의한 공연을 수행 중 또는 수행 후에 제어부(400)가 필요에 따라 회수용 펌프(180)를 구동하게 되면 잔여액 포집부(113)에 포집된 잔여 버블액은 버블액 회수용 배관(181)을 통해 버블액 저장부(160)의 회수구(162)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ubble liquid delivered to the touch block 122 or the bubble generating ring 123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completely creates bubbles in its entirety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e.g., viscosity characteristics, etc.) of the bubble liquid. Since it cannot be used and a part of it may flow down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body 131 without being sprayed, this remaining bubble liquid is collected by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ng part 113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body 131. can be captured. Therefore, when 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recovery pump 180 as necessary during or after performing the performance us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laser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bubble liquid collected in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ng unit 113 is It can be recovered to the recovery port 162 of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through the bubble liquid recovery pipe 181.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버블을 연속적으로 생성 및 분사 가능한 버블 분사 노즐을 드론 몸체의 하부에 설치하고 버블 분사 노즐이 회전모터에 의해 드론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60도 수평 회전하거나 또는 드론 몸체의 하방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일정량의 버블액과 공기를 연달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인젝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하여 드론 몸체의 주변으로 다량의 버블을 자유롭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체(機體)의 이동에 의한 바람 또는 하강 기류 등에 의해서도 버블이 파괴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하여 하강 기류에 의해 부양력 및/또는 추력을 얻는 추진체가 탑재된 드론에 의해서도 효과적인 버블 공연을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 다량 버블이 필요한 특수 형태의 드론 공연에서의 특수물질 등에 의한 공연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bble injection nozzle capable of continuously generating and spray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and the bubble injection nozzle rotates horizontally 360 degre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drone body by a rotation motor or 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otate downward (using an injector and blower that continuously supplies a certain amount of bubble liquid and air) to freely spray a large amount of bubbles around the drone body, thereby improving the movement of the aircraft. This allows bubbles to be sprayed effectively without being destroyed by wind or downward air currents, allowing effective bubble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even by drones equipped with propellants that gain lift and/or thrust by downward air currents,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an effective bubble performance, a special performance that requires a large amount of bubbl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erformance effect of special substances in a type of drone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버블액에 방재용 약제나 식물 성장 보충제나 물 등의 부가물을 추가하여 약제나 보충제나 수분 등을 분사함으로써 방재용도나 식물재배 등에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disaster prevention purposes or plant cultivation by adding additive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drugs, plant growth supplements, or water to the bubble liquid and spraying the drugs, supplements, or moistu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독 또는 별개의 공급관 및 유압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nor is it limited to using only a single or separate supply pipe and hydraulic pressure.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드론 몸체 100 : 버블 생성부
110 : 하우징 몸체 111 : 전방 캡
112 : 후방 캡 112a : 환기구
113 : 잔여액 포집부 114 : 거치대 안내레일
115 : 액추에이터 거치대 120 : 버블 분무 노즐
121 : 노즐 분사구 122 : 터치블록
123 : 버블 생성링 130 : 인젝터
131 : 실린더 몸체 131a : 센터홀
131b : 선단부 토출구 132 : 실린더 로드
132a : 탄성 스프링 133 : 선회유로
134 : 개폐블록 135 : 노즐 터치부
140 : 엑추에이터 141 : 엑추에이터 로드
150 : 송풍기 160 : 버블액 저장부
161 : 유량조절밸브 162 : 회수구
170 : 공급용 펌프 171 : 버블액 공급용 배관
180 : 회수용 펌프 181 : 버블액 회수용 배관
200 : 레이저 발생부 300 : 회전모터
400 : 제어부
10: Drone body 100: Bubble generating unit
110: housing body 111: front cap
112: rear cap 112a: ventilation hole
113: Residual liquid collection unit 114: Holder guide rail
115: Actuator holder 120: Bubble spray nozzle
121: nozzle injection hole 122: touch block
123: bubble generating ring 130: injector
131: cylinder body 131a: center hole
131b: tip discharge port 132: cylinder rod
132a: Elastic spring 133: Swivel passage
134: Opening/closing block 135: Nozzle touch part
140: actuator 141: actuator rod
150: blower 160: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1: flow control valve 162: recovery port
170: supply pump 171: pipe for supplying bubble liquid
180: recovery pump 181: piping for bubble liquid recovery
200: Laser generator 300: Rotation motor
400: control unit

Claims (10)

삭제delete 드론 몸체(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10)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량의 버블을 연속 분사하는 버블 생성부(100);
상기 버블 생성부(10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드론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다양한 컬러의 레이저를 방출하는 레이저 발생부(200);
상기 버블 생성부(100)의 상부 또는 일측부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버블 생성부(100) 및 레이저 발생부(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300); 및
상기 버블 생성부(100)와 레이저 발생부(200) 및 회전모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나리오 또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블 생성부(100)와 레이저 발생부(200) 및 회전모터(3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블 생성부(100)는,
버블 생성부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는 하우징 몸체(110);
하우징 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다량의 버블을 분무하는 버블 분무 노즐(120);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버블 분무 노즐(120) 후방측에 설치되어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을 버블 분무 노즐(120)에 공급하는 인젝터(130);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인젝터(130)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인젝터(130)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140);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엑추에이터(140)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버블 생성을 위한 공기를 상기 버블 분무 노즐(120) 측으로 공급하는 송풍기(150);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며,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이 저장되고 버블액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161)가 하부에 설치되는 버블액 저장부(160); 및
상기 인젝터(130)의 후단부와 버블액 저장부(160)의 유량조절밸브(161) 사이에 버블액 공급용 배관(171)을 통해 연결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버블 생성을 위한 버블액을 펌핑하여 상기 인젝터(130)에 공급하는 공급용 펌프(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A bubble generator 10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10 and continuously sprays a large amount of bubbles while rotating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10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A laser generator 20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emits lasers of various colors while rotating at the bottom of the drone body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0;
A rotation motor installed on the upper or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drive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bubble generator 100 and the laser generator 200 ( 300); and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nd the rotation motor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or 100, the laser generator 200, and the bubble generator 100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or remote control sig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400 that overal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300,
The bubble generator 100,
A housing body 110 that entirely surrounds the bubble generating unit;
A bubble spray nozzle 12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body 110 to spray a large amount of bubbles;
An injector 13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nside the housing body 110 to supply bubble liquid for generating bubbles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n actuator 14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injector 130 inside the housing body 110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provide power for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130;
A blower 15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actuator 140 inside the housing body 110 an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supply air for creating bubbles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is firmly fixed and installed on one inner side of the housing body 110, stores bubble liquid for creating bubbles, and has a flow control valve 161 installed at the bottom to control the outflow amount of the bubble liquid. ); and
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njector 130 and the flow control valve 161 of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through a pipe 171 for supplying bubble liquid, and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generate bubbles.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comprising a supply pump 170 that pumps the bubble liquid for generation and supplies it to the injector 1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무 노즐(120)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전면부에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위 노즐이 조합된 노즐 어레이로 구성되고,
상기 인젝터(130)는,
상기 노즐 어레이의 각 단위 노즐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어 버블액을 각 단위 노즐에 각각 공급하는 복수 개의 단위 인젝터가 조합된 인젝터 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bble spray nozzle 120,
It consists of a nozzle array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unit nozzles that are equally spaced radially o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body 110,
The injector 130,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inject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injectors are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each unit nozzle of the nozzle array and supply bubble liquid to each unit nozz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인젝터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부에 버블 분무 노즐(120)이 설치되며 후면부는 개방되는 전방 캡(111); 및
엑추에이터 설치를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후면부에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환기구(112a)가 형성되며 전면부는 개방되어 상기 전방 캡(111)의 후면부와 결합되는 후방 캡(1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using body 110,
A front cap (111) with an internal space for injector installation, a bubble spray nozzle (120) installed at the front, and an open rear portion (111); and
An internal space is provid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ctuator, a ventilation hole 112a is formed at the rear part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side, and the front part is open and a rear cap 112 is coupled to the rear part of the front cap 111.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버블 분무 노즐(120)에서 분무되지 못하고 하부로 흘러내리는 잔여 버블액을 포집하기 위한 잔여액 포집부(113)가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잔여액 포집부(113)와 버블액 저장부(160) 사이에 버블액 회수용 배관(181)을 통해 연결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잔여액 포집부(113)에 포집된 버블액을 펌핑하여 버블액 저장부(160)로 회수시키는 회수용 펌프(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using body 110,
A residual liquid collecting part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to collect the remaining bubble liquid that fails to be sprayed from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nd flows down,
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on unit 113 and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through a bubble liquid recovery pipe 181, and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collect the remaining liquid collecting unit 113.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further comprising a recovery pump 180 that pumps the collected bubble liquid and returns it to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몸체의 양측 내벽에 상기 인젝터(130)의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거치대 안내레일(114)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평행하면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젝터(130)는,
상기 거치대 안내레일(114)을 타고 이동 가능한 인젝터 거치대(136)에 의해 거치 및 지지되어 하우징 몸체(110)의 내측에서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using body 110,
Holder guide rails 114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130 are installed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installed in pairs parallel to and facing each other,
The injector 130,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and supported by an injector holder 136 that can move on the holder guide rail 114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housing body 1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140)는,
상기 인젝터(130)를 거치 및 지지하는 인젝터 거치대(136)의 후방측에 엑츙이터 로드(141)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인젝터(130)의 전후방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인젝터 거치대(136)에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ctuator 140,
The actuator rod 14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injector holder 136, which mounts and supports the injector 130, and directly transmits power for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of the injector 130 to the injector holder 136.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분무 노즐(120)은,
노즐 분사구(121)의 중심부에 터치블록(122)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블록(122)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버블 생성링(123)이 균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bble spray nozzle 120,
A touch block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nozzle injection hole 121, and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ing rings 123 are spaced radially around the touch block 122 at equal intervals. A drone that can create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130)는,
인젝터 거치대에 의해 선단측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의 중심부에 센터홀(131a)이 형성되어 실린더 로드(132)가 탄성적으로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 몸체의 선단부 내측에는 실린더 로드(132)의 선단부 노출 및 버블액 토출을 위한 선단부 토출구(131b)가 상기 센터홀(131a)에서 연설되어 형성되는 실린더 몸체(131);
상기 실린더 몸체(131)의 내부 일측에 센터홀(131a)과는 분리되어 형성되되 선단부가 센터홀(131a)의 선단부와 합류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 토출구(131b) 측으로 버블액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선회유로(133);
상기 센터홀(131a)에 긴밀하게 삽입 가능한 원통블록으로서 상기 실린더 로드(132) 상에 설치되어 실린더 로드와 함께 센터홀 내부를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선회유로(133)의 선단부가 합류하는 센터홀(131a)의 선단부 토출구(131b)를 폐쇄 또는 개방하여 상기 선회유로(133)와 선단부 토출구(131b) 간의 버블액 공급 유로를 단속하는 개폐블록(134); 및
버블액을 흡수하여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첨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블록(134)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선단부 토출구(131b)를 통해 버블액을 공급받고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전후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한 버블 분무 노즐(120)과의 접촉을 통해 함유하고 있는 버블액을 버블 분무 노즐(120)에 전달하는 노즐 터치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jector 130,
A center hole (131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body, where the distal end is fixed immovably by the injector holder, and the cylinder rod 132 is inserted so that it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elastically, and the cylinder rod is inside the distal end of the cylindrical body. A cylinder body (131) formed by exposing the tip of (132) and having a tip discharge port (131b) for discharging bubble liquid extending from the center hole (131a);
It is formed on one inner side of the cylinder body 131 separately from the center hole 131a, but the tip is formed to join the tip of the center hole 131a, thereby forming a flow path for supplying bubble liquid to the tip discharge port 131b. forming a turning flow path (133);
A cylindrical block that can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131a is installed on the cylinder rod 132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center hole together with the cylinder rod, and the swing passage 133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 An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that closes or opens the distal end discharge port (131b) of the center hole (131a) where the distal ends of the converging ends of the center hole (131a) meet to control the bubble liquid supply path between the swirling passage (133) and the distal end discharge port (131b); and
It is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d containing bubble liquid and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cylinder rod 132 to receive bubble liquid through the tip discharge port 131b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block 134 and to the cylinder. A nozzle touch unit 135 that transfers the contained bubble liquid to the bubble spray nozzle 120 through contact with the bubble spray nozzle 120 by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of the rod 132.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액 저장부(160)는,
버블액과 함께 방재용 약제나 식물 성장 보충제나 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물이 추가로 저장되어 방재용도나 식물재배용도 중의 어느 하나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버블 생성가능한 드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bble liquid storage unit 160 is,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djunct selected from disaster prevention drugs, plant growth supplements, or water is additionally stored along with the bubble liquid so that it can be used for either disaster prevention or plant cultivation purposes.
KR1020210145049A 2021-10-27 2021-10-27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KR102604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49A KR102604899B1 (en) 2021-10-27 2021-10-27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49A KR102604899B1 (en) 2021-10-27 2021-10-27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82A KR20230060382A (en) 2023-05-04
KR102604899B1 true KR102604899B1 (en) 2023-11-22

Family

ID=8637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49A KR102604899B1 (en) 2021-10-27 2021-10-27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89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9606A1 (en) 2008-05-28 2009-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igh pressure pump, particularly for a diesel engine fuel injection system
KR102133688B1 (en) * 2020-02-14 2020-07-14 하상균 Drone for increasing uplift force and creating a pillar of light
KR102136963B1 (en) 2020-02-04 2020-07-24 하상균 Drone injection system for agriculture, fire suppression or performance
KR102212182B1 (en) 2020-04-29 2021-02-04 인영건설 주식회사 Levitation foam spraying device for dismantling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of spraying foam liquid using the same
KR102249469B1 (en) 2020-04-29 2021-05-10 인영건설 주식회사 Drone-type foam spraying device for dismantling concrete structures and foam liquid 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7539A (en) * 1994-12-01 1997-07-15 Calmar Inc. Foamer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ITBO20020498A1 (en) * 2002-07-30 2004-01-30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 WITH VARIABLE FLOW PUMP
US9504930B2 (en) 2014-08-26 2016-11-29 Universal City Studios Llc Special effects techniques
KR101753364B1 (en) 2014-12-24 2017-07-05 (주)이산솔루션 Performance system for flying robots
KR101865462B1 (en) * 2016-05-09 2018-06-07 김성진 Dron for spraying agricultural pesticide
KR102134077B1 (en) * 2018-11-29 2020-07-14 하상균 Drone performance system using diffuse reflection of light caused by mist and bubb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9606A1 (en) 2008-05-28 2009-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igh pressure pump, particularly for a diesel engine fuel injection system
KR102136963B1 (en) 2020-02-04 2020-07-24 하상균 Drone injection system for agriculture, fire suppression or performance
KR102133688B1 (en) * 2020-02-14 2020-07-14 하상균 Drone for increasing uplift force and creating a pillar of light
KR102212182B1 (en) 2020-04-29 2021-02-04 인영건설 주식회사 Levitation foam spraying device for dismantling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of spraying foam liquid using the same
KR102249469B1 (en) 2020-04-29 2021-05-10 인영건설 주식회사 Drone-type foam spraying device for dismantling concrete structures and foam liquid spray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82A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3935B1 (en)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s from an aircraft and related device
KR101694132B1 (en) Vechicle moved by replusive force of fluid
KR102155527B1 (en) Agricultural drone
US6431465B1 (en) On-off valv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ork
WO2006023033A3 (en) Fire fighting nozzle for projecting fog cloud
KR102133688B1 (en) Drone for increasing uplift force and creating a pillar of light
JP2019193766A (en) Fire-extinguishing system using drone
KR20190078042A (en) Agricultural chemicals tablet discharging apparatus for drone
KR102136963B1 (en) Drone injection system for agriculture, fire suppression or performance
CN109305364B (en) Aiming method of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97913B1 (en) Control System of Disinfection Apparatus Mounted On The Drone
KR102604899B1 (en) A drone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US11008100B1 (en) Helicopter-mounted fire suppression delivery system
CN111467710A (en)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11420742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riven by pressurized content
DE102021004294B4 (en) firefighting drone
KR102106338B1 (en) Drones for making and spraying artificial snow
CN113423510A (en) Machine for outputting at least one fluid jet and corresponding method
RU2248916C1 (en) Fire-fighting helicopter
KR102134077B1 (en) Drone performance system using diffuse reflection of light caused by mist and bubbles
US20220348328A1 (en) Emergency response drone
CN115743547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ire-fight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thereof
KR100516474B1 (en) Mist injection apparatus, and fire engine therewith
KR20230059585A (en) A drone for performance
DE102021004295B4 (en) firefighting dr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