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953B1 -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953B1
KR102595953B1 KR1020210047352A KR20210047352A KR102595953B1 KR 102595953 B1 KR102595953 B1 KR 102595953B1 KR 1020210047352 A KR1020210047352 A KR 1020210047352A KR 20210047352 A KR20210047352 A KR 20210047352A KR 102595953 B1 KR102595953 B1 KR 10259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phenylene ether
solvent
resin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153A (ko
Inventor
이은용
이지애
홍성호
정용수
황재석
이귀항
백미정
정원호
강성연
최경태
조상필
Original Assignee
강남화성 (주)
주식회사 신아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화성 (주), 주식회사 신아티앤씨 filed Critical 강남화성 (주)
Priority to KR102021004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9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485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2Esters of phenols or saturated alcohols
    • C08F222/2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6Polyphenylene oxid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과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을 비방향족성 유기용매인 제1용매에서 반응시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기타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생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매는 20℃에서 유전 상수(ε)가 5 내지 25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poly phenylene ether resin mixture}
본 발명은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고집적화, 고미세화, 플렉서블화 및 고기능화 추세에 따라, GHz 영역에서의 유전손실이 적어 전송 특성이 우수하고,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져 부품의 설계, 가공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EMC, Epoxy Molding Compound)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저유전율을 갖는 유기 물질로는 에폭시 수지, 테플론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등이 있으며, 그 중 테플론 소재가 가장 우수한 유전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테플론의 경우, 차세대 집적회로 기판(Integrated Circuit substrate), 인쇄배선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패키징(Packaging), 유기박막 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Flexible display substrate) 등에서 요구되는 접착특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시아네이트 수지의 경우 230℃의 온도에서 경화시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고 수분과 같은 알코올성 하이드록시에 쉽게 겔화되어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 에테르(PPE)는 가수분해성 결합이나 극성기를 가지지 않는 폴리머로써 다른 resin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저유전율 및 저유전손실률을 갖으며 PPE와 다른 수지를 조합하면 화학적 내성, 높은 강도 및 높은 유동성과 같은 추가적인 전체적 특성을 갖게 되는 블렌드를 제공하지만 PPE를 다른 수지와 블렌딩하는데 있어서의 수지들간의 상용성이 부족하다는 장애가 있어 종종 층간박리 및/또는 예를 들어 낮은 연성(ductility)과 같은 불량한 물리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높은 접착 특성을 가지고 어느 정도의 저유전율, 저유전손실률의 특성을 가지면서 사용상 용이한 에폭시 수지가 CCL 또는 EMC 소재의 재료로 사용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으나 에폭시 수지는 경화 후에 수산기 등의 극성 기를 생성하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를 이용해 절연층을 제조시 유전특성이 충분히 우수한 절연층의 실현이 어렵다. PPE 분야에 공지된 수지들간의 상용성을 개선하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은 수지의 상용화제로서 작용하는 중합체 사이의 반응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이다. 반응 생성물은 종종 수지의 공중합체라고 생각된다. 상기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한 가지 난제는 반응 생성물을 형성시키는 수지의 반응성 부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폴리아미드와 같은 일부 중합체는 본래 광범위한 가능한 반응성 잔기를 함유하는 다른 수지와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아민 및 카복실산 말단기를 둘 다 가지고 있다. PPE와 같은 중합체는 주로 페놀계 말단기를 함유하며,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한 공정에서 상기 반응 생성물을 생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반응성이 높지는 않아 PPE에 작용성을 도입하는 방법 및 공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CCL 또는 EMC용으로서 요구되는 내열성, 경화 반응성, 접착성 및 열팽창 계수를 원하는 만큼 얻으면서도 매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도입된 라디칼 경화형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5771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습율이 낮으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환경규제물질인 BTX(벤젠, 톨루엔, 자일렌)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미량으로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화 이후 흡습율이 낮아 저유전특성이 우수하며 박리강도가 우수하고, 유리전이온도 및 질량감소온도와 같은 내열특성이 우수한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과 (메타)아크릴릭 산무수물을 제1용매 내에서 반응시켜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와 상기 반응의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생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매는 20℃에서 유전 상수(ε)가 5 내지 25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인 것이 좋고, 상기 제1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탄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벤질페닐케톤, 벤질메틸케톤, 메틸페네틸케톤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산물은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혼합물을 물과 알코올을 포함하는 극성 및 양성자성 제2용매로 세척하여 상기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고체화하고, 상기 고체화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부산물제거단계 후 상기 수지 혼합물에서 상기 휘발성 화합물의 총함량은 500ppm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인 것이 좋다.
(화학식 1)
여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이고,
Y는 황(S) 또는 산소(O)이며,
X는 직접연결, -CH2- , -(C)(CH3)2-, -CO-, -S-, -SO2-, -C(CF3)2-, -(C)(CH2CH3)2- 또는 -(CH)(CH2CH3)-이고,
l은 1내지 100의 정수, m은 0 또는 1이며, m=0 인 경우 n=0 이고, m=1인경우, n은 1내지 100의 정수.
또, 상기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은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것도 좋다.
(화학식 2)
여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이고,
Y는 황(S) 또는 산소(O)이며,
X는 직접연결, -CH2-, -(C)(CH3)2-, -CO-, -S-, -SO2-, -C(CF3)2-, -(C)(CH2CH3)2- 또는 -(CH)(CH2CH3)-이고,
l은 1내지 100의 정수, m은 0 또는 1이며, m=0 인 경우 n=0 이고, m=1인경우, n은 1내지 100의 정수.
또, 상기 (메타)아크릴릭 산무수물은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도 좋다.
(화학식 3)
여기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또, 상기 혼합물생성단계의 제1용매내에 반응 촉매를 더 포함시켜 반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 촉매는 3급 알킬아민,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및 유기 아민의 프로톤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반응 촉매는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9 로 나타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여기에서,
R10 내지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6의 알킬이고,
R20은 C1내지 C6의 알킬, 벤젠 또는 나프탈렌이며,
R21 내지 R2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내지 C6의 환구조내의 알킬.
상기 반응 촉매는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4-(Dimethylamino)pyridine),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5-논-5-엔 (1,5-Diazabicyclo[4.3.0]non-5-ene), 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카-7-엔 (Diazabicyclo[5.4.0]undec-7-ene), 2-t-뷰틸-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2-tert-Butyl-1,1,3,3-tetramethylguanidine), 9-아자줄로리딘(9-Azajulolidine), 1ㅡ8-비스(테트라메틸구아니디노)나프탈렌 (1,8-Bis(tetramethylguanidino)naphthalene), 6-(다이뷰틸아미노)-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카-7-엔 (6-(Dibutylamino)-1,8-diazabicyclo[5.4.0]undec-7-ene), 4-피페리디노피리딘 (4-Piperidinopyridine) 및 4-피롤리디노피리딘(4-Pyrrolidinopyrid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반응 촉매는 상기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극성, 양성자성 제2용매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제1용매로 20℃ 온도에서의 유전상수가 5 내지 25 정도인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해 수지의 아크릴화 반응을 수행하여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유기용매 대비 반응 효율이 높고, 반응 후 워크업(work-up)및 분리시 알코올 사용량이 적고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반응모노머 및 (메타)아크릴산이 잘 제거될 수 있고 촉매 사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 생성물의 세척, 건조 시 물과 알코올이 혼합된 제2용매을 사용하여 세척 및 건조의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 해당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은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도입된 수지혼합물에 BTX계 물질이 500ppm 미만의 낮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전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BTX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어 엄격한 환경규제 조건내에서 안전하게 제조, 사용될 수 있다.
위 수지 조성물은 경화 후 흡습율이 낮아 저유전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 수지 조성물의 저유전특성을 활용하여 5세대 통신과 같은 수백MHz~ 수GHz의 고주파 회로 및 패키지에 사용하기 적합한 물성을 갖는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사슬구조에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가 결합된 아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이며,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는 고상(solid)의 결정성 수지로 얻어질 수 있다.
아래 화학식 1과 같이,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고분자 사슬구조의 말단에 대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사슬구조의 양측의 말단에 각각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이고,
Y는 황(S) 또는 산소(O)이며,
X는 직접연결, -CH2-, -(C)(CH3)2-, -CO-, -S-, -SO2-, -C(CF3)2-, -(C)(CH2CH3)2- 또는-(CH)(CH2CH3)- 이고,
l은 1내지 100의 정수, m은 0 또는 1이며, m=0 인 경우 n=0 이고, m=1인경우, n은 1내지 100의 정수이다.
이때, Y는 산소(O)인 것이 바람직하며, X는 sp3혼성의 탄소를 포함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X는 -CH2-, -(C)(CH3)2-, -C(CF3)2-, -(C)(CH2CH3)2- 또는-(CH)(CH2CH3)- 와 같이 방향족성 고리의 사이를 sp3혼성의 탄소 또는 황으로 연결되는 구조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CH2-, -(C)(CH3)2- 또는 -(CH)(CH2CH3)- 와 같이 탄소수가 3개 이하인 탄화수소가 선택되는 것이 좋다.
X의 구조에서 방향족 고리를 연결하는 위치에 sp2혼성의 탄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명구조로 인하여 전자의 이동이 용이해 저유전특성이 나빠질 수 있고, X를 중심으로 중합체 사슬의 회전이나 변형이 어려워져 가교결합의 형성이 덜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X의 구조에 황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극성이 일부 증가하지만 수지의 내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은 생성물인 수지 외에 소량의 화합물 또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화합물로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 제1용매가 수지 혼합물에 일부 포함될 수 있고, 수지 합성 반응 이후 생성물의 결정화, 세척 또는 분리(Isolation)시에 사용되는 제2용매 또는 알코올계 화합물이 수지 혼합물에 일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용매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합성시 사용되는 용매이며,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합성시 반응물을 잘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비양성자성(Aprotic)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용매는 극성이 낮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0℃에서 측정된 유전상수가 25 이하,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5 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전상수가 25보다 큰 경우, 용매의 극성이 높아져 반응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에 대한 용해도가 나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부반응이 생성되어 수율이 감소하며, 고분자화 되어 경화물성이 감소한다. 유전상수가 5 미만인 경우 용매의 극성이 너무 낮아져 촉매와 같은 물질의 용해도가 나빠질 수 있으며, 반응성이 현저히 떨어져 반응시간 및 반응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용매로는 에스터계 용매, 케톤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용매가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탄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벤질페닐케톤, 벤질메틸케톤, 메틸페네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기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성이면서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탄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용매는, 폴리 페닐렌 에터 고분자에 대한 용해도가 높고 끓는점이 낮아 제거가 용이하면서도 방향족성 고리를 포함하여 잔류하더라도 유전율이나 유전손실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는 톨루엔이나 벤젠 등의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였을 때, 낮지 않은 폴리 페닐렌 에터 용해도를 제공하며 아크릴화 반응의 효율이 높으며, 알코올의 사용량이 저감되어 수지의 저유전특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방향족성 유기화합물인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을 통칭하는 BTX(Benzene, Toluene, Xylene)계 화합물의 함량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는 벤젠계, 톨루엔계 또는 자일렌계 화합물(BTX계 화합물)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량이 500 ppm 미만이고, BTX계 화합물의 함량 총합이 5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은 BTX계 화합물의 함량이 낮아 환경오염이나 인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적은 장점이 있으며, BTX계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반응 효율이 우수하고 제품의 제조시 제품의 열적 안정성이 높고 흡습율이 낮은 장점이 있다.
한편, 수지 혼합물에 포함되는 미반응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의 함량이 많으면, 열적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수지 혼합물에서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의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전상수가 특정 범위에 해당하는 제1용매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유전상수는 화합물의 극성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1용매 유전상수는 해당 용매에 전하를 띠는 입자가 들어온 상황을 기준으로 내려지는데, 예를 들어, (+) 전하를 띤 입자가 용매에 들어오게 된다면, 용매의 δ- 부분이(+) 입자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쇄가 일어난다. 이 때, 상쇄가 잘 일어나서(+) 전하를 띤 입자의 전기장 세기가 많이 줄어든다면 그 용매는 유전 상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전하의 세기를 줄여주는 정도가 크면 유전 상수가 크고, 반대로 전하를 잘 상쇄시키지 못하면 유전 상수가 작은 용매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는 유전상수 값 5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값은 쌍극자 모멘트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이는 분자 내에서 δ+ 와 δ-가 확실하게 나눠지는 용매가 전하 세기도 잘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쌍극자 모멘트와 유전상수는 그 경향성 및 크기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으며, 예외상황이 없는 한, 대부분 그러한 경향성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전 상수 ε값이 3 보다 낮은 분산매질을 비극성용매, 유전상수 ε값이 3 내지 6인 분산 매질을 중극성 용매, 유전상수 ε값이 6보다 큰 분산 매질을 극성 용매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와 수지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합성에 대해 설명한다.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미량의 제1용매를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는, 최근 환경 규제로 사용이 어려워진 벤젠계, 톨루엔계, 자일렌계의 BTX계 화합물 등 방향족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도입된 라디칼 경화형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되는 제1용매에 대하여, 물질의 극성을 의미하는 유전상수를 측정하였을 때, 20℃에서의 유전상수가 5 내지 25 이며, 반응시에 반응물로 사용될 수 있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물과 반응하지 않는 비방향족성이고, 비양성자성(Aprotic)인 용매를 이용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도입된 라디칼 경화형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물준비단계, 혼합물생성단계, 부산물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반응물준비단계는 반응물로서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수지,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물((Meth)Acrylic acid anhydride) 및 반응 촉매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이고,
Y는 황(S) 또는 산소(O)이며,
X는 직접연결, -CH2-, -(C)(CH3)2-, -CO-, -S-, -SO2-, -C(CF3)2-, -(C)(CH2CH3)2- 또는 -(CH)(CH2CH3)- 이고,
l은 1내지 100의 정수, m은 0 또는 1이며, m=0 인 경우 n=0 이고, m=1인경우, n은 1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2의 반응성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은 후술할 반응에서 반응물로 작용하며, 양 말단에 페놀 유도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반응성의 -OH 말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이다.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은 관능기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제공하는 화합물로서, 반응물로 반응에 참여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을 제공하고 (메타)아크릴산으로 전환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 후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관능기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틸기는 수소보다 자유부피(Free volume)이 높아서 낮은 유전특성을 보여주며, 생성되는 수지 혼합물의 활용시 열적안정성이 향상된다.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 촉매로는 3급 알킬아민(Tertiary alkylamine),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및 유기 아민의 프로톤 반응(Proton Reaction)에 의해 형성된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촉매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9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들어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4-(Dimethylamino)pyridine),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5-논-5-엔 (1,5-Diazabicyclo[4.3.0]non-5-ene), 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카-7-엔 (Diazabicyclo[5.4.0]undec-7-ene), 2-t-뷰틸-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2-tert-Butyl-1,1,3,3-tetramethylguanidine), 9-아자줄로리딘(9-Azajulolidine), 1ㅡ8-비스(테트라메틸구아니디노)나프탈렌 (1,8-Bis(tetramethylguanidino)naphthalene), 6-(다이뷰틸아미노)-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카-7-엔 (6-(Dibutylamino)-1,8-diazabicyclo[5.4.0]undec-7-ene), 4-피페리디노피리딘 (4-Piperidinopyridine) 및 4-피롤리디노피리딘(4-Pyrrolidinopyrid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여기에서,
R10 내지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6의 알킬이고, R20은 C1내지 C6의 알킬, 벤젠 또는 나프탈렌이며, R21 내지 R2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내지 C6의 환구조내의 알킬이다.
반응 촉매는 반응물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 촉매가 상기 범위 이하로 사용하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 이상으로 사용되면 최종 생성물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내에 잔존하는 촉매량이 늘어 수지의 유전율을 높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혼합물생성단계는 비양성자성, 비방향족성 유기용매인 제1용매 조건하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을 아크릴화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합성하는 단계이다.
본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양성자성 제1용매는 20℃에서 유전상수인 ε가 5 내지 25인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유전상수가 해당 범위인 비양성자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반응 부산물로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의 제거가 용이하고, 환경오염이나 인체독성 등의 문제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으며, 반응으로 수득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메타)아크릴산의 함량이 낮아짐으로 인해 수지의 대기중 수분 흡수율(또는 흡습율이라 함.)이 낮아지며, 수지의 유전율이 낮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20℃에서 유전상수인 ε이 5 내지 25인 비양성자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합성 반응의 효율이 증가하고, 수지에 포함되는 BTX계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되며, 반응 진행 이후 work-up 및 분리(Isolation)시 공정의 진행시간이 감소하며, 세척 시 알코올 사용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 또는 부산물인 (메타)아크릴산의 제거가 용이하고, 촉매의 사용량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당 단계에서 진행되는 아크릴화 반응은 말단에 페닐기에 결합된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 1당량과 (메타)아크릴산 무수물 1당량 이 반응하며, 페닐기에 결합된 하이드록시기와 첨가되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이 촉매 조건 하에서 축합반응하여 에스테르 결합이 형성되고, (메타)아크릴산 무수물 분자를 이루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이드록시기와 결합을 형성하지 못하고 이탈기로 떨어져나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산 1당량이 부산물로 얻어지는 반응이다.
반응 결과, 반응물로 투입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의 말단 하이드록시기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에스터화 되어, 단일 (메타)아크릴화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이중 (메타)아크릴화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가 얻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1 또는 2개의 말단 하이드록시기가 모두 반응에 참여해 에스터화된 수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하이드록시기가 모두 반응에 참여한 (메타)아크릴화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비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반응으로 수득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은 다른 수지와 배합하여 경화 후 측정이 가능하며, 수지 혼합물의 경화물은 유전율과 유전손실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지 혼합물의 경화물은 구체적으로는 유전율이 2.0 내지 4.0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5인 것이 좋다. 또, 수지 혼합물의 경화물은 유전손실이 0.002 내지 0.009,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05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일 예시로 하기 화학식 10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개시한다.
(화학식 10)
여기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10에 의하면 제1용매에서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과 반응하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물로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이 사용되어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이 구비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얻어질 수 있다.
부산물제거단계는 전술한 혼합물생성단계에서 얻어진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인 제2용매로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이다.
제2용매를 이용하여 반응 생성물을 세척하는 공정에서는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염, 반응을 위해 첨가된 반응 촉매가 세척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일측 말단만이 (메타)아크릴화 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분자는 생성물과의 물성이 유사하고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2용매를 이용하여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최대한의 반응을 진행시켜 생성물의 수율을 높이고 미반응물이나 중간생성물인 일 치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수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응 당량보다 많은 양의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을 투입하여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을 완전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에는 일부 (메타)아크릴산이 잔류하여 포함될 수 있으며, 세척후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분자량이 큰 고분자 사슬의 내부에 갇히거나 잔류할 수 있다. 이 때, 수지 혼합물의 (메타)아크릴산 함량은 수지의 산값(산가, Acid value 또는 acid number)을 구하여 아래 수식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수지의 산값이란 고분자 1g으로부터 얻어지는 산성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시료를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KOH의 mg수를 의미한다. 시료의 단위 중량당 중화에 필요한 KOH의 중량(mg)인 산값을 측정하고, 이를 KOH의 분자량인 56.1g/mol과 (메타)아크릴산의 분자량값을 이용해 환산하여 전체 시료의 단위중량당 포함된 아크릴산의 중량분율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메타)아크릴산 함량은 0.7wt% 미만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0.6wt% 이하인 것이 좋다.
(메타)아크릴산의 함량이 0.7wt% 이상인 경우,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의 흡습율이 증가하고, 경화 후 유전특성이 나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추가적으로, (메타)아크릴산은 극성 분자이므로 최종적으로 얻어진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에서는 수소결합에 의한 (메타)아크릴산 이합체(Dimer)구조를 이루며 극성이 낮은 고분자 사슬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에 포함되는 산소와 (메타)아크릴산이 수소결합을 이루며 수지 혼합물 내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용매는 부산물제거단계에서 수지 혼합물의 결정화 및 세척에 사용되는 용매이며, 물과 알코올을 포함하는 극성 양성자성(Protic) 용매인 것이 좋다. 알코올은 탄소에 결합된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어떠한 화합물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노말프로판올 및 아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경제성 및 취급성 면에서 유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알코올과 물의 혼합액을 제2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무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대비 전술한 반응 부산물 및 반응 촉매의 제거가 더욱 용이하며, 세척 후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수지의 품질이 더욱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제2용매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50 중량부가 혼합된 용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 내지 20 중량부가 혼합된 제2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2용매에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 비율에서 물의 비율이 해당 범위보다 작은 경우, 세척 효율이 떨어져 세척 후 최종 생성물에 반응 부산물인 (메타)아크릴산 또는 반응 촉매 함량이 증가할 수 있고, 물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건조 후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물에 의해 최종 생성물의 수분함량이 높아져 수지의 유전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해당 부산물제거단계는 생성물의 세척 이후 세척이 끝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건조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대류 오븐으로 건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감압하여 휘발성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류 오븐을 사용하여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방법이 개시되는데, 건조 온도가 해당 범위보다 낮은 경우 제2용매에 포함된 물의 제거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생성물인 수지의 유전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건조 온도가 해당 범위보다 높은 경우 높은 온도에 의해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반응하여 부산물이 얻어지거나 최종 생성물의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응 이후 부산물제거단계에서 결정화, 세척 및 건조된 생성물은 결정성의 고체(solid)상의 수지이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생성물은 양 말단에 (메타)아크릴기가 에스터화 결합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로서, 세척 공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 부산물(BTX계 화합물을 포함)이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불순물, 반응 촉매가 수지 혼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부산물 또는 불순물은 고분자 수지 사슬의 입체적 구조 내부에 갇혀 잔존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세척 후 건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물 또는 알코올이 수지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말단에 (메타)아크릴기가 도입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외에도 해당 수지를 포함하여 저유전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과, 비닐(Vinyl)관능기를 포함하는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 개시제(Initiator) 및 제3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수지는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수지 혼합물에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5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의 함량이 해당 범위보다 적은 경우 저유전 및 내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해당 범위보다 많은 경우 수지 조성물 내 BTX계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고, 휨 특성이 떨어져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수지는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수지화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내열성이 높은 화합물로서, 아크릴기를 제외한 비닐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고, 예를들어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구조 또는 아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구조 유래 비닐 화합물인 것이 좋다.
비스말레이미드(Bismaleimide)구조 또는 아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구조 유래 비닐 화합물 사용시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열분해온도가 높아 내열성이 요구되는 부품 소재에 적용하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수지혼합물은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과 반응을 통해 가교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가교결합을 통해 우수한 경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Daiwa-kasei사의 BMI-5100, BMI-2300, BMI-3000, BMI-1000, BMI-4000 또는 BMI-700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상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12에서,
M은 C0~C6 알킬, C2~C6 알케인, C2~C6 알카인, 산소, 수소 및 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원자단이며,
Q는 수소 또는 C1~C10 알킬, C2~C10 알케인, C2~C10 알카인, C2~C10 하이드록시알킬 및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원자단을 각각 독립적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3)
개시제는 라디칼 반응과 같은 연쇄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열이나 빛에 의해 용이하게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개시제로서 퍼옥사이드(과산화물, Peroxide)계 개시제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로는 예를들어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라우릴 퍼옥사이드(Lauryl peroxide), t-부틸 큐밀 퍼옥사이드(tert-butyl cumyl peroxide),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벤젠(di(tert-butyl peroxy isopropyl) benzene),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2,5-dimethyl-2,5-di(tert-butyl peroxy)hexane) 및 다이-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는 수지 혼합물에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0.25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개시제의 함량이 해당 범위보다 적은 경우 연쇄 반응의 속도가 느려 경화속도가 느려지므로 생산성이 나빠질 수 있고, 경화도가 떨어져 내열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개시제의 함량이 해당 범위보다 높은 경우 경화열로 외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경화시 혼합물의 경화반응 속도가 빨라 경화밀도가 낮아져 내열성이 떨어지며, 흐름성이 떨어져 경화물 표면이 고르지못해 부분적 물성이 틀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3용매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비닐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잘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BTX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 용매인 것이 좋고, 일 예시로는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및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터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제3용매는 수지 혼합물에서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내지 8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제3용매의 함량이 해당 범위보다 적은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가공성이 떨어지고 유리섬유에 습윤시키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제3용매의 함량이 해당 범위보다 높은 경우 수지 조성물의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내열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BTX 함량, 흡습율, 유전물 및 유전손실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성은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후 측정이 가능하다.
수지 조성물의 물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수지 조성물을 유리섬유에 함침시킨 후, 함침시킨 유리섬유를 적층으로 겹쳐서 2.9MPa 압력 및 230℃ 온도에서 2시간 경화하여 얻을 수 있는 경화물을 측정하여 얻어질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BTX 함량은 550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인 값을 가지는 것이 엄격한 환경규제 조건을 만족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흡습율은 0.40 이하,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인 값을 가지는 것이 화학적 안정성과 저유전 특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유전율은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5 인 값을 가지고, 유전손실율은 0.002 내지 0.009,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05 인 값을 가지는 것이 수지 조성물을 활용한 고주파 회로 및 패키지 등의 재료에 적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낮은 BTX 및 수분 함량, 저유전 및 저유전손실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면서 내열특성 및 휨 특성이 우수하여 잘 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저유전특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BTX계 화합물의 함량이 매우 낮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저유전특성 및 내열성과 같은 물성이 거의 저하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5세대 이동통신에 활용될 수 있는 3.5GHz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28GHz 이상의 고주파 신호의 송수신에 적합한 고분자 수지 및 소재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자석식 교반기, 냉각관, 온도계, 히팅멘틀이 구비된 1L 3구 라운드 유리반응기에 하기 화학식 14의 구조를 갖는 phenolic hydroxy-end capped oligo (2,6-dimethyl phenylene oxide)를 포함하는 Polyphenylene ether(이하 PPE)(수평균분자량(Mn) 1,600, 제품명 SA-90 제조사 Sabic사) 100g(0.12g/eq) 및 Methacrylic anhydride(이하 MAA) 27.5g(0.24g/eq)를 제1용매인 메틸이소부틸케톤(이하 MIBK) 190g에 투입하고 50℃에서 용해한다. 용해 후 반응 촉매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아하, DMAP) 1.5g을 투입한후 100℃로 승온 8시간 교반 하면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화학식 14)
(여기에서, x 및 y는 각각 1 내지 100의 정수.)
이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MIBK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의 MIBK 용액에 Methanol 200g과 물 20g을 혼합한 제2용매를 반응물에 30min동안 교반하면서 적하하고, 적하 완료 후 60min 추가 교반하여 결정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성된 결정을 감압하여 필터하고 메탄올 200g과 물 20g을 혼합한 용매에 2회 추가 세척을 진행하였으며, 세척이 완료된 수지를 90℃ 대류 오븐에 12시간 건조하여 102g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1용매를 MIBK에서 메틸에틸케톤(이하 MEK)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97g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1용매를 MIBK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아세테이트(이하 PGMEA)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104g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1용매를 MIBK에서 에틸아세테이트(이하 EA)로, 반응 촉매를 1,5-diazabicyclo [4.3.0] nonene-5(DBN) 7.39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92g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 내지 8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24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6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1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15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5)
실시예 10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16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6)
실시예 11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17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7)
실시예 12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18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8)
실시예 13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19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9)
실시예 14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20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0)
실시예 15
실시예 9에서 PPE로 하기 화학식 21의 구조를 갖는 가지는 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수행하여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은 후, 실시예 5 내지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1)
비교예
비교예 1
자석식 교반기, 냉각관, 온도계, 히팅멘틀이 구비된 1L 3구 라운드 유리반응기에 실시예 1과 동일한 PPE 100g과 MAA 27.5g을 제1용매 Toluene 190g에 50~60℃에서 용해하였다.
용해 후 DMAP 1.46g을 넣고 100℃로 승온하고 8hr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Methanol 400g과 물 40g을 혼합한 제2용매에 반응물을 30~60min동안 교반하며 적하하고, 적하 완료 후 60min 추가 교반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감압하여 필터하고 Methanol 400g과 물 40g을 혼합한 제2용매에 2회 추가 세척을 진행한다. 세척이 완료된 수지를 80~90℃ 오븐에서 12hr 건조하여 72g의 결정성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제1용매를 톨루엔에서 자일렌으로 진행하였으며 세척을 Methanol 440g 단독으로 진행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80g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단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을 얻었다.
비교예 3 내지 4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24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6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1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18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12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1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29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1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1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30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1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24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6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2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정성 수지 혼합물 24g, BMI-5100 (3,3'-dimethyl-5,5'-diethyl-4,4'-diphenylmethane bismaleimide, Daiwa-kasei사) 6g, TAIC (1,3,5-Triallylisocyanurate, Sigma-Aldrich) 6g, DCP (Dicumyl peroxide, Sigma-Aldrich) 0.2g을 MEK 83g에 용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된 수지에 포함된 부산물인 메타아크릴산, BTX용매의 함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시예 5 내지 8, 10, 11, 14, 비교예 3 내지 9의 수지 조성물을 유리섬유(Hankook Carbon社 #2116 (100㎛))에 함침시키고, 함침시킨 유리섬유를 6장으로 겹쳐서 2.9MPa 압력에서 230℃ 온도로 2hr 경화시킨 후, BTX 함량, 열분해율, 유전율, 유전손실률, 유리전이온도, 질량감소온도 및 90° 접착력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냈다.
측정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수지 혼합물내
메타아크릴산 양(%)
0.1 0.5 0.2 0.4 0.7 1.2
수지 혼합물내BTX 용매 총합(ppm) 30 30 35 40 500 700
측정시료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4
수지 조성물내
BTX 총합(ppm)
300 450 490 320 350 350 330
흡습율 0.26 0.34 0.29 0.31 0.30 0.30 0.32
DK 3.18 3.35 3.23 3.24 3.20 3.21 3.25
Df 0.0043 0.0045 0.0043 0.0044 0.0047 0.0045 0.0048
Tg(℃) 254.01 236.95 240.6 245.81 244.5 248.0 250.5
Td -1wt% 429.99℃ 412.76℃ 420.54 ℃ 409.07℃ 410.1 412.2 433.8
-3wt% 454.85℃ 450.24℃ 451.43 ℃ 450.39℃ 449.8 450.3 458.6
-5wt% 460.57℃ 460.64℃ 460.66 ℃ 457.38 ℃ 458.1 457.8 462.6
Peel strength (kgf/cm) 0.51 0.53 0.54 0.55 0.52 0.52 0.55
측정시료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9
수지 조성물내
BTX 총합(ppm)
570 680 780 480 509 330 460
흡습율 0.42 0.62 0.34 0.27 0.31 0.38 0.49
DK 3.64 3.97 3.75 3.14 3.15 3.54 3.52
Df 0.0054 0.0067 0.0082 0.0041 0.0039 0.0052 0.0062
Tg(℃) 222.81 210.69 267.05 214.20 212.81 221.55 209.79
Td
(℃)
-1wt% 391.76 372.54 429.76 404.17 404.02 428.16 385.21
-3wt% 448.24 435.43 453.14 434.11 432.32 447.32 431.33
-5wt% 455.64 442.66 460.45 454.26 451.48 455.62 440.61
Peel strength (kgf/cm) 0.49 0.38 0.54 0.51 0.49 0.49 0.38
각 실험 항목의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 방법]
1. (메타)아크릴산 함량
수지의 산값을 구하여 수식 1과 같은 방법으로 (메타)아크릴산 함량을 계산하였다.
(수식 1)
2. BTX 용매의 함량
헤드스페이스가 달린 GC(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벤젠, 톨루엔, 자일렌의 함유량을 각각 구하고 총합을 표시하였다.
3. 흡습율
25℃ 물에 경화된 시편을 24시간 방치한 후 무게 증가율(wt%)로 측정하였다.
4. 유전율(Dk) 및 유전손실률(Df)
JIS-C-6481 방법에 의해 Agilent E4991A RF Impedance/Material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수치가 낮을수록 경화물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5. 유리전이온도(Tg)
유리전이 온도는 TA사 DSC Q200를 이용하여 경화물의 변곡점이 생성되는 온도를 내삽하여 구하였다. 이때, 승온 속도는 10℃/min. 질소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6. 질량감소 온도(Td)
Mettler Tolrdo사의 STAR System TGA를 이용하여 열변화에 대한 무게 감량이 1wt%, 3wt%, 5wt%가 되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승온 속도는 10℃/min. 질소분위기에서 측정하였다.
7. 박리 강도 (1/2 oz copper peel strength)
박리 강도는 JIS C-6417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박리강도가 클수록 구리와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2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의 (메타)아크릴산 무수물을 비방향족성 유기용매인 제1용매에서 아크릴화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의 폴리 페닐렌 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기타 부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생성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 내지 5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용매인 제2용매로 세척하여 상기 혼합물을 고체화하는 부산물 제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매는 20℃에서 유전 상수(ε)가 5 내지 25이고 비양성자성이며, 상기 혼합물내에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의 총함량이 100ppm 미만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1 내지 화학식3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CH3) 또는 수소(H) 이고,
    Y는 황(S) 또는 산소(O)이며,
    X는 직접연결, -CH2- , -(C)(CH3)2-, -CO-, -S-, -SO2-, -C(CF3)2-, -(C)(CH2CH3)2- 또는 -(CH)(CH2CH3)-이고,
    l은 1내지 100의 정수, m은 0 또는 1이며, m=0 인 경우 n=0 이고, m=1인 경우, n은 1내지 1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매는 비양성자성 용매인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탄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생성단계에서 상기 제1용매에 반응 촉매가 제공되고,
    상기 반응 촉매는 3급 알킬아민,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3급 혼합된 알킬-아릴 아민,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및 유기 아민의 프로톤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촉매는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9 로 나타나는 화합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여기에서,
    R10 내지 R19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6의 알킬이고,
    R20은 C1내지 C6의 알킬이며,
    R21 내지 R25는 서로 독립적으로 C1내지 C6의 알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촉매는 상기 폴리 페닐렌 에테르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210047352A 2021-04-12 2021-04-12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KR10259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352A KR102595953B1 (ko) 2021-04-12 2021-04-12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352A KR102595953B1 (ko) 2021-04-12 2021-04-12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53A KR20220141153A (ko) 2022-10-19
KR102595953B1 true KR102595953B1 (ko) 2023-11-01

Family

ID=8380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352A KR102595953B1 (ko) 2021-04-12 2021-04-12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953A (ja) 2007-10-19 2009-05-0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ビニルベンジル化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CN110437439A (zh) * 2019-08-27 2019-11-12 广东省石油与精细化工研究院 一种烯基封端聚苯醚的合成方法
WO2020254885A1 (en) 2019-06-18 2020-12-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for making sulfonated poly(phenylene ether)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2220143B1 (ko) 2019-12-18 2021-02-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접착시트 및 커버레이 필름, 및 상기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4481B2 (en) * 2001-06-28 2004-09-2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ifunctional phenylene ether oligomer, its derivatives, its us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341783B2 (en) 2001-09-20 2008-03-1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Functionalized polyphenylene ether
EP2020425B1 (en) * 2006-05-25 2013-07-3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Method for producing phenylene ether oligom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953A (ja) 2007-10-19 2009-05-07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ビニルベンジル化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WO2020254885A1 (en) 2019-06-18 2020-12-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for making sulfonated poly(phenylene ether)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10437439A (zh) * 2019-08-27 2019-11-12 广东省石油与精细化工研究院 一种烯基封端聚苯醚的合成方法
KR102220143B1 (ko) 2019-12-18 2021-02-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접착시트 및 커버레이 필름, 및 상기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53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34513A (zh) 马来酰亚胺树脂、硬化性树脂组合物及其硬化物
JP2019210451A (ja) ジシクロペンタジエンを有する官能化ポリ(2,6−ジメチルフェニレンオキシド)オリゴ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20190004131A (ko) 다관능성 라디칼 경화형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749328B (zh) 可逆交联反应组合物
KR102656211B1 (ko)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KR102652027B1 (ko)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WO2022004583A1 (ja) イソシアネート変性ポリイミド樹脂、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6907877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硬化性組成物
JP7254972B2 (ja) 末端が不飽和基でキャッピングされたリン含有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該末端が不飽和基でキャッピングされたリン含有樹脂を含む樹脂組成物
CN112313284A (zh) 固化性组合物
KR102595953B1 (ko)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혼합물 제조 방법
EP4079516A1 (en) Curable composition
TWI625346B (zh) Development of dicyclopentadiene-derived polyethers with low dielectric and flame retardancy application
KR102647926B1 (ko) 다층 인쇄회로기판
CN117836346A (zh) 烯丙基醚化合物、树脂组合物及其固化物
JP6863679B2 (ja) 溶液、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積層板
US4761460A (en) Polymaleimide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20220121549A (ko) 비닐계 화합물 제조방법
KR102587585B1 (ko) 인을 함유하는 폴리 페닐렌 에테르 수지
KR102447717B1 (ko) 비닐계 화합물
CN114181497B (zh) 预浸料组合物、半固化片、电路基板
KR102420710B1 (ko) 저유전 수지 조성물
KR102331247B1 (ko) 저유전 특성을 갖는 실록산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
WO2021124938A1 (ja) 硬化性組成物
KR102600976B1 (ko) 인계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