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144B1 -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144B1
KR102590144B1 KR1020210134528A KR20210134528A KR102590144B1 KR 102590144 B1 KR102590144 B1 KR 102590144B1 KR 1020210134528 A KR1020210134528 A KR 1020210134528A KR 20210134528 A KR20210134528 A KR 20210134528A KR 102590144 B1 KR102590144 B1 KR 10259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dy
water
receiving plate
water receiving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645A (ko
Inventor
류운형
Original Assignee
류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운형 filed Critical 류운형
Priority to KR102021013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1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의 배출이 방지되는 가운데 물필터를 경유한 수증기의 선별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기(100)의 상부 개폐를 위해 안착 구비되는 뚜껑본체(10)와; 상기 뚜껑 본체(10)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 통공(11)과; 상기 뚜껑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20)와; 상기 뚜껑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일정 수위로 물 저장이 이루어지는 물받이판(30)과; 상기 뚜껑본체(10)와 물받이판(30) 사이 공간의 차폐를 위해 구성되는 차폐판(4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Food container lid with odor and smoke protec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 배출이 방지될 수 있는 기능성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는 냄비 또는 프라이팬 등 여러 종류의 조리용기를 주방에 설치되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화기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열기 및 냄새는 주방의 화기 상방에 설치되는 후드의 배출팬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이 후드의 배출팬이 작동되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수증기 및 냄새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할 수는 있으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등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확산 되는 것과 더불어 프라이팬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비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게 된다.
한편, 실내로 확산 된 냄새가 장기간 반복되는 과정에서 냄새가 실내의 벽지, 옷 등에 흡착되어 환기를 시켜도 냄새가 실외로 배출되지 못하고, 방향제 등을 사용한다 하여도 원천적으로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조리로 야기된 냄새가 장시간 실내에 남아있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 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27083호(2015.06.0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625830호(2006.09.1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식물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의 배출이 차단될 수 있는 기능성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뚜껑은, 음식물 조리용기의 상부 개폐를 위해 구비되는 뚜껑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 통공과; 상기 뚜껑본체의 상부 중앙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뚜껑본체의 하부에 구성되어 일정 수위로 물 저장이 이루어지는 물받이판과; 상기 뚜껑본체와 물받이판 사이 공간의 차폐를 위해 구성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판 상부에는 필터 기능을 위한 부직포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은, 고기, 생선 또는 찌개류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냄새 및 연기의 외부 배출이 방지되는 가운데 물필터를 경유한 수증기의 선별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뚜껑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뚜껑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뚜껑의 수증기 배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은, 음식물 조리용기(100)의 상부 개폐를 위해 구비되는 뚜껑본체(10)와, 상기 뚜껑 본체(10)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 통공(11)과, 상기 뚜껑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20)와, 상기 뚜껑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일정 수위로 물(water) 저장이 이루어지는 물받이판(30)과, 상기 뚜껑본체(10)와 물받이판(30) 사이 공간의 차폐를 위해 구성되는 차폐판(4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물받이판(40) 상부에는 필터 기능을 위한 부직포 필터(5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뚜껑본체(10)에는 일정 길이의 무두볼트(60)가 중심부 볼트공(12)에 관통 체결되어 손잡이(20)와 차폐판(40) 및 물받이판(30)의 나사 체결에 따른 고정이 이루어지고, 뚜껑본체(10)의 배출 통공(11)과 차폐판(40)의 관통공(41)이 일치되도록 일측에는 고정핀(42)이 관통 체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40)은 물받이판(30)의 수위에 일정 깊이로 구비되되, 뚜껑본체(10)의 배출 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공(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조리용기 뚜껑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 뚜껑은 고기류 또는 찌게류 등의 음식물 조리시 조리용기(100) 상부에 안착되어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4에서와같이 조리용기(100) 내의 음식물이 가열되어짐에 따라 수증기 및 냄새가 발생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수증기 및 냄새분자는 뚜껑 본체(10)측으로 상승하여 배출 통공(1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차폐판(40)에 의해 연기 및 냄새 성분이 배출 통공(11)으로 직접 배출이 차단되고 물받이판(30)에 저수된 물을 경유하도록 안내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연기 및 냄새 성분은 물받이판(30)에 저수된 물에 막혀지면서 외부 배출이 제한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물받이판(30) 상부에는 부직포 필터(50)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냄새 및 연기성분의 차단 효과가 극대화 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증기 만이 차폐판(40)의 관통공(41)과 뚜껑 본체(10)에 형성된 배출 통공(11)을 통해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물받이판(30)의 물 수위가 저하되어 물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출 통공(11) 및 관통공(41)을 통한 물 주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은, 고기 또는 찌개류 등과 같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냄새 및 연기의 외부 배출이 방지되는 가운데 물필터를 경유한 수증기의 선별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실내 공기환경 악영향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으로는 부직포 필터(50)의 상부와 하부에는 형상 지지를 위한 지지철망(51)이 구비되고, 물받이판(30)에 저장되는 물에는 붕소, 스테아린산 아연, 아염소산, 소듐카보네이트 성분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는, 물 100중량% 기준으로 붕소 5~15중량%, 스테아린산 아연 5~10중량%, 아염소산 1~10중량%, 소듐카보네이트 1~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지지철망(51)으로 인해 부직포 필터(50)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과 함께 냄새 성분의 포집 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받이판(30)에 저수된 물에 붕소 및 스테아린산 아연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아염소산은 물의 변질 및 오염 발생을 방지하며, 소듐카보네이트는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조리용기 뚜껑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뚜껑 본체 11 : 배출 통공
20 : 손잡이 30 : 물받이판
40 : 차폐판 41 : 관통공
50 : 부직포 필터 60 : 무두볼트
100 : 조리용기

Claims (6)

  1. 음식물 조리용기(100)의 상부 개폐를 위해 안착 구비되는 뚜껑본체(10)와;
    상기 뚜껑 본체(10)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 통공(11)과;
    상기 뚜껑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20)와;
    상기 뚜껑본체(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일정 수위로 물 저장이 이루어지는 물받이판(30)과;
    상기 뚜껑본체(10)와 물받이판(30) 사이 공간의 차폐를 위해 구성되는 차폐판(4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되,
    상기 물받이판(30) 상부에는 필터 기능을 위한 부직포 필터(50)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본체(10)에는 일정 길이의 무두볼트(60)가 중심부 볼트공(12)에 관통 체결되어 손잡이(20)와 차폐판(40) 및 물받이판(30)의 나사 체결에 따른 고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차폐판(40)의 고정을 위한 고정핀(42)이 관통 체결되며,
    상기 차폐판(40)은 물받이판(30)의 수위에 일정 깊이로 구비되되, 뚜껑본체(10)의 배출 통공(11)과 대응되는 부위에 관통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 필터(50)의 상부와 하부에는 형상 지지를 위한 지지철망(51)이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판(30)에 저장되는 물에는 붕소, 스테아린산 아연, 아염소산, 소듐카보네이트 성분이 추가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34528A 2021-10-10 2021-10-10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KR10259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28A KR102590144B1 (ko) 2021-10-10 2021-10-10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28A KR102590144B1 (ko) 2021-10-10 2021-10-10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645A KR20230051645A (ko) 2023-04-18
KR102590144B1 true KR102590144B1 (ko) 2023-10-17

Family

ID=8610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528A KR102590144B1 (ko) 2021-10-10 2021-10-10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1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500B1 (ko) * 1999-08-30 2002-03-23 신이슬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KR100625830B1 (ko) 2005-03-30 2006-09-22 서선자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KR200453825Y1 (ko) * 2009-03-03 2011-06-01 고려진 천연재료를 이용한 냄비뚜껑의 냄새 제거용 필터
KR101527083B1 (ko) 2014-03-05 2015-06-09 박상수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KR101592245B1 (ko) * 2014-06-24 2016-02-05 신창근 냄새포획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35B1 (ko) * 2010-10-12 2010-12-21 박진수 조리용 쿠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645A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320B2 (en) Fire safe fire pit
KR102590144B1 (ko)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US1942900A (en) Deodorant attachment for cooking utensils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101570035B1 (ko) 고기구이용 불판
KR100712699B1 (ko)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31147B1 (ko) 숯불구이용 화로
KR20230085781A (ko) 냄새 및 연기 방지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조리용기 뚜껑
KR102175625B1 (ko) 숯불장치
KR101706644B1 (ko) 구이용 불판
KR200482923Y1 (ko) 기름비산방지구 및 가열판을 구비한 가열장치
KR200417829Y1 (ko) 레인지 후드용 냄새유출 차단부재
KR20170011231A (ko) 로스터용 후드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0747633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101142320B1 (ko) 조리용기
KR20140134913A (ko) 조리용기
KR200171229Y1 (ko) 조리용 기름비산방지판
KR200256249Y1 (ko) 육류구이팬
JP2009247561A (ja) ガスコンロ用焼き網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容器
US20230235894A1 (en) System, Method, and Conversion Kit for Controlling Smoke during Air Frying in a Range or Oven
JP3001300U (ja) 加熱調理器
JP3501025B2 (ja) 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