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660B1 - 나사 절삭 커터 - Google Patents

나사 절삭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60B1
KR102584660B1 KR1020187017655A KR20187017655A KR102584660B1 KR 102584660 B1 KR102584660 B1 KR 102584660B1 KR 1020187017655 A KR1020187017655 A KR 1020187017655A KR 20187017655 A KR20187017655 A KR 20187017655A KR 102584660 B1 KR102584660 B1 KR 10258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blade
edge
valley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074A (ko
Inventor
유우키 이하라다
미츠히로 요코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몰디노
Publication of KR2018010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18Milling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00/00Details of threading tools
    • B23G2200/44Taps with more than one threading section, the threading sections being axially spaced from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이 나사 절삭 커터에서는, 커터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나사 절삭날이 형성되고,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는 서로 동등하고, 상기 접선으로부터 선행날의 외주단까지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는 상기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제 1 골부 깊이가,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다.

Description

나사 절삭 커터
본 발명은,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커터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상기 커터 본체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된 나사 절삭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0470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와 같은 나사 절삭 커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커터 본체의 외주에 복수의 나사산을 갖는 나사 절삭날을 구비하고, 이 나사 절삭날 중 선단측의 적어도 1 개의 나사산은 황 (荒) 절삭을 실시하는 선행날이고 다른 것들은 마무리날이고, 선행날은 마무리날보다 나사산의 높이가 낮아 나사산의 각도가 작고, 골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선행날을 마무리날에 도형적으로 중첩하였을 때 선행날이 마무리날에 포함되는 형상으로 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커터 본체의 바닥부에는 피가공물에 예비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나사 절삭 커터는, 머시닝 센터나 NC 프레이즈반 등의 공작 기계에 부착되어, 커터 본체의 축선 둘레로 자전 구동되어 회전됨과 함께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헬리컬 이송되고, 바닥날에 의해 피가공물에 상기 예비 구멍을 형성하면서, 이 예비 구멍의 내주면에 상기 나사 절삭날에 의해 암나사부를 형성한다. 이 암나사부가 형성될 때에는, 선행날에 의해 황절삭된 나사홈을 마무리날이 마무리 절삭하므로,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에 대한 나사 절삭 가공으로도 마무리날의 날끝 마모가 억제됨과 함께 절삭 저항이 경감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86286호
그런데,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나사 절삭 커터에는, 선행날의 축선 방향 후단측에 2 개의 마무리날이 구비되어 있지만, 주로 나사 절삭 가공에 사용되는 것은 선행날과 이것에 인접하는 선단측의 마무리날이며, 후단측의 마무리날은 선단측의 마무리날의 날끝 마모에 의해 소정의 나사홈 형상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2 개의 마무리날은, 나사산의 높이나 형상이 골부도 포함하여 동일해지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그와 같은 나사 절삭 커터에서는, 피가공물의 암나사부에 있어서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절삭하는 선행날과 선단측의 마무리날 사이의 골부는, 1 회의 절삭으로 상기 정상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선행날과 합하여 2 회의 절삭으로 암나사부의 골부를 절삭하는 선단측의 마무리날의 나사산 정상부에 대해, 이 선단측의 마무리날의 선행날 사이의 골부에 있어서의 절삭 부하가 과대해지고, 특히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에 대한 나사 절삭 가공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과대한 절삭 부하가 충격적으로 작용하여, 마무리날의 근원 부분인 상기 골부로부터 마무리날이 결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암나사부의 나사산의 정상부를 절삭하는 선행날과 선단측의 마무리날 사이의 골부에 과대한 절삭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의 나사 절삭 가공으로도 마무리날에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나사 절삭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나사 절삭 커터는,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커터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상기 커터 본체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나사 절삭날 중,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선행날이고, 이 선행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1 마무리날이고, 이 제 1 마무리날의 더욱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2 마무리날이고, 상기 선행날과 상기 제 1 마무리날 사이에는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1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 사이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2 골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3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는 서로 동등하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선행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는 상기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보다 낮음과 함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1 골부 깊이가,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사 절삭 커터에서는, 축선 방향 선단측의 선행날의 나사산 높이가 후단측의 제 1, 제 2 마무리날의 나사산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나사 절삭 커터와 동일하게, 피가공물의 암나사부의 골부를 선행날에 의해 황절삭한 후에, 이 황절삭된 암나사부의 골부를 오로지 제 1 마무리날에 의해 마무리 절삭하여 소정의 나사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성의 나사 절삭 커터에서는,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제 1 골부 깊이가,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기 때문에, 암나사부의 나사산의 정상부도 제 1 골부에 의해 황절삭한 후에 제 2 골부에 의해 마무리 절삭하여 소정의 나사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를 절삭할 때의 절삭 부하를 제 1, 제 2 골부에서 분산시켜 제 1 골부에 과대한 절삭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설령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에 대한 나사 절삭 가공으로도, 마무리날에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골부 깊이와 상기 제 2 골부 깊이의 비는, 1.03 ∼ 1.15 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1.03 을 하회할수록 제 1, 제 2 골부 깊이의 차가 작으면, 제 1 골부에 대한 절삭 부하를 충분히 경감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이 비가 1.15 를 상회할수록 제 1, 제 2 골부 깊이의 차가 크면, 제 2 골부에 대한 절삭 부하가 커져 제 2 마무리날에 결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제 1 골부 깊이를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게 하려면, 예를 들어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축선 방향의 간격과,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축선 방향의 간격을 동등하게 하여, 제 1 마무리날의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의 축선에 대한 경사각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그와 같은 경우에는, 제 2 마무리날과 동일하게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이 제 2 골부로부터 외주단 근방까지 절삭에 사용되게 되어, 제 1 마무리날이 마모되었을 때에 소정의 나사홈 형상이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음과 함께, 제 1 마무리날의 근원 부분이 가늘어져 결손 등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과 같이 제 1 골부 깊이를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게 하려면,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을,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마무리날의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의 축선에 대한 경사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 1 마무리날의 근원 부분의 두께를 확보하여 결손 등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과,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의 비를, 1.01 ∼ 1.09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특히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간격분만큼 상기 제 2 마무리날을 상기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이, 상기 제 1, 제 2 골부를 제외하고,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을 형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분만큼 상기 제 2 마무리날을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 2 마무리날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상기 간격분으로 한 경우에),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이, 상기 제 1, 제 2 골부를 제외하고,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마무리날이 마모되기 전에, 제 2 골부보다 축선 방향 후단측의 제 2 마무리날의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이 절삭에 사용될 수 없게 되어, 제 1 마무리날이 마모되었을 때에도 제 2 마무리날에 의해 소정의 나사홈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선행날의 회전 궤적은, 이 선행날의 회전 궤적을,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간격분만큼 상기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선행날의 회전 궤적은, 이 선행날의 회전 궤적을,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분만큼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선행날의 회전 궤적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를 상기 간격분으로 한 경우에),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과대한 절삭 부하에 의해 커터 본체의 선단부에 휨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암나사부의 나사 절삭 가공면에 선행날에 의한 스크래치가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이,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과,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과, 직선상의 외주날을 갖고,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에 있어서, 상기 외주날과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이,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상기 절삭날과 상기 외주날이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관용 (管用) 암나사와 같이, 나사산의 정상부와 골부의 모서리부가 곡면으로 되어 있는 암나사를 가공하는 경우,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나사 절삭 커터를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헬리컬 이송함으로써, 제 1, 제 2 마무리날의 날끝의 궤적이 연속적인 곡선을 그리게 된다. 그 결과, 곡선으로 구성된 마무리날로 절삭한 경우와 동등한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은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보다 외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관용 나사와 같은 테이퍼상의 나사 가공을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나사 절삭 커터는,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커터 본체의 선단부 외주에, 상기 커터 본체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이 상기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나사 절삭날 중,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선행날이고, 이 선행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1 마무리날이고, 이 제 1 마무리날의 더욱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2 마무리날이고, 상기 선행날과 상기 제 1 마무리날 사이에는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1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 사이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2 골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3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은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보다 외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선행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는, 상기 접선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반경 방향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보다 낮음과 함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1 골부 깊이가,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양태의 나사 절삭 커터는, 상기 서술한 제 1 양태의 나사 절삭 커터와 동일하게, 제 1 골부에 과대한 절삭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나사 절삭 커터는, 제 1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의 외주날이 볼록 원호여도 된다. 또한, 제 1,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골부 각각이 오목 원호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를 절삭할 때의 절삭 부하를 제 1, 제 2 골부에서 분산시켜 제 1 골부에 과대한 절삭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에 대한 나사 절삭 가공으로도 마무리날에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안정적인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선단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날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마무리날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에 있어서, 커터 본체 (1) 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다단 원기둥상으로 형성된다. 커터 본체 (1) 의 후단측 (도 1, 도 2 및 도 4 에 있어서 우측) 부분은 원기둥상인 채의 섕크부 (2) 로 됨과 함께, 선단측 (도 1, 도 2 및 도 4 에 있어서 좌측) 부분은 절삭날부 (3) 가 되고, 이들 섕크부 (2) 와 절삭날부 (3) 사이는 섕크부 (2) 및 절삭날부 (3) 보다 외경이 작은 수부 (首部) (4)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커터 본체 (1) 중, 후술하는 나사 절삭날 (8) 이 형성되는 영역을 절삭날부 (3) 라고 한다.
이와 같은 나사 절삭 커터는, 상기 섕크부 (2) 가 머시닝 센터나 NC 프레이즈반 등의 공작 기계의 주축에 파지되어 부착되고, 축선 (O) 둘레로 자전 구동되어 커터 회전 방향 (T) 으로 회전됨과 함께,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선 (O) 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나선상으로 공전 구동되어 헬리컬 이송되고, 상기 절삭날부 (3) 에 의해 피가공물에 암나사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축선 (O) 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선 (O) 방향이라고 한다. 축선 (O) 방향 중, 섕크부 (2) 로부터 절삭날부 (3) 를 향하는 방향을 선단측 (도 1 의 좌측) 이라고 하고, 절삭날부 (3) 로부터 섕크부 (2) 를 향하는 방향을 후단측 (도 1 의 우측) 이라고 한다. 또, 축선 (O) 과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고 한다. 반경 방향 중 축선 (O) 에 접근하는 방향 (반경 방향 내방) 을 내주측이라고 하고, 축선 (O)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반경 방향 외방) 을 외주측이라고 한다. 또한, 축선 (O)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둘레 방향 중, 커터 본체 (1) 가 회전되는 방면을 커터 회전 방향 (T) 이라고 하고, 이와는 반대 방면을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이라고 한다.
절삭날부 (3) 와 수부 (4) 의 선단부 외주에는,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에 개구되어 축선 (O) 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면 L 자상 (축선 (O) 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대략 L 자를 이룬다) 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이,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조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조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이, 축선 (O) 에 평행하고, 커터 본체 (1) 의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약간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은,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축선 (O) 에 평행한 오목 곡면이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을 향하는 벽면이 수부 (4) 의 선단부에서 외주측으로 위로 째져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종단을 형성하고 있다. 즉,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을 향하는 벽면은,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으로부터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외주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수부 (4) 의 외주면에 이른다.
또,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에는, 각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선단 내주부로부터 내주측을 향함에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축선 (O) 에 이르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상의 오목홈 (6) 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의 선단 내주부는, 이 오목홈 (6) 에 의해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으로 약간 노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3 과 같이, 오목홈 (6) 은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홈 바닥을 갖고,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이 반경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오목홈 (6) 의 외주측단은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선단 내주부와 연속되어 있다. 오목홈 (6) 의 외주단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함에 따라, 오목홈 (6) 의 홈 깊이는 얕아지고, 또한 오목홈 (6) 의 홈폭은 좁아져 있다. 오목홈 (6)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은 축선 (O) 에 있어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오목홈 (6) 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을 축선 (O) 에 회전 대칭으로 4 개의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사이, 및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오목홈 (6) 사이에 남겨진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의 내주부 (3a) (도 3 참조) 는, 내주측과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 경사진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의 내주부 (3a) 와 오목홈 (6)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바닥날 (7)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사이에 남겨진 절삭날부 (3) 의 외주부 (3b) (커터 본체 (1) 의 선단부 외주) 에는 각각 축선 (O) 방향을 향하여 커터 본체 (1) 의 내주측 및 외주측으로 올록 볼록한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사산과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과의 교차 능선부에, 커터 본체 (1) 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 (8)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사이의 절삭날부 (3) 의 각 외주부 (3b) 에 각각 3 개의 나사 절삭날 (8)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나사 절삭날 (8) 은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선행날 (8A), 제 1 마무리날 (8B), 및 제 2 마무리날 (8C) 이 된다. 나사 절삭날 (8) 은,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을 향하여 커터 본체 (1) 가 헬리컬 이송될 때의 나선 (헬리컬 이송시에 커터 본체 (1) 가 그리는 나선) 의 리드를 따르도록 각 외주부 (3b) 끼리가 위상이 어긋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은 각각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과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2 개의 절삭날 (8a, 8b) 의 반경 방향 외방 단(端)을 접속하는 외주날 (외주단) (8c) 을 갖는다. 절삭날 (8a) 과 절삭날 (8b) 은, 축선 (O) 에 수직이고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을 지나는 나사산 중심선 (LB, LC) 에 대해 동등한 일정 각도로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서로 접근하도록 형성된다. 절삭날 (8a) 과 절삭날 (8b) 은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외주날) (8c)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절삭날 (8a, 8b) 에 접하는 서로 동등한 반경의 볼록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날 (8c) 은 나사산 중심선 (LB) 상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 호이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날 (8c) 은 나사산 중심선 (LC) 상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이다.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은 각각 나사산 중심선 (LB, LC) 각각에 대해 대략 선대칭이다.
한편, 선행날 (8A) 은, 그 나사산 중심선 (LA) 에 대해 대략 동등한 일정 각도로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서로 접근하는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및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선행날 (8A) 의 외주에 있어서 이들 절삭날 (8a, 8b) 에 둔각으로 교차하여 축선 (O) 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주날 (8d) 을 구비한 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날 (8a, 8b) 및 외주날 (8d) 은 직선상의 절삭날이며, 선행날 (8A) 은, 나사산 중심선 (LA) 에 대해 대략 선대칭이다. 선행날 (8A)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은, 절삭날부 (3) 의 선단에 있어서,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의 선단 내주부가 상기 오목홈 (6) 에 의해 노치된 부분에서 바닥날 (7) 과 둔각으로 교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홈 (6) 의 선단에 있어서, 선행날 (8A) 의 절삭날 (8a) 은 바닥날 (7) 과 교차되어 있다. 또한, 선행날 (8A) 의 나사산 중심선 (LA) 은 축선 (O) 에 수직이고 외주날 (8d) 의 중심을 지나고 있고, 이 선행날 (8A)의 나사산 중심선 (LA) 과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나사산 중심선 (LB, LC) 은 축선 (O)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선행날 (8A) 과 제 1 마무리날 (8B) 사이에는 제 1 골부 (9A)가, 선행날 (8A) 및 제 1 마무리날 (8B) 에 대해 커터 본체 (1) 의 내주측으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사이에는 제 2 골부 (9B) 가, 제 1 마무리날 (8B) 및 제 2 마무리날 (8C) 에 대해 커터 본체 (1) 의 내주측으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에는 제 3 골부 (9C) 가, 제 2 마무리날 (8C) 에 대해 커터 본체 (1) 의 내주측으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제 1, 제 2 골부 (9A, 9B) 는, 각각 선행날 (8A) 및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에 접하는 대략 1/2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골부 (9A) 는, 선행날 (8A)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과 매끄럽게 연속되고, 축선 (O) 에 수직이고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제 1 골부 중심선 (MA) 상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오목 원호이다. 제 2 골부 (9B) 는,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제 2 마무리날 (8C)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과 매끄럽게 연속되고, 축선 (O) 에 수직이고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제 2 골부 중심선 (MB) 상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오목 원호이다. 제 1, 제 2 골부 (9A, 9B) 의 반경은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외주날) (8c) 이 이루는 볼록 원호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제 3 골부 (9C)는, 제 1, 제 2 골부 (9A, 9B) 가 이루는 오목 원호와 대략 동등한 반경의 대략 1/4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골부 (9C) 는, 제 2 마무리날 (8C)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는 접선 (P) 으로부터 나사산 중심선 (LA) 을 따른 외주날 (8d) 까지의 선행날 (8A) 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 (HA) 는,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B, HC) 보다 낮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접선 (P) 은,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직선이다. 골 바닥 (9a) 은 각각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축선 (O) 에 가장 가까운 점이다.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B) 는,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제 1 마무리날 (8B) 의 정상점이고, 축선 (O) 으로부터 가장 먼 점이다) 과 접선 (P)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C) 는,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제 2 마무리날 (8C) 의 정상점이고, 축선 (O) 으로부터 가장 먼 점이다) 과 접선 (P)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이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보다 반경 방향 외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과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을 지나는 직선 (Q) 이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외주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도 4 에 나타내는 축선 (O) 에 평행한 직선 (O') 과 직선 (Q) 이 이루는 각 (α) 의 크기가 0 °보다 크고 5.0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써, 관용 나사와 같은 테이퍼상의 나사 가공을 양호한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B, HC) 는 서로 동등하기 때문에, 접선 (P) 과 축선 (O) (직선 (O')) 이 이루는 각의 크기도 각 (α) 과 동등하고, 0 °보다 크고 5.0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행날 (8A) 의 상기 절삭날 (8a, 8b) 이 나사산 중심선 (LA)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은,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상기 절삭날 (8a, 8b) 이 나사산 중심선 (LB, LC) 에 대해 이루는 경사각과 대략 동등하다. 선행날 (8A) 의 외주날 (8d) 의 위치 (반경 방향 위치) 에 있어서의 선행날 (8A) 의 절삭날 (8a, 8b) 간의 간격 (축선 (O)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날 (8d) 의 폭) (WC) 은, 이 선행날 (8A) 을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나사산 중심선 (LB, LC) 간의 거리) (WD) 분만큼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킨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절삭날 (8a, 8b) 간의 간격 (WE) 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으로부터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까지의 축선 (O) 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1 골부 깊이 (DA) 는, 동일하게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으로부터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까지의 축선 (O) 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2 골부 깊이 (DB) 보다 깊어지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은,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보다 내주측 (반경 방향 내방) 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골부 깊이 (DA) 와 제 2 골부 깊이 (DB) 의 비 (DA/D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03 ∼ 1.15 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P) 으로부터 상기 나사산 중심선 (LB, LC) 을 따른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B, HC) 는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제 1 골부 깊이 (DA) 가 제 2 골부 깊이 (DB) 보다 깊은 것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O) 에 수직이고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제 1 골부 중심선 (MA) 과 제 1 마무리날 (8B) 의 나사산 중심선 (LB) 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즉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A) 이, 축선 (O) 에 수직이고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제 2 골부 중심선 (MB) 과 제 2 마무리날 (8C) 의 나사산 중심선 (LC) 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즉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B) 보다 커진다.
또한,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나사산 중심선 (LB, LC) 에 대한 상기 절삭날 (8a, 8b) 의 경사각과 외주단 (외주날) (8c) 의 반경이 동등한 것으로부터,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D) 분만큼 제 2 마무리날 (8C) 을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선 (O) 둘레의 제 2 마무리날 (8C) 의 회전 궤적은, 깊이가 상이한 오목 원호상의 제 1, 제 2 골부 (9A, 9B) 를 제외하고, 축선 (O) 둘레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회전 궤적과 중첩된다 (일치한다).
이에 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날 (8A) 이 제 1 마무리날 (8B) 내주측의 근원 부분보다 한결 작은 것으로부터, 축선 (O) 둘레의 선행날 (8A) 의 회전 궤적은, 이 선행날 (8A) 의 회전 궤적을,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D) 분만큼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선 (O) 둘레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회전 궤적 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나사 절삭 커터에서는, 절삭날부 (3) 의 선단에 바닥날 (7)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에 예비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론, 예비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이 바닥날 (7) 에 의해 예비 구멍을 형성하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헬리컬 이송에 수반하여 그 예비 구멍의 내주면에 절삭날부 (3) 외주의 나사 절삭날 (8) 에 의해 암나사부를 형성해 간다. 이 나사 절삭날 (8) 중 축선 (O) 방향 선단측의 선행날 (8A) 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 (HA) 은, 선행날 (8A)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으로 나열되는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B, HC) 보다 낮기 때문에, 선행날 (8A) 에 의해 예비 구멍의 내주면에 암나사부의 골부를 황절삭에 의해 형성한 후에, 오로지 제 1 마무리날 (8B) 에 의해 남은 부분을 마무리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구성의 나사 절삭 커터에 있어서는,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으로부터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까지의 제 1 골부 깊이 (DA) 가,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으로부터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까지의 제 2 골부 깊이 (DB) 보다 깊기 때문에, 예비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의 나사산의 정상부도, 제 1 골부 (9A) 에 의해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황절삭된 후에, 제 2 골부 (9B) 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마무리 절삭하여 소정의 나사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를 절삭할 때의 절삭 부하를 제 1, 제 2 골부 (9A, 9B) 에서 분산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속도 공구강이나 냉간 공구강과 같은 HRC50 이상의 고경도재로 이루어지는 피가공물에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라도, 과대한 절삭 부하가 제 1 골부 (9A) 에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여, 특히 제 1 마무리날 (8B) 에 근원 부분으로부터 결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이 높은 장수명의 나사 절삭 커터를 제공할 수 있어, 장기에 걸쳐 안정적인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제 1 골부 깊이 (DA) 와 제 2 골부 깊이 (DB)의 비 DA/DB 가 1.03 ∼ 1.15 의 범위 내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효과를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 즉, 이 비 DA/DB 가 1.03 을 하회하여 제 1, 제 2 골부 깊이 (DA, DB) 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가 거의 제 1 골부 (9A) 에 의해 절삭되게 되어, 절삭 부하의 집중을 회피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반대로 비 DA/DB 가 1.15 를 상회하여 제 1, 제 2 골부 깊이 (DA, DB) 의 차가 지나치게 커지면,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는 제 2 골부 (9B) 에 의해 오로지 절삭되게 되어, 제 2 골부 (9B) 에 절삭 부하가 집중되어 제 2 마무리날 (8C) 에 결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제 1 골부 깊이 (DA) 를 제 2 골부 깊이 (DB) 보다 깊게 하는 데에,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A) 을,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B) 보다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간격 (WA, WB) 을 동등하게 한 채로 제 1 골부 깊이 (DA) 를 제 2 골부 깊이 (DB) 보다 깊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의 절삭날 (8a) 의 축선 (O) 에 대한 경사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제 1 마무리날 (8B) 의 근원 부분에 있어서의 축선 (O) 방향의 두께를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확실하게 제 1 마무리날 (8B) 의 결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A) 과,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B) 의 비 WA/WB 는, 1.01 ∼ 1.09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 WA/WB 가 1.01 을 하회하여 간격 (WA, WB) 의 차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역시 피가공물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의 나사산의 정상부가 거의 제 1 골부 (9A) 에 의해 절삭되게 되어, 절삭 부하의 집중을 회피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비 WA/WB 가 1.09 를 상회하여 간격 (WA, WB) 의 차가 지나치게 커지면, 암나사부의 나사산 정상부가 제 2 골부 (9B) 에 의해 오로지 절삭되게 되어, 제 2 골부 (9B) 에 절삭 부하가 집중되어 제 2 마무리날 (8C) 에 결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A) 을,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B) 보다 크게 함과 함께,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D) 분만큼 제 2 마무리날 (8C) 을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깊이가 상이한 제 1, 제 2 골부 (9A, 9B) 를 제외하고, 축선 (O) 둘레의 제 2 마무리날 (8C) 의 회전 궤적이 축선 (O) 둘레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회전 궤적과 중첩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역시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절삭날 (8a) 의 축선 (O) 에 대한 경사를 크게 한 경우와 같이, 제 1 마무리날 (8B) 의 상기 절삭날 (8a) 이 마모되기 전에 제 2 마무리날 (8C)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이 절삭에 사용되는 경우도 없어진다. 따라서, 제 2 골부 (9B) 를 제외하고, 제 1 마무리날 (8B) 이 마모되었을 때에도, 제 2 마무리날 (8C) 에 의해 나사 절삭 가공을 계속하여 소정의 나사홈 형상의 암나사부를 형성할 수 있어, 한층 장수명의 나사 절삭 커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O) 둘레의 선행날 (8A) 의 회전 궤적은, 이 선행날 (8A) 의 회전 궤적을,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D) 분만큼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선 (O) 둘레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회전 궤적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과대한 부하에 의해 커터 본체 (1) 선단부의 절삭날부 (3) 에 휨이 생겨 선행날 (8A) 에 의해 암나사부의 나사 절삭 가공면에 스크래치가 생겨도, 이것을 제 1 마무리날 (8B) 에 의해 확실하게 제거하여 마무리면에 스크래치가 남는 것을 방지하여 품위가 높은 나사 절삭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선행날 (8A) 의 회전 궤적을 이동시켰을 때, 선행날 (8A) 의 절삭날 (8a, 8b) 이 제 1 마무리날 (8B) 의 절삭날 (8a, 8b) 의 회전 궤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삭날부 (3) 가 축선 (O) 에 관하여 어느 방향으로 휘어도,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고 선행날 (8A) 에 의해 남겨진 스크래치를 제 1 마무리날 (8B) 에 의해 제거할 수 있어, 고품위의 나사 절삭 가공면을 갖는 암나사부를 피가공물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골부 (9A, 9B) 와,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부, 외주날) (8c) 이 반경이 대략 동일한 올록 볼록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제 2 골부 (9A, 9B) 의 골 바닥 (9a) 이 이루는 오목 원호의 곡률 반경이,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외주날) (8c) 이 이루는 볼록 원호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외주날) (8c) 이나 제 1, 제 2, 제 3 골부 (9A, 9B, 9C) 의 골 바닥 (9a) 은, 축선 (O) 에 평행한 직선이 되어 피가공물에 사다리꼴 나사가 형성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2 개 이상의 직선으로 구성된 모따기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부 (3) 의 선단에 바닥날 (7) 이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미리 예비 구멍이 형성된 피가공물에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바닥날 (7) 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골부 (9C) 가 대략 1/4 오목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제 2 의 2 개만인 마무리날 (8B, 8C) 이 축선 (O)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제 3 골부 (9C) 도 대략 1/2 오목 원호상으로 하여, 그 축선 (O) 방향 후단측에 제 3 마무리날을 형성하거나 하여, 3 개 이상의 마무리날이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선행날 (8A) 과 제 1 마무리날 (8B) 사이의 제 1 골부와, 이들 3 개 이상의 마무리날 사이에 형성되는 골부의 골부 깊이는,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나사 절삭 커터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는, 제 1, 제 2 마무리날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배치하여 설명을 간략화한다. 또, 상이한 부호를 붙인 부분에 대해서도,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명칭을 갖는 부분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의 마무리날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마무리날 (18B, 18C) 의 외주단 (정상점) 의 간격 (WD) 분만큼 제 2 마무리날 (18C) 을 접선 (P) 에 평행하게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깊이가 상이한 제 1, 제 2 골부 (9A, 9B) 를 제외하고, 축선 (O) 둘레의 제 2 마무리날 (8C) 의 회전 궤적이 축선 (O) 둘레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회전 궤적과 중첩된다 (일치한다). 즉, 제 1, 제 2 마무리날 (18B, 18C) 의 구성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마무리날 (18B) 을 예로 들어, 마무리날의 구성을 설명하고, 제 2 마무리날 (18C) 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마무리날 (18B) 은,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과,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과, 직선상의 외주날 (18c) 을 갖는다. 외주날 (18c) 은 축선 (O) 에 평행하다. 외주날 (18c) 과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a) 은,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외주날 (18c) 과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은,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의 직선상 절삭날 (18d, 18e) 을 개재하여 외주날 (18c) 과 절삭날 (8a) 이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 개의 직선상 절삭날 (18f, 18g) 을 개재하여 외주날 (18c) 과 절삭날 (8b) 이 접속된다. 또, 제 1 마무리날 (18B) 은, 나사산 중심선 (LB) 에 대해 선대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마무리날 (18B)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의 반대측에 늘어서 있는 나사산 (20) 에는,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면 (20A), 제 1 모따기면 (20D), 제 2 모따기면 (20E), 산정상면 (20C), 제 2 모따기면 (20F), 제 1 모따기면 (20G), 및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면 (20B) 이 형성된다. 이것들은 각각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과 교차되고, 그 교차 능선부를 절삭날 (8a), 직선상 절삭날 (18d), 직선상 절삭날 (18e), 외주날 (18c), 직선상 절삭날 (18f), 직선상 절삭날 (18g), 및 절삭날 (8b) 로 하고 있다. 이들 면은 모두,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2 개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사이 (절삭날부 (3) 의 외주부 (3b)) 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마무리날 (18B) (제 2 마무리날 (18C)) 은, 외주날 (18c) 을 이루는 산정상면 (20C) 과 절삭날 (8a) 을 이루는 면 (20A) 사이에, 모따기면으로서 제 1, 제 2 모따기면 (20D, 20E)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날 (18c) 을 이루는 산정상면 (20C) 과 절삭날 (8b) 을 이루는 면 (20B) 사이에, 모따기면으로서 제 1, 제 2 모따기면 (20G, 20F)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모따기면 (20D (20G)) 과 산정상면 (20C) 이 이루는 각도 (직선상 절삭날 (18d (18g)) 과 외주날 (18c) 이 이루는 각도) (θ1) 와, 제 2 모따기면 (20E (20F)) 과 산정상면 (20C) 이 이루는 각도 (직선상 절삭날 (18e (18f)) 과 외주날 (18c) 이 이루는 각도) (θ2) 는 상이하다. 제 1 모따기면 (20D) 은 제 2 모따기면 (20E) 보다 산정상면 (20C) 으로부터 축선 (O) 방향으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모따기면 (20D) 과 산정상면 (20C) 이 이루는 각도 (θ1) 는, 제 2 모따기면 (20E) 과 산정상면 (20C) 이 이루는 각도 (θ2) 보다 커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제 2 마무리날 (18B, 18C) 은 외주날 (18c) 을 이루는 산정상면 (20C) 과 절삭날 (8a) 을 이루는 면 (20A) 사이에 2 개의 모따기면 (20D, 20E) 을 갖고, 외주날 (18c) 을 이루는 산정상면 (20C) 과 절삭날 (8b) 을 이루는 면 (20B) 사이에 2 개의 모따기면 (20F, 20G) 을 갖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관용 암나사와 같이, 나사산의 정상부와 골부의 모서리부가 곡면으로 되어 있는 암나사를 가공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를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헬리컬 이송함으로써, 제 1, 제 2 마무리날 (18B, 18C) 의 날끝의 궤적이 연속된 곡선을 그리게 된다. 그 결과, 곡선으로 구성된 마무리날 (곡면으로 구성된 나사산과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5a)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되는 마무리날) 로 절삭한 경우와 동둥한 정밀도로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산정상면 (20C) 과 면 (20A) 사이, 및 산정상면 (20C) 과 면 (20B) 사이에 모따기면을 1 면씩밖에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외주날 (18c) 을 이루는 산정상면 (20C) 과 모따기면 사이, 절삭날 (8a) 을 이루는 면 (20A) 과 모따기면 사이, 및 절삭날 (8b) 을 이루는 면 (20B) 과 모따기면 사이의 각도가 충분히 작아지지 않고, 모서리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마무리날을 구비하는 나사 절삭 커터를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헬리컬 이송해도, 마무리날의 날끝의 궤적이 연속된 곡선을 그리지 않아, 곡면을 양호한 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암나사의 산부와 골부를 곡면으로 가공하는 나사 절삭 커터로서, 볼록 곡면상의 나사산 (곡선상의 마무리날) 을 갖는 나사 절삭 커터를 제조하는 경우, 마무리날의 볼록 곡면 형상에 대응한 오목 곡면을 갖는 총형 지석을 사용하여 마무리날을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총형 지석을 사용하여 볼록 곡면을 연삭하면 편마모가 발생하기 쉬워 지석 수명이 극단적으로 짧아지므로, 제조성 및 경제성이 부족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정상면 (20C) 과 면 (20A) 사이, 및 산정상면 (20C) 과 면 (20B) 사이에 2 개씩 모따기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총형 지석을 사용하지 않고, 연삭에 의한 모따기만으로 본 실시형태의 나사산 및 마무리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에 의하면, 곡면으로 구성된 마무리날로 절삭한 경우와 동등한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나사 절삭 커터에 의하면 기능과 제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경우는 없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의 나사 절삭 커터에 의하면, 고경도재의 나사 절삭 가공이라도 마무리날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안정적인 나사 절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1 : 커터 본체
2 : 섕크부
3 : 절삭날부
3a : 절삭날부 (3) 의 선단면의 내주부
3b : 절삭날부 (3) 의 외주부
4 : 수부
5 :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a : 절삭 부스러기 배출홈 (5) 의 커터 회전 방향 (T) 을 향하는 벽면
6 : 오목홈
7 : 바닥날
8 : 나사 절삭날
8A : 선행날
8B : 제 1 마무리날
8C : 제 2 마무리날
8a : 나사 절삭날 (8)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b : 나사 절삭날 (8)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
8c :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8d : 선행날 (8A) 의 외주날
9A : 제 1 골부
9B : 제 2 골부
9C : 제 3 골부
9a : 제 1, 제 2, 제 3 골부 (9A, 9B, 9C) 의 골 바닥
18c : 외주날
18d, 18e, 18f, 18g : 직선상 절삭날
20 : 나사산
20A : 나사산 (20) 의 축선 (O)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면
20B : 나사산 (20) 의 축선 (O)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면
20C : 산 정상면
20D : 제 1 모따기면
20E : 제 2 모따기면
20F : 제 2 모따기면
20G : 제 1 모따기 면
O : 커터 본체 (1) 의 축선
T : 커터 회전 방향
P : 제 2, 제 3 골부 (9B, 9C) 의 골 바닥 (9a) 을 지나는 접선
Q :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8c) 과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8c) 을 지나는 직선
LA : 선행날 (8A) 의 나사산 중심선
LB : 제 1 마무리날 (8B) 의 나사산 중심선
LC : 제 2 마무리날 (8C) 의 나사산 중심선
MA : 제 1 골부 중심선
MB : 제 2 골부 중심선
HA : 선행날 나사산 높이
HB : 제 1 마무리날 (8B)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HC : 제 2 마무리날 (8C) 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
DA : 제 1 골부 깊이
DB : 제 2 골부 깊이
WA : 제 1 골부 (9A)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1 마무리날 (8B)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B : 제 2 골부 (9B) 의 골 바닥 (9a) 으로부터 제 2 마무리날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까지의 축선 (O) 방향의 간격
WC : 축선 (O)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날 (8d) 의 폭
WD : 제 1, 제 2 마무리날 (8B, 8C) 의 외주단 (정상점) (8c) 의 접선 (P)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E : 선행날 (8A) 의 외주날 (8d) 의 반경 방향 위치에 있어서의 제 1 마무리날 (8B) 의 축선 (O) 방향의 폭

Claims (11)

  1.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커터 본체와,
    상기 커터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삭날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바닥날과,
    상기 절삭날부의 외주에 형성되고, 피가공물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선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을 구비한 나사 절삭 커터로서,
    상기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은, 상기 커터 본체의 외주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 중,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일부가 상기 바닥날과 교차되는 선행날이고, 이 선행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1 마무리날이고, 이 제 1 마무리날의 더욱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2 마무리날이고,
    상기 선행날과 상기 제 1 마무리날 사이에는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1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 사이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2 골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3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는 서로 동등하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선행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는 상기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보다 낮음과 함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1 골부 깊이가,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이,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2.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커터 본체와,
    상기 커터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삭날부와,
    상기 절삭날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바닥날과,
    상기 절삭날부의 외주에 형성되고, 피가공물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선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을 구비한 나사 절삭 커터로서,
    상기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은, 상기 커터 본체의 외주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3 개의 나사 절삭날 중,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일부가 상기 바닥날과 교차되는 선행날이고, 이 선행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1 마무리날이고, 이 제 1 마무리날의 더욱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의 나사 절삭날은 제 2 마무리날이고,
    상기 선행날과 상기 제 1 마무리날 사이에는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1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 사이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2 골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에도 상기 커터 본체의 내주측으로 패인 제 3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은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보다 외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상기 선행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선행날 나사산 높이는, 상기 접선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반경 방향의 마무리날 나사산 높이보다 낮음과 함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1 골부 깊이가,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으로부터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까지의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의 제 2 골부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이,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부 깊이와 상기 제 2 골부 깊이의 비가, 1.03 ∼ 1.15 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간격분만큼 상기 제 2 마무리날을 상기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은, 상기 제 1, 제 2 골부를 제외하고,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선행날의 회전 궤적은, 이 선행날의 회전 궤적을, 상기 제 1,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의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분만큼 상기 제 2, 제 3 골부의 골 바닥을 지나는 접선에 평행하게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축선 둘레의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회전 궤적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이,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과,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절삭날과, 직선상의 외주날을 갖고,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에 있어서, 상기 외주날과 상기 축선 방향 선단측을 향하는 절삭날이,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상기 축선 방향 후단측을 향하는 상기 절삭날과 상기 외주날이 복수의 직선상 절삭날을 개재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과, 상기 제 2 골부의 골 바닥으로부터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까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간격의 비는, 1.01 ∼ 1.09 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에 대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무리날의 외주단은 상기 제 1 마무리날의 외주단보다 외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마무리날 각각의 외주날이 볼록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골부 각각이 오목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 커터.
  11. 삭제
KR1020187017655A 2016-01-13 2017-01-04 나사 절삭 커터 KR102584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4701 2016-01-13
JP2016004701 2016-01-13
PCT/JP2017/000032 WO2017122557A1 (ja) 2016-01-13 2017-01-04 ねじ切りカ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074A KR20180102074A (ko) 2018-09-14
KR102584660B1 true KR102584660B1 (ko) 2023-10-04

Family

ID=5931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655A KR102584660B1 (ko) 2016-01-13 2017-01-04 나사 절삭 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40553B2 (ko)
EP (1) EP3403753B1 (ko)
JP (1) JP7006276B2 (ko)
KR (1) KR102584660B1 (ko)
CN (1) CN108430682B (ko)
WO (1) WO2017122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2931B2 (ja) * 2017-12-26 2020-06-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CN109530825A (zh) * 2018-12-06 2019-03-29 贵州劲锋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带端齿螺纹铣刀
KR200489584Y1 (ko) * 2018-12-27 2019-07-05 송기평 절삭공구용 스레드밀
CN109909360A (zh) * 2019-03-22 2019-06-21 东莞市瑞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弧状刃部的刀具
KR102382441B1 (ko) * 2021-12-17 2022-04-01 최광준 황, 정삭 복합형 세레이션 가공 유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8577B (de) 1954-02-27 1961-11-30 Helmut Glimpel Dipl Ing Sacklochgewindebohrer mit Vor- und Nachschneidzahnleisten oder Sacklochgewindebohrersatz
DE10162430A1 (de) 2001-12-18 2003-07-10 Ernst Reime Vertriebs Gmbh Gewinde-Zirkularfräser
JP2014200912A (ja) * 2013-04-09 2014-10-27 エミューゲ ヴェルク リチャード グリン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カンパニー ケージー ファブリック ファープレーツィシオンスヴェルクツォイゲ 切削ねじ製造工具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363A (en) * 1916-01-18 Albert G Welch Antifriction-bearing.
US1447700A (en) * 1920-05-25 1923-03-06 Frank O Wells Tap for cutting threads
US2512241A (en) 1943-04-19 1950-06-20 John A Bradner Tool
GB1584771A (en) 1977-05-20 1981-02-18 Pass & Co Ltd E Taps for cutting screw threads
DE2852906C2 (de) 1978-12-07 1983-03-10 Ernst Reime GmbH & Co KG Spezialfabrik für Präzisionsgewindeschneidwerkzeuge, 8500 Nürnberg Innengewindefurcher
US4423893A (en) * 1981-02-18 1984-01-03 Holmes Horace D Self-sealing tapered thread form
GB8327581D0 (en) 1983-10-14 1983-11-16 Stellram Ltd Thread cutting
SU1168363A1 (ru) * 1984-02-20 1985-07-23 Lazebnik Igor S Черв чна фреза
DE4001483C2 (de) * 1990-01-19 1996-02-15 Glimpel Emuge Werk Gewindebohrer mit kegeligem Gewinde
US5316520A (en) * 1992-06-25 1994-05-31 Green William P Formation of threads with varying pitch
JP3740503B2 (ja) * 1996-02-23 2006-02-0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ネジ切り工具
EP1036625B1 (en) * 1998-10-19 2002-08-28 OSG Corporation Taper tap for pipe of material of high hardness
JP4526048B2 (ja) * 1999-07-09 2010-08-18 株式会社不二越 ねじ加工工具
US6345941B1 (en) * 2000-02-23 2002-02-12 Ati Properties, Inc. Thread milling tool having helical flutes
DE10030492C2 (de) 2000-06-21 2002-10-24 Neumayer Erich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utter, Gewindebohr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Mutter
JP2005271092A (ja) * 2004-03-23 2005-10-06 Tungaloy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ねじ切り工具およびねじ切り加工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5241196B2 (ja) 2007-10-25 2013-07-17 株式会社田野井製作所 太径雌ねじ加工用盛上げタップ
DE102009029715A1 (de) * 2009-06-16 2010-12-23 Komet Group Gmbh Werkzeug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US8602841B2 (en) 2009-06-25 2013-12-10 Harry Leroy Ellis Form tap and method of making such
JP5395010B2 (ja) 2010-08-04 2014-01-22 大信精機株式会社 めねじ加工方法および仕上げ用切削タップ
JP5601464B2 (ja) 2010-10-18 2014-10-08 日立ツール株式会社 高硬度材加工用ねじ切りフライス
JP5788579B1 (ja) 2014-09-08 2015-09-30 酒井精工株式会社 切削タ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8577B (de) 1954-02-27 1961-11-30 Helmut Glimpel Dipl Ing Sacklochgewindebohrer mit Vor- und Nachschneidzahnleisten oder Sacklochgewindebohrersatz
DE10162430A1 (de) 2001-12-18 2003-07-10 Ernst Reime Vertriebs Gmbh Gewinde-Zirkularfräser
JP2014200912A (ja) * 2013-04-09 2014-10-27 エミューゲ ヴェルク リチャード グリン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カンパニー ケージー ファブリック ファープレーツィシオンスヴェルクツォイゲ 切削ねじ製造工具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소련 특허공보 SU1168363(1985.07.2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30682A (zh) 2018-08-21
JPWO2017122557A1 (ja) 2018-11-01
CN108430682B (zh) 2020-06-12
WO2017122557A1 (ja) 2017-07-20
EP3403753A4 (en) 2019-10-09
US10940553B2 (en) 2021-03-09
EP3403753B1 (en) 2024-02-21
US20190009352A1 (en) 2019-01-10
KR20180102074A (ko) 2018-09-14
JP7006276B2 (ja) 2022-01-24
EP3403753A1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660B1 (ko) 나사 절삭 커터
CN104023884B (zh) 圆角立铣刀
JP5853613B2 (ja) 切削インサート
KR101351128B1 (ko) 엔드 밀
JP2007030074A (ja) ラジアスエンドミル及び切削加工方法
WO2015060392A1 (ja) ボールエンドミル
KR102133164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JP2016190299A (ja) 総形エンドミル
JPWO2008133199A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方法
US20150258616A1 (en) End mill
US20160207119A1 (en) Drill
CN110102808B (zh) 多凹槽端铣刀
JP6226114B2 (ja) ねじ切りフラ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管用めねじ加工方法
JP2006110683A (ja) エンドミル
WO2017043129A1 (ja) ドリル
JP5470796B2 (ja) 総形カッタ
JP6825400B2 (ja) テーパボールエンドミル
JP7491104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6930404B2 (ja) エンドミル
JP2018164946A (ja) ラジアスエンドミル
JP7491105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6044350B2 (ja) ヘリカルブローチ
KR102308963B1 (ko) 바이트 구조 및 절삭 커터
CN107971587A (zh) 螺纹回转加工中切螺纹用的切削镶刀及外螺纹构件的制造方法
JP2022016105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