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382B1 -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382B1
KR102584382B1 KR1020220105604A KR20220105604A KR102584382B1 KR 102584382 B1 KR102584382 B1 KR 102584382B1 KR 1020220105604 A KR1020220105604 A KR 1020220105604A KR 20220105604 A KR20220105604 A KR 20220105604A KR 102584382 B1 KR102584382 B1 KR 10258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odule
duct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혁
이세환
강준
임승철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9Ax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릴 조립체를 분리할 때 송풍모터와 송풍팬이 그릴 조립체에 달려나오지 않고 덕트 조립체에 고정된 채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를 위한 분리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판(110)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모터(310)는 모터 커버(320)를 씌워서 상기 모터 커버(320)를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 중앙부에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되며, 송풍팬(330)은 상기 모터 커버(32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모터(310)의 출력축(314)에 잠금너트(340)로 체결 고정되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전방에서 상기 송풍모듈(300)과는 물리적인 결합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상기 송풍모듈(300)이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드러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with Assembly Structure for Easy Cleaning of Blower Fans and duct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모터와 송풍팬을 그릴 조립체와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반면에 덕트 조립체에는 물리적으로 고정하여 송풍모터와 송풍팬 덕트 조립체에 일체화함으로써, 그릴 조립체를 분리할 때 송풍모터와 송풍팬이 그릴 조립체에 달려나오지 않고 덕트 조립체에 고정된 채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를 위한 분리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냉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시키는 일련의 냉매 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 공기 상태를 쾌적하게 조절하기 위한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응축기를 가지는 열방출부와 증발기를 가지는 열흡수부가 별개로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열방출부는 실외에 설치되므로 통상 '실외기'라 하고, 열흡수부는 공조 공간, 즉 실내에 설치되므로 '실내기'라고 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 중에는 특허문헌 1처럼 실내기의 전면에 예를 들어 원형의 전면토출구를 구비하고,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개방된 측면토출구를 구비한 형태들이 알려졌다.
또한, 특허문헌 2처럼 실내기의 전면에 예를 들어 원형의 전면토출구들만을 구비한 형태들이 알려졌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2를 포함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송풍팬과 덕트의 청소를 위한 분해 과정이 불편하고 복잡하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공기조화기는(특허문헌 1의 도면 3 내지 도면 4 참조),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송풍하기 위해 프런트캐비닛의 전면에 전방토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전방송풍모듈을 구비하며, 공기조화기의 측방으로 송풍하기 위해 리어어퍼케비닛의 측면 전방과 프런트캐비닛의 양측면 사이에 측면토출구 및 측면도어모듈을 구비하고 내부에 측방송풍모듈을 구비한 형태이다.
이 공기조화기에서는, 리어캐비닛의 내측에 위로부터 아래로 전방송풍가이드와 측방송풍가이드가 장착되고, 그 전방에 위로부터 아래로 전방송풍가이드와 측방송풍가이드가 배치되는데, 전방송풍가이드에 전방송풍팬과 전방송풍모터가 장착되는 한편 측방송풍가이드에 측방송풍팬과 측방송풍모터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방송풍모듈은, 공기 유동 덕트의 후방 벽을 이루는 전방송풍팬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측방송풍모듈은, 공기 유동 덕트의 후방 벽을 이루는측방송풍팬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공기 유동 덕트의 전방 벽은, 전방도어모듈 및 측방송풍모듈의 토출가이드가 각각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전방송풍팬과 전방송풍모터, 그리고 측방송풍팬과 측방송풍모터가 후방에 배치되는 송풍팬하우징에 장착(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송풍팬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도어모듈과 측면 토출가이드에 장착된다. 각 송풍모터는 전방도어모듈과 측면 토출가이드의 전방에서 조립되고, 각 송풍팬은 전방도어모듈과 측면 토출가이드의 후방으로 관통해 나온 송풍모터의 출력축에 조립된다.
만일, 송풍팬과 모터를 청소(또는 세척)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부터 프런트캐비닛, 측면 도어, 그리고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를 차례로 분리해 내면, 각각의 송풍팬과 모터가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에 일체로 달린 채 분리된다.
이 때문에, 분리된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를 바닥에 내려놓고, 송풍팬이 하늘을 향하게 한 후 송풍팬을 송풍모터의 출력축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를 뒤집어서 송풍모터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청소를 위한 분리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롭다.
또한,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 분리 시, 송풍팬을 송풍모터가 달려나오기 때문에, 바닥에 내려놓는 과정에서 송풍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뭉치(wiring harness)에 당김이 발생하여 단선의 위험이 생기거나, 전선의 길이가 짧으면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를 바닥에 내려놓기도 어려운 지경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전방도어모듈 및 측면 토출가이드를 분리해내지 않으면 송풍팬을 청소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복잡한 작업을 매번 수행하여야만 한다.
또한, 재조립 시에도, 전선뭉치 안착 시, 전선이 부품 간의 틈새에 끼일 가능성이 있어 단선이나 피복 벗겨짐이 발생하기 쉬워 전기적 위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토출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이 토출 플레이트에 3개의 개구를 형성하여 공기를 토출하는 형태의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조화기도, 후방에 덕트가 배치되고, 팬 구동부(모터)와 송풍팬은 상기 덕트 앞쪽의 유로형성프레임에 장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앞쪽의 유로형성프레임을 분리할 때 모터와 송풍팬이 함께 달려나오기 때문에, 모터와 송풍팬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유로형성프레임을 분리하여 뒤집어서 바닥에 내려놓고 작업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전술한 특허문헌 1의 공기조화기와 마찬가지로 분리 및 청소 작업을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전선뭉치의 당김 문제가 여전히 발생할 염려가 있다.
한편으로, 종래의 다른 공기조화기 중에는 모터와 송풍팬을 분리해 내더라도 덕트 부분이 모터와 송풍팬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어 있어 덕트의 청소가 어렵고, 그 때문에 덕트의 복잡한 분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특허문헌 1, 2를 위시하여 종래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들은 송풍팬과 모터의 청소를 위한 분리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각종의 위험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81615호(2022.06.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0293호(2017.01.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모터와 송풍팬을 그릴 조립체와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는 반면에 덕트 조립체에는 물리적으로 고정하여 송풍모터와 송풍팬 덕트 조립체에 일체화함으로써, 그릴 조립체를 분리할 때 송풍모터와 송풍팬이 그릴 조립체에 달려나오지 않고 덕트 조립체에 고정된 채 드러나도록 함으로써,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를 위한 분리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는, 본체 케이스(100a)는, 양측면의 측면판(110), 흡입구(40)가 형성된 배면판(150), 저면판(160) 및 상면판(170)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측면판(110)의 전방 부분에 측면 토출구(20)를 구비하며; 열교환기(6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0a) 내부에 상기 배면판(150)의 전방에 장입되어 장착되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는, 측면토출유로의 후방 벽을 제공하는 후방 유로 가이드(220)가 형성된 후방 덕트 모듈(200)과,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모터(310), 모터 커버(320) 및 송풍팬(330)을 구비한 송풍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판(110)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모터(310)는 상기 모터 커버(320)를 씌워서 상기 모터 커버(320)를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 중앙부에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330)은 상기 모터 커버(32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모터(310)의 출력축(314)에 잠금너트(340)로 체결 고정되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에 대응하여 측면토출유로의 전방 벽을 제공하는 전방 유로 가이드(41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전방에서 상기 송풍모듈(300)과는 물리적인 결합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상기 송풍모듈(300)이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드러나도록 구성되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상기 측면토출구(20)에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 전방에 체결 고정되며; 전면판(600)은,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플랜지(21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210)의 배면에 아래를 향하는 후크(24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상기 후크(240)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걸리는 후크(12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크(240)를 상기 측면판(110)의 후크(122)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물리는 것에 의해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크(240)를 상기 측면판(110)의 후크(122)로부터 아래에서 위로 밀어 빼내는 것에 의해 후방 덕트 모듈(200)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후크 수용부(12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122)는 상기 후크 수용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플랜지(210)와, 상기 장착 플랜지(210)의 중앙에 상기 모터(31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모터장착 허브(230)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듈(300)의 모터(310)는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후면이 지지 되며; 상기 모터 커버(320)는, 상기 모터(310)에 씌워져서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스크루(326)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복수의 플랜지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플랜지부(222)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랜지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22)의 전방에 상기 플랜지부(4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412)와 플랜지부(222)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414)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414)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보스부(224)의 전방에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4)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414)와 보스부(224)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상기 측면토출구(20)에 배치되고 몸체에 상기 측면토출구(20)로 토출 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그릴부(514)를 가진 측면토출그릴(510)과, 상기 측면토출구(20)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측면토출구 도어(5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를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유로 가이드(410)에 스크루(5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전면에는 복수의 보스부(416)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의 배면에는 보스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6)의 전방에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보스부(5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512)와 보스부(416)에 상기 스크루(5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600)의 하단에는 하향 플랜지부(610)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판(600)의 상단에는 후향 플랜지부(620)가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160)의 전단 상면에는, 상기 하향 플랜지부(610)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는 삽입홈(16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600)의 후향 플랜지부(620)에는 복수의 체결구멍(6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판(170)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구멍(622)에 대응하는 체결구멍(17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600)의 하향 플랜지부(610)를 상기 저면판(160)의 삽입홈(162)에 끼우면서 전면판(600)을 후방으로 밀어 후향 플랜지부(620)를 상기 상면판(170)과 상하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후향 플랜지부(620)의 체결구멍(622)과 상기 상면판(170)의 체결구멍(172)에 스크루(63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송풍모듈(300)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과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복수개의 송풍모듈(300)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굴곡된 복수의 그릴 블레이드를 가지는 정면풍 그릴부(514a)와, 상기 최상단의 전방 덕트 조립체(400a)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 대응하여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측방을 향하는 복수의 그릴 블레이드를 가지는 측면풍 그릴부(51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앞쪽에서부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모터(310)와 송풍팬(330)이 후방의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채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모터(310)와 송풍팬(330)을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창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작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모듈(300)을 분리하여 세척하고자 할 때에도, 잠금너트(340)만 풀면 송풍팬(330)만 분리되고 모터(310)는 계속하여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송풍팬(330)의 분리 및 청소가 쉬울뿐만 아니라 모터(310)를 위한 전선뭉치가 함께 달려나오는 일이 발생할 수 없어서 매우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310) 및 송풍팬(330)과 같이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유로의 후방 벽)(220)가 전방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모터(310) 및 송풍팬(330)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청소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송풍팬(330)을 분리해 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후방 유로 가이드(220)가 완전히 드러나므로, 이 경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면에 대한 청소작업을 더욱 쉽게 수행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후방 덕트 모듈(200)이 측면판(110)에 후크(122)(240)에 의해 조립되므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후방 덕트 모듈(200)에 플랜지부(412)(222)와 스크루(450)로 전방에서 간단하게 체결, 분리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조립과 분리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를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에 보스부(512)(416)와 스크루(550)로 전방에서 간단하게 체결, 분리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조립과 분리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판(600)의 하단에 형성된 하향 플랜지부(610)를 저면판(160)의 삽입홈(162)에 끼운 다음, 전면판(600)의 후향 플랜지부(620)를 상면판(170)의 전단에 겹쳐서 스크루(630)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전면판(600)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모터(310) 및 송풍팬(330), 그리고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조립, 분리 및 청소가 쉬울 뿐만아니라,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전체 부품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우수한 공기조화기를 구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평단면도로서, 도 4a는 정면풍 그릴부(514a)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측면풍 그릴부(514b)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케이스(100a)에 대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후방 덕트 모듈(200)의 장착 플랜지(210)에 형성된 후크(240)와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에 형성된 후크(1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후방 덕트 모듈(200)의 장착 플랜지(210)에 형성된 후크(240)와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에 형성된 후크(1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덕트 모듈(200)과 송풍모듈(3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만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덕트 조립체(400a)와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케이스(100a)와 전면판(600)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저면판(160)에 대한 전면판(6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상면판(170)에 대한 전면판(600)의 조립 과정을 성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판(600),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 및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였을 때의 송풍모듈(30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차례로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 및 조립, 분리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본체 케이스(100a)의 전방을 전면판(600)으로 막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 케이스(100a)의 좌우 양측 면의 전방 부분에는 측면토출구(20)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측면토출구(20)는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에 의해 개폐된다.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공기의 방향을 전방 또는 측방을 향하도록 하는 그릴의 역할과 측면토출구(20)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판(600)에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개구나 전방토출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측면토출구(20)만을 구비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측면토출구(20)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전면풍 토출구와 특면으로 토출하는 측면풍 토출구의 역할을 모두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토출구(20)에 전면풍 토출구의 기능과 측면풍 토출구의 기능을 함께 부여하면, 특허문헌 1, 2를 위시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와는 다르게, 본체 케이스(100a)의 전면판(600)에 전면풍을 토출하기 위한 별도의 전면풍 토출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면판(600)을 더욱 다양하고 자유로운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600)에 다양한 형상 모양을 부여한 장식부(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식부(30)는 공기가 토출되지 못하게 막혀있는 부분으로서, 단순히 전면판(600)의 표면 형상 및 모양을 특별하게 꾸민 것이다.
또는, 전면판(600)에 전면 토출구가 없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고, 또는 전면판(600)에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가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배치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100a)는, 정면이 개방되어 있는 박스 모양을 가진다. 즉, 양측면의 측면판(110), 흡입구(40)가 형성된 배면판(150), 저면판(160) 및 상면판(17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600)은 측면판(110), 저면판(160) 및 상면판(170)의 전단을 막는 형태로 설치된다.
조립 순서대로 설명하면, 본체 케이스(100a)에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 전방 덕트 조립체(400a),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 및 전면판(600)이 차례로 조립된다.
본체 케이스(100a)의 내부에는 가장 먼저 열교환기(60)가 장착된다. 즉, 열교환기(60)는 본체 케이스(100a)의 전방으로부터 장입되어 배면판(150)에 가까운 위치에 장착된다.
열교환기(60)의 전방에는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가 장착된다.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측면판(110)에 조립된다.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는, 후방 덕트 모듈(200)과 송풍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후방 덕트 모듈(200)은 측면토출구(20)를 향하는 토출유로의 후방 벽을 제공하는 한편, 송풍모듈(300)을 장착하기 위한 부재의 역할을 한다.
후방 덕트 모듈(200)은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에 조립(결합)되고, 송풍모듈(300)은 이러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송풍모듈(300)이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면에 장착되면, 송풍모듈(300)은 후방 덕트 모듈(200)과 한 몸체가 된다.
송풍모듈(300)은 모터(310), 모터 커버(320) 및 송풍팬(330)을 구비한다.
모터(310)는 모터 커버(320)에 의해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되고, 송풍팬(330)은 모터 커버(32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모터(310)의 출력축에 고정된다.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전방에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송풍모듈(300)과는 물리적인 조립이나 결합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후방 덕트 모듈(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떼어내면 상기 송풍모듈(300)이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전술한 측면토출구(20)에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에 결합한다.
전면판(600)은,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전방에서 본체 케이스(10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측면토출구(20)에 대응해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맞추어 송풍모듈(300)은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는, 총 4개의 송풍모듈(300)이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송풍모듈(300)의 개수에 따라 후방 덕트 모듈(200) 및 전방 덕트 조립체(400a)도 4개의 덕트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면토출구(20)는 전면풍 토출구의 기능과 측면풍 토출구의 기능을 함께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서 풍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그릴의 형태를 상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송풍팬(330) 중 최상단의 송풍팬(3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면풍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그 아래 3개의 송풍팬(3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측면풍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최상단 일부 구간의 그릴을 전면풍으로 유도하기 위한 정면풍 그릴부(514a)(도 3 참조)로 구성하고, 그 아래 나머지 구간을 측면풍 그릴부(514b)로 구성할 수 있다(추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전면풍 토출 구간과 측면풍 토출 구간의 개수나 설치지점에 어떠한 제한은 없으며, 필요에 따라 설치 개수를 증감하거나 위치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풍 토출 구간과 측면풍 토출 구간을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서, 전면풍을 송풍하도록 설정된 구간(도 2에서 최상단 구간)에는, 토출유로의 전방 벽을 형성하고 있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측면에 가이드 베인(402)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인(402)은 송풍팬(330)에 의한 회전류를 정류하여 직선류로 만들어 보냄으로써 전면풍의 직선 도달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내지 도 4a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를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구조를 살펴본다. 다만,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도 4a는, 도 2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송풍팬(330)을 중심으로 절단함으로써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가 정면풍 그릴부(514a)로 이루어진 구간이 나타나 있다. 도 4b는, 도 2에서 최상단의 송풍팬(33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송풍팬(330)을 중심으로 절단함으로써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가 측면풍 그릴부(514b)로 이루어진 구간이 나타나 있다.
본체 케이스(100a)는, 양측면의 측면판(110), 흡입구(40)가 형성된 배면판(150), 저면판(160) 및 상면판(170)을 구비한다. 전면판(600)은 본체 케이스(100a)의 전방을 막는 형태로 설치된다. 측면판(110)의 전방 부분에는 측면 토출구(20)가 개구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0a)의 배면판(150)에 흡입구(40)가 형성되고, 그 흡입구(40)에 흡입구 필터(50)가 구비되며, 흡입구 필터(50)의 내측으로 열교환기(6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60)의 전방에는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후방 덕트 모듈(200)이 설치되고, 후방 덕트 모듈(200)에 송풍모듈(300)이 장착되며, 송풍모듈(300)의 전방에 전방 덕트 조립체(400a)가 설치되고, 양측방의 측면토출구(20) 부분에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가 설치되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전방에 전면판(600)이 설치된다.
추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후방 덕트 모듈(200)은, 장착 플랜지(21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구비하는 한편, 장착 플랜지(2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모터장착 허브(230)를 구비한다.
후방 유로 가이드(220)는 측면토출구(20)를 향하는 토출 유로의 후방 벽을 이룬다.
후방 덕트 모듈(200)의 모터장착 허브(230)에는 모터(310)가 장착되고, 모터 커버(320)는 상기 모터(310)를 씌운 상태에서 모터장착 허브(230)에 고정된다. 모터(310)로부터 연장되어 모터 커버(32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출력축(314)에 송풍팬(330)을 끼우고 잠금너트(34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전방 유로 가이드(410)를 구비한다. 전방 유로 가이드(410)는 측면토출구(20)를 향하는 토출 유로의 전방 벽을 이룬다. 따라서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 사이에 토출 유로 공간이 확보된다.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후술하겠지만,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된다.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송풍모듈(300)에 어떤 물리적인 결합이 없다. 따라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송풍모듈(300)과는 별개로 분리된다.
도 4a에 도시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풍을 정류하기 위한 가이드 베인(4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b에 도시된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는 상기 가이드 베인(402)이 없다. 측면풍은 공기조화기의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3개의 송풍팬에 대응하는 정도의 긴 길이) 연장된 측면토출구(20) 구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굳이 가이드 베인(402)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측면토출그릴(510)과 측면토출구 도어(520)가 결합한 조립체이다.
측면토출그릴(510)은 그것의 몸체가 전방 유로 가이드(410)에 보스부(420)를 통해 고정된다.
측면토출구 도어(520)는, 측면토출구(20)를 가리는 위치와 전면판(600) 안쪽으로 숨겨지는 위치 사이를 회동한다.
측면토출그릴(510)은 그릴부(514)를 포함하는데, 도 4a의 그릴부(514)의 형태는 정면풍 그릴부(514a)로 이루어지고, 도 4b의 그릴부(514)의 형태는 측면풍 그릴부(514b)로 이루어진다. 정면풍 그릴부(514a)는 토출 유로를 연장한 형상의 부분과, 그로부터 전방으로 절곡하여 연장한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구체적인 조립 및 분리 구조와 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 모든 분리방향은 조립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4a 및 도 4b를 나란히 참조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은 본체 케이스(100a)에 대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후방 덕트 모듈(200)의 장착 플랜지(210)에 형성된 후크(240)와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에 형성된 후크(1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후방 덕트 모듈(200)의 장착 플랜지(210)에 형성된 후크(240)와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에 형성된 후크(12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100a)에 내부 후방에는 열교환기(60)가 장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덕트 모듈(200)은, 장착 플랜지(210), 후방 유로 가이드(220) 및 모터장착 허브(230)를 구비한다. 모터장착 허브(230)는 장착 플랜지(210)의 중앙에 형성된다.
장착 플랜지(210)의 배면에는 복수의 후크(240)가 형성된다. 후크(240)는 끝이 아래를 향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후크(1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후크 수용부(120)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이 후크 수용부(120)에 상기 후크(122)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 수용부(120)에 의하면 후크(240)의 조립 위치를 잡아주는 한편, 후크(240)와 후크(122)를 보호할 수 있다.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크(240)를 측면판(110)의 후크(122)에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하게 끼운 다음, 후방 덕트 모듈(200)을 세우고 아래로 누르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후크(122)에 후크(240)가 맞물려 걸림으로써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후방 덕트 모듈(200)의 분리는, 조립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즉, 후방 덕트 모듈(200)을 위로 살짝 들어올려 후크(122)로부터 후크(240)를 이탈시키고, 이어서 후방 덕트 모듈(200)을 전방으로 기울이면서 뽑아내면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후방 덕트 모듈(200)이 측면판(110)에 후크(122)(240)에 의해 조립 및 분리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매우 쉽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은 후방 덕트 모듈(200)과 송풍모듈(3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에는 일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풍모듈(300)은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 고정된다. 송풍모듈(300)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와는 조립되지 않는다.
후방 덕트 모듈(200)은,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플랜지(210)와, 장착 플랜지(210)의 중앙에 모터(31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모터장착 허브(230)를 포함한다.
송풍모듈(300)의 모터(310)는,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후면이 지지 되며, 모터 커버(320)는, 상기 모터 커버(320)에 씌워져서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스크루(326)로 체결 고정된다.
스크루(326)의 체결을 위해, 모터장착 허브(230)에는 복수의 플랜지부(324)를 형성하고, 모터 커버(320)에는 복수의 플랜지부(32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장착 허브(230)에는 플랜지부(324)에, 전방에서 모터 커버(320)의 플랜지부(324)를 맞댄 상태에서 스크루(32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모터 커버(320)의 보어(322)를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모터(310)의 출력축(314)에 송풍팬(330)을 끼우고, 이어서 드러난 출력축(314)에 잠금너트(340)를 체결하면 송풍팬(3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터(310), 모터 커버(320) 및 송풍팬(330)을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서 조립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 분리 작업이 매우 쉽다.
또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모터(310)와 송풍팬(330)은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채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모터(310)와 송풍팬(330)을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창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작업도 매우 쉽다.
또한, 송풍모듈(300)을 분리하여 세척하고자 할 때에도, 잠금너트(340)만 풀면 송풍팬(330)만 분리되고 모터(310)는 계속하여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송풍팬(330)의 분리 및 청소가 쉬울 뿐만 아니라 모터(310)를 위한 전선뭉치가 함께 달려나오는 일이 발생할 일이 없고, 그에 따라 전기적으로도 매우 안전하다.
또한, 모터(310) 및 송풍팬(330)과 같이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유로의 후방 벽)(220)가 전방으로 드러나는 형태이기 때문에, 모터(310) 및 송풍팬(330)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청소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송풍팬(330)을 분리해 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후방 유로 가이드(220)가 완전히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면에 대한 청소작업을 더욱 쉽게 수행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는,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만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앞서 설명한 전방 유로 가이드(410)를 구비한다. 전방 유로 가이드(410) 중 최상단의 것을 전면풍을 위한 유로 가이드로 삼을 경우에는,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측면에 가이드 베인(402)을 형성할 수 있다.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복수의 플랜지부(222)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복수의 플랜지부(4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플랜지부(222)의 전방에 상기 플랜지부(4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412)와 플랜지부(222)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송풍모듈(300)과 물리적으로 조립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414)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부(414)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22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후방 덕트 모듈(200)의 보스부(224)의 전방에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4)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414)와 보스부(224)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분리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450)를 푸는 것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부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310)와 송풍팬(330)이 후방의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채 그대로 드러나게 된다.
즉, 도 12의 오른쪽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모터(310)와 송풍팬(330)을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창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드러난다. 이 상태에서도 송풍팬(330)과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장점들을 누릴 수 있다. 즉, 송풍모듈(300)을 분리하여 세척하고자 할 때에도, 잠금너트(340)만 풀면 송풍팬(330)만 분리되고 모터(310)는 계속하여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송풍팬(330)의 분리 및 청소가 쉬울뿐만 아니라 모터(310)를 위한 전선뭉치가 함께 달려나오는 일이 발생할 수 없어서 매우 안전하다.
또한, 모터(310) 및 송풍팬(330)과 같이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유로의 후방 벽)(220)가 전방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모터(310) 및 송풍팬(330)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청소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송풍팬(330)을 분리해 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후방 유로 가이드(220)가 완전히 드러나므로, 이 경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면에 대한 청소작업을 더욱 쉽게 수행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덕트 조립체(400a)와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3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와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측면토출구(20)에 배치되고 몸체에 상기 측면토출구(20)를 향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그릴부(514)를 가진 측면토출그릴(510)과, 상기 측면토출구(20)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측면토출구 도어(520)를 포함한다.
그릴부(514) 중 최상단 구간의 그릴부는 정면풍 그릴부(514a)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아래쪽의 나머지 그릴부(514)는 측면풍 그릴부(514b)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를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유로 가이드(410)에 스크루(550)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스크루(550)의 체결을 위해,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전면에는 복수의 보스부(416)가 형성되고,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의 배면에 복수의 보스부(51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6)의 전방에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보스부(5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512)와 보스부(416)에 상기 스크루(55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분리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550)를 풀어내는 것으로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를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에 보스부(512)(416)와 스크루(550)로 전방에서 간단하게 체결, 분리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조립과 분리가 매우 쉽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 케이스(100a)와 전면판(600)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7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도 17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저면판(160)에 대한 전면판(6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상면판(170)에 대한 전면판(600)의 조립 과정을 성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전면판(600)의 하단에는 하향 플랜지부(610)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판(600)의 상단에는 후향 플랜지부(6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판(160)의 전단 상면에는, 상기 하향 플랜지부(610)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는 삽입홈(162)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판(600)의 후향 플랜지부(620)에는 복수의 체결구멍(6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판(170)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구멍(622)에 대응하는 체결구멍(17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판(600)의 하향 플랜지부(610)를 저면판(160)의 삽입홈(162)에 끼운다. 이상태에서 전면판(600)을 후방으로 밀면, 도 20과 같이 후향 플랜지부(620)가 상면판(170)에 상하방향으로 겹치게 된다.
이에, 상기 후향 플랜지부(620)의 체결구멍(622)과 상기 상면판(170)의 체결구멍(172)에 스크루(63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면판(600)의 하단에 형성된 하향 플랜지부(610)를 저면판(160)의 삽입홈(162)에 끼운 다음, 전면판(600)의 후향 플랜지부(620)를 상면판(170)의 전단에 겹쳐서 스크루(630)로 체결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전면판(600)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쉽다.
다음으로, 도 2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전면판(600),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 및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였을 때의 송풍모듈(300)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분리에 맞추어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각 요소들을 분리한다.
즉,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전면판(600)을 분리하고, 이어서 양측의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를 분리하며, 이어서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한다.
그러면, 모터(310)와 송풍팬(330)은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드러나게 되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앞면도 드러나게 된다.
이처럼 모터(310)와 송풍팬(330)을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창작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송풍팬(330)과 후방 유로 가이드(220)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작업이 매우 쉽다.
또한, 송풍팬(330)을 완전히 분리하여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잠금너트(340)만 풀면 송풍팬(330)만 분리되고 모터(310)는 계속하여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송풍팬(330)의 분리가 매우 쉽다. 즉, 종래처럼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뒤집는 등의 수고가 필요없다.
또한, 모터(310)를 후방 덕트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터(310)에 연결된 전선뭉치가 함께 달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일이 없다. 따라서, 전기적으로도 매우 안전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공기조화기
20: 측면토출구
30: 장식부
40: 흡입구
50: 필터
60: 열교환기
100a: 본체 케이스
110: 측면판
120: 후크 수용부
122: 후크
150: 배면판
160: 저면판
162: 삽입홈
170: 상면판
172: 체결구멍
200a :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
200: 후방 덕트 모듈
210: 장착 플랜지
220: 후방 유로 가이드
222: 플랜지부
224: 보스부
230: 모터장착 허브
240: 후크
300: 송풍모듈
310: 모터
312: 하우징 연장부
314: 출력축
320: 모터 커버
322: 보어
324: 플랜지부
326: 스크루
330: 송풍팬
332: 허브
340: 잠금너트
400a: 전방 덕트 조립체
402: 가이드 베인
410: 전방 유로 가이드
412: 플랜지부
414, 416: 보스부
450: 스크루
500a: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
510: 측면토출그릴
512: 보스부
514: 그릴부
514a: 정면풍 그릴부
514b: 측면풍 그릴부
520: 측면토출구 도어
550: 스크루
600: 전면판
610: 하향 플랜지부
620: 후향 플랜지부
622: 체결구멍
630: 스크루

Claims (10)

  1. 본체 케이스(100a)는, 양측면의 측면판(110), 흡입구(40)가 형성된 배면판(150), 저면판(160) 및 상면판(170)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측면판(110)의 전방 부분에 측면 토출구(20)를 구비하며; 열교환기(60)는, 상기 본체 케이스(100a) 내부에 상기 배면판(150)의 전방에 장입되어 장착되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는, 측면토출유로의 후방 벽을 제공하는 후방 유로 가이드(220)가 형성된 후방 덕트 모듈(200)과,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모터(310), 모터 커버(320) 및 송풍팬(330)을 구비한 송풍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판(110)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모터(310)는 상기 모터 커버(320)를 씌워서 상기 모터 커버(320)를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전방 중앙부에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되며, 상기 송풍팬(330)은 상기 모터 커버(32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모터(310)의 출력축(314)에 잠금너트(340)로 체결 고정되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에 대응하여 측면토출유로의 전방 벽을 제공하는 전방 유로 가이드(41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송풍 및 후방 덕트 조립체(200a)의 전방에서 상기 송풍모듈(300)과는 물리적인 결합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를 분리하면 상기 송풍모듈(300)이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에 고정된 상태 그대로 드러나도록 구성되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상기 측면토출구(20)에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 전방에 체결 고정되며; 전면판(600)은,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전방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플랜지(21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210)의 배면에 아래를 향하는 후크(24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상기 후크(240)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걸리는 후크(12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크(240)를 상기 측면판(110)의 후크(122)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물리는 것에 의해 후방 덕트 모듈(200)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크(240)를 상기 측면판(110)의 후크(122)로부터 아래에서 위로 밀어 빼내는 것에 의해 후방 덕트 모듈(200)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0a)의 측면판(110)의 내면에는 후크 수용부(12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122)는 상기 후크 수용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은,
    상기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장착 플랜지(210)와,
    상기 장착 플랜지(210)의 중앙에 상기 모터(31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모터장착 허브(230)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듈(300)의 모터(310)는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후면이 지지 되며,
    상기 모터 커버(320)는, 상기 모터(310)에 씌워져서 상기 모터장착 허브(230)에 스크루(326)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후방 유로 가이드(220)의 상단과 하단에는 복수의 플랜지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플랜지부(222)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랜지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22)의 전방에 상기 플랜지부(4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412)와 플랜지부(222)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414)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414)에 대응하여,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중간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의 보스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의 보스부(224)의 전방에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4)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414)와 보스부(224)에 스크루(4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상기 측면토출구(20)에 배치되고 몸체에 상기 측면토출구(20)로 토출 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그릴부(514)를 가진 측면토출그릴(510)과, 상기 측면토출구(20)를 개폐하도록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측면토출구 도어(5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에서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를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유로 가이드(410)에 스크루(55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전방 유로 가이드(410)의 전면에는 복수의 보스부(416)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의 측면토출그릴(510)의 몸체의 배면에는 보스부(512)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의 보스부(416)의 전방에 상기 측면토출그릴(510)의 보스부(512)를 맞대고, 전방으로부터 상기 보스부(512)와 보스부(416)에 상기 스크루(55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600)의 하단에는 하향 플랜지부(610)가 연장 형성되고, 전면판(600)의 상단에는 후향 플랜지부(620)가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160)의 전단 상면에는, 상기 하향 플랜지부(610)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는 삽입홈(16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600)의 후향 플랜지부(620)에는 복수의 체결구멍(6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판(170)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구멍(622)에 대응하는 체결구멍(17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600)의 하향 플랜지부(610)를 상기 저면판(160)의 삽입홈(162)에 끼우면서 전면판(600)을 후방으로 밀어 후향 플랜지부(620)를 상기 상면판(170)과 상하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후향 플랜지부(620)의 체결구멍(622)과 상기 상면판(170)의 체결구멍(172)에 스크루(63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300)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 덕트 모듈(200)과 상기 전방 덕트 조립체(400a)는 상기 복수개의 송풍모듈(300)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토출구 그릴 조립체(500a)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전방을 향해 굴곡된 복수의 그릴 블레이드를 가지는 정면풍 그릴부(514a)와, 상기 최상단의 전방 덕트 조립체(400a)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방 덕트 조립체(400a)에 대응하여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측방을 향하는 복수의 그릴 블레이드를 가지는 측면풍 그릴부(51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105604A 2022-08-23 2022-08-23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258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04A KR102584382B1 (ko) 2022-08-23 2022-08-23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04A KR102584382B1 (ko) 2022-08-23 2022-08-23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382B1 true KR102584382B1 (ko) 2023-10-05

Family

ID=8829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04A KR102584382B1 (ko) 2022-08-23 2022-08-23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698A (ko) * 2015-07-17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081615A (ko) 2020-12-09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105952A (ko) * 2021-01-21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698A (ko) * 2015-07-17 201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081615A (ko) 2020-12-09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105952A (ko) * 2021-01-21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7377B1 (en) Indoor unit of an airconditioner comprising at least one cross-flow fan
KR100296570B1 (ko) 에어컨용스냅끼워맞춤필터
CN114593459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271458B1 (ko) 압축기장착장치
KR100264872B1 (ko) 에어컨 실외부 구조
KR102584382B1 (ko)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0306189B1 (ko) 에어컨용증발기모듈
KR100264871B1 (ko) 에어컨용 모터 장착부
KR100264870B1 (ko) 에어컨용 실내 그릴 장착체
KR100322221B1 (ko) 커패시터덮개
KR19990082438A (ko) 에어컨의 실내 부분 구조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82436A (ko) 복합 룸 및 분리 에어컨
JP5507160B2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JP3327504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7568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S63220037A (ja) 一体形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羽根取付装置
KR0168262B1 (ko) 창문형 에어컨
JP3978986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15874A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폐구조
KR20240102399A (ko) 공기조화기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CN116105355A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070077360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5933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