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273B1 -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273B1
KR102583273B1 KR1020220005181A KR20220005181A KR102583273B1 KR 102583273 B1 KR102583273 B1 KR 102583273B1 KR 1020220005181 A KR1020220005181 A KR 1020220005181A KR 20220005181 A KR20220005181 A KR 20220005181A KR 102583273 B1 KR102583273 B1 KR 10258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sliding guide
ca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329A (ko
Inventor
김우남
전준형
이소현
Original Assignee
김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남 filed Critical 김우남
Priority to KR102022000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27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70Flowers; Pots;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리스트를 비롯한 영세 자영업자가 본인의 승용차를 이용하여 승용차 내부에 싣고 운반하기 힘들거나 불가능한 키 큰 식물 등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캐리어에 적재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본인의 승용차로 운반하기 어려운 짐을 싣기 위해 별도의 시간과 비용으로 용달 트럭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3 프레임; 제1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드;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가드; 제3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가드;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차량의 후방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베이스의 일측 단부에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차량의 후방 하부로부터 분리한 후 절곡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히치부를 포함하는,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omitted}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경차, 세단, SUV(Sport Utility Vehicle), MPV(Multi-purpose Vehicle) 등 다양한 종류의 승용차는 차량 내부에 일정 정도의 적재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승용차는 트렁크를 비롯한 적재 공간에 짐을 싣고 다양한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자전거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싣기 어려운 물건은 차량 외부에도 적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자전거 거치대가 출시되어 상용화되었으며, 카약 등 해양 레저용 캐리어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짐 중에는 식물과 같이 차량의 내부에 적재하기 곤란한 것들이 있다.
예컨대 플로리스트는 꽃집을 운영하면서 꽃, 나무, 난 등의 식물을 진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플로리스트는 가까운 원예농가나 원예시장에서 이러한 식물들을 정기적으로 구매하고 있다.
구매한 식물 중 키가 큰 품종의 경우 차량의 내부에 싣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차량까지의 운반이 어렵다. 영세 자영업자들이 본인의 승용차를 이용하여 원예시장에서 큰 식물을 구매하여 본인의 매장까지 운반해 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시장에서 이러한 큰 상품을 구매한 후 본인이 타고 간 차량 내부로 운반해 오는 것이 힘들다.
둘째, 식물의 키로 인하여 차량의 내부에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셋째, 차량의 시트를 접은 후 식물을 눕혀서 탑재할 경우 식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차량의 길이보다 큰 나무는 탑재 자체가 불가능하다.
다섯째, 차량용 자전거 거치대 등을 활용할 경우 식물 화분을 거치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며, 차량에 자전거 거치대를 비롯한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원예시장에서 큰 상품을 운반해 와서 거치대에 탑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여섯째, 기존의 차량 장착식 캠핑용 캐리어를 활용할 경우에도 원예시장에서 큰 상품을 캠핑용 캐리어까지 운반해야 하고, 차량 운행시 캐리어의 바퀴에 전달되는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이 그대로 식물 화분에 전달되어 손상 및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용달 트럭을 이용할 경우 영세 자영업자에게는 큰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고, 그 비용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낳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567723호 (2015.11.03.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승용차만을 보유한 플로리스트를 포함한 자영업자들이 용달 트럭을 부를 필요없이 자차로 키 큰 짐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3 프레임; 제1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드;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가드; 제3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가드;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차량의 후방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베이스의 일측 단부에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차량의 후방 하부로부터 분리한 후 절곡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히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는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제2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 제2 프레임과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연결하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2 프레임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2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제1 승강부; 제3 프레임의 하부에 제3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및 제3 프레임과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연결하되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3 프레임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3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는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할 수 있고, 리프팅 착탈홈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 가드; 및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식물을 포함한 짐을 플레이트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바퀴를 포함하는 카트를 더 포함하며,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베이스의 상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리프팅 착탈돌기가 구비되며, 차량에 차량 히치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트에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하여 차량 방향으로 운반한 후, 접혀 있는 제1 가드와 제2 가드 및 제3 가드를 회동시켜 펼쳐 세우고,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하강시키고, 카트를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 사이로 정렬하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의 각 슬라이딩 홈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4 가드를 잡고 카트를 차량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플레이트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되고,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상승시키면 식물을 포함한 짐이 적재된 상태로 카트가 상승하면서 플레이트의 리프팅 착탈홈과 베이스의 리프팅 착탈돌기가 서로 결합하여 사방이 제1 가드 내지 제4 가드로 막힌 적재공간이 만들어지고, 운반용 바퀴는 도로 바닥과 이격되어 차량 운행시 카트의 운반용 바퀴가 노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리스트를 비롯한 영세 자영업자가 본인의 승용차를 이용하여 승용차 내부에 싣고 운반하기 힘들거나 불가능한 키 큰 식물 등을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캐리어에 적재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인의 승용차로 운반하기 어려운 짐을 싣기 위해 별도의 시간과 비용으로 용달 트럭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의 본체와 카트를 자유롭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원예시장 등에서 키 큰 식물을 구매할 때 본체로부터 카트를 분리하여 카트를 끌고 장을 본 후 구매한 물건을 카트에 담아 차량 후방의 본체까지 이동한 후 본체에 결합하여 차량을 통해 본인의 매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캐리어 본체와 카트를 착탈할 수 있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캐리어 본체에 카트를 결합한 상태로 카트를 지면에서 멀어지는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함으로써, 카트의 운반용 바퀴가 도로 바닥과 이격되어 차량 운행시 운반용 바퀴에 전달되는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이 그대로 식물 화분에 전달되어 손상 및 파손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어 본체와 카트의 가드를 각각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캐리어 본체와 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가드를 접을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분리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가드를 펼쳐 세운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4는 가드를 접어 눕힌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차량 히치부를 절곡시킨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체에 카트를 결합하여 리프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카트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 모두 단위 유닛 2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가드를 펼쳐 세운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가드를 접어 눕힌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차량 히치부를 절곡시킨 상태의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체에 카트를 결합하여 리프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카트를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는,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와 카트(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는 차량의 후방 하부에 착탈 가능하며, 키 큰 식물을 구매하러 차량을 가지고 원예시장에 갈 때 차량 후방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어 원예시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트(101)는 본체(1)에 착탈 가능하며, 본체(1)에 카트(101)를 결합한 상태로 원예시장으로 이동한다. 이때, 본체(1)의 제1 가드 내지 제3 가드(12, 14, 16)와 카트의 제4 가드(112))는 도 4와 같이 접은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예시장에 도착하면 카트(101)를 본체(1)로부터 분리하고, 카트(101)만 끌고 원예시장에서 키 큰 식물을 카트(101)에 적재한다. 키 큰 식물이 적재된 카트(101)를 끌고 차량으로 이동하여 본체(1)에 카트를 결합한 후 차량을 가지고 본인의 매장으로 운반해온다.
한편, 원예시장으로 이동시 차량에는 본체(1)만 장착되어 있고, 카트(101)는 접은 상태(도 10 참조)로 차량 내부에 싣고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예시장에 도착하면 차량 내부에서 카트(101)를 꺼내어 끌고 식물 구매처로 이동한다.
차량을 평상시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 하부에서 본체(1)를 분리하여 제1 가드 내지 제3 가드(12, 14, 16)를 접은 후 보관할 수 있다. 차량 후방에 짐을 적재하고 이동해야 할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 하부에 본체(1)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체(1)는 제1 프레임(2), 제2 프레임(4), 제3 프레임(6), 제1 가드(12), 제2 가드(14), 제3 가드(16), 베이스(20), 리프팅 착탈돌기(22), 차량 히치부(24), 연결부(26),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 제1 승강부(34),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 제2 승강부(44)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2, 4, 6)은 서로 연결되되, 제1 프레임(2)을 중심으로 제2 프레임(4)과 제3 프레임(6)이 제1 프레임(2)에 대하여 절곡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2, 4, 6)은 도 1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레임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프레임(4)은 제1 프레임(2)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2)에 대하여 절곡된다.
제3 프레임(6)은 제1 프레임(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2)에 대하여 절곡된다.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2, 4, 6)은 본체(1)의 전체적인 뼈대를 구성하고, 제1 가드 내지 제3 가드(12, 14, 16)를 지지한다.
제1 가드 내지 제3 가드(12, 14, 16)는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2, 4, 6) 상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적재공단의 울타리를 형성한다.
제1 가드(12)는 제1 프레임(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가드(14)는 제2 프레임(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가드(16)는 제3 프레임(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베이스(20)는 제1 프레임(2)의 하부에 결합된다. 베이스(20)는 차량 히치부(24)와 연결되어 제1 프레임 내지 제3 프레임(2, 4, 6)을 포함한 본체(1)를 지지하면서 본체(1)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리프팅 착탈돌기(22)는 베이스(20)의 다른 부분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베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된다. 리프팅 착탈돌기(22)는 플레이트(102)의 리프팅 착탈홈(106)에 부합되는 길이와 폭을 갖는다. 카트(101)를 본체(1)에 결합시 카트(101)의 리프팅 착탈홈(106)은 본체(1)의 리프팅 착탈돌기(22)와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차량 히치부(24)는 차량의 후방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차량 히치부(24)는 베이스(20)의 일측 단부에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부(26)에 의해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히치부(24)는 차량의 후방 하부로부터 분리한 후 절곡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체(1)와 카트(101)의 제1 가드 내지 제4 가드(12, 14, 16, 112)는 접어서 눕히는 것이 간편하다.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는 제2 프레임(4)의 하부에 제2 프레임(4)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프레임(4)은 제1 승강부(3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승강부(34)는 제2 프레임(4)과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연결하되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제2 프레임(4)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제2 프레임(4)과 반대방향(차량 장착시 지면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는 제3 프레임(6)의 하부에 제3 프레임(6)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와 제3 프레임(6)은 제2 승강부(4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2 승강부(44)는 제3 프레임(6)과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연결하되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제3 프레임(6)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제3 프레임(6)과 반대방향(차량 장착시 지면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슬라이딩 홈을 구비한다.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의 각 슬라이딩 홈에는 카트(101)의 플레이트(102) 일측 단부(108)와 타측 단부(11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져 카트(101)를 본체(1)에 대하여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승강부(34)와 제2 승강부(44)는 도 1과 같이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된 단위 유닛 복수개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와 피스톤은 유압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승강부의 작동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승강부(34)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제2 프레임(4)과 반대방향(차량 장착시 지면 방향)으로 하강시켰을 때(도 1 참조) 피스톤은 실린더 외부로 최대로 밀려나오고 제1 승강부(34)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대략 수직을 이루게 된다.
반대로 제1 승강부(34)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를 제2 프레임(4) 방향으로 상승시켰을 때(도 2 참조)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로 최대로 삽입되고 실린더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대략 평행 또는 일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승강부(34)의 피스톤은 제2 프레임(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2 프레임(4)에 연결되고, 제1 승강부(34)의 실린더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에 연결된다.
이는 제2 승강부(4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승강부(34)와 제2 승강부(2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7과 같이 유압 방식의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된 단위 유닛 2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 모두 단위 유닛 2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2 승강부(244)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제3 프레임(6)과 반대방향(차량 장착시 지면 방향)으로 하강시켰을 때(도 7 참조) 피스톤은 실린더 외부로 최대로 밀려나오고 제2 승강부(244)는 X자 형태로 교차된 형상을 취하게 된다.
반대로 제2 승강부(244)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제3 프레임(6) 방향으로 상승시켰을 때(도 8 참조)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로 최대로 삽입되고 실린더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4)와 대략 평행 또는 일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승강부(244)의 피스톤은 제3 프레임(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3 프레임(6)에 연결되고, 제2 승강부(244)의 실린더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에 연결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압식 승강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손잡이(48)가 구비된다. 손잡이(42)는 상하 방향으로 누르거나 당기는 레버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압식 승강부는 버튼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유압식 승강부의 작동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카트는 플레이트(102), 리프팅 착탈홈(106), 제4 가드(112), 운반용 바퀴(1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02)는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면을 제공한다.
리프팅 착탈홈(106)은 플레이트(102)에 구비되며, 카트 리프팅시 도 3 및 도 8과 같이 카트의 리프팅 착탈돌기(22)와 결합한다.
제4 가드(112)는 플레이트(1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운반용 바퀴(120)는 플레이트(102)의 하부에 장착되어 식물을 포함한 짐을 플레이트(102)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카트(101)와 본체(1)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카트(101)에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하여 차량 방향으로 운반한다. 이때, 차량 후방 하부에는 차량 히치부(24)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접혀 있는 제1 가드(12)와 제2 가드(14) 및 제3 가드(16)를 회동시켜 펼쳐 세우고, 제1 승강부(34)와 제2 승강부(44)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지면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도 1과 같이 카트(101)를 제2 프레임(4)과 제3 프레임(6) 사이로 정렬하여 플레이트(102)의 양측 단부(108, 110)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의 각 슬라이딩 홈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4 가드(112)를 잡고 카트(101)를 차량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플레이트(102)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에 삽입된다(도 7의 상태).
제1 승강부(34)와 제2 승강부(44)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32)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42)를 상승시키면 식물을 포함한 짐이 적재된 상태로 카트(101)가 상승하면서 플레이트(102)의 리프팅 착탈홈(106)과 베이스(20)의 리프팅 착탈돌기(22)가 서로 결합하여 사방이 제1 가드 내지 제4 가드(12, 14, 16, 112)로 막힌 적재공간이 만들어진다(도 8의 상태).
이때, 운반용 바퀴(120)는 도로 바닥과 이격되어, 차량 운행시 카트(101)의 운반용 바퀴(120)가 노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운반용 바퀴(120)에 전달되는 노면 요철에 의한 충격 등이 그대로 식물 화분에 전달되어 손상 및 파손을 야기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본체 2 - 제1 프레임
4 - 제2 프레임 6 - 제3 프레임
12 - 제1 가드 14 - 제2 가드
16 - 제3 가드 20 - 베이스
22 - 리프팅 착탈돌기 24 - 차량 히치부
26 - 연결부 32 - 제1 슬라이딩 가이드
34 - 제1 승강부 42 - 제2 슬라이딩 가이드
44 - 제2 승강부 101 - 카트
102 - 플레이트 106 - 리프팅 착탈홈
112 - 제4 가드 120 - 운반용 바퀴

Claims (3)

  1.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2 프레임;
    제1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되 제1 프레임에 대하여 절곡되는 제3 프레임;
    제1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드;
    제2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가드;
    제3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가드;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차량의 후방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베이스의 일측 단부에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차량의 후방 하부로부터 분리한 후 절곡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히치부
    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의 하부에 제2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 가이드;
    제2 프레임과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연결하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2 프레임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1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2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제1 승강부;
    제3 프레임의 하부에 제3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 가이드; 및
    제3 프레임과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연결하되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3 프레임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제3 프레임과 반대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제2 승강부
    를 더 포함하고,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할 수 있고, 리프팅 착탈홈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 가드; 및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식물을 포함한 짐을 플레이트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바퀴
    를 포함하는 카트를 더 포함하며,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베이스의 상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넓은 리프팅 착탈돌기가 구비되며,
    차량에 차량 히치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트에 식물을 포함한 짐을 적재하여 차량 방향으로 운반한 후,
    접혀 있는 제1 가드와 제2 가드 및 제3 가드를 회동시켜 펼쳐 세우고,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하강시키고, 카트를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 사이로 정렬하여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의 각 슬라이딩 홈에 위치하도록 한 후 제4 가드를 잡고 카트를 차량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플레이트가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되고,
    제1 승강부와 제2 승강부를 작동시켜 제1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 슬라이딩 가이드를 상승시키면 식물을 포함한 짐이 적재된 상태로 카트가 상승하면서 플레이트의 리프팅 착탈홈과 베이스의 리프팅 착탈돌기가 서로 결합하여 사방이 제1 가드 내지 제4 가드로 막힌 적재공간이 만들어지고, 운반용 바퀴는 도로 바닥과 이격되어 차량 운행시 카트의 운반용 바퀴가 노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2. 삭제
  3. 삭제
KR1020220005181A 2022-01-13 2022-01-13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KR10258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81A KR102583273B1 (ko) 2022-01-13 2022-01-13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181A KR102583273B1 (ko) 2022-01-13 2022-01-13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29A KR20230109329A (ko) 2023-07-20
KR102583273B1 true KR102583273B1 (ko) 2023-09-25

Family

ID=8742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181A KR102583273B1 (ko) 2022-01-13 2022-01-13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2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3387A1 (en) 2002-03-13 2003-09-18 Mitchell Victor C. Foldable cargo carrying basket
US20050242141A1 (en) * 2004-04-27 2005-11-03 Shouyun Zhang Cargo platform with foldable wal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8995B1 (en) * 2002-11-21 2004-03-02 Russell J. Bik Hitch mounted refuse container transpor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3387A1 (en) 2002-03-13 2003-09-18 Mitchell Victor C. Foldable cargo carrying basket
US20050242141A1 (en) * 2004-04-27 2005-11-03 Shouyun Zhang Cargo platform with foldable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29A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4396B2 (en) Motorcycle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EP1827900B1 (en) Tow trailer assembly
US20090232633A1 (en) Cart for a trailer hitch
US6168367B1 (en) Shopping cart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US6435803B1 (en) Shopping cart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US6832884B2 (en) Shopping cart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US20030197351A1 (en) Work assist accessory for pallet trucks and pallet trucks including work assist features
KR102583273B1 (ko) 카트 착탈 및 리프팅이 가능한 차량용 캐리어
JPH02504136A (ja) 改良された貯蔵装置
US6830422B2 (en) Container transport apparatus
EP1218282B1 (en) Lift-truck
US20170291623A1 (en) Motorcycle Carrier with Retractable Wheels
US20030190222A1 (en) Back bone beam dolly
CN210478792U (zh) 一种分体式购物车
US20190308650A1 (en) Personal Shopping Cart
KR102150540B1 (ko) 분리형 이동대차
US11802027B2 (en) Hoist system
US11905151B2 (en) Service lift for utility vehicles
CN209426816U (zh) 一种搬运车
US20170217270A1 (en) Hitch mounted cargo lifting device
US8632292B2 (en) Retractable crane built into hybrid trailer load bed
CN108482452B (zh) 水稻转运车
CN207931762U (zh) 牵引式坐便器料车
US11147203B2 (en) Middle mounted implement tractor
JPS6181830A (ja) 荷役車輛による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