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70B1 -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270B1
KR102578270B1 KR1020220101437A KR20220101437A KR102578270B1 KR 102578270 B1 KR102578270 B1 KR 102578270B1 KR 1020220101437 A KR1020220101437 A KR 1020220101437A KR 20220101437 A KR20220101437 A KR 20220101437A KR 102578270 B1 KR102578270 B1 KR 10257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roducts
transfer
sensing information
pa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용
강두현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47/31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by varying the relative speeds of the conveyors forming th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서로 밀집되어 있는 상품들의 원활한 픽업을 위해 컨베이어를 통한 상품들의 이송과정 중 상품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넓혀줄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투입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품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분배 컨베이어와, 상기 분배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와,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이 투입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셔틀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분배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이송 컨베이어 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미리 지정된 횟수의 센싱정보가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되면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밀집되어 있는 상품들의 앞뒤 간격이 자연스럽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컨베이어를 통해 상품들을 이송하는 과정 중에 상품들 간의 앞뒤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THAT AUTOMATICALLY ADJUSTS PRODUCT SPACING}
본 발명은 수액백들의 이송과정 중 수액백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벌어지도록 조절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밀집되어 있는 수액백들의 원활한 픽업을 위해 컨베이어를 통한 수액백들의 이송과정 중 수액백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넓혀줄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이송 컨베이어는 산업현장에서 부품이나 재료의 운반, 반제품의 이동, 항만, 광산 등에서 석탄, 광석 화물의 운반, 건설현장에서 모래 등의 운반에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서, 자동화기능을 갖고 연속으로 재료나 물품을 설계된 거리만큼 움직여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물품 이송 컨베이어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며 순서에 따라 다양한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대량 생산에 필수적인 장치로서 기능한다.
종래의 물품 이송 컨베이어는 벨트형 컨베이어나 롤러형 컨베이어가 많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트롤리형 컨베이어, 휠형 컨베이어 등 다양한 형태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 물품 이송 컨베이너는 운반능력을 갖기 위해 동력장치가 필요하며 원하는 방향과 거리로 물품을 보내기 위해 가이드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벨트나 롤러와 같이 왕복운동이 가능한 기구와 모터를 연결하여 컨베이어의 구동부분을 설계하게 되며, 모터의 토크와 회전속도에 따라 물품 이송능력이 결정되고, 토크가 강할수록 무게가 큰 물품을 옮길 수 있으며,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짧은 시간에 물품의 이송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형 컨베이어나 롤러형 컨베이어는 물품 이송 속력이나 방향 조절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벨트형 컨베이어의 경우 벨트 전체가 모터와 연동되어 일정한 속력으로 사이클을 돌아가도록 설계되어 있고, 벨트에 실린 다수의 물품들이 모두 하나의 속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상품의 박스포장을 위해 픽업장치에 의한 상품 픽업 시에 여러 상품들이 컨베이어 상에 모여 있으면 상품의 픽업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상품들이 픽업장치에 의해 원활히 픽업될 수 있도록 수작업으로 상품들의 간격을 조절하면, 생산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해 생산속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4289호(2019.02.1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791호(2016.04.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9335호(2020.07.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7634호(2020.01.1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백 등과 같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 중 서로 적층되거나 일부가 겹쳐질 수 있는 수액백들이 품질확인 과정 중 픽업장치에 의해 원활히 픽업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서로 이웃한 수액백들의 간격을 조정해 주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수액백을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와,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을 이송하며,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액백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분배 컨베이어와, 상기 분배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배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의 안착면을 제공하고,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수액백이 투입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셔틀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분배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이송 컨베이어 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미리 지정된 횟수의 센싱정보가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되면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액백 등의 상품들의 이송을 중지시키지 않더라도 서로 밀집되어 있는 수액백들의 앞뒤 간격이 자연스럽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컨베이어를 통해 수액백들을 이송하는 과정 중에 수액백들 간의 앞뒤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백들의 이송 과정 중에서 수액백들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증가하며, 수액백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픽업장치에 의해 픽업과정에서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액백들의 이송 과정 중에 픽업장치의 간격으로 수액백들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픽업장치에 의해 수액백이 픽업되지 않는 오동작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 컨베이어 및 분배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수액백 등의 상품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하, '컨베이어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품을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100)와, 상기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200)와, 상기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품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분배 컨베이어(300)와, 상기 분배 컨베이어(300)를 통과한 상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4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5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의 안착면을 제공하고,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을 이동시키는 셔틀 컨베이어(600), 및 상기 제1,2 센서부(200,500)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분배 컨베이어(300)와 셔틀 컨베이어(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 컨베이어 및 분배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투입 컨베이어(10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컨베이어(100)는 상품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단으로 투입된 상품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투입 컨베이어(10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1 선반과,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입 컨베이어(100)는 제1 선반의 후단에서 제1 선반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 회전축과, 제1 선반의 선단에서 제1 선반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 회전축과,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모터축 풀리와, 상기 메인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모터축 풀리에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모터축 풀리와 연동하는 연동풀리와, 상기 메인 회전축의 설치되어 메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한 개 이상의 제1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보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2 구동벨트풀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 구동벨트풀리와 제2 구동벨트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구동벨트풀리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벨트로는 타이밍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1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서부(200)는 투1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는 것으로,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해 분배 컨베이어(300)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정보를 제어부(7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200)는 투입 컨베이어(100)와 분배 컨베이어(3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부(200)는 투입 컨베이어(100)와 분배 컨베이어(3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투입 컨베이어(100)의 후방 및 분배 컨베이어(300)의 전방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부(200)는 선반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100)의 후방과 분배 컨베이어(300)의 전방에 걸쳐 구비된 센서 거치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분배 컨베이어(3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 컨베이어(300)는 투입 컨베이어(1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해 선단으로 투입된 상품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면을 구비한다.
또한, 분배 컨베이어(300)는 제1 센서부(200)의 센싱정보에 따라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자체적으로 상품의 이동속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분배 컨베이어(30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2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2 선반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분배 컨베이어(300)는 도 2와 같이 투입 컨베이어(100)와 함께 제1 선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배 컨베이어(300)는 양측 말단에서 제1 선반이나 제2 선반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 모터축 풀리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2 모터축 풀리에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제2 모터축 풀리와 연동하는 제2 연동풀리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설치되어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한 개 이상의 제3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4 구동벨트풀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3 구동벨트풀리와 제4 구동벨트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3 구동벨트풀리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벨트로는 타이밍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부(200)로부터 제1 센싱정보가 제공되면, 제어부(700)는 제1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앞서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후 분배 컨베이어(300)로 진입한 제1 상품과 현재 투입 컨베이어(100)를 통과한 후 분배 컨베이어(300)로 진입한 제2 상품의 간격을 검출하고, 상품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분배 컨베이어(300)에 설치된 제2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제1 센서부(200)로부터 제공된 제1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품들 중 이전 상품과 현재 상품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에 일치하면 미리 지정된 기준 속도로 제2 서보모터를 회전시키고, 이전 상품과 현재 상품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에 미달되면 기준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제2 서보모터를 회전시키며, 이전 상품과 현재 상품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기준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제2 서보모터를 회전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송 컨베이어(4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400)는 분배 컨베이어(3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배 컨베이어(300)를 통해 선단으로 투입된 상품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이송 컨베이어(40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3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3 선반과,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3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400)는 양측 말단에서 제3 선반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회전축 및 연동 회전축(410)과, 제3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3 모터축 풀리와, 상기 제3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3 모터축 풀리에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제3 모터축 풀리와 연동하는 제3 연동풀리와, 상기 제3 회전축에 설치되어 제3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한 개 이상의 제5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연동 회전축(410)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6 구동벨트풀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제5 구동벨트풀리와 제6 구동벨트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5 구동벨트풀리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벨트로는 타이밍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보조 컨베이어(800) 및 카메라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컨베이어(800)는 분배 컨베이어(300)와 이송 컨베이어(400)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분배 컨베이어(300)를 통해 선단으로 투입된 상품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단으로 이송된 다음 이송 컨베이어(4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컨베이어(80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4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4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4 선반과, 상기 제4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4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보조 컨베이어(800)는 도 2와 같이 투입 컨베이어(100) 및 분배 컨베이어(300)와 함께 제1 선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컨베이어(800)는 양측 말단에서 제1 선반 또는 제4 선반의 너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회전축 및 제5 회전축과, 제4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4 모터축 풀리와, 상기 제4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4 모터축 풀리에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제4 모터축 풀리와 연동하는 제4 연동풀리와, 상기 제4 회전축에 설치되어 제4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한 개 이상의 제7 구동벨트풀리와, 상기 제5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8 구동벨트풀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컨베이어 벨트는 제7 구동벨트풀리와 제8 구동벨트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7 구동벨트풀리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는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4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벨트로는 타이밍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900)는 보조 컨베이어(8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조 컨베이어(800)에 의해 이송되는 상품에 날인된 인쇄문자를 인식하여 인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쇄정보를 제어부(70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불량품 분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품 분류부는 이송 컨베이어(4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700)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검출신호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하는 수액백 등의 상품을 분류하여 이송 컨베이어(400)의 주위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불량품 검출부는 제어부(700)로부터 불량품 검출신호에 따라 바람을 생성하여 이송 컨베이어(400)로 공급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유닛은 이송 컨베이어(400)를 따라 이동하는 상품 중 불량품으로 선정된 상품에 강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상품을 이송 컨베이어(400)로부터 이탈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2 센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부(500)는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해 셔틀 컨베이어(600)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정보를 제어부(7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500)는 이송 컨베이어(400)와 셔틀 컨베이어(6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부(500)는 이송 컨베이어(400)와 셔틀 컨베이어(6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송 컨베이어(400)의 후방 및 셔틀 컨베이어(600)의 전방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500)는 선반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이송 컨베이어(400)의 후방과 셔틀 컨베이어(600)의 전방에 걸쳐 구비된 센서 거치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셔틀 컨베이어(600)를 포함한다.
상기 셔틀 컨베이어(600)는 이송 컨베이어(40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의 안착면을 제공하며,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이 투입되도록 컨베이어 벨트(63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셔틀 컨베이어(600)는 전술한 투입 컨베이어(100), 이송 컨베이어(400)와 달리 지속적으로 컨베이어 벨트(630)가 회전하지 않고, 제2 센서부(500)의 제2 센싱정보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선단의 위치가 일정 길이로 확장되면서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을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일정 간격은 5㎝ 내지 30㎝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셔틀 컨베이어(6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400)의 방향에 배치된 이동 회전축(610)과, 상기 이동 회전축(610)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고정 회전축(620)과, 상기 이동 회전축(610)과 고정 회전축(620)을 감싸도록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63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400)의 후방에 구비된 연동 회전축(410)의 일단에 조립된 제1 조립소켓(641)과, 상기 연동 회전축(410)의 타단에 조립된 제2 조립소켓(642)과, 상기 제1 조립소켓(641)과 동일 방향에서 이동 회전축(610)의 일단에 조립되는 제3 조립소켓(643)과, 상기 상기 제2 조립소켓(642)과 동일 방향에서 이동 회전축(610)의 타단에 조립되는 제4 조립소켓(644)과, 상기 제1 조립소켓(641)과 제3 조립소켓(643)에 결합되어 제1 조립소켓(641)과 제3 조립소켓(643)을 이동시키는 제1 어댑터유닛(645)과, 상기 제2 조립소켓(642)과 제4 조립소켓(644)에 결합되어 제2 조립소켓(642)과 제4 조립소켓(644)을 이동시키는 제2 어댑터유닛(646)과, 상기 제1 어댑터유닛(645)과 제2 어댑터유닛(646)이 서로 연동되도록 제1 어댑터유닛(645)과 제2 어댑터유닛(646)을 연결하는 연결바(650)와, 상기 연결바(650)에 결합되어 연결바(650)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63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연결바(650)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바(660), 및 상기 위치조정바(660)에 연결되어 위치조정바(66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650)는 도 5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630)와 하부에서 제1 어댑터유닛(645)과 제2 어댑터유닛(646)의 사이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평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바(660)는 도 5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400)와 셔틀 컨베이어(600)의 사이에 구비된 이송경로에 안착되고, 연결바(65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상면이 연결바(65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정바(660)는 직사각형 평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컨베이어 벨트(630)의 주변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연결된 구동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유닛은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조정바(660)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래크(rack)가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600)는 컨베이어 벨트(63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5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00)로부터 제1 센싱정보가 제공되면, 제어부(700)는 제1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앞서 분배 컨베이어(300)로 진입한 상품과 현재 분배 컨베이어(300)로 진입한 상품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분배 컨베이어(300)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센서부(500)로부터 제2 센싱정보가 제공되면, 제어부(700)는 제2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셔틀 컨베이어(600)로 투입되도록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위치조정바(660)를 따라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이송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제2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셔틀 컨베이어(600) 상에 투입된 상품이 미리 지정된 개수, 바람직하게는 5개가 될 때까지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제1,2 어댑터유닛(645,646)을 이송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미리 지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셔틀 컨베이어(600) 상에 투입된 상품이 5개가 되면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위치조정바(660)를 통해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면서 셔틀 컨베이어(600) 상에 투입된 상품들을 모두 제1,2 어댑터유닛(645,646)의 이동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셔틀 컨베이어(600)는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상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대신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의 이동을 통해 상품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품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투입 컨베이어(100), 제1 센서부(200), 분배 컨베이어(300), 이송 컨베이어(400), 제2 센서부(500), 셔틀 컨베이어(600), 보조 컨베이어(800), 카메라부(900), 불량품 분류부에 연결된 것으로, 스위치로부터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제1,2 센서부로부터 센싱정보를 제공받고 카메라부(900)로부터 인쇄정보를 제공받으며 투입 컨베이어(100), 분배 컨베이어(300), 이송 컨베이어(400), 셔틀 컨베이어(600), 보조 컨베이어(800), 불량품 분류부의 동작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2 센서부(500)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600)의 선단을 이송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미리 지정된 횟수, 바람직하게는 3회 내지 5회의 센싱정보가 제2 센서부(500)로부터 수집되면 셔틀 컨베이어(600)의 선단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셔틀 컨베이어(600)의 후방에 설치된 픽업유닛의 개수와 동일한 숫자의 상품을 한 번에 이송하는 이송집단으로 분류하고, 상기 이송집단의 숫자만큼 제2 센서부(500)로부터 센싱정보가 수집될 때까지 셔틀 컨베이어(600)의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위치조정바(660)를 따라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이송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집단의 숫자만큼 제2 센서부(500)로부터 센싱정보가 수집되면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위치조정바(660)를 따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5개의 상품이 단일의 이송집단으로 설정되면, 제어부(700)는 먼저 제2 센서부(500)로부터 5번의 센싱정보가 수집될 때까지 각 상품에 대한 센싱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이송 컨베이어(400)를 통과한 상품이 20㎝의 간격으로 셔틀 컨베이어(600)에 투입되도록 셔틀 컨베이어(600)의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위치조정바(660)를 따라 이송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제어부(700)는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여 제1,2 어댑터유닛(645,646) 및 연결바(650)를 위치조정바(660)를 따라 초기 위치인 픽업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20㎝의 간격으로 셔틀 컨베이어(600)에 안착된 5개의 상품을 한 번에 픽업유닛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어부(700)는 카메라부(900)로부터 제공된 인쇄정보를 분석하여 불명확한 인쇄문자가 인쇄된 상품을 불량품으로 검출하고, 상기 불량품에 대한 불량품 검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불량품이 정상품들 사이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불량품 검출신호를 불량품 검출부로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투입 컨베이어 200 : 제1 센서부
300 : 분배 컨베이어 400 : 이송 컨베이어
410 : 연동 회전축 500 : 제2 센서부
600 : 셔틀 컨베이어 610 : 이동 회전축
620 : 고정 회전축 630 : 컨베이어 벨트
641 : 제1 조립소켓 642 : 제2 조립소켓
643 : 제3 조립소켓 644 : 제4 조립소켓
645 : 제1 어댑터유닛 646 : 제2 어댑터유닛
650 : 연결바 660 : 위치조정바
700 : 제어부 800 : 보조 컨베이어
900 : 카메라부

Claims (5)

  1. 상품을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
    상기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부;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이송하며,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투입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품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분배 컨베이어;
    상기 분배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배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을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의 안착면을 제공하고,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한 상품이 투입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셔틀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분배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미리 지정된 개수의 상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셔틀 컨베이어로 투입되도록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센싱정보에 따라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이송 컨베이어 방향으로 확장시키며 미리 지정된 횟수의 센싱정보가 제2 센서부로부터 수집되면 셔틀 컨베이어의 선단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컨베이어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 방향에 배치된 이동 회전축과,
    상기 이동 회전축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고정 회전축과,
    상기 이동 회전축과 고정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에 구비된 연동 회전축의 일단에 조립된 제1 조립소켓과,
    상기 연동 회전축의 타단에 조립된 제2 조립소켓과,
    상기 제1 조립소켓과 동일 방향에서 상기 이동 회전축의 일단에 조립되는 제3 조립소켓과,
    상기 제2 조립소켓과 동일 방향에서 상기 이동 회전축의 타단에 조립되는 제4 조립소켓과,
    상기 제1 조립소켓과 제3 조립소켓에 결합되어 제1 조립소켓과 제3 조립소켓을 이동시키는 제1 어댑터유닛과,
    상기 제2 조립소켓과 제4 조립소켓에 결합되어 제2 조립소켓과 제4 조립소켓을 이동시키는 제2 어댑터유닛과,
    상기 제1 어댑터유닛과 제2 어댑터유닛이 서로 연동되도록 제1 어댑터유닛과 제2 어댑터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바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연결바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정바, 및
    상기 위치조정바에 연결되어 위치조정바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 사이에 구비된 보조 컨베이어;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품에 날인된 인쇄문자를 인식하여 인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쇄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인쇄정보를 분석하여 불명확한 인쇄문자가 인쇄된 상품을 불량품으로 검출하고, 상기 불량품에 대한 불량품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검출신호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상품 중 불량품으로 선정된 상품을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탈시키는 불량품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220101437A 2022-08-12 2022-08-12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578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7A KR102578270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7A KR102578270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270B1 true KR102578270B1 (ko) 2023-09-14

Family

ID=8801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37A KR102578270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2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131A (ja) * 1998-06-11 1999-12-21 Kawashima Packaging Mach Ltd 製品搬送装置
JP2003292146A (ja) * 2002-04-02 2003-10-15 Tokyo Autom Mach Works Ltd 製品の整列装置
JP2015074463A (ja) * 2013-10-08 2015-04-20 イーデーエム株式会社 空袋供給検査装置
KR20160039791A (ko) 2014-10-02 2016-04-12 석몽필 물품이송장치
KR20190014289A (ko) 2017-08-01 2019-02-12 박태완 제품 그룹 포장 간격 조절장치
KR102067634B1 (ko) 2018-04-09 2020-01-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KR102129335B1 (ko) 2020-02-06 2020-07-03 이래용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131A (ja) * 1998-06-11 1999-12-21 Kawashima Packaging Mach Ltd 製品搬送装置
JP2003292146A (ja) * 2002-04-02 2003-10-15 Tokyo Autom Mach Works Ltd 製品の整列装置
JP2015074463A (ja) * 2013-10-08 2015-04-20 イーデーエム株式会社 空袋供給検査装置
KR20160039791A (ko) 2014-10-02 2016-04-12 석몽필 물품이송장치
KR20190014289A (ko) 2017-08-01 2019-02-12 박태완 제품 그룹 포장 간격 조절장치
KR102067634B1 (ko) 2018-04-09 2020-01-17 (주)진성 테크템 어태치먼트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어태치 컨베이어
KR102129335B1 (ko) 2020-02-06 2020-07-03 이래용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2661B2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for delivering or retrieving items
EP0640409B1 (en) Small flats sorter
US4676361A (en) Troughing conveyors for carton or bag orienting and conveying
EP3138792B1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with positioning device
CA2604340C (en) Feed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KR102129335B1 (ko)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JP2002538058A (ja) 整頓・配列コンベヤ
WO2020242695A1 (en) Compact sorter
US8727341B2 (en) Feeding apparatus for flat items processed in a mail sorting machine with pulleys located under transport deck
WO2005054096A1 (en) Baggage positioner for baggage conveyor
KR102578270B1 (ko) 수액백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WO2007037776A2 (en) Directional input device
KR102425946B1 (ko) 물품분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754132B2 (ja) 物品集積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10227180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롤러 컨베이어를 이용한 택배 물품 분류 시스템
KR102081533B1 (ko) 원핸드식 물품자동 분류장치 및 이를 갖는 물류시스템
US5480033A (en) Forms separating conveyance
CN109775284B (zh) 一种产品零件的检测生产线
CN111942861A (zh) 传输装置及分拣设备
JP2001269626A (ja) 仕分け装置
CN212100733U (zh) 一种基于局部转动的直线分拣机
CN115744049B (zh) 一种多品类的整层拆垛输送***设备和方法
CN214732088U (zh) 供料装置、供料***及分拣设备
JP2946301B2 (ja) 郵便物区分装置の郵便物方向変換機構
JP2001269625A (ja) 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