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106B1 -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106B1
KR102576106B1 KR1020180070281A KR20180070281A KR102576106B1 KR 102576106 B1 KR102576106 B1 KR 102576106B1 KR 1020180070281 A KR1020180070281 A KR 1020180070281A KR 20180070281 A KR20180070281 A KR 20180070281A KR 102576106 B1 KR102576106 B1 KR 10257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intermediate electrode
overvoltage prote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42957A (en
Inventor
이재욱
구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8007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106B1/en
Publication of KR20190142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2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 e.g. fuses, shu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5Organic substrates,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6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7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과전압 보호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는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접착하되,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연장 형성되는 단부에 곡선 형상의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2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은 제1전극 및 제2전극 측에 볼록부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다.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s provided.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 first substrat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id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with a portion of the end facing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two electrodes;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each have a curved convex portion formed at the extended end,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hav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ides. A concave portion of is formed, respectively.

Description

과전압 보호소자{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본 발명은 과전압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을 통한 방전에 의해 정전기 또는 서지 등의 과전압으로부터 회로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circuit elements from overvoltages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urges by discharge through electrodes.

정전기 또는 서지 등의 과전압 보호소자는 대부분 세라믹 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특히, 전극 사이의 방전을 이용하는 서프레서는 세라믹 층상에 전극을 인쇄하고, 전극 사이에 카본블랙을 배치한 후 소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Most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urge are made based on ceramic materials. In particular, a suppressor that uses discharge between electrodes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printing electrodes on a ceramic layer, placing carbon black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n firing.

여기서, 카본블랙은 전극 사이의 갭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성시 휘발된다. 그러나 카본블랙의 휘발에 의해 형성되는 갭의 형상은 소성 공정을 최대한 정밀하게 수행하더라도 카본블랙의 휘발 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생산되는 모든 제품의 전극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전극 사이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ESD 방호 능력이 떨어지거나 심할 경우 쇼트불량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Here, carbon black is used to form a gap between electrodes and is volatilized during firing. However, the shape of the gap formed by the volatilization of carbon black makes it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degree of volatilization of carbon black even if the firing process is performed as precisely as possible, so it is necessary to keep the gap between electrodes of all products produced constant. It's difficult. If the gap between electrodes is not maintained consistently, the ESD protection ability may decrease or in severe cases, it may lead to a short circuit.

또한, 은(Ag), 팔라듐(Pd)과 같은 전극제 입자를 사용하여 인쇄한 인쇄 전극은 소결후 전극 연결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불안정한 문제가 있으며, 제품이 실장되어 사용되는 중에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극제 입자가 분리되어 동작전압이 변화하거나 분리된 전극제 입자에 의해 전극 사이의 쇼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printed electrodes printed using electrode particles such as silver (Ag) and palladium (Pd) have a problem of electrically unstable connection at the electrode connection area after sintering, and the electrode may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while the product is mounted and used. The operating voltage may change as the particles separate, or a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may occur due to the separated electrode particles.

또한, 전극 사이의 갭에 방전물질을 사용하면, 초기 정전기에 대한 동작전압은 낮지만, 제품을 실장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동작전압이 높게 변화할 수도 있고, 방전물질로 인해 전극 사이의 쇼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a discharge material is used in the gap between electrodes, the operating voltage for initial static electricity is low, but if the product is mounted and used continuously, the operating voltage may change to high, and a short circuit between electrodes may occur due to the discharge material. It may be possible.

따라서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과전압 보호소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using ceramic materials.

KRKR 10-2014-011083810-2014-0110838 AA (2014.09.17(2014.09.17 공개)op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극으로부터의 전극제 입자 분리를 억제하고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을 제조 편차 없이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과전압 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that can suppress separation of electrode particles from electrodes and form an air gap between electrodes uniformly without manufacturing deviation.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정전기는 물론 서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전압 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resistance to surges as well as static electricit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기판, 제2기판, 및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판은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연장 형성되는 단부에 곡선 형상의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측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and an adhesive member.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the first substrat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substrate has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extends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artially facing the end of the electrode. The adhesiv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each have a curved convex portion formed at an extended end,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have the convex portion on th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corresponding curved concave portion is form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의 폭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하는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overlapping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한편, 본 발명은 제1기판, 제2기판, 접착부재 및 단차보상부를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판은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an adhesive member, and a step compensation unit. The first substrate has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substrate has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extends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artially facing the end of the electrode. The adhesiv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Includes an adhesive member. An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2중간전극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2중간전극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단차보상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is between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The step compensation portion is formed to form the same plane.

또한,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제1전극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전극의 폭보다 클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또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 연장되되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sion and a second extension that extend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re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are connected by a straight line.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전극의 폭은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한편, 본 발명은 제1기판, 제2기판 및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제1기판은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는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2전극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1기판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갭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and an adhesive member. The first substrate has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substrate extends from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nd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artially facing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The adhesiv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bon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A cut is formed to form a gap between the substrates. An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의 폭은 상기 제2전극의 폭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by a certain distance.

또한, 상기 과전압 보호소자는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전극 및 제3패드전극; 상기 제2기판에서 제2전극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중간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전극 및 제4패드전극;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드전극 및 제2패드전극과,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제2중간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외부연결전극;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패드전극 및 제4 패드전극과, 상기 제3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외부연결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외부연결전극 및 제2외부연결전극은 상기 제1기판,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제2기판 각각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홈부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pad electrode and a third pad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pad electrode and a fourth pad electrod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on a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a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s; and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hird and fourth pad electrodes and the third and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s. can do. Here,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first substrate, the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substrate.

또한, 상기 과전압 보소호자는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전극 및 제3패드전극; 상기 제2기판에서 제2전극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중간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전극 및 제4패드전극;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드전극 및 제2패드전극과, 상기 제1중간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외부연결전극;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패드전극 및 제4 패드전극과, 상기 제3중간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외부연결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vervoltage protection protector includes a first pad electrode and a third pad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pad electrode and a fourth pad electrod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on a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a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and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hird and fourth pad electrodes,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an do.

또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연성회로기판(FPCB), 또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연성회로기판(F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또한, 상기 접착부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시트이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sheet including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the base layer contains polyimide (PI), the adhesive layer contains resin,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단차보상부는 접착필름, PSR (Photo Solder Resist), 플러깅 잉크(Plugging Ink), 및 커버레이(coverlay)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ep compensation unit may be any one of adhesive film, PSR (Photo Solder Resist), plugging ink, and coverlay film.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부재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중첩되는 전극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에어갭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연속사용중 동작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adhesive member and placing it between overlapping electrodes, an air gap can be formed uniformly,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ng voltage from fluctuating during continuous use.

또한, 본 발명은 기판에 동박을 증착한 후 에칭에 의해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전극으로부터의 전극제 입자 분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epositing copper foil on a substrate and then forming an electrode by etching, separation of electrode particles from th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during use, thereby preventing short circuits.

또한, 본 발명은 전극으로부터의 전극제 입자의 분리를 억제하고 균일한 에어갭을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및 서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resistance to static electricity and surges by suppressing separation of electrode particles from the electrode and forming a uniform air gap, thereby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and lifespan.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사이의 쇼트를 방지함으로써, 고전압 방전으로 인한 서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신호라인뿐만 아니라 전력공급라인에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surge problem caused by high-voltage discharge by preventing short circuits between electrodes, so it can be used not only in signal lines but also in power supply lines.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극과 접착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형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adhesive member by increasing the adhesive area of the electrode,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전극 사이의 중첩되는 영역이 에어갭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됨으로써, 전극이 에어갭을 통해서만 중첩되기 때문에 절연부재를 통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로 인한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electrodes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ir gap,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due to leakage of static electricity or surge through the insulating member since the electrodes overlap only through the air gap.

또한, 본 발명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분에 단차보상부가 형성되어 기판의 접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기판과 접착 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member by forming a step compensation portion in the step portion formed by the electrode so that the bonding surface of the substrate is formed to be flat.

또한, 본 발명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중첩되는 부분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전극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에도 커패시턴스의 증가 없이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at a constant capacitance can be maintained without an increase in capacitance even when the electrodes are misaligned.

또한, 본 발명은 전극보다 두꺼운 접착부재가 형성되고 접착부재의 일부가 절개되어 에어갭이 형성됨으로써, 전극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의 보상 및 접착부재의 홀 가공이 필요 없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member thicker than the electrode is formed and a part of the adhesive member is cut to form an air gap,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eliminating the need for compensation of steps caused by the electrode and hole processing of the adhesive member.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접착부재의 구조도,
도 6은 도 2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접착부재의 관통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1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접착부재의 관통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를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접착부재의 관통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3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접착부재의 절개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bottom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side of Figure 1;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adhesive member of Figure 1;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adhesive member in Figure 2;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bove;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8;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adhesive member in Figure 8;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through holes of the adhesive member in Figure 11;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13;
Figure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3, and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ut portion of the adhesive member in FIG. 1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0), 제2기판(120), 및 접착부재(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0, a second substrate 120, and an adhesive member 130.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은 단단한(rigid)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은 인쇄회로기판(PCB) 일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PCB)은 FR_1, FR_4, XPC, 테프론, CEM_1, 및 CEM_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have rigid properties.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include FR_1, FR_4, XPC, Teflon, CEM_1, and CEM_3.

또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은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은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flexible.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FPCB).

이에 의해, 과전압 보호소자를 PCB 공정 기반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세라믹 기반으로 제조됨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As a result,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based on the PCB process. Therefore, various problems caused by ceramic-based manufacturing can be solved.

또 다른 실시예로, 제1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 마련하고, 제2기판(120)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1기판(110) 및 제 2 기판(110)을 접착하는 공정에서 연성회로기판(FPCB)을 통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부재(130) 및 제1기판(110)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제2기판(120)을 접착부재(130) 및 제1기판(110)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재질을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bstrate 110 may be prepared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prepar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adher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10, the adhesive member 130 and the first substrate 110 disposed below can be visually seen by the operator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ecause it is visible, the second substrate 120 can be accurately aligned with the adhesive member 130 and the first substrate 110,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material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o be reversed.

접착부재(130)는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을 접합할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0), 접착부재(130) 및 제2기판(120)의 조립으로 형성되는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양측에는 제1외부전극(140a)과 제2외부전극(140b)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both sides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formed by assembling the first substrate 110, the adhesive member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have first external electrodes 140a. ) and a second external electrode 140b.

제1외부전극(140a)은 제1기판(110)에 형성된 제1패드전극(112a), 제1연결전극(119a) 및 제1중간전극(114a)과, 제2기판(120)에 형성된 제2패드전극(122a), 제2연결전극(129a) 및 제2중간전극(124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ernal electrode 140a includes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19a, and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a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a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0. It may include a two-pad electrode (122a),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and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제2외부전극(140b)은 제1기판(110)에 형성된 제3패드 전극(112b), 제3연결전극(119b) 및 제3중간전극(114b)과, 제2기판(120)에 형성된 제4패드전극(122b), 제4연결전극(129b) 및 제4중간전극(12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ernal electrode 140b includes the third pad electrode 112b, the third connection electrode 119b,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0. It may include four pad electrodes (122b), a fourth connection electrode (129b),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제1패드전극 내지 제4패드전극(112a, 122a, 112b, 122b)과, 제1중간전극 내지 제4중간전극(114a, 124a, 114b, 124b)은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과 함께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표면에 부착된 구리 포일과 같은 도전체를 에칭 등의 방법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pad electrodes (112a, 122a, 112b, 122b) and the first to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s (114a, 124a, 114b, 124b) ar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 126), a conductor such as copper foil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formed by etching using a method such as etching.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16)은 제1중간전극(114a)으로부터, 제2전극(126)은 제4중간전극(124b)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은 그 단부의 일부분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electrode 116 may extend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a,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extend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be arranged so that portions of their ends face each other.

이와 같이,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이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에 형성된 전극층을 에칭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사용중 방전에 의해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성 파티클과 같은 전극제 입자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사용중에 전극으로부터의 분리된 전극제 입자에 의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are formed by etching the electrode layer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discharge during use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is prevented. As a result, separation of electrode particles such as conductive particles from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can prevent short circuit caused by electrod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during use.

또한,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은 그 표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전도체로 도금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내열성이 우수한 전도체는 백금(Pt), 팔라듐(Pd), 및 금(A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be plated or coated with a conducto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Here, the conductor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latinum (Pt), palladium (Pd), and gold (Au).

이때, 도금 또는 코팅과 같은 표면처리는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이 접착부재(130)의 관통구(132)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는 영역에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surface treatment such as plating or coating may be partially performed on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face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of the adhesive member 130.

이에 의해, 사용중 고전압 방전에 의해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의 일부가 용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 사이의 쇼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melting of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due to high voltage discharge during use can be prevented, and the resulting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an be prevented. Since occurrence can be minimized, durability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전극에 의한 사용중 쇼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정전기 내성뿐만 아니라 서지 내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신호라인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라인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커패시턴스가 작기 때문에, 고속 인터페이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고속신호라인에서 고부하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By solving the problem of short circuit during use due to electrodes in this way,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improves not only static electricity resistance but also surge resistance, so it can be used in both signal lines and power supply lines. In particular, since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has a small capacitance, it can also be used in a high-speed interface. Additionally,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can be used even under high load in a high-speed signal line.

또한,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사용중에 전극의 열화가 지연되기 때문에 정전기 또는 서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deterioration of the electrode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is delayed during use, resistance to static electricity or surges can be improved and service life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또한, 기판 상에 에칭을 통하여 전극을 형성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lectrodes are formed through etching on a substrate, mass production is easy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여기서, 제1전극(116), 제2전극(126), 제1중간전극 내지 제4중간전극(114a, 114b, 124a, 124b)은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양면으로부터 두께만큼의 단차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접착부재(130)의 접합면에서 중앙부분은 전극이 형성되는 양측에 비하여 더 많은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이 클수록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의 접합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극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정전기 또는 서지 등의 과전압에 의해 전극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전극의 두께는 5~15㎛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electrode 116, the second electrode 126, and the first to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s 114a, 114b, 124a, and 124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Form a step equal to the thickness. Due to this step, more spac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130 compared to both sides where electrodes are formed. Since the larger the space, the reliability of bonding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decreas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is step.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is too thin, the electrode may be damaged by overvoltage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urge, so it is desirable to set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in the range of 5 to 15㎛.

또한,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은 연장 형성되는 단부에 곡선 형상의 볼록부(116a, 126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은 제3중간전극(114b) 및 제2중간전극(124a)을 향하는 측의 단부에 볼록부(116a, 126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each have curved convex portions 116a and 126a formed at their extended end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have convex portions 116a and 126a formed at the ends of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respectively. .

이에 의해,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이 접착부재(130)와 접착되는 면적은 볼록부(116a, 126a)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이 제3중간전극(114b) 및 제2중간전극(124a) 측으로 더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의 접착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are bonded to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increased by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116a and 126a.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extend further towar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s the adhesiv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an be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can be guaranteed.

이때,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에서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중간전극(124a) 및 제3중간전극(114b)은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 측에 볼록부(116a, 126a)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오목부(124a-1, 114b-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전극(116)과 제3중간전극(114b) 사이 및 제2전극(126)과 제2중간전극(124a)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이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i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are Curved concave portions 124a-1 and 114b-1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116a and 126a may be formed on the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an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26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can be kept constant.

접착부재(130)는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30)는 그 중앙부에 관통구(132)가 형성되고, 양측에 반원 형상의 홈부(134a, 134b)가 형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Here, the adhesive member 130 may have a through hole 132 formed in its center, and semicircular grooves 134a and 134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도 4를 참조하면, 접착부재(130)는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이 중첩되는 위치에 관통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구(132)는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 사이에 에어갭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dhesive member 130 may have a through hole 132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overlap. Here, the through hole 132 may form an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이와 같이, 관통구(132)가 형성된 접착부재(130)에 의해 에어갭을 형성함으로써,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 사이의 에어갭의 형상을 정형화할 수 있고 따라서 에어갭의 간극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forming an air gap by the adhesive member 130 in which the through hole 132 is formed, the shape of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an be standardized, and thus the air gap The gap deviation can be minimized.

이에 의해, 연속 사용중에도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 사이의 에어갭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초기 동작전압과 연속동작시 동작전압 사이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전압 보호소자(100)는 정전기 또는 서지에 대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by maintaining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onstant even during continuous use,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reduces the deviation between the initial operating voltage and the operating voltage during continuous operation. You can do it. Therefo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can improve operational reliability against static electricity or surges.

또한, 접착부재(130)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부재(13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간편하고 신뢰성 있게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동작전압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ecause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an be easily adjusted by simpl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simply and reliably.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기판(110)은 그 양측에 제1연결전극(119a) 및 제3연결전극(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의 양측은 반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전극(119a) 및 제3연결전극(119b)은 홈부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a first connection electrode 119a and a third connection electrode 119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Here, semicircular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bstrate 110.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19a and the third connection electrode 119b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또한, 제2기판(120)은 그 양측에 제2연결전극(129a) 및 제4연결전극(129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판(120)의 양측은 반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전극(129a) 및 제4연결전극(129b)은 홈부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and a fourth connection electrode 129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bstrate 120. Here, semicircular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ubstrate 120.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and the fourth connection electrode 129b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도 2 및 도 3에서, 제1연결전극 내지 제4연결전극(119a, 119b, 129a, 129b)은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에 별도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연결전극(119a) 및 제2연결전극(129a)은 일체로 제1외부연결전극(149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3연결전극(119b) 및 제4연결전극(129b)은 일체로 제2외부 연결전극(149b)을 형성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to fourth connection electrodes 119a, 119b, 129a, and 129b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formed separately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but in reality, they are It can be formed integrally.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119a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can integrally form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a. . Similarly, the third connection electrode 119b and the fourth connection electrode 129b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b. You can.

이러한 제1외부연결전극(149a) 및 제2외부연결전극(149b)은 접착부재(130)를 통하여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을 접합한 이후에 펀칭(홀 가공) 및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130)는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측면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만 제1외부연결전극(149a) 및 제2외부연결전극(149b) 부분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외부연결전극(149a) 및 제2외부연결전극(149b)은 과전압 보호소자(100)의 양측의 홈부를 따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s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s 149a and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s 149b are formed by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hrough the adhesive member 130, followed by punching (hole processing) and Since it is formed through a plating process, it can be formed as one piece as shown in FIG. 1. At this time, the adhesive member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side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bu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a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b. In this way,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a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b may be formed vertically along the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100.

도 5를 참조하면, 접착부재(130)는 필름형태의 기재를 가지는 3층의 양면 접착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부재(130)는 기재층(130a) 및 기재층(130a)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130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dhesive member 130 may be made of a three-layer double-sided adhesive film having a film-type substrate. That is, the adhesive member 130 may include a base layer 130a and an adhesive layer 130b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130a.

여기서, 기재층(130a)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층(130b)은 반경화 상태로 구현 가능한 폴리머 접착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일예로 에폭시와 같은 레진을 주된 성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층(130a)이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접착부재(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base layer 130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may be made of polyimide (PI),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30b may be prepared with a polymer adhesive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semi-cured state. For example, it may be prepared with a resin such as epoxy as the main ingredient. Since the base layer 130a includes polyimide (PI),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heat generated during use.

이와 같은 접착부재(130)는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사이를 접합할 때 반경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재층(130a)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130b)이 반경화 상태로 배치된 후에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이 접합될 수 있다.This adhesive member 130 can be used in a semi-hardened state when bonding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hat is, after the adhesive layer 130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130a is placed in a semi-cured state,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can be bonded to each other by heating and pressing.

이를 위해 접착층(130b)은 상온에서는 건조 상태를 갖고 고온 또는 고압에서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dhesive layer 130b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dry at room temperature and has adhesive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or high pressure.

이때, 기재층(130a)의 두께(t1)는 접착층(130b)의 두께(t2)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할 수 있다. 기재층(130a)의 두께(t1)가 접착층(130b)의 두께(t2)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경우,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을 접합하는 공정에서 접착층(130b)이 관통구(132) 내로 밀려들어가 관통구(132)가 막히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t1 of the base layer 130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t2 of the adhesive layer 130b.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base layer 130a is formed thinn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adhesive layer 130b, the adhesive layer 130b is formed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This is because it may be pushed into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through hole 132 may be blocked or deformed.

접착부재(130)의 두께는 3~35㎛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30)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 사이의 에어갭의 간극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정전기 및 서지 등의 과전압에 대한 내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130)의 두께가 35㎛를 초과하는 경우, 정전기 또는 서지 등의 과전압에 대한 동작전압(방전개시 전압)이 증가하여 원활한 방전일 이루어지지 않아 과전압에 의한 보호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may be 3 to 35 μm. Here,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is less than 3㎛,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is not sufficiently secured, so resistance to overvoltage such as static electricity and surge is weak. It can happen.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exceeds 35㎛, the operating voltage (discharge start voltage) against overvoltage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urge increases, so smooth discharge may not occur, and the protection function due to overvoltage may be lost. Because.

도 6을 참조하면, 접착부재(130)의 관통구(132)는 그 직경(D)이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의 폭(W1)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132)의 직경(D)은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이 중첩되는 폭(W2)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of the adhesive member 13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1) of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 Additionally,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2 over which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overlap.

이와 같이,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이 관통구(132)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관통구(132)는 제1전극(116)과 제2전극(126)의 중첩되는 영역(W1×W2)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through hole 132 overlaps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so that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can effectively face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132. It can be formed to be located within the area (W1×W2).

도 7을 참조하면,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은 그 전체 길이(L)가 전체 폭(W)보다 클 수 있다. 길이(L)가 폭(W)보다 작은 경우, 제1전극(116) 및 제2전극(126)이 충분히 이격되지 못하여 정전기 또는 서지 등과 같은 과전압에 대한 동작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overall length (L)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greater than the overall width (W). If the length (L) is smaller than the width (W), the first electrode 116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may not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which may deteriorate operating characteristics against overvoltages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urges.

여기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두께는 접착부재(13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을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사용할 경우,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의 두께는 100~200㎛이고, 접착부재(130)의 두께는 3~35㎛일 수 있다. 또한,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중 어느 하나를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사용할 경우,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의 두께는 50~150㎛일 수 있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are used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is 100 to 200 ㎛, and the adhesive The thickness of member 130 may be 3 to 35 μm. In addition, when either the first substrate 110 or the second substrate 120 is us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is 50 to 150㎛. It can be.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200)는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영역이 관통구(132)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200)는 관통구(132), 제1전극(216) 및 제2전극(226)과 관통구(132)의 배치 관계 및 제1전극(216) 및 제2전극(226)의 형상 및 크기를 제외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1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in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overlap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32. . He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through hole 132, a first electrode 216, and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first electrode 216. Except for the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electrode 226, it is the same as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전극(216)은 제3중간전극(114b)을 향하는 측의 단부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중간전극(114b)도 제1전극(216)을 향하는 측의 단부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6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facing the first electrode 216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2전극(226)은 제2중간전극(124a)을 향하는 측의 단부에 볼록부(2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중간전극(124a)은 볼록부(216a)를 향하는 측의 단부가 직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전극(226)의 볼록부(216a)와 제2중간전극(124a)은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전극(226)의 길이는 제1실시예의 제2전극(126)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226 may have a convex portion 216a formed at an end of the side facing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toward the convex portion 216a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Here, the convex portion 216a of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may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That is, the length of the second electrode 226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electrode 126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제1전극(216) 및 제2전극(226)은 그 단부가 관통구(132) 내에 배치되도록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전극(216)의 단부와 제3패드전극(112b) 사이의 간격은 관통구(132)와 제3패드전극(112b) 사이의 최단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26)의 단부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간격은 관통구(132)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최단간격보다 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may each be extended so that their ends are disposed within the through hole 132 . That is,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third pad electrode 112b may be larger than the shortest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third pad electrode 112b.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may be larger than the shortest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이와 같이, 제1전극(216) 및 제2전극(226)의 각 단부는 관통구(132)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구(132)의 직경(D)은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폭(W4)보다 클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each end of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is disposed within the through hole 132,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is the same as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electrode 226 may be larg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W4.

이때, 관통구(132)의 직경(D)은 제1전극(216)의 폭(W3')보다 작고, 제2전극(226)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전극(216)의 폭(W3')은 제2전극(226)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first electrode 216 and larg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cond electrode 226. That is, the width W3' of the first electrode 216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3 of the second electrode 226.

결과적으로, 전압 보호소자(200)는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영역(W3×W4)이 관통구(132)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 사이에는 접착부재(130)가 배치되지 않고 에어갭만 존재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voltage protection element 200 may be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overlapping area (W3×W4) of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corresponds to the through hole 132. Accordingly, the adhesive member 130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only an air gap exists.

이에 의해,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에어갭을 통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부재(130)를 통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에 의한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과전압 보호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discharge occurs only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leakage of static electricity or surge through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suppressed. Therefor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surge leakage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overvoltage protection performance.

한편, 제2기판(120)은 접착부재(130)에 대향하는 면을 평탄화하도록 단차보상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include a step compensation unit 240 to flatten the surface facing the adhesive member 130.

단차보상부(240)는 제2기판(120)에서 접착부재(130)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보상부(240)는 제2중간전극(124a)과, 제2전극(226) 및 제4중간전극(124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120 that faces the adhesive member 130. That is,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이때, 단차보상부(240)는 제2전극(226), 제2중간전극(124a) 및 제4중간전극(124b)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보상부(240)는 제2중간전극(124a)과, 제2전극(226) 및 제4중간전극(124b)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That is,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be formed so that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are on the same plane.

또한, 단차보상부(240)는 접착필름, PSR (Photo Solder Resist), 플러깅 잉크(Plugging Ink), 및 커버레이(coverlay) 필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필름은 접착부재(130)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커버레이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열경화성 에폭시 접착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be any one of adhesive film, PSR (Photo Solder Resist), plugging ink, and coverlay film. Here, the adhesive film may be the same as the adhesive member 130. Additionally, the coverlay film may be a polyimide film coated with a thermosetting epoxy adhesive.

이에 의해, 제2기판(120)에서 접착부재(130)에 대향하는 면에 제2전극(226), 제2중간전극(124a) 및 제4중간전극(124b)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120)과 접착부재(13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step created by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20 facing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removed. You can.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120 and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improved.

여기서, 단차보상부(240)는 제1기판(110)에서 제1전극(216)이 형성되는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전극(216)은 제2전극(226)에 비하여 큰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부재(130)와 접착면적이 크므로 결합력이 충분하다. 따라서 단차보상부(240)는 제2기판(12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the step compensation unit 240 may als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where the first electrode 216 is formed. However, since the first electrode 216 is formed with a larger width than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bonding area with the adhesive member 130 is large, so the bonding force is sufficient.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tep compensation portion 240 to be formed only on the second substrate 120.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300)는 제1전극(316)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300)는 제1전극(316)의 형상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2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in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6 may have a “ㄷ” shape. He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316,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제1전극(316)은 제2실시예의 제1전극(216)에서 중앙에 홈부(316a)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전극(316)은 제2실시예의 제1전극(216)의 중앙부가 제거되어 제1기판(110)의 일면이 노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electrode 316 may be in the form of a groove 316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216 of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electrode 316 may be in a form w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216 of the second embodiment is removed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is exposed.

제1전극(316)은 제1연장부(316b), 제2연장부(316c) 및 연결부(316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316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316b, a second extension 316c, and a connection portion 316d.

제1연장부(316b) 및 제2연장부(316c)는 제1중간전극(114a)으로부터 제3중간전극(114b)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부(316b)와 제2연장부(316c)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6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6c may extend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a towar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Here, the first extension part 316b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16c may be formed in parallel and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연결부(316d)는 제1연장부(316b)의 일단과 제2연장부(316c)의 일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전극(316)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16d may be formed to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6b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6c in a straight line. As a result, the first electrode 316 may have an overall “ㄷ” shape.

이때, 제1연장부(316b), 제2연장부(316c) 및 연결부(316d)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연장부(316b) 및 제2연장부(316c)는 제1중간전극(114a)로부터 제3중간전극(114b) 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폭은 제1연장부(316b)와 제2연장부(316c)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한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part 316b, the second extension part 316c, and the connection part 316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That is, the widt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6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6c in th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a towar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4b is the width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6b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6c. It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in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extension portions 316c.

도 12를 참조하면, 제1전극(316) 및 제2전극(226)은 그 단부가 관통구(132) 내에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316d)는 과전압 보호소자(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관통구(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may be formed to extend so that their ends are disposed within the through hole 132 .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316d may be disposed within the through hole 1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300.

이때, 연결부(316d)와 제3패드전극(112b) 사이의 간격은 관통구(132)와 제3패드전극(112b) 사이의 최단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6d)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간격은 관통구(132)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최단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26)의 단부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간격은 관통구(132)와 제1패드전극(112a) 사이의 최단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16d and the third pad electrode 112b may be larger than the shortest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third pad electrode 112b.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16d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may be larger than the shortest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hortest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132 and the first pad electrode 112a.

이와 같이, 제1전극(316) 및 제2전극(226)의 각 단부는 관통구(132)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구(132)의 직경(D)은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폭(W6)보다 클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each end of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is disposed within the through hole 132,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is the same as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electrode 226 may be larger than the overlapping width W6.

이때, 제2전극(226)의 폭(W5)은 관통구(132)의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6d)의 길이(W5')는 관통구(132)의 직경(D)보다 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dth W5 of the second electrode 226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Additionally, the length W5' of the connection portion 316d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through hole 132.

결과적으로, 전압 보호소자(300)는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영역(W5×W6)이 관통구(132)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 사이에는 접착부재(130)가 배치되지 않고 에어갭만 존재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voltage protection element 300 may be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area (W5×W6) where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overlap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132. Accordingly, the adhesive member 130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and only an air gap exists.

이에 의해,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에어갭을 통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부재(130)에 의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에 의한 제1전극(2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과전압 보호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since discharge occurs only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leakage of static electricity or surge due to the adhesive member 130 can be suppressed. Therefor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surge leakage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overvoltage protection performance.

아울러,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폭(W6)은 연결부(316d)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즉, 연결부(316d)는 과전압 보호소자(300)의 폭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고, 제2전극(226)은 과전압 보호소자(3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므로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폭(W6)은 연결부(316d)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In addition, the overlapping width W6 of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316d.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316d is formed stra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is formed stra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300, so that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31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verlapping width W6 of the electrodes 226 is determined by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ortion 316d.

이에 의해, 제1전극(316) 및 제2전극(226)의 정렬이 틀어진 경우에도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의 중첩 영역이 변화하지 않는다. 일례로, 제1전극(316)에 대하여 제2전극(226)이 폭 방향으로 오정렬된 경우, 즉, 도 12에서 상측으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충첩 면적(W5×W6)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제1전극(316)에 대하여 제2전극(226)이 길이방향으로 오정렬된 경우, 도 12에서 우측으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 사이의 중첩 면적(W5×W6)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전극(316) 및 제2전극(226)이 오정렬된 경우에도 제1전극(316)과 제2전극(226)이 중첩되는 면적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커패시턴스의 증가 없이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are misaligne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does not change. For example, even when the second electrode 226 is mis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de 316, that is, misaligned upward in FIG. 12,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overlap area (W5×W6) does not change. In addition, even when the second electrode 226 is mis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electrode 316 and is misaligned to the right in FIG. 12, the overl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The area (W5×W6) does not change. Therefore,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are misaligne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electrode 316 and the second electrode 226 does not change, so a constant capacitance can be maintained without an increase in capacitance. .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400)는 접합부재와 단차보상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400)는 제1전극(416), 제2전극(426), 및 접착부재(430)를 제외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소자(2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in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ing member and the step compensation part may be formed integrally. He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first electrode 416, the second electrode 426, and the adhesive member 430. Since it is the same as ,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전극(416)은 제2실시예의 제1전극(216)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 the first electrode 416 may have a similar shape to the first electrode 216 of the second embodiment.

제2전극(426)은 제2연결전극(129a)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전극(426)은 제2연결전극(129a)의 반대측 단부에 곡선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판(120)은 제2전극(426)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기판(120)은 제2실시예의 제2중간전극(124a) 및 제4중간전극(124b)이 생략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426 may extend from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426 may have a curved convex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a. Here, only the second electrode 426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20. That is, the second substrate 120 may omit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a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124b of the second embodiment.

접착부재(430)는 제2전극(426)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430)는 제2전극(426)이 대응하는 영역에 절개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43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426. At this time, the adhesive member 430 may have a cutout 432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426.

이에 의해, 접착부재(430)는 제2기판(120)에서 제2전극(426)이 형성되는 면에 면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재(430)와 제2기판(12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dhesive member 43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120 where the second electrode 426 is formed. Accordingly,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adhesive member 430 and the second substrate 120 can be improved.

또한, 접착부재(430)의 두께가 제2전극(426)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접착부재(130)는 그 일면이 제1기판(110)에서 제1전극(416)이 형성되는 면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재(430)와 제1기판(110) 사이의 결합력도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43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426,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130 will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416 is formed. You can. Accordingly,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adhesive member 430 and the first substrate 110 can also be improved.

여기서, 접착부재(130)는 이전 실시예들의 접착부재(130) 또는 단차보상부(2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dhesive member 1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hesive member 130 or the step compensation part 240 of the previous embodiments.

도 15를 참조하면, 접착부재(130)의 두께가 제2전극(426)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제2전극(426)에 대응하는 영역에 절개부(234)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2전극(426)과 제1기판(110) 사이에 갭(432a)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130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426, and because the adhesive member 130 is formed in the cutout 234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ectrode 426, the second electrode A gap 432a may be formed between 426 and the first substrate 110.

이에 의해,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제2전극(426)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 없다. 또한, 전극 사이의 에어갭을 형성하기 위해 관통구를 형성학 위한 홀 가공이 필요 없다. 따라서 제조 공정 상 일부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ember to compensate for the step formed by the second electrode 426,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dditionally, there is no need for hole processing to form a through hole to form an air gap between electrodes.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omitting some process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절개부(423)는 제2전극(426)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부(423)에서 제1전극(416)과 접착부재(43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6 , the cutout portion 42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426 by a certain distance. That is,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adhesive member 4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utout portion 423.

이때, 절개부(432)의 폭(D1)은 제1전극(416)의 폭(W7')보다 작고, 제2전극(426)의 폭(W7)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전극(416)의 폭(W7')은 제2전극(426)의 폭(W7)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432)의 폭(D1)은 제1전극(416)과 제2전극(426)이 중첩되는 폭(W8)보다 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dth D1 of the cutout portion 43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7' of the first electrode 416 and larger than the width W7 of the second electrode 426. That is, the width W7' of the first electrode 416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7 of the second electrode 426. Accordingly, the width D1 of the cutout portion 432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8 over which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second electrode 426 overlap.

결과적으로, 과전압 보호소자(400)는 제1전극(416)과 제2전극(426)이 중첩되는 영역(W7×W8)이 갭(432a)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416)과 제2전극(426) 사이에는 접착부재(430)가 배치되지 않고 에어갭만 존재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400 may be disposed in an area where the overlapping area (W7×W8) of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second electrode 426 corresponds to the gap 432a. Accordingly, the adhesive member 430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second electrode 426, and only an air gap exists.

이에 의해, 제1전극(416)과 제2전극(426) 사이의 에어갭을 통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착부재(430)에 의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나 서지의 누설에 의한 제1전극(416)과 제2전극(426) 사이의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과전압 보호 성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discharge occurs only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second electrode 426, leakage of static electricity or surge due to the adhesive member 430 can be suppressed. Therefore,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16 and the second electrode 426 due to static electricity or surge leakage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overvoltage protection perform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400; 과전압 보호소자 110; 제1기판
112a; 제1패드 전극 112b; 제3패드 전극
114a; 제1중간전극 114b; 제3중간전극
116,216,316,416; 제1전극 119a; 제1연결전극
119b; 제3연결전극 120; 제2기판
122a; 제2패드전극 122b; 제4패드전극
124a; 제2중간전극 124b; 제4중간전극
126,226,426; 제2전극 129a; 제2연결전극
129b; 제4연결전극 130,430; 접착부재
130a; 기재층 130b; 접착층
132; 관통구 134a, 134b; 홈부
140a : 제1외부전극 140b; 제2외부전극
149a : 제1외부연결전극 149b; 제2외부연결전극
100,200,300,400;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110; 1st substrate
112a; first pad electrode 112b; Third pad electrode
114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114b;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116,216,316,416; first electrode 119a; First connection electrode
119b; third connection electrode 120; 2nd board
122a; second pad electrode 122b; 4th pad electrode
124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124b; 4th intermediate electrode
126,226,426; second electrode 129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129b; fourth connection electrode 130,430; Adhesive member
130a; Base layer 130b; adhesive layer
132; Through holes 134a, 134b; Home Department
140a: first external electrode 140b; Second external electrode
149a: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149b;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Claims (15)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연장 형성되는 단부에 곡선 형상의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측에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의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는 과전압 보호소자.
A first substrate having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wherein an end and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re formed.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facing;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Contain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each have curved convex portions formed at their extended ends,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r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n which curved concav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의 폭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하는 폭보다 작거나 같은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overlapping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구의 직경은 상기 제1전극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전극의 폭보다 큰 과전압 보호소자.
A first substrate having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wherein an end and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re formed.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facing;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Contains,
An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제2중간전극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2중간전극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단차보상부가 형성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cond substrate has a step compensa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so that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are on the same plan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 연장되되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form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in a straight lin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including.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을 마주보는 일면의 양측에 제2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3중간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제4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 연장되되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과 상기 제2연장부의 일단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전극의 폭은 상기 관통구의 직경보다 작은 과전압 보호소자.
A first substrate having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facing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wherein an end and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re formed.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facing;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face each other; Contains,
An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he first electrod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form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in a straight line. Includ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일면의 양측에 제1중간전극 및 제3중간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전극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는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전극의 단부와 일부가 마주보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착하되, 상기 제2전극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1기판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기 갭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의 폭은 상기 제2전극의 폭보다 큰 과전압 보호소자.
A first substrate having a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a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extending from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partially facing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adhere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and has a gap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substrate. It includes; an adhesive member in which a cutout is formed to form this,
An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gap,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d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전극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clause 8,
A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lectro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전극 및 제3패드전극;
상기 제2기판에서 제2전극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중간전극 및 상기 제4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전극 및 제4패드전극;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드전극 및 제2패드전극과,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제2중간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외부연결전극;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패드전극 및 제4 패드전극과, 상기 제3중간전극 및 제4중간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외부연결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연결전극 및 제2외부연결전극은 상기 제1기판,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제2기판 각각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홈부 표면에 마련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and 7,
a first pad electrode and a third pad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pad electrode and a fourth pad electrod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 on a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a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electrodes;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pad electrodes and the third and fourth intermediate electrodes. ,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are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first substrate, the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substrate.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1중간전극 및 상기 제3중간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패드전극 및 제3패드전극;
상기 제2기판에서 제2전극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1패드전극 및 상기 제3패드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패드전극 및 제4패드전극;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드전극 및 제2패드전극과, 상기 제1중간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외부연결전극; 및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패드전극 및 제4 패드전극과, 상기 제3중간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외부연결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외부연결전극 및 제2외부연결전극은 상기 제1기판, 상기 접착부재 및 상기 제2기판 각각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홈부 표면에 마련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claim 8 or 10,
a first pad electrode and a third pad electrod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 second pad electrode and a fourth pad electrod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electrode and the third pad electrode on a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a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and the first intermediate electrode;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pad electrodes, the third intermedi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
The first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and the second external connection electrode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first substrate, the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substrate.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연성회로기판(FPCB), 또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연성회로기판(F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7, 8 and 10,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r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접착시트이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레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7, 8 and 10,
The adhesive member is an adhesive sheet including a base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The base layer includes polyimide (PI), the adhesive layer includes resin,
A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보상부는 접착필름, PSR (Photo Solder Resist), 플러깅 잉크(Plugging Ink), 및 커버레이(coverlay)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과전압 보호소자.
According to clause 14,
The step compensation unit is a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that is any one of adhesive film, PSR (Photo Solder Resist), plugging ink, and coverlay film.
KR1020180070281A 2018-06-19 2018-06-19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KR102576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81A KR102576106B1 (en) 2018-06-19 2018-06-19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81A KR102576106B1 (en) 2018-06-19 2018-06-19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57A KR20190142957A (en) 2019-12-30
KR102576106B1 true KR102576106B1 (en) 2023-09-08

Family

ID=691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281A KR102576106B1 (en) 2018-06-19 2018-06-19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1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633B1 (en) * 1995-04-18 1999-06-15 이사오 우치가사키 Electrostatic protective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8992A4 (en) 2011-09-21 2015-08-12 Littelfuse Inc Vertical switching formations for esd pro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633B1 (en) * 1995-04-18 1999-06-15 이사오 우치가사키 Electrostatic protective device and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57A (en)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3003U (en) Surface mount type electric device
US9947466B2 (en) Electronic component
US10014111B2 (en) Substrate terminal mounted electronic element
US11342126B2 (en) Electrical component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mponent
US7417194B2 (en) ESD prot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ing standard manufacturing processes
KR101679099B1 (en) Components having voltage switchable dielectric materials
EP1708258A1 (en) Composite ceramic substrate
US9699892B2 (en) Electric element-embedded multilaye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21412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576106B1 (en)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
KR102452045B1 (en)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158798B2 (en) Composite ceramic substrate
JP2019021863A (en) Multilayer substrate
US10154597B2 (en) Component mount board
JP2007049099A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86946B1 (en) Device for protecting overvoltage
US9766140B2 (en) Surface mount force sensing module
KR102450313B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67454B2 (en) Capacitor and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US10980123B2 (en) Electric element
JPS6256656B2 (en)
JP5750101B2 (en) connector
WO2020044460A1 (en) Flexible printed board
KR10047114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substrate module package
KR100496450B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