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06B1 - 플랩 개폐 솔루션 - Google Patents

플랩 개폐 솔루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06B1
KR102574406B1 KR1020200112328A KR20200112328A KR102574406B1 KR 102574406 B1 KR102574406 B1 KR 102574406B1 KR 1020200112328 A KR1020200112328 A KR 1020200112328A KR 20200112328 A KR20200112328 A KR 20200112328A KR 102574406 B1 KR102574406 B1 KR 102574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lap
rod
intermediate posi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693A (ko
Inventor
허봉현
한병준
최유종
지영춘
Original Assignee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에프에이 (주) filed Critical 삼원에프에이 (주)
Priority to KR102020011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실시예는 플랩 개폐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플랩 개폐 솔루션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로터가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 플랩이 외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로터가 상기 플랩이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만큼 더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플랩이 내측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로터의 편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시작 위치 또는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로터의 시계 방향의 회동이 시작되는 경우, 홈부가 롤러에 선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의 잠금을 원활하게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로터의 편마모 현상에 의한 내구성 저하 등을 방지하고, 잠금해제를 원활히 하면서 복원 스프링으로 인한 구동 모터의 부하 증가 등으로 유지 보수가 어려운 점도 해결한다.

Description

플랩 개폐 솔루션{Flap opening and closing solu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플랩 개폐와 관련된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이나 또는, 놀이동산, 경기장 등에서 티켓 또는 출입카드 등을 검사하여 선택적으로 통로를 개폐하는 플랩 개폐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철, 기차역, 경기장 등 출입 통제가 요구되는 시설물에는 사용자가 소유한 티켓 또는 카드를 검사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에게 통로가 개방되는 플랩 개폐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10-0864718호에는 장방형 박스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단폭 범위 내에 설치되는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과 연동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방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 1 플랩 및 제2 플랩;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이 각각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 및 상기 프레임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이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플랩축 및 제 2 플랩축에 전달하는 제 1 구동력 전달수단 및 제 2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 구조를 갖는 플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플랩축, 플랩, 구동력 전달수단 및 구동모터를 프레임의 장폭 방향으로 배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의 폭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플랩 개폐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게이트의 폭을 감소시킬수 있는 플랩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서는 구동력 전달수단에 포함되는 로터가 일방향으로 설정된 각도 만큼 회전하므로, 상기 로터의 외주면 중에서 일측면이 마모되는 편마모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로터의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서는 로터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플랩 개폐장치의 회동 시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서는 플랩의 일측에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구성 요소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복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의 부하가 증가하고, 플랩 개폐장치의 유지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복원 스프링이 시스템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및 정전 등의 고장 상황에서 플랩을 개방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복원 스프링은 파손이 잦은 소모성 부품이며 플랩 개방시 모터 구동 방향으로 회전하여 부드러운 제어를 방해하고 플랩 폐쇄시 모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떨어뜨리고 제어를 방해한다.
KR 10-0864718 B1 KR 10-2009-0109692 A
개시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로터의 편마모 현상에 의한 내구성 저하 등을 방지하고, 회동시작을 원활히 하면서 복원 스프링으로 인한 구동 모터의 부하 증가 등으로 유지 보수가 어려운 점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랩 개폐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개시된 내용은, 이러한 경우에 배터리를 사용하여 복원 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소모성 부품을 없애 시스템의 내구성을 높이고, 모터의 구동력을 높이고, 모터를 부드럽게 제어하도록 하는 플랩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일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로터가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 플랩이 외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로터가 상기 플랩이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만큼 더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플랩이 내측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로터의 편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시작 위치 또는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로터의 시계 방향의 회동이 시작되는 경우, 홈부가 롤러에 선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의 회동을 원활하게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랩 개폐장치에 사용되는 로터의 편마모를 감소시켜 로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더하여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가 상기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 및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10°만큼 회동 시, 상기 로터의 홈부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상기 플랩의 회동을 원활하게 시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플랩의 일측 하부에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아, 복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구동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간소화에 따라 불량 요인이 사전에 차단됨으로써, 플랩 개폐장치의 유지 보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여 복원 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소모성 부품을 없애 시스템의 내구성을 높이고, 모터의 구동력을 높이고, 모터를 부드럽게 제어한다.
삭제
삭제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상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플랩이 75°만큼 펼쳐진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플랩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플랩 개폐 구동장치에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폐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도 1은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상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플랩이 75도 만큼 펼쳐진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플랩(21)이 90° 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1)는 본체(10), 구동부(15), 플랩축(20), 플랩(21), 걸림부(25), 감지부(30) 및 제어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평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부(15)는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한다. 이때, 구동 모터(11)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플랩축(20)은 구동부(15)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부(15)의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소정의 각도는 0°에서 90°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랩(21)은 플랩축(20)에 결합되어, 플랩축(20)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때, 플랩(21)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진 평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부(25)는 본체(10)의 타측에 배치되어, 플랩(21)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감지부(30)는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어, 플랩(21)의 회전각을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는 플랩 개폐장치(1)의 하부에 배치되어, 감지부(30)의 감지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1)가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15)는 로터(16), 로드(17) 및 링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로터(16)는 구동 모터(1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구동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로터(16)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굴곡부(16a)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로터(16)의 양측에는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홈부(16b)가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때, 로터(16)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17)의 일단은 로터(16)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로터(16)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한다. 로드(17)는 본체(1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이 굴곡진 평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17)의 회전 반경은 로터(16)의 중심에서 로드(17)의 일단의 회전축의 중심까지의 거리이고, 로드(17)의 회전 반경은 20mm에서 30mm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의 로드(17)의 경사각은 로터(16)가 반 바퀴 회동하여,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의 로드(17)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이때, 중간 위치는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짐으로써, 통로를 가로막는 위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인 0°에 배치된 경우의 로드(17)의 경사각은 로터(16)가 반 바퀴 회동한 180°에 배치된 경우의 로드(17)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이때, 로드(17)의 경사각은 로드(17)의 일단 및 말단의 중심을 연결한 로드(17)의 중심선과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직선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링크(18)의 일단은 로드(17)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링크(18)의 말단은 플랩축(20)에 의해 플랩(21)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링크(18)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양측이 굴곡지고, 일단에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진 평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17)의 중심선과 링크(18)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는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최소값을 갖고, 로터(16)가 반 바퀴 만큼 회동하여,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이때, 로드(17)의 중심선은 로드(17)의 일단 및 말단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이고, 링크(18)의 중심선은 링크(18)의 일단 및 말단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25)는 롤러(26), 샤프트(27), 탄성체(28) 및 돌출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롤러(26)는 걸림부(25)의 일측에 배치되어, 롤러(26)의 외주면은 회동하는 로터(16)의 굴곡부(16a) 및 홈부(16b)와 선접촉한다. 이때, 롤러(26)는 원기둥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27)는 걸림부(25)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샤프트(27)는 롤러(26)보다 높이가 큰 원기둥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28)의 중앙은 샤프트(27)의 외측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탄성체(28)는 중앙이 비어 있고, 강선이 나선 형상으로 감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 시, 탄성체(28)는 로터(16)의 외측에 소정의 크기의 텐션을 가한다.
돌출부(29)는 탄성체(28)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하는 탄성체(28)의 말단을 가로막음으로써, 탄성체(28)의 회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돌출부(29)는 탄성체(28)의 강선과 지름이 동일한 원기둥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감지부(30)는 제1 PI 센서(31), 제2 PI 센서(32) 및 제3 PI 센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30)는 로터(16)가 180°만큼 회동할 때마다 로터(16)의 회전각을 감지함으로써, 플랩(11)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PI는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의 약자로써, 발광 다이오드가 내뿜는 빛을 포토 트랜지스터가 수광해서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PI 센서(31)는 로터(16)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로터(16)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제어 장치(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40)는 제1 PI 센서(31)의 감지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1)가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게이트를 임의로 통과하여, 플랩(21)이 구동 모터(11)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75°만큼 회동하는 경우, 제2 PI 센서(32)는 로터(16)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로터(16)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제어 장치(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40)는 제2 PI 센서(32)의 감지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1)가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랩(21)이 구동 모터(11)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동하는 경우, 제3 PI 센서(33)는 로터(16)의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로터(16)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제어 장치(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40)는 제3 PI 센서(33)의 감지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1)가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1)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터리는 구동 모터(11)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모터(11)에 전력을 자동으로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는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는 출입구가 폐쇄되어 사용자가 플랩 개폐구동장치(1)를 통과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구동 모터(11)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경우, 제어 장치(4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의 비상 전력이 구동 모터(11)에 자동으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구동 모터(11)가 정상적으로 가동되어, 플랩(21)은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로 회동함으로써, 출입구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플랩 개폐 구동장치(1)를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의한 플랩 개폐 구동장치(1)에서는 플랩축(20)의 하부에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아, 복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구동 모터(11)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간소화에 따라 불량 요인이 사전에 차단됨으로써, 플랩 개폐 구동장치(1)의 유지 보수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 또는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 로터(16)가 배치된 경우, 로터(16)의 홈부(16b)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16)가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 또는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0°만큼 회동 시, 로터(16)에서는 로터(16)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홈부(16b)가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로터(16)의 회동이 시작되어 소정의 각속도로 회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0°에서 10°까지 10°만큼 회동 시, 로터(16)의 홈부(16b)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로터(16)가 시작 위치에서 종료 위치까지 한 바퀴 회동 시, 로드(17) 및 링크(18)의 작용에 의해 플랩(21)이 작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로터(16)가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회동 시, 로드(17) 및 링크(18)의 작용에 의해 플랩(21)이 펼쳐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터(16)가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 시, 로드(17)의 일단은 로터(16)의 회전력에 의해 로터(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한다.
이때,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의 로드(17)의 경사각은 로터(16)가 반 바퀴 회동한 경우의 로드(17)의 경사각과 동일하다.
그리고, 로터(16)가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 시, 로드(17)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18)의 일단은 링크(18)의 말단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만큼 회동함으로써, 링크(18)의 말단과 축 결합된 플랩(21)을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한편, 로터(16)가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0°만큼 회동 시, 로터(16)는 로터(16)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홈부(16b)가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회동이 시작되어 소정의 각속도로 회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0°에서 10°까지 10°만큼 회동 시, 로터(16)의 홈부(16b)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플랩(21)이 펼쳐진 중간 위치까지 170°만큼 더 회동 시, 로터(16)의 굴곡부(16a)가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소정의 각속도보다 느린 각속도로 회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10°에서 180°까지 170°만큼 회동 시, 로터(16)의 굴곡부(16a)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이때, 탄성체(28)는 로터(16)의 굴곡부(16a)에 소정의 크기의 텐션을 가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터(16)가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더 회동 시, 로드(17) 및 링크(18)의 작용에 의해 플랩(21)이 접혀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로터(16)가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 시, 로드(17)의 일단은 로터(16)의 회전력에 의해 로터(16)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한다.
그리고, 로터(16)가 플랩(21)이 90°만큼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80°만큼 회동 시, 로드(17)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18)의 일단은 링크(18)의 말단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동함으로써 링크(18)의 말단과 축 결합된 플랩(21)을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한다.
한편, 로터(16)가 플랩(21)이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10°만큼 회동 시, 로터(16)는 로터(16)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홈부(16b)가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회동이 시작되어 소정의 각속도로 회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180°에서 190°까지 10°만큼 회동 시, 로터(16)의 홈부(16b)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까지 170°만큼 더 회동 시, 로터(16)는 로터(16)의 굴곡부(16a)가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함으로써, 소정의 각속도보다 느린 각속도로 회동한다. 다시 말해서,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190°에서 360°까지 170°만큼 회동 시, 로터(16)의 굴곡부(16a)는 롤러(26)의 외주면에 선접촉하게 된다.
이때, 탄성체(28)는 로터(16)의 굴곡부(16a)에 소정의 크기의 텐션을 가한다.
일실시예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로터가 플랩이 접힌 시작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력에 의해 플랩이 외측으로 펼쳐지고, 상기 로터가 상기 플랩이 펼쳐진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반 바퀴 만큼 더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플랩이 내측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로터의 편마모를 감소시켜, 상기 로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실시예는 상기 시작 위치 또는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로터의 시계 방향의 회동이 시작되는 경우, 홈부가 롤러에 선접촉함으로써, 상기 로터의 회동을 원활하게 시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랩의 일측 하부에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아, 복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구동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간소화에 따라 불량 요인이 사전에 차단됨으로써, 플랩 개폐 구동장치의 유지 보수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플랩 개폐 구동장치(1)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 플랩 개폐 구동장치 10: 본체
11: 구동 모터 15: 구동부
16: 로터 16a: 굴곡부
16b: 홈부 17: 로드
18: 링크 20: 플랩축
21: 플랩 25: 걸림부
26: 롤러 27: 샤프트
28: 탄성체 29: 돌출부
30: 감지부 31: 제1 PI 센서
32: 제2 PI 센서 33: 제3 PI 센서
B : 배터리 C : 제어부

Claims (7)

  1. 평판 형상의 본체(10);
    구동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구동부(15);
    상기 구동부(15)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15)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하는 플랩축(20);
    상기 플랩축(20)에 결합되어, 상기 플랩축(20)과 연동되는 플랩(21);
    상기 구동부(15)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랩(21)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걸림부(25);
    상기 플랩(21)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감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15)는
    상기 구동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는 로터(16), 일단이 상기 로터(16)의 상면에 편심되게 결합된 로드(17) 및 일단이 상기 로드(17)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말단이 상기 플랩축(20)에 의해 상기 플랩(21)의 일측에 결합된 링크(18)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16)는
    외주면에 굴곡부(16a)가 형성되고, 양측에 홈부(16b)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5)는
    상기 굴곡부(16a) 및 홈부(16b)와 선접촉하는 롤러(26), 상기 롤러(26)를 통해 상기 로터(16)의 외주면에 텐션을 가하는 탄성체(28) 및 상기 탄성체(28)의 회동을 억제하는 돌출부(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6)는
    상기 플랩(21)이 접힌 시작 위치 또는 상기 플랩(21)이 통로를 가로막는 중간 위치에서 상기 홈부(16b)가 상기 롤러(26)에 선접촉하고,
    상기 로드(17)의 중심선은
    상기 로드(17)의 일단 및 말단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고,
    상기 로터(16)는
    상기 로터(16)가 상기 시작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홈부(16b)가 상기 롤러(26)에 선접촉하여 상기 로터(16)의 회동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7)는
    상기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시작 위치에서 중간 위치 또는 중간 위치에서 시작 위치까지 회동 시, 일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링크(18)는
    상기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시작 위치에서 상기 중간 위치까지 회동 시, 일단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로터(16)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시작 위치까지 회동 시, 일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랩 개폐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12328A 2020-09-03 2020-09-03 플랩 개폐 솔루션 KR10257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328A KR102574406B1 (ko) 2020-09-03 2020-09-03 플랩 개폐 솔루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328A KR102574406B1 (ko) 2020-09-03 2020-09-03 플랩 개폐 솔루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93A KR20220030693A (ko) 2022-03-11
KR102574406B1 true KR102574406B1 (ko) 2023-09-04

Family

ID=8081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328A KR102574406B1 (ko) 2020-09-03 2020-09-03 플랩 개폐 솔루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18B1 (ko) 2008-02-26 2008-10-23 (주)플래그시스 플랩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57B1 (ko) 2008-04-16 2010-12-23 (주)플래그시스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718B1 (ko) 2008-02-26 2008-10-23 (주)플래그시스 플랩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693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23Y1 (ko) 게이트도어의 개,폐상태 록킹수단을 가진 출입통제용 게이트장치
RU2330766C2 (ru) Поворотно-сдвижная дверь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5312449B2 (ja) エレベーター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KR102574406B1 (ko) 플랩 개폐 솔루션
JP2007331616A (ja) 列車用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装着した列車
KR101003757B1 (ko)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플랩 개폐장치
KR100864718B1 (ko) 플랩 개폐장치
JP2004018261A (ja) エレベーターの戸開時引き込まれ検出装置
KR102344629B1 (ko) 비상시 안전장치가 구비된 회전문
KR102167596B1 (ko) 철도 비상 게이트용 힌지
US20100115843A1 (en) Gate for persons
US5485896A (en) Rotary elevator car door coupling
JPS6334519B2 (ko)
KR101976326B1 (ko) 차단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주차시스템의 안전장치
JP4749859B2 (ja) 自動ゲート装置
KR102314691B1 (ko) 비상 게이트용 힌지
JP4383774B2 (ja) エレベータドア遮蔽装置
KR200358355Y1 (ko) 개찰구용 스윙 게이트 장치
JP4172457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KR200340893Y1 (ko)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KR101170522B1 (ko) 플랩 개폐 장치
JPS6242614Y2 (ko)
JP2006199413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JP2002127893A (ja) ホームドア装置
JP3440003B2 (ja) 折畳み式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