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908B1 -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 Google Patents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08B1
KR102573908B1 KR1020210107480A KR20210107480A KR102573908B1 KR 102573908 B1 KR102573908 B1 KR 102573908B1 KR 1020210107480 A KR1020210107480 A KR 1020210107480A KR 20210107480 A KR20210107480 A KR 20210107480A KR 102573908 B1 KR102573908 B1 KR 10257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hape
artificial tooth
faci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611A (ko
Inventor
김영석
조인호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08B1/ko
Priority to CN202280043262.9A priority patent/CN117500454A/zh
Priority to EP22856023.1A priority patent/EP4385456A1/en
Priority to PCT/KR2022/010119 priority patent/WO2023018021A1/ko
Publication of KR2023002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안모 형태에 따라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고 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의 심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Method for classifying facial shape and denture design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영상을 이용하여 의치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치악 환자에 있어서 총의치(Complete denture)를 이용한 수복은 자연치의 수복치료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치료이다. 사용자가 인공치의 위치를 포함하여 모든 것을 설정해 주어야 하고, 모든 치아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움직이며, 탈락의 위험성이 언제나 존재한다. 이러한 총의치 제작 시 최적의 인공치를 선택하고, 이를 배치시킬 수 있으면 총의치 환자에 대한 교합 조정이 수월해질 수 있다.
현재 적절한 인공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환자의 안모 사진 또는 모델 데이터를 육안으로 보고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정확한 데이터가 아닌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한다.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은 매번 사용자가 인공치 형태를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56141 (공개일 2021년05월18일)
일 실시 예에 따라, 총의치 디자인 시 최적의 인공치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심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은, 환자의 안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랜드마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 및 양쪽 악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 및 양쪽 악각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제1 거리를 계산하고,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제2 거리를 계산하며,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제3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 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안모 형태에 따라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 테이퍼링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에서,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으로 분류하고,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테이퍼링형으로 분류하며,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1 거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거리이고, 제2 거리는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거리이며, 제3 거리는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거리일 수 있다.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은, 분류된 인공치 형태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를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 입력받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은, 제공된 인공치 형태를 대상으로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인공치 형태 제공 시 제1 인공치 형태를 수직으로 이등분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하고, 분할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이 선택되면, 우측 선택 시 제2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고 좌측 선택 시 제3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인공치 대체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인공치 대체 리스트 중에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인공치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안모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는 제어부와, 분류된 인공치 형태를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총의치 제작에 있어 자동으로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 별 안모 형태를 고려하여 인공치 형태를 결정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정확성 및 환자의 심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제공된 환자의 안모 형태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류된 안모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류된 안모 형태 별 인공치 형태를 표로 정리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인공치 형태에 대한 사용자 수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인공치 형태에 대한 사용자 수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태블릿(Tablet), 스마트폰, 휴대폰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디자인 프로그램,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러한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제작을 위한 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그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영상 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치과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치과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안모 사진, 안모 스캔 데이터 등의 안모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의치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스캔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치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치과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에는 사전 분류된 안모 형태 별 인공치 형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총의치를 디자인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총의치 디자인을 위한 인공치의 형태를 결정한다. 이때, 형태는 크기를 포함한다.
제어부(14)의 인공치 형태 결정 예를 들면,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한다.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는 안모 데이터의 해부학적 계측 점으로서, 예를 들어,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Tragus) 지점 및 양쪽 악각(Gonion) 지점일 수 있다.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은 이마 전체 부분(안모의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Glabella 지점에서부터 Trichion 지점까지)을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Glabella 지점에서 Trichion 지점 방향으로 1/3이 되는 지점의 양 끝점을 의미한다. 양쪽 이주는 외이공 전방의 연골성 돌출된 부위를 의미한다. 양쪽 악각은 하악골의 뒤쪽 아래 부위의 각진 부위를 의미한다. 랜드마크의 예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이어서, 제어부(14)는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랜드마크 간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제1, 제2, 제3 거리 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한다. 이때, 제1 거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거리이다. 제2 거리는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거리이다. 제3 거리는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거리이다. 안모 형태 분류 예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이어서, 제어부(14)는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2)에 안모 형태와 매칭되는 인공치 형태가 사전에 저장되고, 제어부(14)는 저장부(12)에 저장된 복수의 인공치 형태 중에 분류된 안모 형태와 매칭되는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한다.
제어부(14)는 안모 형태에 따라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Square형), 테이퍼링형(Tapering형), 타원형(Ovoid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 테이퍼링형, 타원형, 사각형-테이퍼링형, 테이퍼링형-타원형, 타원형-사각형, 사각형-테이퍼링형-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제어부(14)는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제어부(14)는 인공치 형태를 테이퍼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제어부(14)는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 분류 예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제1 거리, 제2 거리 또는 제3 거리 간에 동일하다는 의미(=)는, 거리 간 차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안에 있으면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두 거리 간의 차이가 5mm 단위 이내에 있으면 두 거리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4)는 거리 간 비교 시에 cm 단위로 소수점 이하는 버림 처리한 후 거리 간 비교를 수행함에 따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류된 인공치 형태가 복수 개이면, 제어부(14)는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를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 중 입력부(16)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 입력 받으면 선택된 인공치 형태를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6)가 인공치 형태를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정을 위한 사용자 선택신호를 입력 받으면, 제어부(14)는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고, 출력부(18)는 수정된 인공치 형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공치 형태 제공 시 제어부(14)는 제1 인공치 형태를 수직으로 이등분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제1 인공치 형태와 분할선을 출력부(18)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이 선택되면, 제어부(14)는 우측 선택 시 우측을 제2 인공치 형태로 수정한 인공치 형태를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하고, 좌측 선택 시 제3 인공치 형태로 수정한 인공치 형태를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다른 예로, 인공치 형태가 사용자 동작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4)는 인공치 대체 리스트를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입력부(16)가 인공치 대체 리스트 중에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받으면, 제어부(14)는 선택된 인공치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출력부(18)를 통해 제공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되는 인공치 형태를 대상으로 인공치 형태 수정을 위한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등)에 의해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출력부(18)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14)를 통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4)를 통해 디자인된 인공치 형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3차원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환자의 안모 데이터를 획득한다(S210).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한다(S220). 복수의 랜드마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 및 양쪽 악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한다(S230). 환자의 안모 형태 분류 단계(S23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제1 거리를 계산하고,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제2 거리를 계산하며,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제3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어서, 계산된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 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할 수 있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한다(S240).
환자의 인공치 형태 분류 단계(S24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형태에 따라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 테이퍼링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테이퍼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자의 인공치 형태 분류 단계(S24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분류된 인공치 형태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를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 입력받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제공된 인공치 형태를 대상으로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S250).
인공치 형태 수정 단계(S25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제1 인공치 형태 제공 시 제1 인공치 형태를 수직으로 이등분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하고, 분할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이 선택되면, 우측 선택 시 제2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고 좌측 선택 시 제3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인공치 형태 수정 단계(S25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인공치 대체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인공치 대체 리스트 중에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인공치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류된 안모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데이터에서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환자의 안모 데이터로부터 6개의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6개의 랜드마크는 예를 들어,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311, 312), 양쪽 이주(321, 322) 및 양쪽 악각(331, 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311, 312)은 이마 전체 부분을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1/3 지점의 양 끝점을 의미한다. 양쪽 이주(321, 322)은 외이공 전방의 연골성 돌출된 부위를 의미한다. 양쪽 악각(331, 332)은 하악골의 뒤쪽 아래 부위의 각진 부위를 의미한다.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의 랜드마크들 중 양쪽 지점 두 개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선분의 거리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311, 312)을 연결한 제1 선분의 제1 거리①(341)를 계산하고, 양쪽 이주(321, 322)을 연결한 제2 선분의 제2 거리②(342)를 계산하며, 양쪽 악각(331, 332)을 연결한 제3 선분의 제3 거리③(343)를 계산한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1)는 계산된 제1 거리①(341), 제2 거리②(342) 및 제3 거리③(343) 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①(341), 제2 거리②(342) 및 제3 거리③(343) 간의 크기 비교에 따른 안모 형태는 예를 들어,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①<②=③, 총 9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분류된 안모 형태 별 인공치 형태를 표로 정리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형태를 이용하여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고 이를 사용자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형태와 매칭되는 인공치 형태를 사전에 분류하여 저장부(12)에 저장해 두고, 안모 형태가 결정되면 저장부(12)에 저장된 복수의 인공치 형태 중에서 분류된 안모 형태와 매칭되는 인공치 형태를 검색하여 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가지의 안모 형태를 3개의 인공치 형태로 분류한다. 3가지 인공치 형태는 사각형, 테이퍼링형 및 타원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안모 형태가 ①=②=③ 또는 ①<②=③ 또는 ①>②=③ 또는 ①=②>③ 또는 ①=②<③이면,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①>②>③ 또는 ①<②<③ 또는 ①>②<③이면, 인공치 형태를 테이퍼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가 ①<②>③이면,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3가지 인공치 형태가 아닌, 4가지, 7가지 등 다른 종류로 인공치 형태를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테이퍼링형, 타원형, 사각형-타원형 등 총 4가지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분류할 수 있다. 사각형 및 타원형을 조합한 것(사각형-타원형)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인공치 형태를 조합하여 사각형-타원형, 사각형-테이퍼링형, 사각형-테이퍼링형-타원형 등의 인공치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안모 형태에 따른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은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부(12)에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인공치 형태에 대한 사용자 수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가 제공한 인공치 형태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제공된 인공치 형태(500)를 수직으로 이등분하여 좌측(520) 및 우측(530)으로 분할하고, 분할선(510)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이 선택되면, 우측은 “다음”, 좌측은 “이전” 버튼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치 형태가 사각형, 타원형, 테이퍼링형이고, 의치 디자인 장치(1)가 이 중 타원형(500)을 제공했을 때, 제공된 타원형(500)의 인공치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분할선(510)을 기준으로 좌측(520)을 선택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500)에서 사각형(540)으로 수정하여 제공한다. 이에 비해, 제공된 타원형(500)의 인공치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분할선(510)을 기준으로 우측(530)을 선택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500)에서 테이퍼링형(550)으로 수정하여 제공한다.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한 수정 시, 수정 이전의 인공치 형태(500)와 수정 이후의 인공치 형태(540 또는 550)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공치 형태(500)의 분할선을 기준으로 좌측(520) 또는 우측(530) 선택 시 선택된 측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인공치 형태가 3가지의 형태일 때 사용자의 한번의 선택 동작(예를 들어, 클릭)으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 인공치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좌우 선택 동작을 통해 인공치 형태를 수정할 수도 있으나, 제공된 인공치 주변에 사용자 선택을 위한 별도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인공치 형태를 수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된 인공치 형태에 대한 사용자 수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공치 형태의 분류 기준이 4가지 이상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치 형태의 분류 기준이 4가지 이상일 때, 사용자가 소정의 인공치 형태, 예를 들어, 타원형(500)을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클릭)을 통해 선택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인공치 대체 리스트(600)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공치 대체 리스트(600) 중에 사용자 동작(예를 들어, 클릭)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공치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인공치 형태가 4가지 이상일 때 사용자의 2번의 선택 동작(예를 들어, 클릭)으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의치 디자인 장치를 이용한 안모 형태 분류 방법에 있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가
    환자의 안모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랜드마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 및 양쪽 악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제1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제2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제3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 간의 크기 비교에 따라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안모 형태에 따라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 테이퍼링형, 타원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조합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사각형으로 분류하고,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 또는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테이퍼링형으로 분류하며,
    안모 형태가 제1 거리<제2 거리>제3 거리이면, 인공치 형태를 타원형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1 거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을 연결한 제1 선분의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양쪽 이주를 연결한 제2 선분의 거리이며, 제3 거리는 양쪽 악각을 연결한 제3 선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은
    분류된 인공치 형태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를 제공하고 제공된 복수 개의 인공치 형태 중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를 선택 입력받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안모 형태 분류 방법은
    제공된 인공치 형태를 대상으로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인공치 형태 제공 시 상기 제1 인공치 형태를 수직으로 이등분하여 우측 및 좌측으로 분할하고, 분할선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동작에 의한 조작신호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이 선택되면, 우측 선택 시 제2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고 좌측 선택 시 제3 인공치 형태로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인공치 대체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인공치 대체 리스트 중에 소정의 인공치 형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인공치 형태로 인공치 형태를 수정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모 형태 분류 방법.
  10. 환자의 안모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안모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복수의 랜드마크 간 거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안모 형태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안모 형태에 따라 환자의 인공치 형태를 분류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류된 인공치 형태를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랜드마크는 안모 데이터의 이마영역 1/3 지점의 양쪽 끝 지점, 양쪽 이주 및 양쪽 악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디자인 장치.
KR1020210107480A 2021-08-13 2021-08-13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KR10257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80A KR102573908B1 (ko) 2021-08-13 2021-08-13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CN202280043262.9A CN117500454A (zh) 2021-08-13 2022-07-12 面部形状分类方法及相应义齿设计装置
EP22856023.1A EP4385456A1 (en) 2021-08-13 2022-07-12 Facial shap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nture design device therefor
PCT/KR2022/010119 WO2023018021A1 (ko) 2021-08-13 2022-07-12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80A KR102573908B1 (ko) 2021-08-13 2021-08-13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611A KR20230025611A (ko) 2023-02-22
KR102573908B1 true KR102573908B1 (ko) 2023-09-05

Family

ID=8520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480A KR102573908B1 (ko) 2021-08-13 2021-08-13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85456A1 (ko)
KR (1) KR102573908B1 (ko)
CN (1) CN117500454A (ko)
WO (1) WO202301802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1767A (ja) * 2008-06-02 2011-07-28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患者のデジタル画像を用いて特別仕様の歯科補綴装置を設計する方法
EP3047817B1 (en) 2015-01-22 2018-12-12 Shofu Inc. Missing tooth form determinatio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data
US20190117337A1 (en) 2017-10-19 2019-04-25 Ormco Corporation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with augmented visual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42B1 (ko) * 2009-06-30 2011-09-26 이한나 얼굴 비율에 따른 치아성형/임플란트 시술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10056141A (ko) 2019-11-08 2021-05-18 김태원 치열 이미지와 안모 이미지의 합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2320857B1 (ko) * 2019-12-02 2021-11-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1767A (ja) * 2008-06-02 2011-07-28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患者のデジタル画像を用いて特別仕様の歯科補綴装置を設計する方法
EP3047817B1 (en) 2015-01-22 2018-12-12 Shofu Inc. Missing tooth form determinatio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data
US20190117337A1 (en) 2017-10-19 2019-04-25 Ormco Corporation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with augmented visual analysi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ujoual, I., 등, Correlation between the form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inverted form of the face,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Research and Review, 2018년, 5권, 10호, 페이지 5770-5773
Kassab, Nagham H., The selection of maxillary anterior teeth width in relation to facial measurements at different types of face form., Al-Rafidain Dental Journal, 2004년, 5권, 1호, 페이지15-23
Vasantha Kumar, M., 등, The science of anterior teeth selection for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a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Indian prosthodontic society, 2011년, 11권, 1호, 페이지 7-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021A1 (ko) 2023-02-16
EP4385456A1 (en) 2024-06-19
KR20230025611A (ko) 2023-02-22
CN117500454A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660B1 (ko) 치아 교정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21530B1 (ko) 인접치 및 대합치와의 관계를 반영하여 크라운 위치를 결정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2293B1 (ko)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JP2013128694A (ja) 歯列矯正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歯列矯正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200109419A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KR102250520B1 (ko)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KR20210037038A (ko)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73908B1 (ko) 안모 형태 분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KR20210092584A (ko) 총의치의 변연 자동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CN105411716B (zh) 一种无牙颌牙槽嵴牙尖交错位直接测定方法
US20240252290A1 (en) Facial shap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nture design device therefor
KR102667673B1 (ko) 치과 교정치료 계획 수립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8811B1 (ko) 삽입로 설정용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덴탈 캐드 장치
KR102473722B1 (ko) 치아 단면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1856907B1 (ko) 틀니 교정 장치 및 이에 의한 틀니 교정 방법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2901B1 (ko)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
KR102474299B1 (ko) 디지털 의치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8411B1 (ko) 트레이 제조방법, 데이터 이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장치
KR102376579B1 (ko) 총의치의 Postdam 수동 조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2687647B1 (ko) 보철물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8809B1 (ko) 인레이/온레이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472029B1 (ko) 가상 교합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82953B1 (ko) 덴탈 아치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46421B1 (ko) 스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