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50B1 -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50B1
KR102561650B1 KR1020230047274A KR20230047274A KR102561650B1 KR 102561650 B1 KR102561650 B1 KR 102561650B1 KR 1020230047274 A KR1020230047274 A KR 1020230047274A KR 20230047274 A KR20230047274 A KR 20230047274A KR 102561650 B1 KR102561650 B1 KR 10256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ray
transfer
compon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Original Assignee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일, 장경석, 최동근 filed Critical 문영일
Priority to KR102023004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탑커버가 덮인 트레이세트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모듈로 유입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가 커버제거모듈에 의해 제거된 후,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부품트레이들을 낱개로 분리하며, 이송모듈이 단일의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빠르게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Conveying system that handles stacked trays at high speed}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담겨있는 부품트레이와 부품트레이의 최상층 위에 탑커버가 덮인 트레이세트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모듈로 유입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가 커버제거모듈에 의해 제거된 후, 세퍼레이터가 적층된 부품트레이들을 낱개로 분리하며, 이송모듈이 단일의 부품트레이를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빠르게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전자부품은 여러 가지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을 거쳐 제조되는데, 해당 작업공정에 투입될 때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가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
상기와 같은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 내부에 안치된 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 로딩 장치는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를 공급받아 상기 부품이 안치된 트레이로부터 부품을 추출하고, 상기 부품이 추출된 공 트레이를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부품의 연속적인 공급은 부품의 공급 능력을 의미하고 그 공급 능력은 예를 들어 하나의 트레이가 다른 트레이로 교체되는 시간 또는 트레이가 이동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부품의 안정적인 공급 및 공급 기간을 단축하는 등의 부품의 공급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통상 전자부품을 내부에 적재하고 있는 부품트레이는 다층으로 적층되고,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아 전자부품이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층의 부품트레이 위에 탑커버를 덮는다. 상기 탑커버는 상기 부품트레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아서 부품트레이를 덮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트레이이다. 다층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를 덮는 탑커버가 한 뭉치를 이루어 트레이세트를 이룬다.
덮개트레이가 덮인 상태로 트레이세트를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부품트레이에서 빼내는 공정에 앞서서, 트레이세트에서 탑커버를 제거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을 첨부한 도 1를 참고하여 트레이이동모듈(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 또는 부품트레이(11)를 흡착하기 위하여 안착흡착기(27) 및 이동흡착기(22)가 구비되되, 상기 이동흡착기(22)는 이동프레임(21)에 고정되고 이동프레임(21)은 이동승강대(23)를 따라 z축 방향으로 승강하며, 이동승강대(23)는 이동레일대(24)를 따라 지면을 뚫는 방향인 y축으로 왕복이동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y, 시선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을 -y로 지칭한다.
그리고 트레이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셔틀판(26)이 구비되며, 셔틀판(26)이 y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트레이를 이송하고 원위치로 회귀한다.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20)의 동작을 보면, 트레이세트(10)가 트레이적재판(25)을 통하여 상승하여서 트레이가 이동흡착기(22) 또는 안착흡착기(27)에 의해 흡착되며, 셔틀판(26)에 올려진 후 y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트레이세트(10)로부터 트레이를 흡착하기 위해서는 셔틀판(26)이 +y축 방향에 있어야 하며, 흡착된 트레이가 셔틀판(26)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셔틀판(26)이 다시 -y축 방향으로 돌아와야 하고, 트레이가 안착되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송한다.
이처럼 셔틀판(26)이 하부의 트레이를 가리게 되면 흡착기(22,27)에 의해 흡착하는 것이 제한되어 흡착기의 트레이 흡착 시에는 셔틀판(26)이 가리지 않도록 피해주어야 하고, 흡착한 트레이를 받아 내기 위해서는 다시 또 돌아와야 하므로 셔틀판(26)의 잦은 이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트레이를 이송하는 데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모듈이 지닌 문제점을 극복하여 셔틀판의 불필요한 이동이 요구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JP 2013-121863 (A) 2013.06.20. JP 6663708 (B2) 2020.02.1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세트를 유입받아 탑커버와 부품트레이를 차례로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신속하게 이송시켜서 부품트레이 내의 전자부품을 빠르게 인출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위치에서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를 낱개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어, 흡착기의 왕복이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레이를 더욱 향상된 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부품트레이를 트레이클램프가 측면을 파지하여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후속되는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를 세퍼레이터로 분리하여 더욱 신속한 이송작업이 가능한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를 서포터를 통해 배출하기 이전에 경사얼라이너의 패드가 부품트레이의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가압하여 부품트레이의 위치가 쓸리지 않고 정렬되며, 이송모듈을 통한 이송 시에 간섭 및 걸림이 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가 서포터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서포터의 제2회전체가 제자리에서 회전만으로 부품트레이를 배출리프터에 안착시키므로, 이송모듈을 통해 제2모듈로부터 이송되는 트레이가 간섭없이 신속하게 이송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세트의 탑커버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이송되기 이전에 제1모듈과 제4모듈을 왕복하도록 구비된 커버제거모듈을 통하여 탑커버가 제거되어 부품트레이를 낱개로 분리하는 공정이 곧바로 수행되므로 전체 공정이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공급된 부품트레이(11)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에 의하여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 끼워져 트레이세트(10)로부터 낱개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키며 분리하는 복수개의 세퍼레이터(600); 및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의 제2회전체(8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돌기(8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진 나선형상의 경사돌기(820)가 형성되는 서포터(8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상기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위치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하며;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하강시켜 상기 배출리프터(330) 위에 올려놓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모듈(700)은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 상기 이송프레임(72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실린더(760);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결합되는 수평실린더(750); 상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 결합되며,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하는 트레이클램프(7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패드(910)가 실린더의 신장 전에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다가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는 경사얼라이너(9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커버제거모듈(500)은 상기 제1모듈(100) 및 제4모듈(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 상기 커버프레임(520)에 결합되며,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에 결합되며, 탑커버(12)를 흡착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되는 흡착프레임(540);을 포함하며, 트레이세트(10)가 상기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탑커버(12)가 제거되어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트레이세트를 유입받아 탑커버와 부품트레이를 차례로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신속하게 이송시켜서 부품트레이 내의 전자부품을 빠르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위치에서 회전하는 동작만으로 적층된 부품트레이를 낱개씩 분리하는 세퍼레이터가 구비되어, 흡착기의 왕복이동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레이를 더욱 향상된 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로부터 낱개로 분리된 부품트레이를 트레이클램프가 측면을 파지하여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하지 않고 후속되는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를 세퍼레이터로 분리하여 더욱 신속한 이송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모듈에서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를 서포터를 통해 배출하기 이전에 경사얼라이너의 패드가 부품트레이의 하부에서 비스듬하게 가압하여 부품트레이의 위치가 쓸리지 않고 정렬되며, 이송모듈을 통한 이송 시에 간섭 및 걸림이 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모듈로 이송된 부품트레이가 서포터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서포터의 제2회전체가 제자리에서 회전만으로 부품트레이를 배출리프터에 안착시키므로, 이송모듈을 통해 제2모듈로부터 이송되는 트레이가 간섭없이 신속하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세트의 탑커버가 제1모듈에서 제2모듈로 이송되기 이전에 제1모듈과 제4모듈을 왕복하도록 구비된 커버제거모듈을 통하여 탑커버가 제거되어 부품트레이를 낱개로 분리하는 공정이 곧바로 수행되므로 전체 공정이 소요되는 시간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제1모듈, 제2모듈, 제3모듈 및 제4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제1모듈, 제4모듈 및 커버제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세퍼레이터, 이송모듈, 서포터 및 경사얼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품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서포터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품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에서 경사얼라이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실린더가 신장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b)는 실린더가 신장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전자부품을 적재한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고속으로 이송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트레이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트레이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1회전체(610)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되고, 회전하는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는 세퍼레이터(600); 및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한다.
도 1를 참고하여, 전자부품은 운반의 효율성과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품트레이(11)에 다수개가 적재된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부품트레이(11)가 다수 적층되어 이송되는데, 어느 하나의 부품트레이(11)는 그 위에 적층된 부품트레이(11)에 의해 덮이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전자부품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으나,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전자부품에 침투하여 불량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상기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이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고 비어있는 탑커버(12)를 덮는다.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 위에 탑커버(12)가 배치된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한다.
트레이세트(10)로 운반하다가 부품트레이(11) 내부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탑커버(12)를 제거한 후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씩 낱개로 내려놓고 그 안의 전자부품을 꺼내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구성만으로도 적층된 상태의 트레이세트(10)에서 탑커버(12)를 제거한 후 전자부품이 적재된 부품트레이(11)를 하나하나 낱개씩 이송시키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탑커버(12)와 부품트레이(11)로 구성된 트레이세트(10)를 제1모듈(100)에서 유입받고 커버제거모듈(500)로 트레이세트(10) 중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탑커버(12)가 제거된 트레이세트(10)는 부품트레이(11)로만 이루어지고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되며, 제2모듈(200)에서 트레이세트(10)가 상승된 후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분리된다.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가 파지하고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트레이클램프(730)는 부품트레이(11)의 측면을 파지함으로써 이송되어 세퍼레이터(600)와의 동작이 중첩되거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퍼레이터(600)가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는 동작과,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는 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에 비하여 더욱 진보한 구조로서, 적층된 부품트레이(11)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분리하는 동작과,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는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어, 트레이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을 취급, 처리하는 공정시간이 대폭 감축된다.
도 1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이송 대상이 되는 전자부품은 부품트레이(11)에 적재된다. 이처럼 전자부품이 수납된 트레이를 '부품트레이(11)'로 지칭한다. 상기 부품트레이(11)는 다수개가 적층되는데, 그중 최상층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트레이를 '탑커버(12)'로 지칭한다. 상기 탑커버(12)는 부품트레이(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전자부품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이다.
다수개가 적층된 부품트레이(11)와, 최상층에 놓인 탑커버(12)가 놓인 것을 '트레이세트(10)'로 지칭한다. 또한, 탑커버(12)가 제거되었으나 부품트레이(11)가 다수 적층된 것도 트레이세트(10)로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부품트레이(11)와 탑커버(12)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때는 '트레이'로 지칭한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제1모듈(100)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고 제2모듈(200)로 이송한다. 그러나 트레이세트(10)를 제2모듈(200)로 이송하기 이전에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배치된 탑커버(12)를 커버제거모듈(500)을 통하여 제4모듈(400)로 옮긴다. 따라서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하는 트레이세트(10)는 탑커버(12)가 제거된 상태이다.
상기 제2모듈(200)이 제1모듈(100)로부터 받은 트레이세트(10)를 공급리프터(230)를 통하여 위로 상승시키며, 제2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된 세퍼레이터(600)가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더 상승시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이 파지한 후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옮기며,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서포터(800)가 받는다. 서포터(800)가 다시 제3모듈(300)의 배출리프터(330)에 내려놓고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며, 부품트레이(11)가 제3모듈(3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여 낸 세퍼레이터(600)는 그 부품트레이(11)가 이송모듈(700)에 의해 파지되고 이송되는 직후에 다시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여 낸다. 그리고 다시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가 제3모듈(300)에서 제2모듈(200)로 복귀하여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고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로부터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받은 후, 배출리프터(330)로 전달한다. 그리고 뒤이어 이송모듈(700)로부터 이송되는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연속으로 받아서 배출리프터(330)에 내려놓는다.
본 발명은 제2모듈(200)에 놓인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차례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으로, 이송모듈(700)에 의해 제3모듈(300)로 옮겨진 부품트레이(11)가 낱개씩 차례로 제3모듈(300)에서 제4모듈(400)로 옮겨지거나, 또는 배출리프터(330) 상에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된 후에 제4모듈(400)로 옮겨질 수 있다. 부품트레이(11)가 제3모듈(300)에서 적층되는 개수는 공정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고속으로 부품트레이(11)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세퍼레이터(600), 이송모듈(700) 및 서포터(800)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매우 신속하게 트레이를 이송시킬 수 있다.
종래의 트레이이동모듈은 셔틀판이 제2모듈(200) 또는 제3모듈(300)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트레이를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흡착한 트레이를 내려놓는 동작이 제약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은 이송모듈(700)의 트레이클램프(730)의 위치와 상관없이 세퍼레이터(600) 및 서포터(800)가 동작이 가능하여 부품트레이(11)를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세퍼레이터(600), 이송모듈(700) 및 서포터(800)의 동작을 최적의 타이밍을 동작하도록 하여서 트레이의 이송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일정 시간동안 처리할 수 있는 트레이의 개수가 증대된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여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제3모듈(300) 및 제4모듈(400)에는 다음 단계로 이송되기 전 트레이를 정렬시키는 얼라이너(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이너(130)는 트레이의 측면을 타격함으로써, 트레이의 위치가 흐트러지거나 어긋나지 않고 정렬되도록 한다. 얼라이너(130)가 트레이를 향해 왕복이동함으로써 약간의 타격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옮겨진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하는 경사얼라이너(900)가 도 9와 같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얼라이너(900)는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는 서포터(800)에 의해 지지받는 상태이나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얼라이너(900)를 통하여 부품트레이(11)를 정렬시킨다.
상기 경사얼라이너(900)의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하여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한다.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하기 전(실린더의 신장 전) 패드(910)의 하단은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되,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에 접근함에 따라 패드(910)가 상승하면서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시점에는 패드(910)의 하단이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고 부품트레이(11)를 정렬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1모듈(100)은 외부로부터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모듈이다. 제1모듈(100)을 통해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으로 트레이세트(10)가 유입되며, 제1모듈(100)의 제1컨베이어(110)로 트레이세트(10)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 중 탑커버(12)를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트레이세트(10)를 정렬시키기 위한 얼라이너(130)와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상기 얼라이너(130)는 트레이세트(10)의 측면을 타격하여 정렬하고, 상기 스토퍼(120)는 제1컨베이어(110)로 이송되는 트레이세트(10)를 일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막아선다. 트레이세트(10)는 제1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다가 스토퍼(120)에 가로막혀 일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는 트레이세트(10)에는 탑커버(12)가 구비된 트레이세트(10)이고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거한 후 제2모듈(200)로 전달하여야 하므로 커버제거모듈(500)이 탑커버(12)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120)가 트레이세트(10)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이후, 후술할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하고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한 후 제4모듈(400)로 이송하나, 제4모듈(400)에서 계류하는 트레이가 남아 있을 경우 제1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받침대(140)에 임시로 거치한다. 상기 커버받침대(140)는 탑커버(12)의 측면을 지지한다.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2모듈(2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컨베이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210) 사이에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리프터(230)는 공급승강대(220)를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상기 공급리프터(23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트레이세트(10)가 안착되고, 공급승강대(220)가 공급리프터(23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공급승강대(220)에는 공급리프터(2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세트(10)는 공급리프터(230)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공급리프터(230)가 상승하면서 트레이세트(10)를 제2모듈(200)의 상부로 수직이동시키면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후술할 세퍼레이터(600)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후 세퍼레이터(600)가 적층된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공급리프터(230)가 트레이세트(10)를 상승시키는 높이는 트레이세트(10)의 위치 및 거리를 인식하는 각종 센서의 값에 따라 제어된다. 적층된 트레이가 많아 트레이세트(10)의 높이가 큰 경우에 공급리프터(230)는 조금만 상승하여도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높이까지 올라오며, 적층된 트레이가 적어 트레이세트(10)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공급리프터(230)가 많이 상승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높이까지 올라오도록 한다.
따라서 각종 센서를 통해 트레이세트(10)의 높이를 인식하며 공급리프터(230)의 승강동작을 제어하여 트레이가 원활하게 이송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2모듈(200)에서 공급리프터(230)에 의해 상승된 트레이세트(10)가 세퍼레이터(600)를 통하여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되며 이송모듈(700)이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상기 제3모듈(300)은 제2모듈(2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차례로 이송받는 모듈이다. 제3모듈(300)의 하부에는 제3컨베이어(310)가 구비되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한다. 그리고 제3컨베이어(310) 사이에는 부품트레이(11)가 안착되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리프터(330)는 배출승강대(320)에 의하여 승강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승강대(320)는 배출리프터(3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다.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부품트레이(11)가 이송되면, 먼저는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된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받고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상승된 상태의 배출리프터(330)로 내려놓는다. 그리고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로 내려놓고 부품트레이(11)는 제3컨베이어(310)를 통해 제4모듈(400)로 빠져나간다.
이때, 상기 배출리프터(330)가 받는 부품트레이(11)의 개수는 공정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낱개씩 이송되는 부품트레이(11)를 배출리프터(330) 상에 적층하지 않고 곧바로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를 통해 제4모듈(400)로 이송하거나,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한 이후, 배출리프터(330)가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로 내려놓고 제4모듈(400)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4모듈(400)은 트레이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듈이다. 배출되는 트레이는 부품트레이(11)가 될 수 있고 탑커버(12)가 될 수 있다. 트레이를 배출하기 위해 제4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 있어 제4컨베이어(410)를 통하여 트레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4모듈(400)은 제3모듈(3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고, 제1모듈(100)로부터 탑커버(12)를 이송받는다. 탑커버(12)는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제4모듈(400)로 이송되고, 부품트레이(11)는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이송모듈(700), 제3모듈(300)을 거쳐 제4모듈(400)로 이송된다. 즉, 트레이세트(10)가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어서 탑커버(12) 및 부품트레이(11)가 낱개씩 이송되어 제4모듈(400)을 통해 빠져나간다.
상기 제4모듈(400)이 탑커버(12)를 유입받을 시에, 제4컨베이어(410) 상에 계류하고 있는 트레이가 존재하면 임시로 거치하는 커버받침대(140)가 상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커버제거모듈(500)이 제1모듈(100)에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제4컨베이어(410) 상으로 내려 놓기가 곤란할 경우 제1모듈(100) 또는 제4모듈(400)에 구비된 커버받침대(140)에 탑커버(12)를 임시로 거치해놓을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으면 커버제거모듈(500)이 트레이세트(10)의 최상층에 위치한 탑커버(12)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 커버제거모듈(500)은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탑커버(12)를 제1모듈(100)에서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이송 시스템에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공정이 제1모듈(100)에서 수행된다.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될 시에 탑커버(12)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모듈(2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곧바로 제3모듈(30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커버제거모듈(5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모듈(100)과 제4모듈(40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는 수평방향으로 놓인다. 그리고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1모듈(100)과 제4모듈(400)의 상부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프레임(520)에는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가 구비된다. 이때 승강실린더(530)의 신장 방향은 하부를 향하고, 수축 방향은 상부로 향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 쪽에 흡착프레임(540)이 결합된다. 상기 흡착프레임(540)에는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된다. 상기 흡착기(550)는 공압을 이용하여 탑커버(12)를 흡착한다.
제1모듈(100)로 트레이세트(10)가 유입되면 최상층의 탑커버(12)를 제거하기 위하여 커버프레임(520)이 제1모듈(100)의 상부 쪽에 위치하고,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탑커버(12)의 상부까지 내린다. 그리고 흡착기(550)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하고, 다시 승강실린더(530)가 수축하여 탑커버(12)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커버프레임(520)이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4모듈(400)쪽으로 이동한 후, 승강실린더(530)를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제4컨베이어(410) 쪽으로 하강시키고 흡착기(550)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여 탑커버(12)를 제4컨베이어(410)에 내려놓는다.
이때, 상기 제4모듈(400)에 트레이가 계류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4모듈(400) 또는 제1모듈(100)에 구비된 커버받침대(140)에 올려놓을 수 있다.
트레이세트(10)가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옮겨진 후 상기 공급리프터(230)를 통해 제2모듈(200)의 상부로 상승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600)가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약간 더 상승시켜서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제2모듈(200)의 상부에 다수개로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가 상승하였을 시에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위치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이다. 세퍼레이터(600)의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의 측단부와 접촉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킨다.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체(6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다. 나선돌기(620)는 제1회전체(610)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360°전부 감긴 형상이 아니고 일부만 감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선돌기(620)는 제1회전체(610)에서 나선형상으로 경사진 면이 형성되는데,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제1회전체(610)가 회전하면 나선돌기(620)가 적층된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의 측단부에 접촉하고,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다.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이 부품트레이(11)와 접촉하며, 제1회전체(610)는 부품트레이(11)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서 접촉되는 부위를 분리홈(13)이라 지칭한다. 상기 분리홈(13)은 세퍼레이터(6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단턱진 홈으로써, 나선돌기(620)의 경사면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면이 분리홈(13)의 하부면과 접촉된다.
제1회전체(610)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돌기(620)의 위치가 달라진다.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쪽으로 위치하면 부품트레이(11)가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쪽이 아닌 외측으로 위치하면 상기 부품트레이(11)는 세퍼레이터(600)에 걸리지 않는다. 공급리프터(230)에서 트레이세트(10)를 들어올릴 시에 나선돌기(620)가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하여 부품트레이(11)와의 간섭을 피하고, 일정 높이에 부품트레이(11)가 위치하면 제1회전체(610)를 회전시켜 나선돌기(620)의 경사면과 접촉되게 하고 슬라이딩되게 함으로써 트레이세트(10)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한다. 상기 제1회전체(610)가 회전되는 방향은, 나선돌기(620)의 하부면이 먼저 부품트레이(11)에 닿게 한 후 나선돌기(620)의 상부면으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위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며, 동력을 받아 제1회전체(610)만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세퍼레이터(600)는 이송모듈(700)의 위치에 상관없이 트레이세트(10)로부터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며, 이로 인해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려고 할 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욱 진보한 구조로서, 이송모듈(700)과 세퍼레이터(600)의 동작과 타이밍이 연계하여 최적으로 작동하되,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세퍼레이터(600)에서 트레이세트(10) 중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세퍼레이터(600)를 통하여 분리하면 이송모듈(700)이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모듈(700)은 세퍼레이터(600), 또는 후술할 서포터(800)와 연계하여 동작하되, 상호 동작이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정 시간 내에 신속하게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600)에서 분리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모듈(700)이 파지한 후 이송할 때에 세퍼레이터(600)는 이송모듈(700)의 동작과 상관없이 다음 장의 부품트레이(11)를 분리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700)의 구조 및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이송모듈(7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이송모듈(700)이 상호 이격되며 그 이격된 사이의 공간에 부품트레이(11)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이 구비된다. 상기 이송프레임(720)이 왕복이동 하는 동력은 이송구동부(740)로부터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720)에는 수직실린더(760)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수평실린더(75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수직실린더(760)는 수직방향으로 로드를 이동시키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의 이동에 따라 수평실린더(750)가 상하로 승강한다.
상기 수평실린더(750)는 로드의 신축방향이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는 트레이클램프(730)가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클램프(730)는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한다. 상기 트레이클램프(73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이 아닌,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함으로써 세퍼레이터(600) 및 후술할 서포터(800)와의 동작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송모듈(7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세퍼레이터(600)를 통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수평실린더(750)가 신장하여 트레이클램프(730)가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한다. 그리고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트레이클램프(730)를 약간 더 상승시키는데, 이는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할 시에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송프레임(720)이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실린더(760)가 수축하여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트레이클램프(730)를 약간 하강시키고, 수평실린더(750)가 수축하여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내려놓는다.
트레이클램프(730)에 의해 파지된 부품트레이(11)는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약간 상승된 상태이므로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되면서 세퍼레이터(600) 및 서포터(800)에 걸리지 않아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다.
이송모듈(700)을 통해 제2모듈(2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서포터(800)가 받는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800)는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서 부품트레이(11)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800)에는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제2회전체(810)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830)는 평평한 면으로서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돌기이고, 상기 경사돌기(820)는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지되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830)는 경사돌기(820)의 경사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받침돌기(830)의 면이 최상단면이 되며,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이 점차 하부로 내려오도록 경사가 형성된다.
서포터(800)가 부품트레이(11)를 받을 때에, 먼저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받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부품트레이(11)가 지지된다. 그리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부분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부품트레이(11)가 경사돌기(82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한다. 하강된 부품트레이(11)는 상승되어 있던 배출리프터(330) 상에 내려오고 안착된다.
상기 경사돌기(820)는 제2회전체(810)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360°전부 감긴 형상이 아니고 일부만 감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위치에 놓일 시에 부품트레이(11)를 지지하나, 받침돌기(830) 및 경사돌기(82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방향이 아닌 외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있으면 부품트레이(11)가 서포터(800)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배출리프터(330) 상으로 떨어진다.
먼저는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하게 위치하여 이송모듈(700)로부터 부품트레이(11)를 전달받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를 받치는 면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로 옮겨진다. 부품트레이(11)는 경사돌기(82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하강하면서 배출리프터(330)로 안착된다. 상기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는 방향은 부품트레이(11)가 닿는 면이 받침돌기(830)에서 경사돌기(82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서포터(800)는 위치 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며, 동력을 받아 제2회전체(810)만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서포터(800)가 이송모듈(7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전달받은 후, 이송모듈(700)이 어느 위치에 있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간섭의 발생없이 신속하게 부품트레이(11)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의 전체 동작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트레이세트(10)가 외부에서 제1모듈(100)로 유입되고 제1컨베이어(110)를 따라서 이송되다가, 제1모듈(100)의 스토퍼(120)에 부딪치면서 일정 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제1모듈(100)의 얼라이너(130)를 통하여 정렬된다. 이때, 얼라이너(130)는 제1모듈(100), 제2모듈(200), 제3모듈(300), 제4모듈(4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가 다음 순서의 위치로 이동을 완료한 후에 얼라이너(130)를 통한 정렬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모듈(200)에서 이송모듈(700)을 통하여 제3모듈(300)로 이동하는 부품트레이(11)도 경사얼라이너(900)를 통하여 정렬된다.
커버제거모듈(500)의 커버프레임(520)이 제1모듈(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프레임(540)을 트레이세트(10)에 접근시키고, 흡착기(550)로 탑커버(12)를 흡착하여 파지한다. 이후 승강실린더(530)가 수축하여 탑커버(1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커버프레임(520)이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제4모듈(400)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시 승강실린더(530)가 신장하여 흡착한 탑커버(12)를 제4모듈(400)의 제4컨베이어(410) 상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탑커버(12)는 제4컨베이어(410)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4모듈(400)에 잔류하는 트레이가 있다면 탑커버(12)는 제1모듈(100) 또는 제4모듈(400)의 커버받침대(140) 상에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다.
탑커버(12)가 제거된 트레이세트(10)는 제1모듈(100)에서 제2모듈(200)로 이송된다. 제2모듈(200)이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을 때에 공급리프터(230)는 하강한 상태여서 트레이세트(10)를 공급리프터(230) 상에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부품트레이(11)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하기 위해서 트레이세트(10)가 안착된 공급리프터(230)를 상승시킨다.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높이는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세퍼레이터(600)의 나선돌기(620)에 인접한 높이까지 상승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600)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하여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의 분리홈(13)에 나선돌기(620)가 접촉하여 나선돌기(620)의 경사면을 따라 부품트레이(11)가 슬라이딩되고 상승한다. 이로써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가 트레이세트(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700)의 수평실린더(750)가 신장하여 트레이클램프(730)가 분리된 부품트레이(11)의 측면을 파지하고, 수직실린더(760)가 신장하여 파지한 부품트레이(11)를 약간 더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송프레임(720)이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동함으로써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한다. 제3모듈(300)의 상부로 이동한 부품트레이(11)는 서포터(800)에 안착되기 위해 수직실린더(760) 및 수평실린더(750)가 수축하여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서포터(800)의 회전위치는 받침돌기(830)가 부품트레이(11)를 향한 방향에 위치한다.
부품트레이(11)가 서포터(800)의 받침돌기(830)에 안착되고, 제2회전체(810)가 회전하면서 부품트레이(11)가 슬라이딩되어 경사돌기(820)를 따라 하강한다. 경사돌기(820)의 하단에서 벗어난 부품트레이(11)는 상승되어 있는 배출리프터(330) 상에 올려진다. 배출리프터(330) 상에 올려지는 부품트레이(11)의 개수는 단일, 또는 임의의 개수만큼 적층될 수 있다.
배출리프터(330)는 부품트레이(11)를 안착받고 하강하여 제3컨베이어(310)에 전달하며, 제4모듈(400)로 이송한다. 제4모듈(400)에서 트레이는 제4컨베이어(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은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한 이후, 제2모듈(200)로 이송하여 이송모듈(700)을 통해 곧바로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하여 매우 신속한 동작으로 트레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송모듈(700)이 부품트레이(11)를 이송할 시에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연계 타이밍을 고려하여 부품트레이(11)의 이송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들어올리는 세퍼레이터(600)와,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배출리프터(330) 상에 내려놓는 서포터(800)가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고정되되 회전동작만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므로 부품트레이(11) 속도가 빠르며, 이송모듈(700)의 위치와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부품트레이(11)를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10:트레이세트 11:부품트레이 12:탑커버 13:분리홈
20:트레이이동모듈 21:이동프레임 22:이동흡착기 23:이동승강대
24:이동레일대 25:트레이적재판 26:셔틀판 27:안착흡착기
100:제1모듈 110:제1컨베이어 120:스토퍼 130:얼라이너 140:커버받침대
200:제2모듈 210:제2컨베이어 220:공급승강대 230:공급리프터
300:제3모듈 310:제3컨베이어 320:배출승강대 330:배출리프터
400:제4모듈 410:제4컨베이어
500:커버제거모듈 510:커버제거레일대 520:커버프레임 530:승강실린더
540:흡착프레임 550:흡착기
600:세퍼레이터 610:제1회전체 620:나선돌기
700:이송모듈 710:이송레일대 720:이송프레임 730:트레이클램프
740:이송구동부 750:수평실린더 760:수직실린더
800:서포터 810:제2회전체 820:경사돌기 830:받침돌기
900:경사얼라이너 910:패드

Claims (6)

  1. 전자부품이 수납된 다수의 부품트레이(11) 및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덮는 탑커버(12)를 포함하는 트레이세트(10)를 유입받는 제1모듈(100);
    상기 제1모듈(100)에서 트레이세트(10)를 이송받으며, 트레이세트(10)를 승강시키는 공급리프터(230)가 구비되는 제2모듈(200);
    제2모듈(200)에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낱개씩 공급받으며, 공급된 부품트레이(11)를 승강시키는 배출리프터(330)가 구비되는 제3모듈(300);
    상기 제3모듈(300)에서 부품트레이(11)를 이송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4모듈(400);
    상기 제2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나선돌기(620)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제1회전체(610)가 회전에 의하여 나선돌기(620)가 부품트레이(11)에 끼워져 트레이세트(10)로부터 낱개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키며 분리하는 복수개의 세퍼레이터(600); 및
    상기 세퍼레이터(600)에 의해 트레이세트(10)로부터 분리된 부품트레이(11)를 파지하여 제2모듈(200)에서 제3모듈(300)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700);을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모듈(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원통 형상의 제2회전체(8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체(810)의 외주면에 부품트레이(1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받침돌기(83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830)와 이어진 나선형상의 경사돌기(820)가 형성되는 서포터(800);를 더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600)와 서포터(800)는 복수개의 이송레일대(7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되 부품트레이(11)의 측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퍼레이터(600)는 상기 공급리프터(230)의 상승 위치에 의하여 제2모듈(200)의 트레이세트(10)에서 최상층의 부품트레이(11)를 상승시켜 분리하며;
    상기 서포터(800)는 이송모듈(700)에 의하여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하강시켜 상기 배출리프터(330) 위에 올려놓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700)은
    제2모듈(200)과 제3모듈(3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이송레일대(710);
    상기 이송레일대(7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송프레임(720);
    상기 이송프레임(72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실린더(760);
    상기 수직실린더(760)의 로드에 결합되는 수평실린더(750);
    상기 수평실린더(750)의 로드에 결합되며, 부품트레이(11)의 측부를 파지하는 트레이클램프(730);를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제3모듈(300)로 이송된 부품트레이(11)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부품트레이(11)와 접촉되는 패드(910)가 실린더의 신장 전에 부품트레이(11)의 하단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하다가 실린더가 신장하면서 패드(910)가 부품트레이(11)의 하단을 받치는 경사얼라이너(900);를 더 포함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세트(10)의 탑커버(12)를 제거하는 커버제거모듈(500)은
    상기 제1모듈(100) 및 제4모듈(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제거레일대(510);
    상기 커버제거레일대(510)를 따라 왕복하는 커버프레임(520);
    상기 커버프레임(520)에 결합되며, 로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530);
    상기 승강실린더(530)의 로드에 결합되며, 탑커버(12)를 흡착하는 흡착기(550)가 다수 배치되는 흡착프레임(540);을 포함하며,
    트레이세트(10)가 상기 제1모듈(100)에서 커버제거모듈(500)에 의해 탑커버(12)가 제거되어 제2모듈(200)로 이송되는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KR1020230047274A 2023-04-11 2023-04-11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KR10256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74A KR102561650B1 (ko) 2023-04-11 2023-04-11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274A KR102561650B1 (ko) 2023-04-11 2023-04-11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50B1 true KR102561650B1 (ko) 2023-07-28

Family

ID=8742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274A KR102561650B1 (ko) 2023-04-11 2023-04-11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930A (zh) * 2023-12-25 2024-04-05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的配变变压器的堆叠一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630A (ja) * 1984-04-06 1985-10-25 Motoda Electronics Co Ltd トレ−配送装置
JP3164240B2 (ja) * 1992-02-25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部品用トレーチェンジャ
JP2013121863A (ja)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トレイ搬送装置、及び、トレイ搬送システム
KR101593516B1 (ko) * 2014-05-27 2016-02-15 (주)욱일에스피테크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JP2019001548A (ja)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パレット、板材分離支援装置、板材載置装置、及びそのパレットを収納する板材搬出入装置
JP6663708B2 (ja) 2015-12-24 2020-03-13 平田機工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3630A (ja) * 1984-04-06 1985-10-25 Motoda Electronics Co Ltd トレ−配送装置
JP3164240B2 (ja) * 1992-02-25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部品用トレーチェンジャ
JP2013121863A (ja) 2011-12-09 2013-06-20 Seiko Epson Corp トレイ搬送装置、及び、トレイ搬送システム
KR101593516B1 (ko) * 2014-05-27 2016-02-15 (주)욱일에스피테크 글라스패널 순환형 타워리프트 장치
JP6663708B2 (ja) 2015-12-24 2020-03-13 平田機工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JP2019001548A (ja) * 2017-06-18 2019-01-10 Biデザイン合同会社 パレット、板材分離支援装置、板材載置装置、及びそのパレットを収納する板材搬出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1930A (zh) * 2023-12-25 2024-04-05 南通思瑞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高效的配变变压器的堆叠一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7900B (zh) 生产流水线及送料装置
KR102561650B1 (ko) 적층된 트레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이송 시스템
US201502841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de-stacking goods carriers
CN112357589B (zh) 一种屏幕全自动上料机
JP2017095282A (ja) 物品移載装置
CN218319190U (zh) 一种自动上下料装置
KR102349792B1 (ko) 용기 하역 설비 및 하역 방법
JP2850474B2 (ja) 部品供給装置
KR20080045027A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
JP4307410B2 (ja) 集積回路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及び分類装置
KR101409616B1 (ko) 액체용기 디팔렛타이저 장치
CN115180214A (zh) 玻璃制品自动装盒设备及装盒方法
CN115121494A (zh) 电子部件测试用分选机
CN210943865U (zh) 用于载具的分离传送机构
CN110027899B (zh) 生产流水线、送料装置及接驳机构
KR102143715B1 (ko) 테이핑 시스템 및 테이핑 방법
KR100795964B1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의 보트 회수장치
KR20100053125A (ko) 반도체 패키지 트랜스퍼장치
KR102576514B1 (ko) 트레이 다중처리 이송 시스템
JP3790003B2 (ja) 板材搬送装置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JPH01115526A (ja) トレイ供給装置
CN115973749B (zh) 自动装盘工站及方法
JP2543741B2 (ja) マガジン移送装置
CN116281797A (zh) 用于芯片清洗的托盘加盖和拆盖输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