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08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08B1
KR102556308B1 KR1020160097403A KR20160097403A KR102556308B1 KR 102556308 B1 KR102556308 B1 KR 102556308B1 KR 1020160097403 A KR1020160097403 A KR 1020160097403A KR 20160097403 A KR20160097403 A KR 20160097403A KR 102556308 B1 KR102556308 B1 KR 10255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locking
receptacle connector
members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544A (ko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08B1/ko
Priority to CN201710617000.XA priority patent/CN107666042B/zh
Priority to CN201720918043.7U priority patent/CN207265259U/zh
Publication of KR2018001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설치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설치된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된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절연부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대해 고성능 및 소형화 구현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함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 휴대폰에 구비된 안테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경우,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설치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설치된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는 전면(前面)이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절연부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된 신호로 인해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적용 전자기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적용 전자기기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일례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및 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7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9은 도 8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7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14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24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 핀맵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일부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1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19 및 도 20은 제1폐쇄부재 및 제2폐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21 및 도 22는 미드플레이트가 갖는 절연공을 설명하기 위해 도 16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절연부 및 미드플레이트에 대한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으로, 예컨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2), 상기 컨택트(2)들이 설치된 절연부(3), 상기 절연부(3)를 가리도록 배치된 차단부(4), 및 상기 절연부(3)가 설치된 커버(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5)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커버(5)가 갖는 삽입홈(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전면(前面)(3a, 도 1에 도시됨)이 상기 삽입홈(50)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 쪽 및 상기 절연부(3)의 후면(後面)(3b, 도 2에 도시됨)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 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야 하므로 개방되도록 구현되어야 하지만,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後面)(3b, 도 2에 도시됨) 쪽은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에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불필요하게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4)를 이용하여 신호 전송 시에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사된 신호로 인해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휴대폰에 적용된 경우, 방사된 신호로 인해 휴대폰에 구비된 안테나의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더라도, 적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다른 장치의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적용 전자기기가 신호에 대한 고속전송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적용 전자기기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절연부(3), 상기 차단부(4), 및 상기 커버(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택트(2)를 예시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택트(2)는 접속부재(21) 및 실장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에 지지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연결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일측이 상기 접속부재(2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실장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접속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경사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231)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에 비해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구현된 경사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2)는 상기 경사부재(231)가 없이 구현된 연결부재(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와 상기 실장부재(22)가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높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23)는 절곡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재(2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곡부재(2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디귿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상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1컨택트(2a)'라 함] 및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하면에 위치한 컨택트[이하, '제2컨택트(2a)'라 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3)의 상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절연부(3)의 하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전면(前面)(3a)이 상기 삽입홈(50)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삽입홈(50)을 통해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제1지지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상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접속부재(21)들이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하면에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전면(前面)은, 상기 절연부(3)의 전면(前面)(3a)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전면(前面)이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이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절연부(3)는 제2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일부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의 절곡부재(232) 및 상기 제2컨택트(2b)의 절곡부재(232)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서로 다른 열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의 연결부재(23) 및 상기 제2컨택트(2b)의 연결부재(2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32) 및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이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가림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4)는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차단부(4)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단부(4)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기판을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5)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 및 상기 커버(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제1차단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32)가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접촉면(411, 도 9에 도시됨) 및 대향면(412, 도 9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411)은 상기 제1차단부재(41)에서 상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을 향하는 전면(前面)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접촉면(41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컨택트(2)들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향면(412)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접촉면(411) 간의 사잇각(Included Angle)(412a)은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대향면(412)은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컨택트(2)들의 절곡부재(232)들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된 경우에도,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곡부재(23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1, 도 9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상기 절곡부재(232)들이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절곡부재(23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절곡부재(23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절곡부재(23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3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된 컨택트(2)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 도 9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대향면(412)이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실장부재(22)들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대향면(412)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5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2차단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전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실장부재(22)들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 도 11에 도시됨)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실장부재(22)들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으로부터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실장부재(42)들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 및 상기 실장부재(22)들 간에 최단거리로 이격된 부분이 0.5 mm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연부재(2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에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중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더라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이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14핀(P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1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접속부재(21)들에 대한 핀맵(Pin Map)으로,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가 뒤집힌 것으로, 도 11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3a)(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23b)(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이 속한다. 도 11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및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및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및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유에스비 규격 중에서 USB Type-C 규격을 만족하도록 14핀으로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24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24핀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접속부재(21)들에 대한 핀맵으로,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문자에 병기된 숫자 1과 숫자 2는 방향성을 표시한 것이다. 숫자 1이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관계되는 것이고, 숫자 2가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관계되는 것이다. 숫자가 병기되지 않고, 문자만 표시된 것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2a)들은, 도 13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VBUS),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인식컨택트(23a)(CC1),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제1보조컨택트(26a)(SBU1), 전원공급을 위한 제1전원컨택트(22a'),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 및 접지를 위한 제1접지컨택트(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다음,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도 13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제2보조컨택트(26b)(SBU2), 데이터 전송을 위한 2개의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2인식컨택트(23b)(CC2), 전원공급을 위한 제2전원컨택트(22b')(VBUS),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2개의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 및 접지를 위한 제2접지컨택트(21b')(GN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는 Sideband Use용 컨택트이다.
이러한 상기 제1컨택트(2a)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은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 모두에 대한 접속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공용컨택트,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1컨택트어레이,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접속에만 사용되는 제2컨택트어레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용컨택트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이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이 속한다. 도 13에 사선으로 해칭된 컨택트들이 상기 공용컨택트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TX1+, TX1-),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인식컨택트(23a)(CC1), 상기 제1데이터컨택트(24a)(D1+, D1-), 및 상기 제1보조컨택트(26a)(SBU1)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RX1+, RX1-),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어레이에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가 속하고,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가 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컨택트(2a)들 중에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들(21a, 21a')(GND),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VBUS),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RX2-, RX2+)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컨택트(2b)들 중에서 상기 제2접지컨택트들(21b, 21b')(GND),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VBUS), 상기 제2보조컨택트(26b)(SBU2), 상기 제2데이터컨택트(24b)(D2-, D2+), 상기 제2인식컨택트(23b)(CC2),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TX2-, TX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유에스비 규격 중에서 USB Type-C 규격을 만족하도록 24핀으로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1이격홈(43,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격홈(43)은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43)이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22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컨택트(22b)는 상기 제2컨택트(2b)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전원컨택트(22b)의 실장부재(2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2, 도 9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전원컨택트(22b)의 절곡부재(23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1, 도 9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원컨택트(22b)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원컨택트(22b)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에 대해 더 안정적인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43)이 상기 전원컨택트(22b)가 갖는 실장부재(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이격홈(43)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이격홈들(43, 4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들(43, 43')이 각각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들(22b, 22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이격홈들(43, 43')이 각각 상기 전원컨택트들(22b, 22b')이 갖는 실장부재(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4)는 제2이격홈(44,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격홈(44)은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44)이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22a)의 후방(BD 화살표 방향, 도 11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컨택트(22a)는 상기 제1컨택트(2a)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전원컨택트(22a)의 실장부재(22)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D3, 도 11에 도시됨)를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를 이용하여 신호에 대한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에 대해 더 안정적인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44)이 상기 전원컨택트(22a)가 갖는 실장부재(2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2이격홈(4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이격홈들(44, 4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들(44, 44')이 각각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전원컨택트들(22a, 22a')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이격홈들(44, 44')이 각각 상기 전원컨택트들(22a, 22a')이 갖는 실장부재(2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7,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5)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커버(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삽입홈(50, 도 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삽입홈(5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5)의 내부에 위치한 컨택트(2)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의 개방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삽입홈(5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커버(5)의 개방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차단부(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커버(5)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커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4)는 신호에 대한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는 상기 기판을 통해 직접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5)는 하부커버(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절연부(3)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절연부(3)의 하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에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상기 하부커버(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 및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벤딩(Bending)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를 통해 접지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후면(311)를 가리도록 구현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하부실장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하부연결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와 동일한 개수의 하부연결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들은 각각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부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절연부(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을 가림과 동시에,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양측면은, 상기 상부커버(52) 및 상기 하부커버(51)에 의해 전면(全面)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에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상기 상부커버(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 쪽으로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 및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는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벤딩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를 통해 접지된 상태로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후면(321)를 가리도록 구현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부실장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 사이에는 수용홈(511a, 도 15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수용홈(511a)에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수용홈(511a)을 통해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들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부연결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가 상기 하부연결부재(5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51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커버(51)가 상기 기판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와 동일한 개수의 상부연결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들은 각각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내부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절연부(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절연부(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상부커버(5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내부커버(5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커버(53), 상기 하부커버(51), 및 상기 상부커버(52)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이중구조로 가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에는 상기 하부커버(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51)는 상기 내부커버(53)의 하측에 위치하여 용접에 의해 상기 내부커버(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에는 상기 상부커버(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내부커버(53)의 상측에 위치하여 용접에 의해 상기 내부커버(5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5)가 갖는 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견고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 및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의 개방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삽입홈(5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의 개방된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은 상기 차단부(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내부실장부재(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면서도,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 사이에는 수용홈(531a, 도 18에 도시됨)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수용홈(531a)에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수용홈(531a)을 통해 상기 내부실장부재(531)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에 대한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들은 상기 상부실장부재(521)들의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내부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절연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연결부재(532)가 상기 상부연결부재(5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상부연결부재(522)가 상기 내부연결부재(53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부재(522)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실장부재(52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커버(53)가 상기 기판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와 동일한 개수의 내부연결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연결부재(532)들은 각각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들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보조실장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를 이용하여 더 견고하게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실장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에 도포된 솔더 페이스트를 통해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실장부재(533)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서로 다른 실장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53)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들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들은 상기 제2지지부재(3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실장부재(53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52)는 상기 하부실장부재(511)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실장부재(521), 및 상기 내부실장부재(531)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실장부재(521)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하부실장부재(511) 및 2개의 내부실장부재(531)가 구비된 경우, 상기 상부커버(52)는 4개의 상부실장부재(521)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벤딩되어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부재(41)와 상기 하부커버(51)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차단부재(41) 및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에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통해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막음으로써, 틈새들 각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는 것과 대비할 때,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에는 상기 커버(5)가 4개의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5)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1폐쇄부재(54)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상기 하부커버(51)와 상기 제1차단부재(41)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서로 간에 일부가 중첩(重疊)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폐쇄부재(54)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는 가운데 부분이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서 벤딩되도록 상기 하부커버(51)에 연결됨과 동시에 양측 부분이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차단부재(41)의 양측 부분 및 상기 하부커버(51) 사이의 틈새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41)와 상기 하부커버(51) 사이의 틈새 중에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는,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와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제1폐쇄부재(54)를 형성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4)는 상기 제1차단부재(41)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41)들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상기 제1차단부재(41)들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장부재(533)가 간섭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폐쇄부재(54)들을 형성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1차단부재(41)가 상기 하부커버(51)에 대해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실장부재(533)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은, 상기 제1폐쇄부재(54) 없이도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5)는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는,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에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벤딩되어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차단부재(42)와 상기 상부커버(52)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차단부재(42) 및 상기 제2폐쇄부재(55)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의 방사를 차단하는 차단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에 레이저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을 통해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를 부분적으로 막음으로써, 틈새들 각각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을 이용하여 상기 절연부(3)의 후면(3b) 쪽을 통해 신호에 대해 방사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는 것과 대비할 때, 재료비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9에는 상기 커버(5)가 4개의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5)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2폐쇄부재(55)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상기 상부커버(52)와 상기 제2차단부재(42) 사이의 틈새 전부를 막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서로 간에 일부가 중첩(重疊)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차단부재(42)가 가운데 부분이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서 벤딩되도록 상기 상부커버(52)에 연결됨과 동시에 양측 부분이 상기 상부커버(52)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 상기 제2폐쇄부재(55)들은 상기 제2차단부재(42)의 양측 부분 및 상기 상부커버(52)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3)는 미드플레이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컨택트(2a)들의 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컨택트(2b)들의 접속부재(2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상기 제1지지부재(31) 및 상기 제2지지부재(32)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는 접지된다.
상기 미드플레이트(33)에는 절연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 각각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S2)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공(331)을 통해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22b)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복수개의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이 구비되는 경우,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의 제1접속부재(21)들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의 제2접속부재(3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이 상기 미드플레이트(33)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2) 모두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공(331)을 통해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간에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미드플레이트(33),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에서 상기 제1전원컨택트들(22a. 22a') 및 상기 제2전원컨택트들(22b, 22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331)은 상기 미드플레이트(33)가 2개 이상의 접지본체들(332, 332')로 구현되어서 상기 접지본체들(332, 332')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절연공(331)을 향하는 접지면(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상기 접지면(33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를 기준으로 상기 절연공(331)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 및 상기 접지면(332a)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를 향하는 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공(33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절연공(331)을 향하는 접지면(33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 사이에 상기 접지면(33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1접속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를 기준으로 상기 절연공(331) 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본체(33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의 접속부재(21) 사이를 가리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 및 상기 제2전송컨택트(25b')를 이용한 신호 전송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 및 상기 접지면(332a')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5a')의 접속부재(21)가 갖는 일면은, 상기 제1전원컨택트(22a')의 접속부재(21)를 향하는 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절연부 4 : 차단부
5 : 커버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31 : 제1지지부재 32 : 제2지지부재
33 : 미드플레이트 41 : 제1차단부재
42 : 제2차단부재 43 : 제1이격홈
44 : 제2이격홈 51 : 하부커버
52 : 상부커버 53 : 내부커버
54 : 제1폐쇄부재 55 : 제2폐쇄부재
231 : 경사부재 232 : 절곡부재
311 : 후면 321 : 후면
331 : 절연공 332, 332' : 접지본체
411 : 접촉면 412 : 대향면
511 : 하부실장부재 512 : 하부연결부재
521 : 상부실장부재 522 : 상부연결부재
531 : 내부실장부재 532 : 내부연결부재
533 : 보조실장부재

Claims (25)

  1.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컨택트;
    상기 컨택트들이 설치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설치된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된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부는 전면(前面)이 상기 삽입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절연부의 후면(後面)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접속부재들이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접속부재들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Groun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서 접지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커버를 통해 접지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상기 하부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 및 상기 제1차단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하부커버에 대해 벤딩(Bending)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제1차단부재 사이의 틈새를 막는 복수개의 제1폐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폐쇄부재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제1차단부재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절연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내부커버, 및 상기 제1차단부재들 사이의 틈새를 막는 복수개의 제1폐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커버는 상기 제1차단부재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보조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폐쇄부재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조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들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연결되어서 상기 컨택트들을 향하도록 배치된 대향면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접촉면과의 사잇각(Included Angle)이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실장부재들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된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제2차단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상부커버에 대해 벤딩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제2차단부재 사이의 틈새를 막는 복수개의 제2폐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폐쇄부재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제2차단부재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이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제1이격홈이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이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제2이격홈이 상기 컨택트들 중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실장부재들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의 후면을 가리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접속부재들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과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설치된 미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에는 절연공이 형성되되, 상기 절연공은 상기 미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공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의 접속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의 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플레이트는 상기 절연공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접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본체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전송컨택트의 접속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전송컨택트의 접속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본체는 상기 절연공을 향하는 접지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고속신호전송을 위한 전송컨택트의 접속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접속부재들 중에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컨택트의 접속부재 사이에 상기 접지면이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부커버, 및 상기 절연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상부실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하부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실장부재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실장부재가 상기 하부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실장부재와 상기 하부실장부재의 사이에 수용홈이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상부실장부재와 상기 하부실장부재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실장부재에 결합된 하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실장부재에 결합된 상부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상기 하부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실장부재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연결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절연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내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상부실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커버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내부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실장부재 및 상기 상부실장부재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하나의 실장홈에 삽입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실장부재가 상기 내부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실장부재와 상기 내부실장부재의 사이에 수용홈이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상부실장부재와 상기 내부실장부재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수용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는 상기 내부실장부재에 결합된 내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실장부재에 결합된 상부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상기 내부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상부실장부재가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력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연결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60097403A 2016-07-29 2016-07-29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5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03A KR102556308B1 (ko) 2016-07-29 2016-07-29 리셉터클 커넥터
CN201710617000.XA CN107666042B (zh) 2016-07-29 2017-07-26 插座连接器
CN201720918043.7U CN207265259U (zh) 2016-07-29 2017-07-26 插座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03A KR102556308B1 (ko) 2016-07-29 2016-07-29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44A KR20180013544A (ko) 2018-02-07
KR102556308B1 true KR102556308B1 (ko) 2023-07-14

Family

ID=6120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03A KR102556308B1 (ko) 2016-07-29 2016-07-29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73B1 (ko) * 2018-06-01 2023-04-1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099A (ja) 2011-03-03 2012-09-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CN105098455A (zh) * 2014-05-06 2015-11-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5406256A (zh) * 2015-11-05 2016-03-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502B1 (ko) * 2015-12-10 2017-09-01 주식회사 신화콘텍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099A (ja) 2011-03-03 2012-09-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CN105098455A (zh) * 2014-05-06 2015-11-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5406256A (zh) * 2015-11-05 2016-03-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44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04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for providing grounding and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10096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assembled with the same therein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1123961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943176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US20140073181A1 (en) Ground unit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same
US20220123508A1 (en) Connector device
JP2022532528A (ja) 基板コネクタ
US20150017836A1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1050194B2 (en) Connector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17945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TWI606644B (zh) 連接器裝置
CN107666042B (zh) 插座连接器
KR10229410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6515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6965685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550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41129B1 (ko) 차폐형 실드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20180044788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69847B1 (ko)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