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356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356B1
KR102550356B1 KR1020160093767A KR20160093767A KR102550356B1 KR 102550356 B1 KR102550356 B1 KR 102550356B1 KR 1020160093767 A KR1020160093767 A KR 1020160093767A KR 20160093767 A KR20160093767 A KR 20160093767A KR 102550356 B1 KR102550356 B1 KR 10255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indoor unit
controller
unit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897A (ko
Inventor
사용철
이해성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3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통해 토출구에 대한 제어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제어기를 통해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실내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개별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와 실제 제어되는 베인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여, 복수의 방향으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대하여 풍향과 풍량을 설정하여 제어한다. 이러한 설정은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관계없이 동일한 설정으로 제어되고, 개별제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대응하여, 유선리모컨 등을 통해 복수의 토출구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메뉴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토출구 개별제어에 대하여 쉽게 인지할 수 없고, 메뉴 구성이 복잡하여 복수의 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을 변경하기까지 조작의 불편함이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선택하여 개별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운전설정 및 상기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와 상기 베인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베인위치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방향찾기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제 1 베인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상기 제 1 베인에 매치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의 위치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기의 운전설정 및 상기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는 제어기의 화면에, 상기 실내기의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에 대응하여 복수의 베인이미지가 포함된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방향찾기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제 1 베인이 동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상기 제 1 베인에 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의 위치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내기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통해 실내기의 토출구에 대한 제어메뉴를 제공하고, 복수의 토출구를 선택에 따라 간편하게 개별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와 실제 제어되는 베인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제어기의 설치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실내기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 중, 메인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 중, 토출구설정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토출구설정화면 중, 토출구의 위치정렬을 위한 방향찾기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토출구 위치 정렬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제어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20)(21 내지 26),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 복수의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30)(31 내지 36),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중앙제어기(5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기(5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내기(20) 및 실외기(1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모니터링화면을 통해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중앙제어기(50)는 복수의 실내기(20)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잠금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전력사용에 대한 피크제어, 디멘드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기(50)는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복수의 중앙제어기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중앙제어기(50)는 리모컨(30) 또는 제어기(80)에 의해 실내기의 운전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중앙제어기(50), 리모컨(30) 또는 제어기(8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중앙제어기(50)는 리모컨(30) 또는 제어기(80)에 우선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50)는 외부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외부 접속을 통한 요청을 처리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와의 연결방식에 따라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일방향 통신을 수행하거나, 실내기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컨(30)은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연결된 실내기의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리모컨(31)은 제 1 실내기(21)에 연결되고, 제 2 리모컨(32)은 제 2 실내기(22)에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을 동시에 변경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실내기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어기(80)는, 제어기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 중 근접한 실내기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 제 1 내지 제 6 실내기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80)는 각 실내기에 대하여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복수의 실내기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단, 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더라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한번에 하나의 실내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80)가 제 1 실내기(21)에 근접한 경우에는 제 1 실내기와 연결되어 제1 실내기를 제어하고, 제 6 실내기(26)에 근접한 경우에는 제 6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실내기(21)와 제 2 실내기(22)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기(80)는 제 1 실내기(21) 및 제 2 실내기(22)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데이터를 한번에 하나의 실내기로 전송하며, 전송한 실내기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실내기에 대한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출력한다.
제어기(80)는 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의 온도, 풍향, 운전모드에 대한 운전설정을 실내기로 전송하고, 실내기의 토출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0)와 실내기(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환기유닛,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유닛은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각각 복수의 실내기(20)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또한, 실외기(10)는 복수의 실내기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내기로부터 변경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동작을 변경하고, 또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중앙제어기(50)로 전송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실내기(20)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20)는 공기조화기 운전에 대한 설정정보를 리모컨(30)으로 전송하여 리모컨을 통해 출력하고,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하며, 연결된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10)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제어기의 설치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실내기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실내기(20)에는 리모컨(30)이 연결된다.
또한, 제어기(80)는 실내기(20)와 연결되어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토출구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기(80)는 리모컨(30)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실내기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전송한다.
실내기(20)는 제어기(80)와 리모컨(30)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동시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상반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20)는 천장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벽걸이형 또는 스탠드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를 포함하여 4방향으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0)는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대하여, 각각 토출구를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베인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은,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풍향을 조절한다.
실내기(20)의 중앙에는 실내공기를 실내기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가 구비된다.
제어기(80)는 휴대형 단말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워치형 단말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공기조화기 전용 제어기, 공기조화기용 로컬제어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80)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와이파이, 와이브로,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기(20)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제어기(80)는 실내기의 운전모드, 온도, 풍량에 대한 운전설정을 제어하고, 또한, 실내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한 개폐와, 토출각도를 제어한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 복수의 밸브,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유닛통신부(120), 유닛입력부(130), 유닛출력부(140), 베인구동부(150), 팬구동부(160), 실내기팬(170), 복수의 베인(151 내지 154), 실내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유닛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20)는 베인 및 실내기팬 구동을 위한 제어데이터, 실외기, 중앙제어기, 리모컨, 제어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데이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유닛통신부(120)는 실외기(10)를 포함하는 다른 유닛, 중앙제어기(50)와 통신한다. 또한, 유닛통신부(120)는 리모컨(30) 또는 제어기(80)와 통신한다.
유닛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외기, 리모컨, 제어기와의 통신 시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유닛통신부(120)는 공기조화기 유닛간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내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며, 리모컨(30) 또는 제어기(8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유닛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유닛통신부(120)는 제어기(80)의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내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또한 유닛통신부(120)는 실내기의 데이터를 제어기(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닛통신부(120)는, RS 232, RS 422 또는 RS485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실내기(20) 또는 실외기(1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유닛통신부(120)는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실내기(20), 실외기(10), 중앙제어기(50) 또는 제어기(8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유닛입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하여, 실내기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단, 실내기가 천장형인 경우 유닛입력부(130)는 구비되지 않고, 리모컨(30)은 제어기(80)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유닛출력부(140)는 점등 또는 점멸제어되는 램프,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램프는 점등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실내기가 동작중인지 여부를 출력하고, 스피커는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내기팬(170)은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온의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
팬구동부(160)는 실내기팬(170)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팬구동부(16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실내기팬(17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또한, 실내기팬(170)이 설정된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베인구동부(15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제 4 토출구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베인구동부(150)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 각각에 대하여 개도각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풍향을 변경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는 베인구동부(150)에 의해 개도각이 가변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한다. 이때, 각 토출구에는 좌우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인은 각각 0도 내지 90도 각도의 범위 내에서 개도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단계별로 개도각이 변경된다.
베인구동부(150)는 유닛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베인의 개도각을 단계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베인구동부(150)는 0도는 닫힘 상태이므로, 0도를 제외하고, 15도 단위로 15 내지 75도의 범위 내에서 5단계로 베인의 개도각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인의 개도각은 설정에 따라 3단계 내지 9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인구동부(150)는 스윙모드 설정 시, 단계구분 없이 15도 내지 75도 범위 내에서 베인의 개도각을 연속적으로 변경한다.
유닛제어부(110)는 유닛입력부(130) 또는 유닛통신부(120)를 통해 리모컨(30), 제어기(80), 중앙제어기(50), 실외기(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내기의 동작을 설정하고, 실내기가 토출구를 통해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도록 제어하며, 실내기의 동작상태가 유닛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유닛제어부(110)는 구비되는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실내온도와 희망온도에 대응하여 실내기가 지정된 운전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며, 설정된 풍량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실내기팬(170)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유닛제어부(110)는 설정된 개도각에 따라 베인구동부(15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 1 내지 제 4 베인의 개폐 및 개도각을 제어한다.
유닛제어부(110)는 실내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데이터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유닛통신부(120)를 통해 다른 유닛 또는 제어기로 동작상태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의 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0)는 입력부(230), 표시부(240), 단말통신부(220), 데이터부(250), 센서부(미도시) 그리고 제어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80)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고,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인터페이스가 구비되며 그 외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230)는 버튼 또는 스위치, 터치패드의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동작 제어를 위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표시부(240)는 제어기(8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고, 실내기(20)와 통신 시,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실내기와의 연결상태를 출력하며, 또한, 실내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메뉴로 구성된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제어기(8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수행되는 기능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실내기(20)와 연결되는 경우, 실내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메뉴를 UI 또는 GUI로 출력한다.
표시부(240)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은 입력부로써 동작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와 표시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구현되며, 제어기(8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로써 기능 함과 동시에, 제어기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40)는 터치 방식에 의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표시부(24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터치를 감지하고, 단말제어부(210)는 이에 근거하여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표시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0)는 출력수단으로 표시부 이외에도, 스피커, 램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제어기(80)의 데이터를 소정 음향으로 출력하고, 경우에 따라 경고음 또는 효과음을 출력한다.
데이터부(250)에는 제어기(80)의 기능별 실행프로그램, 제어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250)에는 실행프로그램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저장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데이터부(250)에는 실내기와의 연결 및 실내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데이터부(250)는 단말제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제어기(80)에 인접한 물체나 인체를 감지하고, 압력을 감지하며, 제어기의 위치를 판단하고, 제어기의 기울기 또는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220)는 제어기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다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통신부(22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소정 거리 내의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GPS모듈, 방송수신모듈 등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단말제어부(210)는 데이터부(2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실내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내기 제어를 위한 제어메뉴가 포함된 제어화면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하고, 입력부(2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하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부(250)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단말제어부(210)는 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실내기의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실내기(20)로 전송되도록 하며, 수신되는 실내기의 데이터가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단말제어부(210)는 초기 실내기(20)와 통신하는 경우, 상호 인증을 통해 실내기를 연결대상으로 등록한다. 단말제어부(210)는 등록된 실내기(20)의 정보를 데이터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실내기(20)가 소정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통신부(220)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실내기(2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단말제어부(210)는 소정거리 내에, 등록된 실내기가 복수인 경우,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도록 하되, 연결된 실내기의 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하고, 데이터 전송 시 어느 하나의 실내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단말제어부(210)는 소정거리 내에 등록된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실내기 연결 여부에 따른 안내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210)는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실내기(20)와 연결되는 경우, 실내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실내기 제어를 위한 제어화면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210)는 실내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소정 거리내의 연결 가능한 실내기를 탐색하고, 그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실내기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제어기(80)는 전술한 도 3b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기(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그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실내기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단말제어부(210)의 어플리케이션실행부(211)에 의해 실행되고, 그에 대한 데이터가 처리된다. 어플리케이션실행부(211)는 원격제어데이터(251)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제어메뉴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제어화면을 구현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실행부(211)는 제어화면의 구성 및 제어화면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관리한다.
서비스처리부(212)는 제어화면을 통해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원격제어데이터로부터 호출하여, 요청된 서비스 즉, 선택된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처리부(212)는 제어화면을 통해 제 1 베인의 개도각이 변경되도록 설정되면, 제 1 베인의 개도각 변경에 따른 실내기 데이터를 호출하고, 제 1 베인의 개도각 변경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서비스처리부(212)는 요청된 서비스, 예를 들어 베인의 개도각 변경을 위해 생성된 제어명령을 단말통신부(220)의 신호생성부(221)로 인가하여 실내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신호생성부(221)는 서비스처리부(212)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을 실내기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생성부(221)는 수신 대상이 지정된 경우, 수신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변환된 신호를 송신부(222)로 인가한다.
송신부(222)는 지정된 통신방식에 따라 변환된 신호를 출력한다. 송신부(222)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실내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경우, 변환된 신호에 대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20)는 송신부(222)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변환된 신호를 재변환하여 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실내기(20)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제 1 베인의 개도각을 변경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0)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내기(20)를 제어하기 제어화면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화면은 메인화면(301)과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포함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301)은, 메인메뉴(390), 설정정보메뉴(320)와 운전설정메뉴(330)로 구성된다.
메인메뉴(390)에는 메인화면(301)에 대한 컨트롤키(392)와 토출구설정화면(302)에 대한 베인키(393)가 구비된다. 또한, 메인메뉴(390)에는 제어대상이 실내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391)이 표시되고, 실내기에 대항 운전/정지를 설정하는 전원키(394)가 구비된다.
메인메뉴(390)에서 컨트롤키(3921)가 선택되면, 메인화면(301)이 표시되고, 베인키(393)가 선택되면, 토출구설정화면(302)이 표시부(240)에 표시된다.
제어화면 내에서의 키입력에 따른 화면의 전환 및 메뉴의 구성은 어플리케이션실행부(211)에 의해 처리된다.
설정정보메뉴(320)는, 운전모드영역(323), 온도설정키(322), 온도정보영역(324)을 포함한다.
운전모드영역(323)에는 운전설정메뉴(330)를 통해 선택된 운전모드가 문자, 아이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운전모드영역(323)에는 냉방모드, 난방모드, 제습모드, 송풍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가, 각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온도설정키(322)는 온도선택영역(321) 내에서 이동하며, 온도선택영역(321)에 표시된 온도단계(32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실내기에 대한 희망온도를 설정한다.
이때 온도선택영역(321)은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색상이 변경될 수 있고, 또한, 온도설정키(322)의 위치에 따라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설정이 필요없는 운전모드가 설정된 경우, 온도단계는 표시되지 않는다.
온도정보영역(324)은 온도설정키(322)에 의해 선택된 희망온도를 표시하고, 또한, 실내기의 실내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온도단위키(326)는 온도정보영역(324)에 표시되는 온도가 섭씨 또는 화씨로 표시되도록 온도단위를 변경한다.
운전설정메뉴(330)는 운전모드 설정을 위한 냉방모드키(331), 난방모드키(332), 제습모드키(333), 송풍모드키(334), 풍량설정키(335), 그리고 전송키(336)를 포함한다.
냉방모드키(331), 난방모드키(332), 제습모드키(333), 송풍모드키(33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모드가 설정되고, 풍량설정키(335)를 통해 풍량이 4단계로 설정된다.
전송키(336)는 변경된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이 실내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인화면(301)을 통해 운전모드, 온도, 풍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후 전송키(336)가 선택되면, 변경된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이 실내기(20)로 전송된다.
단말제어부(210)의 서비스처리부(212)는 전송키(336) 입력 시, 변경된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해당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신호생성부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송신부를 통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가 실내기로 전송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설정화면(302)은, 메인메뉴(390), 실내기이미지영역(340), 베인선택메뉴(360), 개도각설정메뉴(370), 방향찾기키(351), 수동변경키(358)(359), 표준키(381), 스윙키(382), 전송키(383)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도 5의 a에 도시된 메인화면(301)과 동일한 메뉴 또는 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내기이미지영역(340)은 실내기의 이미지 및 실내기의 제 1 내지 제 4 베인에 대응하는 베인이미지(341 내지 345)가 표시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베인이미지는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이미지(341 내지 345)는 각각, 실내기의 제 1 내지 제 4 배인(151 내지 154)에 각각 대응된다.
베인선택메뉴(360)를 통해 어느 하나의 베인이 선택되면, 실내기이미지영역(340) 중 선택된 베인에 대응하는 베인이미지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베인선택메뉴(360)는 제 1 내지 제 4 베인이미지(341 내지 344)에 대응하는 복수의 베인키(361 내지 364)로 구성되며, 베인키는, 각 베인에 설정된 개도각이 표시된다. 복수의 베인키(361 내지 364)는 복수로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베인키는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선택되지 않은 베인키는 무채색으로 표시되고, 선택된 베인키는 컬러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베인키는 굵은 테두리로 표시될 수 있다.
개도각설정메뉴(370)는 베인선택메뉴(360)의 복수의 베인키(361 내지 364)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베인에 대하여, 설정키(371)의 이동에 따라 개도각이 설정된다. 설정키(371)는 베인의 개도각 제어 단계에 대응하여 변경되며, 개도각의 각 단계(372)는 점위치 또는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표준키(381)는, 베인 키를 통해 선택된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기 설정된 표준각으로 변경한다. 이때 표준각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각은 45 또는 60도 설정될 수 있다.
스윙키(382)는, 선택된 베인에 대하여, 개도각이 연속으로 변경되는 스윙모드를 설정한다.
방향찾기키(351)는,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베인의 위치를 정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수동변경키(358)(359)는, 실내기이미지영역(340)의 베인이미지와 그에 대응하는 베인의 위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변경하여 수동으로 정렬한다. 수동변경키의 조작 횟수에 따라, 베인이미지에 대응하는 베인의 위치가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방향찾기키 및 수동변경키는 제 1 내지 제 4 베인이미지(341 내지 344)에 대응하는 실내기의 제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을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변경한다.
취소키(357)는 베인이미지와 베인의 대응관계가 방향찾기키 및 수동변경키에 의해 변경된 경우, 이를 취소한다. 취소키(357)는 베인이미지와 베인의 대응관계를 변경되기 전 상태로 복구한다.
전송키(383)는, 변경된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이 실내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설정을 변경한 후 전송키가 선택되지 않으면, 변경된 설정은 실내기로 전송되지 않는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 중, 메인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모드에 따라 메인화면(301)의 설정정보메뉴(320)가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키(331)가 선택되면, 설정정보메뉴(320)의 운전모드영역(323)에는 냉방모드에 대응하는 냉방아이콘(323a)이 표시된다. 온도선택영역(321a)은 냉방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파랑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설정키(322)의 위치에 따라 냉방희망온도(324a)가 표시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모드키(332)가 선택되면, 설정정보메뉴(320)의 운전모드영역(323)에는 난방모드에 대응하는 난방아이콘(323b)이 표시된다. 온도선택영역(321b)은 난방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빨강색 또는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설정키(322)의 위치에 따라 난방희망온도(324b)가 표시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모드키(333)가 선택되면, 설정정보메뉴(320)의 운전모드영역(323)에는 제습모드에 대응하는 제습아이콘(323c)이 표시된다. 온도선택영역(321c)은 제습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습모드의 경우 온도설정이 불필요하므로, 희망온도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드키(334)가 선택되면, 설정정보메뉴(320)의 운전모드영역(323)에는 송풍모드에 대응하는 송풍아이콘(323d)이 표시된다. 온도선택영역(321d)은 제습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송풍모드의 경우 온도설정이 불필요하므로, 희망온도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제어화면 중, 토출구설정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0)는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통해, 실내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토출구에 대하여, 토출구에 구비되는 베인의 개폐 및 개도각을 개별 제어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경우, 복수의 베인키 중 제어하고자 하는 베인키 또는 베인이미지를 선택하여 토출구를 제어할 수 있다.
토출구설정화면(302)은 베인키 또는 실내기이미지영역(340)의 베인이미지 선택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베인을 선택할 수 있다.
베인선택메뉴(360) 중, 제 1 베인키(361)가 선택되면, 제 1 베인키(361)가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제 1 베인키(361)에 대응하여, 제 1 베인이미지(341)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또한, 실내기이미지영역(340)의 제 1 베인이미지(341) 선택 시, 제 1 베인키(361)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베인키의 선택에 따라, 실내기이미지영역(340)의 제 1 내지 제 4 베인에 대응하는 베인이미지(341 내지 344) 중 제 1 베인키(361)에 대응하는 베인이미지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제 1 베인키(361)는 제 1 베인이미지(341)에 대응하고, 제 2 베인키(362)는 제 2 베인이미지(342)에 대응하며, 제 3 베인키(363)는 제 3 베인이미지(343)에 대응하고, 제 4 베인키(364)는 제 4 베인이미지(344)에 대응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이미지(341 내지 344)는 각각, 실내기의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에 대응된다. 각 베인이미지는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되며, 베인키의 선택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색상이 표시되거나, 또는 색상의 농도가 변경되어 표시된다.
제 1 베인키(361) 선택 후, 개도각설정메뉴(370)의 설정키(371)를 제 1 방향(373a) 또는 제 2 방향(373b)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베인키에 대응하는 베인의 개도각이 설정된다.
전송키(383)가 선택되면, 변경된 개도각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이 실내기로 전송되어 베인의 개도각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 1 베인키(361) 또는 제 1 베인이미지(341)에 대응하는 실내기의 베인이 제 1 베인인 경우, 베인구동부에 의해 제 1 베인(151)이 설정된 개도각으로 변경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0)는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통해 복수의 베인을 선택하여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베인키(362)와 제 4 베인키(364) 또는, 제 2 및 제 4 베인이미지(342)(344)가 선택되면, 선택된 베인키와 베인이미지가 활성화되어 표시된다.
베인키 또는 베인이미지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베인을 선택한 후, 개도각설정메뉴(370)의 설정키(371)를 제 1 지점(371a)에서 제 2 지점(371b)로 변경하면, 제 2 및 제 4 베인키(362)(364) 내에 표시되는 개도각이 제 2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복수의 베인이 선택된 후, 개도각설정메뉴(370)를 통해 개도각을 변경하면, 선택된 복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 설정이 동시에 변경된다.
선택되지 않은 베인에 대해서는 기존 설정에 따른 개도각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 2 베인키(362)에 제 2 베인(152)이 대응하고, 제 4 베인키(364)에 제 4 베인(154)이 대응되는 경우, 제 2 및 제 4 베인(152)(154)의 개도각이 제 2 지점에 대응하는 개도각으로 변경된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키(381)가 선택되면, 베인키 또는 베인이미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베인에 대한 개도각이 표준각으로 설정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가 선택된 상태에서 표준키(381)가 선택되면,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의 개도각이 표준각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표준각은 45도 또는 60도이고,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표준키(381) 입력 시, 개도각설정메뉴(370)의 설정키(371)의 위치 또한, 표준각의 위치로 변경된다.
한편, 제 3 베인키(363) 선택 후, 표준키(381)가 선택되면, 제 3 베인키에 대한 개도각이 표준각으로 설정변경된다. 전송키(383) 선택 시, 제 3 베인키에 대응하는 베인의 개도각이 표준각으로 변경된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키(382)가 선택되면, 스윙모드가 설정된다.
스윙모드 설정 시, 선택된 베인은 제어가능한 개도각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연속으로 개도각이 변경된다.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가 선택된 상태에서 스윙키(382)가 선택되면,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베인(151 내지 154)이 스윙동작하게 된다.
스윙키(382) 선택 시,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가 모두 자동 선택되어 스윙모드가 설정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베인키(361 내지 364) 중 일부만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베인에 대해서만 스윙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기(80)는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통해, 연결된 실내기의 토출구를 개별제어 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토출구설정화면 중, 토출구의 위치정렬을 위한 방향찾기화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5의 b에서 방향찾기키(351)가 선택되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찾기화면(352)이 표시된다. 방향찾기화면(352)은 토출구설정화면(302)에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찾기화면(352)은 안내이미지(352d), 안내메시지(352a), 취소키(352c), 다음키(352b)를 포함한다.
안내이미지(352d)에는 사용자에게 방향찾기의 진행단계를 설명하는 이미지가표시되고, 또한 안내메시지(352a)에 방향찾기의 진행을 위한 방법이 문자로 표시된다.
제어기(80)는 방향찾기화면(352)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실내기(20)의 베인의 위치를 정렬한다. 신호의 전송이 용이하도록 제어기(80)는 안내이미지 및 안내메시지를 통해 제어기(80)를 실내기 방향이 되도록 유도한다.
취소키(352c)가 선택되면, 방향찾기가 취소되고, 토출구설정화면(302)으로 복귀한다.
다음키(352b)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210)는 실내기의 복수의 베인 중, 어느 하나의 베인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단말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제어부(210)는 제 1 베인(151)이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방향찾기화면(352)에서 다음키(352b)가 선택되면, 도 8의 b와 같이 베인선택화면(353)이 표시된다.
베인선택화면(353)은, 베인선택이미지(353d), 베인선택메시지(353a), 다음키(353b), 취소키(353c)를 포함한다.
제어기(80)는 베인선택메시지(353a)를 통해 방향찾기화면을 통해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실내기의 복수의 베인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면, 사용자의 위치에서 동작하는 베인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에 의해, 실제 동작하는 베인에 대응하여, 베인선택이미지(353d)에 표시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353e), 다음키(353b)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210)는 선택된 베인이미지와 제 1 베인이 대응하도록, 위치를 정렬한다.
취소키(353c)가 선택되면, 방향찾기가 취소되고, 토출구설정화면(302)으로 복귀한다.
또한, 다음키(353d) 선택시, 위치정렬화면(354)이 표시된다.
도 8의 c와 같이 위치정렬화면(354)은 베인위치가 정렬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시지(354a)와, 변경된 베인이미지(354d)를 표시한다.
다음키(354b)가 선택되면, 변경된 베인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표시부(240)는 토출구설정화면(302)으로 복귀한다. 한편, 취소키(354c)가 선택되면, 베인위치 정렬이 취소되고 이전 상태로 복귀하며, 표시부(240)는 토출구설정화면(302)으로 복귀한다.
제어기(80)는 방향찾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설정화면(302)의 베인이미지의 위치와, 실제 실내기의 베인의 위치에 대한 대응관계를 변경하여 저장한다. 그에 따라 제어기(80)는 사용자가 토출구설정화면(302)에서 선택하는 베인과, 사용자의 위치에서 실제 제어되는 베인이 일치하도록 한다.
도 9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의 토출구 위치 정렬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는 고정설치되나, 사용자의 위치(P1 내지 P4)는 변경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와 실내기의 베인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경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설정화면(302)(A)에는 제 1 베인이미지(341)가 1번, 제 2 베인이미지(342)가 2번, 제 3 베인이미지(343)가 3번, 제 4 베인이미지(344)가 4번으로 배치된다.
제 1 위치(P1)에서 실내기를 바라보는 사용자는, 토출구설정화면(302)의 베인 위치와 동일하게, 제 1 베인(151)이 1번, 제 2 베인(152)이 2번, 제 3 베인(153)이 3번, 제 4 베인(154)이 4번으로 보여진다.
그에 따라, 제 1 베인이미지(341)를 선택하여 개도각을 변경하는 경우, 1번위치의 제 1 베인이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위치(P2)에서 실내기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경우, 토출구설정화면(302)의 베인 위치와 상이하게, 제 1 베인이미지(341)의 위치에 제 4 베인(154)이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 1 베인이미지(341)를 선택하여 개도각을 변경하는 경우, 제 1 베인(151)이 동작하기는 하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 2 베인이미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베인이 동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즉, 토출구설정화면(302)에서 선택한 베인과, 실제 동작하는 베인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제 3 위치(P3)에서 실내기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경우, 토출구설정화면(302)에서 제 1 베인이미지(341)를 선택하여 개도각을 변경하는 경우, 제 1 베인(151)이 동작하기는 하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 3 베인이미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베인이 동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제 4 위치(P4)에서 실내기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 1 베인이미지(341)를 선택하여 개도각을 변경하는 경우, 제 4 베인이미지의 위치에 대응하는 베인이 동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실내기의 베인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경되므로, 방향찾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를 정렬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베인과 실제 동작하는 베인이 일치하도록 한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제어부(210)는 방향찾기를 통해 베인의 위치를 정렬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과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베인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한다.
단말제어부(210)는 베인제어를 위한 제어명령 생성 시, 저장된 위치관계를 바탕으로 복수의 베인중 선택된 베인이 동작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 3 위치(P3)에 위치한 사용자가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통해 제 1 베인이미지를 선택하여 개도각을 변경하면, 제 3 베인의 개도각이 변경된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에서는 제 1 베인이미지와 동일한 위치의 베인이 제어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제어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베인제어를 위한 메뉴, 토출구설정화면(302)을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한다(S410).
방향찾기가 선택되면(S420), 방향찾기화면을 표시하여 신호가 실내기로 전송되도록 하고, 베인선택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실제 움직이는 베인을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복수의 베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440), 제어기(80)는 선택된 베인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한다(S450).
제어기(8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토출구설정화면(302)에 표시되는 베인이미지의 위치와 실내기의 베인위치를 정렬하고(S460), 위치관계를 데이터로 저장한다.
제어기(80)는 표시부(240)의 화면이 베인제어메뉴인 토출구설정화면(302)으로 복귀하도록 하고(S47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베인이미지 또는 베인키 중 선택된 베인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한다(S480).
개도각설정메뉴(370)를 통해 선택된 베인에 대한 개도각 설정이 입력된다(S490). 또한 표준키를 통해 개도각이 표준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스윙키 선택 시, 스윙모드가 설정된다.
전송키가 선택되면, 단말제어부(210)는 선택된 베인의 위치에 대응하여, 정렬된 베인위치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어할 베인을 확인하고(S500), 입력된 설정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20)로 전송한다(S510).
그에 따라 단말통신부를 통해 신호가 실내기로 전송되고, 실내기는 제어명령에 따라 선택된 베인의 개도각을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토출구가 구비되는 실내기에 대하여, 복수의 토출구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개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베인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에서 실제 제어되는 베인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 20: 실내기
50: 중앙제어기 80: 제어기
110: 유닛제어부 120: 유닛통신부
150: 베인구동부 151 내지 154: 베인
210: 단말제어부 220: 단말통신부
301: 메인화면 302: 토출구설정화면

Claims (13)

  1.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을 제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운전설정 및 상기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와 상기 베인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베인위치를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기는, 방향찾기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제 1 베인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상기 제 1 베인에 매치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의 위치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사용자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동변경키가 선택되면, 키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베인의 위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변경하여 베인위치를 수동으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베인위치가 정렬되면, 상기 실내기로 베인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지정된 베인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베인을 제어하여 지정된 토출구로 기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선택된 토출구에 대한 정보, 풍량 및 풍향 정보를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선택된 토출구에 대하여, 상기 베인에 대한 개도각, 스윙여부, 풍량을 입력받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실내기의 운전설정 및 베인의 개도각을 설정하는 제어기에, 상기 실내기의 복수의 토출구에 설치된 복수의 베인에 대응하는 복수의 베인이미지가 포함된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방향찾기키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제 1 베인이 동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상기 제 1 베인에 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의 위치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과 상기 선택된 베인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베인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에서, 수동변경키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수동변경키의 입력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베인이미지에 대응하는 베인의 위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베인위치를 정렬한 후, 상기 실내기로 베인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 중 지정된 베인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화면의 상기 복수의 베인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베인이미지에 대응하는 토출구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베인이미지에 대응하는 베인에 대하여, 개도각, 스윙여부, 풍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93767A 2016-07-22 2016-07-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5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67A KR102550356B1 (ko) 2016-07-22 2016-07-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67A KR102550356B1 (ko) 2016-07-22 2016-07-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97A KR20180010897A (ko) 2018-01-31
KR102550356B1 true KR102550356B1 (ko) 2023-06-30

Family

ID=6108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767A KR102550356B1 (ko) 2016-07-22 2016-07-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63B2 (ja) 1991-10-31 2000-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2083077A (ja) 2010-10-14 201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2154593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3296B2 (ja) * 2009-10-30 2011-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936635B1 (ko) * 2012-02-14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140132854A (ko) * 2013-05-08 2014-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63B2 (ja) 1991-10-31 2000-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2083077A (ja) 2010-10-14 201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12154593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97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448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system
US10871301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700323B (zh) 空调***
EP2829813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522485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50999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0646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6480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55035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10285676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55765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927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937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7204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572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방법
KR10200007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098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459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KR2011002055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49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