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040B1 - 생화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생화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040B1
KR102548040B1 KR1020210103694A KR20210103694A KR102548040B1 KR 102548040 B1 KR102548040 B1 KR 102548040B1 KR 1020210103694 A KR1020210103694 A KR 1020210103694A KR 20210103694 A KR20210103694 A KR 20210103694A KR 102548040 B1 KR102548040 B1 KR 10254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water
storage means
storage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841A (ko
Inventor
황현철
Original Assignee
황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철 filed Critical 황현철
Priority to KR102021010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실시예의 생화 보관장치는,제 1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의 물을 역류시키기 위한 펌프부와,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저온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 각각은 절화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보관부와, 상기 제 1 보관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제 2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화 보관장치{Apparatus for preserving flowers}
본 발명은 생화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 특히 생화들이 꽂혀 있는 보관통내의 물을 항상 순환시킬 수 있는 생화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원 또는 꽃가게 등에서 생화(꽃)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이용한다. 즉, 가게 앞에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일률적으로 놓은 다음, 상기 보관통에 적정량의 물을 담은 후 생화들을 꽂아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게 주인(종업원)이 일일이 보관통에 물을 담아야 하고 또한 상기 보관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의 증가 및 별도의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관통에 담겨져 있는 물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물이 쉽게 썩거나 오염이 되어 생화들이 빨리 시들어 버리는 폐 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생화들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KR10-0938222 B
(특허문헌 2) KR10-2012-0124536 A
특허문헌 1의 경우, 저온실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물순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불편함이 있으며, 필요 이상의 많은 물이 필요하고 적정한 수위 조절일 어려워 절화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여전히 많은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 개별 물통을 사용하는 것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으며, 보관통 내외의 표면에 유기물이 침착되어 이를 세척할 때 많은 양의 물통을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이 소요되는 문제가 여전히 있다. 그리고, 장치의 이동이 어려우며 사용될 장소와 공간 및 동선에 따라 설치시 어려움이 있으며, 내부로의 냉기 순환을 위한 외부케이스를 설치하기 때문에 과습이 발생하기 쉽고 절화의 곰판이성 병해로 꽃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생화 보관이 필요한 가게나 장소에 맞추어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생화 보관에 소요되는 노동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생화 보관장치는,제 1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의 물을 역류시키기 위한 펌프부와,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저온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 각각은 절화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보관부와, 상기 제 1 보관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제 2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수단의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 1 보관수단으로 하강하도록 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가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는 내부에 배치된 상기 펌프부와, 물과 절화의 무게로 인한 상기 제 2 보관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보관부의 측면 또는 정면에 설치되는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와, 상기 제 2 보관부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온수의 온도 유지 및 결로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는 내부의 물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배수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용 배수라인은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는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부가 별도로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에서 이동한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와, 여과된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생화 보관장치에 의해서, 절화 보관장치의 일체화로 수질관리가 용이하고, 통합된 물순환 구조로 인해 소독 관련 첨가제의 사용이 유리하며, 물의 교환주기가 길어져서 유지 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물의 침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별로 배치가 가능해지고, 이동과 설치 역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화 보관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관부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험한 장소에서의 절화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화 보관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생화 보관장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 1 보관수단(100)과 제 2 보관수단(200)을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 1 보관수단(100)의 물을 역류시켜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12), 여과된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13), 살균된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저온기(1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온기(14)에서 온도가 낮춰진 물을 상기 제 2 보관수단(200)으로 공급하기 위한 모터부(15) 및 배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관수단(100)과 제 2 보관수단(200)은 그 설치의 높이에 차이가 있으며, 그 내부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기 제 1 보관수단(1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본다.
상세히, 상기 제 1 보관수단(100)은, 절화를 종류별로 구분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제 1 보관부(1)와, 상기 제 1 보관부(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제 2 보관부(2)와, 제 2 보관부(2) 내의 물을 여과기(12)측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펌프부(9)와, 물과 절화의 무게로 인한 상기 제 2 보관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보관부(2)의 측면 또는 정면에 설치되는 보강부(3)와, 상기 제 2 보관부(2) 일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7)와, 상기 제 2 보관부(2)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온수의 온도 유지 및 결로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온재(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관부(1)와 제 2 보관부(2)로 이루어진 보관수단은 설치 공간과 필요에 따라 2개의 보관수단, 또는 그 이상의 보관수단들로 이루어지는 등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 보관수단들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면 가장 아래의 보관수단 내에 구성된 펌프부(9)에 의해 물이 끌어올려져 여과, 살균 및 냉각을 거친 뒤 다시 가장 높은 위치의 보관수단으로 재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보관부(1)는 상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화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4개의 구별된 공간을 갖도록 제작되거나, 1개 또는 더 다른 개수의 공간을 갖는 것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설치 공간과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보관부(1)의 측벽은 일부만이 제 2 보관부(2)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 2 보관부(2) 상측에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측벽(1a)과 제 2 측벽(1b)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보관부(1)를 제 2 보관부(2)에 삽입할 때에 상기 제 1 측벽(1a)만이 제 2 보관부(2) 내에 수용된다. 이를 통해, 제 1 보관부(1) 하부가 물과 유기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보관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별화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보관통(6)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보관부와의 밀착력을 높아지고 유동이 적어질 수 있으며, 하부는 1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거나 하부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보관부(2)는 물과 함께 상기 제 1 보관부(1)를 내부에 수용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강부(3), 보온재(5)가 제 2 보관부의 정면이나 측면의 외부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보관부(2)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부(9)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15)가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부(9)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물은 회수 라인(30)을 따라 여과기(12)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2) 일측에는 내부의 물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배수라인(17)이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용 배수라인(17) 이상으로 물이 채워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위조절용 배수라인(17)은 각 보관수단들 사이, 예를 들면, 제 1 보관수단의 제 2 보관부와, 제 2 보관수단의 제 2 보관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1)에 접속하여, 수위조절용 배수라인(17)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연결부(11)로 합류하여 아래에 배치된 보관수단으로 이동하고, 최하층의 보관수단내의 물은 회수 라인(30)을 통해 여과기(12)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2) 하측에는 받침대(8)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보관부(2)와 연결부(11)에서 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된 결로가 떨어져 고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관부(2) 내측에는 여과망(4)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망(4)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11)의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교환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라인(30)을 따라 여과기(12)측으로 이동하는 물은 여과를 통해 물속의 유기물이 제거되고, 살균기(13)를 통해 살균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저온기(14)에 의해 냉각된다. 냉각된 물은 모터부(15)와 펌프부(9)의 동작으로 끌어올려져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보관수단으로 재공급되는데, 그 이동경로에 수압 조절을 위한 밸브(16)가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보관부와 제 2 보관부를 갖는 보관수단들을 다양하게 배치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로 다른 위치를 갖도록 보관수단들이 배치되거나, 2단 이상으로도 활용할 수 있고, 제 1 보관부의 개수와 제 2 보관부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112021090860954-pat00001
위의 표 1은 실험구를 설치하여 10개월간 물 교환주기와 교체시 작업시간에 관해 실험한 내용이다.
도 7에 첨부된 사진과 같이, 절화의 보관시 잎제거와 부유물 관리, 사용량 등에 따라 교환주기가 달라지며, 초기 설치 사용 시 관리방법 등의 시행착오가 있어 교체 기간이 짧아졌지만 추후 최소 3주부터 최장 21주(5개월)의 절화 보관수를 교체 없이 활용하고 있으며, 1회 교체시간도 1시간이내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제 1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 2 보관수단과,
    상기 제 1 보관수단의 물을 역류시키기 위한 펌프부와,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저온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 각각은 절화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보관부와, 상기 제 1 보관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물을 저장하는 제 2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관부의 측벽은 일부만이 제 2 보관부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2 보관부 상측에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보관부를 상기 제 2 보관부에 삽입할 때에 상기 제 1 측벽만이 제 2 보관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보관부는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을 포함하는 측벽이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관수단의 물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 1 보관수단으로 하강하도록 물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부가 상기 제 1 보관수단과 제 2 보관수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관부는 내부에 배치된 상기 펌프부와, 물과 절화의 무게로 인한 상기 제 2 보관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보관부의 측면 또는 정면에 설치되는 보강부와,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 배치되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와, 상기 제 2 보관부 내측면에 부착되어 저온수의 온도 유지 및 결로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온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는 내부의 물 양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용 배수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용 배수라인은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 2 보관부 일측에는 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부가 별도로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보관수단에서 이동한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와, 여과된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3694A 2021-08-06 2021-08-06 생화 보관장치 KR10254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94A KR102548040B1 (ko) 2021-08-06 2021-08-06 생화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694A KR102548040B1 (ko) 2021-08-06 2021-08-06 생화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841A KR20230021841A (ko) 2023-02-14
KR102548040B1 true KR102548040B1 (ko) 2023-06-26

Family

ID=852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694A KR102548040B1 (ko) 2021-08-06 2021-08-06 생화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963B2 (ja) 1990-06-18 2000-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JP2000188955A (ja) 1998-12-29 2000-07-11 Marushie Machinery Kk 生花の鮮度保持方法
KR100938222B1 (ko) 2008-08-26 2010-01-22 김호삼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0829A (ja) * 1988-05-30 1989-12-05 Fusako Yokoyama 生花用容器並びに該容器を用いた水の供給方法
JPH03115374U (ko) * 1990-03-12 1991-11-28
KR970011769B1 (ko) * 1994-10-20 1997-07-16 두성기전 주식회사 생화보관장치
JP3039963U (ja) * 1996-12-11 1997-08-05 株式会社東海技研工業所 生花用水槽の水自動交換装置
KR19990085463A (ko) * 1998-05-14 1999-12-06 박언봉 생화 보관 장치 및 그 방법
KR101255122B1 (ko) * 2011-05-04 2013-04-22 박종현 화훼보관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963B2 (ja) 1990-06-18 2000-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記憶装置
JP2000188955A (ja) 1998-12-29 2000-07-11 Marushie Machinery Kk 生花の鮮度保持方法
KR100938222B1 (ko) 2008-08-26 2010-01-22 김호삼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841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8086A1 (en) Method for filtering water in an aquarium, a water cultivation tank and similar water bond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system
JP5713758B2 (ja) 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KR102548040B1 (ko) 생화 보관장치
US5195426A (en) Cheese brining system with collapsible racks
US11974529B2 (en) Cultivation equipment
CN107158464B (zh) 一种自动补液式脱细胞***
JP6585452B2 (ja) 植物培養装置及び植物工場
JP2010011765A (ja) 魚介類養殖システム及び魚介類の養殖方法
JP3672322B2 (ja) 流体収容容器のライナ上下システム
KR20100068045A (ko) 어항
JP5486168B2 (ja) 魚介類養殖システム
CN114516697B (zh) 海绵城市渗排结构及海绵城市水循环***
KR102214309B1 (ko) 재배실과 연통된 외부에 수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이것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CN208019753U (zh) 喷嘴清洁设备及刮片更换装置
CN220630711U (zh) 一种便于清污的组合式养殖盒
KR102691256B1 (ko) 스마트 양식장 관리 시스템
JP2010011768A (ja) 魚介類養殖システム
KR100849397B1 (ko) 상수도용 저수조의 슬러지 제거장치
CN218042736U (zh) 一种谷物育苗装置
CN206481823U (zh) 改进的海洋水族箱
CN218959814U (zh) 一种用于陆基圆形池循环水养殖自动投料装置
CN103355996A (zh) 一种气浮式出药装置
EP4298958A1 (en) Museum display case with a filtration system and a climate control system
CN219555760U (zh) 一种便于更换植株的城市绿化墙
CN220777072U (zh) 一种无滴漏缸挂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