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122B1 - 화훼보관고 - Google Patents

화훼보관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122B1
KR101255122B1 KR1020110042234A KR20110042234A KR101255122B1 KR 101255122 B1 KR101255122 B1 KR 101255122B1 KR 1020110042234 A KR1020110042234 A KR 1020110042234A KR 20110042234 A KR20110042234 A KR 20110042234A KR 101255122 B1 KR101255122 B1 KR 10125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tank
cooling tank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536A (ko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2011004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1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훼보관고에 관한 것으로, 경사진 개방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계단형의 냉각조; 냉각조 내부에 설치되고,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연통된 다단의 계단형 수조; 계단형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된 다수의 꽃 보관함; 냉각조의 하부와 계단형 수조의 최상단을 연결하며, 순환펌프가 설치된 순환수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케이스의 배면 하단에 경사 구획된 기계실; 기계실에 설치되고, 냉각기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키는 압축기; 냉각조와 분리구획되고, 냉각조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며, 냉각조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량 저수하는 방열조; 방열조에 일부 잠기도록 설치되고, 압축기 및 냉각기와 연결된 방열기; 방열기의 물에 잠기지 않은 부위를 공냉시키는 냉각팬; 물 부족시 계단형 수조로 외부에서 물을 직접 공급하는 물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이 일정량을 넘어서면 일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메인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는 물의 온도를 통해 꽃의 생장속도를 지연시키고, 계단형으로 꽃의 전시 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인 물 공급 및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고, 케이스 형태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적정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 가능하고, 냉동기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이전설치가 자유로우며, 수냉순환식이므로 생화의 잘린부위의 모세관에서 나오는 진액이 굳는시간을 지연시키므로 개화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훼보관고{APPARATUS FOR PRESERVING FLOWERING PLANT}
본 발명은 화훼보관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형 수조를 이용하여 꽃대의 높이별 보관이 가능하고, 온도조절기를 통한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하며, 수공냉식 2단 냉각을 통해 기계실의 발열을 줄이고, 수위에 따라 물 자동 보충 기능을 가지면서 조기개화와 만개의 기간을 연장시켜 경제성도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화훼보관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원 또는 꽃가게 등에서 생화(꽃)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즉, 다수개의 보관통들을 일률적으로 놓은 다음, 이 보관통에 적정량의 물을 담은 후 생화들을 꽂아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데, 이를 테면 주인 또는 점원이 일일이 보관통에 물을 담아야 하고, 또한 보관통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노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의 증가 및 별도의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관통에 담겨져 있는 물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물이 쉽게 썩거나 오염이 되어 생화들이 빨리 시들어 버리는 폐단은 물론 생화들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999-0085463호에는 보관통을 계단식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호스로 연결하고, 필터와 펌프를 거쳐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한 생화 보관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단순히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구조만 개시되어 있어 화훼의 개화시기를 늦춰 장기간 보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저온 냉장방식으로 꽃의 개화시키를 늦춤으로써 장기간 보관토록 하여 경제성을 높인 화훼 냉장고들이 개시되었다.
이들은 냉기를 생성하여 꽃이 보관된 공간을 낮은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개화시기를 늦추고 고가의 생화가 손상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화훼 전용 형광등을 구비하여 꽃의 색상을 살려주는 등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개시된 화훼 냉장고는 실내기의 재질이 스테인리스스틸과 단열유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냉장고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용적 대비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냉장고 형태이고 보관통에 꽃을 보관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매번 물을 채워줘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낮은 온도(영상 8~12℃)로 유지되므로 장기 보관시 모세관 응고현상에 의해 수분 공급저하로 예쁜 꽃잎이 제 색상을 갖지 못하므로 꽃 전용 형광등을 켜야 하며 이로 인해 전력손실이 발생되며, 실내와 고내의 온도편차가 커 판매되는 포장꽃이 동상에 걸린 듯한 현상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시판된 후 금방 시들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화훼 냉장고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분리되어 있어 이사 등의 이유로 화훼 냉장고를 이전해야할 경우 전문 냉동업체에 의뢰하여 이전해야 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들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계단형 수조를 이용하여 꽃대의 높이별 보관이 가능하여 용적을 넓혀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물 공급이 원활하고 자동으로 이루어져 인력절감을 달성하며, 온도조절기를 통한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하여 모세관 응고나 동상 현상이 방지되며, 수공냉식 2단 냉각을 통해 기계실의 발열을 줄이면서 조기개화와 만개의 기간을 연장시켜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화훼보관고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사진 개방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계단형의 냉각조; 냉각조 내부에 설치되고,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연통된 다단의 계단형 수조; 계단형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된 다수의 꽃 보관함; 냉각조의 하부와 계단형 수조의 최상단을 연결하며, 순환펌프가 설치된 순환수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케이스의 배면 하단에 경사 구획된 기계실; 기계실에 설치되고, 냉각기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키는 압축기; 냉각조와 분리구획되고, 냉각조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며, 냉각조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량 저수하는 방열조; 방열조에 일부 잠기도록 설치되고, 압축기 및 냉각기와 연결된 방열기; 방열기의 물에 잠기지 않은 부위를 공냉시키는 냉각팬; 물 부족시 계단형 수조로 외부에서 물을 직접 공급하는 물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이 일정량을 넘어서면 일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메인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는 냉각수의 수위를 검출하여 제어부를 통해 압축기와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중수위센서, 냉각조가 만수위에 이르면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른 물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는 고수위센서가 더 설치되어,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된 제어부의 제어하에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에는 냉각기의 과냉여부를 검출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과냉센서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계단형 수조에는 개폐조절되는 체크밸브를 갖춘 보조배수관이 배관되고, 상기 보조배수관은 상기 메인배수관에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에는 이를 밀폐하되,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투명창인 윈도우가 더 설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는 물의 온도를 통해 꽃의 생장속도를 지연시키고, 계단형으로 꽃의 전시 효과가 있으며, 지속적인 물 공급 및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고, 케이스 형태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적정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 가능하고, 냉동기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이전설치가 자유로우며, 수냉순환식이므로 생화의 잘린부위의 모세관에서 나오는 진액이 굳는시간을 지연시키므로 개화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의 방열기 냉각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대략 사각박스 형상의 내부가 빈 함체로서, 도시와 같이 일부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개방부(O)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방부(O)는 케이스(100)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연통시켜 소통가능하게 함으로써 대기중의 공기가 보관중인 꽃에 직접 접하게 되므로 개화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
이 경우는 개화를 빨리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으며, 자연 공기와 접촉될 경우 밀폐형 보다는 꽃잎이 예쁘게 생장한다.
즉, 밀폐형의 경우에는 개화시기를 늦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꽃잎 주변이 시들기 때문에 꽃이 예쁘지 않다.
다른 예로, 도 4와 같이 상기 개방부(O)에 투명한 윈도우(W)를 달아 투시창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햇볕은 충분하게 쬐여 주어 생장은 유지하면서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개화시기를 늦추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투시창, 즉 윈도우(W)는 공지된 개폐구조, 이를 테면 경첩을 달아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아니면 가이드레일을 달아 슬라이드 형태로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 하단에는 경사진 격벽(110)에 의해 구획된 기계실(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20)에는 냉각에 필요한 기계장치들이 설비되는데, 냉각에 필요한 시스템은 냉장고, 공조기 등과 같은데서 활용되고 있는 공지의 냉각싸이클이 본 발명에 맞게 설계되어 갖추어진 것이다.
즉, 냉각을 위해 기본적으로 압축기(130), 방열기(132, 도 7 참조), 냉매관(P), 모세관(미도시), 냉각기(증발기, 140) 등이 요구되며, 이들이 상기 기계실(120)에 적절히 분산배치되고, 냉매관(P)을 통해 연결 구성된다.
이들 냉각시스템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없으나, 본 발명에서 특징을 갖는 한가지 점은 상기 방열기(132)가 도 2,4,5,7에서와 같이, 라디에이터 형태를 갖춰 수냉식과 공냉식 모두를 통해 냉각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계실(120) 내부에서의 발열량을 극소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본 발명의 경우 종래와 다르게 실외기(압축기 설치부분)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고, 케이스(100)에 함께 내장됨으로써 이동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이전 설치시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기술과 상당한 차별성을 갖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기(132), 즉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인 방열기(132)를 도 2,4,5,7과 같이 배치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계실(120)은 도 2,4,5,7과 같이, 분리벽(H)에 의해 냉각기(140)가 설치되는 냉각조(150)와, 방열기(132)가 설치되는 방열조(134)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분리벽(H)은 단열성을 가지면 더욱 좋고, 이 분리벽(H)의 상단인 일정 높이 위치에 연통구(136)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조(150)의 수위가 거의 만수위에 이르면 상기 연통구(136)를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방열조(134)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H) 일부에는 냉각조(150)의 냉각수가 방열조(134)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통관(137)이 더 연결되고,이 연통관(137)에는 방열조급수밸브(139)가 설치된다.
따라서, 방열조(134)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조(134)의 상시 수위는 냉각조(150) 보다 아래에 위치되어야 발열된 물이 역류하지 않는다.
이때, 방열조(134)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형 방열기(132)는 일부(하측)만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상측)는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냉각팬(FM, 도 2 참조)에 의해 공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방열조(134)에 설치된 방열기(132)의 일부는 냉각수에 잠기게 되고, 따라서 잠긴 부분은 수냉되고, 잠기지 않은 부분은 공냉되는 형태로 이중 냉각되게 되므로 방열효율이 급격히 향상된다.
아울러, 상기 방열조(134)에는 방열조저수위센서(138)가 설치되어 방열조(134)의 수위를 감지하고, 물 부족시 방열조급수밸브(139)를 개방시켜 냉각조(150)의 물을 공급받도록 하며, 또한 저수위 감지시 압축기(130)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방열부족으로 압축기(130)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방열조(134)에는 방열조과열센서(S)가 더 설치되어 방열조(134)의 수위와 상관없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수온 상승시 방열급수밸브(139)를 열어 냉각수를 공급받고,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방열급수밸브(139)를 닫도록 하여 수온을 조절하되, 이 경우에는 압축기(130)의 가동을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방열조(134)에는 드레인관(D)이 설치되며, 설정된 수위, 즉 만수위가 되면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드레인관(D)을 통해 메인배수관(500)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들 방열조저수위센서(138), 방열조급수밸브(139), 방열조과열센서(S) 등은 모두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패널(C)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어부는 잘 알려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내부가 빈 계단형태의 냉각조(150)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조(150) 내부에는 계단형 수조(200)가 장입된다.
여기에서, 도 4는 도 2와 윈도우(W)의 유무만 다를 뿐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계단형 수조(200)는 물을 일정수위 저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자체로도 일정수위가 넘는 물은 오버플로우되어 아래 수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주위 습도가 자연스럽게 유지되며, 수조와 수조를 서로 연결하는 오버플로우관(202)을 별도로 구비하고, 수조에 저수된 물의 수위가 상기 오버플로우관(202)의 높이보다 높을 때 이 오버플로우관(202)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그보다 아래에 위치한 수조로 물이 이동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관(202)의 상단에는 오물필터(F)를 설치하여 꽃잎 등 이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관 막힘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오물필터(F)에 이물이 쌓여 막힐 경우에는 수조를 오버플로우하여 아래 수조로 물이 흘러 내리기 때문에 이중 물 흐름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고, 이러한 현상 발생시 오물필터(F)에 쌓이 이물을 청소해 주면 좋다.
아울러, 상기 오버플로우관(202)은 수조내 노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위 조절도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단형 수조(200)의 바닥면, 즉 수평면에는 상기 오버플로우관(202)과 간섭되지 않게 꽃 보관함(300)이 안착된다.
상기 꽃 보관함(300)은 상기 냉각조(150)의 상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안착되고, 내부에는 꽃이 보관된다.
이 경우, 상기 꽃 보관함(300)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형 수조(200)에 저수된 물이 꽃 보관함(300) 내부로 차 오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꽃 보관함(300)에 보관된 꽃이 일정 온도의 물을 흡수하여 생장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계단형 수조(2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앞서 설명한 냉각기(140)를 통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상태의 냉각수이므로 이를 흡수한 꽃은 생장이 지연되게 되므로 꽃의 개화시기가 늦춰지게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꽃 보관함(300)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을 향해 차례로 상통, 중통, 하통이라고 정의하여 부르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조(150)의 하부에는 중수위센서(160), 고수위센서(170), 과냉센서(180)가 설치되는데, 중수위센서(160)와 고수위센서(170)는 수위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센서로 검출값에 따라 컨트롤패널(C)의 제어부를 통해 순환펌프(400)의 가동을 제어함으로써 물공급관(420)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에서의 물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상통, 중통, 하통이 만수위된 후 냉각조(150)의 수위가 중위에 왔을 때 중수위센서(160)가 이를 감지하여 압축기를 동작 및 순환수공급관(410) 상에 설치된 순환펌프(400)를 작동시켜 물을 순환시키고, 수위가 만수위에 이르면 고수위센서(170)가 이를 감지하여 물공급관(420)의 급수밸브(V)를 닫아 급수를 정지시키며, 고수위센서(170) 이하로 수위가 떨어지면 다시 급수밸브(V)가 열리면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컨트롤패널(C) 상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과냉센서(180)는 냉각기(140)에 부착되어 과냉여부를 검출함으로써 과냉에 따른 꽃의 동결을 막고, 또한 일정온도 이하로 더 떨어지면 압축기(130)의 가동도 정지시킴으로써 완벽하게 과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계단형 수조(200)에는 필요시 냉각수를 직접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보조배수관(510a,510b,510c)이 배관되고, 인출된 후 상기 메인배수관(500)에 연결되는데, 이들 수조에 연결된 보조배수관(510a,510b,510c)에는 배관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520)가 설치된다.
이때, 최상단의 수조에 설치되는 보조배수관(510c)의 경우에는 수직하게 배관되므로 굳이 역류방지 기능까지는 필요없지만, 나머지 보조배수관(510a,510b)의 경우 상통에서 배수되던 수압에 의해 중통, 하통으로 역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520)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며, 상통 배수시 배수되던 수위가 중통 이하로 떨어지는 순간 중통에서도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하통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보조배수관(510a,510b,510c)을 통한 배수시 그렇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배수후 제어부에 의해 재급수를 시작하면 제일 하위의 체크밸브 부위부터 물이 차오르게 되고 수압에 의해 역류를 방지하면서 차츰 상통까지 만수위가 된 후 오버플로우를 통해 하통까지 이어지는 반복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메인배수관(500)에는 당연히 배수마그네트(530)가 설치되며, 이들은 모두 제어부에 의해 그 개도가 제어된다.
이 경우, 배수마그네트(530)는 전자석 형태의 밸브, 즉 솔레노이드밸브 타입이며, 타이머를 통해 제어되거나 혹은 컨트롤패널(C) 상의 제어부를 통해 직접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훼보관고는 냉각수가 자동 공급되고 배수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가 필요없어 인력낭비를 줄이고, 또한 냉각수의 온도가 조절되므로 과냉에 의한 물관의 빙결을 막아 싱싱하고 신선한 상태로 꽃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개화시기를 늦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계실(120)이 케이스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설치시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 순환수공급관(410)의 입구에는 거름망(190)이 더 설치되어 꽃잎 등의 불순물을 거를 수 있으므로 항상 깨끗한 물을 상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200 : 계단형 수조
300 : 꽃 보관함 400 : 순환펌프
500 : 메인배수관

Claims (4)

  1. 경사진 개방부를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를 갖는 계단형의 냉각조;
    냉각조 내부에 설치되고,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연통된 다단의 계단형 수조;
    계단형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된 다수의 꽃 보관함;
    냉각조의 하부와 계단형 수조의 최상단을 연결하며, 순환펌프가 설치된 순환수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케이스의 배면 하단에 경사 구획된 기계실;
    기계실에 설치되고, 냉각기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키는 압축기;
    냉각조와 분리구획되고, 냉각조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며, 냉각조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량 저수하는 방열조;
    방열조에 일부 잠기도록 설치되고, 압축기 및 냉각기와 연결된 방열기;
    방열기의 물에 잠기지 않은 부위를 공냉시키는 냉각팬;
    물 부족시 계단형 수조로 외부에서 물을 직접 공급하는 물공급관;
    냉각조에 저수된 물이 일정량을 넘어서면 일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메인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는 냉각수의 수위를 센싱하는 중수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조의 상부에는 냉각수의 만수위를 센싱하는 고수위센서가 구비되어 각각 센싱된 신호값을 컨트롤패널의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가 센싱값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와 순환펌프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냉각기에는 냉각기의 과냉여부를 센싱하는 과냉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과냉센서로부터 센싱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이를 제어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셋팅값으로 유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수조에는 개폐조절되는 체크밸브를 갖춘 보조배수관이 배관되고, 상기 보조배수관은 상기 메인배수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는 이를 밀폐하되,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투명창인 윈도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훼보관고.
KR1020110042234A 2011-05-04 2011-05-04 화훼보관고 KR10125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34A KR101255122B1 (ko) 2011-05-04 2011-05-04 화훼보관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234A KR101255122B1 (ko) 2011-05-04 2011-05-04 화훼보관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36A KR20120124536A (ko) 2012-11-14
KR101255122B1 true KR101255122B1 (ko) 2013-04-22

Family

ID=4750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234A KR101255122B1 (ko) 2011-05-04 2011-05-04 화훼보관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335A (ko) * 2020-01-06 2021-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102453994B1 (ko) * 2020-04-10 2022-10-14 용효중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장치
KR102548040B1 (ko) * 2021-08-06 2023-06-26 황현철 생화 보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853A (ja) * 1996-11-20 1998-06-09 Uizu Japan:Kk 切り花保存装置
JPH11243780A (ja) * 1998-03-06 1999-09-14 With Japan:Kk 切り花保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0853A (ja) * 1996-11-20 1998-06-09 Uizu Japan:Kk 切り花保存装置
JPH11243780A (ja) * 1998-03-06 1999-09-14 With Japan:Kk 切り花保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536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7858B2 (ja) 給湯装置
KR101255122B1 (ko) 화훼보관고
KR20030029882A (ko) 히트 펌프 장치
KR20080006427U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US233606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4369331B2 (ja) 過冷却水ダイナミック式氷蓄熱槽装置
US3450194A (en) Greenhouse air-cooling system
CN215216873U (zh) 一种具有化霜功率可自动调节功能的智能酒柜
CN103822425B (zh) 冰箱速冷装置
CN206399083U (zh) 风冷冰箱
KR100868068B1 (ko) 해수 내지 오존수 제빙기
KR102093777B1 (ko) 냉난방 피크부하 처리를 위한 열원 확장형 지열히트펌프 장치
KR102649978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RU21612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сти
KR101295088B1 (ko) 정수기용 순간 냉수장치
RU7767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итьевой воды для автомата дозированного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US20240183596A1 (en) Stand-alone ice making appliance with a side tank filter
KR20110113299A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US20220082312A1 (en) Atmospheric water generator with a defrost system
KR102036926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KR20040085237A (ko) 냉온정수기의 순환 냉각시스템
JPS60205140A (ja) 冷房または冷凍装置
KR930003100Y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정량급수장치
KR101367201B1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