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222B1 -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222B1
KR100938222B1 KR1020080127655A KR20080127655A KR100938222B1 KR 100938222 B1 KR100938222 B1 KR 100938222B1 KR 1020080127655 A KR1020080127655 A KR 1020080127655A KR 20080127655 A KR20080127655 A KR 20080127655A KR 100938222 B1 KR100938222 B1 KR 10093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pace
storage
contain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삼
Original Assignee
김호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삼 filed Critical 김호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보관 용기,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일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급수부,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타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배수부, 상기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가지는 세척관,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한 가열 장치,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 및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된 배출관을 포함하는 세척 펌프, 그리고 상기 세척 펌프 및 상기 가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절화, 진열, 보관 용기, 냉장고

Description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Custody apparatus for cut-flower and cut-flower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 가게, 절화 도매시장, 화훼농가 등에서는 꺾은 꽃인 절화를 물이 채워진 용기에 꽂아 보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용기 마다 물을 채워야 하며 물의 교차게 번거로웠다. 그리고 용기에 채워진 물은 쉽게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물을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용기에 꼽아진 절화는 대개 그 뿌리를 절단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상기 절단된 절화의 밑둥으로부터 식물의 진액이 흘러내림과 아울러, 저장된 물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부패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오염된 물을 자주 갈아주지 않으면 진열된 절화로 신선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쉽게 시들어 상품의 가치가 저하 되었다.
아울러, 절화를 보관하는 용기를 작업자가 직접 세척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절화가 보관되는 용기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절화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복수의 보관 용기,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일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급수부,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타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배수부, 상기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가지는 세척관,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한 가열 장치,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 및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된 배출관을 포함하는 세척 펌프, 그리고 상기 세척 펌프 및 상기 가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보관 용기가 배열되어 있는 배열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화 보관 장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관 용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관 용기 내부에 위치한 부분은 메쉬 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기 보관 용기의 내부로 뚫려 있는 볼트, 상기 복수 보관 용기의 볼트 사이에 위 치한 제1 연결관, 상기 볼트와 상기 제1 연결관 사이에 위치한 밀폐링, 그리고 상기 연결관 양쪽 끝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트에 체결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상기 보관 용기의 내부로 뚫려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걸림 부재, 상기 복수 보관 용기의 연결 부재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관, 그리고 상기 순환관 외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릴 수 있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연결 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연결 장치 내부에 위치한 노즐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가압 펌프로 구성된 보조 세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급수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급 밸브 및 상기 공급 밸브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보관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수위 센서로 구성된 자동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제2 공간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히터, 상기 제2 공간 위치하며 상기 히터와 연결된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제2 공간 위치하며 상기 히터 또는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수로관, 상기 수로관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구멍을 가지는 복수의 안치부, 상기 수로관의 한쪽 가장 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수로 급수부, 상기 수로관의 다른 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수로 배수부,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구멍으로 삽입되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수로관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 수로 급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수로 배수부에 연결될 수 있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용기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메쉬부 또는 통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 여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하여 내부에 수로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한쪽 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몸체 급수부, 상기 몸체의 한쪽 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몸체 배수부, 그리고 상기 몸체에 놓여져 있으며, 복수의 보관부를 가지는 진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부는 상기 진열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뚫려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는 상기 수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배수부와 근접한 수로 여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열판은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수로 여과망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냉장고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저온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배열 몸체, 상기 배열 몸체에 위에 배열 되어 있는 복수의 보관 용기,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일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급수부, 상기 복수의 보관 용기 중 타측에 위치한 보관 용기에 결합된 배수부, 상기 일측 보관 용기와 상기 타측 보관 용기를 연결하고, 내부가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가지는 세척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가열 장치, 상기 세척관과 이웃하며, 상기 2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관 및 상기 제1 공간에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펌프, 그리고 상기 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 및 상기 가열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용기 및 연결 장치 내부에 저장된 유체가 가열 장치 가열로 기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서 세척 펌프의 구동으로 보관 용기 및 연결 장치 내부를 순환되면서 그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물이 순환됨으로 보관 용기 및 연결 장치 내부 세척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로관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급수부가 연결되어 있고 수로관의 다른 쪽 가장자리에는 배수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급수부와 배수부를 이용하여 물을 간편하게 공급 및 배출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순환펌프의 구동으로 수로관 내부의 물이 강제적으로 순환되어 수로관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부의 메쉬부 또는 통기공으로 순환펌프의 구 동으로 순환되는 물이 통과되면서 물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그 흐름이 자유롭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여과망에 의하여 수로관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관 용기가 연결관으로 연속 연결되어 보관 용기의 설치가 간편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 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절화 보관 장치(400)는 보관 용기(410), 연결 장치(450) 급수부(420), 배수부(440), 세척관(460), 가열 장치(470), 세척 펌프(474), 그리고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한편, 절화 보관 장치(400)는 배열 몸체(401), 보조 용기(412), 자동 공급 장치(430), 그리고 보조 세척 장치(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용기(410)는 기설정된 면적으로 형성된 배열 몸체(401) 위에 복수 배열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열 보관 용기(410)는 제1 보관 용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보관 용기를 포함한다. 제1 보관 용기, 제2 보관 용기 및 보조 보관 용기는 서로 떨어져 있다.
보관 용기(410) 내부에는 절화가 보관될 수 있는 저장 공간(411)이 형성되어 있다. 보관 용기(410)의 단면 모양은 원통형이다. 그러나 원뿔대 모양일 수도 있다. 보관 용기(410)의 단면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보관 용기(41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관 용기(410)에는 보조 용기(412)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용기(4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보관 용기(410) 내부에 위치하며, 보관 용기(410)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는 복수의 구멍(4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용기(412)에 절화가 보관될 수 있으며, 보조 용기(412)의 단면 모양은 보관 용기(410)의 단면 모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보관 용기(410)는 연결 장치(450)로 연속 연결되어 있다. 연결 장치(450)는 보관 용기(410)에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 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장치(450)는 볼트(451), 제1 연결관(452), 밀폐링(453), 너트(454)를 포함한다. 연결 장치(450)는 복수의 보관 용기(410)중 제1 보관 용기와 제2 보관 용기를 보조 보관 용기와 연결한다. 제1 보관 용기와 제2 보관 용기는 연결 장치(250)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볼트(451)는 복수의 보관 용기(410) 하부 둘레 마다 적어도 두 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은 뚫려 있으며 저장 공간(411)과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보관 용기(410) 볼트(451) 사이에 제1 연결관(452)이 위치하며, 제1 연결관(452)의 양쪽 끝에는 단턱(452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저장 공간(411)과 연결 되어 있다.
볼트(451)와 제1 연결관(452) 사이에는 밀폐링(453)이 배치되어 있다. 밀폐링(453)은 제1 연결관(452)과 볼트(451)의 밀착성을 높인다.
제1 연결관(452)의 양쪽에는 단턱(452a)에 걸린 너트(454)가 결합되어 있으며, 너트(454)는 볼트(451)에 체결된다. 너트(454)와 볼트(451) 체결시 밀폐링(453)이 압축되어 제1 연결관(452)과 볼트(451)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연결 장치(45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450)는 연결 부재(455), 걸림 부재(456), 제2 연결관(457), 그리고 클램프(458)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455)는 복수의 보관 용기(410) 하부 둘레 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뚫려 있으며 저장 공간(411)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455)의 일측면에는 띠홈(45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둘레에는 복수의 걸림 부재(45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456)는 연결 부재(455)의 외부 둘레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단면 모양은 고리(훅) 모양이다. 그러나 연결 부재(455) 외부 둘레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 보관 용기(410)의 연결 부재(455) 사이에는 제2 연결관(457)이 위치하며, 내부가 저장 공간(411)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관(457)의 양측면에는 띠홈(455a)에 삽일될 수 있는 띠돌기(457a)가 형성될 수 있다. 띠홈(455a)과 띠돌 기(457a)가 형성된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연결관(457)의 외부 둘레 양쪽에는 복수의 클램프(458)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458)는 결속 몸체(458a), 그리고 결속바(458b)를 포함한다.
결속 몸체(458a)는 일측 끝이 제2 연결관(457)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속 몸체(458a)의 타측 끝에는 결속바(458b)의 양쪽 끝이 결합되어 있다.
결속바(458b)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정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구부러져 양쪽 끝이 결속 몸체(458a)에 결합되어 있다. 결속바(458b)의 중앙은 걸림 부재(456)에 걸릴 수 있다. 걸림 부재(456)에 결속바(458b) 걸림으로 제2 연결관(457)과 연결 부재(455)를 연결할 수 있으며 띠돌기(457a)가 띠홈(455a)에 삽입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급수부(420)를 설명한다.
복수의 보관 용기(410) 중 일측에 위치한 제1 보관 용기에는 급수 조작 밸브(421)가 결합된 급수부(420)가 연결되어 있다. 급수 조작 밸브(421) 개방 시 제1 보관 용기의 저장 공간(411)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보관 용기(410)에 유체가 공급되면 보조 용기(412)가 배치된 경우 보조 용기(4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체에 잠긴다.
급수부(420)에는 자동 공급 장치(4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자동 공급 장치(430)는 제1 수위 센서(432)및 공급 밸브(431)를 포함한다.
제1 수위 센서(432)는 보관 용기(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장 공간(411) 내부에 공급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공급 밸브(431)는 배수부(440)에 결합되어 있다. 공급 밸브(431)는 제1 수위 센서(432)의 수위 감지로 저장 공간(411)의 수위가 낮으면 동작되어 유체를 저장 공간(411)으로 유입시킨다. 한편, 저장 공간(411)의 수위가 높으면 공급 밸브(431)는 동작이 정지되어 유체 유입을 차단한다. 공급 밸브(431)는 급수 조작 밸브(42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동작된다.
복수의 보관 용기(410) 중 타측에 위치한 제2 보관 용기에는 배수부(440)가 연결되어 있다. 배수부(440)에는 배수 조작 밸브(441)가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 조작 밸브(441) 개방 시 저장 공간(411)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부(420)가 연결된 일측 보관 용기(410)와 배수부(440)가 연결된 타측 보관 용기(410) 사이에는 세척관(460)이 배치되어 있으며, 세척관(460)은 일측 보관 용기(410)와 타측 보관 용기(410)를 연결한다.
세척관(460)은 그 내부에 격벽(461)이 배치되어 제1 공간(462) 및 제2 공간(463)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 공간(462)은 배수부(440)가 연결된 제2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제2 공간(463)은 급수부(420)가 연결된 제1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다. 세척관(460)의 연결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세척 펌프(474)는 세척관(460)과 이웃하며, 세척 핌프(474)에는 흡입관(475) 및 배출관(476)이 결합되어 있다. 흡입관(475)의 한쪽 끝은 세척관(460)의 제1 공간(462)을 정의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관(476)의 다른 쪽 끝은 세척관(460)의 제2 공간(462)을 정의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세척 펌프(474)는 제어부(490)의 제어로 작동되며, 세척 펌프(474)가 작동되면 제1 공간(462)의 유체가 세척 펌프(474)의 펌핑 압력에 의하여 제2 공간(462)으로 압송된다. 압송된 유체는 복수의 보관 용기(410) 와 연결 장치(45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내부에 형성된 찌든 물때 따위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순환되는 유체에 세제를 혼합 시키면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가열 장치(470)는 제2 공간(463)에 위치하며, 히터(471), 온도 센서(472), 그리고 제2 수위 센서(473)를 포함한다. 가열 장치(470)는 제어부(490)와 연결되어 있다.
히터(471)는 투입 히터 또는 시즈 히터일 수 있으며 제어부(490)와 연결되어 있다. 히터(471)는 제어부(490) 조작으로 40℃ 내지 60℃ 정도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순환되는 유체를 기설정된 온도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유체의 순환으로 보관 용기(410) 및 연결 장치(450)의 내부 세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온도 센서(472)는 히터(471)의 다른 쪽 끝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온도 센서(472)는 40℃ 내지 60℃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 히터(471)를 지속적으로 발열 시키며, 감지 온도가 60℃ 인 경우 히터(471)의 발열을 정지 시킨다. 즉, 감지된 온도가 40℃ 이하인 경우 세척 효율이 저하되므로 히터(471)의 발열 온도를 높이며, 60℃ 이상인 경우 보관 용기(410) 및 연결 장치(450)의 손상과 더불어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온도 센서(472)는 히터가 40℃ 내지 6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2 수위 센서(473)는 히터(47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수위 센서(473)는 히터(471) 또는 온도 센서(472) 및 제어부(49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수위 센서(473)에서 순환되는 유체의 수위가 감지되어야지만 히터(471)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2 수위 센서(473)에서 수위가 감지되면 히터(471)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히터(471) 가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보조 세척 장치(4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조 세척 장치(480)는 연결 장치(450)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보조 세척 장치(480)는 생략될 수 있다. 보조 세척 장치(480)는 복수의 노즐(481) 및 가압 펌프(482)를 포함한다.
노즐(481)은 연결 장치(450)의 제1 연결관(452) 또는 제2 연결관(457)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노즐(481)은 가압 펌프(482)와 연결되어 있고, 가압 펌프(482)는 급수부(42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 펌프(482)의 가압으로 급수부(420)를 통하여 보관 용기(410)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 중 일부 유체가 노즐(481)을 통해 연결 장치(450)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노즐(481)을 통해 분사된 유체는 연결 장치(450) 내부 둘레에 있는 물 때 따위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연결 장치(450) 또는 보관 용기 내부에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하여 순환되는 유체 중에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제어부(490)는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 타이머(491) 및 동작 스위치(493)를 포함한다. 온도 타이머(491)는 히터(471)와 연결되어 있으며 히터(471)의 발열 온도가 40℃ 내지 60℃ 가 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온도 타이머(491) 일측으로 온도 센서(472)와 연결되어 히터(471)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표시부(49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온도 표시부(492)는 생략될 수 있다.
동작 스위치(493)는 세척 펌프(474) 및 가압 펌프(482)와 연결되어 있으며, 동작 스위치(493) 조작으로 세척 펌프(474) 및 가압 펌프(482)가 동작되어 보관 용기(410) 및 연결 장치(4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400)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이 채색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400)는 유체가 급수부(420)를 통하여 배수부(44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세척 펌프(474) 가 작동되면 세척 펌프(474)의 펌핑 압력에 의하여 유체가 복수의 보관 용기(410) 내부를 순환하게 되면서 그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를 실시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한 Ⅵ-Ⅵ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100)는 수로관(110), 안치부(120), 용기(130)를 포함한다.
수로관(110)은 중공부재이며 양쪽 가장자리는 막혀 있다. 수로관(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으로 형성되어 수로관(11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다. 수로관(110)의 높이는 20CM 정도 이며, 그 재질은 시멘트, PVC, 금속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로관(110)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그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다. 수로관(110)의 단면 모양은 원형이다. 그러나 수로관(110)의 단면 모양은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는 원형이고, 하부는 사각형일 수 있다.
수로관(110)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수로 급수부(111)가 연결되어 있다. 수로 급수부(111)에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 따위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수로관(110)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물에는 절화에 공급하기 위한 영양성분 및 살균제가 첨가될 수 있다.
수로관(110)이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내부로 유입된 물의 유입량을 확인 할 수 있다. 아울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로 급수부(111)에는 급수밸브(111a)가 결합될 수 있다. 수로관(110)의 다른 쪽 가장자리에는 수로 배수부(112)가 연결되어 있다. 수로 배수부(112)를 통하여 수로관(1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수로 배수부(112)에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수밸브(112a)가 결합될 수 있다.
수로관(110)에는 순환펌프(113)가 연결되어 있다. 순환펌프(113)의 한쪽 끝은 수로 급수부(111)에 접속되어 있으며, 순환펌프(113)의 다른 쪽 끝은 수로 배수부(11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순환펌프(113)의 구동으로 수로관(110) 내부의 물을 강제 순환시킨다.
아울러, 수로관(110)의 표면은 적어도 일 부분이 돌출되면서 복수의 안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안치부(120)에는 수로관(110) 내부로 뚫린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21)에는 용기(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 하면, 용기(130)의 한쪽 끝의 적어도 일 부분이 수로관(11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용기(130)는 구멍(121)에서 분리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용기(130)는 수로관(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용기(130)는 내부 중앙이 뚫려 있으며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갈 수로 그 직경은 점차적으로 커진다. 그러므로 용기(130)의 단면 모양은 원뿔대 모양이다. 그러나 용기(130)의 단면모양은 원통형 일 수 도 있다. 용기(130)의 단면모양이 원통형인 경우 그 둘레에 플랜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가 안치부(120)에 놓여진다. 이에 따라 용기(130)가 수로관(110) 내부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용기(13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용기(130)의 한쪽 끝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메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30)의 한쪽 끝에는 복수의 통기공(131a)이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수로관(110) 내부에서 순환되는 물이 메쉬부(131) 또는 통기공(131a)을 통과하게 되어 물의 흐름이 원활하다.
그리고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30)의 내부에는 용기 여과망(132)이 배치될 수 있다. 용기 여과망(132)은 용기(130)에서 분리 되거나 용기(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여과망(132)에서 수로관(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용기(130)는 한 실시예로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용기(130)에는 절화를 보관할 수 있다. 보관된 절화의 한쪽 끝이 수로관(110) 내부에 삽입되어 물에 잠길 수 있다. 한편, 용기(130)에 용기 여과망(132)이 있는 경우 절화의 한쪽 끝은 수로관(110)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용기 여 과망(132)에 닿게 된다. 그리고 용기 여과망(132)에 의하여 절화의 잎이 수로관(1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용기 여과망(132)에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XII-XII 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절화 보관 장치(200)는 몸체(210), 진열판(220), 보관부(23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몸체 급수부(213), 몸체 배수부(214) 및 순환펌프(216)를 포함한다.
몸체(2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그 내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격벽(211)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격벽(211)은 몸체(210) 내부의 빈 공간을 차지한다. 그리고 격벽(211)에 의하여 몸체(210)는 그 내부에 수로(212)를 가진다. 수로(212)에는 몸체 배수부(214)와 근접되어 있는 수로 여과망(215)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로(212)에 유입된 이물질을 수로 여과망(215)에서 여과 할 수 있다. 몸체(210)는 합성수지, 금속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0)의 한쪽 면 일측 상부에는 몸체 급수부(213)가 연결되어 있다. 몸체(210)의 한쪽 면 타측 하부에는 몸체 배수부(214)가 연결되어 있다. 몸체 급수부(213)를 통하여 몸체(21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몸체 급수 부(213)에는 급수밸브(213a)가 결합되어 물의 유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수로(212) 내부에 유입된 물은 몸체 배수부(2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몸체 배수부(214)에는 물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배수밸브(214a)가 결합될 수 있다.
몸체(210)에는 순환펌프(216)가 연결될 수 있다. 순환펌프(216)의 한쪽 끝은 급수부(2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펌프(215)의 다른 쪽 끝은 배수부(214)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순환펌프(215)의 구동으로 수로(212) 내부의 물은 강제 순환된다. 물이 순환되면서 이에 포함된 이물질은 수로 여과망(215)에서 여과된다. 몸체(210)에는 진열판(220)이 놓여져 수로(212)를 덮을 수 있다.
진열판(220)은 복수 구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진열판(220)의 부피가 축소 되어 몸체(210)에 분리가 간편하다. 진열판(220)의 한쪽에는 개폐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221)는 수로 여과망(215)과 중첩되어 있다. 개폐부(221)는 한쪽 끝에 손잡이(222a)가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경첩(222b)으로 진열판(220)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221) 개폐 시 수로 여과망(215)이 보이며, 수로 여과망(215)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진열판(220)의 재질은 합성수지, 금속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진열판(220)은 복수의 보관부(230)를 가진다.
보관부(230)는 수로(212)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보관부(230)는 내부가 뚫려 있으며, 그 단면 모양은 원뿔대 모양이다. 그러나 보관부(230)의 단면 모양은 원통형 일 수 있다. 보관부(230)는 진열판(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관부(230)의 한쪽 끝은 수로(212) 내부에 위치하며, 다른 쪽 끝은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쪽 끝 부분은 물에 잠길 수 있다. 여기서 노출된 다른 쪽 끝 부분은 수로(212)에 위치한 한쪽 끝 부분 보다는 그 길이가 더 길다. 한편, 보관부(230)는 진열판(2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분리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보관부(230)에는 절화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보관된 절화의 한쪽 끝이 수로(212) 내부에 삽입되면서 물에 잠길 수 있다.
한편, 절화가 보관부(230)에 보관 시 절화의 잎이 수로(2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때 잎은 순환펌프(216)에 의해 순환되는 물에 의하여 수로(2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로 여과망(215)에 걸린다. 이렇게 절화 잎이 수로 여과망(215)에 걸리면 개폐부(221)를 열어 수로 여과망(215)에 걸려 있는 절화 잎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냉장고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은 도 13에 도시한 절화 냉장고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화 냉장고(300)는 본체(310), 그리고 절화 보관 장치(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절화 보관 장치(400)는 보관 용기(410), 배열 몸체(401), 연결 장치(450), 급수부(420), 배수부(440), 세척관(460), 가열 장치(470), 세척 펌프(474), 그리고 가열 장치(470) 및 세척 펌프(474)와 연결된 제어부(490)를 포함한다.
배열 몸체(401) 위에는 복수의 보관 용기(410)가 배열 되어 있으며, 보관 용기(410)는 연결 장치(450)로 연결되어 있다. 보관 용기(410)에는 절화가 보관 된다. 그러나 보관 용기(410)에 절화가 채워진 보조 용기(412)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부(420)는 보관 용기(410)에 유체를 공급하게 되면, 배수부(440)는 보관 용기(410)에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복수의 보관 용기(410)중 일측 보관 용기(410)와 타측 보관 용기(410)는 세척관(46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관(460)은 내부가 격벽(461)으로 구획되어 제1 공간(462) 및 제2 공간(463)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2 공간(463)에는 가열 장치(470)가 배치되어 있다.
세척 펌프(474)는 흡입관(475) 및 배출관(476)을 포함하며, 흡입관(475)은 제1 공간(462)에 배출관(476)은 제2 공간(463)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490) 조작으로 세척 펌프(474)가 동작되어 보관 용기(410) 내부에 유입된 유체가 순환하게 되며, 가열 장치(470) 가열로 순환된 물이 가열되어 기설정된 온도를 갖는 유체가 보관 용기(410)및 연결 장치(450)를 순환하게 되면서 그 내부에 융착된 물 때 따위를 제거하게 된다.
본체(3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 도어(311)가 결합되어 있다. 도 어(311) 개방시 본체(310) 내부는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310) 내부에는 절화 보관 장치(400)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310)의 바닥면 면적은 배열 몸체(40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체(310) 내부는 10℃ 내지 12℃ 정도의 저온을 상태를 유지한다. 온도는 절화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체(310) 일측면에는 배수부(440) 및 급수부(420)가 노출되어 있다. 배수부(440)를 통하여 유체를 본체(310)외부로 간편하게 배출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 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한 Ⅵ-Ⅵ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 부분의 확대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용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절화 보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XII-XII 선을 따라 절화 보관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은 도 13에 도시한 절화 냉장고의 측면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절화 보관 장치 401: 배열 몸체
410: 보관 용기 411: 저장 공간
412: 보조 용기 413: 구멍
420: 급수부 421: 급수 조작 밸브
430: 자동 공급 장치 431: 공급 밸브
432: 제1 수위 센서 440: 배수부
441: 배수 조작 밸브 450: 연결 장치
451: 볼트 452: 제1 연결관
452a: 단턱 453: 밀폐링
454: 너트 455: 연결 부재
455a: 띠홈 456: 걸림 부재
457: 제2 연결관 457a: 띠돌기
458: 클램프 458a: 결속 몸체
458b: 결속바 460: 세척관
461: 격벽 462: 제1 공간
463: 제2 공간 470: 가열 장치
471: 히터 472: 온도 센서
473: 제2 수위 센서 474: 세척 펌프
475: 흡입관 476: 배출관
480: 보조 세척 장치 481: 노즐
482: 가압 펌프 490: 제어부
491: 온도 타이머 492: 온도 표시부
493: 동작 스위치
100: 절화 보관 장치 110: 수로관
111: 급수부 112: 배수부
120: 안치부 121: 구멍
130: 용기부 131: 메쉬부
131a: 통공 132: 용기 여과망
200: 절화 보관 장치 210: 몸체
211: 격벽 212: 수로
213: 급수부 214: 배수부
215: 수로 여과망 220: 진열판
221: 개폐부 230: 보관부
300: 절화 냉장고 310: 본체
311: 도어

Claims (16)

  1. 급수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1 보관 용기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는 제2 보관 용기,
    상기 제1 보관 용기와 상기 제2 보관 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보관 용기 및 상기 제2 보관 용기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보관 용기,
    일단이 상기 제1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고, 타 단이 상기 제2 보관 용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가 들어오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는 세척관,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에 있는 유체가 들어오는 흡입관,
    상기 제2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제2 공간으로 보내는 배출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간의 유체를 상기 제2 공간으로 순환시키는 세척 펌프,
    상기 제1 공간, 상기 제2 공간, 상기 흡입관 또는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 장치, 그리고
    상기 세척 펌프 및 상기 가열 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 펌프 및 상기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및 상기 보조 보관 용기가 놓여진 배열 몸체를 더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3. 제1항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상기 보조 보관 용기에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구멍 또는 메쉬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절화 보관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상기 보조 보관 용기의 하부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뚫려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볼트,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상기 보조 보관 용기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쪽 끝이 상기 볼트와 마주하는 제1 연결관,
    상기 볼트와 상기 제1 연결관 사이에 위치한 밀폐링,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관 양쪽 끝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에 체결될 수 있는 너트
    를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상기 보조 보관 용기의 하부 외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 외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걸림 부재,
    상기 제1 보관 용기, 상기 제2 보관 용기, 그리고 상기 보조 보관 용기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쪽 끝이 상기 연결 부재와 마주하는 제2 연결관, 그리고
    상기 순환관 외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 부재에 걸리는 클램프
    를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장치에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연결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노즐 및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있는 가압 펌프로 구성된 보조 세척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급수부에 배치되어 있는 공급 밸브 및
    상기 공급 밸브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보관 용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수위 센서로 구성된 자동 공급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절화 보관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히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공간에 유입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수위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위 센서의 감지로 상기 제2 공간의 수위가 낮게 감지되면 상기 히터는 작동을 멈추는
    절화 보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절화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127655A 2008-08-26 2008-12-16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KR100938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399 2008-08-26
KR1020080083399 2008-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222B1 true KR100938222B1 (ko) 2010-01-22

Family

ID=4181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655A KR100938222B1 (ko) 2008-08-26 2008-12-16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399A (ko) * 2014-11-04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난 재배장치
KR20230021841A (ko) * 2021-08-06 2023-02-14 황현철 생화 보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769B1 (ko) * 1994-10-20 1997-07-16 두성기전 주식회사 생화보관장치
JP2003038032A (ja) 2001-07-25 2003-02-12 Kyushu Energys Kk 切花保存装置及び切花保存方法
JP2003325285A (ja) 2002-01-05 2003-11-18 Shunichi Taga 切花販売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769B1 (ko) * 1994-10-20 1997-07-16 두성기전 주식회사 생화보관장치
JP2003038032A (ja) 2001-07-25 2003-02-12 Kyushu Energys Kk 切花保存装置及び切花保存方法
JP2003325285A (ja) 2002-01-05 2003-11-18 Shunichi Taga 切花販売ケー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399A (ko) * 2014-11-04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난 재배장치
KR101704401B1 (ko) 2014-11-04 2017-02-10 대한민국 난 재배장치
KR20230021841A (ko) * 2021-08-06 2023-02-14 황현철 생화 보관장치
KR102548040B1 (ko) 2021-08-06 2023-06-26 황현철 생화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400B1 (en) Water cooler drip tray drainage apparatus
US9901238B2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e-scaling apparatus
EP3290358B1 (en) Multi-purpose water tank
CN116419790A (zh) 液体过滤***
KR100938222B1 (ko)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EP3181034A1 (en) Dish treating appliance with diverter valve position sensing
CN104949336A (zh) 热水器水箱及其清洗控制方法
KR102663648B1 (ko) 식물 재배 장치
EP3148326B1 (en)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s and the like
WO2013112775A1 (en) Vertical filter
EP2104544A1 (en) Distributor for domestic water filters
RU24946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ролем уровня для отдел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их примесей
KR101333723B1 (ko) 농업용 약액의 여과수단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US7857980B2 (en) Plant for filtering substances
KR100934695B1 (ko) 식기 세척기용 필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662368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4773237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US20230284860A1 (en) Standpipe for a warewashing machine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100474140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교반익 구동 장치
KR101964737B1 (ko) 배수기능을 갖는 실내 조경시스템
KR101479451B1 (ko) 배관 세척 장치
JP2018110532A (ja) 水槽設備
RU2787980C2 (ru) Водяной фильтр для аквариу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