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111B1 -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111B1
KR102546111B1 KR1020210148944A KR20210148944A KR102546111B1 KR 102546111 B1 KR102546111 B1 KR 102546111B1 KR 1020210148944 A KR1020210148944 A KR 1020210148944A KR 20210148944 A KR20210148944 A KR 20210148944A KR 102546111 B1 KR102546111 B1 KR 10254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lithium ion
ion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663A (ko
Inventor
김정애
이병준
김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셀
Priority to KR102021014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1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HIGH POWER LITHIUM ION CAPACITOR WITH IMPROVED CAPACITY AND POWER PROPERTIES}
본 발명은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커패시터(LIC: lithium ion capacitor)는 기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의 고출력 및 장수명 특성과 리튬 이온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이차전지 시스템이다.
전기적 이중층 내 전하의 물리적 흡착 반응을 이용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우수한 출력특성 및 수명특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에너지 밀도 때문에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양극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삽입 및 탈리할 수 있는 탄소계 재료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가 제안되었으며, 음극활물질로서 리튬 이온을 삽입 및 탈리할 수 있는 탄소계 재료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가 제안되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4299호(2016.10.27.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리튬이온 커패시터 전극용 다차원 탄소나노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커패시터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을 이용한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한다.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다.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상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0.7 ~ 1.5㎤/g)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양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양극 활물질 계면의 부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내용량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음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기존 리튬이온커패시터 대비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여 리튬이온의 활동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는 양극(120), 음극(140), 분리막(150) 및 전해액(160)을 포함한다.
양극(120)은 양극집전체(122)와, 양극집전체(122)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124)을 포함한다.
양극집전체(122)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박으로써,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구리(Cu), 니켈(Ni), 타이타늄(Ti), 탄탈륨(Ta), 니오븀(Nb)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집전체(122)의 크기나 두께 등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12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각 도전성 접착제(미도시) 및 전도성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극활물질층(124)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극활물질층(124)은 양극할물질 10 ~ 90 중량%, 도전재 1 ~ 10 중량% 및 바인더 1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리튬 금속 산화물로는 LiNiO2, LiMnO2, LiMn2O4, LiFePO4, Li(NixCoyMnz)O2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리튬 금속 산화물은 리튬 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고기공 탄소 소재는 80wt% 이상의 탄소로 구성된 원료를 약품부활에 의해 제조된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고기공 탄소 소재는 양극의 계면 및 저항 특성을 개선하여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기공 탄소 소재는 N2 가스 흡착법에 의해 측정된 기공 부피(P/P0 = 0.99)가 0.7 ~ 1.5 cm3/g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활물질로 이종의 물질인 리튬 금속 산화물과 고기공 탄소 소재를 물리적으로 함께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양극(120)을 구성하게 되면, 리튬 금속 산화물에 의해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고기공 탄소 소재에 의해 용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온 이동 및 저항 등의 계면 특성이 향상되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내용량 및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고기공 탄소 소재는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10 ~ 25 중량부를 제시할 수 있다.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내구성 특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내용량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양극활물질의 첨가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너무 적은 관계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내용량 및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반대로, 양극활물질의 첨가량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도전재는 슈퍼-P(Super-P),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재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도전재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재의 과다 사용으로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바인더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2종 이상이 첨가되어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는 부 바인더로 셀룰로오즈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딜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양극활물질층(124)과 양극집전체((122)) 간의 결착력이 약해 깨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인더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의 과다 사용으로 내용량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음극(140)은 음극집전체(142)와, 음극집전체(142)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144)을 포함한다.
음극집전체(142)는, 양극집전체(122)와 마찬가지로,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써,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 구리(Cu), 니켈(Ni), 타이타늄(Ti), 탄탈륨(Ta), 니오븀(Nb)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극집전체(142)의 크기나 두께 등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142)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각 도전성 접착제(미도시) 및 전도성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음극활물질층(144)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극활물질층(144)은 음극할물질 10 ~ 90 중량%, 도전재 1 ~ 10 중량% 및 바인더 1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된다.
흑연은 인조 흑연 및 천연 흑연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극활물질로 이종의 물질인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물리적으로 함께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음극(140)을 구성하게 되면, 2.5V 이하의 전압 영역의 사용이 어려운 기존 리튬이온 커패시터와 다르게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이방성 탄소 소재는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15 ~ 25 중량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방성 탄소 소재가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이방성 탄소 소재가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다 첨가될 경우에는 내용량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음극활물질의 첨가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너무 적은 관계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용량 및 출력 특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음극활물질의 첨가량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도전재는 슈퍼-P(Super-P),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재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도전재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재의 과다 사용으로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바인더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인더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중 2종 이상이 첨가되어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는 부 바인더로 셀룰로오즈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딜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극활물질층(144)과 음극집전체(142) 간의 결착력이 약해 깨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인더의 첨가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인더의 과다 사용으로 내용량 및 전기전도성이 저하될 우려가 크다.
분리막(150)은 양극(120) 및 음극(140) 사이에 배치되어, 양극(120) 및 음극(14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분리막(150)은 양극(120) 및 음극(140)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다공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해액(160)은 이온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한다. 전해질은 LiPF6, LiBF4 및 LiCIO4 중 어느 하나의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염은 리튬 이온 커패시터(100)의 초기 충전시 음극으로 도핑되는 리튬 이온의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160)의 용매로 사용되는 재질의 예로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및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양극의 양극활물질로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0.7 ~ 1.5㎤/g)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고, 음극의 음극활물질로 천연/인조 흑연과 10 ~ 50Å의 결정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물리적으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양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양극 활물질 계면의 부반응을 제어함으로써 내용량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흑연과 3.35 ~ 3.45Å의 면간격과 10 ~ 50Å의 결정 크기(Lc)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를 혼합하여 음극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기존 리튬이온커패시터 대비 2.5V 이하의 전압 영역에서의 사용 전압을 확보하여 리튬이온의 활동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리튬 이온 커패시터 제조
실시예 1
리튬 금속 산화물인 LiMn2O4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양극활물질 90wt%, 도전재로서 슈퍼-P(Super-P) 5wt%와 바인더 2종(아크릴 바인더 및 메틸 셀로롤로오스) 5wt%를 혼합하고 교반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양극 슬러리를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 위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및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고기공 탄소 소재는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인조 흑연과 3.40Å의 면간격, 30Å의 결정크기(Lc) 및 1.85g/cc의 진밀도를 갖는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음극활물질 92wt%, 도전재로서 슈퍼-P(Super-P) 3wt%와 바인더 2종(아크릴 바인더 및 메틸 셀로롤로오스) 5wt%를 혼합하고 교반시켜 음극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음극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 위에 콤마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 및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이방성 탄소 소재는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양극과 음극에 단자를 부착하고 분리막을 내부와 외부로 교차 배치한 후, 원통형의 형태로 권취 소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PE) 필름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으로는 1M의 LiPF6의 에틸렌글리콜/디메틸클로라이드(EC/DMC)를 3 : 7의 중량비로 배합한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방성 탄소 소재가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기공 탄소 소재가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방성 탄소 소재가 인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대한 출력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C-rate 기준으로 1C와 20C 수준의 전류값을 인가하여 각각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용량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값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1126265504-pa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1C에서 측정된 용량이 150F 이상이고, 20C에서 측정된 용량값은 120F 이상으로 80%이상의 출력 특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1C에서 측정된 용량이 130 ~ 140F 수준이고, 20C에서 측정된 용량값은 100F 이하로 70% 수준의 출력 특성이 유지되어,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리튬 이온 커패시터 120 : 양극
122 : 양극집전체 124 : 양극활물질층
140 : 음극 142 : 음극집전체
144 : 음극활물질층 150 : 분리막
160 : 전해액

Claims (6)

  1.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시키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로서,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 및 고기공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은 흑연 및 이방성 탄소 소재가 혼합된 것이 이용되고,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상기 흑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30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5 ~ 15㎛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2,000 ~ 3,500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기공 부피가 0.7 ~ 1.5 cm3/g 범위이고, 2nm 이하 크기의 기공이 전체 기공의 85%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고기공 탄소 소재는
    상기 리튬 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30 중량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의 이방성 탄소 소재는 탄소 성분을 98 중량% 이상 포함하는 석유계 탄소 소재이며,
    3.35 ~ 3.45Å의 면간격, 10 ~ 50Å의 결정크기(Lc) 및 1.75 ~ 2.0g/cc의 진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6. 삭제
KR1020210148944A 2021-11-02 2021-11-02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10254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2021-11-02 2021-11-02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2021-11-02 2021-11-02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63A KR20230063663A (ko) 2023-05-09
KR102546111B1 true KR102546111B1 (ko) 2023-06-21

Family

ID=864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44A KR102546111B1 (ko) 2021-11-02 2021-11-02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1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743B1 (ko) * 2012-05-16 2014-05-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789B1 (ko) * 2018-12-20 2020-10-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리튬코발트산화물-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269341B1 (ko) * 2020-11-23 2021-06-28 주식회사 비츠로셀 고 기공 탄소 소재를 이용한 고출력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7177호(2020.06.30.) 1부.*
인용발명 2: 등록특허공보 제10-2269341호(2021.06.28.) 1부.*
인용발명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0945호(2013.12.2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63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9859B2 (ja) カソード活性材料、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移動度及び電池容量が改良された二次バッテリー
JP6193285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車
KR101479881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WO2011153330A1 (en) High energy density electrochemical capacitors
JPWO2011036797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35911A (ko) 양극 재료, 이것을 이용한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양극 재료의 제조 방법
JP3471238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605824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3206254A (zh) 正极材料、包括正极材料的正极和包括正极的锂电池
JP200310028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53067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200824352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電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6157609A (ja) 蓄電素子
JP6609946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40644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シートの製造方法
CN112470308A (zh)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以及包含其的二次电池
JP6573150B2 (ja) 蓄電素子
CN114080703A (zh) 二次电池用负极活性物质、以及二次电池
JP414576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1167273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546111B1 (ko) 용량 및 출력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6848363B2 (ja) 負極及び非水電解質蓄電素子
CN110120500B (zh) 金属二次电池用负极、金属二次电池和金属二次电池的制造方法
KR102667695B1 (ko) 도전성 탄소 코팅으로 저항 특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온 커패시터
CN113054159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负极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