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259B1 -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259B1
KR102543259B1 KR1020220104787A KR20220104787A KR102543259B1 KR 102543259 B1 KR102543259 B1 KR 102543259B1 KR 1020220104787 A KR1020220104787 A KR 1020220104787A KR 20220104787 A KR20220104787 A KR 20220104787A KR 102543259 B1 KR102543259 B1 KR 10254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pening
inclined surface
protruding inclin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684A (ko
Inventor
김기철
이해정
Original Assignee
김기철
이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철, 이해정 filed Critical 김기철
Publication of KR2023004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방하고자 하는 몸체를 들어올려 회전시키지 않고도 개폐몸체의 개방이 용이하되 개방시에 발생하는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수용물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의 개구된 토출구와 서로 연통되게 용기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용기결합부재 및 일측이 상기 용기결합부재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결합부재는 토출구 내부와 연통되게 나사 결합하는 결합구가 형성된 기둥형상의 결합몸체, 하부가 상기 결합몸체 타측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되 외력이 발생시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푸쉬부, 상기 개폐부재와 서로 면접촉하게 상기 푸쉬부 상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푸쉬부가 회동시에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돌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IMPROVE TYPE ONE TOUCH CAP OF VESSEL}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방하고자 하는 용기를 들어올려 두손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한손만을 사용하여 잠겨있는 용기의 개방이 용이하고, 용기 내용물의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이나 샴퓨 등과 같이 젤타입(gel type)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용기의 뚜껑은 대부분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출근시간이나 외출시간에 뚜껑을 일일이 두손을 사용하여 회전을 시켜서 뚜껑을 용기의 상부로부터 개방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고,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기에 간단한 동작을 선호하는 급한 현대인의 바람을 채울 수 없는 미비점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마개로 눌러 막아 구성된 것이 있으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장품의 사용 시 병구의 주위로 묻은 화장품등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달라붙어 외관이 불결하게 되는 등 화장품의 청결감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용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개폐부로 구성된 원터치 뚜껑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39588호인 원터치형 용기뚜껑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어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부에 그 일단이 힌지되고 힌지부 반대편의 타단부에는 고정부에 걸림되는 후크부를 갖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11477호인 원터치 캡이 형성된 용기 뚜껑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뚜껑몸체에 캡이 탄성복원력을 갖게 힌지조립되며, 뚜껑몸체는 통체와 상부면 조립체와 버튼부가 조립되어 형성되며 통체의 측면으로 버튼부의 버튼과 후크가 약간 돌출되게 조립되어 버튼을 누르면 후크가 함께 눌려지고, 캡은 측면벽의 내측으로 약간 돌기되어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캡이 닫힐 때 캡의 걸림돌기가 뚜껑몸체의 측면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에 걸려있게 되고, 버튼을 누르면 후크가 후퇴되어 캡의 걸림돌기에서 벗어나 캡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터치 뚜껑은 용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을 간편하게 개방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바쁜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실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뚜껑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회전가능한 부분을 손가락이나 손톱 등을 통해 외력으로 들어올려서 개방되는 형태만을 만족하고 있어 용이하게 개방이 되지 않거나 특히, 네일 등을 부착한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네일이 손톱에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하기 위해 해당 뚜껑을 구성하는 몸체를 외력에 의해 강제 회전시키지 않도록 상기 뚜껑의 개방이 가능하되 상기 뚜껑의 '닫힘' 상태 유지가 용이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유실을 방지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방되는 뚜껑의 회전각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시켜 용기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은 용기(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는 뚜껑에 있어서, 용기(10)의 개구된 토출구(11)와 서로 연통되게 용기(10)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용기결합부재(100); 및 일측이 상기 용기결합부재(100)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토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00)는 토출구(11)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하는 결합구(111)가 형성된 기둥형상의 결합몸체(110),
하부가 상기 결합몸체(110) 타측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되 외력이 발생시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푸쉬부(120),
상기 푸쉬부(120)의 좌우에는 푸쉬부(12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회동이 용이하도록 절개구가 형성된 회동절개구(340),
상기 회동절개구(340)의 하부는 푸쉬부(120)의 하부 길이 까지 파여지고, 푸쉬부(120) 좌우에 형성된 회동절개구(340)의 상부와 연통된 회동간격부(400),
상기 결합몸체(110)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푸쉬부(1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결합상부(140),
상기 결합상부(140)에 결합하부(150)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후크(123)과 결합하는 턱부(215)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되고, 결합하부(150)를 밀어내어 열리도록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과 면접하는 제1 돌출경사면(121)이 구비된 결합하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하부(150)를 위로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개폐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213)과 개폐부재(200)의 중앙에서 대칭인 지점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위치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구비된 결합상부(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1a)과, 우측면(121b)은 결합하부(150)에 형성된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0a), 우측면(220b)과 각각 면접하며 개폐부재(20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며, 결합상부(140)와 결합하부(150)가 결합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이 구비되어 있고,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은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개폐부재(200)을 열기위하여 푸쉬부(120)를 누를 때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정확하게 제2 돌출경사면(220)을 ㅌ접촉하며 밀어낼수있도록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2a)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2a)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고, 제1 돌출경사면(121)의 우측면(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우측면(222b)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푸쉬부(120)를 외력을 가하면 푸쉬부(120) 상부에 구비된 결합상부(140)는 회동간격부(400)가 거리를 좁히며 회동제한면(330)을 향하여 회동되며, 개폐부재(200)가 열리도록 제1 돌출경사면(121)이 정확하게 제2 돌출경사면(220)을 접촉하며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며,
결합하부(150)의 좌우턱부(215a, 215b)가 결합상부(140)의 좌우후크(213a, 213b)로 부터 벗어나 개폐부재(200)가 열리고,
후크뒷면(320)이 회동제한면(330)과 접하여 회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200)와 서로 면접촉하게 상기 푸쉬부(120) 상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푸쉬부(120)가 회동시에 상기 개폐부재(200)가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승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돌출경사면(121)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부(120) 상면에는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개폐부재(200) 내면에 형성된 턱부(21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123)가 형성되되 상기 후크(123)의 후면은 상기 푸쉬부(120)가 회동시에 상기 용기결합부재(100)에 형성된 회동제한면(330)과 서로 면접하여 그 회동각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몸체(110)는 회전공(113) 및 끼움돌출부(115)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공(113)은 상기 개폐몸체(210)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1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끼움돌출부(115)는 상기 결합몸체(1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200) 내면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몸체(11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복원가능하게 회동하는 상기 푸쉬부(12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동공간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결합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구(111)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삽입구(211)가 형성된 개폐몸체(210); 및
상기 개폐몸체(210) 타측에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과 동일한 각도를 갖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푸쉬부(120)가 회전시에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의 면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상기 개폐몸체(2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받는 제2돌출경사면(22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200)는 상기 푸쉬부(120)의 회동시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200)가 회전시 상기 개폐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탄성 및 신축성의 재질로 성형된 회전보조수단(2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에 의한 회전각도는 상기 개폐부재(200)가 상기 결합몸체(110)와 서로 결합한 상태를 0°기준으로 하여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개폐몸체(210)에 형성된 제1삽입홈(217)에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몸체(110)에 형성된 제2삽입홈(117)에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푸쉬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통해 제1 및 제2돌출경사면이 서로 면접하여 그 경사 각도에 의해 개폐몸체의 개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푸쉬부(120)의 좌우에는 푸쉬부(12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회동이 용이하도록 절개구가 형성된 회동절개구(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절개구(340)는 푸쉬부(120)가 회동할 때에 결합몸체(110)와 분리되어 푸쉬부(120)가 회동하기 수월하고, 누르는 힘이 결합몸체(110)에 까지 미치쳐 변형되지 않게 푸쉬부(120)가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결합몸체와 개폐몸체을 통해 양측이 삽입 결합된 회전보조수단의 탄성 및 신축성을 통해 푸쉬부에 외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개폐몸체가 회전에 의해 개방시, 그 회전각도를 크게 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과 용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대한 용기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B-B'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C-C'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대한 개폐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저면도.
도 8은 도 6에 대한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의 개폐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대한 개폐몸체가 개방되는 작용관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에 대한 개폐몸체의 절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이하, 간략하게 '뚜껑'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되는 용기(10)는 분말 또는 액상의 상태의 화장품은 물론, 소스 등의 식료품을 수용하기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통상의 용기(10)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1)은 크게 용기결합부재(100) 및 개폐부재(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용기결합부재(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 상부에 그 내부와 연통되게 개구 형성된 토출구(11)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되 후에 설명하는 개폐부재(200)의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여 해당 토출구(11)의 개폐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몸체(110) 및 푸쉬부(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결합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지름을 갖는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구된 하부측은 용기(10)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그 상부는 후에 설명하는 개폐몸체(2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결합몸체(110) 내부에는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이 배출되는 개구된 토출구(11) 내부와 연통하는 결합구(111)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111) 내면에는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11)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몸체(110)와 개폐몸체(2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몸체(110) 일측에는 개폐몸체(210)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13)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회전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개폐몸체(210) 내면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기 위한 끼움돌출부(115)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결합몸체(110) 타측에는 외력에 의한 푸쉬부(120)가 회동할 수 있게 소정의 체적을 갖는 회동공간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푸쉬부(120)는 상술한 결합몸체(110) 타측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되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예를 들어, 본 발명인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회동하여 그 회동을 통해 개폐몸체(210)가 회전하여 개방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제1돌출경사면(121) 및 후크(123)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푸쉬부(120)는 하부가 결합몸체(110)와 이어지게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회동공간부(13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접촉면(125)은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개폐부재(200)을 열기위하여 푸쉬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며 형상의 변형이 가지 않고 이동하기위하여 일정두께의 납작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경사면(1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해당 경사면은 개폐몸체(210)에 형성된 제2돌출경사면(220)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외력이 발생시 푸쉬부(120)의 회동을 통해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이 상기 제2돌출경사면(220)을 상방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후크(123)는 제1돌출경사면(121)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도록 푸쉬부(120) 상면에 돌출 형성되되 개폐몸체(210)에 형성된 턱부(21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술한 끼움돌출부(115)와 함께 상기 개폐몸체(210)와 결합몸체(110)가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개구된 결합구(111) 상부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수용물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외력에 대하여 회동공간부(130) 방향으로 푸쉬부(120)가 회전시, 후크(123)의 후면은 상기 회동공간부(130)를 형성하기 위해 끼움돌출부(115)와 이어지는 회동제한면(330)과 면접하여 상기 푸쉬부(120)의 회동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푸쉬부(120)가 도10의 화살표 방향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푸쉬부(120)를 형성하는 플라스틱에 손상될 수 있는 스트레스가 최소한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2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결합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을 통해 결합구(111)의 개구된 상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개폐몸체(210) 및 제2돌출경사면(220)을 포함한다.
예컨대 개폐몸체(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갖는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결합구(111) 외면과 끼움 결합하기 위한 삽입구(2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몸체(210)가 상술한 결합몸체(110)와 서로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몸체(210) 내면에 의해 상기 결합구(111)의 개구된 상부가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개폐몸체(210) 일측에는 회전공(113)과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하기 위한 회전축(213)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몸체(210)와 결합몸체(11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개폐몸체(210) 타측에는 후크(123)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턱부(215)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몸체(210)의 하부 내면은 끼움돌출부(115)와 형상 맞춤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턱부(215)는 제2돌출경사면(220)을 기준으로 후크(123)와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돌출경사면(220)은 상술한 푸쉬부(120)가 회동시 상기 제2돌출경사면(220)과 제1돌출경사면(121)이 서로 면접촉하여 그 각각의 경사면을 통해 개폐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돌출경사면(220)은 그 하부에 제1돌출경사면(121)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를 경사면이 형성되어 푸쉬부(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이 상기 제2돌출경사면(220)을 상방으로 밀어내도록 면접촉하여 개폐몸체(210)의 회전을 통해 상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보조수단(2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몸체(210)를 회동시켜 개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1)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돌출부(115) 및 후크(123)가 개폐몸체(210) 내면 및 턱부(215)가 서로 결합하여 용기(10)가 구비된 결합몸체(110)와 개폐몸체(210)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의 접촉면(125)을 갖는 푸쉬부(120)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푸쉬부(120)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제1돌출경사면(121)이 회동하여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 상부에 위치하는 제2돌출경사면(22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끼움돌출부(115)와 후크(123)가 상기 개폐몸체(2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기 개폐몸체(210)의 회전을 통해 개방이 구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개폐부재(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부(120)의 외력에 의해 개폐몸체(210)가 회전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몸체(210)의 회전각도가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회전보조수단(230)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회전보조수단(2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은 물론, 신축성의 성질을 갖는 연성의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이 것이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그 상부는 개폐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제1삽입홈(217)에 삽입되고, 하부는 결합몸체(11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1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보조수단(230)은 사용자가 푸쉬부(120)에 외력을 가하여 회동이 이루어져 그 회동에 의해 제1 및 제2돌출경사면(121,220)의 서로 면접하여 상기 제2돌출경사면(220)이 상방으로 밀려 개폐몸체(210)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탄성 및 신축성의 성질을 통해 상기 개폐몸체(2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밀어주는 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개폐몸체(210)의 회전각도와 대비하여 더 큰 회전각도를 갖도록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때, 회전보조수단(230)의 회전각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몸체(210)가 결합몸체(110)와 서로 결합한 상태를 0°기준으로 하여 170°로 회전할 수 있는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회전 각도가 개폐몸체(210)와 결합몸체(110)의 형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170°보다 크게 열게되면 개폐몸체(210)가 결합몸체(110)에 간섭이 생기기 때문에 170°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또는 제2삽입홈(117)에 삽입된 회전보조수단(230) 중 어느 한 곳은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의 이탈이 방지되게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 상태를 갖도록 하며, 해당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측은 결합몸체(110)와 개폐몸체(210)가 서로 회전시에 제1 또는 제2삽입홈(117) 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호 간의 회전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푸쉬부(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통해 제1 및 제2돌출경사면(121,220)이 서로 면접하여 그 경사 각도에 의해 개폐몸체(210)의 개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결합몸체(110)와 개폐몸체(210)을 통해 양측이 삽입 결합된 회전보조수단(230)의 탄성 및 신축성을 통해 푸쉬부(120)에 외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개폐몸체(210)가 회전에 의해 개방시, 그 회전각도를 크게 하여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본원의 발명을 재차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은 용기(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는 뚜껑에 있어서, 용기(10)의 개구된 토출구(11)와 서로 연통되게 용기(10)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용기결합부재(100)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회전에 의해 개폐부재(200)가 토출구(11)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용기결합부재(100)는 토출구(11)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하는 결합구(111)가 형성된 기둥형상의 결합몸체(110)의 타측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되 외력이 발생시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동하고 개폐부재(200)를 열수있도록하는 푸쉬부(120)가 구성되어 있다. ,
상기 푸쉬부(120)의 좌우에는 푸쉬부(12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회동이 용이하도록 절개구가 형성된 회동절개구(340)가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절개구(340)는 푸쉬부(120)가 회동할 때에 결합몸체(110)와 분리되어 푸쉬부(120)가 회동하기 수월하고, 누르는 힘이 결합몸체(110)에 까지 미치지 않게 효율적으로 푸쉬부(120)가 작동하게 하기 위함이다.
회동절개구(340)가 구비되지 않은 푸쉬부(120)는 작동하기 위하여 결합몸체(110) 까지 찌그러트리면서 작동을하여야 하므로 수차례 푸쉬부(120)를 작동시키면 찌그러진 결합몸체(110)가 복원되지않아 개폐부재(200)가 잠기지 않고 열려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차 뚜껑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찌그러진 결합몸체(110) 부위를 펴주는 수고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원은 푸쉬부(12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결합몸체(110)에 회동절개구(34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회동절개구(340)의 하부는 푸쉬부(120)의 하부 길이 까지 파여지고, 푸쉬부(120) 좌우에 형성된 회동절개구(340)의 상부와 연통된 회동간격부(400)가 구비되어 푸쉬부(120)의 눌리는 동작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회동 움직임이 회동간격부(400)의 간격으로 제한되도록 푸쉬부(120)의 회동을 제한한것은 뚜껑의 재료가 플라스틱이기 때문과 회동절개구(340)가 존재하여 푸쉬부(120)가 적은 힘으로 쉽게 회동되기 때문에, 푸쉬부(120)에 과도한 누름으로 회동되어 휘어지는 정도를 제한하여 푸쉬부(120)의 회동되어 휘어지는 부분에 피로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몸체(110)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푸쉬부(1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결합상부(140)와 상기 결합상부(140)에 결합하부(150)와 결합하는 구성들이 원활하게 결합몸체(110)와 개폐부재(200)가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후크(123)와 결합하는 턱부(215)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되고, 결합하부(150)를 밀어내어 열리도록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과 면접하는 제2 돌출경사면(220)이 구비된 결합하부(150)로 구성된다.
결합몸체(110)와 개폐부재(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후크(123)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턱부(215)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고,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과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결합몸체(110)와 개폐부재(200)를 분리하기위하여, 즉 뚜껑을 열기위 하여, 푸쉬부(120)를 누르게되고, 푸쉬부(120)가 회동하게되면, 푸쉬부(120)의 상부에 결합하기위하여 구성된 상기 결합상부(140)가 회동하게되어,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을 밀어서 상향(결합하부(150)를 위로 미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회동되어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이 해제되기 직전의 상태로 된다.
이때의 형상은 결합상부(140)가 개폐부재(200)를 일정 간격을 상부로 밀어주고는 있으나,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이 해제되기 직전의 상태로 개폐부재(200)를 열고자하는 힘이 가해져 있으나,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으로 구속 받고있는 상태인 것으로, 조금더 푸쉬부(120)를 회동시키면,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이 급하게 해제되고,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을 더욱 밀어 올려서 상향(결합하부(150)를 위로 미는 방향)으로 빠르게 튕겨 올라가게 움직이게 하여 한손으로 푸쉬부(120)를 눌러서 용기의 뚜껑이 열리기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결합하부(150)를 위로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개폐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213)과 개폐부재(200)의 중앙에서 대칭인 지점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위치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구비된 결합상부(140)로 구성된 것으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를 구비한것은 제1 돌출경사면(121)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으로 홀딩하여 개폐부재(200)가 열릴때와 닫혀질 때에 대칭으로 힘이 작동하여 결합이나 오픈될 때에 위치의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1a)과, 우측면(121b)은 결합하부(150)에 형성된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0a), 우측면(220b)과 각각 면접하며 개폐부재(20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며, 결합상부(140)와 결합하부(150)가 결합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이 구비되어 있고,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은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개폐부재(200)을 열기위하여 푸쉬부(120)를 누를 때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정확하게 제2 돌출경사면(220)을 면접촉하며 밀어낼수있도록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2a)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2a)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고, 제1 돌출경사면(121)의 우측면(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우측면(222b)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여 개폐부재(200)을 열고 닫기에 편리하도록하기 위함과, 힘이 다른곳으로 전달되어 뒤틀려서 열리는 가능성과 닫을 경우에 뒤틀어져서 닫히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들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용기를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경우 주위의 물품에 의하여 개폐부재(200)가 눌려거 용기가 열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경사면들의 좌우에 서로 밀리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마주하는 면을 설계한 것이다.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푸쉬부(120)를 외력을 가하면 푸쉬부(120) 상부에 구비된 결합상부(140)는 회동간격부(400)가 거리를 좁히며 회동제한면(330)을 향하여 회동되며, 개폐부재(200)가 열리도록 제1 돌출경사면(121)이 정확하게 제2 돌출경사면(220)을 접촉하며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며,
결합하부(150)의 좌우턱부(215a, 215b)가 결합상부(140)의 좌우후크(213a, 213b)로 부터 벗어나 개폐부재(200)가 열리고,
후크뒷면(320)이 회동제한면(330)과 접하여 회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는 푸쉬부(120)가 회동을 하여 개폐부재(200)를 열기위한 것으로, 일정 거리인 회동간격부(400)를 넘어서 푸쉬부(120)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회동제한면(330)을 구비한 것으로, 과도하게 푸쉬부(120)가 회동을 하면 탄성피로가 푸쉬부(120)에 발생하여 파단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10: 용기 11: 토출구
100: 용기결합부재
110: 결합몸체 111: 결합구
113: 회전공 115: 끼움돌출부
117: 제2삽입홈 120: 푸쉬부
121: 제1돌출경사면
122a: 제1돌출경사면의 좌측면 122b: 제1돌출경사면의 우측면
123: 후크
123a: 좌측 후크 123b: 우측 후크
125: 접촉면 130: 회동공간부
200: 개폐부재
210: 개폐몸체 211: 삽입구
213: 회전축 215: 턱부
215a: 좌측턱부 215b: 우측턱부
217: 제1삽입홈 220: 제2돌출경사면
222a: 제2돌출경사면의 좌측면 222b: 제2돌출경사면의 우측면
230: 회전보조수단 320: 후쿠뒷면
330: 회동 제한면 340: 회동 절개구
350: 개폐결합면 400: 회동간격부

Claims (8)

  1. 용기(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개구된 토출구(11)와 서로 연통되게 용기(10)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용기결합부재(100); 및 일측이 상기 용기결합부재(100)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그 회전에 의해 토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결합부재(100)는,
    토출구(11)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하는 결합구(111)가 형성된 기둥형상의 결합몸체(110);
    하부가 상기 결합몸체(110) 타측 외면과 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되 외력이 발생시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게 회동하는 푸쉬부(120);
    상기 푸쉬부(120)의 좌우에는 푸쉬부(12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회동이 용이하도록 절개구가 형성된 회동절개구(340);
    푸쉬부(120) 좌우에 형성된 회동절개구(340)의 상부와 연통된 회동간격부(400); 및
    상기 결합몸체(110)와 연결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푸쉬부(120)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결합상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절개구(340)의 하부는 푸쉬부(120)의 하부 길이 까지 파여지고, 상기 결합상부(140)는 결합하부(150)와 결합하고,
    상기 개폐부재(200)와 서로 면접촉하게 상기 푸쉬부(120) 상면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푸쉬부(120)가 회동시에 상기 개폐부재(200)가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승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돌출경사면(121)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부(120) 상면에는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를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개폐부재(200) 내면에 형성된 턱부(215)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123)가 형성되되 상기 후크(123)의 후면은 상기 푸쉬부(120)가 회동시에 상기 용기결합부재(100)에 형성된 회동제한면(330)과 서로 면접하여 그 회동각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결합몸체(110)는 회전공(113) 및 끼움돌출부(115)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공(113)은 개폐몸체(210)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1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끼움돌출부(115)는 상기 결합몸체(1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200) 내면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고,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후크(123)과 결합하는 턱부(215)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되고, 결합하부(150)를 밀어내어 열리도록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과 면접하는 제2 돌출경사면(220)이 구비된 결합하부(150)로 구성되고,
    결합몸체(110)와 개폐부재(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는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후크(123)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턱부(215)가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고,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과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이고,
    결합몸체(110)와 개폐부재(200)를 분리하기 위하여, 푸쉬부(120)를 누르게되고, 푸쉬부(120)가 회동하게되면, 푸쉬부(12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성된 상기 결합상부(140)가 회동하게 되어,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을 밀어서 상향으로 움직이게 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회동되어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이 해제되기 직전의 상태로 되고,
    푸쉬부(120)를 조금 더 회동시키면,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좌우측후크(123a, 123b)가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좌우측턱부(215a, 215b)에 걸림이 급하게 해제되고, 결합상부(140)에 구비되어 제1 돌출경사면(121)이 면접촉을 하고 있는 결합하부(150)에 구비된 제2 돌출경사면(220)을 더욱 밀어 올려서 상향으로 빠르게 튕겨 올라가게 움직이게 하고,
    상기 결합하부(150)를 위로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개폐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213)과 개폐부재(200)의 중앙에서 대칭인 지점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위치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구비된 결합상부(140)로 구성된 것으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부(150)를 위로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개폐부재(20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213)과 개폐부재(200)의 중앙에서 대칭인 지점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위치하며,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에 좌측 후크(213a), 우측에 우측 후크(213b)가 구비된 결합상부(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부(140)에 구비된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1a)과, 우측면(121b)은 결합하부(150)에 형성된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0a), 우측면(220b)과 각각 면접하며 개폐부재(200)가 결합몸체(11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며, 결합상부(140)와 결합하부(150)가 결합하도록 가이드 하는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이 구비되어 있고,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우측면(222a, 222b)은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우측면(122a, 122b)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개폐부재(200)을 열기위하여 푸쉬부(120)를 누를 때에 제1 돌출경사면(121)이 정확하게 제2 돌출경사면(220)을 면접촉하며 밀어낼수있도록 제1 돌출경사면(121)의 좌측면(122a)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좌측면(222a)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고, 제1 돌출경사면(121)의 우측면(122b)과 제2 돌출경사면(220)의 우측면(222b)이 마주하여 슬라이딩하며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110)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복원가능하게 회동하는 상기 푸쉬부(12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동공간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결합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구(111)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삽입구(211)가 형성된 개폐몸체(210); 및
    상기 개폐몸체(210) 타측에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과 동일한 각도를 갖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푸쉬부(120)가 회전시에 상기 제1돌출경사면(121)의 면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상기 개폐몸체(2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힘을 전달받는 제2돌출경사면(22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200)는 상기 푸쉬부(120)의 회동시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200)가 회전시 상기 개폐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탄성 및 신축성의 재질로 성형된 회전보조수단(2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에 의한 회전각도는 상기 개폐부재(200)가 상기 결합몸체(110)와 서로 결합한 상태를 0°기준으로 하여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조수단(23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개폐몸체(210)에 형성된 제1삽입홈(217)에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결합몸체(110)에 형성된 제2삽입홈(117)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KR1020220104787A 2021-09-24 2022-08-22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KR102543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6500 2021-09-24
KR1020210126500 2021-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84A KR20230043684A (ko) 2023-03-31
KR102543259B1 true KR102543259B1 (ko) 2023-06-14

Family

ID=8600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787A KR102543259B1 (ko) 2021-09-24 2022-08-22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8553A (ja) * 2005-07-01 2007-01-18 Taisho Pharm Ind Ltd 容器のキャップ
KR101579405B1 (ko)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335B2 (en) * 2012-02-28 2015-10-06 Thermos L.L.C. Beverage container system with button release for lid
EP3564147B1 (de) * 2018-05-03 2020-12-16 Aptar Radolfzell GmbH Flüssigkeitsspender mit zusammendrückbarem flüssigkeitsspeic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8553A (ja) * 2005-07-01 2007-01-18 Taisho Pharm Ind Ltd 容器のキャップ
KR101579405B1 (ko)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84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475B2 (en) Liquid-container equipped with rotary discharger
US20160198833A1 (en) Device for preventing evaporation of cosmetic contents in cosmetic refill case
US20180220771A1 (en) Hose - type cosmetic container structure
KR20120011535A (ko)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US20180078018A1 (en) Cosmetic powder case
KR20220001159A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100106658A (ko)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543259B1 (ko) 용기의 개량 원터치 뚜껑
KR20200016341A (ko) 화장품용 포트
US10327531B2 (en) Cosmetics container
EP0819615A1 (en) Container cap including a primary cap and a secondary cap joined by a hinge
CN110300715B (zh) 单触式开封帽
KR101806051B1 (ko) 화장용기
KR200367470Y1 (ko) 매니큐어 용기
US20220160183A1 (en) Fluid dispenser
US5044529A (en) Liquid dispensing bottle cap with integral value and actuator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052996B1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CN207383822U (zh) 盖体及具有其的容器
JPS63503435A (ja) 化粧用コンパクトのラッチ
KR200436889Y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210008012A (ko) 압축성 액체 저장용기를 가진 액체 디스펜서
KR200250022Y1 (ko) 밀폐용 화장품 용기
WO2018169852A1 (en) Compact with hidden hinge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