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535A -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535A
KR20120011535A KR1020100073394A KR20100073394A KR20120011535A KR 20120011535 A KR20120011535 A KR 20120011535A KR 1020100073394 A KR1020100073394 A KR 1020100073394A KR 20100073394 A KR20100073394 A KR 20100073394A KR 20120011535 A KR20120011535 A KR 2012001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rotrusion
container
cap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987B1 (ko
Inventor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구 filed Critical 최정구
Priority to KR102010007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9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는 속마개(210), 상기 속마개(210)와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겉마개(220)로 구성되어, 상기 겉마개(220)의 개방 여부에 따라 튜브형 용기(100)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겉마개(220)가 수직선상으로 절개되어지되 일측이 속마개(210)의 일측과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편(230)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편(230)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대향 되는 겉마개(220)의 타측을 측면으로 밀어 상기 탄성편(230)을 중심으로 겉마개(220)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튜브형 용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쉽게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밀게 되면 튜브형 용기의 마개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어 내용물을 취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개폐 작동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SIDE OPEN TYPE VESSEL CORK}
본 발명은 겔상의 내용물 예컨데 치약이나, 화장품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의 마개를 기존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에 의한 개방방식에서 탈피하여, 용기의 마개를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이나 고체상으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통상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마개에 의해 나사 결합 된 마개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개들 즉, 속마개가 용기의 토출구와 나사결합되고, 그 속마개와 결합되는 겉마개를 구비하되, 상기 겉마개의 상단 일측과 연하여 연결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편을 회동점으로 하여 회동개폐되는 커버부를 갖는 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마개들은 통상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해 내기 위해서, 힌지 부분 즉 탄성편으로 되는 일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커버부분이 회동되도록 한 후, 내용물을 토출해 사용하고,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커버부분을 회동시켜 닫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재사용시기까지 용기를 밀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개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아래에서 위로 치켜 올리는 동작을 하여야 마개의 개방이 이루어지는데, 탄성편의 탄발력이 강한 경우 개방이 이루어지는 회동시점에 다시 닫히는 현상이 발생 되어, 사용상 불편한점이 있고 이러한 탄발력을 약화시키도록 제작하게 되면, 탄성편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마개의 개방 작동이 겉마개의 일측 힌지로 작용하는 탄성편을 기준으로 상하 개방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겉마개가 측면으로 회동 되며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서, 손가락의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나사결합되는 속마개, 상기 속마개와 결합 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겉마개로 구성되어, 상기 겉마개의 개방 여부에 따라 튜브형 용기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상기 겉마개가 수직선상으로 절개되어지되 일측이 속마개의 일측과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편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편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대향 되는 겉마개의 타측을 측면으로 밀어 상기 탄성편을 중심으로 겉마개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용기의 토출구와 결합되는 마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체결되는 속마개를 구성하되 상기 속마개의 외주면 일측에 힌지 회동되도록 탄성편이 수직상으로 연결되는 겉마개가 상기 탄성편을 축으로 하여, 측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튜브형 용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쉽게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밀게 되면 튜브형 용기의 마개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어 내용물을 취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튜브형 용기의 마개 개폐 작동을 손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용기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개에서 겉마개를 측방으로 회동 개폐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개와 용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마개의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간 결합시 마개의 개방이 억제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의한 마개와 용기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개를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마개를 측면으로 회동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며 체결되는 마개(200)를 구성하는 속마개(210)와 겉마개(220)에서, 상기 겉마개(220)를 측면으로 회동시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겉마개(220)가 수직선상으로 절개되어지되 일측이 속마개(210)의 일측과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편(230)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편(230)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대향 되는 겉마개(220)의 타측을 측면으로 밀어 상기 탄성편(230)을 중심으로 겉마개(220)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튜브형 용기(100)는 주로 겔상의 내용물 즉 생활재로 사용되는 치약이나, 화장품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겔상의 제품군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튜브형 용기(100)에 적용되는 마개(200)의 구조가 변화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는 통상의 것과 같이 외주면에 숫나사를 형성하여 마개(200)의 속마개(210)와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마개(200)는 속마개(210)와 겉마개(220)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속마개(210)는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며 그 중앙으로는 상기 토출구(110)와 위치가 일치되는 것으로 튜브형 용기(100)내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튜브형 용기(100) 몸체를 눌렀을 때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211)가 형성되는데, 그 유출구(211)는 속마개(210)의 중앙 상면에서 하방측으로 옴폭하게 함몰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유출구(211)의 위치와 대응되는 겉마개(220)의 중앙 하면으로도 상기 유출구(211)에 끼워져 삽입되는 돌부(221)를 형성하여 튜브형 용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돌부(221)가 유출구(2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부하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면 속마개(210)와 겉마개(220)를 구분하는 것으로,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며 체결되는 것을 속마개(210)로 칭하고, 상기 속마개(210)의 일측에서 탄성편(230)에 의해 회동 개폐되는 마개를 겉마개(220)로 구분하였다.
속마개(210)의 일측 외주면으로는 탄성편(230)이 수직상 형성되어져, 겉마개(220)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속마개(210)의 크기가 겉마개(2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직경의 크기가 아닌, 수직상 길이를 의미한다) 마치 겉마개(220)가 속마개(210)에 업혀지는 듯한 형상을 갖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권리범위에서는 이에 구속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속마개(210)의 일측 외주면에 함몰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212)와 대응되는 겉마개(220)의 외주면에도 함몰부(222)를 형성하여 겉마개(220)의 내주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속마개(210)의 함몰부(212) 외면에 내합 되며 겉마개(220)와 속마개(210)가 체결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겉마개(220)의 함몰부(222)는 겉마개(220)와 속마개(210)가 결합되었을 때 사용자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부분이며,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놓여지는 위치에 해당된다.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상기 겉마개(220)의 함몰부(22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누르며 회동시키게 되면, 겉마개(220)의 함몰부(222) 내주면이 속마개(210)의 함몰부(212)와 결합 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속마개(210)로부터 겉마개(220)가 측면으로 회동되며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함몰부(212,2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즉, 엄지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겉마개(220)를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함몰부(212,222)간 결합 작용도 고려된다.
즉, 겉마개(220)의 함몰부(222) 내주면을 외주면에서와 반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데 그 볼록하게 형성되는 면은, 속마개(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태의 함몰부(212)에 겹쳐지며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에 의해 마치 언더컷과 같은 역할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겉마개(220)의 함몰부(222)와 속마개(212)의 함몰부(212)간 결합시 "딸각"하는 음향과 함께 겉마개(220)와 속마개(210)의 결합이 완료되고 사용자에 의해 겉마개(220)를 측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함몰부(212,222)들의 저항을 이긴 후 겉마개(220)의 측면 회동에 의한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겉마개(220)가 속마개(210)의 일측 외주면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편(230)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편(230)은 속마개(210)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고, 그 탄성편(230)의 타측은 겉마개(220)의 일측과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편(230)에 의해 속마개(210)와 겉마개(220)가 각각 외주면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겉마개(220)의 함몰부(222)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위치 시킨 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탄성편(230)에 겉마개(220)의 일측이 지지되며 회동 개방 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편(230)의 내측으로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겉마개(22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탄성편(230)의 단부측이 연결되는 것과 함께, 겉마개(220)의 일측 외주면 상측으로 일체를 이루며 돌출되는 탄성결합돌출부(223)를 구성하고, 상기 탄성결합돌출부(223)와 대응되는 속마개(210)의 상측 외주연부에 결합홈(215)을 구성하여, 겉마개(220)의 측면 개방 후 상기 탄성결합돌출부(223)가 상기 결합홈(215)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결합돌출부(223)가 결합홈(215)의 끝단측에 걸려지면서 탄성결합돌출부(223)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겉마개(220)가 속마개(210)측으로 자연 회동 되는 반발력을 제어하게 되어, 항상 겉마개(220)는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데, 이러한 탄성결합돌출부(223)와 결합홈(215)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겉마개(220)가 속마개(210)로부터 측면 회동 개방된 후, 자연스럽게 속마개(210)측으로 원위치 하려는 복원력이 작용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속마개(210)의 유출구(211)를 막게 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뒤따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결합돌출부(223)와 결합홈(215)을 구비하게 되면 겉마개(220)의 탄성결합돌출부(223) 단부가 항상 결합홈(215) 일측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겉마개(220)가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억제할 수 있어 겉마개(220) 개방 후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겉마개(220)를 닫을 때에 탄성결합돌출부(223) 단부가 결합홈(215)에 걸려지는 힘을 극복한 후 겉마개(22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겉마개(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속마개(210)와 탄성편(230)에 의해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겉마개(220)는 수직선상으로 절개되어지되 일측이 속마개(210)의 일측과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한 탄성편(230)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편(230)이 이루어지는 겉마개(220)의 일측타측으로, 상기 속마개(210)의 상면 일측과 연결되어 마개(2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위조방지테그(240)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위조방지테그(240)는 튜브형 용기(100)내에 내용물이 충진된 후 일반 소비자들에게 유통될 때 까지 겉마개(220)와 속마개(210)의 상면 일측을 상호 연결해 주는 것으로서, 유통과정에서 상품의 변질 및 개방 여부를 소비자가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위조방지테그(240)는 도 3 또는 도 7 내지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겉마개(220)의 일측단과 이에 대응되는 속마개(210)의 일측단이 상호 접하는 부분에 리브(241)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로 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200) 즉 도면에서 보듯이 속마개(210)의 상면에서 일측으로 원호를 따라 돌출되는 원호돌출부(213)를 원주면을 따라 형성하고, 그 원호돌출부(213) 내면으로 겉마개(220)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위조방지테그(240)는 상기한 원호돌출부(213)와 겉마개(220)의 일측단이 상기 리브(241)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 위조방지테그(240)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겉마개(220)의 일측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내에 위조방지테그(240)가 내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요홈과 위조방지테그(240)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리브(241)를 이용하여 상호 가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리브(241) 사이로 속마개(210)의 상면 돌출절취돌기(214)가 삽입되어 겉마개(220)의 측면 회동개폐시 상기 돌출절취돌기(214)가 상기 리브(241)를 절취 분리하며 측면 회동 개폐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결합되는 마개(200) 즉 속마개(210)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구(216) 외주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돌출되는 외형돌부(217)를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형돌부(217) 하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218)을 더 구성한다.
상기 돌출편(218)은 상기한 외형돌부(217)의 두께와는 다르게 형성하게 되는데, 예컨데 외형돌부(217)는 반달 모양을 갖는 반면에 돌출편(218)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탄성력이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한 돌출편(218)과 접하는 것으로, 용기(100)의 상단 내주연부 즉 토출구(110)의 하단측 주연부측으로 원호상으로 연속선상 돌출되며 토출구(110) 하단을 따라 구비되는 스토퍼부(120)를 구성하여, 상기 돌출편(218)이 스토퍼부(120) 사이에 내합되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돌출되는 외형돌부(217) 하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편(218)에 의해, 속마개(210)와 용기(100)의 토출구(110)가 나사 결합된 이후에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속마개(210)와 용기(100)의 토출구(110)간 분리가 어렵도록 하였다.
즉, 마개(200)를 용기(100)의 토출구(110) 외주면으로 나사결합할 때에는 간섭 없이 체결되어진 후, 마개(200)를 개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돌릴 때에는 스토퍼부(120)의 연속선상 돌출되는 원호 사이에 내합 되는 상기 시계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218)에 의해 스토퍼부(120)와 간섭 작용을 일으켜, 마개(200)의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스토퍼부(120)는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예와는 달리 돌출편(218)의 시계방향과 반대되는 반시계방향으로 돌출되며 토출구(110)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며 돌출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마개(200)가 적용되는 튜브형 용기(1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기한 위조방지테그(240)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위조방지테그(240)가 리브(241)에 의해 온전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제품 생산 후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겉마개(220)의 함몰부(222)에 엄지손가락을 위치 시킨 후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리브(241)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속마개(210)의 돌출절취돌기(214)가 리브(241)의 내면과 접하며 스트레스를 받게 되나, 리브(241)의 스트레스보다 강한 힘에 의해 겉마개(220)를 회동시키는 동력으로 작용되므로, 리브(241)는 돌출절취돌기(214)에 의해 절취되어진다.
이와 같이 절취된 리브(241)에 의해 위조방지테그(240)는 마개(20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위조방지테그(240)의 절취에 의해 겉마개(220)는 일측의 탄성편(23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지속적인 힘을 가하며 겉마개(220)를 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겉마개(220)의 함몰부(222)가 속마개(210)의 함몰부(212)로부터 이탈되는데, 그 이탈되는 순간 겉마개(220)는 속마개(210)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편(230)을 축으로 하여 개방되는 상태에 놓인다.
이와 같이 속마개(210)와 겉마개(220)의 회동에 의한 개방이 완료되면 속마개(210)의 상면 중앙으로 옴폭하게 파인 유출구(211)를 통해 튜브형 용기(100)를 짜내어 배출되는 겔상의 내용물이 토출구(110)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토출되는 내용물을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사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겉마개(22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겉마개(220)와 속마개(210)를 결합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겉마개(220)가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겉마개(220) 상면 하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부(221)가 속마개(210)의 유출구(211)측으로 내합되어져, 튜브형 용기(100)를 세워 놓더라도 튜브형 용기(100) 내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기술수준을 갖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설계 변경한 수준의 범위에도 본 발명의 권리가 미치게 됨은 물론이다.
100; 튜브형 용기 110; 토출구
120; 스토퍼부 200; 마개
210; 속마개 211; 유출구
212; 함몰부 213; 원호돌출부
214; 돌출절취돌기 215; 결합홈
216; 결합구 217; 외형돌부
218; 돌출편 220; 겉마개
221; 돌부 222; 함몰부
223; 탄성결합돌출부 230; 탄성편
240; 위조방지테그 241; 리브

Claims (4)

  1. 튜브형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나사결합되는 속마개(210), 상기 속마개(210)와 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겉마개(220)로 구성되어, 상기 겉마개(220)의 개방 여부에 따라 튜브형 용기(100)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겉마개(220)가 수직선상으로 절개되어지되 일측이 속마개(210)의 일측과 수직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편(230)과 연결되고, 상기 탄성편(230)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대향 되는 겉마개(220)의 타측을 측면으로 밀어 상기 탄성편(230)을 중심으로 겉마개(220)가 측면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겉마개(220)의 일측 외주면 상측으로 일체를 이루며 돌출되는 탄성결합돌출부(223)를 구성하고, 상기 탄성결합돌출부(223)와 대응되는 속마개(210)의 상측 외주연부에 결합홈(215)을 구성하고,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210)의 상면에서 일측으로 원호를 따라 돌출되는 원호돌출부(213)를 원주면을 따라 형성하고, 그 원호돌출부(213) 내면으로 겉마개(220)의 일부분이 접하도록 구성하고, 마개(2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겉마개(220)의 일측과 리브(24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리브(241) 사이로 속마개(210)의 상면 돌출절취돌기(214)가 삽입되어 겉마개(220)의 측면 회동개방시 상기 돌출절취돌기(214)가 상기 리브(241)에 의해 절취되는 위조방지테그(24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의 토출구(110)와 결합되는 속마개(210) 내측으로 구비되는 결합구(216) 외주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돌출되는 외형돌부(217)를 시계방향으로 만곡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외형돌부(217) 하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편(218)을 더 구성하고, 상기 용기(100)의 토출구(110) 하단측 주연부측으로 돌출되며 구비되는 스토퍼부(120)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210)의 일측 외주면에 함몰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212)와 대응되는 겉마개(220)의 외주면에도 함몰부(222)를 형성하여 겉마개(220)의 내주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속마개(210)의 함몰부(212)에 내합되며 겉마개(220)와 속마개(210)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1020100073394A 2010-07-29 2010-07-29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10115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4A KR101159987B1 (ko) 2010-07-29 2010-07-29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4A KR101159987B1 (ko) 2010-07-29 2010-07-29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35A true KR20120011535A (ko) 2012-02-08
KR101159987B1 KR101159987B1 (ko) 2012-06-25

Family

ID=4583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94A KR101159987B1 (ko) 2010-07-29 2010-07-29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1180B1 (en) 2017-12-21 2023-01-03 Patrick Vitello Closure assembly having a snap-fit construction
KR102045527B1 (ko) * 2018-05-03 2019-11-15 (주)이니스프리 외부 용기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11793987B1 (en) 2018-07-02 2023-10-24 Patrick Vitello Flex tec closure assembly for a medical dispenser
US11779520B1 (en) 2018-07-02 2023-10-10 Patrick Vitello Closure for a medical dispenser including a one-piece tip cap
US11690994B1 (en) 2018-07-13 2023-07-04 Robert Banik Modular medical connector
US11471610B1 (en) 2018-10-18 2022-10-18 Robert Banik Asymmetrical closure for a medical device
US11911339B1 (en) * 2019-08-15 2024-02-27 Peter Lehel Universal additive port cap
US11697527B1 (en) 2019-09-11 2023-07-11 Logan Hendr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11523970B1 (en) 2020-08-28 2022-12-13 Jonathan Vitello Tamper evident shiel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2Y2 (ja) * 1980-06-06 1985-01-08 近畿イシコ株式会社 矢板等の引抜装置
JP2678252B2 (ja) 1992-08-28 1997-11-17 エスビー食品株式会社 キャップ開閉装置
AU2002224039A1 (en) 2001-03-30 2002-10-21 World Technical Service Co., Ltd. Delivery switching type cap device
JP4391813B2 (ja) 2003-12-22 2009-12-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987B1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987B1 (ko) 측면 개방이 가능한 용기 마개
US201700423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multi-staged refillable container
US6988630B2 (en) Storage container
JP2008260544A (ja) 蓋付き容器
US11383897B2 (en) Closure
JP4850012B2 (ja) 開閉自在の小蓋を有するヒンジキャップ
KR10156577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4965647B2 (ja) 密封された容器口と付属する初回開栓用カバーキャップを具える蓋体
JP2009184709A (ja) ヒンジキャップ付容器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EP1281628A2 (en) Automatically opening cover for containers
KR20090002238U (ko) 크림 내장 화장품 케이스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KR100884823B1 (ko) 위조방지용 마개
KR20170048290A (ko) 끼움 결합에 의하여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JP2014024561A (ja) 包装容器
KR200416594Y1 (ko) 화장품용기
KR200207835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JP3270624B2 (ja) 振り出し容器
EP2045192A1 (en) Flip-top dispensing closure
KR20140085847A (ko) 눌러서 여는 뚜껑의 돌려서 짜내는 잔량 확인가능 연고 용기
KR200312504Y1 (ko) 스냅 힌지를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 뚜껑
JP2017088192A (ja) ヒンジ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