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551B1 -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551B1
KR102540551B1 KR1020180120964A KR20180120964A KR102540551B1 KR 102540551 B1 KR102540551 B1 KR 102540551B1 KR 1020180120964 A KR1020180120964 A KR 1020180120964A KR 20180120964 A KR20180120964 A KR 20180120964A KR 102540551 B1 KR102540551 B1 KR 10254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protector
locking
flexible cov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039A (ko
Inventor
이주석
김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5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54Cables with incorporated electric resi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4Sheaths comprising grooves, ribs or other proj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를 밀착하여 감싼 구조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추가 부품을 적용하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도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WIRE HARNESS PROT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에 사용 가능한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력 공급 및 신호 전달을 위해 많은 전기 배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선을 통칭하여 와이어 하네스라고 한다. 와이어 하네스는 차체 또는 부품 등에 고정하지 않으면 서로 엉키거나 주행 중 흔들림에 의해 접속부가 분리될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전 및 유지 보수를 위하여 차체나 다른 부품 등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프로텍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의 보호 및 경로 유지 기능을 수행하며, 크게 바디와 커버로 이루어진 프로텍터(이하, '기본형 프로텍터'라고 함)와 바디만으로 이루어진 프로텍터(이하, '간소형 프로텍터'라고 함)로 구분된다.
차량의 협소한 공간에는 상기 기본형 프로텍터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소형 프로텍터가 사용되는데, 상기 간소형 프로텍터의 경우 와이어 하네스의 사이즈별로 적용이 제한되고 레이아웃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완전히 보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품을 이원화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외장재와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차량이 점차 고급화 및 전자화되어 가면서 와이어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보다 협소한 공간까지 와이어 경로 구성을 위한 프로텍터가 사용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레이아웃별로 소형의 간소형 프로텍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간소형 프로텍터의 경우 와이어 하네스의 사이즈별로 적용이 제한되고 레이아웃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완전한 보호가 불가능하여 부품을 이원화하여 구성하거나 별도의 외장재와 혼용하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만약,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를 차체에 고정시킬 때 하나의 간소형 프로텍터(1)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 하네스(W)의 유동에 따른 소음 및 품질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간소형 프로텍터(11)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외장재를 혼용하지 않는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한 와이어 하네스(W)의 노출부위가 차체의 상관 부품 등과의 간섭으로 인해 손상될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어 하네스의 사이즈별로 간소형 프로텍터를 제작하고, 간소형 프로텍터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부품을 이원화하여 구성하거나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 방지를 위해 별도의 외장재(콜게이트, 편물패드 등)와 혼용하여 사용하게 되면, 그에 따른 원가 및 중량 상승의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공개특허 제2017-00963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를 밀착하여 감싼 구조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추가 부품을 적용하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도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프로텍터 바디; 상기 프로텍터 바디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텍터 바디와 함께 와이어 하네스를 원통형으로 감싸게 되는 플렉서블 커버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상태의 플렉서블 커버부의 일단부를 프로텍터 바디에 고정해주는 락킹부; 및 상기 프로텍터 바디에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상기 락킹부는, 플렉서블 커버부와 프로텍터 바디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락킹 피메일부와;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와 프로텍터 바디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피메일부와 체결되는 락킹 메일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 피메일부는 후크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락킹 메일부는 락킹 피메일부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돌기형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는, 그 하측면에 복수의 힌지부가 배열됨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을 따라 더욱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와 밀착하게 되는 플렉서블 커버부의 상측면에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는 프로텍터 바디에 안착된 와이어 하네스의 표면을 밀착하여 감쌀 수 있는 플렉서블 커버부를 구비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점이 있다.
1.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에 공용으로 사용가능하고, 와이어 하네스와 플렉서블 커버부 사이의 잔여공간을 최소화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 성능을 극대화하고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 가능하고 패키지 구성시 유리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체에 돌출되어 있는 브라켓 등과 같은 상관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협소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2. 상기 상관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한 와이어 하네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외장재 등의 추가 부품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으며, 상기 추가 부품의 삭제에 따른 비용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3. 와이어 하네스를 원통형 구조로 감싸서 보호하게 되므로 와이어 하네스를 원통형으로 감싼 부위의 강성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플렉서블 커버부로 둘러싸여 있는 와이어 하네스 부위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프로텍터 바디와 플렉서블 커버부 사이에 구성되는 락킹부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에 대한 조립 작업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프로텍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 바디에 와이어 하네스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커버부로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와이어 하네스에 조립된 와이어 프로텍터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종래 와이어 프로텍터의 문제점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프로텍터(100)는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를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로텍터 바디(110)와 플렉서블 커버부(112) 및 락킹부(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 바디(110)는 프로텍터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고 와이어 하네스의 배치 경로를 유지하는 메인 구조부로서, 와이어 하네스(W)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단면구조를 가지고 와이어 하네스(W)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도 2 참조).
좀더 말하면, 상기 프로텍터 바디(110)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 중 일부 구간을 감쌀 수 있는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텍터 바디(110)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 중 대략 1/4 구간 또는 1/4보다 좀더 넓은 구간을 감싸서 보호할 수 있는 쿼터 타입(quarter type)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텍터 바디(110)는 ㄴ 모양에 근접한 곡면형 단면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 바디(110)는 차체 또는 차량 부품에의 고정을 위해 브라켓 타입의 차체 고정부(114)를 가진다. 상기 차체 고정부(114)는 프로텍터 바디(110)의 외측면(와이어 하네스를 프로텍터 바디에 안착시킬 때 와이어 하네스와 접촉하는 프로텍터 바디의 내측면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볼팅 등의 방식으로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체 고정부(114)는 복수로 구성되어 프로텍터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텍터 바디(110)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텍터 바디(110)는 상기 차체 고정부(114)에 의해 2점 마운팅 구조로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상기 프로텍터 바디(110)의 하측부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로텍터 바디(110)와 함께 와이어 하네스를 전체적으로 감싸서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것으로서, 프로텍터 바디(1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 중 프로텍터 바디(110)에 의해 감싸지지 못한 나머지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프로텍터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에 유연하게 밀착하여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의 표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와이어 하네스(W)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면(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와 접촉하는 상측면의 반대편)에 복수의 힌지부(112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일정 두께를 갖는 시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의 외주면 중 대략 3/4 구간 이상을 감쌀 수 있는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한쪽 표면(하측면)에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너비방향(즉,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휘어지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힌지부(112a)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유연성 및 휨 특성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12a)는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다른 부위 대비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부위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각 힌지부(112a)를 중심으로 휘어지면서 와이어 하네스(W)를 감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그 하측면에 복수의 힌지부(112a)가 형성됨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할 수 있는 두께를 형성하는 동시에,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과 밀착하게 되는 한쪽 표면(상측면)에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 엠보싱(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 엠보싱(112b)은 프로텍터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너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커버부(112)는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둘러싼 상태에서, 락킹부(116)에 의해,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가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된다(도 3 참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116)는 플렉서블 커버부(112)와 프로텍터 바디(110)에 각각 형성되는 락킹 피메일부(116b)와 락킹 메일부(116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피메일부(116b)는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하측면에 너비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락킹 메일부(116a)를 수용하여 감싸기 위한 후크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락킹 피메일부(116b)는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하측면에 힌지부(112a)와 동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힌지부(112a)들 사이에 락킹 피메일부(11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메일부(116a)는 락킹 피메일부(116b)의 내측에 삽입 및 걸림되어 고정되는 돌기형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텍터 바디(1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로텍터 바디(110)의 상측부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116)는, 플렉서블 커버부(112)가 와이어 하네스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를 프로텍터 바디(110)의 상측부에 밀착시키면,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락킹 피메일부(116b)가 프로텍터 바디(110)의 락킹 메일부(116a)들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락킹 메일부(116a)에 걸리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락킹 피메일부(116b)와 락킹 메일부(116a)의 의도치 않은 결합해제 및 그에 따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락킹 피메일부(116b)와 락킹 메일부(116a)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락킹 메일부(116a)의 한쪽 외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락킹 피메일부(116b)의 한쪽 내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락킹 메일부(116a)와 락킹 피메일부(116b) 간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 메일부(116a)가 삽입되는 락킹 피메일부(116b)의 입구는 락킹 메일부(116a)의 최대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락킹 피메일부(116b)와 락킹 메일부(116a)의 매칭 부위에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텐션에 의한 락킹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락킹 피메일부(116b)가 락킹 메일부(116a)에서 이탈되어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가 프로텍터 바디(110)로부터 분리될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플렉서블 커버부(112)에 락킹 피메일부(116b)가 형성되고 프로텍터 바디(110)에 락킹 메일부(116a)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커버부(112)에 락킹 메일부가 형성되고 프로텍터 바디(110)에 락킹 피메일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락킹부(116)는 플렉서블 커버부(112)와 프로텍터 바디(11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락킹 피메일부(116b)와 나머지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피메일부(116b)와 체결되는 락킹 메일부(116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와이어 프로텍터(100)는, 플렉서블 커버부(112)가 와이어 하네스(W)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둘러싼 상태에서 락킹부(116)에 의해 프로텍터 바디(110)에 고정되므로, 다양한 사이즈의 와이어 하네스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플렉서블 커버부(112)와 와이어 하네스(W) 간에 잔여공간을 최소화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고정 성능을 극대화하고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상기 와이어 프로텍터(100)를 와이어 하네스(W)에 조립하는 과정을 좀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상에 와이어 하네스(W)를 안착시킨 후,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를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을 향해 회전시켜 상기 프로텍터 바디(110)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W)의 외주면 구간을 감싼다.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에 안착된 와이어 하네스(W)를 플렉서블 커버부(112)에 의해 완전히 감싼 뒤,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를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면 플렉서블 커버부(112)의 일단부에 형성된 락킹 피메일부(116b)가 프로텍터 바디(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락킹 메일부(116a)에 자동으로 걸려 결합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에 조립된 와이어 프로텍터(100)는 도 4에 보듯이 차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체에 돌출되어 있는 상관 부품과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부위를 플렉서블 커버부(112)가 감싸서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와이어 프로텍터
110 : 프로텍터 바디
112 : 플렉서블 커버부
112a : 힌지부
112b : 유동방지 엠보싱
114 : 차체 고정부
116 : 락킹부
116a : 락킹 메일부
116b : 락킹 피메일부
W : 와이어 하네스

Claims (6)

  1.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프로텍터 바디;
    상기 프로텍터 바디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로텍터 바디와 함께 와이어 하네스를 원통형으로 감싸게 되는 플렉서블 커버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상태의 플렉서블 커버부의 일단부를 프로텍터 바디에 고정해주는 락킹부; 및
    상기 프로텍터 바디에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는,
    플렉서블 커버부와 프로텍터 바디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락킹 피메일부;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와 프로텍터 바디 중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피메일부와 체결되는 락킹 메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킹 피메일부는 후크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락킹 메일부는 락킹 피메일부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돌기형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는 그 하측면에 복수의 힌지부가 배열됨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의 외주면을 따라 더욱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커버부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쌀 때 와이어 하네스와 밀착하게 되는 상측면에 와이어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 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 메일부는 한쪽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락킹 피메일부의 한쪽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락킹 메일부가 삽입되는 락킹 피메일부의 입구는 락킹 메일부의 최대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KR1020180120964A 2018-10-11 2018-10-11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KR10254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64A KR102540551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64A KR102540551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39A KR20200041039A (ko) 2020-04-21
KR102540551B1 true KR102540551B1 (ko) 2023-06-05

Family

ID=7045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64A KR102540551B1 (ko) 2018-10-11 2018-10-11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550A (ja) 1998-12-16 2000-06-30 Yazaki Corp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2006180664A (ja) * 2004-12-24 2006-07-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9232580A (ja) * 2008-03-24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リップ
JP2012253961A (ja) 2011-06-06 201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護具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663B1 (ko) 2016-02-16 202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와이어 하니스 프로텍터
KR101872835B1 (ko) * 2016-12-09 2018-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550A (ja) 1998-12-16 2000-06-30 Yazaki Corp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2006180664A (ja) * 2004-12-24 2006-07-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JP2009232580A (ja) * 2008-03-24 2009-10-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リップ
JP2012253961A (ja) 2011-06-06 201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護具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039A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7512A (en) Branch wire protector
US20120132465A1 (en)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WO2017018178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6056587A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ssembly
US20130333944A1 (en)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US10530138B2 (en) Protective member, tub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a tube
CN111509643B (zh) 保护管连接结构
AU70183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ssembly with tapered projection
US6388191B1 (en) Device for fixing a top shell to a bottom shell in a protector housing
KR101597012B1 (ko) 경로 유지 부재 구비 코르게이트 튜브 및 와이어 하네스
KR102540551B1 (ko) 차량용 와이어 프로텍터
JP2010220362A (ja) チューブ形態維持部材、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支持構造及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支持構造の製造方法
JP6157262B2 (ja) グロメットカバー
US10906481B2 (en) Protector
US11529912B2 (en) Wire harness
JP5629800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20198672A (ja) プロテクタ
KR101044012B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2644881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US20220214002A1 (en) Corrugated-tube protective member
JP7019272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317620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6892792B2 (ja) ケーブル用プロテクタ
JP725226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および配索構造ならびに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6918549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