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701B1 - 후륜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후륜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701B1
KR102530701B1 KR1020170026594A KR20170026594A KR102530701B1 KR 102530701 B1 KR102530701 B1 KR 102530701B1 KR 1020170026594 A KR1020170026594 A KR 1020170026594A KR 20170026594 A KR20170026594 A KR 20170026594A KR 102530701 B1 KR102530701 B1 KR 10253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ar wheel
driving
limi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305A (ko
Inventor
우명남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7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후륜 조향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후륜 조향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륜을 이동시키는 후륜이동부와, 후륜이동부에 결합되어 후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이동에 따라 구동부에 맞물려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륜 조향장치{REAR WHEEL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륜의 오작동과 같은 비상 시, 후륜 조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륜 조향장치(Rear Wheel Steering device, RWS device)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차량의 후륜을 조향하여, 차량의 응답성과 주행안정성을 높이며, 선회반경 등을 줄일 수 있는 조향장치에 해당한다.
종래의 차량용 후륜 조향장치는 비탈길 등에서의 저속 운전 시, 또는 급회전 구간 주행과 같은 상황에서, ECU 또는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사고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1637호(2016. 06. 01 공개, 발명의 명칭: 전자제어 능동 후륜 조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ECU, 센서 및 제어로직 등의 오작동 시 후륜 조향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후륜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륜을 이동시키는 후륜이동부; 상기 후륜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후륜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바디부; 상기 하우징바디부와 상기 차체를 연결하는 차체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륜이동부에 접하여, 상기 후륜이동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 상기 회전력발생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구동제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제한부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되는 주동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후륜이동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후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종동부; 및 상기 주동부와 상기 종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동부는,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주동회전부; 및 상기 주동회전부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제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제한부가 끼워지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동회전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주동부에 맞물려, 상기 주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제한바디부;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구동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한바디가압부; 및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주동부에서 이격시키는 제한바디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한바디이격부는 상기 구동제한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자석을 포함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주동부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는, ECU, 센서 및 제어로직 등의 오작동 시 구동부의 작동을 신속하게 중지하여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연결이탈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구동제한바디부가 구동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후륜 조향장치(1)는 하우징부(100), 후륜이동부(200), 구동부(300) 및 구동제한부(400)를 포함하여 후륜을 조향하는 동시에, 제어부, 센서부 등의 오작동 시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한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륜 조향장치(1)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후륜, 타이로드 또는 너클 등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후륜을 독립적으로 조향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100)는 차체(미도시)에 결합되어 후륜 조향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후륜이동부(200), 구동부(300) 및 구동제한부(400) 등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0)는 하우징바디부(110), 차체결합부(130) 및 이동안내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부(110)에는 후륜이동부(200)가,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부(1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체결합부(130)는 하우징바디부(110)와 차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체결합부(130)는 하우징바디부(110)의 일단부(도 2 기준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부시 등이 구비되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안내부(150)는 하우징바디부(110)에 구비되며, 후륜이동부(200)에 접하여, 후륜이동부(200)의 이동 방향이,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이 되도록 후륜이동부(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안내부(150)는 후륜이동부(200)의 외주면에,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에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안내부(150)는 후륜이동부(200)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안내부(150)는 후륜이동부(200)가 후륜이동부(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되,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구동부(300)에 나사 결합되는 후륜이동부(200)가 구동부(300)의 작동 시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도 2 기준 좌우 "???)으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후륜이동부(200)는 하우징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에 따라 후륜을 회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후륜을 조향한다. 본 실시예에서 후륜이동부(200)는 후륜이동바디부(210) 및 후륜측결합부(230)를 포함한다.
후륜이동바디부(210)는 대략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부(300)에 나사 결합되며, 이동안내부(150)에 의하여 후륜이동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00)에 결합된다.
후륜측결합부(230)는 후륜이동바디부(210)의 단부(도 2 기준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타이로드 또는 너클 등에 결합됨으로써, 후륜이동바디부(210)가 이동하면 타이로드 또는 너클 등을 매개로 후륜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후륜을 조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연결이탈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후륜이동부(200)에 결합되어, 후륜이동부(2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00)는 회전력발생부(310), 주동부(330), 종동부(350) 및 연결부(370)를 포함하며, 주동부(330), 종동부(350) 및 연결부(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제한부(400)의 이동에 따라 구동제한부(400)에 맞물려 이동이 제한된다.
회전력발생부(310)는 전기모터 등을 포함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력발생부(310)는 하우징부(100)에 장착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부(311)와, 스테이터부(311)의 일측에 구비되며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스테이터부(31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터부(313)와, 로터부(313)에 결합되어 로터부(313)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회전축(314)을 포함한다.
주동부(330)는 회전력발생부(310)의 회전축인 구동회전축(314)에 결합되어, 구동회전축(314)과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부(330)는 구동제한부(400)의 이동에 따라 구동제한부(400)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부(330)는 주동회전부(331) 및 회전제한부(333)를 포함한다.
주동회전부(331)는 회전력발생부(310)의 회전축인 구동회전축(314)에 결합되어, 구동회전축(314)에 의하여 회전된다. 주동회전부(331)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연결부(370)의 내주면에 맞물림으로써, 주동회전부(331)의 회전력이 연결부(370)를 통하여 종동부(350)에 전달될 때, 주동회전부(331)와 연결부(370)의 내주면 사이의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제한부(333)는 주동회전부(331)의 일단부, 예를 들어 구동제한부(400) 측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동제한부(400)가 주동부(330) 측으로 이동하는 정도에 따라 구동제한부(400)가 내측으로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33)는 단면이 대략 다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타원형 등의 형상과 같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단부의 단면 형상이 회전제한부(3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제한부(400)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제한부(333)는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중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회전제한부(333)의 기하학적 중심이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33)는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일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구동제한부(400)에 맞물릴 때, 구동제한부(400)에 의하여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33)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제한부(333)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제한부(333)는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이격되며, 회전제한부(3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제한부(400)가 내측으로 끼워지면 구동제한부(400)에 맞물려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333)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제한부(333)는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3개가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전제한부(333) 3개가 등 간격으로 배열되는 경우, 구동제한부(400)가 구동부(300) 측으로 이동되면, 주동회전부(331)가 12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기 전에 구동제한부(400)가 회전제한부(333)에 맞물리면서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므로 구동제한부(400)의 작동 후 구동부(300)가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제한부(333)가 주동부(330)에 구비되는 경우, 연결부(370) 및 종동부(350)를 거쳐 회전 토크가 증폭되기 전 단계인 주동부(330) 단계에서 구동부(3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므로 회전제한부(333) 또는 구동제한부(400)의 파손 위험이 적고,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크기 등을 줄일 수 있으며, 구동부(300)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회전제한부(333)의 개수, 형상 등은 회전력발생부(310)의 출력, 주동회전부(331)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주동부(330)는 연결이탈방지부(335)를 더 포함한다. 연결이탈방지부(335)는 주동회전부(331)의 일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동회전부(33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주동회전부(331)의 외주면에 감기는 연결부(370)가 주동회전부(3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동부(350)는 하우징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륜이동부(20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후륜이동부(2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부(350)는 종동풀리(351) 및 종동너트(353)를 포함한다.
종동풀리(351)는 후륜이동부(200)와 이격되어 후륜이동부(200)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370)를 통하여 주동부(33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풀리(351)의 직경은 주동부(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주동부(330)에서 전달받은 토크를 증폭한다.
종동너트(353)는 종동풀리(351)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내측으로 후륜이동부(200)가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종동풀리(351)에 의하여 종동너트(353)가 회전되는 방향, 정도에 따라 종동너트(353)와 나사 결합된 후륜이동부(200)가 후륜이동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연결부(370)는 주동부(330)와 종동부(350)를 연결하여 주동부(330)의 회전 시 종동부(350)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70)는 벨트, 체인 등으로 예시되어 주동부(330)의 회전 동력을 종동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70)는 벨트, 체인 이외에도 주동부(330)와 종동부(350)에 맞물리는 기어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서 구동제한바디부가 구동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구동제한부(400)는 이동에 따라 구동부(300)에 맞물려, 구동부(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제한부(400)는 구동제한바디부(410), 제한바디이격부(430) 및 제한바디가압부(450)를 포함한다.
구동제한바디부(41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주동부(330), 구체적으로 회전제한부(333)에 맞물려 주동부(330)의 회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제한바디부(410)는 하우징부(100) 또는 제한바디이격부(430) 등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되되, 구동제한바디부(4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한바디이격부(430)는 구동제한바디부(410)가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도록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바디이격부(430)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한바디이격부(430)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켜, 구동제한바디부(410)가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도록 구동제한바디부(410)에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제어부, 센서부 등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한바디이격부(43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제한바디부(410)가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300)의 회전 제한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 센서부 등의 오작동 시에는 제한바디이격부(430)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 역시 차단되어, 제한바디이격부(430)가 구동제한바디부(410)에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것이 해제되고, 제한바디가압부(450)에 의하여 구동제한바디부(410)가 구동부(300) 측으로 이동된다(도 6 참조).
제한바디가압부(450)는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바디가압부(450)는 하우징부(100)와 구동제한바디부(410) 사이에 위치하며,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예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 센서부 등의 오작동과 같은 상황에서, 제한바디이격부(43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제한바디이격부(43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줄어든다.
제한바디이격부(43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줄어들면, 제한바디가압부(45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 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우세하게 되어 구동제한바디부(410)가 구동부(300), 구제적으로 주동부(330)의 회전제한부(333)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구동제한바디부(410)가 회전제한부(333) 측으로 이동하여, 구동제한바디부(410)가 회전제한부(333)에 맞물리면,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이 제한되어 후륜 조향이 중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속도, 진행 방향 등을 고려하여, 전륜 조향장치와 함께 후륜 조향장치(1)가 작동하여 차량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차 시, 후륜 조향장치(1)가 전륜 조향장치와 함께 작동하는 경우, 조타각을 30% 이상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후륜 조향장치(1)는 회전력발생부(310)에서 발생되는 힘을 주동부(330), 연결부(370), 종동부(350) 및 후륜이동부(200)을 매개로 후륜에 전달하여 후륜을 조향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력발생부(3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테이터부(311)와 로터부(313)의 작동에 의해 구동회전축(314)이 회전된다. 구동회전축(314)이 회전되면 구동회전축(314)에 연결된 주동회전부(331)가 회전되며, 주동회전부(331)의 회전력은 연결부(370)를 거쳐 종동부(350)에 전달된다.
종동부(350), 구체적으로 종동풀리(351)에 전달된 회전력은 종동풀리(351)에 결합된 종동너트(353)에 전달되며, 종동너트(353)에 나사 결합된 후륜이동부(200)를 이동시키게 된다.
후륜이동부(200)는 후륜의 하우징, 후륜의 너클 등에 연결되므로, 후륜의 하우징, 후륜의 너클 등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후륜을 조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작동의 경우에는 제한바디이격부(43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에서 이격시키게 되므로, 구동제한부(400)가 구동부(300)의 작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비탈길, 급회전 및 낭떠러지 구간과 같은 험로 주행 상황뿐만 아니라, 일반 주행 상황을 포함한 상시 주행 상황에서도 EUC, 센서 및 제어로직 등에 오작동이 발생되면, 구동제한부(400)에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다.
구동제한부(40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제한바디이격부(43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해제되고, 제한바디가압부(45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 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우세하게 된다.
제한바디가압부(450)가 구동제한바디부(410)를 구동부(300) 측으로 이동시키면, 구동제한바디부(410)의 단부가 회전제한부(333)에 맞물려,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을 중지하게 된다.
주동회전부(331)의 회전이 중지되면, 주동회전부(331)에 맞물린 연결부(370)와, 연결부(370)와 맞물린 종동부(350)의 회전이 중지된다. 즉, 구동부(300)의 작동이 차단되므로, 구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후륜이동부(200)의 이동이 중지되어 후륜 조향 오작동이 방지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후륜 조향장치(1)는, 제어부, 센서부 등의 오작동 시 구동부(300)의 작동을 신속하게 중지하여 차량의 조향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후륜 조향장치 100: 하우징부
110: 하우징바디부 130: 차체결합부
150: 이동안내부 200: 후륜이동부
210: 후륜이동바디부 230: 후륜측결합부
300: 구동부 310: 회전력발생부
311: 스테이터부 313: 로터부
314: 구동회전축 330: 주동부
331: 주동회전부 333: 회전제한부
335: 연결이탈방지부 350: 종동부
351: 종동풀리 353: 종동너트
370: 연결부 400: 구동제한부
410: 구동제한바디부 430: 제한바디이격부
450: 제한바디가압부

Claims (7)

  1. 차체에 결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륜을 이동시키는 후륜이동부;
    상기 후륜이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 및
    상기 회전력발생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구동제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제한부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되는 주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주동부에 맞물려, 상기 주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제한바디부;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구동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한바디가압부; 및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주동부에서 이격시키는 제한바디이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후륜이동부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바디부;
    상기 하우징바디부와 상기 차체를 연결하는 차체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바디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륜이동부에 접하여, 상기 후륜이동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후륜이동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후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종동부; 및
    상기 주동부와 상기 종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부는,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주동회전부; 및
    상기 주동회전부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제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제한부가 끼워지는 회전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동회전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바디이격부는 상기 구동제한바디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전자석을 포함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제한바디부를 상기 주동부에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조향장치.
KR1020170026594A 2017-02-28 2017-02-28 후륜 조향장치 KR10253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94A KR102530701B1 (ko) 2017-02-28 2017-02-28 후륜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94A KR102530701B1 (ko) 2017-02-28 2017-02-28 후륜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05A KR20180099305A (ko) 2018-09-05
KR102530701B1 true KR102530701B1 (ko) 2023-05-10

Family

ID=6359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594A KR102530701B1 (ko) 2017-02-28 2017-02-28 후륜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7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0209A (ja) * 2005-05-02 2008-11-20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後輪操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動機付き車両
JP2013112078A (ja) 2011-11-25 2013-06-10 Jtekt Corp 後輪転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730B2 (ja) * 1987-08-28 1997-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前後輪操舵車の後輪操舵装置
JPH04151376A (ja) * 1990-10-11 1992-05-25 Toyoda Mach Works Ltd 電動操舵装置
JPH05131944A (ja) * 1991-11-08 1993-05-28 Atsugi Unisia Corp 後輪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0209A (ja) * 2005-05-02 2008-11-20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後輪操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動機付き車両
JP2013112078A (ja) 2011-11-25 2013-06-10 Jtekt Corp 後輪転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05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328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용 조향장치
WO2019239482A1 (ja) 舵角規制装置
US9932065B2 (en) Steering device
EP3512481B1 (en) Centreless wheel with drive
KR102575396B1 (ko) Sbw시스템의 조향각 제한장치
JP2013103665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車輪の転舵装置
JP2007153300A (ja) モータ駆動式操向装置
US10556616B2 (en) Damping coupl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836744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조향각 제한장치
US9663141B2 (en) Vehicular steering system
KR102422336B1 (ko) 후륜조향장치
KR102530701B1 (ko) 후륜 조향장치
CN112550426B (zh) 用于车辆的转向柱组件
KR20150008550A (ko) 리어 휠 스티어링 장치의 리드스크류 회전 방지 구조
US20220258791A1 (en) Automobile steering apparatus
KR101454506B1 (ko)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240034392A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102216192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2174344B1 (ko) 차량 구동륜용 액슬
KR102433158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577631B1 (ko) 회전부재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5626110B2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2222578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013256264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85410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